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0321B1 - 하수관거 악취제거시스템 - Google Patents
하수관거 악취제거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10321B1 KR101310321B1 KR20130019288A KR20130019288A KR101310321B1 KR 101310321 B1 KR101310321 B1 KR 101310321B1 KR 20130019288 A KR20130019288 A KR 20130019288A KR 20130019288 A KR20130019288 A KR 20130019288A KR 101310321 B1 KR101310321 B1 KR 1013103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wage
- pipe
- collection tank
- tank body
- intermediate colle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하수관거 악취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하수가 포집되어 정화되는 복수개의 하수중간집수조와; 상기 복수개의 하수중간집수조를 서로 연결하는 하수중간집수조연결부를 포함하며, 하수유입구가 구비되며 내부에 하수가 포집되는 하수중간집수조본체와; 상기 하수중간집수조본체 내부의 하수를 흡입하여 이웃하는 하수중간집수조로 공급되도록 하는 하수배출펌프와; 상기 하수중간집수조본체의 수중에 배치되며 생분해성 미생물 담체가 수용되는 미생물 담체통과; 상기 하수중간집수조의 바닥 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수중간집수조의 바닥으로 산소를 공급함과 동시에 하수를 교반하는 폭기교반부를 포함하며, 상기 폭기교반부는, 상기 하수중간집수조의 하부에 위치한 하수를 흡입하는 교반펌프와; 상기 교반펌프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하수관 내부의 협잡물이 상기 교반펌프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케이싱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은, 상기 교반펌프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싱본체와; 상기 케이싱본체의 상면을 커버하는 상부커버와; 상기 케이싱본체의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위치에 관통형성되어 하수를 내부로 유입시키는 복수개의 하수유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수관거 악취제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히는 하수중간집수조(Sewage Pump Station) 의 침전물의 퇴적 및 하수의 혐기적 부패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고 최소화하기 위하여, 하수에 미세기포를 혼합시켜 교반시키는 장치로 용존산소를 공급하고 생분해성 미생물 담체를 투입하여 악취성분을 분해하는 하수관거 악취제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하수관거(Sewage network)는 복수개의 하수중간집수조(Sewage Pu138p Station)가 하수관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각 하수중간집수조에 집수된 하수를 하수 처리장(Sewage Treatment Plant) 또는 재활용 처리장 또는 하천으로 방류하게 된다. 이 때, 빗물을 비롯한 가정이나 건물에서 발생되는 하수는 하수관 내에 집수된다.
하수중간집수조의 하수에는 미생물이 존재하는데, 기온조건이 적당하면 하수내의 미생물은 왕성히 증식하여 개체수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하수에 존재하는 용존산소가 빠르게 고갈되어 하수는 산소가 없는 혐기성 상태가 된다. 이후에는 혐기성 미생물에 의해 하수와 침전물은 부패과정을 거치게 되면서 암모니아(NH4), 황화수소(H2S), 머르캅탄(mercaptan),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등의 악취성분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악취성분은 하수관거(Sewage Network) 외부로 확산되어 하수관 주변의 사람들에게 심미적으로나 건강상으로 피해를 주게 된다. 또한, 부패된 하수는 다음 하수중간집수조와 하수관들을 거치면서 부패로 인한 악취를 지속적으로 발생시키며 최종적으로는 하수처리장의 집수조 또는 균등조 등에서 악취를 발생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이에 따라 하수관거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1049547호에는 "회전노즐을 이용한 하수관 악취저감 준설공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는 회전노즐을 이용하여 하수관 내부의 물과 퇴적물을 흡입하여 준설물로 배출하여 악취를 저감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개시된 악취저감 방법은 외부에서 준설시설을 투입하여야 하므로 비용과 시간이 추가적으로 투입되므로 사용의 한계가 있으며, 악취의 원인을 일시적으로만 제거하여 효과가 지속적이지 못하므로 악취저감의 효율이 떨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수를 호기적 조건을 유지하고 침전물이 쌓이지 않게 하여 혐기적 부패와 이로 인한 악취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하수관거 악취제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수 내부에 생분해성 미생물 담체를 투입하여 하수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생물학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하수관거 악취제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폭기교반부 내부로 