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6864B1 -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6864B1
KR101306864B1 KR1020110067748A KR20110067748A KR101306864B1 KR 101306864 B1 KR101306864 B1 KR 101306864B1 KR 1020110067748 A KR1020110067748 A KR 1020110067748A KR 20110067748 A KR20110067748 A KR 20110067748A KR 101306864 B1 KR101306864 B1 KR 101306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ntent
information
graphic screen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7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5990A (ko
Inventor
김치현
강신범
Original Assignee
강신범
김치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신범, 김치현 filed Critical 강신범
Priority to KR1020110067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6864B1/ko
Publication of KR20130005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6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6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8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based on type of value added network service under agreement
    • H04L41/5093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based on type of value added network service under agreement wherein the managed service relates to messaging or chat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컨텐츠 서비스 제공장치는 사용자 단말기로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1 그래픽 화면 및 상기 제1 그래픽 화면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되고 있는 컨텐츠 또는 상기 제1 그래픽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컨텐츠를 제공받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타사용자 단말기에 상응하는 적어도 한 명의 타사용자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2 그래픽 화면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그래픽 화면 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그래픽 화면 제공부는 상기 제2 그래픽 화면에 지도를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한 명의 타사용자의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한 명의 타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상기 지도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service}
본 발명은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사용자에게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해당 컨텐츠 서비스에 대해 관심을 가지는 다른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및 UCC(User Created Contents) 제작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근래에는 컨텐츠 저작자가 저작한 상업용 컨텐츠 뿐만 아니라 상업용 컨텐츠를 일반 사용자가 편집한 컨텐츠, 일반 사용자가 직접 저작한 컨텐츠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들이 제공되고 있다.
상기한 컨텐츠들은 일반적으로 컨텐츠 관리자에 의해 운영되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등록/저장되어 관리되며, 웹 페이지 또는 기타 소정의 수단을 통해 다수의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즉,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는 자신이 소지한 단말기(예컨대, PC(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들이 등록되어 있는 웹 페이지에 접속한 후, 키워드의 입력을 통해 관심 컨텐츠를 검색하여 재생하거나 컨텐츠 관리자에 의해 추천된 컨텐츠 중 관심 컨텐츠를 선택하여 재생함으로써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또한, 사용자는 컨텐츠를 재생하고 있는 동안 또는 컨텐츠의 재생이 완료된 후 해당 컨텐츠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댓글 형식으로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수의 사용자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재생/확인한 다른 사용자와 컨텐츠에 관한 의견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보다 앞선 시점에서 동일한 컨텐츠를 재생하였던 사용자에 대한 단순한 정보(아이디 등) 내지 의견만을 확인할 수 있었을 뿐, 현재 시점에서 특정 컨텐츠에 대해 어떠한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는지에 대한 정보는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이 절실히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특정 사용자가 재생하고 있는 컨텐츠 또는 상기 특정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컨텐츠를 재생하고 있는 타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현재 시점에서 동일한 컨텐츠를 제공받고 있는(즉, 재생하고 있는) 다른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와 해당 컨텐츠에 관한 의견을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컨텐츠 서비스 제공장치는 사용자 단말기로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1 그래픽 화면 및 상기 제1 그래픽 화면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되고 있는 컨텐츠 또는 상기 제1 그래픽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컨텐츠를 제공받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타사용자 단말기에 상응하는 적어도 한 명의 타사용자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2 그래픽 화면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그래픽 화면 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그래픽 화면 제공부는 상기 제2 그래픽 화면에 지도를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한 명의 타사용자의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한 명의 타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상기 지도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그래픽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는 상기 제1 그래픽 화면을 통해 제공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그래픽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컨텐츠는,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의 정보 중에서 상기 입력신호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 정보에 상응하는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타사용자의 정보는 상기 타사용자의 신상 정보 또는 상기 타사용자가 제공받았던 컨텐츠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입력신호가 상기 적어도 한 명의 타사용자의 위치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신호인 경우, 상기 그래픽 화면 제공부는 상기 선택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타사용자의 신상 정보 또는 상기 타사용자가 제공받았던 컨텐츠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2 그래픽 화면에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타사용자의 신상 정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위치 정보와 함께 상기 제2 그래픽 화면 내의 상기 지도 상에 표시되며, 상기 입력신호가 상기 적어도 한 명의 타사용자의 위치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신호인 경우, 상기 그래픽 화면 제공부는 상기 선택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타사용자의 나머지 신상 정보 및 상기 타사용자가 제공받았던 컨텐츠에 대한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2 그래픽 화면에 더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지도는 상기 제2 그래픽 화면 내에서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있고, 상기 지도의 확대 정도에 비례하여 상기 지도 상에 표시되는 상기 타 사용자의 신상 정보의 양은 증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한 명의 타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설정된 조건과 부합하는 사용자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조건은 다른 사용자에 대한 나이 조건, 성별 조건, 위치 조건, 또는 직업 조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입력신호가 상기 적어도 한 명의 타사용자의 위치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신호인 경우, 상기 그래픽 화면 제공부는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타사용자와 채팅을 수행하거나 인스턴스 메시지, 이 메일 및 문자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3 그래픽 화면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더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타사용자가 소지한 단말기의 GPS 정보, IP 주소 정보, 또는 상기 타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주소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컨텐츠 서비스 제공방법은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1 그래픽 화면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그래픽 화면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되고 있는 컨텐츠 또는 상기 제1 그래픽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컨텐츠를 제공받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타사용자 단말기에 상응하는 적어도 한 명의 타사용자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2 그래픽 화면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그래픽 화면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그래픽 화면에 지도를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한 명의 타사용자의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한 명의 타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상기 지도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그래픽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는 상기 제1 그래픽 화면을 통해 제공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그래픽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컨텐츠는,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의 정보 중에서 상기 입력신호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 정보에 상응하는 컨텐츠일 수 있다.
