KR101310492B1 - 지폐저장장치 - Google Patents

지폐저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0492B1
KR101310492B1 KR1020110143811A KR20110143811A KR101310492B1 KR 101310492 B1 KR101310492 B1 KR 101310492B1 KR 1020110143811 A KR1020110143811 A KR 1020110143811A KR 20110143811 A KR20110143811 A KR 20110143811A KR 101310492 B1 KR101310492 B1 KR 101310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push plate
banknote
storage device
b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3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5444A (ko
Inventor
윤수현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3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0492B1/ko
Publication of KR20130075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5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07D11/165Pi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26Auxiliary devices for retaining articles in the pil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07D11/13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with internal means for handling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균일한 푸쉬압을 지폐에 제공할 수 있는 지폐저장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폐저장장치는, 지폐를 낱장 분리하기 위해 적층된 지폐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픽업롤러와; 상기 픽업롤러 측으로 상기 지폐를 가압하기 위해 상기 지폐의 하부를 지지하는 푸쉬플레이트와; 상기 푸쉬플레이트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푸쉬플레이트의 양측에 구비된 가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푸쉬플레이트는 그 하면의 양측이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중앙부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좌우 선회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지폐저장장치{BILL STAC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지폐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폐자동입출금장치에 내부에 설치되어 입출금되는 지폐를 저장하기 위한 지폐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상담업무를 제외한 대부분의 서비스를 무인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개발된 장치인 금융자동화기기에는 지폐자동지급기(CDU;Cash Dispenser Unit)와 지폐자동입출금기(BRM; Billing Recycling Machine)등이 있는데, 지폐자동지급기는 금융업무전산화를 위한 초기 단계에서부터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지폐만 자동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된 장치이고, 지폐자동입출금기는 지폐자동지급기능에 부가하여 입금기능도 구비된 장치이다.
이러한 금융자동화기기에는 입금과 출금이 모두 이루어지는 지폐저장장치가 설치되는데, 상기 지폐저장장치는 금융자동화기기 내에 장착되어 출금될 지폐를 보관하거나 입금되는 지폐를 저장하는 환류식 보관함을 일컫는 것으로, 리사이클박스(recyclebox)로 불리운다.
도 1은 종래 지폐저장장치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2는 픽업롤러 하부에 지폐가 적재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지폐저장장치(1)에는, 지폐류를 낱장분리하여 출금하거나 입금되는 지폐류를 투입적재하는 지폐분리스택기구(10), 상기 지폐분리스택기구(10)가 상측에 설치되는 한편 지폐류가 상면에 적재되어 승하강되는 푸쉬플레이트(20)가 구비된다.
상기 지폐분리스택기구(10)는, 지폐를 낱장 분리하여 지폐저장장치(1)의 외부로 이송하기 위기 위해 지폐 폭에 맞추어 다수 개가 축에 연결 설치된 픽업롤러(11), 출금을 위해 상기 픽업롤러(11)에서 낱장 분리된 지폐를 지폐저장장치(1) 외부의 반송로로 이송하거나 입금을 위해 지폐를 지폐저장장치(1) 내부로 이송하기 위한 피드롤러(12), 상기 피드롤러(12)와 오버랩(overlap)되도록 설치되고 지폐의 2매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분리 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도록 원웨이베어링을 매개로 축에 연결설치된 가이드롤러(13), 및 지폐를 지폐저장장치(1)의 내부 또는 외부를 향하도록 이송하기 위한 반송롤러(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지폐저장장치(1) 내부에 적재된 지폐를 출금시키기 위해 푸쉬플레이트(20)는 상방향으로 지폐를 가압시킴으로써 지폐가 픽업롤러(11) 하부에 일정한 푸쉬압으로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픽업롤러(11)의 외주부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입출금시 푸쉬플레이트(20)의 상측에 적재된 지폐 상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지폐를 1매씩 낱장분리를 유도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픽업롤러(11)는 입금되거나 출금되는 지폐의 폭에 맞도록 다수 개의 픽업롤러(11)가 하나의 픽업롤러연결축(11a)에 연결되게 되고, 상기 픽업롤러(11)와 지폐 사이에 일정한 푸쉬압이 형성되도록 탄성부재(18)가 상측에서 누르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픽업롤러(11)의 하부에 접촉되는 지폐는 그 매수가 적게는 수십장에서 수천장에 이른다. 그 적재된 지폐는 지폐마다 상태가 상이하므로, 적층된 지폐의 좌우 양단 부풀기가 달라지게 된다. 이와 같이 푸쉬플레이트(20) 상면에 좌우 양단 부풀기가 다른 지폐가 적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좌우측 중 어느 하나의 픽업롤러(11)는 지폐와 접촉되고 나머지 타측의 픽업롤러(11)는 지폐와 완전히 접촉되지 못하게 된다.