협잡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하수관거 악취제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수관거 악취제거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수관거 악취제거시스템은, 하수가 포집되어 정화되는 복수개의 하수중간집수조와; 상기 복수개의 하수중간집수조를 서로 연결하는 하수중간집수조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 하수중간집수조는, 하수유입구가 구비되며 내부에 하수가 포집되는 하수중간집수조본체와; 상기 하수중간집수조본체 내부의 하수를 흡입하여 이웃하는 하수중간집수조로 공급되도록 하는 하수배출펌프와; 상기 하수중간집수조본체의 수중에 배치되며 생분해성 미생물 담체가 수용되는 미생물 담체통과; 상기 하수중간집수조의 바닥 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수중간집수조의 바닥으로 산소를 공급함과 동시에 하수를 교반하는 폭기교반부를 포함하며, 상기 폭기교반부는, 상기 하수중간집수조의 하부에 위치한 하수를 흡입하는 교반펌프와; 상기 교반펌프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하수관 내부의 협잡물과 퇴적물이 상기 교반펌프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케이싱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은, 상기 교반펌프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싱본체와; 상기 케이싱본체의 상면을 커버하는 상부커버와; 상기 케이싱본체의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위치에 관통형성되어 하수를 내부로 유입시키는 복수개의 하수유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폭기교반부는, 상기 교반펌프를 지지하며 하수가 유입되는 하수흡입구가 하부에 형성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교반펌프와 연결되며 흡입된 하수를 상기 하수중간집수조 내부로 일정 압력으로 분사하여 상시 하수중간집수조 내의 하수가 교반되도록 하는 분사관과; 상기 교반펌프와 상기 분사관 사이에 배치되며, 하수중간집수조 외부에서 호스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하수에 혼합되도록 하는 혼합관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수유입구는 상기 하수중간집수조 내부에 퇴적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바닥으로부터 10cm 이상 높게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혼합관의 외측에는 외부의 공기를 벤츄리효과에 의해 상기 혼합관 내부로 유입시키는 공기유입관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 악취제거 시스템은 하수중간집수조 내부에 생분해성 미생물 담체통과 폭기교반조를 함께 구비하여 악취발생 원인을 근본적으로 제거하여 악취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폭기교반조를 케이싱 내부에 수용하여 교반펌프 측으로 침전물이 유입되어 오작동 및 고장이 발생되는 것을 차단하여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 악취제거시스템의 하수중간집수조의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 악취제거시스템의 하수중간집수조의 단면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 악취제거시스템의 폭기교반부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 악취제거시스템의 생분해성 미생물 담체통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 악취제거시스템의 악취제거효율을 종래와 비교하여 도시한 실험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 악취제거시스템의 하수중간집수조의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 악취제거시스템의 하수중간집수조의 단면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 악취제거시스템의 폭기교반부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 악취제거시스템의 생분해성 미생물 담체통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 악취제거시스템의 악취제거효율을 종래와 비교하여 도시한 실험결과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 악취제거시스템(1)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관거는 하수가 유입되는 복수개의 하수중간집수조(100,200,300,400)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복수개의 하수중간집수조(100,200,300,400)는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상으로 배치되거나, 방사상으로 배치되거나, 직선과 원형 등이 복합된 복잡한 형태를 이룰 수도 있다. 하수중간집수조(Pumping Station)는 하수관거(Sewage Network) 내부에 배치된다. 복수개의 하수중간집수조(100,200,300,400) 중 선단에 위치한 하수중간집수조(100)에는 하수유입로(121)가 형성되고, 후단에 위치한 하수중간집수조(400)에는 외부배출관(115)이 형성된다.
하수중간집수조는 각각 하수유입로(121)가 형성되고, 이웃하는 하수중간집수조로부터 하수를 유입받을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선단의 하수중간집수조(100)의 하수는 하수배출펌프(120)에 의해 상부연결조(111)로 공급되고, 연결경사관(113)을 따라 이웃하는 하수중간집수조(200)의 하부로 공급되게 된다. 이러한 공급구조를 통해 선단의 하수중간집수조(100)에서 하수처리조(미도시)와 인접한 후단의 하수중간집수조(200)로 하수가 이동되게 된다.
