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8418B1 - 관세 통합품목 분류코드 기반 제품 수요/공급 연결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관세 통합품목 분류코드 기반 제품 수요/공급 연결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8418B1
KR101308418B1 KR1020120043350A KR20120043350A KR101308418B1 KR 101308418 B1 KR101308418 B1 KR 101308418B1 KR 1020120043350 A KR1020120043350 A KR 1020120043350A KR 20120043350 A KR20120043350 A KR 20120043350A KR 101308418 B1 KR101308418 B1 KR 101308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demand
information
trade
supply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3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종석
이혁재
이방래
안세정
정현상
문영호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43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8418B1/ko
Priority to PCT/KR2012/003694 priority patent/WO2013162112A1/ko
Priority to US14/396,343 priority patent/US2015033239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8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8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echnology Law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세 통합품목 분류코드 기반 제품 수요/공급 연결망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그 방법은, 제품 수요/공급 연결망 서비스를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기술시장 연계분석 장치의 관세 통합품목 분류코드 기반 제품 수요/공급 연결망 서비스 방법으로서, (a)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통신망을 통해 무역정보 제공장치로부터 관세제품 통합품목 분류코드 기반 품목들을 가져오는 단계; (b)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상기 가져 온 품목들을 HS 코드에 기반하여 데이터셋(dataset)으로 분류하는 단계; (c)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상기 데이터셋으로 분류된 품목들을 전방지향적 또는 후방지향적 수요/공급 연결망의 계층적 구조로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상기 전방지향적 또는 후방지향적 수요/공급 연결망의 계층적 구조에 근거해 수출입 관련 제품의 교역량 정보를 제공하거나, 화학물질등록(CAS) 번호(number)와 기술특허번호 및 제품규제 정보를 제공하거나, 교역대상국 및 지역별 품목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관세 통합품목 분류코드 기반 제품 수요/공급 연결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of product demand/supply network based on Harmonized System Code}
본 발명은 관세 통합품목 분류코드 기반 제품 수요/공급 연결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국제 통일상품 분류체계(Harmonized Commodity Description and Coding System)에 따라 대외 무역거래 상품을 총괄적으로 분류한 품목분류 코드인 HS 코드를 기반으로 무역 상품을 구분하되, 각 무역 상품 간의 관계가 제품의 원료, 제품의 중간체, 제품의 완성체로 연결되도록 하여 제품의 원료에 의해 어떤 완성체가 이루어졌는지 알 수 있도록 전방지향적 수요/공급 연결망의 계층적 구조로 제공하거나, 제품의 완성체가 어떤 과정으로 이루어졌는지 알 수 있도록 후방지향적 수요/공급 연결망의 계층적 구조로 제공하는 것이다.
최근에 인터넷의 활용이 점차 확대되고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공간 속에 커뮤니티 등이 형성되면서 점점 더 중요해지는 것 중의 하나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집적하여 이를 활용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는 인터넷을 통한 쌍방향 정보교류가 집적되고 관리되지 못한 채, 개별 사이트들만의 노력에 의해서만 유지되고 그 사이트를 알고 있거나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이용자들만이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렇게 얻을 수 있는 정보도 그 사이트 이용자라는 물리적 한계로 인해 만족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하게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즉, 현재까지의 지식 공유 시스템은 종래의 인터넷의 방식, 즉, 웹 게시판 등을 이용하여 구축되고, 그 게시판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사람들에 의해서 그 사이트 내에서만 검색되며 그 사이트 제공자의 업무 성격에 따라 내용이 일정하게 제한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네트워크의 발달과 더불어 인터넷 등을 통해 제공되는 지식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따라서 정작 사용자에게 필요한 지식을 찾고자 할 때의 탐색 과정에 드는 노력과 비용에 있어서의 비효율성과 고비용을 제거하기 위하여 공유 가능한 지식 데이터베이스의 필요성이 강력히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환경하에서, 우수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비용과 인력이 조직적이고 계획적으로 투여되어야 하는 바, 사용자의 자발적인 참여에 의한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할 수 있는 효율적인 시스템이 요구되어 왔다.
한편, 제품의 수요 및 공급 연결망 구현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는 구축된 개별 제품에 대한 용도 및 구성요소의 조합적 및 계층적 특성이 반영되어야 가능한 것으로서, 현재의 IT 기술 수준에서 인공지능 및 시멘틱 기술의 시도가 있으나 그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사례는 없었다.
