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9401B1 - 별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들 상에 상이한 영상들을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별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들 상에 상이한 영상들을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9401B1
KR101309401B1 KR1020057013119A KR20057013119A KR101309401B1 KR 101309401 B1 KR101309401 B1 KR 101309401B1 KR 1020057013119 A KR1020057013119 A KR 1020057013119A KR 20057013119 A KR20057013119 A KR 20057013119A KR 101309401 B1 KR101309401 B1 KR 101309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image
display
signals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3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2416A (ko
Inventor
마이클 마이어
토마스 색콥
버나드 브로그햄머
Original Assignee
하만 베커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만 베커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하만 베커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50092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2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9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9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1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a single graphics cont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차량 정보 및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에서 사용하고, 별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들 상에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영상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이다.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는 영상들의 시퀀스를 포함하고,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 생성기는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를 시간적 또는 공간적으로 적어도 2개의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들로 분할한다.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의 사용은 하나 이상의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적 노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 디스플레이 장치, 차량,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Description

별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들 상에 상이한 영상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IMAGE DISPLAY SYSTEM FOR DISPLAYING DIFFERENT IMAGES ON SEPARATE DISPLAY DEVICES}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영상을 별개의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차량 내의 별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들 상에 영상을 표시하는 차량 정보 및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차량은, 탑승자 외에도, 운전자에게 다양한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를 분배하기 위해 보드 상에 복수의 정보 및 엔터테인먼트 장치를 갖는다. 이것은 각각이 상이한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별개의 디스플레이들에 의해 달성된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장치는 운전자에게 제공되고 제2 또는 추가의 장치는 다른 탑승자들에게 제공될 것이다. 운전자가 주변 교통 흐름에 집중할 필요가 있을 때, 운전자의 디스플레이는 필수적인 정보만을 제공해야하는 반면, 탑승자의 디스플레이는 영상 디테일을 재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대응하는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운전자의 디스플레이 상에 방향 정보만을 제공하는 반면, 주변 환경의 디테일은 다른 탑승자에게 제공된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는, 텔레비젼이나 라디오, DVD 플레이어, 셀 전화기, 인터넷 액세스 장치, 차량 제어 장치, 차량 백미러 장치등과 같은 임의의 차량 정보 및 엔터테인먼트 장치의 비디오 영상이나 기타 제어 정보의 디스플레이에도 이용될 수 있다.
차량 대시보드(1) 상에서의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의 구성에 대한 제1 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제1 디스플레이(2)는 운전자의 시야, 바람직하게는 기구 패널(3)에 배열되어 있다. 제2 디스플레이(4)는 앞좌석의 탑승자 시야에 제공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2)와 디스플레이(4)는 그 크기와 표시되는 정보량에서 차이가 난다.
운전자의 시야 내에 있는 2개 디스플레이 구성의 다른 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운전자에 대해 2개의 별개의 디스플레이들(2, 4) 상에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이 구성의 특징이다. 디스플레이들 각각은 상이한 양의 정보를 제공한다.
디스플레이(2)는 기구 패널(3)에 배열되어 있고 차량 정보 및 엔터테인먼트 장치들 중 하나로부터의 영상 신호를 표시한다. 또한, 보다 상세한 정보 또는 상이한 정보가 운전자의 시야 내의 주변 위치에 배치된 제2 디스플레이(4)에 의해 운전자에게 제공된다.
차량 내의 별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다른 가능한 구성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들 구성은 뒷좌석의 탑승자도 고려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개의 디스플레이 장치(6a, 6b)는 앞쪽 좌석들의 뒷면에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양쪽 디스플레이 장치(6a, 6b)는 개개의 영상 신호들, 예를 들어, DVD 플레이어나 차량용 TV 수신기에 의해 제공된 상이한 비디오 엔터테인먼트 신호들,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해 제공된 차량 정보 신호들 또는 이들의 조합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4의 디스플레이 구성은, 뒷좌석의 탑승자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8b)를 갖는 한편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8a)가 차량 대시보드(1)에 장착된다는 점에서, 도 3의 구조와 상이하다.
통상, 별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에 대한 이와 같은 상이한 디스플레이 영상들은 별개로 생성된다. 이 목적을 위해, 개개의 영상 처리 하드웨어는 제1 디스플레이에 대한 영상 신호와 제2 디스플레이에 대한 추가 신호를 생성한다. 이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그래픽 프로세서(14)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2) 상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16)를 생성한다. 그래픽 프로세서(14)의 동작은 CPU(10)에 의해 공급된 영상 생성 명령(12)에 의해 제어된다. CPU(10)는 영상 데이터의 전치처리(preprocessing)를 수행하며, 제어 정보와 함께 영상 콘텐츠를 그래픽 프로세서(14)에 제공한다.