각각의 하수중간집수조(100,200,300,400)의 구조는 동일하므로 선단에 배치된 한 개의 하수중간집수조(100)의 구조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하수중간집수조(1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하수중간집수조(100)는 하수가 유입되는 하수중간집수조본체(110)와, 하수중간집수조본체(110)의 하수를 이웃하는 하수중간집수조(200)로 공급하는 하수배출펌프(120)와, 하수중간집수조본체(110)의 바닥에 배치되며 내부에 미생물고정화담체(138)가 수용되는 생분해성 미생물 담체통(130)와, 하수에 공기를 공급하며 하수를 교반하는 폭기교반부(140)와, 하수의 유입과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중간집수조본체(110)는 하수가 유입되어 수용된다. 하수중간집수조본체(110)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의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하수중간집수조본체(110)의 일측벽에는 이웃하는 하수중간집수조(200)로 하수를 공급하기 위한 상부연결조(111)와 연결경사관(113)이 결합된다. 상부연결조(111)는 하수배출펌프(120)에 의해 하수중간집수조본체(110)로부터 흡입된 하수가 대기된다. 연결경사관(113)은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 하수중간집수조(100,200)를 서로 연결한다. 연결경사관(113)은 공급측 하수중간집수조(100)의 상부연결조(111)와 유입측 하수관(200)의 하부를 연결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연결경사관(113)의 하수는 중력에 의해 관로를 따라 이웃하게 배치된 하수중간집수조(200)로 흘러가게 된다.
하수배출펌프(120)는 하수중간집수조(100) 내부 바닥에 위치하여 하수를 흡입하여 상부연결조(111)로 공급한다. 하수배출펌프(120)는 배출관(123)에 의해 연결되고, 배출관(123)은 하수중간집수조(100)의 하수배출펌프(120)로부터 상부연결조(111)로 연장형성된다. 하수중간집수조본체(110)의 중간에는 외부로부터 하수가 유입되는 하수유입로(121)가 형성되어 하수가 하수중간집수조(100)로 유입되게 한다.
이 때, 하수중간집수조본체(110)의 벽면에는 하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1센서(125)와 제2센서(127)가 구비된다. 제1센서(125)는 하수의 배출이 시작되는 최고높이(h2)를 감지하고, 제2센서(127)는 하수의 배출이 정지되는 최저높이(h1)를 감지한다. 제1센서(125)와 제2센서(127)는 각각 감지결과를 제어부(150)로 전송한다.
제1센서(125)에 의해 수위가 최고높이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50)는 하수배출펌프(120)에 구동신호를 인가하고, 하수배출펌프(120)의 구동에 의해 하수가 이웃하는 하수중간집수조(200)로 배출되어 하수의 수위가 최저높이(h1)에 다다르게 되면 제2센서(127)의 감지에 따라 제어부(150)는 하수배출펌프(120)로 정지신호를 인가한다. 따라서 하수중간집수조(100)내에는 하수의 수위가 항상 최저높이(h1)이상으로 유지되며 용존산소가 부족하게 되면 하수와 퇴적물이 부패하여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
생분해성 미생물 담체통(130)은 하수중간집수조(100)의 수중에 배치되며 내부에 생분해성 미생물 담체(138)을 수용한다. 생분해성 미생물 담체(138) 내의 미생물은 광합성미생물, 이외 수질 또는 악취제어가 가능한 타 미생물 그리고 광합성미생물과 타 미생물의 혼합미생물로 구성된다. 생분해성 미생물 담체(138) 내의 미생물은 하수의 악취성분과 유기물을 생물학적으로 분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합성미생물은 생분해성 미생물 담체(138)에 포집되어 생분해성 미생물 담체통(130)에 담긴 상태로 하수중간집수조(100)에 투입되는데, 5.0 × 109 cfu/mL 농도로 처리 대상 하수 1톤당 10~100cc(또는 10~100g)가 되게끔 투입된다.