한국등록특허 제407,033호 (등록일 : 2003년11월13일)
전술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국제 통일상품 분류체계에 따라 대외 무역거래 상품을 총괄적으로 분류한 품목분류 코드인 HS 코드를 기반으로 무역 상품을 구분하되, 각 무역 상품 간의 관계가 제품의 원료, 제품의 중간체, 제품의 완성체로 연결되도록 하여 제품의 원료에 의해 어떤 완성체가 이루어졌는지 알 수 있도록 전방지향적 수요/공급 연결망의 계층적 구조로 제공하거나, 제품의 완성체가 어떤 과정으로 이루어졌는지 알 수 있도록 후방지향적 수요/공급 연결망의 계층적 구조로 제공하는 관세 통합품목 분류코드 기반 제품 수요/공급 연결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품 수요/공급 연결망 서비스를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기술시장 연계분석 장치의 관세 통합품목 분류코드 기반 제품 수요/공급 연결망 서비스 방법으로서, (a)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통신망을 통해 무역정보 제공장치로부터 관세제품 통합품목 분류코드 기반 품목들을 가져오는 단계; (b)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상기 가져 온 품목들을 HS 코드에 기반하여 데이터셋(dataset)으로 분류하는 단계; (c)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상기 데이터셋으로 분류된 품목들을 전방지향적 또는 후방지향적 수요/공급 연결망의 계층적 구조로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상기 전방지향적 또는 후방지향적 수요/공급 연결망의 계층적 구조에 근거해 수출입 관련 제품의 교역량 정보를 제공하거나, 화학물질등록(CAS) 번호(number)와 기술특허번호 및 제품규제 정보를 제공하거나, 교역대상국 및 지역별 품목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술시장 연계분석 장치의 관세 통합품목 분류코드 기반 제품 수요/공급 연결망 서비스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상기 품목을 지역이나 용도, 지정품목에 따라 데이터셋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상기 전방지향적 수요/공급 연결망 또는 후방지향적 수요/공급 연결망을 선택할 수 있는 계층적 구조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지향적 수요/공급 연결망의 계층적 구조는 상기 제품의 품목이 원료, 중간체/부분체, 완성체로 연결되어 제품의 원료에 의해 어떤 완성체가 이루어졌는지 알 수 있도록 한 구조이고, 상기 후방지향적 수요/공급 연결망의 계층적 구조는 상기 제품의 완성체가 어떤 과정으로 이루어졌는지 알 수 있도록 연결한 구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쿼리조합 또는 낱말조합에 따라 수출입 관련 제품의 교역량 정보를 제공하거나, 화학물질등록(CAS) 번호(number)와 기술특허번호 및 제품규제 정보를 제공하거나, 교역대상국 및 지역별 품목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무역정보 제공장치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관세 통합품목 분류코드를 포함하는 무역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무역정보에서 관세 통합품목 분류코드 기반 품목들을 가져와 HS 코드에 기반하여 데이터셋(dataset)으로 분류하는 데이터 분류부; 상기 데이터셋으로 분류된 품목들을 전방지향적 또는 후방지향적 수요/공급 연결망의 계층적 구조로 생성하는 연결망구조 생성부; 및 상기 전방지향적 또는 후방지향적 수요/공급 연결망의 계층적 구조에 근거해 수출입 관련 제품의 교역량 정보를 제공하거나, 화학물질등록(CAS:chemical abstract service registry) 번호(number)와 기술특허번호 및 제품규제 정보를 제공하거나, 교역대상국 및 지역별 품목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는 관세 통합품목 분류코드 기반 제품 수요/공급 연결망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정보 수집부는, 상기 제품 수요/공급 연결망에 소요되는 정보에 대해, 특허정보 제공장치로부터 특허정보, 화학정보 제공장치로부터 CAS 번호, 제조기업 정보제공 장치로부터 제조기업 정보도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분류부는, 상기 품목을 지역이나 용도, 지정품목에 따라 데이터셋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망구조 생성부는, 상기 전방지향적 수요/공급 연결망 또는 후방지향적 수요/공급 연결망을 선택할 수 있는 계층적 구조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지향적 수요/공급 연결망의 계층적 구조는 상기 제품의 품목이 원료, 중간체/부분체, 완성체로 연결되어 제품의 원료에 의해 어떤 완성체가 이루어졌는지 알 수 있도록 한 구조이고, 상기 후방지향적 수요/공급 연결망의 계층적 구조는 상기 제품의 완성체가 어떤 과정으로 이루어졌는지 알 수 있도록 연결한 구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쿼리조합 또는 낱말조합에 따라 수출입 관련 제품의 교역량 정보를 제공하거나, 화학물질등록(CAS) 번호(number)와 기술특허번호 및 제품규제 정보를 제공하거나, 교역대상국 및 지역별 품목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검색하고자 하는 제품에 대한 수요 및 공급 연결망을 통해 특허 정보와 무역 정보, 화학 정보 및 제조기업 정보 등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관세 통합품목 분류코드에 기반한 제품의 수요/공급 연결망을 제공할수 있고, 