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8608B1 - 에너지 침의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 Google Patents

에너지 침의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8608B1
KR101308608B1 KR1020120052699A KR20120052699A KR101308608B1 KR 101308608 B1 KR101308608 B1 KR 101308608B1 KR 1020120052699 A KR1020120052699 A KR 1020120052699A KR 20120052699 A KR20120052699 A KR 20120052699A KR 101308608 B1 KR101308608 B1 KR 101308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eramic body
needle
energy
f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2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녹십초 알로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945614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30860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녹십초 알로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녹십초 알로에
Priority to KR1020120052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86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8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8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9Acupun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H39/086Acupuncture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5Warming the body, e.g. hyperthermia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0068Ingredients with a function or property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03/00
    • C04B2103/0097Anion- and far-infrared-emitting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836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for medical or dental applic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at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pidemiology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 침의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올라이트 18~45중량%, 황토 10~20중량%, 청맥반석 8~12중량%, 황맥반석 8~12중량%, 모나자이트 8~10중량%, 게르마늄 8~10중량%, 카올린 4~10중량%, 흑운모 2~8중량%, 화강암 2~8중량%, 석고 1~8중량%, 금 1~8중량%, 은 1~8중량% 및 동 1~8중량%의 혼합물에 물을 가한 후 그 내부에 가열 수단이 위치할 수 있도록 성형하여 세라믹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세라믹체 내부에 막대 형상의 히터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세라믹체를 300~400℃로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세라믹체가 방출하는 원적외선을 침에 조사하는 단계
를 포함함으로써, 장기간동안 회전전자파를 방출하여 침 시술시 뇌척수염 발병을 지연시키고 마비 지속시간을 감소시키며, 뇌척수염 동물모델의 척수조직에서 염증성세포와 보조 T세포의 수를 현저히 감소시키는 에너지 침의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에너지 침의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energy needle}
본 발명은 회전전자파를 방출하는 에너지 침의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회전전자파는 파장이 큰 회전전자파와 파장이 작은 회전전자파의 구성으로 창조되는 것이고, 그 파장의 범위는 무한히 작은 것에서 무한히 큰 상태로 양자화되어 있는 상태이다.
회전방향의 회전전자파를 음, 양이란 측면과 오행이란 측면을 분리하여 생각하면 음은 에너지를 받는 성질을 말하고 양은 에너지를 주는 쪽을 말하는 것으로 회전방향(음과 양)의 상태를 오행의 상생상극의 관계로 비교해 보면, 회전전자파의 방출로 상대방의 물체가 결합되는 경우를 상생이라고 하고, 반대로 상대방의 물체가 분해되는 경우를 상극이라 하며, 즉 상생상극은 물질에 회전전자파를 공급하면 물질의 결합을 도와주거나 방해하여 분해시키는 관계로 설명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회전운동을 하는 회전전자파(氣)의 작용이 계속적 반복 작용에 의해 에너지 흐름에 방해되는 에너지를 몰아내고 흐름을 정상화시켜 생체 및 물질 활동을 활성화하는 작용으로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예컨대 섬유나 물질 표면에 닿는 유해 전자파를 회전전자파로 변화시켜 그 유해성을 없애주는 기술도 생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결국 회전전자파의 운동 방향(교번 자기장 방향)의 효율적 발생은 원적외선 등의 전자파가 공급되면 회전전자파가 생성되므로 이것에 의하여 우리에게 특수한 기술적 성질을 제공하게 된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회전전자파(氣)의 방출은 일상생활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지만, 종래에는 이러한 회전전자파 방출물질은 광석에서 얻었다. 그러나 광물성 하나하나만으로는 고른 분포로 방사와 방출을 기대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 2005-0088526호에는 원적외선과 회전전자파를 동시에 방출하는 활성탄소합성물 및 그 활성탄소 합성물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 2005-0088526호
본 발명은 회전전자파를 방출하여 침 시술시 뇌척수염 억제능이 있는 에너지 침의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제올라이트 18~45중량%, 황토 10~20중량%, 청맥반석 8~12중량%, 황맥반석 8~12중량%, 모나자이트 8~10중량%, 게르마늄 8~10중량%, 카올린 4~10중량%, 흑운모 2~8중량%, 화강암 2~8중량%, 석고 1~8중량%, 금 1~8중량%, 은 1~8중량% 및 동 1~8중량%의 혼합물에 물을 가한 후 그 내부에 가열 수단이 위치할 수 있도록 성형하여 세라믹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세라믹체 내부에 막대 형상의 히터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세라믹체를 300~400℃로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세라믹체가 방출하는 원적외선을 침에 조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에너지 침의 제조방법.