그래픽 프로세서(14)는 CPU(10)로부터 수신된 정보(12)와 디스플레이 장치(2)의 특정한 속성에 기초하여,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16)를 생성한다. 특히,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16)는, CPU로부터의 영상 콘텐츠, 디스플레이 해상도, 프레임 레이트 등을 고려하여 생성된다. 이 목적을 위해, 그래픽 프로세서는 회전, 줌, 벡터 연산등과 같은 드로잉 작업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 4) 각각에 대하여 대응하는 하드웨어가 요구되기 때문에, 제2 디스플레이 장치(4)에 대한 영상 데이터는 CPU(11) 및 그래픽 프로세서(15)에 의해 대응하는 방식으로 생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 구성의 한 문제점은, 각각의 디스플레이가 별개의 영상 처리 하드웨어 특히,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별개의 CPU와, 디스플레이 영상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별개의 그래픽 프로세서를 요구한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추가적인 하드웨어는 비용을 증대시키고, 더 많은 열을 발산하며, 회로 보드 및 외장을 위한 추가 공간을 요구하고, 고가의 추가 EMC 방지 대책을 요구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비추어,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차량 정보 및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 생성기, 그래픽 프로세서, 및 덜 복잡한 하드웨어 구성을 이용하여 적어도 2개의 디스플레이 영상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에 제시된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과, 청구항에 9에 제시된 차량 정보 및 엔터테인먼트 시스템과, 청구항 18에 제시된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 생성기와, 청구항 26에 제시된 그래픽 프로세서와, 청구항 31에 제시된 적어도 2개의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제1 면에 따르면, 상이한 영상들을 별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들 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이한 영상들은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로부터 기인한다.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는 영상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며,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를 시간적 또는 공간적으로 분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들 각각에 대하여 개개의 디스플레이 영상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 생성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별한 잇점은, 적어도 2개의 별개의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단지 종래의 하드웨어만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하나의 그래픽 프로세서는,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를 형성하는 2개의 개개의 영상들의 영상 데이터로 구성된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한다.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는, 그래픽 프로세서로부터 수신된 하나의 영상 신호를 시간적 또는 공간적으로 분할함으로써, 별개의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들로 분할된다. 그 다음, 이렇게 얻어진 별개의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들은 별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에 공급되어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접근은, 생성된 영상 신호에 추가적인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를 병합하기 위해 그래픽 프로세서의 여분의 처리 능력을 이용함으로써, 생성될 각각의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에 대해 개개의 처리 하드웨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비용을 낮추고, 열발산을 적게 하며, 회로 보드 및 외장부에 대한 공간을 적게 하고, EMC 방지 대책에 대한 노력을 적게 들이면서, 적어도 2개의 개개의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의 디스플레이를 달성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추가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위한 추가 하드웨어를 나중에라도 설치할 수 있도록 차량을 준비시켜야 하는 현재의 요구조건을 제거한다.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를 별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위한 적어도 2개의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들로 분할하는 것은, 개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현재 이용되고 있는 하드웨어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회로 보드 및 외장부를 위한 여분의 공간이 제공될 필요가 없으며, 차량은 추가적인 열 발산을 할 수 있도록 준비할 필요가 없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별개의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들 각각을 생성하기 위해,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의 영상 시퀀스를 개개의 영상들로 분할한다. 따라서, 영상 시퀀스의 영상들 각각은 디스플레이 영상 신호들 중 하나의 데이터만을, 즉,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하나를 위한 것만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영상들은 영상들의 미리 정해진 간격에 따라 시퀀스로부터 분리된다. 디스플레이들 각각에 대한 영상 정보는, 디스플레이들 각각에 전송될 영상 데이터의 양에 비례하여 영상 시퀀스의 영상들 상에 분배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생성기는 영상 시퀀스의 각 영상을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들 각각을 생성시키기 위한 부분들로 분할한다. 따라서, 상이한 정보가,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의 영상 시퀀스의 개개의 영상 내에서 공간적으로 분배된다.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영상 입력 신호 내의 영상 부분들은 영상을 수평으로 분할함으로써 정해지며, 이것은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를 별개의 신호들로 분할하는데 있어서 덜 복잡한 하드웨어를 가능하게 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개개의 디스플레이 영상 신호의 영상 데이터는 영상 시퀀스의 영상들 각각의 미리 정해진 라인들에 걸쳐 확산(spread)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하나에 대한 영상 정보는, 각각의 미리 정해진 라인들 상에 저장된 정보를 평가함으로써 검색될 수 있다. 라인들 각각은 소량의 데이터만을 나타내므로, 각각의 영상 부분은 간단한 방식으로 전송될 데이터량에 정확하게 조절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차량 정보 및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에 이용된다. 상이한 영상 소스들의 영상 신호들은, 복수의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들 상에서 디스플레이되기 위해 차량 내의 하나의 하드웨어 상에 결합된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정보 및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은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영상 신호 중 하나는 제1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서의 디스플레이용으로 의도된,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으로부터의 맵 데이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들 중 다른 하나는, 제1 맵 데이터와는 상이한 제2 맵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접근은 차량의 운전자와 탑승자에게 개개의 정보를 별도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해주며, 여기서, 운전자는 현재의 차량 위츠 부근의 맵 데이터나 방향 정보만을 수신한다. 그러나, 다른 탑승자는 주변 환경의 세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맵 데이터(또는, 대안으로서, 차량의 운행과 관계없는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맵 데이터는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방향 명령(directional command)만을 포함한다. 따라서, 운전자에게 전송 및 제공되는 정보량은 다른 탑승자에게 제공되는 정보와는 상당히 다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정보 및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은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 텔레비젼 수상기, DVD 플레이어, 셀 전화기, 무선 전화기, 인터넷 액세스 장치, 차량 제어 장치, 백미러 장치 등과 같은 복수의 데이터 소스들로부터의 디스플레이 영상 신호들을 전송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2차원 데이터의 디스플레이를 요구하는 차량 내의 모든 장치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하드웨어는, 별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들 상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상이한 장치들에 의해 공동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하나는 운전자의 시야에 장착된다.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차량의 앞좌석 또는 뒷좌석 탑승자의 시야에 장착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 생성기는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로부터 적어도 2개의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제공된다.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 생성기에 의해 생성된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들은, 별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들 상에서의 디스플레이용으로 의도된 것이다. 수신된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는 영상들의 시퀀스를 포함하고, 영상 디스플레이 생성기는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를 시간 또는 공간적으로 분할하여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들 각각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역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별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들 상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적어도 2개의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별개의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들은 영상 시퀀스를 포함하는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로부터 생성된다.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의 영상 시퀀스의 영상들은 시간 또는 공간적으로 분할되어 별개의 장치들에 대한 별개의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들 각각을 생성시킨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의 청구대상이 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및 잇점들은 도시된 도면과 더불어 본 발명의 이하의 설명들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차량의 앞좌석 탑승자에 대한 2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디스플레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운전자의 시야에 배열된 2개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차량의 뒷좌석 탑승자에 대한 2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디스플레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차량의 앞좌석 탑승자에 대한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뒷좌석 탑승자에 대한 또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2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종래의 방식의 2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들 을 제공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의 블럭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위한 하드웨어의 블럭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대한 대안적인 하드웨어 구성의 블럭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인간-대-기계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대한 또 다른 대안적인 하드웨어 구성의 블럭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2개의 상이한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 소스들로부터의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의 제1 컨셉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2개의 상이한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 소스들로부터의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로부터 2개의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1 컨셉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2개의 상이한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 소스들로부터의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의 제2 컨셉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2개의 상이한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 소스들로부터의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로부터 2개의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컨셉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a 내지 도 13f는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를 공간적으로 분할함으로써 몇개의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들을 병합하기 위한 예시적 실시예들을 도시하 는 도면이다.