사용자는 검색하고자 하는 제품에 대해 전방지향적 또는 후방지향적 수요/공급 연결망의 계층적 구조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검색하고자 하는 제품의 원료와 중간체/부분체 및 완성체에 대한 정보 현황과 관련된 산업 기술 정보를 빠른 시간 내에 확인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기술개발 및 시장 동향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세 통합품목 분류코드 기반 제품 수요/공급 연결망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시장연계 분석장치의 기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시장연계 분석장치의 관세 통합품목 분류코드 기반 제품 수요/공급 연결망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무역 관련 정보들을 HS 코드에 근거해 다수의 데이터셋으로 분류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방지향적 수요/공급 연결망의 계층적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방지향적 수요/공급 연결망의 계층적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품 수요/공급 연결망 서비스에 이용하는 각 정보들이 HS 코드로 매칭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세 통합품목 분류코드 기반 제품 수요/공급 연결망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세 통합품목 분류코드 기반 제품 수요/공급 연결망 서비스 시스템(100)은, 특허정보 제공장치(110)와 무역정보 제공장치(120), 화학정보 제공장치(130), 기업정보 제공장치(140), 기술시장연계 분석장치(150) 및 제품용도 제공장치(160) 등을 포함한다.
이때, 기술시장연계 분석장치(15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품 수요/공급 연결망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구축한 데이터베이스에 근거해 기술시장과 연계된 분석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이를 위해 특허정보 제공장치(110)와 무역정보 제공장치(120), 화학정보 제공장치(130) 및 제조기업정보 제공장치(140)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한다.
여기서, 기술시장연계 분석장치(150)는 통신망을 통해 무역정보 제공장치(120)로부터 관세 제품 통합품목 분류코드 기반 품목들을 가져오고, 가져 온 품목들을 HS(Harmonized System Code)에 기반하여 데이터셋(dataset)으로 분류하며, 데이터셋으로 분류된 품목들을 전방지향적 또는 후방지향적 수요/공급 연결망의 계층적 구조로 생성하며, 전방지향적 또는 후방지향적 수요/공급 연결망의 계층적 구조에 근거해 수출입 관련 제품의 교역량 정보를 제공하거나, 화학물질등록(CAS:Chemical Abstract Service registry) 번호와 기술특허번호 및 제품규제 정보를 제공하거나, 교역 대상국 및 지역별 품목을 제공한다. 이 경우에 기술시장연계 분석장치(150)는 쿼리조합 또는 낱말조합에 따라 수출입 관련 제품의 교역량 정보를 제공하거나, 화학물질등록(CAS) 번호와 기술특허번호 및 제품규제 정보를 제공하거나, 교역 대상국 및 지역별 품목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특허정보 제공장치(110)는 특허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각 국의 특허청이나 민간단체 등에서 특허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컴퓨터 등이 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대한민국의 경우 키프리스(Kipris), 윕스(Wips)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무역정보 제공장치(120)는 예를 들면, 각 국의 무역 기관, 무역 연구원, 무역 단체, 무역 협회에서 무역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컴퓨터 등이 될 수 있으며, 특히 무역에 관련된 정보 중 무역 제품에 대한 HS 코드(Harmonized System Code)를 제공한다.
또한, 화학정보 제공장치(130)는 예를 들면, 각 국의 화학기관, 화학 단체, 화학 연구원, 화학 협회에서 화학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해 주는 서버 컴퓨터 등이 될 수 있으며, 특히 화학에 관련된 정보 중 해당 제품에 대한 CAS 번호(Chemical Abstract Service registry number)를 제공한다.
또한, 기업정보 제공장치(140)는 제조기업에 관련된 정보, 예를 들면, 기업명칭, 설립일, 직원수, 연간매출, 제조품목, 수출품목 등을 제공하는 서버 컴퓨터 등이 될 수 있다. 기업정보 제공장치(140)의 한 예로 상장업체나 코스닥 업체의 기업정보를 제공하는 증권거래소의 서버 컴퓨터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기술시장연계 분석장치(15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품 수요/공급 연결망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해, 통신망을 통해 특허 정보, 무역 정보, 화학 정보 및 제조기업 정보를 가지고 온 후 HS 코드를 기반으로 각 정보를 매칭시키고, 매칭된 각 정보를 전방지향적 또는 후방지향적 수요/공급 연결망의 계층적 구조로 데이터베이스 저장소에 저장하여, 제품에 대한 용도 및 구성품의 조합적, 계층적 특성이 반영된 제품 수요/공급 연결망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게 된다.
