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6679B1 - Apparatus for food garbage treatmen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food garbage treat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06679B1 KR101306679B1 KR1020120102210A KR20120102210A KR101306679B1 KR 101306679 B1 KR101306679 B1 KR 101306679B1 KR 1020120102210 A KR1020120102210 A KR 1020120102210A KR 20120102210 A KR20120102210 A KR 20120102210A KR 101306679 B1 KR101306679 B1 KR 1013066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od waste
- drying
- conveyor
- unit
- protrusions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0813 municipal solid waste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3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5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7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4332 deodoriz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2781 deodorant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065 wastewater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35943 smell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24 preserv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10000004279 Orbit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642 transportation engine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6010057190 Respiratory tract infe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61 compo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06 kitchen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41 weav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27—Mixers having moving endless chains or belts, e.g. provided with paddles, as mixing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08—Parts thereof
- F26B25/12—Walls or sides; Do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F26B9/0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including agitating devices, e.g. pneumatic recirculation arrang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 분쇄 및 건조처리하고, 냄새를 탈취처리하여 쉽게 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제1 컨베이어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처리하는 탈수부와, 상기 탈수부의 후방에서 제2 컨베이어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및 건조시키는 건조부를 구비하며,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중에 발생된 악취와 수분을 응축시켜서 제거하고, 활성탄을 이용한 탈취 필터를 이용하여 탈취처리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발생과 동시에, 보다 빠르고 완벽하게 즉시 처리할 수 있도록 개선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dehydrating, pulverizing and drying food waste, and deodorizing and easily treating food waste, and more particularly, a dehydration part for dehydrating food waste by a first conveyor, and a rear side of the dewatering part. And a drying unit for pulverizing and drying the food waste by the second conveyor in the condensation unit, condensing and removing odors and moisture generated during processing of the food waste, and deodorizing by using a deodorizing filter using activated carbon. At the same time, it relates to an improved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that can be processed more quickly and completely immediately.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별도의 공공 수거함에 수거하여 수분을 제거하여 매립하거나, 별도로 가공 후 가축의 사료나 퇴비 등으로 활용되도록 하고 있다. In general, food wastes discharged from homes and restaurants are collected in separate public collection bins to remove moisture and landfill, or separately processed to be used as livestock feed or compost.
하지만 음식물 쓰레기는 대부분 젖은 상태에서 수거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수분 함유량이 높고 부피 또한 큰 상태이다. 이와 같이 쓰레기가 수분이 많으면 쉽게 부패되고, 부피와 함께 무게가 커지면 운반이나, 운반 후 가공 등의 취급에 어려운 문제가 있다. However, most of the food waste is collected in a wet state, so the water content is high and the volume is large. Thus, when the garbage is too much water, it easily rots, and when the weight increases with the volume, there is a problem in handling such as transportation or processing after transportation.
이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는 음식물을 섭취하고 남기는 양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므로 음식물을 남기는 양을 줄여나가는 주문 식단제가 사회적 계몽으로 폭넓게 이루어지고 있기는 하나, 그 실효성은 매우 미흡한 상태이다. Since the food waste is most desirable to minimize the amount of food ingested and left, the order diet system that reduces the amount of food left is widely made by social enlightenment, but its effectiveness is very poor.
따라서 쓰레기 발생지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적극적으로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서 개발된 것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이다.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actively reduce food waste at the waste generating site, and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developed for this purpose.
이와 같은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젖은 음식물 쓰레기를 히팅(heating)에 의해 건조시켜 무게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잘게 분쇄하여 부피도 동시에 줄일 수 있도록 한다. Such a conventional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not only reduces weight by drying wet food waste by heating, but also finely grinds to reduce volume.
하지만, 기존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고, 가열로의 수분을 제거하며, 이와 같이 처리된 쓰레기 결과물을 비우기 위하여 건조부의 하단을 개방시키는 도어 개폐 방식으로서 이들 구성품을 동작시키기 위한 별도의 배출용 모터 및 기구를 설치하고 있다. However, the existing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is a door opening and closing method for operating these components by pulverizing food waste, removing moisture from the heating furnace, and opening the bottom of the drying unit in order to empty the resultant waste. Discharge motor and mechanism are installed.
따라서,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구조적으로 복잡하게 이루어져서 제조원가가 높고, 잦은 고장으로 인하여 상품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Therefore, the conventional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is structurally complicated, the manufacturing cost is high, and there are obstacles to commercialization due to frequent failures.
