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8933B1 - 롤러 베어링 면진 장치 - Google Patents

롤러 베어링 면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8933B1
KR101308933B1 KR1020110096160A KR20110096160A KR101308933B1 KR 101308933 B1 KR101308933 B1 KR 101308933B1 KR 1020110096160 A KR1020110096160 A KR 1020110096160A KR 20110096160 A KR20110096160 A KR 20110096160A KR 101308933 B1 KR101308933 B1 KR 101308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bearing
flow portion
flow
plate
low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6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2519A (ko
Inventor
임흥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인티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인티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인티시스템
Priority to KR1020110096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8933B1/ko
Publication of KR20130032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2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8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8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04H9/023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and comprising rolling elements, e.g. balls,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6Bearings or like supports allowing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면의 진동 발생시 건물 내부의 시설물 또는 노면 상에 설치된 시설물에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면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와 베어링과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하중을 분산하고, 유동부를 복수 개의 경사각을 갖도록 다단으로 형성하여 지진 발생시 진동의 강도에 관계없이 효율적으로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롤러 베어링 면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롤러 베어링 면진 장치는 노면에 장착되고, 일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하부 유동부를 포함하는 하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하부 유동부와 수직 방향으로 대향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상부 유동부를 포함하는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를 이격시켜 유동시키기 위한 롤러 베어링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 베어링 조립체는 상기 하부 유동부와 상부 유동부의 교차 지점에 각각 위치하는 베어링 고정구; 상기 베어링 고정구의 하부에 결합하여 상기 하부 유동부와 선으로 접촉하여 유동하는 하부 롤러 베어링; 및, 상기 베어링 고정구의 상부에 결합하여 상기 상부 유동부와 선으로 접촉하여 유동하는 복수 개의 상부 롤러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롤러 베어링 면진 장치{ROLLER BEARING TYPE SEISMIC ISOLATOR}
본 발명은 노면의 진동 발생시 건물 내부의 시설물 또는 노면 상에 설치된 시설물에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면진(免振)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와 베어링과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하중을 분산하고, 유동부를 중심으로부터 수평면에 대하여 복수 개의 경사각을 갖도록 다단으로 형성하여 지진 발생시 진동의 강도에 관계없이 효율적으로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롤러 베어링 면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면진 장치는 지진으로 인한 구조물의 전도에 따른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면과 구조물 또는 설치된 시설물 사이에 장착하는 장치를 말한다. 대형 컴퓨터나 통신 장비와 같이 지면에 접하는 면적에 비하여 지면 상에 돌출된 높이가 높아 부피가 상대적으로 크고 정밀 부품이 다수 장착된 시설물의 경우 전도로 인한 파손시에 재활용이 불가능한 치명적인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노면에 면진 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면진 장치의 상부에 지진에 의한 전도를 방지하기 위한 시설물을 설치하게 된다.
면진 장치는 평상시에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지진이 발생하는 경우에 지진에 따른 진동을 흡수하여 시설물을 지진으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볼 베어링 면진 장치의 개략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볼 베어링 면진 장치는 상부 플레이트(200), 하부 플레이트(100) 및, 스틸볼(300)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200)의 하면과 하부 플레이트(100)의 상면에는 복수 개의 유동부(110,210)가 구비되고 하부 플레이트(100)는 노면에 장착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200)에 형성된 상부 유동부(210)와 하부 플레이트(100)에 형성된 하부 유동부(110)는 서로 마주보며 중심부를 향하여 일정한 경사를 가지는 오목 구면 혹은 원추 면의 형상을 가진다. 또한, 상기 유동부(110,210)의 중심에는 스틸볼(300)이 삽입되어 일정 간격 이격시킨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의 상태에서 지진이 발생하게 되면 수평 방향으로 노면의 변위가 발생하고, 하부 플레이트(100)는 노면의 수평 이동 변위에 따라 이동된다. 