2. 위 1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이 침에 조사된 후에, 상기 침에 가시광선 및 적외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광을 조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에너지 침의 제조방법.
3. 위 1에 있어서, 상기 히터를 삽입한 후에 상기 세라믹체에 코일 형태로 열선을 감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에너지 침의 제조방법.
4. 위 2에 있어서, 상기 가시광선은 파장이 500~600 nm이고, 상기 적외선은 파장이 3,000~15,000nm인 에너지 침의 제조방법.
5. 위 1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체를 300~400℃로 가열하는 단계 전에 상기 세라믹체의 외부에 열 차단막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에너지 침의 제조방법.
6. 침이 놓여지는 침 수용부; 및 상기 침에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원적외선 조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적외선 조사부는 제올라이트 18~45중량%, 황토 10~20중량%, 청맥반석 8~12중량%, 황맥반석 8~12중량%, 모나자이트 8~10중량%, 게르마늄 8~10중량%, 카올린 4~10중량%, 흑운모 2~8중량%, 화강암 2~8중량%, 석고 1~8중량%, 금 1~8중량%, 은 1~8중량% 및 동 1~8중량%로 이루어진 세라믹체와, 상기 세라믹체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세라믹체에 열을 공급하는 막대 히터로 이루어지는,
에너지 침의 제조 장치.
7. 위 6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조사부는 세라믹체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열 차단막을 더 포함하는 에너지 침의 제조 장치.
8. 위 6에 있어서, 원적외선이 조사된 침에 가시광선을 조사하는 가시광선 조사부를 더 포함하는 에너지 침의 제조 장치.
9. 위 6에 있어서, 원적외선이 조사된 침에 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외선 조사부를 더 포함하는 에너지 침의 제조 장치.
10. 위 8 또는 9에 있어서, 상기 침을 상기 가시광선 조사부 또는 적외선 조사부로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에너지 침의 제조 장치.
11. 위 6에 있어서, 상기 막대 히터는 2개 이상인 에너지 침의 제조 장치.
12. 위 6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조사부는 상기 세라믹체에 감겨진 코일형태의 열선을 더 포함하는 에너지 침의 제조 장치.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에너지 침은 장기간동안 회전전자파를 방출하여 침 시술시 뇌척수염 발병을 지연시키고 마비 지속시간을 감소시키며, 뇌척수염 동물모델의 척수조직에서 염증성세포와 보조 T세포의 수를 현저히 감소시킨다.
도 1은 침을 놓은 혈 자리와 실험 개요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소혈청 단백질로 유도된 EAE 흰쥐 모델에서 에너지 침의 효과를 임상스코어 및 마비 지속시간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급성뇌척수염(EAE)을 유도한 흰쥐 척수 조직에서의 염증성 세포와 CD4+ T 세포의 침윤에 미치는 에너지 침의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에너지침의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올라이트 18~45중량%, 황토 10~20중량%, 청맥반석 8~12중량%, 황맥반석 8~12중량%, 모나자이트 8~10중량%, 게르마늄 8~10중량%, 카올린 4~10중량%, 흑운모 2~8중량%, 화강암 2~8중량%, 석고 1~8중량%, 금 1~8중량%, 은 1~8중량% 및 동 1~8중량%의 혼합물에 물을 가한 후 그 내부에 가열 수단이 위치할 수 있도록 성형하여 세라믹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세라믹체 내부에 막대 형상의 히터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세라믹체를 300~400℃로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세라믹체가 방출하는 원적외선을 침에 조사하는 단계
를 포함함으로써, 장기간동안 회전전자파를 방출하여 침 시술시 뇌척수염 발병을 지연시키고 마비 지속시간을 감소시키며, 뇌척수염 동물모델의 척수조직에서 염증성세포와 보조 T세포의 수를 현저히 감소시키는 에너지 침의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에너지침을 얻기 위해서 일단, 제올라이트 18~45중량%, 황토 10~20중량%, 청맥반석 8~12중량%, 황맥반석 8~12중량%, 모나자이트 8~10중량%, 게르마늄 8~10중량%, 카올린 4~10중량%, 흑운모 2~8중량%, 화강암 2~8중량%, 석고 1~8중량%, 금 1~8중량%, 은 1~8중량% 및 동 1~8중량%의 혼합물에 물을 가한 후 그 내부에 가열 수단이 위치할 수 있도록 성형하여 세라믹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거친다.
