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8102B1 -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8102B1
KR101308102B1 KR1020120019016A KR20120019016A KR101308102B1 KR 101308102 B1 KR101308102 B1 KR 101308102B1 KR 1020120019016 A KR1020120019016 A KR 1020120019016A KR 20120019016 A KR20120019016 A KR 20120019016A KR 101308102 B1 KR101308102 B1 KR 101308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page
buffer
uni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9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7394A (ko
Inventor
김병윤
이현구
유창희
Original Assignee
(주)유브릿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브릿지 filed Critical (주)유브릿지
Priority to KR1020120019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8102B1/ko
Priority to PCT/KR2013/001358 priority patent/WO2013125868A1/ko
Publication of KR20130097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7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8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8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제1 화면 버퍼에 적재된 제1 화면 페이지에서 제2 화면 버퍼에 적재된 제2 화면 페이지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페이지를 변경하는 페이지 플립핑(Page Flipping) 발생을 확인하는 단계, 페이지 플립핑이 발생하면 상기 제2 화면 페이지를 캡처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캡처된 제2 화면 페이지를 디스플레이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단말에 동기화된 화면을 출력되게 함에 있어 필요한 데이터 전송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단말에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GPU(Graphic Processing Unit) 등과 같은 하드웨어 기반 처리 장치를 통해 압축을 수행함으로써 CPU(Central Processing Unit) 사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PORTAB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단말에 동기화된 화면을 출력되게 할 수 있는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스마트폰의 보급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스마트폰은 휴대전화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 검색 등 데이터 통신 기능을 포함한 각종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서 GPS 모듈, 가속도 센서 등의 기능뿐만 아니라 CPU, GPU, 메모리 성능이 데스크탑 PC에 못지 않게 고사양을 갖추고 있다. 그런데 스마트폰은 휴대성 측면에서 데스크탑 PC, 네비게이션 등 고정된 위치에서 사용되는 정보 통신 기기에 비해 작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고사양의 스마트폰을 소유한 사용자가 점차 늘어나고 있고 앞으로는 거의 모든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휴대하고 다닐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고사양의 스마트폰에서 데이터 처리를 대부분 수행하게 하고, 차량에 장착되어 고정된 위치에서만 사용되는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기기(이하 디스플레이 단말)는 스마트폰 화면에서 출력되는 것과 동일한 영상을 제공받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할 정도의 최소 사양만을 갖추게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스마트폰 화면에 출력되는 영상을 계속하여 디스플레이 단말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경우, 스마트폰과 디스플레이 단말 사이에 데이터 전송량이 너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화면 전송 시 이전 화면과 현재 화면을 비교하여 변화된 부분 만을 찾아내서 압축하여 전송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화면 변화 부분을 찾아내어 압축하기 위해서는 이전 화면과 현재 화면을 비교하여 차이를 구하는 연산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수행하여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화면 변화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에는 미리 정해진 주기 별로 화면 캡처를 수행한 후 이전에 캡처된 화면과 현재 캡처된 화면을 소프트웨어적인 비교 연산을 수행하여 화면 변화를 감지하는 방식이 이용되었다. 예컨대 휴대 단말에 시간 경과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화면이 도 1에 예시한 것처럼 제1 내지 제3 페이지(1, 2, 3)가 동일한 화면(A)을 가지고, 제4 내지 제7 페이지(4, 5, 6, 7)가 동일한 화면(B)을 가지고 있고, 제8 내지 제10 페이지(8, 9, 10)가 동일한 화면(C)이라고 가정하면, 휴대 단말은 먼저 제1 페이지(1)를 디스플레이 단말에 전송하고, 제1 내지 제10 페이지(1~10)까지 총 10번의 화면 캡처를 하고, 비교 동작(11 ~ 19)을 총 9번 수행해서, 비교 결과 이전 페이지와 화면 변화가 감지된 제4 페이지(4), 제8페이지(8)를 디스플레이 단말에 전송하게 된다.