이때 상부 플레이트(200)는 관성의 법칙에 의하여 초기 상태의 변위를 유지하려 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 플레이트(200)의 상부에 위치하는 구조물 혹은 장비 등에 대하여 지진으로부터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부 유동부(210) 및 하부 유동부(110)의 외주연에는 일정한 높이를 갖는 스틸볼 이탈 방지턱(111,211)을 형성하여 지진 발생시 스틸볼(300)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스틸볼(300)이 상부 유동부(210)와 하부 유동부(110)의 오목 구면 혹은 원추 면의 범위 내에서 유동하게 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구성의 볼 베어링 면진 장치는 스틸볼(300)이 상부 유동부(210) 및 하부 유동부(110) 사이에서 점으로 접촉하게 되어 상부 플레이트(200)의 상부에 위치하는 구조물 또는 장비 등의 하중에 따라 상대면에 과도한 하중이 가해져 변형이 생길 수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구조물 또는 장비 등에 하중의 제한을 두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볼 베어링 면진 장치는 상부 유동부(210) 및 하부 유동부(110)가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지진과 같은 진동 상태에서 하부 플레이트(100)에 대하여 상부 플레이트(200)가 상하로 경사지게 요동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상부 유동부(210) 및 하부 유동부(110)가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지진의 정도에 따라 효과적으로 진동을 흡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71365호의 "일정 진도 이상의 지진에 응답하는 면진 장치"에서는 스틸볼의 일부가 중심부에 삽입되도록 하여 일정 진도 이상의 지진에 대하여만 응답하는 면진 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나,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와 스틸볼이 점으로 접촉하게 되어 과도한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변형이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일정 진도 이상의 지진에 대하여는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곡면에서 스틸볼이 유동하여 진도에 따른 수평 이동 변위가 동일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7136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 유동부 및 하부 유동부와 선으로 접촉하도록 롤러 베어링 조립체를 구성하여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고, 구조물 또는 장비 등에 의하여 가해지는 과도한 하중에 의한 변형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롤러 베어링 면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부 유동부 및 하부 유동부를 중심으로부터 수평면에 대하여 복수 개의 경사각을 갖도록 다단으로 구성하여, 약한 지진뿐만 아니라 강한 지진의 경우에도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상부 플레이트 상에 안치된 구조물 및 시설물을 전도에 의한 파손으로부터 방지할 수 있는 롤러 베어링 면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롤러 베어링 면진 장치는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노면의 진동을 시설물에 전달되지 않도록 분리시켜주는 면진 장치에 있어서, 노면에 장착되고, 일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 하부 유동부를 포함하는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하부 유동부와 수직 방향으로 대향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상부 유동부를 포함하는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를 이격시켜 유동시키기 위한 롤러 베어링 조립체를 포함하고, 롤러 베어링 조립체는 하부 유동부와 상부 유동부의 교차 지점에 각각 위치하는 베어링 고정구와, 상기 베어링 고정구의 하부에 결합하여 상기 하부 유동부와 선으로 접촉하여 유동하는 하부 롤러 베어링과, 상기 상부 유동부와 선으로 접촉하여 유동하는 복수 개의 상부 롤러 베어링 및 상기 각 베어링 고정구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고정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롤러 베어링 면진 장치에 의하면 유동부와 롤러 베어링 사이의 접촉 면적을 늘려 상대면에 가해지는 압력이 감소하여 과도한 하중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마찰 저항이 증가하여 유동부의 중심으로 롤러 베어링의 복귀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롤러 베어링 면진 장치에 의하면 상부 유동부 및 하부 유동부를 다단으로 구성하여 약한 지진의 경우 롤러 베어링이 낮은 경사각을 갖는 1차 내면에서 움직이게 되고, 강한 지진의 경우에는 높은 경사각을 갖는 2차 내면까지 움직이게 되므로, 지진의 강도에 관계없이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진동을 흡수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볼 베어링 면진 장치의 개략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베어링 면진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 베어링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롤러 베어링 면진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유동부 및 하부 유동부가 각각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배열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하부 유동부의 각 단면의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상부 유동부의 각 단면의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 베어링 조립체의 위치에 따라 롤러 베어링 면진 장치가 동작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장점 및 특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베어링 면진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 베어링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롤러 베어링 면진 장치는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노면의 진동을 시설물에 전달되지 않도록 분리시키기 위하여 상기 노면에 장착되고, 일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하부 유동부(22)를 포함하는 하부 플레이트(20), 상기 하부 플레이트(20)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20)의 하부 유동부(22)와 수직 방향으로 대향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상부 유동부(12)를 포함하는 상부 플레이트(10)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20)와 상부 플레이트(1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하부 플레이트(20)와 상부 플레이트(10)를 이격시켜 유동시키기 위한 롤러 베어링 조립체(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롤러 베어링 조립체(30)는 상기 하부 유동부(22)와 상부 유동부(12)의 교차 지점에 각각 위치하는 베어링 고정구(33); 상기 베어링 고정구(33)의 하부에 결합하여 상기 하부 유동부(22)와 선으로 접촉하여 유동하는 하부 롤러 베어링(31b); 및, 상기 베어링 고정구(33)의 상부에 결합하여 상기 상부 유동부(12)와 선으로 접촉하여 유동하는 복수 개의 상부 롤러 베어링(31a)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부 플레이트(20)는 노면에 장착되어 지진 발생시 지진의 충격파에 따라 노면과 함께 수평 이동하는 것으로, 상기 하부 플레이트(20)의 상면에는 복수 개의 하부 유동부(22)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 유동부(22)는 하부 플레이트(20)의 상면에 일 방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유동부(22)에 하부 롤러 베어링(31b)이 안착하여 하부 유동부(22)를 따라 X축 방향으로 유동한다.
