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0474B1 - 그라우팅 장치 - Google Patents

그라우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0474B1
KR101310474B1 KR1020110035478A KR20110035478A KR101310474B1 KR 101310474 B1 KR101310474 B1 KR 101310474B1 KR 1020110035478 A KR1020110035478 A KR 1020110035478A KR 20110035478 A KR20110035478 A KR 20110035478A KR 101310474 B1 KR101310474 B1 KR 101310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pipe
grouting
branch pip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5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8103A (ko
Inventor
방태운
Original Assignee
방태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태운 filed Critical 방태운
Priority to KR1020110035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0474B1/ko
Publication of KR20120118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8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1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soil pressure or hydraulic pressure
    • E02D31/1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soil pressure or hydraulic pressure against upward hydraulic pressure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0/00Setting anchoring-bolts
    • E21D20/02Setting anchoring-bolts with provisions for grou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Consolidation Of Soil By Introduction Of Solidifying Substances Into Soi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라우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지반의 굴착공내로 그라우팅제를 주입시키는 주입관이 상기 굴착공내의 지하수 등을 포함한 유체의 부력을 이기고 보다 원활하게 상기 굴착공내로 삽입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그라우팅 장치{GROU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지반의 굴착공내로 그라우팅제를 주입시키는 주입관이 상기 굴착공내의 지하수 등을 포함한 유체의 부력을 이기고 보다 원활하게 상기 굴착공내로 삽입될 수 있는 그라우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난방을 위하여 사용되는 에너지원으로는 석탄, 석유, 천연가스 등과 같은 화석연료를 이용하거나, 또는 이들 화석연료를 이용하여 생산된 전력에너지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화석연료는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공해물질로 인하여 수질 및 환경을 오염시키는 단점이 있음으로, 근래에는 이를 대신할 수 있는 대체에너지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대체어너지 중에서도 무한한 에너지원을 갖는 풍력, 태양열, 지열 등에 관한 연구와 이를 이용한 냉난방장치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들 에너지원은 공기오염과 기후변화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에너지 밀도가 대단히 낮은 단점이 있다.
특히, 풍력과 태양열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얻기 위해서는 설치장소의 한계와 함께 넓은 면적이 확보되어야 하며, 이 장치들은 단위장치당 에너지 생산용량이 적고 또한 설치 및 유지관리에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따라서, 설치 및 유지관리에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이 소요되는 지열에너지를 이용한 냉난방장치들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지열냉난방장치는 지열을 회수하기 위한 지열교환기와, 회수한 지열을 필요한 장소로 이동시켜 냉난방을 행하도록 하는 히트펌프로 구성된다.
지열교환기의 설치는 대략 수직방향으로 지하 45m ~ 150m 정도의 깊이의 굴착공을 소정의 간격으로 천공한 다음, 천공된 각각의 굴착공내에 "U'자형 또는 코일형의 지열관을 삽입하고, 인접한 다른 지열관들을 서로 연결한 후 연결된 상기 지열관의 양쪽 끝단부인 유입구와 유출구를 히트펌프와 연결하는 방법으로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지열관이 설치된 각각의 굴착공에는 상기 지열관과 지반의 열전도가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그라우팅작업을 실시한다.
그러나, 상기 굴착공내로 그라우팅제를 주입하는 주입관을 상기 굴착공내에 삽입하는 과정 중에 상기 굴착공내의 지하수 등을 포함한 유체의 부력으로 인해 상기 주입관이 상기 굴착공내로 원활하게 삽입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지반의 굴착공내로 그라우팅제를 주입시키는 주입관이 상기 굴착공내의 지하수 등을 포함한 유체의 부력을 이기고 보다 원활하게 상기 굴착공내로 삽입될 수 있는 그라우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반에 일정깊이로 수직형성된 굴착공내로 그라우팅제를 주입하는 주입관이 권취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측판으로 구성되는 공급릴부와; 상기 공급릴부의 하부방향에 구동부재와 축결합된 상태로 구비되는 구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공급릴부의 하부방향에 구비되는 종동롤러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롤러와 상기 종동롤러사이에 상기 굴착공내로 삽입될 상기 주입관이 수용되는 공급롤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우팅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롤러와 상기 종동롤러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공급릴부의 하부방향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전측고정판과 후측고정판 사이에 상기 구동롤러가 축결합되고, 상기 전측고정판의 일측과 후측고정판의 일측에 각각 전측가이드바와 후측가이드바가 구비되고, 상기 전측가이드바와 후측가이드바에 각각 상기 전측고정판 및 후측고정판 방향으로 이동하는 전측이동판 및 후측이동판이 구비되고, 상기 전측이동판과 후측이동판 사이에 상기 종동롤러가 축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롤러와 종동롤러의 외주면에 각각 복수의 돌기가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구동부재는 유압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전측가이드바의 일측과 상기 후측가이드바의 일측에 각각 너트부재가 나사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전측이동판과 후측이동판을 이동시키는 실린더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공급릴부와 공급롤러부가 구비되는 차체프레임과; 상기 차체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상기 차체프레임에 구비되는 유압발생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차체프레임에 크레인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크레인부는 상기 차체프레임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수직지지대와; 상기 수직지지대의 상단부에 후단부가 축결합되고, 전단부 상부면과 후단부 상부면에 각각 도르래가 축결합되는 수평지지대와; 상기 수평지지대의 하부면 후측과 상기 수직지지대의 전측면 상측에 상하단부가 각각 축결합되는 각도조절실린더와; 상기 수직지지대의 후측면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수평지지대의 도르래에 걸쳐지는 와이어가 권취되며, 상기 와이어의 전단부에 후크부재가 구비되는 와이어윈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윈치는 유압모터로 이루어지는 구동부재와 축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공급릴부의 주입관내로 공급될 그라우팅제가 내부에 저장되는 교반부와; 상기 교반부에 저장된 그라우팅제를 상기 주입관내로 공급하는 공급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교반부는 내부에 그라우팅제가 저장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상부에 구비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상부면에 수직구비되는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축에 축결합되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수직구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수평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을 따라 회전하는 회전날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공급부는 상기 교반부에 저장된 그라우팅제가 유입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내로 유입된 그라우팅제를 상기 주입관내로 안내하는 안내관과; 상기 유입관과 상기 안내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관내로 유입된 그라우팅제를 상기 안내관내로 공급하는 공급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공급부재는 상단부에 상기 안내관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하단부에 상기 유입관의 타단부가 연결되는 상하측이 개방된 공급몸체와; 상기 공급몸체의 내부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로드와; 상기 안내관의 내부 일측과 상기 유입관의 내부 타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각각 수용되는 상하이동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공급부는 상기 교반부에 저장된 그라우팅제가 유입되고, 타측에 분기관이 연결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내로 유입된 그라우팅제를 상기 주입관내로 안내하고, 일측에 분기관이 연결되는 안내관과; 상기 유입관의 분기관의 일측과 상기 안내관의 분기관의 일측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관내로 유입된 그라우팅제를 상기 안내관내로 공급하는 일측공급부재와, 상기 유입관의 분기관의 타측과 상기 안내관의 분기관의 타측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관내로 유입된 그라우팅제를 상기 안내관내로 공급하는 타측공급부재;로 구성되는 공급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일측공급부재는 상단부에 상기 안내관의 분기관의 일측이 연결되고, 하단부에 상기 유입관의 분기관의 일측이 연결되는 상하측이 개방된 일측공급몸체와; 상기 일측공급몸체의 내부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일측로드와; 상기 안내관의 분기관의 내부 일측과 상기 유입관의 분기관의 내부 일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각각 수용되는 일측상하이동볼;로 구성되고, 상기 타측공급부재는 상단부에 상기 안내관의 분기관의 타측이 연결되고, 하단부에 상기 유입관의 분기관의 타측이 연결되는 상하측이 개방된 타측공급몸체와; 상기 타측공급몸체의 내부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타측로드와; 상기 안내관의 분기관의 내부 타측과 상기 유입관의 분기관의 내부 타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각각 수용되는 타측상하이동볼;로 구성되며, 상기 일측로드와 타측로드는 교대로 좌우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공급릴부의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회전력전달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회전력전달부재는 상기 공급릴부의 회전축과 축결합되는 상측풀리와; 상기 구동부재와 축결합되는 하측풀리와; 상기 상측풀리와 하측풀리에 감겨지는 벨트;로 구성되고, 상기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공급롤러부의 구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로 이동가능한 종동롤러사이에 지반에 일정깊이로 수직형성된 굴착공내에 삽입될 주입관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롤러와 종동롤러가 회전하여 상기 주입관을 상기 굴착공내로 강제공급하기 때문에 상기 굴착공내로 그라우팅제를 주입할 상기 주입관이 상기 굴착공내의 지하수 등을 포함한 유체의 부력을 이기고 보다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그라우팅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공급롤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평면도이고,
도 3은 구동롤러와 종동롤러의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가 돌출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전측이동판과 후측이동판을 이동시키는 실린더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정면도이고,
도 5는 공급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은 크레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와이어윈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평면도이고,
도 8 내지 도 11은 교반부와 공급부를 개략적으로 각각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12는 장력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도이고,
도 13은 지반의 굴착공내로 주입관이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그라우팅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공급롤러부(2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그라우팅 장치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공급릴부(10)와 공급롤러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공급릴부(10)는 회전축(도 5의 110)과 측판(도 5의 120)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110)은 좌우방향으로 수평으로 일정길이 연장된다.