더 바람직하게는 제올라이트 분말 25~34중량%, 황토 11~17중량%, 청맥반석 분말 9~10중량%, 황맥반석 9~10중량%, 모나자이트 분말 9~10중량%, 게르마늄 분말 9~10중량%, 카올린 5~7중량%, 흑운모 분말 3~6중량%, 화강암 분말 3~6중량%, 석고 2~6중량%, 금 분말 2~6중량%, 은 분말 2~6중량% 및 동 분말 2~6중량%로 혼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비율의 혼합물을 고속회전 배합기에 넣어 반죽이 가능한 정도로 소정 량의 물과 함께 반죽형태로 혼합한다.
혼합 후, 그 내부에 가열 수단이 위치할 수 있도록 성형한다.
상기 세라믹체는 다양한 형상을 가지도록 성형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구형, 원통형, 다면체 및 다각형 통구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성형 제조 후, 상기 세라믹체 내부에 막대 형상의 히터를 삽입하고 성형물을 열풍건조에 의해 2~3일 동안 건조시켜 수분을 제거하고, 1050℃ 내지 1100℃의 고열 처리하여 단단하게 굳혀 세라믹체를 얻거나, 열풍건조와 고열처리 이후에 막대 형상의 히터를 삽입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세라믹체를 300~400℃로 가열하는 단계를 거친다.
히터가 상기 세라믹체에 열을 전달하면 세라믹체 자체가 흑체복사 방식의 복사를 하게 된다. 통상 약 300~400℃로 가열할 때 인체가 가장 잘 흡수하는 원적외선 복사 강도가 최대가 되는바, 상기 세라믹체를 300~400℃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세라믹체가 방출하는 원적외선을 침에 조사하는 단계를 거쳐 얻을 수 있다.
원적외선의 조사시간은 침에 원적외선이 축적되도록 충분히 수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180분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에너지 침의 제조방법은 상기 원적외선이 침에 조사된 후에, 상기 침에 가시광선 및 적외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광을 조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를 더 포함함으로써 침의 회전전자파 방출효과가 상승하고 지속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상기 가시광선은 파장 400-750nm의 가시광선을 조사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파장 500-600nm의 가시광선을 조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가시광선의 조사시간은 침이 회전전자파를 장기간 동안 방출할 수 있도록 충분히 수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180분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피조사체에 조사되는 적외선은 파장 3,000~15,000nm의 적외선일 수 있고, 파장 760∼1,400nm, 1,400∼10,000nm 및 10,000∼100,000nm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적외선을 소용돌이 일으킨 적외선일 수 있다.
적외선 소용돌이는 적외역 스크류에 의해 달성된다. 적외역 스크류는 수평운동과 수직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기구로서 광학 분야에 잘 알려져 있으며, 통상적으로 모터와 볼스크류로 구성되어 있다. 적외역 스크류는 이를 통과하는 적외선을 비틀어 소용돌이를 일으킨다. 적외역 스크류에 의해 비틀어진 적외선은 피조사체 흡수되어 피조사체 물질분자의 진동상태 변화와 에너지 천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여 피조사체의 회전전자파 방출효과를 극대화시킨다.
