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9590B1 - 수소가스농도 측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소가스농도 측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9590B1
KR101309590B1 KR1020110109238A KR20110109238A KR101309590B1 KR 101309590 B1 KR101309590 B1 KR 101309590B1 KR 1020110109238 A KR1020110109238 A KR 1020110109238A KR 20110109238 A KR20110109238 A KR 20110109238A KR 101309590 B1 KR101309590 B1 KR 101309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hydrogen gas
gas concentration
measurement system
concentration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9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4896A (ko
Inventor
남승훈
이석철
장훈식
김호종
Original Assignee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표준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09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9590B1/ko
Publication of KR20130044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4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9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9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1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absorption of a fluid;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reaction with a flui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the fl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1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absorption of a fluid;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reaction with a flui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the fluid
    • G01N27/125Composition of the body, e.g. the composition of its sensitive lay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5H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5/00Nanotechnology for interacting, sensing or actuating, e.g. quantum dots as markers in protein assays or molecular mo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Fluid Adsorption Or Reactio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소가스농도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수소가스농도 측정 장치, 노이즈제거필터 및 수소가스농도 산출 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수소가스농도 측정 장치로부터 얻어지는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여 정확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수소가스농도 측정 장치는 탄소나노튜브 시트를 이용하여 가공성이 용이하고 효율성이 높으며 경량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가스농도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소가스농도 측정 시스템{Hydrogen gas concentration measurement system}
본 발명은 수소가스농도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수소가스농도 측정 장치, 노이즈제거필터 및 수소가스농도 산출 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수소가스농도 측정 장치로부터 얻어지는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여 정확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수소가스농도 측정 장치의 신호측정부는 탄소나노튜브 시트를 이용하여 소재 자체의 고비표면적의 특성으로 인하여 효율성이 높으며 장치 자체가 경량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가스농도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소 에너지의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으며,이러한 노력의 결실로 수소 에너지를 이용한 다양한 기술들이 시도 되고 있다.
수소의 가장 큰 장점은 연소 시 극소량의 질소산화물만을 발생할 뿐 다른 공해물질이 생기지 않는 청정에너지라는 점이다. 또한, 수소를 직접 연소시켜 에너지를 얻을 수 있으며, 연료전지 등의 연료로서도 사용이 간편하다. 또한, 수소는 이론상 지구상에 존재하는 거의 무한한 양의 물을 원료로 만들어낼 수 있으며, 사용 후에는 다시 물로 재순환되기 때문에 고갈될 걱정이 없는 무한 에너지원이다. 수소는 산업용의 기초 소재로부터 일반 연료, 수소자동차, 수소 비행기, 연료전지 등 현재의 에너지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거의 모든 분야에 이용될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수소는 미세한 농도로 대기 중에 노출되어도 쉽게 폭발하는 특성이 있어, 수소를 에너지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안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안전기술이 개발되어야 한다. 따라서, 수소가스의 누출을 감지할 수 있는 수소가스농도 측정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도 수소누출을 감지하는 다양한 방법이 개시되었으며, 백금, 팔라듐과 같은 금속에 수소가 흡착되어 금속의 전기전도도가 변화는 것을 이용한 전기적 방법, 산화물 반도체형과 가스 금속 산화막 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등을 이용한 전기화학적인 방법, 빛을 이용하여 수소 누출을 감지하는 광학적인 방법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전기적인 방법은 전기 방전에 의한 수소의 폭발과 높은 가격, 소형화가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전기화학적 방법은 센서의 오염과 절연체 내의 이온 드리프트현상으로 인하여 안정된 신호를 얻을 수 없으며 측정기의 규모가 크고 측정상의 불편함 및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010421호 (수소센서, 수소센서의 제작방법 및 그를 이용한 수소 농도 측정 장치, 이하 선행기술 1)에는 평판형 광도파로를 이용하여 누출되는 수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수소 센서에 있어서, 서브 마운트 기판 상부에 하부 클래드와 노출된 코어를 포함하는 평판형 광도파로 및 상기 노출된 코어를 감싸며 상기 하부 클래드의 상부에 적층되고, 수소와 반응하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금속박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센서와 상기 수소센서의 제작방법 및 상기 수소센서를 이용한 수소 농도 측정 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선행기술 1은 광학적 방법의 일종으로 광학적 방법들은 제작 과정이 복잡하고 어려우며, 특히 광섬유를 가늘게 가공하거나 에칭 및 연마한 경우 센서부가 외부 충격에 매우 취약하며 분해능 및 반응성이 낮은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가공성이 용이하고 효율성이 높고 경량화 된 수소가스농도 측정 장치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편, 상기 수소가스농도 측정 장치는 센서의 측정을 통해 신호를 얻는 방식으로 수소가스의 농도가 측정되는 것이므로, 전기적인 출력 신호에 포함된 원하지 않는 신호인 노이즈가 발생하게 된다. 센서의 출력 신호에 노이즈가 섞이게 되면 정확한 센서의 출력을 검출하기 힘들다.