상기 회전축(110)에는 지반(도 13의 7)에 일정깊이로 수직형성된 굴착공(도 13의 71)내로 그라우팅제(8)를 주입하는 주입관(9)이 권취될 수 있다.
상기 주입관(9)은 연성재질의 관상의 호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주입관(9)의 훼손시 상기 회전축(110)에서 훼손된 상기 주입관(9)의 용이한 교체를 위해 상기 측판(120)은 상기 회전축(110)의 전단부에 분리가능하게 수직구비되는 전측판(도 5의 121)과; 상기 회전축(110)의 후단부에 일체형으로 수직구비되는 후측판(도 5의 1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판(121)은 체결부(도 5의 113)에 의해 상기 회전축(110)의 전단부에 분리가능하게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113)는 체결축(113a)과 체결부재(113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축(113a)은 상기 회전축(110)의 전단부에 수평으로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축(113a)의 외경크기는 상기 회전축(110)의 외경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축(113a)은 상기 전측판(121)의 중심부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113b)는 너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113b)는 상기 체결축(113a)의 전단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전측판(121)의 전면 중심부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후측판(122)의 중심부에는 상기 후측판(122)의 후방으로 수평돌출되는 축(도 5의 122a)이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판(122)의 축(122a)은 상기 후측판(122)의 후방에 수직구비되는 고정대(114)의 상단부 내부에 베어링고정된 상태로 축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공급롤러부(2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동롤러(210)와 종동롤러(220)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롤러(210)는 구동부재(30)와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공급릴부(10)의 일측 하부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롤러(210)를 정역회전시키는 상기 구동부재(30)로써, 일반모터 등을 사용할 수 있겠으나, 바람직하게는 일반모터와 달리 그 특성상 지속적으로 사용되더라도 과부하가 발생될 우려가 없는 유압모터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종동롤러(220)는 상기 구동롤러(210)방향으로 좌우이동가능하게 상기 공급릴부(10)의 일측 하부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종동롤러(220)는 상기 구동롤러(210)를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구동롤러(210)와 상기 종동롤러(220) 사이에는 상기 회전축(110)에 권취된 상태인 지반(7)의 굴착공(71)내에 삽입될 상기 주입관(9)이 작업자에 의해 수용된다.
한편, 상기 주입관(9)이 지반(7)의 굴착공(71)내에 삽입되기 전에 상기 굴착공(71)내에는 "U'자형 또는 코일형의 지열관(도 13의 6)이 미리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며, 연성재질의 관상의 호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지열관(6)은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구동롤러(210)와 종동롤러(220) 사이에 상기 주입관(9)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종동롤러(220)는 상기 구동롤러(210)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주입관(9)을 가압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구동롤러(210)가 가령 정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종동롤러(220)는 상기 구동롤러(2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역방향으로 회전 또는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구동롤러(210)와 접한 상태인 상기 주입관(9)과의 마찰력을 통해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구동롤러(210)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종동롤러(220)를 통해 상기 구동롤러(210)와 상기 종동롤러(220) 사이에 수용된 상기 주입관(9)의 하단부가 지반(7)의 굴착공(71)내로 보다 용이하게 하강하여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롤러(210)와 상기 종동롤러(220) 사이의 좌우간격(도 2의 d)은 조절될 수 있는데, 이는 설명의 편의상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구동롤러(210)와 상기 종동롤러(220) 사이의 좌우간격(d)이 좁을수록 상기 종동롤러(220)는 상기 주입관(9)을 강하게 가압하게 된다.
상기 구동롤러(210)와 상기 종동롤러(220) 사이의 좌우간격(d)이 넓을수록 상기 종동롤러(220)는 상기 주입관(9)을 약하게 가압하게 된다.
상기 구동롤러(210)와 상기 종동롤러(220) 사이의 좌우간격(d)을 조절하여 상기 종동롤러(220)에 의해 가압되는 상기 주입관(9)의 가압세기를 상기 주입관(9)의 외경크기에 따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공급릴부(10) 일측 하부방향에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전측고정판(211)과 후측고정판(212) 사이에 상기 구동롤러(210)가 베어링고정된 상태로 축결합된다.
상기 후측고정판(212)의 후면에는 상기 구동롤러(210)의 후단부와 축결합되는 상기 구동부재(30)가 볼트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측고정판(211)의 전방에는 상기 구동롤러(210)의 전단부와 축결합되어 상기 구동롤러(210)를 따라 정역회전하는 구동기어(210a)가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측고정판(211)의 일측 상하부에는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 수평연장되는 전측가이드바(211a)가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측고정판(212)의 일측 상하부에는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 수평연장되는 후측가이드바(212b)가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측가이드바(211a)에는 상기 전측고정판(211)방향으로 좌우이동하는 전측이동판(22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측가이드바(211a)는 상기 전측고정판(211)의 상하부를 각각 수평관통할 수 있다.