상기 적외선의 조사시간은 침이 회전전자파를 장기간 동안 방출할 수 있도록 충분히 수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180분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에너지 침의 제조방법은 상기 히터를 삽입한 후에 상기 세라믹체에 코일 형태로 열선을 감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코일 형태의 열선은 세라믹체의 외주면을 따라 감기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세라믹체의 외부에서도 열을 가하여, 세라믹체의 가열 시간이 단축되고 세라믹체를 균등하게 가열하여 원적외선이 세라믹체의 전면에서 균등하게 방사되어 에너지 침에 조사되므로, 침이 회전전자파를 균등하게 방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에너지 침의 제조 방법은 상기 세라믹체를 300~400℃로 가열하는 단계 전에 상기 세라믹체의 외부에 열 차단막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열 차단막은 세라믹체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는데, 외부로 유출되는 열을 차단하고 내부의 고열을 손실 없이 유지하여 세라믹체가 보다 효율적으로 가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에너지 침의 제조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에너지 침의 제조 장치는
침이 놓여지는 침 수용부; 및 상기 침에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원적외선 조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적외선 조사부는 제올라이트 18~45중량%, 황토 10~20중량%, 청맥반석 8~12중량%, 황맥반석 8~12중량%, 모나자이트 8~10중량%, 게르마늄 8~10중량%, 카올린 4~10중량%, 흑운모 2~8중량%, 화강암 2~8중량%, 석고 1~8중량%, 금 1~8중량%, 은 1~8중량% 및 동 1~8중량%로 이루어진 세라믹체와, 상기 세라믹체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세라믹체에 열을 공급하는 막대형상의 히터로 이루어진다.
침 수용부는 원적외선 조사부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이 침에 충분히 조사될 수 있도록 원적외선 조사부와 적절한 거리를 두고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원적외선 조사부의 세라믹체가 히터에 의해 가열되므로 내열성이 강한 재질이 바람직하다.
원적외선 조사부의 세라믹체는 구형, 원통형, 다면체 및 다각형 통구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막대형상의 히터는 세라믹체의 내부의 히터삽입구에 삽입되어 전류의 공급에 따라 세라믹체를 300~400℃로 가열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에너지 침 제조 장치에서, 상기 원적외선 조사부는 세라믹체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열 차단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 차단막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열전도율이 낮고 내열성이 강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단열재로 쓰이는 재질로 이용 가능하다.
상기 열 차단막은 외부로 유출되는 열을 차단하고 내부의 고열을 손실 없이 유지하여, 세라믹체가 보다 효율적으로 가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에너지침의 제조 장치는, 원적외선이 조사된 침에 가시광선을 조사하는 가시광선 조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시광선 조사부는 전류가 공급되어 광원이 켜지면, 가시광선을 조광캡에 의해 집속하여 피조사체에 조사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에너지침의 제조 장치는, 원적외선이 조사된 침에 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외선 조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조사부는 전류가 공급되어 광원이 켜지면, 가시광선을 조광캡에 의해 집속하여 피조사체에 조사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에너지침의 제조 장치는 침을 상기 가시광선 조사부 또는 적외선 조사부로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는 원적외선을 조사받은 침을 가시광선 또는 적외선을 조사받을 수 있도록 조사부로 이송하는 기능을 하며, 수용부가 이송되는 이송로 및 상기 이송로를 타고 상기 수용부가 이송되도록 이송력을 인가하는 동력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에너지침의 제조 장치는, 원적외선 조사부의 세라믹체 내부에 삽입되는 막대형상의 히터가 2개 이상일 수 있다.
2개 이상의 히터를 포함함으로써 세라믹체의 가열시간을 단축시키고 보다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에너지침의 제조 장치는, 원적외선 조사부의 세라믹체에 감겨진 코일형태의 열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일 형태의 열선은 세라믹체의 외주면을 따라 감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세라믹체의 외부에서도 열을 가하여 세라믹체의 가열 시간이 단축되고, 세라믹체를 균등하게 가열하여 원적외선이 세라믹체의 전면에서 균등하게 방사되어, 침이 회전전자파를 균등하게 방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에너지침의 제조
제올라이트 30중량%, 황토 13중량%, 청맥반석 10중량%, 황맥반석 9중량%, 모나자이트 8중량%, 게르마늄 8중량%, 카올린 5중량%, 흑운모 4중량%, 화강암 4중량%, 석고 2중량%, 금 2중량%, 은 2중량% 및 동 3중량%의 비율로 혼합하고 물을 넣어 고속회전 배합기에서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그 내부에 가열 수단이 위치할 수 있도록 성형 제조하고 2일간 열풍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였다. 건조된 성형물을 1100℃로 열처리하여 세라믹체를 얻었다. 이후 세라믹체의 내부에 막대 형상의 히터를 삽입하고 세라믹체를 350℃로 가열하여 세라믹체가 방출하는 원적외선을 침에 60분간 조사하여 회전전자파를 방출하는 에너지 침을 얻었다.