센서 출력 신호에 가장 크게 작용하는 노이즈는 보통 전원에 의한 노이즈이다. 이와 같은 전원에 의한 노이즈는 주기성을 가진다. 전원 케이블 및 패턴이 신호 센서 라인에 근접해 있는 경우 전원에 의한 노이즈가 센서 신호에 섞이게 된다. 그 결과 주기적인 형태를 갖는 교류 전원 신호가 보통은 직류인 센서 신호에 유도되어 센서 출력 신호는 노이즈 때문에 유발된 교류성분을 포함하는 직류 신호의 형태로 나타난다.
또한, 전원 케이블에 연결된 스위치, 릴레이 등의 스위칭 소자 및 RF 기기에 의한 비 주기적인 고주파의 스위칭 노이즈가 전원 라인을 통해 유도되어 임펄스 형태의 고주파 노이즈로 나타나기도 한다.
종래에는 센서 출력 라인에 전원 라인이 근접해 있는 경우 전원 노이즈가 센서 출력 신호에 유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연 필터 및 대용량 커패시턴스 값을 갖는 커패시터(Capacitor)를 사용하여 노이즈에 의한 변화를 일정 시간 동인 지연시킨 후에 인식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지연 필터 및 대용량의 콘덴서를 사용할 경우 즉각적인 센서 신호를 인식할 수 없으며, 연속적인 전원 노이즈인 경우에는 제거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방식으로는 전원 스위칭 등에 의한 고주파 신호는 제거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센서 출력과 같은 전기적인 신호에 포함되는 주기적인 전원 노이즈와 비주기적인 고주파 신호로 인한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는 노이즈 제거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따라서, 가공성이 용이하고 효율성이 높고 경량화 된 수소가스농도 측정 장치 뿐 아니라, 상기 수소가스농도 측정 장치로부터 얻어지는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여 정확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수소가스농도 측정 시스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010421호 (공개일자 2011.02.0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탄소나노튜브 시트를 이용하여 가공성이 용이하고 효율성이 높으며 경량화 된 수소가스농도의 측정 장치 뿐 아니라, 상기 수소가스농도 측정 장치로부터 얻어지는 아날로그 출력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여 정확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수소가스농도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인 수소가스농도 측정 시스템(1000)은 탄소나노튜브 시트(111)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측정부(110) 및 상기 신호측정부(110)에서 측정된 신호를 수집하는 신호수집부(120)를 포함하는 수소가스농도 측정장치(100); 와, 상기 수소가스농도 측정장치(10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일정 대역의 주파수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노이즈제거필터(200); 와, 상기 노이즈제거필터(200) 에서 필터링 된 상기 신호를 전송받는 신호수신부(310)와, 상기 신호수신부(310)에서 수신된 상기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부(320) 및 상기 신호변환부(320)에서 변환된 상기 신호들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신호산출부(330)를 포함하는 수소가스농도 산출 장치(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호측정부(110)는 상기 탄소나노튜브 시트(111)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전극(114) 및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전극(1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소가스농도 측정장치(10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신호측정부(110)가 고정되는 지지판(1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호수집부(120)는 상기 신호측정부(110)에서 측정된 상기 신호를 수집하는 정류부(121)와, 상기 정류부(121)로 수집된 상기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부(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소가스농도 측정 시스템(1000)에서 상기 증폭부(122)는 직류연결형 증폭기인 연산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노이즈제거필터(200)는 