생분해성 미생물 담체(138)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형태의 것이라면,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한데, 생분해되어야 하며, 이로 인한 2차 오염이 없는 카라지난, 펙틴, 구아검, 알지네이트 등이 사용되며, 일 예로는 다공질의 알지네이트 담체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광합성 미생물을 생분해성 미생물 담체(138)에 포집시켜 투입하는데, 광합성미생물은 하수중간집수조(100)내의 악취성분과 유기물을 분해하는 역할도 하지만 하수처리장까지 흘러가서 하수 처리장의 유기물처리 안정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다. 광합성 미생물을 담은 생분해성 미생물 담체통(130)은 하수중간집수조(100)의 하수 수중에 잠기게 설치한다.
생분해성 미생물 담체통(130)의 표면에는 복수의 미세기공이 형성되고, 생분해성 미생물 담체(138) 내에 있는 광합성미생물은 서서히 미생물 담체(138)에서 빠져나와 하수중으로 확산되어 악취성분 분해활동을 하게 된다. 이로써 하수중간집수조(100) 내에서 하수의 수리학적 체류시간이 짧아서 미생물이 계속 다음 하수중간집수조(200)로 빠져 나가는 경우에도 생분해성 미생물 담체통(130)으로부터 광합성미생물이 지속적으로 빠져나와 분해 활동하기 때문에 하수중간집수조(100) 내부 하수에 광합성미생물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광합성 미생물이 포집된 생분해성 미생물 담체는 1주일 내지 2주일의 주기로 보충하여 준다.
도 5는 생분해성 미생물 담체통(13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생분해성 미생물 담체통(130)은 개폐접힘부(131)와, 연결고리(132)와, 고정줄(133)이 상부에 구비된다. 연결고리(132)와 고정줄(133)에 의해 생분해성 미생물 담체통(130)은 하수중간집수조(100)에 위치가 고정되고, 관리자가 고정줄(133)을 당겨 생분해성 미생물 담체통(130)을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폭기교반부(140)는 하수(A)에 공기를 공급하여 하수중간집수조(100)를 호기성 조건으로 유지시키고, 하수(A)를 교반하여 하수중간집수조(100)의 바닥에 침전물(B)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는 폭기교반부(14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폭기교반부(140)는 하수를 흡입하는 교반펌프(141)와, 교반펌프(141)에 연결되어 하수에 공기를 공급하는 혼합관(144)과, 혼합관(144)의 단부에 연결되어 하수를 하수중간집수조(100) 내부로 분사하는 분사관(145)과, 교반펌프(141)를 지지하며 하수를 흡입하는 지지프레임(143)과, 지지프레임(143)을 내부에 수용하여 침전물이 교반펌프(141)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케이싱(146)을 포함한다.
교반펌프(141)는 하수를 흡입하여 일정 압력으로 분사관(145)을 통해 분사되도록 한다. 지지프레임(143)은 교반펌프(141)의 하부에 결합되어 케이싱(146) 내부로 유입된 하수를 교반펌프(141) 내부로 흡입시킨다. 지지프레임(143)의 하부에는 하수가 흡입되는 하수흡입구(143a)가 일정 크기로 형성된다.
혼합관(144)은 교반펌프(141)의 일측에 일정길이 형성되어 하수흡입구(143a)를 통해 흡입된 하수에 공기를 혼합시켜 분사관(145)으로 공급한다. 혼합관(144)의 상면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관(144a)이 형성된다. 공기유입관(144a)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혼합관(144) 내부의 하수와 혼합된다.
공기유입관(144a)은 일정길이를 갖는 호스관의 형상으로 혼합관(144)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공기유입관(144a)는 외부의 공기가 벤츄리효과에 의해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분사관(145)은 혼합관(144)에서 공기와 혼합된 하수를 하수중간집수조(100) 내부로 다시 공급한다. 이 때, 분사관(145)은 직경이 점차 넓어지는 벤츄리의 형태로 구비된다. 분사관(145)은 하수를 일정 압력 이상으로 분사하므로 분사압력에 의해 하수중간집수조(100) 내부의 하수가 서로 교반되게 된다. 이에 따라 하수중간집수조(100) 내부의 하수가 교반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기교반부(140)는 하수중간집수조(100)의 일측에 편심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분사관(145)으로부터 분사된 하수는 하수중간집수조(100) 내부의 외측에서 일 방향을 따라 분사되며 하수에 와류가 형성되게 한다. 와류의 형성에 의해 하수의 교반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케이싱(146)은 지지프레임(143)을 내부에 수용하여 하수중간집수조(100) 내부의 협잡물 또는 부유물이 하수흡입구(143a)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에 의해 협잡물이 하수흡입구(143a)로 유입되어 교반펌프(141), 혼합관(144) 또는 분사관(145) 등이 막혀 오작동 또는 고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폭기교반부(140)를 장시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케이싱(146)은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지지프레임(143)을 수용하는 케이싱본체(147)와, 케이싱본체(147)의 개방된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커버(148)와, 케이싱본체(147)의 하부에 결합되는 지지레그(149)를 포함한다.