종래의 면진 장치의 경우, 유동부 사이에서 스틸볼이 점으로 접촉하여 유동하나, 본 발명에 따른 롤러 베어링 면진 장치는 하부 유동부(22)와 하부 롤러 베어링(31b)이 선으로 접촉하여 종래의 면진 장치에 비하여 접촉 면적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접촉면에 가해지는 압력이 감소하게 되어 과도한 하중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마찰 저항이 증가하여 상기 하부 유동부(22)의 중심으로 하부 롤러 베어링(31b)의 복귀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부 플레이트(10)는 지진 발생시 수평 방향의 변위가 일어나지 않으므로 상기 상부 플레이트(10)의 상부에는 지진으로부터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시설물 또는 장비 등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10)의 하면에는 하부 플레이트(20)의 하부 유동부(22)와 수직 방향으로 대향하여 복수 개의 상부 유동부(12)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 유동부(12)에는 상부 롤러 베어링(31a)이 안착하여 상부 유동부(12)를 따라 Y축 방향으로 유동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부 유동부(12)는 상기한 하부 유동부(22)와 동일하게 상부 롤러 베어링(31a)과 선으로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접촉면에 가해지는 압력이 감소하게 되어 과도한 하중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마찰 저항이 증가하여 상기 상부 유동부(12)의 중심으로 상부 롤러 베어링(31a)의 복귀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롤러 베어링 면진 장치는 상부 플레이트(10) 및 하부 플레이트(20)를 복수 개로 구성하여 모듈화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10) 및 하부 플레이트(20)를 복수 개로 구성하여 모듈화하는 경우, 부피나 중량이 상대적으로 큰 구조물 또는 시설물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면진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고, 본 발명에 따른 롤러 베어링 면진 장치의 운반 및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롤러 베어링 면진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롤러 베어링 면진 장치의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는 각각 상호 대칭되게 분리된 2개의 플레이트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롤러 베어링 면진 장치는 상부 플레이트(10) 및 하부 플레이트(20)가 소정 간격 이격된 2개의 플레이트로 분리되어 구성된다. 이는 상부 플레이트(10)의 상부에 컴퓨터 서버 등 전선 또는 케이블이 연결된 구조물을 위치하는 경우, 상기 케이블 등을 이격된 2개의 플레이트 사이로 지나가게 위치할 수 있게 되어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도면에서는 2개의 플레이트로 구성된 모습을 도시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2개 이상의 분리된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유동부 및 하부 유동부가 각각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배열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롤러 베어링 조립체(30)는 상부 플레이트(10) 하면에 형성되는 상부 유동부(12)와 하부 플레이트(20) 상면에 형성되는 하부 유동부(22)가 수직 교차하는 복수 개의 지점에 베어링 고정구(33)를 위치한다.
상기 베어링 고정구(33)의 하부에는 하부 롤러 베어링(31b)이 하부 유동부(22)를 따라 X축으로 유동하도록 샤프트(32)로 조립되고, 상기 베어링 고정구(33)의 상부에는 상부 롤러 베어링(31a)이 상부 유동부(12)를 따라 Y축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샤프트(32)로 조립된다.