실시예 2. 에너지 침의 제조
세라믹체를 제올라이트 29중량%, 황토 11중량%, 청맥반석 9중량%, 황맥반석 9중량%, 모나자이트 9중량%, 게르마늄 9중량%, 카올린 6중량%, 흑운모 4중량%, 화강암 4중량%, 석고 2중량%, 금 3중량%, 은 2중량% 및 동 3중량%로 혼합하여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너지 침을 제조하였다.
이후 7000nm 파장의 적외선을 집속하여 50분간 침에 조사하여 회전전자파를 방출하는 에너지 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에너지 침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너지 침을 제조하고, 이후 550nm 파장의 가시광선을 집속하여 50분간 침에 조사하여 회전전자파를 방출하는 에너지 침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흰쥐 급성 뇌척수염(Experimental allergic encephalomyelitis; EAE) 모델에서 에너지 침의 행동학적 효과
실험에 사용된 침은 녹십초(Seoul, Republic of Korea)에서 제공받아 진행하였다. 에너지 침은 아주대학교 기계공학과 회전전자파 연구팀의 오흥국 교수에 의해 검증받아 실험에 진행하였다.
실험동물은 암컷 Lewis 흰쥐(160~200g, 7~12주령)를 Japan SLC, Inc. (Shizuoka, Japan)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실험동물들은 한 케이지 당 5~10마리씩 사육하였으며, 실험기간 동안 사육장내 온도와 습도를 22±1℃와 55±1%로 유지하였다.
실험에서 각 그룹의 흰쥐는 발바닥 뒷부분 양쪽에 동량의 소혈청에서 얻은 신경관련 단백질과 뇌척수염(EAE)을 유발시킬 수 있는 물질을 (Mycobacterium tuberculosis H37Ra, 5mg/ml; Difco, Detroit, MI) 주입하였고, 소혈청 단백질은 도살장으로부터 얻은 소의 척수로부터 추출하였다. 반복된 실험으로 동량의 소혈청 단백질과 뇌척수염 유발 물질이 가벼운 정도의 뇌척수염을 유발시키는 것을 관찰하였다.
사용된 침들은 소상(少商, Shoshang, LU11)과 중충(中衝, zhongchong, PC9) 침자리에 시술하였다(도1 A 참조). 침은 길이 35.0mm, 지름 0.20 mm이며 피부에서 수직으로 삽입하였고, 15회 회전시켰다. 흰쥐는 EAE 유발 후 1일째부터 12일째까지 침 시술을 받았다. 대조군 동물은 침 대신 압력만 받았다.
흰쥐의 급성 뇌척수염 모델에서 침의 조절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일반 침과 에너지 침을 면역처리 시작일부터 12일까지 매일 수행하였다. 뇌척수염 유발시 마비의 발생 정도는 13마리 중 11마리에서 마비가 일어난 뇌척수염 대조군, 15마리 중 12마리에서 마비가 일어난 뇌척수염+일반침군에 비교하였을 때, 뇌척수염+에너지 침 그룹에서 13마리 중 3마리에서 마비가 일어나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뇌척수염 관련 마비 증상의 첫 발병일이 12.2±0.2일인 뇌척수염 대조군, 12일인 뇌척수염+일반침에 비해 뇌척수염+에너지 침 그룹에서 15.5±1.5일로 유의적으로 지연되었다(p<0.05)(표 1 참조). 또한 뇌척수염+에너지 침 그룹에서 마비의 지속시간과 최대 임상스코어도 뇌척수염 대조군과 뇌척수염+일반침 그룹에 비해 감소하였다(도 2 및 표 1 참조).
뇌척수염이 발병된 흰쥐의 비율 최초 발병일 마비지속시간(일)
뇌척수염 대조군 12/15 12.2±0.2 5.5±0.2
뇌척수염+일반침 11/13 12±0 3.6±1.1
뇌척수염+에너지 침 3/13 15.5±1.5 1.5±0.5
실험예 2. EAE 척수 조직에서 염증성 세포와 CD4 + T 세포의 침윤에 미치는 에너지 침의 효과
뇌척수염 발병유도를 하지 않은 흰쥐와 유도를 시킨 흰쥐의 염증성 세포의 침윤 정도를 척수절편에서 비교하였다.