상기 후측가이드바(212b)에는 상기 후측고정판(212) 방향으로 좌우이동하는 후측이동판(22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측이동판(221)의 일측 상부와 상기 후측이동판(222)의 일측 상부 사이에는 상기 전측이동판(221)과 후측이동판(222)을 연결하는 연결대(223)가 일체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대(223)는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 수평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전측이동판(221)과 상기 후측이동판(222) 사이에 상기 종동롤러(220)가 베어링고정된 상태로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측이동판(221)의 전방에는 상기 종동롤러(220)의 전단부와 축결합되어 상기 종동롤러(220)를 따라 정역회전하는 종동기어(220a)가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종동기어(220a)는 상기 구동기어(210a)와 치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롤러(210)의 정역회전력은 상기 구동기어(210a)와 종동기어(220a)를 통해 상기 종동롤러(220)로 전달될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전측이동판(221)과 후측이동판(222)을 좌우이동시킬 시 상기 종동롤러(220)는 상기 전측이동판(221)과 후측이동판(222)을 따라 좌우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구동롤러(210)와 상기 종동롤러(220) 사이의 좌우간격(d)이 보다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3은 구동롤러(210)와 종동롤러(220)의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213, 214)가 돌출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구동롤러(210)와 종동롤러(220)의 외주면에는 상기 구동롤러(210)와 종동롤러(220)의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213, 214)가 일정간격으로 일체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돌기(213, 214)는 상기 구동롤러(210)와 종동롤러(220)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돌기(213, 214)를 통해 상기 구동롤러(210)와 종동롤러(220) 사이에 수용된 상기 주입관(9)을 보다 더욱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측가이드바(211a)의 일측과 상기 후측가이드바(212b)의 일측에 각각 너트부재(40)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너트부재(40)를 통해 상기 전측이동판(221)과 후측이동판(222)의 좌우이동범위를 보다 용이하게 제한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4는 전측이동판(221)과 후측이동판(222)을 이동시키는 실린더(5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정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측이동판(221)과 후측이동판(222)을 이동시키는 실린더(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50)는 후술할 차체프레임(80)의 전측 상부면 일측에 수평으로 볼트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50)의 일단부는 상기 전측이동판(221)의 상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50)로써, 일반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겠으나, 상기 실린더(50)가 고장없이 상기 전측이동판(221)을 자동으로 좌우이동시킬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일반실린더와 달리 그 특성상 지속적으로 사용되더라도 과부하가 발생될 우려가 없는 유압실린더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좌우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는 상기 실린더(50)를 통해 상기 전측이동판(221)과 함께 상기 후측이동판(222)을 보다 용이하게 자동으로 좌우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구동롤러(210)와 상기 종동롤러(220) 사이의 좌우간격(d) 또한 보다 용이하게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5는 공급릴부(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은 크레인부(2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체프레임(80), 이동수단(90) 및 유압발생부(1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체프레임(80)의 상부면 전측에는 상기 공급릴부(10)가 설치되는 상기 고정대(114)가 일체형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차체프레임(80)의 일측면 전측에는 상기 공급롤러부(20)의 구동롤러(210)가 축결합되는 상기 전측고정판(211)과 후측고정판(212)이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일체형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수단(90)은 상기 차체프레임(8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차체프레임(8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수단(90)은 상기 차체프레임(80)의 하부면 각 모서리에 구비되는 캐스터 등을 포함한 공지된 회전바퀴(미도시)로 이루어지거나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지된 궤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동수단(90)이 캐스터 등을 포함한 공지된 회전바퀴(미도시)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차체프레임(80)을 특정장소로 수동으로 직접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수단(90)이 궤도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차체프레임(80)을 특정장소로 자동으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유압발생부(100)는 상기 공급릴부(1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차체프레임(80)의 상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압발생부(100)는 상기 공급릴부(10)의 회전축(110)을 정역회전시키는 유압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후술할 구동부재(500), 상기 구동롤러(210)를 정역회선시는 유압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구동부재(30), 상기 전측이동판(221)과 후측이동판(222)을 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실린더(50), 유압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후술할 각도조절실린더(203), 유압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후술할 구동부재(250), 유압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후술할 교반부(300)의 구동부재(330), 유압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후술할 장력조절부(700)의 실린더(750) 및 후술할 공급부(400)의 공급부재(430)의 작동에 필요한 오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유압발생부(100)는 오일이 저장된 오일통(미도시)과; 상기 오일통(미도시)에 저장된 오일을 상기 구동부재(500, 30, 250, 330), 상기 실린더(50), 각도조절실린더(203) 및 공급부재(430)와 각각 연결된 별도의 연결관을 통해 상기 구동부재(500, 30, 250, 330), 상기 실린더(50), 각도조절실린더(203) 및 공급부재(430)로 공급하는 펌프(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압발생부(10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차체프레임(80)의 상부면 후측에는 크레인부(2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크레인부(200)는 수직지지대(201), 수평지지대(202), 각도조절실린더(203) 및 와이어윈치(20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직지지대(201)는 상기 유압발생부(10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차체프레임(80)의 상부면 후측에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평지지대(202)의 후단부는 상기 수직지지대(201)의 상단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평지지대(202)의 전단부 상부면과 상기 수평지지대(202)의 후단부 상부면에는 각각 도르래(202a)가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실린더(203)는 유압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실린더(203)의 상단부는 상기 수평지지대(202)의 하부면 후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실린더(203)의 하단부는 상기 수직지지대(201)의 전측면 상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실린더(203)의 길이가 신장됨에 따라 상기 수평지지대(230)의 후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수평지지대(230)의 전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와이어윈치(204)는 상기 수직지지대(201)의 후측면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윈치(204)는 상기 수평지지대(202)의 도르래(202a)에 걸쳐지는 와이어(204a)가 권취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204a)의 전단부에는 지면에 놓인 상기 주입관(9) 또는 상기 공급릴부(10)의 회전축(110)에서 분리된 상기 전측판(121)이 걸림고정되는 후크부재(204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크레인부(200)를 통해 지면에 놓인 상기 주입관(9) 또는 상기 공급릴부(10)의 회전축(110)에서 분리된 상기 전측판(121) 등을 보다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상기 주입관(9)의 교체보수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7은 도 6의 와이어윈치(204)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평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윈치(204)는 유압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는 구동부재(250)와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직지지대(201)의 후측면 상부 일측과 후측면 상부 타측에는 상기 수직지지대(201)의 후방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일측 수평판(260) 및 타측 수평판(270)이 각각 일체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수평판(260) 및 타측 수평판(270) 사이에 상기 와이어윈치(204)가 베어링고정된 상태로 축결합될 수 있다.
유압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구동부재(250)는 상기 일측 수평판(260)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유압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구동부재(250)는 상기 와이어윈치(204)의 일측과 축결합될 수 있다.
유압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구동부재(250)를 통해 상기 와이어윈치(204)에 상기 와이어(204a)를 자동으로 보다 용이하게 권취 및 권회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8 내지 도 11은 교반부(300)와 공급부(400)를 개략적으로 각각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교반부(300)와 공급부(4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교반부(300)는 상기 유압발생부(100)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차체프레임(80)의 상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교반부(300)의 내부에는 상기 공급릴부(10)의 주입관(9)내로 공급될 그라우팅제(8)가 일정높이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교반부(300)의 내부에 저장되는 그라우팅제(8)는 물과 벤토나이트 등이 혼합된 상태인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그라우팅제(8)는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공급부(400)는 상기 교반부(300)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차체프레임(80)의 상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400)는 상기 교반부(300)의 내부에 저장된 그라우팅제(8)를 상기 주입관(9)내로 공급할 수 있다.