그런데 스마트폰의 배경 화면이 가로가 480 픽셀(pixel), 세로가 800 픽셀이고 1 픽셀당 4바이트(byte)라고 가정하면 매번 800*480*4 바이트의 비교 연산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휴대 단말에 커다란 부담을 주어 성능 저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디스플레이 단말에 동기화된 화면을 출력되게 함에 있어 데이터 전송량을 감소시키면서 데이터 처리 부하를 줄일 수 있는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은 제1 화면 버퍼와 제2 화면 버퍼를 포함하는 버퍼부, 상기 제1 화면 버퍼에 적재된 제1 화면 페이지에서 상기 제2 화면 버퍼에 적재된 제2 화면 페이지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페이지를 변경하는 페이지 플립핑(Page Flipping)이 발생하면 상기 제2 화면 페이지를 캡처하는 캡처부, 그리고 상기 캡처된 제2 화면 페이지를 디스플레이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제1 화면 페이지에서 상기 제2 화면 페이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변경하는 페이지 플립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캡처부에서 캡처된 제2 화면 페이지를 하드웨어 기반으로 압축하는 그래픽 처리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송부는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에서 압축된 제2 화면 페이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은, 제1 화면 버퍼에 적재된 제1 화면 페이지에서 제2 화면 버퍼에 적재된 제2 화면 페이지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페이지를 변경하는 페이지 플립핑(Page Flipping) 발생을 확인하는 단계, 페이지 플립핑이 발생하면 상기 제2 화면 페이지를 캡처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캡처된 제2 화면 페이지를 디스플레이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캡처된 제2 화면 페이지를 압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로 전송되는 제2 화면 페이지는 그래픽 처리 장치에서 하드웨어 기반으로 압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상기한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단말에 동기화된 화면을 출력되게 함에 있어 필요한 데이터 전송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단말에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GPU(Graphic Processing Unit) 등과 같은 하드웨어 기반 처리 장치를 통해 압축을 수행함으로써 CPU(Central Processing Unit) 사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화면 변화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과 디스플레이 단말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화면 변화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과 디스플레이 단말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10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웹 패드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이동 통신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100)은 디스플레이 단말(200)에 현재 자신의 화면에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여 동기화된 화면이 출력되게 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휴대 단말(100)은 버퍼부(110), 디스플레이부(120), 제어부(130), 캡처부(140), 그래픽 처리 장치(150), 저장부(160) 및 통신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버퍼부(110)는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될 내용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보다 자연스러운 화면을 제공하기 위해 복수 개의 버퍼를 이용할 수 있다. 도 2에 예시한 것처럼, 버퍼부(110)는 제1 화면 버퍼(111)와 제2 화면 버퍼(113)를 포함함으로써 페이지 플립핑(Page Flipping)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페이지 플립핑은 제1 화면 버퍼(111)에 적재된 제1 화면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부(120)에 출력되어 표시되는 상태에서, 다음에 표시될 제2 화면 페이지를 제2 화면 버퍼(113)에 적재한 후 디스플레이부(120)에 교체하여 출력되게 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제2 화면 페이지 다음에 표시될 제3 화면 페이지는 제1 화면 버퍼(111)에 적재된 후 화면 변경이 필요할 때 제2 화면 페이지와 교체된다. 이와 같이 제1 화면 버퍼(111)와 제2 화면 버퍼(113) 사이에 2개의 화면 페이지가 서로 교체되는 방식으로 페이지 플립핑이 이루어진다.
디스플레이부(120)는 휴대 단말(1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LCD 패널, LED 패널, AM OLED 패널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와 모바일 운영체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100)의 각종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CPU와 안드로이드 플랫폼으로 제어부(130)를 구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30)는 제1 화면 버퍼(111)와 제2 화면 버퍼(113)에 적재된 화면 페이지를 교체하는 페이지 플립핑을 통해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는 화면이 교체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페이지 플립핑이 발생하면 이를 캡처부(140)에 제공할 수 있다.
캡처부(140)는 페이지 플립핑이 발생하면 새로 화면에 표시되는 화면 페이지를 캡처(capture)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캡처부(140)는 제어부(130)에 일정 주기 별로 페이지 플립핑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어부(130)에서 페이지 플립핑 발생 이벤트를 캡처부(140)에 통지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캡처부(140)는 제1 화면 버퍼(111)에 적재된 제1 화면 페이지에서 제2 화면 버퍼(113)에 적재된 제2 화면 페이지로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는 페이지를 변경하는 페이지 플립핑이 발생하면 제2 화면 페이지를 캡처할 수 있다.
