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7524B1 - 가첨 서까래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가첨 서까래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7524B1
KR101307524B1 KR1020130028796A KR20130028796A KR101307524B1 KR 101307524 B1 KR101307524 B1 KR 101307524B1 KR 1020130028796 A KR1020130028796 A KR 1020130028796A KR 20130028796 A KR20130028796 A KR 20130028796A KR 101307524 B1 KR101307524 B1 KR 101307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fters
steel
rafter
shaped steel
endors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8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왕직
김상협
Original Assignee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28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75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7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7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 E04B7/02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arallel similar trusses or portal frames
    • E04B7/024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arallel similar trusses or portal frames the trusses or frames supporting load-bearing purlins, e.g. braced purl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5Trimming strips; Edge strips; Fascias; Expansion joints for roo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처마도리를 경계로 하여 외측에만 가첨 서까래를 설치하여, 서까래에 사용되는 목재량을 현격히 줄이면서도 구조적으로 강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공사비의 절감과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가능하도록 한 가첨 서까래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첨 서까래는 소정의 길이 및 형상으로 이루어진 형강과; 상기 형강의 외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용접 설치되는 삽입봉과; 상기 삽입봉이 삽입되는 서까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첨 서까래 제조방법은 소정의 길이 및 형상으로 이루어진 형강을 배치하고, 상기 형강의 외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삽입봉을 용접 설치하며, 상기 삽입봉에 서까래를 삽입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첨 서까래 및 이의 제조방법{Endorsement rafter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첨 서까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옥의 처마도리를 경계로 하여 그 바깥쪽을 가첨 서까래로 하는 가첨 서까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통한옥에서 서까래는 벽체에서 돌출되는 지붕의 처마 하부에 고정됨으로써 지붕을 장식하는데 사용된다.
이와 같은 한옥에서 목재가 차지하는 비중은 전체의 40% 정도로 압도적으로 많으며, 목재 중에서 또 40%가 서까래가 차지한다.
따라서, 지붕을 경량화하고 목재의 절감을 통한 공기와 공사비의 절감을 위해서는 반드시 서까래 공법이 개선되어야 한다.
전통한옥은 처마가 많이 빠져 나와 있는 것이 특징이며 한옥의 가장 큰 이미지를 결정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따라서 서까래를 모두 없애는 것은 한옥이 아니라고 하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따라서 눈에 보이는 노출된 처마부위만 서까래를 걸고 그 안쪽은 현대식 목조로 가구 한다면 구조적으로도 더 강하고 지붕을 경량화할 수 있으며 목재의 소요량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조립식 서까래의 구성과 그 시공방법이 제안되었다.
도 1은 종래의 서까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상판 고정수단(400)을 통해 처마(200)의 하부에 종방향으로 고정되며, 상판과 양측판 및 하판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사각링 브라켓(300)과, 이 사각링 브라켓(300)을 감싸면서 장착되어 하부가 상기 사각링 브라켓(300)에 하판 고정수단(600)을 통해 고정되는 서까래 몸체(50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서까래 몸체(500)는 상기 사각링 브라켓(3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 개방부(502)를 가지는 중공부(501)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판 고정수단(400)은 사각링 브라켓(300)을 상기 처마(200)의 하부에 고정할 수 있도록 사각링 브라켓(300)의 상판에 형성되는 횡, 종형의 장홀(301, 302)과, 이 횡, 종형의 장홀(301, 302)의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되어 처마(200)의 하부에 체결되는 볼트(30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판 고정수단(600)은 상기 사각링 브라켓(300)의 하판에 관통되게 구비된 탭홀(601)과, 상기 서까래 몸체(500)의 하부에 탭홀(601)과 상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관통홀(602), 및 상기 몸체(500)의 하부에서 관통홀(602)을 관통하여 상기 탭홀(601)에 체결되는 볼트(603)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서까래 시공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종래의 서까래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먼저 다수의 사각링 브라켓(300)을 처마(200)의 하부에 상판 고정수단(400)을 통해 종방향으로 장착한다.