상기 타사용자의 정보는 상기 타사용자의 신상 정보 또는 상기 타사용자가 제공받았던 컨텐츠에 대한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한 명의 타사용자의 위치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선택된 어느 하나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타사용자와 채팅을 수행하거나 인스턴스 메시지, 이 메일, 또는 문자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3 그래픽 화면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서비스 제공방법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은 특정 사용자에게 소정의 컨텐츠를 제공하면서, 상기 컨텐츠를 제공받고 있는(재생하고 있는) 타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용자는 상기 컨텐츠에 상응하는 정보를 선택하기만 하면, 현재 상기 사용자가 관심을 갖고 있는 타사용자에 대한 정보(예컨대,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확인된 타사용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컨텐츠를 제공받을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동일한 컨텐츠에 관심을 가지는 다른 사용자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여 보다 많은 사용자를 유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의 입장에서는 컨텐츠별로 해당 컨텐츠를 제공받고 있는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컨텐츠별 소비계층의 특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현재 시점에서 동일한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다른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와 해당 컨텐츠에 관한 의견을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통신부(110) 및 그래픽 화면 제공부(120)를 포함한다. 이하, 각 구성 요소 별로 기능을 상세히 설명한다.
통신부(110)는 다수의 단말(13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130)은 상기 컨텐츠 서비스 제공장치(100)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PC(130a), 스마트폰(130b), 태블릿 PC 등일 수 있다. 그리고, 통신의 수행에 따라 교환되는 정보는 컨텐츠 서비스의 제공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픽 화면 제공부(120)는 컨텐츠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그래픽 화면 즉,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컨텐츠는 동영상 컨텐츠, 이미지 컨텐츠, 오디오 컨텐츠, 텍스트 컨텐츠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그래픽 화면은 단말(13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객체를 의미한다. 예컨대, 그래픽 화면은 웹 페이지 형태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그래픽 화면 제공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그래픽 화면(210) 및 제2 그래픽 화면(220)이 포함된 그래픽 화면(200)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각 그래픽 화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제1 그래픽 화면(210)은 사용자에게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화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제1 그래픽 화면(210)에는 컨텐츠 서비스의 제공에 이용되는 다양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컨텐츠 서비스의 제공에 이용되는 정보는 제1 그래픽 화면(21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그래픽 화면(210)에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130)에서 재생 가능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즉, 컨텐츠 목록)이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제1 그래픽 화면(210)을 통해서는 선택된 컨텐츠 서비스 목록과 대응되는 컨텐츠가 제공(재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서비스가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과 대응되는 경우, 제1 그래픽 화면(210)에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동영상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객체가 생성되고, 이를 통해 동영상 컨텐츠가 재생될 수 있다.