그래픽 처리 장치(150)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 등과 같은 하드웨어 기반 그래픽 처리 장치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될 화면 출력을 담당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픽 처리 장치(150)는 제어부(130)와 별도로 하드웨어적으로 캡처부(140)에서 캡처된 화면 페이지를 압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휴대 단말(100)은 그래픽 처리 장치(150)를 이용하지 않고 제어부(130)에서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캡처부(140)에서 캡처된 화면 페이지에 대한 압축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저장부(160)는 휴대 단말(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제어부(130)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부(170)는 휴대 단말(100)이 외부 장치와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유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단말(20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해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지그비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통신부(170)는 캡처부(140)에서 캡처된 화면 페이지를 디스플레이 단말(2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휴대 단말(100)은 위에서 설명한 구성 요소 외에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는 입력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터치 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단말(200)은 차량에 장착되어 이용되는 네비게이션 등과 같이 고정된 위치에서 주로 사용되는 정보 통신 단말로서, 휴대 단말(100)에서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휴대 단말(100)과 동기화된 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단말(200)은 통신모듈(210), 제어모듈(220), GPU(230), 디스플레이 모듈(240) 및 터치 패널 모듈(250)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210)은 디스플레이 단말(200)이 휴대 단말(100)과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교환하게 해주는 기능을 수행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통신모듈(210)은 휴대 단말(100)에서 캡처되어 전송되는 화면 페이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 모듈(250)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터치값을 제어모듈(220)로부터 전달받아 휴대 단말(1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제어모듈(220)은 디스플레이 단말(200)의 각종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휴대 단말(100)에서 캡처되어 전송되는 화면 페이지를 디스플레이 모듈(240)에 표시되게 하고, 터치 패널 모듈(250)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터치값을 통신모듈(210)을 통해 휴대 단말(1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모듈(220)은 휴대 단말(100)에서 캡처되어 압축 전송된 화면 페이지의 압축을 소프트웨어적으로 해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GPU(230)는 디스플레이 모듈(240)에 표시될 화면 출력을 담당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GPU(230)는 제어모듈(220)과 별도로 하드웨어적으로 휴대 단말(100)에서 캡처되어 압축 전송된 화면 페이지의 압축을 해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단말(200)은 GPU(23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40)은 디스플레이 단말(2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LCD 패널, LED 패널, AM OLED 패널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패널 모듈(250)은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터치값을 제어모듈(22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캡처부(140)는 1 화면 버퍼(111)에 적재된 제1 화면 페이지에서 제2 화면 버퍼(113)에 적재된 제2 화면 페이지로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는 페이지를 변경하는 페이지 플립핑(Page Flipping) 발생을 확인할 수 있다(S310). 단계(S310)에서 캡처부(140)는 제어부(130)에 일정 주기 별로 페이지 플립핑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어부(130)에서 페이지 플립핑 발생 이벤트를 캡처부(140)에 통지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페이지 플립핑이 발생하면(S310-Y), 캡처부(140)는 제2 화면 버퍼(113)에 적재되어 새로 디스플레이부(120)에 변경 표시된 제2 화면 페이지를 캡처한다(S320).
다음으로 그래픽 처리 장치(150)는 캡처부(140)에서 캡처된 제2 화면 페이지를 하드웨어적으로 압축한다(S330). 실시예에 따라 단계(S330)에서 그래픽 처리 장치(150) 대신에 제어부(130)에서 캡처된 제2 화면 페이지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압축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후 통신부(170)는 단계(S330)에서 압축된 제2 화면 페이지를 디스플레이 단말(200)로 전송한다(S340).
그러면 디스플레이 단말(200)은 휴대 단말(100)에서 전송된 제2 화면 페이지에 대한 압축을 해제하고(S350), 화면에 출력한다(S360). 단계(S350)에서 압축 해제는 실시예에 따라 GPU를 통해 하드웨어적으로 수행되거나, CPU를 통해 소프트웨어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휴대 단말(200)은 단계(S320) 내지 단계(S340)를 페이지 플립핑이 발생할 때마다 수행하면서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단말(200)에 전달하여 동기화된 화면이 출력되게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화면 변화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도 1에 예시한 것처럼 제1 내지 제3 페이지(1, 2, 3)가 동일한 화면(A)을 가지고, 제4 내지 제7 페이지(4, 5, 6, 7)가 동일한 화면(B)을 가지고 있고, 제8 내지 제10 페이지(8, 9, 10)가 동일한 화면(C)이라고 가정하면, 페이지 플립핑 발생 여부에 대한 확인(21~29)은 총 9회 수행되나 화면 캡처는 제1 페이지(1), 제4 페이지(4) 및 제8 페이지(8)에서 3회만 이루어지면 된다. 페이지 플립핑이 발생하지 않은 제2 페이지(2), 제3 페이지(3), 제5 내지 제7 페이지(5~7), 제9 페이지(9) 및 제10 페이지(10)에 대해서는 화면 캡처를 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이전 화면과 현재 화면 사이의 화면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비교 연산은 필요 없다. 따라서 도 1에 예시한 종래 기술에 비해 휴대 단말의 연산량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이 매체는 앞서 설명한 휴대 단말 제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이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매체의 예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자기-광 매체,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 등이 있다. 또는 이러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8)

  1. 제1 화면 버퍼와 제2 화면 버퍼를 포함하는 버퍼부,