도 14a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 생성기의 제1 메모리 구성의 블럭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b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 생성기의 제2 메모리 구성의 블럭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로부터 2개의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도 11 및 도 12의 컨셉을 보다 상세히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본 발명의 기본적 개념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CPU(100)는 2개의 개별적인 신호들에 대한 영상 콘텐츠 및 제어 정보(110)를 생성한다. 영상 콘텐츠 및 제어 정보(110)는, 그 수신된 정보(110)에 기초하여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130)를 생성하기 위한 그래픽 프로세서(120)에 전송된다.
영상 콘텐츠 및 제어 정보(110)는 하나의 영상 신호 내에 포함된 2개의 별개의 영상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프로세서(120)는 2개의 별개의 장치들에 관한 영상 디스플레이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130)를 생성한다.
별법으로서, 그래픽 프로세서(120)는 외부 소스(120)로부터 추가의 영상 정보(115, 116)를 수신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출력 신호(130)는 수신된 영상 콘텐츠 정보들(110, 115, 116) 중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130)는 2개의 별개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영상 정보로 구성된다.
차량에서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2, 4)는 대개 480×200 픽셀 또는 800×480 픽셀 범위의 영상 해상도를 가진다. 이와 같은 영상 크기는 종래의 그래픽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되는 처리 능력을 요구하지 않는다. 여분의 처리 능력은 결합된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130)의 생성을 위해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두 디스플레이(2, 4)는 동일한 크기이다. 그래픽 프로세서(120)에 의한 영상 생성은 간단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130)는, 별개의 디스플레이 장치(2, 4)에 대해 2개의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들(141, 142)을 생성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생성기(140)에 공급된다. 영상 디스플레이 생성기(140)는 수신된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130)를 별개의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141, 142)로 분리한다. 영상 디스플레이 생성기(140)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은 도 9 내지 1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논의될 것이다
이제 도 7을 참조하면,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의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그래픽 프로세서(120)와 별개의 영상 디스플레이 생성기(140)를 포함하며, 두 처리 스테이지들은 도 7의 실시예에 따라 결합된다. 따라서, 하나의 프로세서(150)는, 도 6에서 별개의 장치들로 도시된 프로세서(120)와 영상 생성기(140)의 기능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칩상에 구현된다. 이와 같은 그래픽 프로세서는 CPU(100)로부터 영상 콘텐츠와 제어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 단자와, 개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들(2, 4) 상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별개의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들(141, 142)을 제공하기 위한 2개의 출력 단자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그래픽 프로세서는 외부에서 제공된 비디오 신호들(115, 116)에 대한 추가의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비록 이전의 실시예들이 2개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의 처리와 디스플레이에 관하여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2개의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에 제한되지 않는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신호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130)로부터 개개의 영상 디스플레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시청자/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403, 404)는,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해주는 소프트키의 형태로 상호작용 정보(410)를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된 정보 항목들(410)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대응하게 배열된 터치 패드에 관련되어 있거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인접한 디스플레이된 정보 항목들(410) 옆에 배열된 버튼들에 관련되어 있다. 간단명료하게 하기 위해, 각각의 디스플레이(403, 404)에 대해 3개의 정보 항목들(410)만이 도시되어 있다.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바와 같이, 숫자가 3으로만 제한되는 것도 아니고, 그 배열이나 형태가 도면에 도시된대로만 제한되는 것도 아니다. 대조적으로, 숫자, 형태, 및 배열은 시스템 설계자에 의해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될 상호작용 정보는 CPU(100)로부터의 명령, 즉, 영상 생성 정보(110) 내에 포함되는 명령에 기초하여 그래픽 프로세서에 의해 생성된다. 특히, CPU(100)는, 상호작용 정보(410)와 함께 2개의 별개의 디스플레이들에 대한 영상 디스플레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일련의 영상 생성 명령을 그래픽 프로세서(120)에 제공한다. 이와 같은 명령의 생성은 바람직하게는 CPU(100) 상에서 실행되는 특정한 소프트웨어 모듈의 형태로 구현된다. 이와 같은 소프트웨어 모듈의 기능은 도 8에서 박스(400)으로 표시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MMI 정보는, 디스플레이들 각각이 영상 콘텐츠 상에 오버레이된 상호작용 정보(410)를 갖도록, 디스플레이 장치들(403, 404) 양쪽 모두에 대해 개별적으로 생성된다. 디스플레이들(403, 404) 각각에 디스플레이되는 개개의 상호작용 정보(410)는 그 기능과 그래픽적 표현에 있어서 다를 수 있지만, 디스플레이(403, 404) 양쪽 모두에 대한 상호작용 정보는 CPU(100) 및 그래픽 프로세서(120)에 의해 어드레싱되는 공통의 소프트웨어 데이터베이스(401)에 기초한다.