따라서, 상부 롤러 베어링(31a)은 상부 플레이트(10)의 하면에 형성된 상부 유동부(12)에 안착하여 Y축 방향으로 유동하고, 하부 롤러 베어링(31b)은 하부 플레이트(20)의 상면에 형성된 하부 유동부(22)에 안착하여 X축 방향으로 유동하여, 전 방향의 수평 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롤러 베어링 조립체(30)는 하부 플레이트(20)의 하부 유동부(22)와 상부 플레이트(10)의 상부 유동부(12) 사이에 위치하고, 하부 플레이트(20)와 상부 플레이트(10)는 베어링 고정구(33)에 조립된 상부 및 하부 롤러 베어링(31a, 31b)에 의하여 일정 간격 이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롤러 베어링 조립체(30)는 상기한 복수 개의 교차 지점에 각각의 베어링 고정구(33)들이 그 간격을 유지하며 결합할 수 있도록 베어링 고정구(33)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고정바(34)를 더 포함하여, 베어링 고정구(33)에 결합된 상부 및 하부 롤러 베어링(31a, 31b)이 상부 및 하부 유동부(12, 22)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보다 안정적으로 면진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상부 유동부(12) 및 하부 유동부(22)의 배열 모습은 예시적인 것이며, 상부 유동부(12) 및 하부 유동부(22)의 개수, 배열 위치 및 방향을 바꾸어 제작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 상부 유동부(12)와 하부 유동부(22)는 그 형상과 치수를 동일하게 제작하되 구비되는 위치와 방향만 다른 것으로 할 수 있으며, 롤러 베어링 조립체(30)를 뒤집어 제작하여 유동 방향을 바꿀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하부 유동부의 각 단면의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상부 유동부의 각 단면의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유동부(22)는 상부 유동부와 하부 유동부의 교차 지점을 중심으로 V자형으로 대칭 형성되고, 복수 개의 경사각을 갖도록 다단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부 유동부(22)를 다단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약한 지진에서뿐만 아니라 강한 지진의 경우에도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상부 플레이트(10) 상에 안치된 구조물 및 시설물을 전도에 의한 파손으로부터 방지하기 위함이다.
하부 유동부(22)가 중심으로부터 수평면에 대하여 한 개의 경사각을 갖는 경우, 하부 롤러 베어링(31b)이 하부 유동부(22)의 양 단에 부딪혀 면진 기능을 쉽게 상실할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롤러 베어링 면진 장치는 하부 유동부(22)를 다단으로 형성하여 약한 지진의 경우에 하부 롤러 베어링(31b)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사각을 갖는 1차 내면(22a)에서 움직이게 되고, 강한 지진의 경우에는 노면이 더욱 심하게 흔들리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높은 경사각을 갖는 2차 내면(22b)까지 올라가면서 움직이기 때문에 지진의 강도에 따라 하부 롤러 베어링(31b)이 하부 유동부(22)와 접촉하는 부분을 다르게 하여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면진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하부 유동부(22)의 1차 내면(22a)과 2차 내면(22b)은 곡면이 아닌 평탄한 면으로 하여,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비해 지진 발생시 상부 플레이트(10)가 상하로 요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안정적으로 노면의 진동이 시설물에 전달되는 것을 분리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유동부(22)의 외주면에는 X축 방향으로 일정 높이를 갖는 하부 이탈 방지턱(23)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이탈 방지턱(23)은 유동시에 하부 롤러 베어링(31b)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하부 롤러 베어링(31b)이 하부 유동부(22)를 따라 X축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부 유동부(12)는 상기한 하부 유동부(22)와 동일하게 상부 유동부와 하부 유동부의 교차 지점을 중심으로 V자형으로 대칭 형성되고, 복수 개의 경사각을 갖도록 다단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부 유동부(12)의 1차 내면(12a)과 2차 내면(12b) 역시 곡면이 아닌 평탄한 면으로 하여,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면진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유동부(12)의 외주면에는 Y축 방향으로 일정 높이를 갖는 상부 이탈 방지턱(13)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이탈 방지턱(13)은 유동시에 상부 롤러 베어링(31a)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상부 롤러 베어링(31a)이 상부 유동부(12)를 따라 Y축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안내함은 하부 유동부(22)와 동일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 베어링 조립체의 위치에 따라 롤러 베어링 면진 장치가 동작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롤러 베어링 면진 장치는 지진이 발생하여 노면이 X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하부 롤러 베어링(31b)이 상대적으로 노면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노면이 Y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부 롤러 베어링(31a)이 상대적으로 노면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노면이 X축과 Y축의 조합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각각의 방향에 대하여 하부 롤러 베어링(31b)과 상부 롤러 베어링(31a)이 각각 대응되어 이동하게 되고, 상부 플레이트(10)의 수평 방향의 변위가 일어나지 않게 하여 상부에 위치하는 고가의 구조물 또는 장비 등이 지진에 의한 파손으로부터 방지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롤러 베어링(31a)이 상부 유동부(12)에 안착하여 경사면을 따라 상대적으로 유동되면 지진의 정도에 따라 약한 지진에는 a°의 각을 이루는 1차 내면(12a)의 범위 내에서 유동될 것이고, 그 이상의 강한 지진에는 b°의 각을 이루는 2차 내면(12b)의 범위까지 유동될 것이다. 