케이싱(146)은 지지프레임(143)과 교반펌프(141) 및 혼합관(144)을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된다. 이 때, 케이싱(146)의 판면에는 하수를 내부로 유입시키는 하수유입구(147a)가 복수개 구멍(hole)형태로 형성된다. 하수유입구(147a)을 통해 케이싱(146) 내부로 유입된 하수는 교반펌프(141)의 흡입력에 의해 지지프레임(143)의 하수흡입구(143a)를 통해 흡입되게 된다.
여기서, 하수유입구(147a)은 케이싱(146)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l)에 형성된다. 하수유입구(147a)의 형성높이(l)는 통상적으로 하수중간집수조(100) 내부에 퇴적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바닥으로부터 10cm이상 높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하수유입구(147a)을 통한 협잡물 또는 부유물의 유입을 최소화하게 된다.
또한, 하수유입구(147a)의 직경도 최소화하여 침전물이 하수유입구(147a)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다시 한 번 차단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케이싱(146)을 통해 협잡물의 교반펌프(141)로의 유입을 막아 교반펌프(141)가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 시스템(1)의 하수 처리 과정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수관거 시스템(1)은 복수개의 하수중간집수조(100)가 서로 연결되게 배치된다. 선단에 배치된 하수중간집수조(100)로 하수(A)가 유입되면 하수중간집수조(100)의 수위가 점차 높아지게 된다.
폭기교반부(140)의 교반펌프(141)는 흡입력을 하수로 작용하고, 하수가 케이싱(146)의 하수유입구(147a)를 통해 교반펌프(141) 측으로 유입된다. 하수는 혼합관(144)으로 이동되고, 공기유입관(144a)를 통해 유입된 공기와 혼합되어 분사관(145)을 통해 일정압력으로 분사된다. 분사되는 하수는 분사압력에 의해 하수중간집수조(100) 내부의 하수와 교반되고, 이 때 하수에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이에 의해 하수중간집수조(100) 내부의 하수는 호기성 조건이 유지되며 분사압력에 의해 교반된다.
또한, 하수중간집수조(100) 수중에 배치된 생분해성 미생물 담체통(130)에 수용된 생분해성 미생물 담체에서 광합성미생물이 서서히 하수 중으로 빠져나와 악취성분과 유기물을 분해한다. 이에 따라 하수중간집수조(100)의 악취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렇게 하수중간집수조(100) 내부에서 하수는 폭기교반부(140)에 의해 연속하여 교반되므로 퇴적되는 것이 방지된다.
하수중간집수조(100) 내부의 수위가 점차 높아지게 되고, 기준 높이를 초과하게 되면 제1센서(125)의 감지에 의해 하수배출펌프(120)가 동작하여 하수를 이웃하는 하수중간집수조(200) 측으로 공급하게 된다. 하수의 배출에 의해 하수중간집수조(100) 내부의 수위가 낮아지고 제2센서(127)가 감지하면 하수배출펌프(120)의 동작이 정지하게 된다.
여기서, 도 6는 종래 하수관거(Sewage Network)의 악취분석결과이고, 도 7은 하수관거에 폭기교반부(140)만 적용한 경우의 악취분석결과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폭기교반부(140)만 적용한 경우 종래와 비교할 때 TVOC의 경우, 약 50%의 제거율을 보이고, H2S의 경우 약 90%의 제거율을 보였으나, NH3의 제거에는 큰 효과가 없었다.