이제, 본 발명의 개념을 더욱 상세히 도시하는 도 9 내지 도 15를 참조한다. 도 9 및 도 10은 영상 정보를 개개의 영상들 상에 시간적인 측면에서 별도로 분배하는 개념과 관련되어 있는 반면, 도 11 및 도 12는 영상 데이터를 개개의 영상 내에 공간적으로 분배하는 개념에 관련되어 있다. 비록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양쪽 모두의 처리, 즉, 시간적 및 공간적으로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를 분할하는 처리가 결합될 수도 있다.
도 9는, 1개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의 개념, 즉, 별개의 영상 디스플레 이 신호들(200, 201)을 결합하여 하나의 새로운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를 형성하는 개념을 도시하고 있다. 제1 영상 데이터(200)는 영상(220)(음영이 입혀진 영상)에 삽입되는 반면, 영상 데이터(201)는 밝은 색상의 영상(210) 내에 삽입된다.
영상 시퀀스의 영상들이 별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교대로 포함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동일한 크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사용이 간단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별법으로서,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에 대한 영상 정보의 양은 상이하다. 각각의 디스플레이에 대해 할당된 영상들의 갯수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200, 201)의 양에 비례하여 적응된다. 예를 들어, 뒷좌석 또는 앞좌석 탑승자에 대한 디스플레이 영상(4)은 전송될 데이터량이 많으며, 영상(210)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운전자 디스플레이(2)에 대한 영상 데이터는 영상(210) 내에서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흩어진 적은 갯수의 영상들(220)만을 점유한다.
영상 디스플레이 생성기(140)에 의해 실행되는 분리 절차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밝은 색상의 영상들(210)의 영상 데이터는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142)를 생성하는데 사용되고, 어두운 색상의 영상들(220)은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141)를 생성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별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들(2, 4)에 대한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141, 142)는,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로부터 정확하게 구축되어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2, 4)에 공급된다.
이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도 9 및 도 10에 대응하는 별법의 개념이 도시되어 있다. 즉, 별개의 영상 정보를 공간적 면에서 분산시킨다. 양쪽 디스플레이 장치들 상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의도된 영상 데이터는,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130)의 영상 시퀀스의 영상들 각각에서 결합된다. 다시 한번, 영상 데이터(200)는 우측 영상부분(230)에 할당되고, 다른 영상 데이터(201)는 좌특 영상 부분(240)에 할당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141, 142)의 생성은 영상들 각각의 영상 데이터를 분리함으로써 달성된다. 비록 도시된 실시예들 명료성을 위해 해당 영상마다 2개의 영상 부분들(230, 240)만을 보이고 있지만, 임의의 개수의 영상 부분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1 및 도 12는, 영상들을 갖는 영상 시퀀스가 수평 방향으로 분할되어 있고, 제1 영상 데이터에 대한 제1 부분(230)과 제2 영상 데이터에 대한 제2 부분(240)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개개의 영상들의 공간적 분할의 다른 예가 도 13a 내지 도 13f에 도시되어 있다. 도 13a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분할에 대응한다.
상이한 양의 데이터가 전송될 것을 요구하는 영상을 사용할 때, 감축된 프레임 레이트 또는 감축된 해상도에 의해 감축된 양을 얻을 수 있다. 상이한 프레임 레이트의 영상 데이터를 결합하기 위한 바람직한 개념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상이한 해상도의 소스 영상 데이터를 가질 때, 바람직하게는 도 13에 도시된 개념이 이용된다. 영상 데이터 각각(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할당된 영상 부분은 디스플레이 장치마다 전송될 데이터량에 적응된다. 따라서, 양쪽 영상들 사이의 경계선은 그에 따라 적응된다. 싱이한 데이터량은 그에 따라 대응적으로 조절된 크기의 영상 부분들(231, 241)로 이어진다.
도 13c 및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영상은 같은 크기의 영상 부분들(250, 260)로 수직 분할되거나, 동일한 효과를 주도록 상이하게 크기조절된 영상 부분(251, 261)로 분할될 수 있다.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에 대한 영상 데이터는 수직 또는 수직으로 영상들을 더 분할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도 13e 및 도 1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영상 데이터는 영상들을 동시에 수평 및 수직으로 분할함으로써 생성된다. 도 13e가 같은 크기의 4개의 영상 부분들(270, 271, 272, 273)을 도시하고 있는 반면, 도 13f의 영상 부분들(280, 281, 282)은 모두 대응되게 상이한 디스플레이 크기를 위해 상이한 크기를 가진다.