즉, 좌우 픽업롤러(11)가 지폐를 눌러주는 압력(푸쉬압)이 좌우 불균형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지폐 출금을 위해 픽업롤러(11)를 계속 회전시키게 되면 지폐와 접촉된 픽업롤러(11)에서 편마모가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754041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754041호에는, 좌우 한 쌍의 픽업롤러와, 상기 픽업롤러들 사이에 설치된 픽업롤러풀리, 상기 픽업롤러풀리와 동력전달축에 연결된 동력전달풀리를 연결하기 위한 동력전달벨트, 상기 동력전달벨트의 내측공간부에 설치되어 픽업롤러고정부재의 중앙부와 연결되고 중심핀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중심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픽업롤러 설치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754041호에 개시된 픽업롤러 설치구조에 의하면, 지폐의 좌우 양단에 균일한 푸쉬압을 제공할 수 있으나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픽업롤러가 설치되는 구조가 매우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간단한 구조에 의해 균일한 푸쉬압을 지폐에 제공할 수 있는 지폐저장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폐저장장치는, 지폐를 낱장 분리하기 위해 적층된 지폐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픽업롤러와; 상기 픽업롤러 측으로 상기 지폐를 가압하기 위해 상기 지폐의 하부를 지지하는 푸쉬플레이트와; 상기 푸쉬플레이트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푸쉬플레이트의 양측에 구비된 가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푸쉬플레이트는 그 하면의 양측이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중앙부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좌우 선회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지폐저장장치는, 지폐를 낱장 분리하기 위해 적층된 지폐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픽업롤러와; 상기 픽업롤러 측으로 상기 지폐를 가압하기 위해 상기 지폐의 하부를 지지하는 푸쉬플레이트와; 상기 푸쉬플레이트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푸쉬플레이트의 양측에 구비된 가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푸쉬플레이트는 그 하면의 양측이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푸쉬플레이트가 지폐와의 접촉에 의해 선회하는 경우 그 양측단을 가이드하기 위한 선회가이드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지폐저장장치에 의하면, 픽업롤러측에 탄성부재와 힌지구조를 제거하고 푸쉬플레이트에 탄성부재와 힌지구조를 적용함으로써 푸쉬플레이트 상부에 적재된 지폐에 균일한 푸쉬압을 제공하면서 지폐저장장치의 구조를 매우 간단하게 할 수 있고, 지폐저장장치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지폐저장장치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픽업롤러 하부에 지폐가 적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의한 지폐저장장치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지폐저장장치에서 푸쉬플레이트의 상세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푸쉬플레이트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지폐저장장치에서 푸쉬플레이트의 상세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푸쉬플레이트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푸쉬플레이트의 동작 궤적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의한 지폐저장장치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지폐저장장치에서 푸쉬플레이트의 상세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지폐저장장치(100)는, 지폐(P)를 낱장 분리하기 위해 적층된 지폐(P)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픽업롤러(110)와, 상기 픽업롤러(100) 측으로 상기 지폐(P)를 가압하기 위해 상기 지폐(P)의 하부를 지지하는 푸쉬플레이트(120)와, 상기 푸쉬플레이트(1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픽업롤러(110)는 회전축(111)에 결합되어 위치 변동이 되지 않도록 고정된 상태로 지지되어, 지폐(P)의 낱장 분리시 구동수단(미도시)에 의해 상기 회전축(111)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지폐(P)에 균일한 푸쉬압을 가하기 위해 종래기술과 같은 복잡한 구조를 픽업롤러(110)에 적용되지 않고 일정한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있기 때문에 픽업롤러(110)를 설치하기 위한 구조가 간단해진다.