또한, 제2 그래픽 화면(220)은 현재 시점에서 제1 그래픽 화면(21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되고 있는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를 제공받고 있는 타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소정의 컨텐츠 정보가 선택되면, 선택된 컨텐츠 정보에 상응하는 컨텐츠를 재생하고 있는 타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제2그래픽 화면(220)에 표시된 정보를 보고, 선택된 컨텐츠를 재생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제2 그래픽 화면(22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지도가 표시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타사용자에 대한 정보는 상기 지도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타사용자에 대한 정보는 적어도 상기 타사용자(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타사용자의 위치 정보는 타사용자의 단말기(130)에 대응되는 GPS 정보, IP 주소 정보, 또는 다른 사용자에 의해 직접 등록된 주소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컨텐츠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상기 타사용자의 단말기(130)로부터 GPS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GPS 정보에 상응하는 위치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컨텐츠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자신과 세션이 연결된 상기 타사용자 단말기(130)의 IP 주소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데, 확인된 IP주소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사용자 단말기(130)의 위치정보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상기 IP 주소정보에 상응하는 실제 주소정보를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등의 소정의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또는, 타사용자들이 자신의 주소정보라고 등록해둔 정보를 위치정보로써 이용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사용자는 현재 자신이 재생하고 있는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를 재생하고 있는 타사용자들의 위치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또는, 자신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컨텐츠를 재생하고 있는 타사용자들의 위치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사용자들의 위치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고 함은, 얼마나 많은 사용자들이 현재 상기 사용자가 재생하고 있는 컨텐츠 또는 관심있는 컨텐츠를 재생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소정의 컨텐츠 정보(예컨대, 컨텐츠 A)를 선택하고, 상기 컨텐츠 정보에 상응하는 컨텐츠를 재생하고 있는 사용자가 많은지 여부, 자신과 관련된 위치에 있는지 여부, 또는 타사용자의 나이대 등의 신상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실제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컨텐츠 정보(예컨대, 컨텐츠 A)에 상응하는 컨텐츠를 재생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자신과 동일한 관심(컨텐츠)을 갖고 있는 타유저들의 위치분포를 눈으로 확인할 수도 있고, 타유저들의 신상정보도 확인할 수 있으므로 관심(컨텐츠)를 매개로 하는 소정의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가 형성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타사용자가 어디에 있는지를 알려주기 위해, 그래픽 화면 제공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 상에 다른 컨텐츠 사용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소정의 표시자(221)를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서,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그래픽 화면(210)에 컨텐츠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정보인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가 표시되고, 통신부(110)를 통해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의 컨텐츠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그래픽 화면 제공부(120)는 선택된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제공받고 있는 타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대응되는 표시자(221)를 제2 그래픽 화면(220) 내의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관심을 가지는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다른 사용자가 어느 곳에 위치하는지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확인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해당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을지 여부를 결정(일례로,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다른 사용자의 수가 많은 경우, 해당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므로, 제2 그래픽 화면(220)에 표시된 타사용자의 위치 정보는 컨텐츠 서비스의 선택을 위한 가이드 정보로도 활용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서,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그래픽 화면(210)을 통해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되고 있는 경우, 그래픽 화면 제공부(120)는 사용자 단말기에게 제공되고 있는 컨텐츠를 제공받는 다른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대응되는 표시자(221)를 제2 그래픽 화면(220) 내의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사용자와 동일한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타사용자가 복수인 경우, 제2 그래픽 화면(220)에는 하나 이상의 타사용자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조건과 부합하는 적어도 일부의 타사용자의 위치 정보만이 표시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미리 타사용자에 대한 나이 조건, 성별 조건, 위치 조건 및/또는 작업 조건 등과 같은 조건을 설정해 놓은 경우, 그래픽 화면 제공부(120)는 동일한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타사용자 중에서 사용자의 관심 대상에 부합하는 타사용자에 대한 위치 정보만을 제2 그래픽 화면(22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타사용자에 대한 정보에는 다른 사용자의 신상 정보(일례로서, 다른 사용자의 나이, 이름, 아이디, 별명, 성별, 직업 등) 및/또는 타사용자가 제공받았던 컨텐츠 서비스에 대한 정보(이하, "컨텐츠 서비스 제공 이력 정보"라고 함)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사용자의 신상 정보 및/또는 컨텐츠 서비스 제공 이력 정보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2 그래픽 화면(22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제1 예로서, 그래픽 화면 제공부(120)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간단한 표시자(221a)를 통해 하나 이상의 타사용자의 위치를 지도 상에 표시하되, 통신부(110)를 통해 하나 이상의 타사용자의 위치 정보(즉, 표시자(221))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선택된 위치 정보와 대응되는 타사용자의 신상 정보(222) 및/또는 컨텐츠 서비스 제공 이력 정보(223)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제2 그래픽 화면(220)에 더 표시할 수 있다.
제2 예로서, 그래픽 화면 제공부(120)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타사용자의 신상 정보의 적어도 일부(일례로, 아이디, 사진 등)를 타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함께 표시하는 표시자(221b)를 제2 그래픽 화면(220) 내의 지도 상에 표시하되, 통신부(110)를 통해 하나 이상의 타사용자의 위치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선택된 위치 정보와 대응되는 타사용자의 나머지 신상 정보(222) 및/또는 컨텐츠 서비스 제공 이력 정보(223)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제2 그래픽 화면에 더 표시할 수 있다.