또한, 제품용도 제공장치(160)는 제조기업에서 제조한 제품이나 유통기업에서 유통되는 제품의 용도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각 제품의 용도를 제공해 주는 서버나 기관과 기술적으로 연계하여 그 곳으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가져와 기술시장연계 분석장치(150) 등으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망은 인터넷을 포함하는 유선 통신망과, WCDMA나 LTE 등의 이동 통신망, 지그비(Zigbee)나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통신망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시장연계 분석장치의 기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시장연계 분석장치(150)는, 통신부(210), 정보 수집부(220), 데이터 분류부(230), 연결망구조 생성부(240), 데이터베이스 저장소(250) 및 서비스 제공부(260) 등을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통신망을 통해 특허정보 제공장치(110)와 무역정보 제공장치(120), 화학정보 제공장치(130) 및 제조기업정보 제공장치(140) 등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 기능을 담당하는 하드웨어적 구성이다.
정보 수집부(220)는 특허정보 제공장치(110)와 무역정보 제공장치(120), 화학정보 제공장치(130) 및 제조기업정보 제공장치(140)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제품 수요/공급 연결망에 소요되는 관련 정보를 수집한다.
즉, 정보 수집부(220)는, 무역정보 제공장치(120)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관세 통합품목 분류코드(Harmonized System Code)를 포함하는 무역 정보를 수집한다. 또한, 정보 수집부(220)는 화학정보 제공장치(130)로부터 CAS 번호, 제조기업정보 제공장치(140)로부터 제조기업 정보 등을 수집할 수 있다.
이어, 데이터 분류부(230)는 무역 정보에서 관세 통합품목 분류코드 기반 품목들을 가져와 HS 코드에 기반하여 데이터셋(dataset)으로 분류한다. 이때, 데이터 분류부(230)는 지역이나 용도, 지정품목에 따라 데이터셋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어, 연결망구조 생성부(240)는 데이터셋으로 분류된 품목들을 전방지향적 또는 후방지향적 수요/공급 연결망의 계층적 구조로 생성하게 된다. 이때, 연결망구조 생성부(240)는 전방지향적 또는 후방지향적 수요/공급 연결망을 선택할 수 있는 계층적 구조로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전방지향적 수요/공급 연결망의 계층적 구조는 제품의 품목이 원료로부터 중간체(부분체)의 과정을 거쳐 완성체로 연결되는 구조로써, 제품의 원료에 의해 어떤 완성체가 이루어졌는지 알 수 있도록 한 구조라 할 수 있다.
또한, 후방지향적 수요/공급 연결망의 계층적 구조는 전방지향적 의미와 반대 방향의 개념으로, 제품의 품목에 대한 완성체가 어떤 과정으로 이루어졌는지 알 수 있도록 연결한 구조라 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저장소(250)는 통신망을 통해 특허정보 제공장치(110)로부터 가져 온 특허정보, 무역정보 제공장치(120)로부터 가져 온 HS 코드, 화학정보 제공장치(130)로부터 가져 온 CAS 번호, 제조기업정보 제공장치(140)로부터 가져 온 제조기업 정보를 저장하고, 또한 전방지향적 또는 후방지향적 수요/공급 연결망의 계층적 구조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서비스 제공부(260)는 본 발명에 따른 관세 통합품목 분류코드 기반 제품 수요/공급 연결망 서비스를 제어하는 하드웨어적 구성으로, 예를 들면,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현할 수 있으며, 전방지향적 또는 후방지향적 수요/공급 연결망의 계층적 구조에 근거해 수출입 관련 제품의 교역량 정보를 제공하거나, 화학물질등록(CAS) 번호와 기술특허번호 및 제품규제 정보를 제공하거나, 교역 대상국 및 지역별 품목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서비스 제공부(260)는 쿼리 조합 또는 낱말 조합에 따라 수출입 관련 제품의 교역량 정보를 제공하거나, 화학물질등록(CAS) 번호와 기술특허번호 및 제품규제 정보를 제공하거나, 교역 대상국 및 지역별 품목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시장연계 분석장치의 관세 통합품목 분류코드 기반 제품 수요/공급 연결망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시장연계 분석장치(150)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해당하는 서비스 제공부(260)가 통신망을 통해 무역정보 제공장치(120)로부터 관세 제품 통합품목 분류코드 기반 품목들을 가져온다(S310).