상기 푸쉬플레이트(120)는, 적재된 지폐(P)의 하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지폐(P)를 상방향으로 소정의 힘으로 가압함으로써 지폐가 픽업롤러(110)의 하부에 일정한 푸쉬압으로 접촉되도록 한다.
상기 푸쉬플레이트(120)의 양측에는 푸쉬플레이트(12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130)가 설치되고, 구동부(도면에 미도시)를 구동시키면 상기 푸쉬플레이트(120)는 상기 가이드부(130)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구동부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6-0127471에 나타난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즉,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도면에 미도시)가 푸쉬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푸쉬플레이트의 양측단에는 피니언 기어(Pinion Gear)가 구비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Pinion Gear)와 치합하는 랙 기어(Rack Gear)가 지폐저장장치의 양측벽에 구비됨으로서 푸쉬플레이트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30)는 푸쉬플레이트(120)의 양측단에 베어링을 구비하고, 상기 베어링이 지지되면서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지폐저장장치(100)의 양측 내벽에 홈을 형성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푸쉬플레이트(120)는 상기 지폐(P)의 저면을 지지하는 제1지지판(121)과, 상기 제1지지판(121)의 하부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된 제2지지판(122)과, 상기 제1지지판(121)과 제2지지판(122) 사이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부재(123,124)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지지판(121)과 제2지지판(122)의 중앙부는 힌지축(125)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힌지축(125)의 양측으로 탄성부재(123,124)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1지지판(121)의 양단에 균일하지 않은 힘이 인가될 경우에는 상기 제1지지판(121)은 상기 힌지축(125)을 중심으로 좌우 어느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2지지판(122)은 양단부가 상향 절곡된 플랜지부(122a,122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부(122a,122b)는 가이드부(130)에 연결되어 있어, 제1지지판(121)과 제2지지판(122)으로 이루어진 푸쉬플레이트(120)는 가이드부(130)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상하 이동하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123,124)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제1지지판(121)의 양측 하면을 탄성 지지하게 된다. 이 경우 2개의 탄성부재(123,124)의 스프링 상수는 동일한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푸쉬플레이트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5를 참조하여 지폐의 부풀음 상태가 불균일한 경우 푸쉬플레이트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픽업롤러(110)의 하부에는 복수의 지폐(P)가 적층되어 있다. 상기 지폐(P)는 낡은 지폐, 구겨진 지폐 등으로 인해 적층된 지폐(P)의 양단부의 부풀음 상태가 달라지게 된다. 이 경우 픽업롤러(110)는 회전축(111)에 단순히 고정된 상태로 있으므로 복수의 픽업롤러(110)는 모두 동일한 위치에서 적재된 최상단 지폐(P)를 누르게 된다.
이 경우 제1지지판(121)은, 지폐(P)의 부풀음 양이 큰 일측을 지지하는 부분은 힌지축(125)을 중심으로 하여 탄성부재(123)가 압축되도록 선회되고, 지폐(P)의 부풀음 양이 작은 타측을 지지하는 부분은 힌지축(125)을 중심으로 하여 탄성부재(124)가 신장되도록 선회된다.
따라서 최상단 지폐(P)는 항상 픽업롤러(110)에 접촉한 상태가 되므로 지폐(P)가 분리되지 않거나 픽업롤러(110)에 편마모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2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지폐저장장치에서 푸쉬플레이트의 상세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지폐저장장치는, 지폐(P)를 낱장 분리하기 위해 적층된 지폐(P)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픽업롤러(110)와, 상기 픽업롤러(110) 측으로 상기 지폐(P)를 가압하기 위해 상기 지폐(P)의 하부를 지지하는 푸쉬플레이트(120)와, 상기 푸쉬플레이트(120)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푸쉬플레이트(120)의 양측에 구비된 가이드부(130)를 포함하되, 상기 푸쉬플레이트(120)는 그 하면의 양측이 탄성부재(123',124')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라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제1실시예에서는 힌지축(125)을 중심으로 제1지지판(121)이 선회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제2실시예의 경우 힌지축이 구비되어 있지 않고 푸쉬플레이트(120')는 지폐와의 접촉에 의해 선회하는 경우 그 양측단을 가이드하기 위한 선회가이드부재(126', 127')를 더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제2실시예의 푸쉬플레이트(120')는, 지폐(P)의 저면을 지지하는 제1지지판(121')과, 상기 제1지지판(121')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지지판(122a', 122b')과, 상기 제1지지판(121')과 제2지지판(122a', 122b') 사이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탄성부재(123', 124')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지지판(122a', 122b')은 상기 제1지지판(121')의 양측 하부에 각각 설치된 2개의 지지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2개의 지지판은 가이드부(130')에 연결되어, 상기 푸쉬플레이트(120')와 가이드부(130')를 상호 연결하게 된다.