뿐만 아니라, 종래에는 주방에 이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완벽하게 냄새를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시에 발생하는 냄새가 종종 외부로 유출되어 실내 공기를 오염시켜 불쾌감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conventionally, such a kitchen waste disposal apparatus in the kitchen has a problem that does not completely remove the smell. That i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dor generated during the processing of food waste often leaks to the outside and contaminates the indoor air, causing discomfort.
또한,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대부분 주방의 일정장소에 고정식으로 설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설치하기가 어려운 좁은 공간의 주방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공간상의 제약이 큰 것이었다. 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is fixedly installed in a fixed place of most kitchens, there is a large space constraint that cannot be used in a small space kitchen where it is difficult to install such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따라서, 당업계에서는 이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의 발생 즉시, 쉽게 탈수, 분쇄, 건조 및 탈취시켜서 보다 빠르고 완벽하게 즉시 처리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과제인 것이다. Therefore, it is a challenge in the art to develop a device that can be processed quickly and completely immediately by dehydration, grinding, drying and deodorization immediately after the occurrence of such food waste.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 분쇄 및 건조처리하고, 냄새를 탈취처리하여 쉽게 처리하되, 장소를 크게 차지하지 않는 간단한 구조로서 음식물 쓰레기의 발생과 동시에 빠르고 완벽하게 즉시 처리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dehydration, pulverization and drying of the food waste, and easily handled by deodorizing treatment, but the generation of food waste as a simple structure does not occupy a large place At the same time, to provide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that can be quickly and completely immediately process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vice for treating food waste,
상부측에는 음식물 쓰레기 투입구가 형성되고, 일측 제1 경사면에는 제1 컨베이어가 경사지게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수분을 짜고, 1차 분쇄시키며, 하부면에는 수분 배출용 배수구가 형성된 탈수부;A food waste inlet is formed at an upper side, and a first conveyor is rotatably mounted on one side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to squeeze moisture from the food waste, and firstly crush it;
상기 탈수부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탈수부의 제1 배출구에 연이어서 유입구가 형성되며, 일측 제2 경사면에는 제2 컨베이어가 경사지게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2차 분쇄 및 교반시키며, 하부에는 히터를 내장한 건조부;It is disposed side by side in the dewatering portion, the inlet is formed by successive to the first outlet of the dewatering portion, the second inclined surface is mounted so that the second conveyor is rotated inclined to the second crushing and agitated food waste, the lower portion A drying unit incorporating a heater;
상기 건조부의 출측 제2 배출구에 장착되어 상하로 승하강이 가능한 게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게이트를 동작시키는 구동 모터를 구비하여 일정 크기로 분쇄되고, 건조된 상태의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부로부터 회수함으로 이동시키도록 개폐시키는 도어부; It is equipped with a gate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mounted on the exit second outlet of the drying unit, and includes a drive motor for operating the gate, which is crushed to a certain size and moved to a food waste collected from the drying unit. A door part which opens and closes to be made;
상기 건조부의 상부측에 마련된 배기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악취와 수분을 응축시키는 냉각 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냉각 코일에 냉매를 순환 제공하는 응축기를 구비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배기로부터 수분을 제거시키는 열교환부; 및A heat exchanger having a cooling coil for condensing odor and moisture of the food waste discharged through an exhaust port provided at an upper side of the drying unit, and a condenser for circulating a refrigerant to the cooling coil to remove moisture from the exhaust of the food waste part; And
상기 건조부의 배기구에 연결된 배기관의 출측에 탈취 필터를 구비하여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악취를 흡착 제거하고, 상기 탈취 필터를 통하여 흡입력을 제공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배기를 외부 덕트로 흡입 배출시키는 배기 팬을 구비한 탈취부;를 포함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 분쇄 및 건조처리하고, 냄새를 탈취하여 처리하도록 구성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한다.A deodorization filter is provided on the outlet side of the exhaust pipe connected to the exhaust port of the drying unit to adsorb and remove odors from the food waste, and provides a suction force through the deodorization filter to provide a suction force to suck and discharge the food waste into the external duct. It provides a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configured to dehydrate, pulverize and dry the food waste, including the deodorant, and to deodorize and process the food waste.