    상기 제1 화면 버퍼에 적재된 제1 화면 페이지에서 상기 제2 화면 버퍼에 적재된 제2 화면 페이지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페이지를 변경하는 페이지 플립핑(Page Flipping)이 발생하면 상기 제2 화면 페이지를 캡처하는 캡처부, 그리고
    상기 캡처된 제2 화면 페이지를 디스플레이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2. 제 1 항에서,
    상기 제1 화면 페이지에서 상기 제2 화면 페이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페이지를 변경하는 페이지 플립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3. 제 2 항에서,
    상기 캡처부에서 캡처된 제2 화면 페이지를 하드웨어 기반으로 압축하는 그래픽 처리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4. 제 3 항에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에서 압축된 제2 화면 페이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5. 제1 화면 버퍼에 적재된 제1 화면 페이지에서 제2 화면 버퍼에 적재된 제2 화면 페이지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페이지를 변경하는 페이지 플립핑(Page Flipping) 발생을 확인하는 단계,
    페이지 플립핑이 발생하면 상기 제2 화면 페이지를 캡처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캡처된 제2 화면 페이지를 디스플레이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
  6. 제 5 항에서,
    상기 캡처된 제2 화면 페이지를 압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
  7. 제 6 항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로 전송되는 제2 화면 페이지는 그래픽 처리 장치에서 하드웨어 기반으로 압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
  8. 컴퓨터에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1020120019016A 2012-02-24 2012-02-24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KR101308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016A KR101308102B1 (ko) 2012-02-24 2012-02-24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13/001358 WO2013125868A1 (ko) 2012-02-24 2013-02-21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016A KR101308102B1 (ko) 2012-02-24 2012-02-24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394A KR20130097394A (ko) 2013-09-03
KR101308102B1 true KR101308102B1 (ko) 2013-09-12

Family

ID=49005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9016A KR101308102B1 (ko) 2012-02-24 2012-02-24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08102B1 (ko)
WO (1) WO2013125868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8026A (en) * 1998-05-04 2000-10-03 S3 Incorporated Double buffered graphics and video accelerator having a write blocking memory interface and method of doing the same
US6377268B1 (en) * 1999-01-29 2002-04-23 Micron Technology, Inc. Programmable graphics memory apparatus
KR20070007213A (ko) * 2000-04-14 2007-01-12 픽셀 (리서치) 리미티드 디지털 문서를 조작하고 보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방법
US7889202B2 (en) * 2005-10-18 2011-02-15 Via Technologies, Inc. Transparent multi-buffering in multi-GPU graphics sub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52506A1 (en) * 2000-12-22 2002-07-04 Volume Interactions Pte. Ltd. A method of rendering a graphics imag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8026A (en) * 1998-05-04 2000-10-03 S3 Incorporated Double buffered graphics and video accelerator having a write blocking memory interface and method of doing the same
US6377268B1 (en) * 1999-01-29 2002-04-23 Micron Technology, Inc. Programmable graphics memory apparatus
KR20070007213A (ko) * 2000-04-14 2007-01-12 픽셀 (리서치) 리미티드 디지털 문서를 조작하고 보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방법
US7889202B2 (en) * 2005-10-18 2011-02-15 Via Technologies, Inc. Transparent multi-buffering in multi-GPU graphics sub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394A (ko) 2013-09-03
WO2013125868A1 (ko) 2013-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77761B2 (en) Digital watermark embedding method and extraction method, digital watermark embedding apparatus and extraction apparatus, and digital watermark system
CN109478392B (zh) 显示驱动方法、支持该方法的显示驱动器集成电路、包括该显示驱动器集成电路的电子设备
CN111984165B (zh) 一种显示消息的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105912091B (zh) 电子装置以及减少其电力消耗的方法
US10366669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thereof
KR102137647B1 (ko) 디스플레이 방법 및 단말 장치
KR102226166B1 (ko) 전자장치에서 플랙서블 디스플레이의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7247691B (zh) 一种文本信息的显示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KR102213190B1 (ko) 홈스크린 구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
CN108205398B (zh) 网页动画适配屏幕的方法和装置
KR102336528B1 (ko) 캐시 메모리를 가지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KR20130141670A (ko)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090745B1 (ko) 전자장치에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멀티태스킹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11294533B2 (en) Method and terminal for displaying 2D application in VR device
CN104956300A (zh) 使用限位调整滚动
JP5960932B2 (ja) ページ適応方法、ページ適応装置、端末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120054948A (ko) 휴대단말기의 웹 페이지 표시 방법
EP3340155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web page using the same
US20150007067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user interface
TW201511540A (zh) 進度指示列的顯示方法和相關裝置
CN208985138U (zh) 同屏显示的电子装置、计算机设备以及数据处理系统
CN110908554A (zh) 长截图的方法及终端设备
CN105095259B (zh) 瀑布流对象显示方法及装置
KR102266869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1308102B1 (ko)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