다음으로, 특히 상기 교반부(300)는 몸체(310), 커버(320), 유압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는 구동부재(330), 회전축(340) 및 회전날개(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310)의 상측은 개방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310)의 내부에는 그라우팅제(8)가 일정높이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커버(320)의 하측은 개방될 수 있으며, 작업자에 의해 상기 커버(320)는 상기 몸체(310)의 상부에 수평안착될 수 있다.
상기 몸체(310)의 상부에 수평안착된 상기 커버(320)는 상기 커버(32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나사결합되어 상기 몸체(310)의 일측면 상측과 타측면 상측에 밀착고정되는 고정볼트 등을 포함한 고정부재(321)에 의해 유동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위치고정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330)는 상기 커버(320)의 상부면 중심부에 수직으로 볼트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340)은 상기 구동부재(330)의 구동축(331)에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몸체(310)의 내부 중심부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날개(350)는 상기 회전축(340)의 외주연에 등간격으로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날개(350)는 상기 회전축(340)을 따라 정역회전하여 상기 몸체(310)의 내부에 일정높이로 저장된 그라우팅제(8)를 교반하게 된다.
상기 회전날개(350)의 정역회전력에 의해 교반되는 그라우팅제(8)의 교반효율을 보다 더욱 크게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몸체(310)의 내주면에는 경사판(311)이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경사판(311)은 상단부에서 하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몸체(310)의 내주면 일측에서 상기 몸체(310)의 내주면 타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회전날개(350)의 정역회전력에 의해 그라우팅제(8)가 교반되는 과정 중에 그라우팅제(8)는 상기 경사판(311)을 타고 올라가게 되고 이로 인해 그라우팅제(8)의 교반효율이 보다 더욱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공급부(400)는 일예로, 유입관(410), 안내관(420) 및 공급부재(4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관(410)의 일단부는 상기 교반부(300)의 몸체(310)의 하부 타측면에 기밀하게 연통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유입관(410)의 타단부는 상기 공급부재(430)의 하단부에 기밀하게 연통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유입관(410)내로 상기 교반부(300)의 몸체(310)의 내부에 저장된 그라우팅제(8)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안내관(420)의 일단부는 상기 공급부재(430)의 상단부에 기밀하게 연통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안내관(420)의 타단부는 상기 공급릴부(10)의 회전축(110)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축(11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110)에 권취된 상기 주입관(9)의 상단부는 상기 회전축(110)의 상부 외주면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축(11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안내관(420)의 타단부는 상기 주입관(9)의 상단부와 기밀하게 연통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110)이 정역회전할 시 상기 안내관(420)의 타단부에 꼬임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안내관(420)의 타단부에는 공지된 로터리 조인트(420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내관(420)은 상기 유입관(410)내로 유입된 그라우팅제(8)를 상기 주입관(9)내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공급부재(430)는 상기 유입관(410)과 상기 안내관(4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차체프레임(80)의 상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재(430)는 상기 유입관(410)내로 유입된 그라우팅제(8)를 상기 안내관(420)내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공급부재(730)는 공급몸체(431), 로드(432) 및 상하이동볼(4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공급몸체(431)의 상단부에 상기 안내관(420)의 일단부가 기밀하게 연통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안내관(420)의 일단부에는 상기 안내관(420)의 일단부 외부방향으로 수평돌출되는 환형의 안착부재(420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관(420)의 일단부를 상기 공급몸체(431)의 상단부에 연결시키는 환형의 연결부재(420c)가 구비될 수 있다.
하측이 개방된 상태인 환형의 상기 연결부재(420c)의 상측은 상기 연결부재(420c)의 내측으로 수평으로 절곡되어 환형의 상기 안착부재(420b)의 상부면에 작업자에 의해 정역회전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
환형의 상기 연결부재(420c)의 하측 내주면은 상기 공급몸체(431)의 상단부 외주면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공급몸체(431)의 하단부에 상기 유입관(410)의 타단부가 기밀하게 연통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유입관(410)의 타단부에는 상기 유입관(410)의 타단부 외부방향으로 수평돌출되는 환형의 안착부재(410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관(410)의 타단부를 상기 공급몸체(431)의 하단부에 연결시키는 환형의 연결부재(410c)가 구비될 수 있다.
상측이 개방된 상태인 환형의 상기 연결부재(410c)의 하측은 상기 연결부재(410c)의 내측으로 수평으로 절곡되어 환형의 상기 안착부재(410b)의 하부면에 작업자에 의해 정역회전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
환형의 상기 연결부재(410c)의 상측 내주면은 상기 공급몸체(431)의 하단부 외주면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로드(432)는 상기 공급몸체(431)의 내부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몸체(431)는 제 1공급몸체(431a), 제 2공급몸체(431b) 및 제 3공급몸체(431c)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공급몸체(431a)는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공급몸체(431a)의 상단부에는 상기 안내관(420)의 일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공급몸체(431a)의 하단부에는 상기 유입관(410)의 타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공급몸체(431b)는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공급몸체(431b)의 일단부는 상기 제 1공급몸체(431a)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제 1공급몸체(431a)의 타측면 중심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3공급몸체(431c)의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3공급몸체(431c)의 일단부는 상기 제 2공급몸체(431b)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제 2공급몸체(431b)의 타측면 중심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3공급몸체(431c)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는 상기 유압발생부(100)와 연결되는 일측연결관(431d)과 타측연결관(431e)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로드(432)는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로드(432)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 2공급몸체(431b)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로드(432)를 따라 좌우이동하는 제 1좌우이동판(432a)이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드(432)의 중심부에는 상기 제 3공급몸체(431c)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로드(432)를 따라 좌우이동하는 제 2좌우이동판(432b)이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볼(433)은 상기 안내관(420)의 내부 일측과 상기 유입관(410)의 내부 타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각각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볼(433)은 상측상하이동볼(433a)과 하측상하이동볼(433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측상하이동볼(433a)은 상기 공급몸체(431)의 제 1공급몸체(431)의 상단부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안내관(420)의 내부 일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상측상하이동볼(433a)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안내관(420)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상측상하이동볼(433a)의 상하이동을 제한하는 수평축(420d)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측상하이동볼(433b)은 상기 유입관(410)의 내부 타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안착수용될 수 있다.
상기 하측상하이동볼(433b)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유입관(410)의 내부 타측에는 상기 하측상하이동볼(433b)의 상하이동을 제한하는 수평축(410d)이 구비될 수 있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압발생부(100)의 오일이 상기 일측연결관(431d)을 통해 상기 제 3공급몸체(431c)의 내부로 유입되면 상기 로드(432)는 상기 공급몸체(431)의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교반부(300)의 몸체(310)내에 저장된 그라우팅제(8)를 흡입하게 된다.
상기 공급몸체(431)의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교반부(300)의 몸체(310)내에 저장된 그라우팅제(8)를 흡입하는 상기 로드(432)의 흡입압력에 의해 상기 하측상하이동볼(433b)은 상승하여 상기 유입관(410)의 내부 타측을 개방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상측상하이동볼(433a)은 상기 공급몸체(431)의 제 1공급몸체(431)의 상단부로 하강하여 상기 제 1공급몸체(431)의 상단부를 폐쇄하게 된다.