즉 상기 상판 고정수단(400)을 구성하는 횡, 종형의 장홀(301, 302)에 하부에서 상부로 볼트(303)를 관통시켜 볼트(303)를 처마(200)의 하부에 체결함으로써 사각링 브라켓(300)을 처마(200)에 장착하는 것이다.
다음 서까래 몸체(500)를 상기 사각링 브라켓(300)의 하부에서 상부로 삽입한다. 즉 상기 서까래 몸체(500)의 내부에 구비된 상부 개방부(502)를 가지는 중공부(501)를 사각링 브라켓(300)의 하부에서 상부로 끼우는 것이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하판 고정수단(600)을 통해 서까래 몸체(500)의 하부와 사각링 브라켓(300)의 하판을 상호 연결함으로써 서까래의 시공을 마치는 것이다.
즉, 상기 하판 고정수단(600)을 구성하는 몸체(500) 하부의 관통홀(602)에 볼트(603)를 관통시킨 다음 이를 상기 사각링 브라켓(300) 하판에 형성된 탭홀(601)에 체결함으로써 몸체(500)를 사각링 브라켓(300)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서까래를 시공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먼저, 사각링 브라켓을 볼트를 통해 처마에 고정한 다음 사각링 브라켓의 주위에 서까래 몸체를 삽입한 후 사각링 브라켓과 몸체를 상호 조립하는 과정을 통해 서까래를 시공함으로써, 서까래의 시공 공정이 많음에 따라 시공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서까래 몸체의 상부와 후방이 개방됨에 따라서, 후방측의 강도가 약하여 시공 후 강풍 등의 외부 원인으로 인하여 후방의 측벽이 흔들려 소음이 발생되거나 후방측이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각링 브라켓의 내부에 드라이버 또는 스패너 등의 공구를 삽입한 상태에서 처마에 볼트를 관통 체결함으로써, 공구가 사각링에 간섭되어 볼트 체결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76932 전통 가옥용 조립식 서까래 및 그 조립식 서까래의 시공방법이 제안되었다.
상기한 종래의 전통 가옥용 조립식 서까래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마(10)의 하부에 볼트부(11)가 돌출 되도록 종방향으로 장착된 다수의 앵커볼트(1)와 상판(21)에는 상기 볼트부(11)가 관통되는 다수의 상부조립관통홀(222)이 구비된 조립 밀착면(221)이 함몰 형성되고, 내부에는 후방이 개방된 중공부(22)가 구비되며, 하부에는 상기 상부 조립관통홀(222)과 상응되는 위치에 하부자리파기홈(231)을 포함하며, 상부 조립관통홀(231)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게 형성된 하부 조립관통홀(23)이 형성되는 원통형이나 사각통형의 몸체(2)와 상기 하부 조립관통홀(23)에 관통되어 상단이 상기 상판(21)의 하면에 밀착 가능하게 중공부(22)에 수직으로 삽입되고 상, 하부의 내부에는 상, 하부 탭홈(31,32)이 형성된 조립관(3) 및 상기 하부 조립관통홀(23)의 하부에서 관통되어 상기 조립관(3)의 하부 탭홈(32)에 체결 회전되면서 조립관(31)을 회전시켜 상부 탭홈(32)이 상기 앙카볼트(1)의 볼트부(11)에 체결되는 하부 체결볼트(4)로 구성된다.