2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의 영상들 내에 분배하는 보다 상세한 예가 도 15와 연계하여 기술될 것이다. 각각의 영상들(영상1, 영상2)은 480개의 라인으로 구성되며, 각 라인은 800개의 픽셀을 가진다. 양쪽의 영상들이 동일한 크기이므로, 각 라인의 픽셀들은, 각 라인의 1600개 픽셀들을 "영상 1"에 대한 800개 픽셀과, "영상 2"에 대한 800개 픽셀로 분할함으로써, 양쪽 모두의 영상들에 동등하게 할당될 것이다.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 생성기(140)의 보다 상세한 구성이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되어 있다.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130)는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를 버퍼링하는 메모리에 제공된다.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130)는,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130)를 메모리에 기록하는 절차를 제어하거나, 별개의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들(141, 142)을 메모리로부터 판독하는 판독 절차를 제어함으로써, 별개의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들(141, 142)로 용이하게 분할될 수 있다.
도 14a를 참조하면,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130)가 기저의 별개의 영상들에 기초하여 별개의 메모리들(300, 310)에 기록된다. 어드레스 생성 회로(320)는, 선택된 분배 방법에 기초하여 메모리(300, 310) 내에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130)을 기록하기 위한 기록 어드레스를 생성한다(도 9 내지 도 13 참조).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130)가 도 15에 도시된 분할에 따른 영상들로 구성될 때, 각 라인의 처음 800개 픽셀들은 제1 메모리(300)에 기록되는 반면, 두번째 800개 픽셀들은 제2 메모리(310)에 기록된다. 양쪽 메모리들은 연속적 방식으로 판독되어 별개의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들(2, 4) 상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들(141, 142)을 제공할 수 있다. 영상 분할이 라인별 기초하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FIFO 메모리(300, 310)는, 동시에 적은양의 픽셀들만이 기억될 것을 요구하는 라인 메모리일 수 있다.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130)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개념에 따른 영상 시퀀스를 포함하는 경우, 메모리들(300, 310)은, 재생될 적어도 한 프레임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적합화된 프레임 메모리이다.
별법으로서,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130)의 분할은, 개개의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들(141, 142)을 제공하기 위해 판독 절차를 제어하는 어드레스 생성기(320)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다시 한번, 메모리(330)는 라인 메모리일 수 있으며, 여기서, 영상 데이터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적으로 분배될 수 있다. 먼저, "영상 1"의 800개 픽셀이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141)로서 판독되고, 후속해서, 판독된 픽셀들은 제2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142)로서 제공된다.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141, 142)를 디스플레이하는 양쪽 디스플레이 장치들(2, 4)은,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부가 아니다.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2, 4)는, 영상 생성기(44)와는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어, 케이블 또는 무선 전송에 의해 여기에 접속된다. 차량 멀티미디어 시스템과의 사용을 위해, 이와 같은 무선 전송은, 차량 객석 내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배치를 용이하게 해준다.
요약하자면, 본 발명은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정보 및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에서의 사용, 및 별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들 상에서의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영상들의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는 영상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며, 여기서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 생성기는,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를, 시간적 및 공간적으로 적어도 2개의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로 분할한다.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의 사용은 하나 이상의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상의 노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

Claims (37)

  1. 영상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130)에 기초하여 별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들(2, 4) 상에 상이한 영상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서, 상기 각각의 영상은 복수 개의 라인을 포함하고, 이들 각각의 라인은 복수 개의 픽셀을 포함하며, 라인의 제1 부분에 포함된 영상 데이터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제1 디스플레이 장치(2) 상에 디스플레이되고,라인의 제2 부분에 포함된 영상 데이터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제2 디스플레이 장치(4)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인,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적어도 2개의 디스플레이 장치(2, 4); 및
    상기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130)로부터 적어도 2개의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들(141, 142)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 생성기(140)
    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 생성기(140)는
    상기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130)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 단자와,
    상기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130)의 각 라인을 제1 부분과 제2 부분으로 분할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2개의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들(141, 142)을 생성하도록 되어 있는 처리 수단으로서, 상기 제1 부분의 영상 데이터는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들(141, 142) 중 제1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141)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부분의 영상 데이터는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들(141, 142) 중 제2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142)를 형성하는 것인, 상기 처리 수단과,
    상기 생성된 적어도 2개의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들(141, 142) 중 상기 제1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141)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제1 디스플레이 장치(2)에 출력하고, 상기 생성된 적어도 2개의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들(141, 142) 중 상기 제2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142)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제2 디스플레이 장치(4)에 출력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출력 단자
    를 포함하는 것인,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에 할당되는 각각의 영상 부분(230, 240)의 크기는 각각의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141, 142)의 개개의 데이터 레이트에 대응하는 것인,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들(2, 4)은 별개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인,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9. 차량 정보 및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으로서,
    적어도 2개의 디스플레이 장치(2, 4)와,
    영상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130)로부터 적어도 2개의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들(141, 142)를 생성하기 위한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 생성기로서, 각각의 영상은 복수 개의 라인을 포함하고, 이들 각각의 라인은 복수 개의 픽셀을 포함하며, 라인의 제1 부분에 포함된 영상 데이터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제1 디스플레이 장치(2) 상에 디스플레이되고,라인의 제2 부분에 포함된 영상 데이터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제2 디스플레이 장치(4)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인,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 생성기
    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 생성기는,
    상기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130)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 단자와,
    상기 수신된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130)의 각 라인을 제1 부분과 제2 부분으로 분할함으로써, 적어도 2개의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들(141, 142)을 생성하도록 되어 있는 처리 수단으로서, 상기 제1 부분의 영상 데이터는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들(141, 142) 중 제1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141)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부분의 영상 데이터는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들(141, 142) 중 제2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142)를 형성하는 것인, 상기 처리 수단과,