따라서, 지진의 정도에 따라 유동되는 경사면을 달리하여 최대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롤러 베어링(31a) 및 하부 롤러 베어링(31b)이 상부 유동부(12) 및 하부 유동부(22)의 최대 변위 이상까지 유동되는 경우, 상부 롤러 베어링(31a) 및 하부 롤러 베어링(31b)이 상부 유동부(12) 및 하부 유동부(22)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유동부(12) 및 하부 유동부(22)의 양단에 일정 높이를 갖는 상부 스토퍼(11) 및 하부 스토퍼(21)를 각각 형성할 수 있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플레이트(20)를 소정 간격 이격된 2개의 플레이트로 분리하여 구성하는 경우, 상기 하부 플레이트(20)의 상면에 형성되는 하부 유동부(22) 또한 2개로 분리되어 구성된다. 이 경우, 각각의 하부 유동부(22)의 외측 일단에 하부 유동부가 형성되며, 이는 상부 플레이트(10) 및 상부 유동부(12)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롤러 베어링 면진 장치는 상부 유동부(12)의 최대 변위에서 베어링 고정구(33)가 상부 스토퍼(11)와 접촉하게 되고, 하부 유동부(22)의 최대 변위에서 베어링 고정구(33)가 베어링 고정구(33)가 하부 스토퍼(21)와 각각 접촉하게 된다. 이때 수평 방향 이동의 갑작스런 정지로 인한 충격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롤러 베어링 조립체(30)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기(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완충기(35)는 상기 롤러 베어링 조립체(30)가 상부 스토퍼(11) 및 하부 스토퍼(21)과 접촉하는 면에 조립되며, 완충 댐퍼 또는 탄성 스프링 등으로 구성하여 충격을 흡수하며, 상부 롤러 베어링(31a) 및 하부 롤러 베어링(31b)이 최대 변위 이상 유동되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0: 상부 플레이트 11: 상부 스토퍼
12: 상부 유동부 13: 상부 이탈 방지턱
20: 하부 플레이트 21: 하부 스토퍼
22: 하부 유동부 23: 하부 이탈 방지턱
30: 롤러 베어링 조립체 31a: 상부 롤러 베어링
31b: 하부 롤러 베어링 32: 샤프트
33: 베어링 고정구 34: 고정바
35: 완충기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노면의 진동을 시설물에 전달되지 않도록 분리시켜주는 면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면에 장착되고, 일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 하부 유동부를 포함하는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하부 유동부와 수직 방향으로 대향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상부 유동부를 포함하는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를 이격시켜 유동시키기 위한 롤러 베어링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 베어링 조립체는 상기 하부 유동부와 상부 유동부의 교차 지점에 각각 위치하는 베어링 고정구와, 상기 베어링 고정구의 하부에 결합하여 상기 하부 유동부와 선으로 접촉하여 유동하는 하부 롤러 베어링과, 상기 상부 유동부와 선으로 접촉하여 유동하는 복수 개의 상부 롤러 베어링 및 상기 각 베어링 고정구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고정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베어링 면진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유동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상부 롤러 베어링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유동부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높이를 갖는 상부 이탈 방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유동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하부 롤러 베어링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유동부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높이를 갖는 하부 이탈 방지턱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베어링 면진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유동부 및 상부 유동부의 양단에는 일정 높이를 갖는 하부 스토퍼 및 상부 스토퍼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롤러 베어링 조립체는 상기 하부 유동부 및 상부 유동부의 최대 변위에서 상기 하부 스토퍼 및 상부 스토퍼와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베어링 면진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유동부 및 하부 유동부는 상기 상부 유동부와 상기 하부 유동부의 교차 지점을 중심으로 V자형으로 대칭 형성되고, 복수 개의 경사각을 갖도록 다단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베어링 면진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각은 중심으로부터 수평면에 대하여 1차 내면의 경사각(a°)보다 2차 내면의 경사각(b°)이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베어링 면진 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 각각은 다수 개의 플레이트로 분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베어링 면진 장치.