이 경우 힌지축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지폐(P)의 양단 부풀음 차이로 인해 제1지지판(121')의 양측이 기울어져 소정의 각도만큼 선회하는 경우 그 선회되는 궤적을 따라 가이드하기 위해 선회가이드부재(126',127')가 구비된다.
상기 선회가이드부재(126',127')에는 제1지지판(121') 양측단부가 접촉하는 곡률면(126a',127a')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곡률면(126a',127a')은 제1지지판(121')이 선회하는 경우 그 양측 단부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곡률면(126a',127a')은 상기 제1지지판(121')이 그 중심을 기준으로 선회하는 경우 제1지지판(121')의 양측 단부가 그리는 원의 궤적과 동일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곡률면(126a',127a')과 제1지지판(121')의 양측단부와의 사이에는 제1지지판(121')의 선회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구름부재(도면에 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름부재는 일례로 볼 베어링이 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푸쉬플레이트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푸쉬플레이트의 동작 궤적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7과 8을 참조하여 지폐의 부풀음 상태가 불균일한 경우 푸쉬플레이트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픽업롤러(110)의 하부에는 복수의 지폐(P)가 적층되어 있다. 상기 지폐(P)는 낡은 지폐, 구겨진 지폐 등으로 인해 적층된 지폐(P)의 양단부의 부풀음 상태가 달라지게 된다. 이 경우 픽업롤러(110)는 회전축(111)에 단순히 고정된 상태로 있으므로 복수의 픽업롤러(110)는 모두 동일한 위치에서 적재된 최상단 지폐(P)를 누르게 된다.
이 경우 제1지지판(121')은, 지폐(P)의 부풀음 양이 큰 일측을 지지하는 부분은 탄성부재(123')가 압축되도록 선회되고, 지폐(P)의 부풀음 양이 작은 타측을 지지하는 부분은 탄성부재(124')가 신장되도록 선회된다.
상기 제1지지판(121')의 양측 단부(121a') 중 하향 선회되는 단부는 선회가이드부재(126')의 곡률면(126a')과 접촉된 상태로 가이드되면서 선회되고, 상향 선회되는 단부도 선회가이드부재(127')의 곡률면(127a')과 접촉된 상태로 가이드되면서 선회된다. 여기서 상기 제1지지판(121')의 양측 단부(121a')는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둥근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판(121')이 선회되는 경우 그 양측 단부(121a')가 그리는 궤적과 상기 선회가이드부재(126',127')에 형성된 곡률면(126a',127a')의 곡률이 일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최상단 지폐(P)는 항상 픽업롤러(110)에 접촉한 상태가 되므로 지폐(P)가 분리되지 않거나 픽업롤러(110)에 편마모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00 : 지폐저장장치 110 : 픽업롤러
111 : 회전축 120 : 푸쉬플레이트
121,121' : 제1지지판 122,122' : 제2지지판
123,123',124,124' : 탄성부재 125 : 힌지축
126',127' : 선회가이드부재 130 : 가이드부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지폐를 낱장 분리하기 위해 적층된 지폐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픽업롤러와;
    상기 픽업롤러 측으로 상기 지폐를 가압하기 위해 상기 지폐의 하부를 지지하는 푸쉬플레이트와;
    상기 푸쉬플레이트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푸쉬플레이트의 양측에 구비된 가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푸쉬플레이트는 그 하면의 양측이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푸쉬플레이트가 지폐와의 접촉에 의해 선회하는 경우 그 양측단을 가이드하기 위한 선회가이드부재를 구비하는 지폐저장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플레이트는, 상기 지폐의 저면을 지지하는 제1지지판과,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제1지지판의 하부에 탄성적으로 연결되는 제2지지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지지판은 상기 제1지지판의 양측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된 2개의 지지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저장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가이드부재의 제1지지판 양측단부가 접촉하는 부분은 상기 제1지지판이 선회하는 경우 그 단부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곡률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저장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가이드부재의 곡률면은 상기 제1지지판이 그 중심을 기준으로 선회하는 경우 상기 제1지지판의 양측 단부가 그리는 원의 궤적과 동일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저장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가이드부재의 곡률면에는 상기 제1지지판의 양측단부와의 사이에 구름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저장장치.