상기 교반부(300)의 몸체(310)내에 저장된 그라우팅제(8)는 상기 유입관(410)을 지나 상기 공급몸체(431)의 제 1, 2공급몸체(431a, 431b)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 후,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압발생부(100)의 오일이 상기 타측연결관(431e)을 통해 상기 제 3공급몸체(431c)의 내부로 유입되면 상기 로드(432)는 상기 공급몸체(431)의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공급몸체(431)의 제 1, 2공급몸체(431a, 431b)내부로 유입된 그라우팅제(8)를 상기 안내관(420)의 내부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 공급몸체(431)의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공급몸체(431)의 제 1, 2공급몸체(431a, 431b)내부로 유입된 그라우팅제(8)를 상기 안내관(420)의 내부로 배출하는 상기 로드(432)의 배출압력에 의해 상기 하측상하이동볼(433b)은 하강하여 상기 유입관(410)의 내부 타측을 폐쇄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상측상하이동볼(433a)은 상승하여 상기 안내관(420)의 내부 일측을 개방하게 된다.
상기 공급몸체(431), 로드(432) 및 상기 상하이동볼(433)로 이루어지는 상기 공급부재(430)를 통해 상기 교반부(300)의 몸체(310)내에 저장된 그라우팅제(8)를 상기 주입관(9)내로 보다 용이하게 간헐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른예로써, 상기 공급부(400)는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입관(410), 상기 안내관(420) 및 공급부재(430)로 구성되되,
상기 유입관(410)의 타측에 분기관(411)이 연결되고,
상기 안내관(420)의 일측에 분기관(421)이 연결되며,
상기 공급부재(430)는 일측공급부재(430a)와 타측공급부재(430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관(410)의 타측은 상기 분기관(411)과 연통되도록 상기 분기관(411)의 하부면 중심부에 기밀하게 연통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안내관(420)의 일측은 상기 분기관(421)과 연통되도록 상기 분기관(421)의 상부면 중심부에 기밀하게 연통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일측공급부재(430a)는 상기 유입관(410)의 분기관(411)의 일측과 상기 안내관(420)의 분기관(421)의 일측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관(410)내로 유입된 그라우팅제(8)를 상기 안내관(420)내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타측공급부재(430b)는 상기 유입관(410)의 분기관(411)의 타측과 상기 안내관(420)의 분기관(421)의 타측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관(410)내로 유입된 그라우팅제(8)를 상기 안내관(420)내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일측공급부재(430a)는 상하측이 개방된 일측공급몸체(430a1), 일측로드(430a2), 일측상하이동볼(430a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공급몸체(430a1)는 제 1일측공급몸체(430a11), 제 2일측공급몸체(430a12) 및 제 3일측공급몸체(430a1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일측공급몸체(430a11)는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일측공급몸체(430a11)의 상단부에는 상기 안내관(420)의 분기관(421)의 일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일측공급몸체(430a11)의 하단부에는 상기 유입관(410)의 분기관(411)의 일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일측공급몸체(430a12)는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일측공급몸체(430a12)의 일단부는 상기 제 1일측공급몸체(430a11)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제 1일측공급몸체(430a11)의 타측면 중심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3일측공급몸체(430a13)는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3일측공급몸체(430a13)의 일단부는 상기 제 2일측공급몸체(430a12)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제 2일측공급몸체(430a12)의 타측면 중심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3일측공급몸체(430a13)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는 상기 유압발생부(100)와 연결되는 제 1연결관(430a131)과 제 2연결관(430a132)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안내관(420)의 분기관(421)의 일단부와 상기 유입관(410)의 분기관(411)의 일단부에는 상기 분기관(421, 411)의 일단부 외부방향으로 수평돌출되는 환형의 안착부재(440, 450)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관(420)의 분기관(421)의 일단부와 상기 유입관(410)의 분기관(411)의 일단부에는 상기 안내관(420)의 분기관(421)의 일단부와 상기 유입관(410)의 분기관(411)의 일단부를 각각 상기 제 1일측공급몸체(430a11)의 상하단부에 연결시키는 환형의 연결부재(810, 820)가 구비될 수 있다.
하측이 개방된 상태인 환형의 상기 연결부재(810)의 상측은 상기 연결부재(810)의 내측으로 수평으로 절곡되어 환형의 상기 안착부재(440)의 상부면에 작업자에 의해 정역회전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
환형의 상기 연결부재(810)의 하측 내주면은 상기 제 1일측공급몸체(430a11)의 상단부 외주면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측이 개방된 상태인 환형의 상기 연결부재(820)의 하측은 상기 연결부재(820)의 내측으로 수평으로 절곡되어 환형의 상기 안착부재(450)의 하부면에 작업자에 의해 정역회전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
환형의 상기 연결부재(820)의 상측 내주면은 상기 제 1일측공급몸체(430a11)의 하단부 외주면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일측로드(430a2)는 상기 일측공급몸체(430a1)의 내부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일예의 상기 로드(432)처럼 상기 일측로드(430a2)는 상기 제 1연결관(430a131)을 통해 상기 일측공급몸체(430a1)의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유압발생부(100)의 오일로 인해 상기 일측공급몸체(430a1)의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교반부(300)의 몸체(310)내에 저장된 그라우팅제(8)를 흡입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일측로드(430a2)는 상기 제 2연결관(430a132)을 통해 상기 일측공급몸체(430a1)의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유압발생부(100)의 오일로 인해 상기 일측공급몸체(430a1)의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일측공급몸체(430a1)의 내부로 유입된 그라우팅제(8)를 상기 안내관(420) 내부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 일측로드(430a2)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 2일측공급몸체(430a12)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일측로드(430a2)를 따라 좌우이동하는 제 1좌우이동판(430a21)이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로드(430a2)의 중심부에는 상기 제 3일측공급몸체(430a13)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일측로드(430a2)를 따라 좌우이동하는 제 2좌우이동판(430a22)이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상하이동볼(430a3)은 상기 안내관(420)의 분기관(421)의 내부 일측과 상기 유입관(410)의 분기관(411)의 내부 일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각각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일측상하이동볼(430a3)은 제 1일측상하이동볼(430a31)과 제 2일측상하이동볼(430a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일측상하이동볼(430a31)은 상기 제 1일측공급몸체(430a11)의 상단부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안내관(420)의 분기관(421)의 내부 일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일측상하이동볼(430a31)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안내관(420)의 분기관(421)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제 1일측상하이동볼(430a31)의 상하이동을 제한하는 수평축(421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일측상하이동볼(430a32)은 상기 유입관(410)의 분기관(411)의 내부 일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안착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일측상하이동볼(430a32)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유입관(410)의 분기관(411)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제 2일측상하이동볼(430a32)의 상하이동을 제한하는 수평축(411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공급몸체(430a1)의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교반부(300)의 몸체(310)내에 저장된 그라우팅제(8)를 흡입하는 상기 일측로드(430a2)의 흡입압력에 의해 상기 제 2일측상하이동볼(430a32)은 상승하여 상기 유입관(410)의 분기관(411)의 내부 일측을 개방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제 1일측상하이동볼(430a31)은 상기 제 1일측공급몸체(430a11)의 상단부로 하강하여 상기 제 1일측공급몸체(430a11)의 상단부를 폐쇄하게 된다.