KR1020110096160A 2011-09-23 2011-09-23 롤러 베어링 면진 장치 KR101308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160A KR101308933B1 (ko) 2011-09-23 2011-09-23 롤러 베어링 면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160A KR101308933B1 (ko) 2011-09-23 2011-09-23 롤러 베어링 면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519A KR20130032519A (ko) 2013-04-02
KR101308933B1 true KR101308933B1 (ko) 2013-09-23

Family

ID=48435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6160A KR101308933B1 (ko) 2011-09-23 2011-09-23 롤러 베어링 면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89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126A (ko) 2015-06-29 2017-01-06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복원형 지반격리 면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2877B1 (ko) * 2018-04-27 2019-01-29 주식회사 다드림 납골안치단
KR102221203B1 (ko) * 2020-09-02 2021-03-02 이디에스 주식회사 미세진동 트리거 및 수평유지구조의 케이블 인입이 용이한 구조를 갖춘 ai 기반 진동저감 모니터링 장치
KR102252360B1 (ko) * 2020-11-02 2021-05-14 주식회사 에스피케이 펌프용 면진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4569B1 (ko) * 2001-05-04 2004-01-07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방향성 롤링마찰진자 지진격리장치와 그에 사용되는롤러이동 조립체
JP2006037546A (ja) * 2004-07-28 2006-02-09 Nobuyoshi Kaneko 建物の免震構造
KR20110004680U (ko) * 2009-11-04 2011-05-12 (주)엔타이어세이프 다단의 내면을 지니는 볼 베어링 면진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4569B1 (ko) * 2001-05-04 2004-01-07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방향성 롤링마찰진자 지진격리장치와 그에 사용되는롤러이동 조립체
JP2006037546A (ja) * 2004-07-28 2006-02-09 Nobuyoshi Kaneko 建物の免震構造
KR20110004680U (ko) * 2009-11-04 2011-05-12 (주)엔타이어세이프 다단의 내면을 지니는 볼 베어링 면진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126A (ko) 2015-06-29 2017-01-06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복원형 지반격리 면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519A (ko) 2013-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6890B1 (ko) 상하굴절형 방진패드 및 이를 구비한 내진 배전반
KR101308933B1 (ko) 롤러 베어링 면진 장치
US6572071B1 (en) Shock eliminator
US9394967B2 (en) Three-dimensional shock-absorbing device
US11136779B2 (en) Seismic isolation device
KR101162687B1 (ko) 면진장치
KR100956487B1 (ko) 댐핑장치가 구비된 면진장치
KR101864954B1 (ko) 내진기능을 구비한 배전반
US11002032B2 (en) Self-centring and energy-dissipating seismic isolation device and system of the elastomeric-frictional type
KR102038804B1 (ko) 이탈방지홈이 형성된 면진장치 및 그 면진장치의 조립구조체
KR101963588B1 (ko) 방진용 연결장치
JP2015190583A (ja) 免震装置
KR101232906B1 (ko) 진동감쇠 마찰기구 및 이를 이용한 면진장치
KR101331489B1 (ko) 지진격리용 교량받침
JP2017502182A (ja) 多角形免震システム
KR102125231B1 (ko) 면진모듈 및 이를 적용한 가설교량
KR100402372B1 (ko) 방향성 마찰진자 지진격리장치
CN117178127A (zh) 一种隔震装置
US10948042B2 (en) Shock and vibration isolator/absorber/suspension/mount utilizing as a resilient element a closed loop resilient element
KR101984895B1 (ko) 면진장치
JP2018091035A (ja) 建築用オイルダンパーの取付構造
KR20110004680U (ko) 다단의 내면을 지니는 볼 베어링 면진 장치
KR100679637B1 (ko) 핀 댐퍼 방식의 교좌장치
KR102212660B1 (ko) 교량용 탄성 받침
KR101876286B1 (ko) 다발성 탄성복원형 면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