즉, 기술시장연계 분석장치(150)의 서비스 제공부(260)는 제품 수요/공급 연결망 서비스를 위해 무역정보 제공장치(120)로부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HS 코드를 포함하는 무역정보를 가져오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무역 관련 정보들을 HS 코드에 근거해 다수의 데이터셋으로 분류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무역정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에 대한 HS 코드, 수출량, 수출가격, 수입량, 수입가격, 지역, 교역대상국, 각 지역명 등을 포함한다.
이때, 기술시장연계 분석장치(15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품 수요/공급 연결망 서비스를 위해 특허정보 제공장치(110)로부터 출원번호, 출원인, 출원년도, IPC 분류, 발명자, 주소, 국가, 명칭, 초록 등을 포함하는 특허정보를 가져올 수 있고, 화학정보 제공장치(130)로부터 CAS 번호, 용도 대분류, 용도 중분류, 용도 소분류 등을 포함하는 화학정보를 가져올 수 있으며, 기업정보 제공장치(140)로부터 각 기업에 관한 정보들을 가져올 수 있다.
이어, 서비스 제공부(240)는 가져 온 품목들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HS 코드(Harmonized System Code)에 기반하여 데이터셋(dataset)으로 분류한다(S320).
즉, 서비스 제공부(240)는 무역정보 제공장치(120)로부터 가져 온 품목들에 대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역정보의 HS 코드에 근거해 전체품목에 관한 데이터셋(dataset A), 지정품목에 관한 데이터셋(dataset B), 지역대상에 관한 데이터셋(dataset C), 용도지정에 관한 데이터셋(dataset D) 등 다수의 데이터셋으로 분류한다.
이어, 서비스 제공부(240)는 데이터셋으로 분류된 품목들을 전방지향적 또는 후방지향적 수요/공급 연결망의 계층적 구조로 생성한다(S330).
이때, 서비스 제공부(240)는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전방지향적 수요/공급 연결망 또는 후방지향적 수요/공급 연결망을 선택할 수 있는 계층적 구조로 생성하게 된다.
여기서, 전방지향적 수요/공급 연결망의 계층적 구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의 품목이 원료로부터 중간체(부분체) 과정을 경유해 완성체로 연결되도록 하여, 제품의 원료로부터 최종적으로 어떤 완성체가 이루어졌는지 알 수 있도록 한 구조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방지향적 수요/공급 연결망의 계층적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지향적 수요/공급 연결망의 계층적 구조는 예를 들면, HS 코드번호(HSC#)가 'B'인 제품2(Product 2)는 HS 코드번호(HSC#)가 'A'인 원료 제품1(Product 1)로부터 완성되었음을 알 수 있고, HS 코드번호(HSC#)가 'D'인 제품4(Product 4)는 원료에 해당하는 HS 코드번호(HSC#)가 'A'인 제품1(Product 1)로부터 완성되었고, HS 코드번호(HSC#)가 'F'인 제품6(Product 6)도 HS 코드번호(HSC#)가 'A'인 제품1(Product 1)로부터 완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HS 코드번호(HSC#)가 'G'인 제품7(Product 7)도 원료에 해당하는 HS 코드번호(HSC#)가 'A'인 제품1(Product 1)로부터 완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후방지향적 수요/공급 연결망의 계층적 구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지향적 계층적 구조의 연결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제품의 완성체가 어떤 과정으로 이루어졌는지 알 수 있도록 연결한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방지향적 수요/공급 연결망의 계층적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지향적 수요/공급 연결망의 계층적 구조는 예를 들면, HS 코드번호(HSC#)가 'F'인 제품6(Product 6)은 중간체에 해당하는 제품5(Product 5, HSC#:E)와 제품3(Product 3, HSC#:C)을 경유하여, 원료에 해당하고 HS 코드번호(HSC#)가 'A'인 제품1(Product 1)로부터 완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HS 코드번호(HSC#)가 'G'인 제품7(Product 7)도 중간체에 해당하는 제품5(Product 5, HSC#:E)와 제품3(Product 3, HSC#:C)을 경유하여, 원료에 해당하고 HS 코드번호(HSC#)가 'A'인 제품1(Product 1)로부터 완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부(260)는 전방지향적 또는 후방지향적 수요/공급 연결망의 계층적 구조에 근거해 수출입 관련 제품의 교역량 정보를 제공하거나, 화학물질등록(CAS) 번호와 기술특허번호 및 제품규제 정보를 제공하거나, 교역 대상국 및 지역별 품목을 제공하게 된다(S340).