저역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소가스농도 측정 시스템(1000)은 상기 신호산출부(330)에서 산출된 상기 신호들의 평균값이 표출되는 표출수단(4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수소가스농도 측정시스템은 수소가스농도 측정 장치, 노이즈제거필터 및 수소가스농도 산출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수소가스농도 측정 장치에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시트를 이용함으로써, 가공이 용이하고 효율성이 높으며 경량화된 상기 수소가스농도 측정 장치를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수소가스농도 측정 시스템은 상기 수소가스농도 측정 장치에 증폭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노이즈제거필터를 통과하여도 신호의 손실이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수소가스농도 측정 시스템은 상기 수소가스농도 산출 장치의 신호산출부에서 상기 노이즈제거필터를 통과한 상기 신호들의 평균값을 함으로써, 선형적인 특성을 가지는 그래프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수소가스농도 측정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인 수소가스농도 측정 시스템의 신호측정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인 수소가스농도 측정 시스템에서 다른 실시예의 신호측정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인 수소가스농도 측정 시스템의 신호수집부의 회로를 나타낸 회로도.
도 5는 종래의 수소가스농도 측정 시스템에서 얻어진 데이터와 본 발명의 수소가스농도 측정 시스템에서 얻어진 데이터를 함께 나타낸 그래프.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의 수소가스농도 측정 시스템(1000)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수소가스농도 측정 시스템(1000)의 개략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인 수소가스농도 측정 시스템(1000)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인 수소가스농도 측정 시스템(1000)은 탄소나노튜브 시트(111)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측정부(110) 및 상기 신호측정부(110)에서 측정된 신호를 수집하는 신호수집부(120)를 포함하는 수소가스농도 측정장치(100)와, 상기 수소가스농도 측정장치(10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일정 대역의 주파수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노이즈제거필터(200)와, 상기 노이즈제거필터(200) 에서 필터링 된 상기 신호를 전송받는 신호수신부(310)와, 상기 신호수신부(310)에서 수신된 상기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부(320) 및 상기 신호변환부(320)에서 변환된 상기 신호들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신호산출부(330)를 포함하는 수소가스농도 산출 장치(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소가스농도 측정장치(10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신호측정부(110)가 고정되는 지지판(1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판(130)은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한 실시예로 실리콘을 사용하여 유연성이 뛰어난 수소가스농도 측정장치(10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 및 도3은 본 발명인 수소가스농도 측정 시스템(1000)에서 상기 신호측정부(110)를 나타낸 개략도로, 도 2는 하나의 상기 신호측정부(110)가 상기 지지판(130)에 고정된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3은 복수 개의 상기 신호측정부(110)가 상기 지지판(130)에 고정된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 및 도3을 참조하여 상기 신호측정부(11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신호측정부(110) 탄소나노튜브 시트(111)와, 제1전극(114) 및 제2전극(115)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지판(13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전극(114)과 제2전극(115)은 상기 탄소나노튜브 시트(111)의 양단에 음극과 양극으로 각각 형성된다.