    상기 생성된 적어도 2개의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들(141, 142) 중 상기 제1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141)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제1 디스플레이 장치(2)에 출력하고, 상기 생성된 적어도 2개의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들(141, 142) 중 상기 제2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142)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제2 디스플레이 장치(4)에 출력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출력 단자
    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 정보 및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차량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들(141, 142) 중 하나는 상기 차량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부터의 제1 맵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 정보 및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들(141, 142)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1 맵 데이터와는 상이한 제2 맵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 정보 및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맵 데이터는 상기 차량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부터의 방향 명령(directional command)을 포함하는 것인, 차량 정보 및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들(141, 142) 중 적어도 하나는 비디오 데이터를 나타내는 것인, 차량 정보 및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들(141, 142)은, 차량 내비게이션 시스템, 텔레비젼 수상기, DVD 플레이어, 휴대 전화기, 무선전화기, 인터넷 액세스 장치, 차량 제어 장치, 또는 후방 관측(rear view) 장치로부터의 데이터를 나타내는 것인, 차량 정보 및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하나(2; 8a)는 운전자의 시야 내에 장착되는 것인, 차량 정보 및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또 다른 하나(8b)는 뒷좌석 탑승자의 시야 내에 장착되는 것인, 차량 정보 및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뒷좌석 탑승자 각자의 시야 내에 장착되는 것인, 차량 정보 및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18. 영상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130)로부터 적어도 2개의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들(141, 142)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 생성기로서, 상기 각각의 영상은 복수 개의 라인을 포함하고, 이들 각각의 라인은 복수 개의 픽셀을 포함하며, 라인의 제1 부분에 포함된 영상 데이터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제1 디스플레이 장치(2)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라인의 제2 부분에 포함된 영상 데이터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제2 디스플레이 장치(4)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인,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 생성기는,
    상기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130)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 단자와;
    상기 수신된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130)의 각 라인을 제1 부분과 제2 부분으로 분할하여, 적어도 2개의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들(141, 142)을 생성하도록 되어 있는 처리 수단으로서, 상기 제1 부분의 영상 데이터는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들(141, 142) 중 제1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141)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부분의 영상 데이터는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들(141, 142) 중 제2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142)를 형성하는 것인, 상기 처리 수단과;
    상기 생성된 적어도 2개의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들(141, 142) 중 상기 제1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141)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제1 디스플레이 장치(2)에 출력하고, 상기 생성된 적어도 2개의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들(141, 142) 중 상기 제2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142)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제2 디스플레이 장치(4)에 출력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출력 단자
    를 포함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 생성기.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제18항에 있어서, 메모리(300, 310; 330)와 어드레스 생성 회로(3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300, 310; 330)는 상기 수신된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130)를 버퍼링하며,
    상기 어드레스 생성 회로(320)는 상기 메모리(300, 310; 330)로부터 픽셀 데이터를 판독하거나 또는 상기 메모리(300, 310; 330)에 픽셀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메모리 어드레스를 생성하는 것인,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 생성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300, 310; 330)는 FIFO인 것인,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 생성기.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300, 310; 330)는 라인 메모리인 것인,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 생성기.
  25.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300, 310; 330)는 프레임 메모리인 것인,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 생성기.
  26.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130)를 생성하기 위한 그래픽 프로세서로서,
    영상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130)로부터 적어도 2개의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들(141, 142)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 생성기로서, 상기 각각의 영상은 복수 개의 라인을 포함하고, 이들 각각의 라인은 복수 개의 픽셀을 포함하며, 라인의 제1 부분에 포함된 영상 데이터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제1 디스플레이 장치(2)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라인의 제2 부분에 포함된 영상 데이터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제2 디스플레이 장치(4)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인,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 생성기
    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 생성기는,
    상기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130)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 단자와,
    상기 수신된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130)의 각 라인을 제1 부분과 제2 부분으로 분할함으로써, 적어도 2개의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들(141, 142)을 생성하도록 되어 있는 처리 수단으로서, 상기 제1 부분의 영상 데이터는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들(141, 142) 중 제1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141)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부분의 영상 데이터는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들(141, 142) 중 제2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142)를 형성하는 것인, 상기 처리 수단과;
    상기 생성된 적어도 2개의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들(141, 142) 중 상기 제1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141)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제1 디스플레이 장치(2)에 출력하고, 상기 생성된 적어도 2개의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들(141, 142) 중 상기 제2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142)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제2 디스플레이 장치(4)에 출력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출력 단자
    를 포함하는 것인 그래픽 프로세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130)를 생성하기 위한 영상 생성 명령(110)을 수신하기 위한 CPU 입력 단자를 더 포함하는, 그래픽 프로세서.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130)에 병합될 비디오 신호(115, 116)를 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 신호 입력 단자를 더 포함하는, 그래픽 프로세서.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생성 명령(110)은, 영상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명령과, 상기 영상 정보 상에 오버레이될 영상 상호작용 정보(410)를 생성하기 위한 추가의 명령을 포함하는 것인, 그래픽 프로세서.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들(141, 142)의 상기 영상 정보의 각각에 오버레이될 영상 상호작용 정보(410)를 생성하는데 공통으로 사용되는 단일 데이터베이스(401)를 액세스하도록 되어 있는 것인, 그래픽 프로세서.