상기 교반부(300)의 몸체(310)내에 저장된 그라우팅제(8)는 상기 유입관(410)을 지나 상기 제 1일측공급몸체(430a11), 제 2일측공급몸체(430a12)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일측공급몸체(430a1)의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 1일측공급몸체(430a11), 제 2일측공급몸체(430a12)의 내부로 유입된 그라우팅제(8)를 상기 안내관(420) 내부로 배출하는 상기 일측로드(430a2)의 배출압력에 의해 상기 제 2일측상하이동볼(430a32)은 하강하여 상기 유입관(410)의 분기관(411)의 내부 일측을 폐쇄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제 1일측상하이동볼(430a31)은 상승하여 상기 제 1일측공급몸체(430a11)의 상단부를 개방하게 된다.
상기 타측공급부재(430b)는 상하측이 개방된 타측공급몸체(430b1), 타측로드(430b2) 및 타측상하이동볼(430b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공급몸체(430b1)는 제 1타측공급몸체(430b11), 제 2타측공급몸체(430b12) 및 제 3타측공급몸체(430b1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타측공급몸체(430b11)는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타측공급몸체(430b11)의 상단부에는 상기 안내관(420)의 분기관(421)의 타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타측공급몸체(430b11)의 하단부에는 상기 유입관(410)의 분기관(411)의 타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타측공급몸체(430b12)는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타측공급몸체(430b12)의 일단부는 1타측공급몸체(430b11)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제 1타측공급몸체(430b11)의 타측면 중심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3타측공급몸체(430b13)는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3타측공급몸체(430b13)의 일단부는 상기 제 2타측공급몸체(430b12)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제 2타측공급몸체(430b12)의 타측면 중심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3타측공급몸체(430b13)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는 상기 유압발생부(100)와 연결되는 제 3연결관(430b131)과 제 4연결관(430b132)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안내관(420)의 분기관(421)의 타단부와 상기 유입관(410)의 분기관(411)의 타단부에는 상기 분기관(421, 411)의 타단부 외부방향으로 수평돌출되는 환형의 안착부재(460, 470)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관(420)의 분기관(421)의 타단부와 상기 유입관(410)의 분기관(411)의 타단부에는 상기 안내관(420)의 분기관(421)의 타단부와 상기 유입관(410)의 분기관(411)의 타단부를 각각 상기 제 1타측공급몸체(430b11)의 상하단부에 연결시키는 환형의 연결부재(830, 840)가 구비될 수 있다.
하측이 개방된 상태인 환형의 상기 연결부재(830)의 상측은 상기 연결부재(830)의 내측으로 수평으로 절곡되어 환형의 상기 안착부재(460)의 상부면에 작업자에 의해 정역회전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
환형의 상기 연결부재(830)의 하측 내주면은 상기 제 1타측공급몸체(430b11)의 상단부 외주면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측이 개방된 환형의 상기 연결부재(840)의 하측은 상기 연결부재(840)의 내측으로 수평으로 절곡되어 환형의 상기 안착부재(470)의 하부면에 작업자에 의해 정역회전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
환형의 상기 연결부재(840)의 상측 내주면은 상기 제 1타측공급몸체(430b11)의 하단부 외주면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타측로드(430b2)는 상기 타측공급몸체(430b1)의 내부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일예의 상기 로드(432)처럼 상기 타측로드(430b2)는 상기 제 3연결관(430b131)을 통해 상기 타측공급몸체(430b1)의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유압발생부(100)의 오일로 인해 상기 타측공급몸체(430b1)의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교반부(300)의 몸체(310)내에 저장된 그라우팅제(8)를 흡입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타측로드(430b2)는 상기 제 4연결관(430b132)을 통해 상기 타측공급몸체(430b1)의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유압발생부(100)의 오일로 인해 상기 타측공급몸체(430b1)의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타측공급몸체(430b1)의 내부로 유입된 그라우팅제(8)를 상기 안내관(420)의 내부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 타측로드(430b2)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 2타측공급몸체(430b12)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타측로드(430b2)를 따라 좌우이동하는 제 3좌우이동판(430b21)이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로드(430b2)의 중심부에는 상기 제 3타측공급몸체(430b13)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타측로드(430b2)를 따라 좌우이동하는 제 4좌우이동판(430b22)이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상하이동볼(430b3)은 상기 안내관(420)의 분기관(421)의 내부 타측과 상기 유입관(410)의 분기관(411)의 내부 타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각각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타측상하이동볼(430b3)은 제 1타측상하이동볼(430b31)과 제 2타측상하이동볼(430b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타측상하이동볼(430b31)은 상기 제 1타측공급몸체(430b11)의 상단부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안내관(420)의 분기관(421)의 내부 타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타측상하이동볼(430b31)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안내관(420)의 분기관(421)의 내부 타측에는 상기 제 1타측상하이동볼(430b31)의 상하이동을 제한하는 수평축(421b)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타측상하이동볼(430b32)은 상기 유입관(410)의 분기관(411)의 내부 타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안착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타측상하이동볼(430b32)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유입관(410)의 분기관(411)의 내부 타측에는 상기 제 2타측상하이동볼(430b32)의 상하이동을 제한하는 수평축(411b)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공급몸체(430b1)의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교반부(300)의 몸체(310)내에 저장된 그라우팅제(8)를 흡입하는 상기 타측로드(430b2)의 흡입압력에 의해 상기 제 2타측상하이동볼(430b32)은 상승하여 상기 유입관(410)의 분기관(411)의 내부 타측을 개방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제 1타측상하이동볼(430b31)은 상기 제 1타측공급몸체(430b11)의 상단부로 하강하여 상기 제 1타측공급몸체(430b11)의 상단부를 폐쇄하게 된다.
상기 교반부(30)의 몸체(310)내에 저장된 그라우팅제(8)는 상기 유입관(410)을 지나 상기 제 1타측공급몸체(430b11), 제 2타측공급몸체(430b12)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타측공급몸체(430b1)의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 1타측공급몸체(430b11), 제 2타측공급몸체(430b12)의 내부로 유입된 그라우팅제(8)를 상기 안내관(420) 내부로 배출하는 상기 타측로드(430b2)의 배출압력에 의해 상기 제 2타측상하이동볼(430b32)은 하강하여 상기 유입관(410)의 분기관(411)의 내부 타측을 폐쇄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제 1타측상하이동볼(430b31)은 상승하여 상기 제 1타측공급몸체(430b11)의 상단부를 개방하게 된다.
한편,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로드(430a2)와 타측로드(430b2)는 리미트센서(800)의 출력신호에 따라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교대로 좌우이동할 수 있다.