또한, 종래의 전통 가옥용 조립식 서까래 시공방법은 처마의 하부에 볼트부가 돌출되도록 다수의 앵커볼트를 종방향으로 장착하는 단계(100)와; 상판에는 상기 볼트부가 관통되는 다수의 상부 조립관통홀이 구비된 조립 밀착면이 함몰 형성되고, 내부에는 후방이 개방된 중공부가 구비되며, 하부에는 상기 상부 조립관통홀과 상응되는 위치에 하부 자리파기홈을 포함하고, 상부조립관통홀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게 형성된 하부 조립관통홀이 형성되는 원통형이나 사각통형의 몸체를 준비하는 단계(102)와 상기 몸체의 조립 밀착면을 상기 처마의 하면과 밀착시키면서 상기 볼트부가 몸체의 조립관통홀로 관통되는 단계(103)와 상, 하부의 내부에는 상, 하부 탭홈이 형성된 조립관을 상기 하부 조립관통홀을 관통하여 중공부에 수직으로 삽입시켜 상기 하부 조립관통홀의 하부에서 하부 체결볼트를 상기 하부 탭홈에 체결 회전되면서 조립관의 상부 탭홈이 상기 앵커볼트의 볼트부에 체결되는 단계(10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시공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전통 가옥용 조립식 서까래 및 그 조립식 서까래의 시공방법은 처마에 조립식 서까래를 앵커볼트를 매개로 단순히 고정되는 구조 및 방법으로써, 상기한 서까래의 자중에 의해서 처마가 처지는 문제점이 있고, 이와 같은 처마의 처짐으로 인해 구조적으로도 불안정하여 돌풍에 의해서 서까래가 내려앉을 소지가 다분히 상존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76932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처마도리를 경계로 하여 외측에만 가첨 서까래를 설치하여, 서까래에 사용되는 목재량을 현격히 줄이면서도 구조적으로 강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공사비의 절감과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가능하도록 한 가첨 서까래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첨 서까래는 소정의 길이 및 형상으로 이루어진 형강과; 상기 형강의 외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용접 설치되는 삽입봉과; 상기 삽입봉이 삽입되는 서까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첨 서까래 제조방법은 소정의 길이 및 형상으로 이루어진 형강을 배치하고, 상기 형강의 외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삽입봉을 용접 설치하며, 상기 삽입봉에 서까래를 삽입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첨 서까래 및 이의 제조방법은 처마도리를 경계로 하여 외측에만 가첨 서까래를 설치함으로써, 서까래에 사용되는 목재량을 현격히 줄이면서도 구조적으로 강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공사비의 절감과 효율적인 유지관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서까래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서까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서까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서까래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부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종래의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첨 서까래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첨 서까래를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첨 서까래를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첨 서까래를 도시한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첨 서까래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첨 서까래의 L형강과 삽입봉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첨 서까래의 L형강과 삽입봉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첨 서까래의 L형강과 삽입봉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첨 서까래의 L형강과 삽입봉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첨 서까래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공정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첨 서까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첨 서까래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첨 서까래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첨 서까래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첨 서까래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첨 서까래는 소정의 길이 및 형상으로 이루어진 형강(100)과; 상기 형강(100)의 외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용접 설치되는 삽입봉(200)과; 상기 삽입봉(200)이 삽입되는 서까래(300)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가첨 서까래(A)는 형강(100)과 삽입봉(200) 및 서까래(300)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구조체이다.
여기서, 상기 형강(100)은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L형강(110)으로 형성되고, 상기 L형강(110)의 일정한 간격마다 내측 바닥에 다수개의 천공홀(120)이 형성되고, 상기 L형강(110)의 일정한 간격마다 내측에 삼각판(130)이 다수개 용접 설치되고, 상기 삼각판(130)에 다수개의 천공홀(140)이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삽입봉(200)은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직경 및 길이를 갖는 강봉(210)으로 구성되고, 상기 강봉(210)의 선단에는 화살형상의 미늘(220)이 설치된 구조이다.
즉, 상기 미늘(220)은 서까래(300)의 요홈(310)에 삽입 후 탄성에 의해 벌어지도록 하여 서까래가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서까래(300)는 기본적인 서까래를 구성하는 부재로서, 전체적으로 원기둥 또는 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길이의 절반 지점의 내부에 일정한 직경을 갖는 요홈(310)이 형성된 구조이다.