  31. 별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들(2, 4) 상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130)로부터 적어도 2개의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들(141, 142)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130)는 영상들의 시퀀스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영상은 복수 개의 라인을 포함하고, 이들 각각의 라인은 복수 개의 픽셀을 포함하며, 라인의 제1 부분에 포함된 영상 데이터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제1 디스플레이 장치(2)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라인의 제2 부분에 포함된 영상 데이터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제2 디스플레이 장치(4)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인, 상기 방법은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130)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130)의 각 라인을 제1 부분과 제2 부분으로 분할하여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들(141, 142)을 생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부분의 영상 데이터는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들(141, 142) 중 제1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141)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부분의 영상 데이터는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들(141, 142) 중 제2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142)를 형성하는 것인,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들(141, 142)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들(141, 142) 중 제1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141)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제1 디스플레이 장치(2)에 출력하고, 상기 생성된 적어도 2개의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들(141, 142) 중 제2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142)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제2 디스플레이 장치(4)에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32.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에 할당되는 각각의 영상 부분(230, 240)의 크기는 각각의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141, 142)의 개개의 데이터 레이트에 대응하는 것인, 차량 정보 및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3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들(2, 4)은 별개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인, 차량 정보 및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34. 제26항에 있어서, 메모리(300, 310; 330)와 어드레스 생성 회로(3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300, 310; 330)는 상기 수신된 단일 영상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130)를 버퍼링하며,
    상기 어드레스 생성 회로(320)는 상기 메모리(300, 310; 330)로부터 픽셀 데이터를 판독하거나 또는 상기 메모리(300, 310; 330)에 픽셀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메모리 어드레스를 생성하는 것인, 그래픽 프로세서.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300, 310; 330)는 FIFO인 것인, 그래픽 프로세서.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300, 310; 330)는 라인 메모리인 것인, 그래픽 프로세서.
  37.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300, 310; 330)는 프레임 메모리인 것인, 그래픽 프로세서.
KR1020057013119A 2003-01-17 2004-01-14 별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들 상에 상이한 영상들을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13094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01865 2003-01-17
DE10301865.4 2003-01-17
EP03010399.8 2003-05-08
EP03010399A EP1439455A1 (en) 2003-01-17 2003-05-08 Image display system for displaying different images on separate display devices
PCT/EP2004/000208 WO2004066139A1 (en) 2003-01-17 2004-01-14 Image display system for displaying different images on separate display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2416A KR20050092416A (ko) 2005-09-21
KR101309401B1 true KR101309401B1 (ko) 2013-09-17

Family

ID=32773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3119A KR101309401B1 (ko) 2003-01-17 2004-01-14 별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들 상에 상이한 영상들을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60170689A1 (ko)
EP (1) EP1439455A1 (ko)
JP (1) JP5253734B2 (ko)
KR (1) KR101309401B1 (ko)
CN (1) CN100547538C (ko)
CA (1) CA2511063A1 (ko)
WO (1) WO20040661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67668B2 (en) * 2004-10-08 2010-02-23 Redradio, Inc. Fractional video touch panels
EP1729256B1 (en) * 2005-05-30 2018-03-07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Image processor
JP5276780B2 (ja) * 2006-07-21 2013-08-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地図表示システム
DE102006041935B4 (de) * 2006-09-07 2019-06-06 Volkswagen Ag Verfahren zum Betrieb einer Datenverarbeitungseinrichtung mit kindgerechtem Arbeitsmodus sowie ein entsprechendes Computerprogramm und ein entsprechendes computerlesbares Speichermedium
US8462165B1 (en) * 2007-03-19 2013-06-11 Nvidia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voice control of a graphics hardware processor
US7982620B2 (en) * 2007-05-23 2011-07-19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boredom while driving
EP2107806A1 (en) * 2008-03-31 2009-10-07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Transmitting video and additional information using the image transmission area of a transmission signal
US9684482B2 (en) * 2009-01-13 2017-06-20 Synaptics Incorporated Multi-monitor display system
CN102194439A (zh) * 2010-03-18 2011-09-21 上海大视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超高分辨率输入多输出视频垂直扩展分割装置
JP5501110B2 (ja) * 2010-06-16 2014-05-21 矢崎総業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DE102010038454A1 (de) * 2010-07-27 2012-02-0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nsteuerung einer Anzeigeeinheit eines Fahrzeugs
EP2833354A4 (en) * 2012-03-28 2015-06-17 Panasonic Ip Man Co Ltd INFORMATION DISPLAY DEVICE
FR3020024B1 (fr) * 2014-04-22 2016-04-15 Renault Sa "procede de gestion de l'alimentation electrique d'ecrans de visualisation embarques a bord d'un vehicule automobile"
KR101684939B1 (ko) 2014-11-05 2016-12-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주행모드를 고려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US10203211B1 (en) * 2015-12-18 2019-02-12 Amazon Technologies, Inc. Visual route book data sets
US10613811B2 (en) * 2017-03-13 2020-04-07 Qualcomm Incorporated Driving multiple display devices with a single display port