이때, 서비스 제공부(260)는 관리자나 사용자 등으로부터 쿼리나 낱말을 입력받아서, 입력받은 쿼리 조합이나 낱말 조합에 따라 수출입 관련 제품의 교역량 정보를 제공하거나, 화학물질등록(CAS) 번호와 기술특허번호 및 제품규제 정보를 제공하거나, 교역 대상국 및 지역별 품목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술시장연계 분석장치(1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역정보와 화학정보, 특허정보 및 기업정보 등이 HS 코드로 매칭되어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품 수요/공급 연결망 서비스에 이용하는 각 정보들이 HS 코드로 매칭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서, 특허 정보는 출원번호, 출원인, 출원년도, IPC 분류, 발명자, 주소, 국가, 명칭, 초록 등을 포함하고, 무역 정보의 경우에는 수출량, 수출가격, 수입량, 수입가격, 지역, 교역대상국 등을 포함하며, 화학 정보의 경우 CAS 번호, 용도 대분류, 용도 중분류, 용도 소분류 등을 포함한다. 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특허정보와 무역정보, 화학정보, 기업정보 등은 HS 코드(Harmonized System Code)를 기준으로 매칭되어 있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부(260)는 전방지향적 또는 후방지향적 수요/공급 연결망의 계층적 구조에 근거해 전술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 수출입 관련 제품의 교역량 정보를 제공하거나, 화학물질등록(CAS) 번호와 기술특허번호 및 제품규제 정보를 제공하거나, 교역 대상국 및 지역별 품목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국제 통일상품 분류체계에 따라 대외 무역거래 상품을 총괄적으로 분류한 품목분류 코드인 HS 코드를 기반으로 무역 상품을 구분하되, 각 무역 상품 간의 관계가 제품의 원료, 제품의 중간체, 제품의 완성체로 연결되도록 하여 제품의 원료에 의해 어떤 완성체가 이루어졌는지 알 수 있도록 전방지향적 수요/공급 연결망의 계층적 구조로 제공하거나, 제품의 완성체가 어떤 과정으로 이루어졌는지 알 수 있도록 후방지향적 수요/공급 연결망의 계층적 구조로 제공하는 관세 통합품목 분류코드 기반 제품 수요/공급 연결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국제 통일상품 분류체계에 따라 대외 무역거래 상품을 총괄적으로 분류한 품목분류 코드인 HS 코드를 기반으로 무역 상품을 구분하되, 각 무역 상품 간의 관계가 제품의 원료, 제품의 중간체, 제품의 완성체로 연결되도록 하여 제품의 원료에 의해 어떤 완성체가 이루어졌는지 알 수 있도록 전방지향적 수요/공급 연결망의 계층적 구조로 제공하거나, 제품의 완성체가 어떤 과정으로 이루어졌는지 알 수 있도록 후방지향적 수요/공급 연결망의 계층적 구조로 제공하는 관세 통합품목 분류코드 기반 제품 수요/공급 연결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100 : 관세 통합품목 분류코드 기반 제품 수요/공급 연결망 서비스 시스템
110 : 특허정보 제공장치 120 : 무역정보 제공장치
130 : 화학정보 제공장치 140 : 제조기업정보 제공장치
150 : 기술시장연계 분석장치 210 : 통신부
220 : 정보 수집부 230 : 데이터 분류부
240 : 연결망구조 생성부 250 : 데이터베이스 저장소
260 : 서비스 제공부

Claims (11)

  1. 제품 수요/공급 연결망 서비스를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기술시장 연계분석 장치의 관세 통합품목 분류코드 기반 제품 수요/공급 연결망 서비스 방법으로서,
    (a)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통신망을 통해 무역정보 제공장치로부터 관세제품 통합품목 분류코드 기반 품목들을 가져오는 단계;
    (b)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상기 가져 온 품목들을 HS 코드(Harmonized System Code)에 기반하여 데이터셋(dataset)으로 분류하는 단계;
    (c)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상기 데이터셋으로 분류된 품목들을 전방지향적 또는 후방지향적 수요/공급 연결망의 계층적 구조로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상기 전방지향적 또는 후방지향적 수요/공급 연결망의 계층적 구조에 근거해 수출입 관련 제품의 교역량 정보를 제공하거나, 화학물질등록(CAS:chemical abstract service registry) 번호(number)와 기술특허번호 및 제품규제 정보를 제공하거나, 교역대상국 및 지역별 품목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기술시장 연계분석 장치의 관세 통합품목 분류코드 기반 제품 