도 8은 생분해성 미생물 담체통(130)과 폭기교반부(140)를 함께 사용한 본 발명의 하수관거 악취제거시스템을 적용한 악취분석결과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 악취제거시스템을 적용한 경우 TVOC의 경우 약 70%의 제거율을 보이고, H2S의 경우 약 91%의 제거율을 보였으며 NH3의 제거에도 52%의 큰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 악취제거시스템은 하수중간집수조 내부에 생분해성 미생물 담체통와 폭기교반부를 함께 구비하여 악취발생 원인을 근본적으로 제거하여 악취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폭기교반부를 케이싱 내부에 수용하여 교반펌프 측으로 침전물이 유입되어 오작동 및 고장이 발생되는 것을 차단하여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하수관거 악취제거시스템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하수관거 악취제거시스템 100,200,300,400 : 하수중간집수조
110 : 하수중간집수조본체 111 : 상부연결조
112 : 하수처리장 유입로 113 : 연결경사관
120 : 하수배출펌프 121 : 하수유입로
123 : 배출관 125 : 제1센서
127 : 제2센서 130 : 미생물 담체통
131 : 개폐접힘부 132 : 연결고리
133 : 고정줄 140 : 폭기교반부
141 : 교반펌프 143 : 지지프레임
143a : 하수흡입구 144 : 혼합관
144a : 공기유입관 145 : 분사관
146 : 케이싱 147 : 케이싱본체
147a : 하수유입구 148 : 상부커버
148a : 펌프노출공 148b : 혼합관노출공
149 : 지지레그 150 : 제어부
110 : 하수중간집수조본체 111 : 상부연결조
112 : 하수처리장 유입로 113 : 연결경사관
120 : 하수배출펌프 121 : 하수유입로
123 : 배출관 125 : 제1센서
127 : 제2센서 130 : 미생물 담체통
131 : 개폐접힘부 132 : 연결고리
133 : 고정줄 140 : 폭기교반부
141 : 교반펌프 143 : 지지프레임
143a : 하수흡입구 144 : 혼합관
144a : 공기유입관 145 : 분사관
146 : 케이싱 147 : 케이싱본체
147a : 하수유입구 148 : 상부커버
148a : 펌프노출공 148b : 혼합관노출공
149 : 지지레그 150 : 제어부
Claims (4)
- 하수가 포집되어 정화되는 복수개의 하수중간집수조와;
상기 복수개의 하수중간집수조를 서로 연결하는 하수중간집수조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 하수중간집수조는,
하수유입구가 구비되며 내부에 하수가 포집되는 하수중간집수조본체와;
상기 하수중간집수조본체 내부의 하수를 흡입하여 이웃하는 하수중간집수조로 공급되도록 하는 하수배출펌프와;
상기 하수중간집수조본체의 수중에 배치되며, 하수의 악취성분과 유기물을 생물학적으로 분해하는 미생물이 포집된 생분해성 미생물 담체가 수용되는 미생물 담체통과;
상기 하수중간집수조본체의 바닥 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수중간집수조본체의 바닥으로 산소를 공급함과 동시에 하수를 교반하여, 하수의 호기성 조건을 유지시키며 침적물의 퇴적을 방지하는 폭기교반부를 포함하며,
상기 폭기교반부는,
상기 하수중간집수조본체의 하부에 위치한 하수를 흡입하는 교반펌프와;
상기 교반펌프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하수중간집수조본체 내부의 협잡물이 상기 교반펌프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케이싱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은,
상기 교반펌프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싱본체와;
상기 케이싱본체의 상면을 커버하는 상부커버와;
상기 케이싱본체의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위치에 관통형성되어 하수를 내부로 유입시키는 복수개의 하수유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거 악취제거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폭기교반부는,
상기 교반펌프를 지지하며 하수가 유입되는 하수흡입구가 하부에 형성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교반펌프와 연결되며 흡입된 하수를 상기 하수중간집수조본체 내부로 일정 압력으로 분사하여 상시 하수중간집수조본체 내의 하수가 교반되도록 하는 분사관과;
상기 교반펌프와 상기 분사관 사이에 배치되며, 하수에 공기가 혼합되도록 하는 혼합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거 악취제거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유입구는 상기 하수중간집수조본체 내부의 협잡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바닥으로부터 10cm 이상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수관거 악취제거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관의 외측에는 외부의 공기를 벤츄리효과에 의해 상기 혼합관 내부로 유입시키는 공기유입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거 악취제거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19288A KR101310321B1 (ko) | 2013-02-22 | 2013-02-22 | 하수관거 악취제거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19288A KR101310321B1 (ko) | 2013-02-22 | 2013-02-22 | 하수관거 악취제거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10321B1 true KR101310321B1 (ko) | 2013-09-23 |