KR102010456B1 (ko) * 2017-04-05 2019-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202028B2 (en) 2017-04-05 2021-1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configuring multi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7151731B2 (ja) 2018-02-08 2022-10-12 株式会社ソシオネクスト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JP7294507B2 (ja) * 2018-02-08 2023-06-20 株式会社ソシオネクスト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JP2020134817A (ja) * 2019-02-22 2020-08-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表示装置
CN109889877A (zh) * 2019-03-29 2019-06-14 上海势航网络科技有限公司 客车多屏显示控制方法及装置
JP7070505B2 (ja) * 2019-06-04 2022-05-1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制御装置、車両用表示システム、及び車両用表示制御方法
KR200494158Y1 (ko) * 2019-10-29 2021-08-20 주식회사 인터유니크 Lcd 표시장치를 구비한 주차장 입출시스템
CN110955399B (zh) * 2019-11-29 2024-03-01 东软集团股份有限公司 车载显示系统、图像显示方法、存储介质和主机
US11863786B2 (en) * 2021-05-21 2024-01-02 Varjo Technologies Oy Method of transporting a framebuffer
DE102022117854A1 (de) 2022-07-18 2024-01-18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Anzeigen von Umgebungsbildern und/oder Umgebungsvideos eines Fahrzeug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51705B1 (en) * 1999-04-09 2002-02-26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Navigation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displays
US20030098820A1 (en) * 1999-06-14 2003-05-2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Image signal generating apparatus, imag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image signal generating method, image signal transmission method, image display unit, control method for an image display unit, and image display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1418A (en) * 1995-06-07 1998-11-24 Cirrus Logic, Inc. Dual displays having independent resolutions and refresh rates
DE19739284A1 (de) * 1997-09-08 1999-03-11 Siemens Nixdorf Inf Syst System zum Erfassen und Verarbeiten von Benutzer-Eingaben
GB2344713B (en) * 1998-02-10 2003-05-07 Furuno Electric Co Display system
US6331840B1 (en) * 1998-03-27 2001-12-18 Kevin W. Nielson Object-drag continuity between discontinuous touch screens of a single virtual desktop
US6331640B1 (en) * 1998-10-13 2001-12-18 Hoffmann-La Roche Inc. Diaminopropionic acid derivatives
JP2000142274A (ja) * 1998-11-13 2000-05-23 Alpine Electronics Inc 座席センサー連動集中制御装置
US6628243B1 (en) * 1999-12-09 2003-09-30 Seiko Epson Corporation Presenting independent images on multiple display devices from one set of control signals
DE10008498A1 (de) * 2000-02-24 2001-08-30 Mannesmann Vdo Ag Anzeigeanordnung mit mindestens zwei Displaymodulen
KR100350019B1 (ko) * 2000-05-19 2002-08-24 탑헤드 주식회사 다수의 모니터를 구동하기 위한 비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
JP3872275B2 (ja) * 2000-10-27 2007-01-2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画面操作装置
JP4320117B2 (ja) * 2000-11-22 2009-08-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502351B2 (ja) * 2001-06-11 2010-07-1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移動体用電子システム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移動体用電子システム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071897B2 (en) * 2001-07-18 2006-07-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mmersive augmentation for display systems
US7027819B2 (en) * 2001-11-19 2006-04-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location of a mobile radio
US20030191850A1 (en) * 2002-04-08 2003-10-09 Barry Thornton Connecting multiple monitors to a computer using a single cable
US8643788B2 (en) * 2002-04-25 2014-02-04 Sony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US20050040939A1 (en) * 2003-08-21 2005-02-24 Jobes Janard J. Integrated motorcoach management system apparatus and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51705B1 (en) * 1999-04-09 2002-02-26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Navigation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displays
US20030098820A1 (en) * 1999-06-14 2003-05-2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Image signal generating apparatus, imag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image signal generating method, image signal transmission method, image display unit, control method for an image display unit, and image displa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39455A1 (en) 2004-07-21
CA2511063A1 (en) 2004-08-05
CN1739091A (zh) 2006-02-22
US20060170689A1 (en) 2006-08-03
JP5253734B2 (ja) 2013-07-31
KR20050092416A (ko) 2005-09-21
WO2004066139A1 (en) 2004-08-05
CN100547538C (zh) 2009-10-07
JP2006518474A (ja) 2006-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9401B1 (ko) 별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들 상에 상이한 영상들을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US8908096B2 (en) Image output method and device, and image display for displays with different aspect ratios
US678830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video overlay
US6388638B2 (en) Display apparatus and its control method
US20070143798A1 (en) Display replication and control of a portable device via a wireless interface in an automobile
JPWO2007097353A1 (ja)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JP2000004455A (ja) ディスプレイコントロ―ラ及び3次元ディスプレイ並びにクロスト―ク低減方法
US8363162B2 (en) Video display system for a motor vehicle
JP6121131B2 (ja) 多重表示装置
JP2006154759A (ja) 画像補間装置、および表示装置
US7439964B2 (en) Screen display device
JPH111144A (ja) 車載カメラ映像合成透視装置
JP3727961B2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
US6473101B1 (en) Single surface multi-view panning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 displays
JP2006259761A (ja) 車両用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JP2001097119A (ja) 車載カメラ映像合成透視装置
JP2001105974A (ja) 車載カメラ映像合成透視装置
JP2022161977A (ja) 車載システム、車載システムの動作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7002406A (zh) 一种车辆的后排影音娱乐系统
CN117854382A (zh) 防窥显示装置、方法、车辆及相关设备
JP2019082727A (ja) 半導体装置、映像表示システム、及び信号処理方法
CN115756353A (zh) 内容显示方法、装置、车载设备及存储介质
JP2008181035A (ja) マルチ画像表示装置、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9049703A (ja) 2画像供給装置、2画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車両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H08317314A (ja) 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625

Effective date: 201308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