즉, 상기 요홈(310)에 미늘(220)이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미늘(220)이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가첨 서까래 제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첨 서까래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첨 서까래 제조방법은 소정의 길이 및 형상으로 이루어진 형강(100)을 배치하고, 상기 형강(100)의 외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삽입봉(200)을 용접 설치하며, 상기 삽입봉(200)에 서까래(300)를 삽입하여 제조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가첨 서까래 제조방법은 L형강(110)으로 형성되고, 상기 L형강(110)의 일정한 간격마다 내측 바닥에 다수개의 천공홀(120)이 형성되고, 상기 L형강(110)의 일정한 간격마다 내측에 삼각판(130)이 다수개 용접 설치되고, 상기 삼각판(130)에 다수개의 천공홀(140)이 형성된 형강(100)을 배치하고, 상기 L형강(110)의 외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정한 직경 및 길이를 갖는 강봉(210)으로 구성되고, 상기 강봉(210)의 선단에는 화살형상의 미늘(220)이 설치된 삽입봉(200)을 용접 설치한 후, 상기 미늘(220)을 전체적으로 원기둥 또는 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길이의 절반 지점의 내부에 일정한 직경을 갖는 요홈(310)이 형성된 서까래(300)의 요홈(310)에 삽입하여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제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가첨 서까래 제조방법은 우선 처마도리 위에 고정하는 L형강(110)에 서까래 간격으로 강봉(210)을 부착하고 여기에 서까래(300)를 끼워 고정하고, 강봉(210)의 단부에는 화살형상의 미늘(220)을 부착하여, 탄성에 의해 미늘(220)이 벌어지도록 하여 고정 후에 서까래(300)가 빠지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전통방식에 의한 서까래에 비하여 목재량을 60% 이상을 절감할 수 있으며, 지붕 속에는 현대식 트러스구조로 가구할 수 있으므로 지붕 가구의 강성을 훨씬 높일 수 있으며 표준화에 따른 공사기간과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고, 제품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빗물에 의한 서까래 부식시에도 지붕을 해체하지 않고 가첨 서까래(A) 만을 갈아 끼울 수 있기 때문에 한옥의 유지관리에서도 혁신적인 방법이다.
이 가첨 서까래 및 이의 제조방법은 지붕의 건식공법을 가능하게 하며 지붕 가구의 강성을 높이고 공사의 표준화를 통한 공사비 절감에 효과가 있을 것이며 준공 후 유지관리에도 탁월한 편리성과 효율성을 주는데 그 효과가 있다.
100: 형강 110: L형강
120: 천공홀 130: 삼각판
140: 천공홀 200: 삽입봉
210: 강봉 220: 미늘
300: 서까래 310: 요홈
A: 가첨 서까래

Claims (8)

  1. 소정의 길이 및 형상으로 이루어진 형강(100)과; 상기 형강(100)의 외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용접 설치되는 삽입봉(200)과; 상기 삽입봉(200)이 삽입되는 서까래(300)로 구성되고, 상기 형강(100)은 L형강(110)으로 형성되고, 상기 L형강(110)의 일정한 간격마다 내측 바닥에 다수개의 천공홀(120)이 형성되고, 상기 L형강(110)의 일정한 간격마다 내측에 삼각판(130)이 다수개 용접 설치되고, 상기 삼각판(130)에 다수개의 천공홀(140)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봉(200)은 일정한 직경 및 길이를 갖는 강봉(210)으로 구성되고, 상기 강봉(210)의 선단에는 화살형상의 미늘(220)이 설치되며, 상기 서까래(300)는 전체적으로 원기둥 또는 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길이의 절반 지점의 내부에 일정한 직경을 갖는 요홈(31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첨 서까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소정의 길이 및 형상으로 이루어진 형강(100)을 배치하고, 상기 형강(100)의 외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삽입봉(200)을 용접 설치하며, 상기 삽입봉에 서까래(300)를 삽입하여 제조하되,