제3 예로서, 그래픽 화면 제공부(120)는 앞서 설명한 제1 예와 제2 예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그래픽 화면 제공부(120)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위치 정보와 함께 표시될 신상 정보가 타사용자로부터 미리 등록된 경우에는 제2 예에서와 같이 위치 정보와 신상 정보를 함께 지도에 표시하고(표시자(221b)), 위치 정보와 함께 표시될 신상 정보가 타 사용자로부터 미리 등록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1 예에서와 같이 위치 정보만을 지도에 표시할 수 있다(표시자(221a)). 이 경우, 표시자(221a)가 선택되면 타사용자의 신상 정보(222) 및 컨텐츠 서비스 제공 이력 정보(223)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고, 표시자(221b)가 선택되면 타사용자의 표시되지 않은 나머지 신상 정보(222) 및 컨텐츠 서비스 제공 이력 정보(223)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2 그래픽 화면(220) 상에 표시되는 타사용자의 컨텐츠 서비스 제공 이력 정보 역시 사용자의 컨텐츠 서비스의 선택을 위한 가이드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타사용자에 대한 정보인 컨텐츠 서비스 제공 이력을 확인하여 자신과 관심사가 유사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를 컨텐츠 서비스의 선택을 위한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제2 그래픽 화면(220) 상에 표시되는 지도는 확대 또는 축소 가능하고, 지도의 확대 정도에 비례하여 지도 상에 표시되는 타사용자의 신상 정보의 양은 증가될 수 있다. 예컨대, 지도의 확대 정도가 작은 경우 지도 상에는 타사용자의 아이디만이 표시되고, 지도의 확대 정도가 큰 경우 지도 상에는 타사용자의 아이디와 사진이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통신부(110)를 통해 하나 이상의 타사용자의 위치 정보(즉, 표시자(221))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단말기)로부터의 입력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그래픽 화면 제공부(120)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선택된 어느 하나의 위치 정보와 대응되는 타사용자와 채팅을 수행하거나 인스턴스 메시지, 이 메일 및 문자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3 그래픽 화면(230)을 생성하여 사용자(단말기)에게 더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과 동일한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사용자와 실시간으로 해당 컨텐츠 서비스에 대한 의견을 주고받을 수 있게 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특정 사용자에게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해당 컨텐츠 서비스에 대해 관심을 가지는 타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타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지도 상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타사용자의 위치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또한, 동일한 컨텐츠에 관심을 가지는 타사용자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신상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여 보다 많은 사용자를 유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현재 시점에서 동일한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다른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와 해당 컨텐츠에 관한 의견을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단계(S710)에서는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1 그래픽 화면을 생성하여 사용자(단말기)에게 제공한다.
그리고, 단계(S720)에서는 제1 그래픽 화면을 통해 사용자(단말기)에게 제공되고 있거나 제1 그래픽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제1 그래픽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하나 이상의 타사용자 중 적어도 일부의 타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2 그래픽 화면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 때, 제2 그래픽 화면에는 지도가 표시되고, 적어도 일부의 타사용자에 대한 정보는 지도 상에 표시되는 적어도 일부의 타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제1 그래픽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는 제1 그래픽 화면을 통해 제공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컨텐츠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 중에서 상기 입력신호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 정보와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타사용자에 대한 정보는 타사용자의 신상 정보 또는 상기 타사용자가 제공받았던 컨텐츠 서비스에 대한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적어도 한 명의 타사용자의 위치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730) 및 선택된 어느 하나의 위치 정보와 대응되는 타사용자와 채팅을 수행하거나 인스턴스 메시지, 이 메일 및 문자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3 그래픽 화면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S7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이에는 앞서 도 1에서 설명한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관한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서비스 제공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USB저장장치,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컨텐츠 서비스 제공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1 그래픽 화면; 및
    상기 제1 그래픽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츠 목록 중에서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기 전에, 상기 컨텐츠를 제공받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타사용자 단말기에 상응하는 적어도 한 명의 타사용자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2 그래픽 화면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그래픽 화면 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서비스 제공장치는,
    제공된 상기 제2그래픽 화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재생요청이 있으면, 상기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하도록 하며,
    상기 적어도 한 명의 타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응하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다른 사용자에 대한 나이 조건, 성별 조건, 위치 조건, 또는 직업 조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사용자이며,
    상기 그래픽 화면 제공부는,