수요/공급 연결망 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상기 품목을 지역이나 용도, 지정품목에 따라 데이터셋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시장 연계분석 장치의 관세 통합품목 분류코드 기반 제품 수요/공급 연결망 서비스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상기 전방지향적 수요/공급 연결망 또는 후방지향적 수요/공급 연결망을 선택할 수 있는 계층적 구조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시장 연계분석 장치의 관세 통합품목 분류코드 기반 제품 수요/공급 연결망 서비스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지향적 수요/공급 연결망의 계층적 구조는 상기 제품의 품목이 원료, 중간체/부분체, 완성체로 연결되어 제품의 원료에 의해 어떤 완성체가 이루어졌는지 알 수 있도록 한 구조이고, 상기 후방지향적 수요/공급 연결망의 계층적 구조는 상기 제품의 완성체가 어떤 과정으로 이루어졌는지 알 수 있도록 연결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시장 연계분석 장치의 관세 통합품목 분류코드 기반 제품 수요/공급 연결망 서비스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쿼리조합 또는 낱말조합에 따라 수출입 관련 제품의 교역량 정보를 제공하거나, 화학물질등록(CAS) 번호(number)와 기술특허번호 및 제품규제 정보를 제공하거나, 교역대상국 및 지역별 품목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시장 연계분석 장치의 관세 통합품목 분류코드 기반 제품 수요/공급 연결망 서비스 방법.
  6. 무역정보 제공장치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관세 통합품목 분류코드(Harmonized System Code)를 포함하는 무역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무역정보에서 관세 통합품목 분류코드 기반 품목들을 가져와 HS 코드에 기반하여 데이터셋(dataset)으로 분류하는 데이터 분류부;
    상기 데이터셋으로 분류된 품목들을 전방지향적 또는 후방지향적 수요/공급 연결망의 계층적 구조로 생성하는 연결망구조 생성부; 및
    상기 전방지향적 또는 후방지향적 수요/공급 연결망의 계층적 구조에 근거해 수출입 관련 제품의 교역량 정보를 제공하거나, 화학물질등록(CAS:chemical abstract service registry) 번호(number)와 기술특허번호 및 제품규제 정보를 제공하거나, 교역대상국 및 지역별 품목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
    를 포함하는 관세 통합품목 분류코드 기반 제품 수요/공급 연결망 서비스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부는, 상기 제품 수요/공급 연결망에 소요되는 정보에 대해, 특허정보 제공장치로부터 특허정보, 화학정보 제공장치로부터 CAS 번호, 제조기업 정보제공 장치로부터 제조기업 정보도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세 통합품목 분류코드 기반 제품 수요/공급 연결망 서비스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류부는, 상기 품목을 지역이나 용도, 지정품목에 따라 데이터셋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세 통합품목 분류코드 기반 제품 수요/공급 연결망 서비스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망구조 생성부는, 상기 전방지향적 수요/공급 연결망 또는 후방지향적 수요/공급 연결망을 선택할 수 있는 계층적 구조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세 통합품목 분류코드 기반 제품 수요/공급 연결망 서비스 시스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지향적 수요/공급 연결망의 계층적 구조는 상기 제품의 품목이 원료, 중간체/부분체, 완성체로 연결되어 제품의 원료에 의해 어떤 완성체가 이루어졌는지 알 수 있도록 한 구조이고, 상기 후방지향적 수요/공급 연결망의 계층적 구조는 상기 제품의 완성체가 어떤 과정으로 이루어졌는지 알 수 있도록 연결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세 통합품목 분류코드 기반 제품 수요/공급 연결망 서비스 시스템.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쿼리조합 또는 낱말조합에 따라 수출입 관련 제품의 교역량 정보를 제공하거나, 화학물질등록(CAS) 번호(number)와 기술특허번호 및 제품규제 정보를 제공하거나, 교역대상국 및 지역별 품목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세 통합품목 분류코드 기반 제품 수요/공급 연결망 서비스 시스템.