상기 탄소나노튜브 시트(111)는 복수 개의 탄소나노튜브(111')로 구성되며, 상기 탄소나노튜브(111')는 6각형 고리로 연결된 탄소들이 긴 원기둥 형상을 이루는 미세한 크기의 분자이며, 탄소원자가 3개씩 결합되어 벌집 모양의 구조를 갖게 된 탄소평면이 권취되어 형성된다. 상기 탄소나노튜브(111')는 인장력이 강하고 유연성이 뛰어나며, 가볍고, 전기전도성과 열전도성이 매우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탄소나노튜브(111')는 지름의 길이에 따라 도체 또는 반도체로 형성되는 성질이 있으며, 단중벽 튜브, 다중벽 튜브, 다발등 형태에 따라 다양한 물성을 지니므로 반도체 메모리소자, 수소저장 및 수소전지 전극 등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탄소나노튜브(111')로 구성되는 상기 탄소나노튜브 시트(11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탄소나노튜브(111')가 방향성을 가지고 배향되며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탄소나노튜브(111')의 배향 방향은 제1전극(114)에서 제2전극(115)의 방향으로 배향되는 것이 전기 전도도 측면에서 효율적이다.
또한, 상기 탄소나노튜브 시트(111)는 수직 성장시킨 탄소나노튜브(111') 묶음의 일측면에 접착부재를 부착한 후 이를 횡방향으로 인장되도록 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소나노튜브 시트(111)는 상기 탄소나노튜브(111') 묶음으로부터 원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대면적의 상기 탄소나노튜브 시트(111)를 형성할 수 있어 고효율, 고정밀의 수소누출 감지가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탄소나노튜브(111') 묶음을 인장되도록 하는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탄소나노튜브(111')가 결합되어 형성되므로 탄소나노튜브(111') 간에 오믹컨택(ohmic contact)을 위한 어레이(Array) 작업을 별도로 수행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탄소나노튜브 시트(111)를 구성하는 상기 탄소나노튜브(111')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111') 또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111')가 모두 적용될 수 있으나, 단일벽 탄소나노튜브(111')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도체와 반도체를 분리하는 과정이 별도로 필요한 문제가 있으므로 다중벽 탄소나노튜브(111')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상기 탄소나노튜브(111') 길이는 0.2μm ~ 0.5μm의 길이로 제작될 수 있다.
도 3은 복수 개의 상기 신호측정부(110)가 상기 지지판(130)에 고정된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때, 복수 개의 탄소나노튜브 시트(111)는 제1탄소나노튜브 시트(112)와 제2탄소나노튜브 시트(113)로 명명한다. 상기 제1탄소나노튜브 시트(112)와 제2탄소나노튜브 시트(113)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소나노튜브(111')가 방향성을 갖고 배향되며,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탄소나노튜브 시트(112)와 상기 제2탄소나노튜브 시트(113)의 배향 방향은 서로 평행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도 3(b)에 도시된바와 같이 상기 제1탄소나노튜브 시트(112)와 상기 제2탄소나노튜브 시트(113)의 배향방향이 서로 교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b)와 같이 상기 제1탄소나노튜브 시트(112)와 상기 제2탄소나노튜브 시트(113)의 배향방향이 서료 교차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기 탄소나노튜브 시트(111)가 수소와 접촉할 수 있는 표면적이 증가하여 고효율, 고정밀의 수소검출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1탄소나노튜브 시트(112)와 제2탄소나노튜브 시트(113) 사이에는 금속입자가 충진 되거나, 금속입자로 구성된 금속층이 더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금속입자는 탄소나노튜브 시트(111)와 수소의 반응을 위한 촉매제로서 수소에 대한 흡착 및 반응 특성이 우수한 금속 입자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신호수집부(120)는 상기 신호측정부(110)에서 측정된 상기 신호를 수집하는 정류부(121)와, 상기 정류부(121)로 수집된 상기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부(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호측정부(110)가 복수 개로 구비될 경우, 상기 신호측정부(110)의 수만큼 상기 신호수집부(120) 또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상기 신호수집부(120)는 상기 정류부(121)로 정류회로인 브릿지 회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증폭부(122)로 직류연결형 증폭기인 연산증폭기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정류부(121)와 증폭부(122)가 하나의 회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상기 정류부(121)와 증폭부(122)가 이루는 하나의 회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상기 브릿지 회로(bridge circuit)는 전류가 병렬 연결된 전기 전도체로 분리되고 회로망이 둘러싼 도체에 재결합하는 전기 회로의 한 종류이다. 상기 브릿지 회로는 일반적으로 측정 목적으로 사용되며, 이를 이용하면 저항값을 더욱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연산증폭기(op-amp, Operational amplifier)는 한 개의 차동 입력과, 대개 한 개의 단일 출력을 가지는 직류 연결형(DC-coupled) 고이득 전압증폭기로, 하나의 상기 연산증폭기는 그 입력 단자 간의 전압 차이보다 대개 백배에서 수 천배 큰 출력 전압을 생성한다. 상기 연산증폭기는 전자 회로에서 중요한 구성요소 중의 하나로, 온도변화와 제조상태의 불균일성에 영향을 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