    상기 제2 그래픽 화면에 표시되는 지도 상에 상기 적어도 한 명의 타사용자의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한 명의 타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제2 그래픽 화면에 상기 타사용자가 제공받았던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는 상기 제2 그래픽 화면 내에서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있고, 상기 지도의 확대 정도에 비례하여 상기 지도 상에 표시되는 상기 타 사용자의 신상 정보의 양은 증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입력신호가 상기 적어도 한 명의 타사용자의 위치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신호인 경우, 상기 그래픽 화면 제공부는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타사용자와 채팅을 수행하거나 인스턴스 메시지, 이 메일 및 문자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3 그래픽 화면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타사용자가 소지한 단말기의 GPS 정보, IP 주소 정보, 또는 상기 타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주소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11. 컨텐츠 서비스 제공장치가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1 그래픽 화면을 생성하여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그래픽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츠 목록 중에서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컨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컨텐츠가 재생되기 전에 상기 컨텐츠를 제공받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타사용자 단말기에 상응하는 적어도 한 명의 타사용자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2 그래픽 화면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그래픽 화면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서비스 제공장치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다른 사용자에 대한 나이 조건, 성별 조건, 위치 조건, 또는 직업 조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상기 적어도 한 명의 타사용자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2 그래픽 화면에 표시되는 지도 상에 상기 적어도 한 명의 타사용자의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한 명의 타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그래픽 화면에 상기 적어도 한 명의 타사용자가 제공받았던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제공된 상기 제2 그래픽 화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재생요청이 있으면, 상기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한 명의 타사용자의 위치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선택된 어느 하나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타사용자와 채팅을 수행하거나 인스턴스 메시지, 이 메일, 또는 문자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3 그래픽 화면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11항 또는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10067748A 2011-07-08 2011-07-08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306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748A KR101306864B1 (ko) 2011-07-08 2011-07-08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748A KR101306864B1 (ko) 2011-07-08 2011-07-08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990A KR20130005990A (ko) 2013-01-16
KR101306864B1 true KR101306864B1 (ko) 2013-09-12

Family

ID=47837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7748A KR101306864B1 (ko) 2011-07-08 2011-07-08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686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2812A (ja) * 2002-07-31 2004-02-26 Sony Corp 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60057595A (ko) * 2003-08-05 2006-05-26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미디어 콘텐트의 공유 경험
KR20060099748A (ko) * 2005-03-14 2006-09-20 (주)유비티즌 카테고리 컨텐츠 공유시스템 및 방법
JP2006314073A (ja) * 2005-05-04 2006-11-16 Era Digital Media Co Ltd 対話型マルチメディアインタフェース画面を表示するマルチメディアコンテンツ配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2812A (ja) * 2002-07-31 2004-02-26 Sony Corp 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60057595A (ko) * 2003-08-05 2006-05-26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미디어 콘텐트의 공유 경험
KR20060099748A (ko) * 2005-03-14 2006-09-20 (주)유비티즌 카테고리 컨텐츠 공유시스템 및 방법
JP2006314073A (ja) * 2005-05-04 2006-11-16 Era Digital Media Co Ltd 対話型マルチメディアインタフェース画面を表示するマルチメディアコンテンツ配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990A (ko)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28204B2 (ja) 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KR102167834B1 (ko) 봇을 이용한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8006304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stant messaging service
US9485285B1 (en) Assisting the authoring of posts to an asymmetric social network
US20100088187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lized and/or topic-driven content distribution for mobile devices
WO2017121303A1 (zh) 视频直播中播放推送信息的方法和装置
US10423966B2 (en) Method and system for online helpdesk
JP2011515735A5 (ko)
JP2011515735A (ja) コミュニティーベースのターゲット広告
CN104753762A (zh) 应用于即时通信的向头像图标中添加装饰物的方法和系统
US9952752B1 (en) Determining intent of a recommendation on a URL of a web page or advertisement
US20130325925A1 (en) Posted information sharing system, information-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storage medium, and computer platform
JP7473922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4956761B2 (ja) 投稿データ管理サーバ装置、投稿データ管理方法、および投稿データ管理サーバプログラム
US10250548B2 (en) Social media engagement engine
JP2008282136A (ja) 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キングサービス提供装置、提供方法および提供プログラム
US10217142B1 (en) Selective solicitation of user feedback for digital goods markets
JP2023056052A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CN110601954A (zh) 一种社交软件简易信息浏览的方法
KR101306864B1 (ko)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JP6486302B2 (ja) 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管理装置
WO2018123248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7302835B1 (ja) 発信者情報取得システム、発信者情報取得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30021797A (ko) 친구 추천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Opeyemi et al. WeChat Uses and Gratifications Among Young Malaysian Adults In Klang Valley, Malays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