뇌척수염+에너지 침그룹(EAE + QA)에서 염증성 세포가 침윤된 수가 42.3±4.7로, 354.3±69.8인 뇌척수염 대조군(EAE)과 123.7±5.9인 뇌척수염+일반침 그룹(EAE + GA)에 비해 현저히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뇌척수염 모델과 에너지 침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뇌척수염이 유발된 흰쥐의 척수 원추 부분에서 CD4+ T 세포를 면역조직화학법을 통해 관찰하고 그 개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뇌척수염이 유발된 흰쥐(EAE)에서 CD4+ T 세포의 수가 354.7±36.4로 현저히 증가하였고 , 이 증가한 세포의 수가 에너지 침 그룹(EAE + QA)에서 41.0±3.2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도 3 참조).
이러한 결과는 본 실험 모델에서 일반 침이 아닌 에너지 침이 EAE 흰쥐 모델에서 마비성 행동을 약화시키는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Claims (12)

  1. 제올라이트 18~45중량%, 황토 10~20중량%, 청맥반석 8~12중량%, 황맥반석 8~12중량%, 모나자이트 8~10중량%, 게르마늄 8~10중량%, 카올린 4~10중량%, 흑운모 2~8중량%, 화강암 2~8중량%, 석고 1~8중량%, 금 1~8중량%, 은 1~8중량% 및 동 1~8중량%의 혼합물에 물을 가한 후 그 내부에 가열 수단이 위치할 수 있도록 성형하여 세라믹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세라믹체 내부에 막대 형상의 히터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세라믹체를 300~400℃로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세라믹체가 방출하는 원적외선을 침에 조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에너지 침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이 침에 조사된 후에, 상기 침에 가시광선 및 적외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광을 조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에너지 침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히터를 삽입한 후에 상기 세라믹체에 코일 형태로 열선을 감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에너지 침의 제조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시광선은 파장이 500~600 nm이고, 상기 적외선은 파장이 3,000~15,000nm인 에너지 침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체를 300~400℃로 가열하는 단계 전에 상기 세라믹체의 외부에 열 차단막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에너지 침의 제조방법.
  6. 침이 놓여지는 침 수용부; 및 상기 침에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원적외선 조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적외선 조사부는 제올라이트 18~45중량%, 황토 10~20중량%, 청맥반석 8~12중량%, 황맥반석 8~12중량%, 모나자이트 8~10중량%, 게르마늄 8~10중량%, 카올린 4~10중량%, 흑운모 2~8중량%, 화강암 2~8중량%, 석고 1~8중량%, 금 1~8중량%, 은 1~8중량% 및 동 1~8중량%로 이루어진 세라믹체와, 상기 세라믹체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세라믹체에 열을 공급하는 막대형상의 히터로 이루어지는,
    에너지 침의 제조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조사부는 세라믹체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열 차단막을 더 포함하는 에너지 침의 제조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원적외선이 조사된 침에 가시광선을 조사하는 가시광선 조사부를 더 포함하는 에너지 침의 제조 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원적외선이 조사된 침에 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외선 조사부를 더 포함하는 에너지 침의 제조 장치.
  10. 청구항 8 또는 9에 있어서, 상기 침을 상기 가시광선 조사부 또는 적외선 조사부로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에너지 침의 제조 장치.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막대 히터는 2개 이상인 에너지 침의 제조 장치.
  12.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조사부는 상기 세라믹체에 감겨진 코일형태의 열선을 더 포함하는 에너지 침의 제조 장치.