상기 노이즈제거필터(200)는 상기 수소가스농도 측정장치(10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일정 대역의 주파수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노이즈를 제거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상기 노이즈제거필터(200)는 설정된 차단주파수 이하의 주파수만 통과되는 저역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노이즈제거필터(200)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과도한 감쇄로 인하여 신호가 손실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나, 상기 수소가스농도 측정 시스템(1000)은 상기 증폭부(122)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노이즈제거필터(200) 통과 후에도 신호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상기 수소가스농도 산출 장치(300)는 상기 노이즈제거필터(200) 에서 필터링 된 상기 신호를 전송받는 신호수신부(310)와, 상기 신호수신부(310)에서 수신된 상기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부(320) 및 상기 신호변환부(320)에서 변환된 상기 신호들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신호산출부(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호수신부(310)는 RS-232C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신호변환부(320)는 A/D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소가스농도 측정 시스템(1000)은 상기 수소가스농도 측정장치(100)에서 전달된 상기 신호가 상기 노이즈제거필터(200)를 통과하면서 대부분의 노이즈가 제거되며, 상기 신호산출부(330)에서 평균값을 산출함으로써 선형적인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수신부(310), 신호변환부(320) 및 신호산출부(330)는 컴퓨터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에 탑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종래의 수소가스농도 측정 시스템에서 얻어진 데이터와 본 발명의 수소가스농도 측정 시스템(1000)에서 얻어진 데이터를 함께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의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수소가스농도 측정 시스템에서 얻어진 데이터에 의해 도시된 그래프에 비하여 본 발명인 수소가스농도 측정시스템에서 얻어진 데이터에 의해 도시된 그래프가 더욱 선형적인 특성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수소가스농도 측정 시스템(1000)은 상기 신호산출부(330)에서 산출된 상기 신호들의 평균값이 표출되는 표출수단(4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표출수단(400)은 상기 수소가스농도 산출 장치(300)로부터 산출된 산출값을 그래프나 텍스트 등의 형식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 수소가스농도 측정 시스템
100 : 수소가스농도 측정 장치 110 : 신호측정부
111 : 탄소나노튜브 시트 111' : 탄소나노튜브
112 : 제1탄소나노튜브 시트 113 : 제2탄소나노튜브 시트
114 : 제1전극 115 : 제2전극
120 : 신호수집부 121 : 정류부
122 : 증폭부 130 : 지지판
200 : 노이즈제거필터 300 : 수소가스농도 산출 장치
310 : 신호수신부 320 : 신호변환부
330 : 신호산출부 400 : 표출수단

Claims (7)

  1. 탄소나노튜브 시트(111)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측정부(110)
    상기 신호측정부(110)에서 측정된 신호를 수집하는 정류부(121)와 상기 정류부(121)로 수집된 신호를 직류연결형 증폭기인 연산증폭기를 통해 증폭시키는 증폭부(122)를 포함하는 신호수집부(120)를 포함하는 수소가스농도 측정장치(100);
    상기 수소가스농도 측정장치(10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일정 대역의 주파수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노이즈제거필터(200);
    상기 노이즈제거필터(200) 에서 필터링 된 상기 신호를 전송받는 신호수신부(310)와,
    상기 신호수신부(310)에서 수신된 상기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부(320)
    상기 신호변환부(320)에서 변환된 상기 신호들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신호산출부(330)를 포함하는 수소가스농도 산출 장치(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가스농도 측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측정부(110)는
    상기 탄소나노튜브 시트(111)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전극(114) 및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전극(1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가스농도 측정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가스농도 측정장치(10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신호측정부(110)가 고정되는 지지판(1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가스농도 측정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제거필터(200)는
    저역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가스농도 측정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가스농도 측정 시스템(1000)은
    상기 신호산출부(330)에서 산출된 상기 신호들의 평균값이 표출되는 표출수단(4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가스농도 측정 시스템.