상기 리미트센서(800)는 일측리미트센서(810)와 타측리미트센서(8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리미트센서(810)는 상기 일측로드(430a2)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차체프레임(80)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좌우이동하는 상기 일측로드(430a2)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타측리미트센서(820)는 상기 타측로드(430b2)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차체프레임(80)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좌우이동하는 상기 타측로드(430b2)를 감지할 수 있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타측로드(430b2)가 상기 타측공급몸체(430b1)의 우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타측리미트센서(820)와 접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타측로드(430b2)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타측공급몸체(430b1)의 좌측방향으로 이동 및 상기 일측로드(430a2)가 상기 일측공급몸체(430a1)의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유압발생부(100)를 제어하게 된다.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로드(430a2)가 상기 일측공급몸체(430a1)의 우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일측리미트센서(810)와 접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일측로드(430a2)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공급몸체(430a1)의 좌측방향으로 이동 및 상기 타측로드(430b2)가 상기 타측공급몸체(430b1)의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유압발생부(100)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리미트센서(800)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일측로드(430a2)와 타측로드(430b2)가 교대로 좌우이동하여 상기 교반부(300)의 몸체(310)내에 저장된 그라우팅제(8)를 상기 주입관(9)내로 보다 용이하게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12는 장력조절부(7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압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구동부재(도 5의 500)와 회전력전달부재(6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500)는 상기 고정대(114)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차체프레임(80)의 상부면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500)는 상기 공급릴부(10)의 회전축(110)을 정역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력전달부재(600)는 상기 구동부재(500)의 정역회전력을 상기 회전축(11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500)를 통해 상기 회전축(110)을 보다 용이하게 자동으로 정역회전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회전축(110)에 상기 주입관(9)이 보다 용이하게 자동으로 권취 및 권회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력전달부재(600)는 상측풀리(610), 하측풀리(620) 및 벨트(6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풀리(610)는 상기 공급릴부(10)의 회전축(110)의 후단부에 일체형으로 수직구비된 상기 후측판(122)의 중심부에 형성된 상기 축(122a)의 후단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측풀리(620)는 상기 구동부재(500)의 구동축(도 5의 510)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측풀리(610)의 외경크기는 상기 하측풀리(620)의 외경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벨트(630)는 상기 상측풀리(610)와 하측풀리(620)에 감겨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급롤러부(20)의 외경크기보다 상기 상측풀리(610)의 외경크기가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공급롤러부(20)의 정역회전속도는 상기 공급릴부(10)의 회전축(110)의 정역회전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된다.
특히, 상기 회전축(110)에 권취된 상기 주입관(9)은 상기 공급롤러부(20)로 인해 상기 회전축(110)에서 고속으로 권회될 수 있는데, 이때 고속으로 권회되는 상기 주입관(9)과 상기 회전축(110) 사이에 슬립현상이 발생됨으로,
상기 회전축(110)을 정역회전시키는 상기 구동부재(500)가 고속으로 권회되는 상기 주입관(9)의 권회속도의 영향을 받을 우려가 없어지게 된다.
즉, 고속으로 권회되는 상기 주입관(9)의 권회속도로 인해 상기 구동부재(500)에 과부하가 발생되어 고장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없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대(114)의 후면 타측에는 상기 벨트(630)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7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력조절부(700)는 장력조절바(710), 롤러(730) 및 유압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실린더(75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장력조절바(710)의 하단부는 상기 고정대(114)의 후면 타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롤러(730)는 상기 장력조절바(710)의 상단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750)의 일단부는 상기 장력조절바(710)의 타측면 중심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750)의 타단부는 상기 고정대(114)의 후면 타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750)의 길이가 늘어나게 되면, 상기 장력조절바(710)의 하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장력조절바(710)의 상단부에 축결합된 상기 롤러(730)는 상기 벨트(630)의 타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벨트(630)를 가압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벨트(630)가 상기 상측풀리(610)와 하측풀리(620)에 팽팽한 상태로 감겨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실린더(750)의 길이가 줄어들게 되면, 상기 장력조절바(710)의 하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장력조절바(710)의 상단부에 축결합된 상기 롤러(730)는 상기 실린더(750) 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벨트(630)의 가압상태를 해제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벨트(630)가 상기 상측풀리(610)와 하측풀리(620)에 느슨한 상태로 감겨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장력조절부(700)를 통해 상기 벨트(630)의 장력을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13은 지반(7)의 굴착공(71)내로 주입관(9)이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공급롤러부(20)의 구동롤러(210)와, 상기 구동롤러(210)로 이동가능한 상기 종동롤러(220)사이에 지반(7)에 일정깊이로 수직형성된 굴착공(71)내에 삽입될 상기 주입관(9)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롤러(210)와 종동롤러(220)가 정역회전하여 상기 주입관(9)을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굴착공(71)내로 강제공급하기 때문에 상기 굴착공(71)내로 그라우팅제(8)를 주입할 상기 주입관(9)이 상기 굴착공(71)내의 지하수 등을 포함한 유체의 부력을 이기고 보다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공급릴부, 20; 공급롤러부.

Claims (17)

  1. 지반(7)에 일정깊이로 수직형성된 굴착공(71)내로 그라우팅제(8)를 주입하는 주입관(9)이 권취되는 회전축(110)과, 상기 회전축(110)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측판(120)으로 구성되는 공급릴부(10)와;
    상기 공급릴부(10)의 하부방향에 구동부재(30)와 축결합된 상태로 구비되는 구동롤러(210)와, 상기 구동롤러(210)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공급릴부(10)의 하부방향에 구비되는 종동롤러(220)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롤러(210)와 상기 종동롤러(220)사이에 상기 굴착공(71)내로 삽입될 상기 주입관(9)이 수용되는 공급롤러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우팅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롤러(210)와 상기 종동롤러(22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우팅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릴부(10)의 하부방향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전측고정판(211)과 후측고정판(212) 사이에 상기 구동롤러(210)가 축결합되고,
    상기 전측고정판(211)의 일측과 후측고정판(212)의 일측에 각각 전측가이드바(211a)와 후측가이드바(212b)가 구비되고,
    상기 전측가이드바(211a)와 후측가이드바(212b)에 각각 상기 전측고정판(211) 및 후측고정판(212) 방향으로 이동하는 전측이동판(221) 및 후측이동판(222)이 구비되고,
    상기 전측이동판(221)과 후측이동판(222) 사이에 상기 종동롤러(220)가 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우팅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롤러(210)와 종동롤러(220)의 외주면에 각각 복수의 돌기(213, 214)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우팅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30)는 유압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우팅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가이드바(211a)의 일측과 상기 후측가이드바(212b)의 일측에 각각 너트부재(40)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우팅 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이동판(221)과 후측이동판(222)을 이동시키는 실린더(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우팅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릴부(10)와 공급롤러부(20)가 구비되는 차체프레임(80)과;