KR1020120052699A 2012-05-17 2012-05-17 에너지 침의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KR101308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699A KR101308608B1 (ko) 2012-05-17 2012-05-17 에너지 침의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699A KR101308608B1 (ko) 2012-05-17 2012-05-17 에너지 침의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8608B1 true KR101308608B1 (ko) 2013-09-23

Family

ID=49456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2699A KR101308608B1 (ko) 2012-05-17 2012-05-17 에너지 침의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86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4514B1 (ko) * 1998-02-21 2006-05-29 아. 몬포르츠 텍스틸마쉬넨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건조 및 고정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6734U (ko) * 1993-12-30 1995-07-20 김부길 침구시술 보조용 원적외선방사 세라믹히터판
KR960010240U (ko) * 1994-09-15 1996-04-12 세탁기용 로터금형의 이중 취출장치
KR200192965Y1 (ko) * 2000-03-13 2000-08-16 문유환 원적외선 침
KR200343039Y1 (ko) * 2003-11-04 2004-02-25 임동기 침상형 원적외선 치료기
KR20050088526A (ko) * 2004-03-02 2005-09-07 유희재 원적외선과 회전전자파를 동시에 방출하는 활성탄소합성물 및 그 활성탄소 합성물의 제조방법
KR100520001B1 (ko) * 2005-06-23 2005-10-12 이경복 은나노 무전자파 수맥 차단 돌 침대
KR101017392B1 (ko) * 2010-05-11 2011-02-25 (주)유 바이오메드 마이크로 니들형 적외선 피부자극기
KR101105724B1 (ko) * 2010-11-03 2012-01-17 주식회사 에코마인 두피 및 모발용 광학 치료기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6734U (ko) * 1993-12-30 1995-07-20 김부길 침구시술 보조용 원적외선방사 세라믹히터판
KR960010240U (ko) * 1994-09-15 1996-04-12 세탁기용 로터금형의 이중 취출장치
KR200192965Y1 (ko) * 2000-03-13 2000-08-16 문유환 원적외선 침
KR200343039Y1 (ko) * 2003-11-04 2004-02-25 임동기 침상형 원적외선 치료기
KR20050088526A (ko) * 2004-03-02 2005-09-07 유희재 원적외선과 회전전자파를 동시에 방출하는 활성탄소합성물 및 그 활성탄소 합성물의 제조방법
KR100520001B1 (ko) * 2005-06-23 2005-10-12 이경복 은나노 무전자파 수맥 차단 돌 침대
KR101017392B1 (ko) * 2010-05-11 2011-02-25 (주)유 바이오메드 마이크로 니들형 적외선 피부자극기
KR101105724B1 (ko) * 2010-11-03 2012-01-17 주식회사 에코마인 두피 및 모발용 광학 치료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4514B1 (ko) * 1998-02-21 2006-05-29 아. 몬포르츠 텍스틸마쉬넨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건조 및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3886B1 (ko)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세라믹 과립형 분체 및 이를 이용한 고밀도 물리치료석 제조방법
KR101549344B1 (ko) 세라믹이 코팅된 저에너지 고효율 기능성 발열선
KR101059950B1 (ko) 반려동물 케어 램프
KR100907656B1 (ko) 의료기기용 바이오 세라믹의 제조방법.
KR101308608B1 (ko) 에너지 침의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CN110003660A (zh) 一种太赫兹硅胶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US20050171584A1 (en) Heating devices and apparatuses employing far infrared radiation and negative ions
KR102191656B1 (ko) 다양한 용도가 부여된 건강에 유익한 성형체 조성물
KR101355656B1 (ko) 파동 에너지를 이용한 침 시술 장치
KR102441245B1 (ko) 온열치료용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스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세라믹스를 이용한 온열치료용 벨트
CN87103603A (zh) 人体频谱匹配效应场治疗装置及生产方法
CN104353117B (zh) 一种使骨水泥后续产生热量的方法
KR101870611B1 (ko) 저온 화상 모델의 제조 장치
KR101491117B1 (ko) 건강 매트
TWI415647B (zh) Energy stone manufacturing method
KR200243983Y1 (ko) 참숯 온열 치료기
KR102297627B1 (ko) 원적외선 방출 세라믹 조성물(ndc)과 초음파를 이용한 염증 완화 및 개선용 장치
KR102297628B1 (ko) 원적외선 방출 세라믹 조성물(ndc)과 초음파를 이용한 관절염으로 손상된 골조직의 개선 및 치료용 장치
KR100678584B1 (ko) 천연소재를 이용한 기능성 바닥재의 제조방법
KR20040092665A (ko) 원기체
KR101640515B1 (ko) 옥과 은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장신구와 이를 제조하는 방법
JPH0474125A (ja) 温熱療法用加温補助材
KR200398222Y1 (ko)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고밀도 세라믹 물리치료석
KR200327455Y1 (ko) 뜸질용 팩
KR20230064692A (ko) 원적외선 방사 기능을 가지는 블랙 알루미나 세라믹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6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0004291;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81223

Effective date: 2019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