KR1020120043350A 2012-04-25 2012-04-25 관세 통합품목 분류코드 기반 제품 수요/공급 연결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308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350A KR101308418B1 (ko) 2012-04-25 2012-04-25 관세 통합품목 분류코드 기반 제품 수요/공급 연결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PCT/KR2012/003694 WO2013162112A1 (ko) 2012-04-25 2012-05-11 관세 통합품목 분류코드 기반 제품 수요/공급 연결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14/396,343 US20150332394A1 (en) 2012-04-25 2012-05-11 Method and system for product demand/supply connection network service based on tariff-harmonized commodity description cod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350A KR101308418B1 (ko) 2012-04-25 2012-04-25 관세 통합품목 분류코드 기반 제품 수요/공급 연결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8418B1 true KR101308418B1 (ko) 2013-09-16

Family

ID=49456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3350A KR101308418B1 (ko) 2012-04-25 2012-04-25 관세 통합품목 분류코드 기반 제품 수요/공급 연결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332394A1 (ko)
KR (1) KR101308418B1 (ko)
WO (1) WO20131621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862B1 (ko) * 2012-06-21 2014-06-11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제품 수요/공급 연결망을 통한 기술시장 분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N108694600A (zh) * 2017-04-10 2018-10-23 北京智慧联合科技有限公司 一种为目标企业推荐上下游企业群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6006A (ko) * 2001-09-24 2003-03-31 한국신용평가정보주식회사 표준상품코드에 의한 상품정보 입력 및 검색방법
KR20050017869A (ko) * 2003-08-11 2005-02-23 (주)비아 글로벌 기획과 연구를 위한 전략적 지식관리 시스템 및 서비스
KR20090002871A (ko) * 2007-07-04 2009-01-09 최정훈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실시간 원자재 시세 및 제품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10121014A (ko) * 2010-04-30 2011-11-07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무역역조현황 추적 진단 및 특허기술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56419B1 (en) * 2000-05-05 2008-04-08 Cambridgesoft Corporation Deriving product information
WO2002027612A1 (en) * 2000-09-27 2002-04-04 Church Diana L On-line ingredient exchange system and method
US8725594B1 (en) * 2001-06-19 2014-05-13 Ptc Inc. Continuous flow execution
EP2212839A4 (en) * 2007-11-14 2012-06-27 Panjiva Inc ASSESSMENT OF PUBLIC PROTOCOLS OF DELIVERY TRANSACTIONS
US9412079B2 (en) * 2008-11-07 2016-08-09 Jda Software Group, Inc. System and method of scenario versioning
KR101259414B1 (ko) * 2012-03-20 2013-05-10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제품 수요/공급 연결망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6006A (ko) * 2001-09-24 2003-03-31 한국신용평가정보주식회사 표준상품코드에 의한 상품정보 입력 및 검색방법
KR20050017869A (ko) * 2003-08-11 2005-02-23 (주)비아 글로벌 기획과 연구를 위한 전략적 지식관리 시스템 및 서비스
KR20090002871A (ko) * 2007-07-04 2009-01-09 최정훈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실시간 원자재 시세 및 제품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10121014A (ko) * 2010-04-30 2011-11-07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무역역조현황 추적 진단 및 특허기술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62112A1 (ko) 2013-10-31
US20150332394A1 (en) 2015-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rabucchi et al. Sharing economy: seeing through the fog
Hagberg et al. The digitalization of retailing: an exploratory framework
Lodefalk Servicification of manufacturing–evidence from Sweden
Baldwin et al. Networked FDI: Sales and sourcing patterns of Japanese foreign affiliates
US8095403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sion of maintenance information and products
Reiner et al. Efficiency analysis of supply chain processes
Liu et al. Enterprise-oriented IoT name service for agricultural product supply chain management
d'Avolio et al. Improving new product development in the fashion industry through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a descriptive analysis
JP2015528948A (ja) 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クを利用してネットワークトランザクションを実現する情報処理システムと方法
Huang et al. A two-stage manufacturing partner selection framework for virtual enterprises
CN107464075B (zh) 更新物料清单的方法和设备
KR101405862B1 (ko) 제품 수요/공급 연결망을 통한 기술시장 분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2020129389A (ja) 取引支援システム
Gurumurthy et al. Review on supply chain management research—an Indian perspective
Ghosh et al. Optimizing a two-echelon serial supply chain with different carbon policies
WO2013057954A2 (ja) 経営情報統合システム
Yoshimura et al. Revisiting Jane Jacobs: quantifying urban diversity
KR101308418B1 (ko) 관세 통합품목 분류코드 기반 제품 수요/공급 연결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Mehta Inter-industry linkages of ICT sector in India
KR101259414B1 (ko) 제품 수요/공급 연결망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93563A (ko) 부동산 관리 장치 및 방법
Happy et al. Blockchain adoption challenges in supply chain
KR20160070374A (ko) 온라인 웨딩 플래너 중개시스템
KR101657555B1 (ko) 방문 의도 정보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상품 또는 콘텐츠 추천 방법
Tsai et al. Integrating Product Association Rules and Customer Moving Sequential Patterns for Product-to-Shelf Optim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