    상기 차체프레임(80)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90)과;
    상기 차체프레임(80)에 구비되는 유압발생부(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우팅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프레임(80)에 크레인부(2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우팅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부(200)는 상기 차체프레임(80)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수직지지대(201)와;
    상기 수직지지대(201)의 상단부에 후단부가 축결합되고, 전단부 상부면과 후단부 상부면에 각각 도르래(202a)가 축결합되는 수평지지대(202)와;
    상기 수평지지대(202)의 하부면 후측과 상기 수직지지대(201)의 전측면 상측에 상하단부가 각각 축결합되는 각도조절실린더(203)와;
    상기 수직지지대(201)의 후측면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수평지지대(202)의 도르래(202a)에 걸쳐지는 와이어(204a)가 권취되며, 상기 와이어(204a)의 전단부에 후크부재(204b)가 구비되는 와이어윈치(20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우팅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윈치(204)는 유압모터로 이루어지는 구동부재(250)와 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우팅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릴부(10)의 주입관(9)내로 공급될 그라우팅제(8)가 내부에 저장되는 교반부(300)와;
    상기 교반부(300)에 저장된 그라우팅제(8)를 상기 주입관(9)내로 공급하는 공급부(4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우팅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300)는 내부에 그라우팅제(8)가 저장되는 몸체(310)와;
    상기 몸체(310) 상부에 구비되는 커버(320)와;
    상기 커버(320)의 상부면에 수직구비되는 구동부재(330)와;
    상기 구동부재(330)의 구동축(331)에 축결합되어 상기 몸체(310)의 내부에 수직구비되는 회전축(340)과;
    상기 회전축(340)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수평형성되어 상기 회전축(340)을 따라 회전하는 회전날개(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우팅 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400)는 상기 교반부(300)에 저장된 그라우팅제(8)가 유입되는 유입관(410)과;
    상기 유입관(410)내로 유입된 그라우팅제(8)를 상기 주입관(9)내로 안내하는 안내관(420)과;
    상기 유입관(410)과 상기 안내관(4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관(410)내로 유입된 그라우팅제(8)를 상기 안내관(420)내로 공급하는 공급부재(430);로 구성되고,
    상기 공급부재(430)는 상단부에 상기 안내관(420)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하단부에 상기 유입관(410)의 타단부가 연결되는 상하측이 개방된 공급몸체(431)와;
    상기 공급몸체(431)의 내부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로드(432)와;
    상기 안내관(420)의 내부 일측과 상기 유입관(410)의 내부 타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각각 수용되는 상하이동볼(4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우팅 장치.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400)는 상기 교반부(300)에 저장된 그라우팅제(8)가 유입되고, 타측에 분기관(411)이 연결되는 유입관(410)과;
    상기 유입관(410)내로 유입된 그라우팅제(8)를 상기 주입관(9)내로 안내하고, 일측에 분기관(421)이 연결되는 안내관(420)과;
    상기 유입관(410)의 분기관(411)의 일측과 상기 안내관(420)의 분기관(421)의 일측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관(410)내로 유입된 그라우팅제(8)를 상기 안내관(420)내로 공급하는 일측공급부재(430a)와, 상기 유입관(410)의 분기관(411)의 타측과 상기 안내관(420)의 분기관(421)의 타측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관(410)내로 유입된 그라우팅제(8)를 상기 안내관(420)내로 공급하는 타측공급부재(430b);로 구성되는 공급부재(430);로 구성되고,
    상기 일측공급부재(430a)는 상단부에 상기 안내관(420)의 분기관(421)의 일측이 연결되고, 하단부에 상기 유입관(410)의 분기관(411)의 일측이 연결되는 상하측이 개방된 일측공급몸체(430a1)와;
    상기 일측공급몸체(430a1)의 내부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일측로드(430a2)와;
    상기 안내관(420)의 분기관(421)의 내부 일측과 상기 유입관(410)의 분기관(411)의 내부 일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각각 수용되는 일측상하이동볼(430a3);로 구성되고,
    상기 타측공급부재(430b)는 상단부에 상기 안내관(420)의 분기관(421)의 타측이 연결되고, 하단부에 상기 유입관(410)의 분기관(411)의 타측이 연결되는 상하측이 개방된 타측공급몸체(430b1)와;
    상기 타측공급몸체(430b1)의 내부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타측로드(430b2)와;
    상기 안내관(420)의 분기관(421)의 내부 타측과 상기 유입관(410)의 분기관(411)의 내부 타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각각 수용되는 타측상하이동볼(430b3);로 구성되며, 상기 일측로드(430a2)와 타측로드(430b2)는 교대로 좌우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우팅 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릴부(10)의 회전축(11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재(500)와;
    상기 구동부재(500)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110)으로 전달하는 회전력전달부재(6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우팅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전달부재(600)는 상기 공급릴부(10)의 회전축(110)과 축결합되는 상측풀리(610)와;
    상기 구동부재(500)와 축결합되는 하측풀리(620)와;
    상기 상측풀리(610)와 하측풀리(620)에 감겨지는 벨트(630);로 구성되고,
    상기 벨트(630)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7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우팅 장치.
KR1020110035478A 2011-04-18 2011-04-18 그라우팅 장치 KR101310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478A KR101310474B1 (ko) 2011-04-18 2011-04-18 그라우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478A KR101310474B1 (ko) 2011-04-18 2011-04-18 그라우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103A KR20120118103A (ko) 2012-10-26
KR101310474B1 true KR101310474B1 (ko) 2013-09-24

Family

ID=47285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5478A KR101310474B1 (ko) 2011-04-18 2011-04-18 그라우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04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30834A (zh) * 2017-11-28 2018-04-20 黄河科技学院 建筑水泥废物破碎清理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961B1 (ko) * 2014-06-25 2016-08-05 김순길 그라우팅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4330Y2 (ja) * 1993-07-19 1997-11-17 博 小野寺 直線移動案内装置
JP3348934B2 (ja) * 1993-10-28 2002-11-20 日本基礎技術株式会社 可撓性注入管を用いたグラウト注入装置
JP4205813B2 (ja) * 1999-06-28 2009-01-07 日本車輌製造株式会社 杭打機のガイドローラ支持フレーム取付構造
KR100890276B1 (ko) 2008-04-23 2009-03-24 김성일 지반천공 및 보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4330Y2 (ja) * 1993-07-19 1997-11-17 博 小野寺 直線移動案内装置
JP3348934B2 (ja) * 1993-10-28 2002-11-20 日本基礎技術株式会社 可撓性注入管を用いたグラウト注入装置
JP4205813B2 (ja) * 1999-06-28 2009-01-07 日本車輌製造株式会社 杭打機のガイドローラ支持フレーム取付構造
KR100890276B1 (ko) 2008-04-23 2009-03-24 김성일 지반천공 및 보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30834A (zh) * 2017-11-28 2018-04-20 黄河科技学院 建筑水泥废物破碎清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103A (ko) 2012-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89151B (zh) 用于形成孔的水下钻探装置以及方法
CN211258498U (zh) 一种新型的石油开采用钻孔设备
CN203622660U (zh) 混凝土拌合楼站落料装车装置
KR101310474B1 (ko) 그라우팅 장치
CN201620755U (zh) 正反循环钻机
RU74949U1 (ru) Портативная буровая установка
KR102063419B1 (ko) 태양광 구조물 설치용 스파이럴 지주대 시공 장비
CN116965304B (zh) 一种连续种植装置
CN103548748A (zh) 浮船式动力旋转撒料器
KR101337169B1 (ko) 지열관 및 그라우팅 시공장치
KR101314032B1 (ko) 지열관 삽입장치
CN2397250Y (zh) 高效除尘系列轻便液压钻机
CN113455455B (zh) 一种池塘氧气监测维护设备
CN210196143U (zh) 一种新型泥浆泵冷却润滑装置
CN112403760A (zh) 一种高通过性菌剂喷施装置
CN2578509Y (zh) 射流掘孔机
CN210206527U (zh) 石油钻井液搅拌装置
CN217466289U (zh) 一种可吸附泥浆自动式取芯机
CN106761384B (zh) 钻井系统
KR101077827B1 (ko) 콘크리트 노면 칩핑용 차량
CN206409741U (zh) 一种砼承插口管顶进施工用排管安装装置
CN213792411U (zh) 一种高通过性菌剂喷施装置
CN104328815A (zh) 一种地下连续墙导墙槽自动挖掘机
CN220924451U (zh) 一种坝内深水施工输送设备
CN221208476U (zh) 充气搅拌式浮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