Family
ID=49456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19288A KR101310321B1 (ko) | 2013-02-22 | 2013-02-22 | 하수관거 악취제거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10321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153547A (zh) * | 2018-11-07 | 2020-05-15 | 株式会社京玉工程 | 污水处理系统 |
KR102467350B1 (ko) | 2022-05-02 | 2022-11-16 | 한국환경공단 | 하수관거공사 관리 시스템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16951B1 (ko) | 2003-05-27 | 2005-09-27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건축물 우수배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
KR100623432B1 (ko) | 2005-01-25 | 2006-09-19 | 윤인수 | 호수 또는 저수지의 수질보전 및 개선방법과 그 장치 |
KR100950100B1 (ko) | 2009-06-30 | 2010-03-29 |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 하수관거용 악취 저감시스템 |
KR100972448B1 (ko) | 2010-01-07 | 2010-07-27 | 주식회사 유니에코 | 우수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우수 재사용 시스템 |
-
2013
- 2013-02-22 KR KR20130019288A patent/KR10131032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16951B1 (ko) | 2003-05-27 | 2005-09-27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건축물 우수배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
KR100623432B1 (ko) | 2005-01-25 | 2006-09-19 | 윤인수 | 호수 또는 저수지의 수질보전 및 개선방법과 그 장치 |
KR100950100B1 (ko) | 2009-06-30 | 2010-03-29 |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 하수관거용 악취 저감시스템 |
KR100972448B1 (ko) | 2010-01-07 | 2010-07-27 | 주식회사 유니에코 | 우수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우수 재사용 시스템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153547A (zh) * | 2018-11-07 | 2020-05-15 | 株式会社京玉工程 | 污水处理系统 |
KR102467350B1 (ko) | 2022-05-02 | 2022-11-16 | 한국환경공단 | 하수관거공사 관리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12668B1 (ko) | 오수처리용 순산소 포기장치 | |
CN208250123U (zh) | 一种高效的农村生活污水一体化处理装置 | |
JP5296646B2 (ja) | エアーリフトポンプを有する攪拌装置 | |
KR101723584B1 (ko) | 이중 탈취구조를 갖는 약액 세정 탈취기 | |
KR101310321B1 (ko) | 하수관거 악취제거시스템 | |
KR20220141765A (ko) | 하수도 시설의 악취 저감장치 | |
CN105836970A (zh) | 一种污水处理装置 | |
CA2591648C (en) | Portable composting toilet system | |
KR100882818B1 (ko) | 폭기조 | |
CN206328210U (zh) | 可移动集装箱式一体化cmbr膜生物反应污水处理装置 | |
KR20090076658A (ko) | 해수 순환여과시스템의 수류전환막을 가진 유동상 여과조 | |
KR101262650B1 (ko) | 산기장치 및 담체 월류장치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시스템 | |
KR100937106B1 (ko) | 악취 저감 장치 | |
WO2012032602A1 (ja) | 下水道管における汚水処理システム | |
KR20220142399A (ko) | 악취제거를 위한 악취저감 시설 | |
CN106430592A (zh) | 一种射流充氧厌氧好氧一体化污水处理器及污水处理系统 | |
CN215403333U (zh) | 一种喷淋式好氧池 | |
CN213924299U (zh) | 一种水污染治理用污水净化装置 | |
CN215888542U (zh) | 一种预制泵站 | |
KR100274168B1 (ko) | 합병처리 정화장치 | |
CN215539805U (zh) | 高浓度废气生物处理装置 | |
KR100621793B1 (ko) | 오,폐수 처리효율을 향상시킨 포기조 | |
KR200187971Y1 (ko) | 고농도 하수처리용 제트 루프 리액터 | |
KR100910215B1 (ko) | 악취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밀폐형 폐수처리장치 | |
CN212476444U (zh) | 一种农村污水处理除臭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