KR1020110109238A 2011-10-25 2011-10-25 수소가스농도 측정 시스템 KR101309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238A KR101309590B1 (ko) 2011-10-25 2011-10-25 수소가스농도 측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238A KR101309590B1 (ko) 2011-10-25 2011-10-25 수소가스농도 측정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896A KR20130044896A (ko) 2013-05-03
KR101309590B1 true KR101309590B1 (ko) 2013-09-17

Family

ID=48657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9238A KR101309590B1 (ko) 2011-10-25 2011-10-25 수소가스농도 측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95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2081B1 (ko) * 2017-06-29 2019-09-17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소가스 누출 감시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662B1 (ko) * 2001-10-24 2004-06-30 조승호 다기능 교반측정분석 시스템
JP2009008476A (ja) * 2007-06-27 2009-01-15 Kyushu Univ 水素ガスセンサ及び水素ガスセンサ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662B1 (ko) * 2001-10-24 2004-06-30 조승호 다기능 교반측정분석 시스템
JP2009008476A (ja) * 2007-06-27 2009-01-15 Kyushu Univ 水素ガスセンサ及び水素ガスセンサ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896A (ko) 201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ng et al. Pencil-trace on printed silver interdigitated electrodes for paper-based NO2 gas sensors
CN100587492C (zh) 基于电容和互相关法的微管气液两相流速测量装置与方法
KR101217236B1 (ko) 탄소나노튜브 시트를 이용한 수소센서 및 그 제조방법
CN102095781A (zh) 碳纳米管薄膜电离式传感器及其检测单一气体浓度的方法
Zhou et al. Optical monitoring of faradaic reaction using single plasmon-resonant nanorods functionalized with graphene
KR101309590B1 (ko) 수소가스농도 측정 시스템
CN102095783B (zh) 碳纳米管薄膜三电极传感器阵列及混合气体浓度检测方法
CN102095787B (zh) 碳纳米管薄膜三电极乙烯传感器及其浓度测量方法
CN102081067A (zh) 碳纳米管薄膜电离式二氧化氮传感器及其浓度测量方法
CN103542962A (zh) 一种压力测试装置
Guo et al. A self-powered flexible gas-sensing system based on single-wall carbon nanotube films
CN102074447A (zh) 微型电离式气体分析仪、微型气体电离装置及其制作方法
CN102095791B (zh) 基于碳纳米管薄膜三电极传感器阵列测量两组份混合气体浓度的方法
CN102095786A (zh) 碳纳米管薄膜三电极氢气传感器及其浓度测量方法
CN102095788B (zh) 碳纳米管薄膜三电极氧气传感器及其浓度测量方法
CN102081068B (zh) 碳纳米管薄膜三电极二氧化硫传感器
CN102095790A (zh) 碳纳米管薄膜电离式传感器阵列及混合气体浓度检测方法
CN112904205A (zh) 一种燃料电池测量装置
CN212988755U (zh) 激光器测试系统
CN206594093U (zh) 一种土壤水分检测装置
CN102081069B (zh) 碳纳米管薄膜三电极传感器及其检测单一气体浓度的方法
CN101881659B (zh) 电磁波检测装置
CN102095789B (zh) 碳纳米管薄膜电离式传感器及两组份气体浓度的检测方法
CN110687358B (zh) 基于热电材料的电容型电磁波探测器及系统
CN101729145A (zh) 一种dfb光纤激光器型光纤麦克风及其分布式阵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