    상기 형강(100)은 L형강(110)으로 형성되고, 상기 L형강(110)의 일정한 간격마다 내측 바닥에 다수개의 천공홀(120)이 형성되고, 상기 L형강(110)의 일정한 간격마다 내측에 삼각판(130)이 다수개 용접 설치되고, 상기 삼각판(130)에 다수개의 천공홀(140)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봉(200)은 일정한 직경 및 길이를 갖는 강봉(210)으로 구성되고, 상기 강봉(210)의 선단에는 화살형상의 미늘(220)이 설치되며, 상기 서까래(300)는 전체적으로 원기둥 또는 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길이의 절반 지점의 내부에 일정한 직경을 갖는 요홈(31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첨 서까래 제조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30028796A 2013-03-18 2013-03-18 가첨 서까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07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796A KR101307524B1 (ko) 2013-03-18 2013-03-18 가첨 서까래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796A KR101307524B1 (ko) 2013-03-18 2013-03-18 가첨 서까래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7524B1 true KR101307524B1 (ko) 2013-09-12

Family

ID=49455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8796A KR101307524B1 (ko) 2013-03-18 2013-03-18 가첨 서까래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75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5904B1 (ko) * 2022-05-11 2023-01-06 영월한옥협동조합 단열성이 향상된 한옥 지붕 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6249Y1 (ko) * 2003-06-25 2003-09-13 송호삼 행사용 조립식 부스
KR100755329B1 (ko) * 2006-09-07 2007-09-05 오순상 건축물의 지붕구조
KR100908636B1 (ko) * 2009-01-22 2009-07-21 주식회사 디브이씨 기와 구조물
KR101150714B1 (ko) * 2011-12-15 2012-06-08 왕병윤 한옥의 맞배지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6249Y1 (ko) * 2003-06-25 2003-09-13 송호삼 행사용 조립식 부스
KR100755329B1 (ko) * 2006-09-07 2007-09-05 오순상 건축물의 지붕구조
KR100908636B1 (ko) * 2009-01-22 2009-07-21 주식회사 디브이씨 기와 구조물
KR101150714B1 (ko) * 2011-12-15 2012-06-08 왕병윤 한옥의 맞배지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5904B1 (ko) * 2022-05-11 2023-01-06 영월한옥협동조합 단열성이 향상된 한옥 지붕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91465A1 (en) Vented wall girts
CN212405452U (zh) 一种墙体外部挑檐板结构
KR20110088812A (ko) 커튼월 시스템
JP5393135B2 (ja) 軒先構造
KR101374161B1 (ko) 가첨 서까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07524B1 (ko) 가첨 서까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74162B1 (ko) 가첨 서까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112101A (ko) 합성목재 울타리 결합구조
CN205577105U (zh) 可拆卸钢结构及可拆卸钢结构房屋
EP3179008A1 (en) Brick siding system
KR20090010031U (ko) 천정틀 구조
CN207829296U (zh) 一种带凹槽的预制梁
CN203669461U (zh) 一种安装方便且稳定性好的监控杆
KR101222115B1 (ko) 지붕구조물
KR200462075Y1 (ko) 목재와 금속재를 병용한 조립식 기둥
CN202068784U (zh) 经济实用型多用途温室棚
CN102182389B (zh) 一种钢芯安全网
JP2015165076A (ja) 手摺
JP2019065589A (ja) 簡易屋根構造物
CN212453406U (zh) 一种防止雨水内渗的建筑外墙装饰干挂板
CN202148656U (zh) 一种雨棚
CN216740294U (zh) 一种纤维水泥板幕墙挂件连接系统
CN215054839U (zh) 一种装配式建筑用轻量化外挂墙板
CN218175594U (zh) 一种桥梁施工用支撑架
CN216766195U (zh) 一种建筑立面的砌体过梁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