  9.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롤러에 연결된 회전축은 양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동력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저장장치.
KR1020110143811A 2011-12-27 2011-12-27 지폐저장장치 KR101310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811A KR101310492B1 (ko) 2011-12-27 2011-12-27 지폐저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811A KR101310492B1 (ko) 2011-12-27 2011-12-27 지폐저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5444A KR20130075444A (ko) 2013-07-05
KR101310492B1 true KR101310492B1 (ko) 2013-09-24

Family

ID=48989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3811A KR101310492B1 (ko) 2011-12-27 2011-12-27 지폐저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04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5416A (ko) * 2014-10-17 2016-04-2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매체보관함
WO2018192392A1 (zh) * 2017-04-18 2018-10-25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踢钞组件、薄片类介质分离机构、钞箱及钞票处理装置
EP3745366A4 (en) * 2018-01-26 2021-11-03 Laurel Precision Machines Co., Ltd. SHEET PAPER PROCESS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43555A (en) * 2015-10-22 2017-04-26 Glory Global Solutions (International) Ltd Sheet engaging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1186A (ja) * 1993-03-15 1995-02-10 Nec Corp 紙葉類の繰り出し機構
KR20110079349A (ko) * 2009-12-31 2011-07-0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저장박스의 푸쉬플레이트 위치 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1186A (ja) * 1993-03-15 1995-02-10 Nec Corp 紙葉類の繰り出し機構
KR20110079349A (ko) * 2009-12-31 2011-07-0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저장박스의 푸쉬플레이트 위치 감지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5416A (ko) * 2014-10-17 2016-04-2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매체보관함
KR102236787B1 (ko) * 2014-10-17 2021-04-06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매체보관함
WO2018192392A1 (zh) * 2017-04-18 2018-10-25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踢钞组件、薄片类介质分离机构、钞箱及钞票处理装置
CN108734852A (zh) * 2017-04-18 2018-11-02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踢钞组件、薄片类介质分离机构、钞箱及钞票处理装置
EP3745366A4 (en) * 2018-01-26 2021-11-03 Laurel Precision Machines Co., Ltd. SHEET PAPER PROCESSING DEVICE
US11401122B2 (en) * 2018-01-26 2022-08-02 Laurel Precision Machines Co., Ltd. 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5444A (ko) 2013-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6917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스택롤러 회전방지장치
US9346639B2 (en) Medium storage box, medium handl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KR101310492B1 (ko) 지폐저장장치
KR100998111B1 (ko) 시트롤러
KR101077459B1 (ko) 시트롤러
US8047428B2 (en) Cash transaction machine
KR100961578B1 (ko) 금융자동화기기 및 금융자동화기기에서의 매체 리젝트 방법
KR20090072664A (ko) 금융자동화기기
KR100754041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픽업롤러 설치구조
CN101370726B (zh) 用于堆叠式存放纸张的设备
WO2020091178A1 (ko) 매체 분리장치
KR101077322B1 (ko) 금융자동화기기
KR100966676B1 (ko) 금융자동화기기
KR100901071B1 (ko) 지폐입출금장치
KR20210049574A (ko) 스택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매체집적장치
KR101280691B1 (ko) 매체보관함, 매체처리장치, 금융기기 및 매체보관함에서의 매체 인출 방법
KR101212297B1 (ko) 스택 롤러
US7891553B2 (en) Device of supplying paper medium
KR101199145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전면가이드판 록킹장치
KR20120128990A (ko) 플랜지 일체형 스택시트가 구비된 스택롤러
KR100966678B1 (ko) 종이매체 공급장치
KR100552230B1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픽업롤러 정위치감지장치
KR20090067356A (ko) 금융자동화기기
KR102255909B1 (ko) 픽업유닛 및 다권종 지폐 정렬장치
KR100897922B1 (ko) 지폐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