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탈수부는 음식물 쓰레기가 담기는 탈수함의 전면이 수직면으로 형성되고, 후면이 상광하협(上廣下狹)의 제1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탈수함 하부의 배수구는 다수의 배수공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배수구가 형성된 탈수함의 내측면에는 다수의 제1 돌기들이 횡방향 일정간격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1 컨베이어에는 다수의 제1 스크래퍼들이 일정간격으로 장착되고, 상기 각각의 제1 스크래퍼에는 상기 제1 돌기들에 일치하여 제1 돌기들이 통과가능한 제1 홈들이 다수 형성됨으로써 제1 컨베이어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제1 스크래퍼들이 제1 돌기들을 통과하게 되면, 그 사이에서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이 짜짐과 동시에, 음식물 쓰레기가 1차 분쇄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한다.And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the dewatering portion is formed in the vertical surfac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dehydration box containing the food waste, the rear surface is formed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strait (上 廣 下 狹), the drain hole of the lowe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ewatering box in which the drain hole is formed,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are formed to protrud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first scrapers are mounted on the first conveyor at predetermined intervals. When the first scrapers pass through the first protrusions while the first conveyor rotates by forming a plurality of first grooves through which the first protrusions pass through the first scraper, the food scraps therebetween. It provides a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in which the moisture of the squeezed and at the same time, the food waste is first crushed.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탈수부는 제1 컨베이어를 회전시키는 제1 모터가 탈수함의 외측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모터의 회전축에는 제1 구동 스프로켓이 장착되며, 상기 제1 구동 스프로켓에는 제1 체인이 연결되어 상기 제1 컨베이어의 구동축에 마련된 제1 종동 스프로켓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 모터가 작동되면 제1 구동 스프로켓과 제1 종동 스프로켓 사이에서 제1 체인이 무한괘도형으로 회전되어 제1 컨베이어의 구동축을 회전시키고, 상기 제1 컨베이어에 장착된 다수의 제1 스크래퍼들이 탈수함의 제1 경사면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제1 돌기들과 상호작용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1차 분쇄와 탈수동작이 이루어지고 제1 모터 역회전으로 1차 분쇄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시키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the dewatering portion is fixed to the outside of the dehydration box of the first motor for rotating the first conveyor, the first drive sprocket is mounted on the rotating shaft of the first motor, the first drive sprocket the first The chain is connected to and connected to a first driven sprocket provided on the drive shaft of the first conveyor. When the first motor is operated, the first chain is rotated in an infinite orbit between the first drive sprocket and the first driven sprocket. Rotating the drive shaft of the conveyor, a plurality of first scrapers mounted on the first conveyor moves along the first slope of the dehydration box and interacts with the first projections to perform the first grinding and dehydration of food waste Provides a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for transporting the first crushed dehydrated food waste by the reverse motor 1 rotation.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조부는 탈수함에 인접한 건조함의 전면이 수직면으로 형성되고, 후면이 상광하협의 제2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건조함의 하부 내측면에는 다수의 제2 돌기들이 횡방향 일정간격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2 컨베이어에는 다수의 제2 스크래퍼들이 일정간격으로 장착되고, 상기 각각의 제2 스크래퍼에는 상기 제2 돌기들에 일치하여 제2 돌기들이 통과가능한 제2 홈들이 다수 형성됨으로써 제2 컨베이어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제2 스크래퍼들이 제2 돌기들을 통과하게 되면, 그 사이에서 음식물 쓰레기의 2차 분쇄 및 교반이 이루어지고, 건조함 하부에 장착된 히터를 통하여 건조함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가 이루어지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한다.And preferably, the drying unit is formed in the vertical plan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drying zone adjacent to the dehydration, the rear surface is formed of a second inclined surface of the upper light substrait, a plurality of second projections on the lower inner side of the drying chamb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Protruding at intervals, the second conveyo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scrapers at regular intervals, and each of the second scrapers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grooves through which the second protrusions pass in accordance with the second protrusions. As a result, when the second scrapers pass through the second protrusions in the process of rotating the second conveyor, the secondary crushing and stirring of the food waste is performed therebetween, and the food inside the drying chamber is heated by a heater mounted under the drying box. Provided is a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in which garbage is dried.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조부는 제2 컨베이어를 회전시키는 제2 모터가 건조함의 외측에 고정되고, 상기 제2 모터의 회전축에는 제2 구동 스프로켓이 장착되며, 상기 제2 구동 스프로켓에는 제2 체인이 연결되어 상기 제2 컨베이어의 구동축에 마련된 제2 종동 스프로켓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2 모터가 작동되면, 제2 구동 스프로켓과 제2 종동 스프로켓 사이에서 제2 체인이 무한괘도형으로 회전되어 제2 컨베이어의 구동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2 컨베이어에 장착된 다수의 제2 스크래퍼들이 건조함의 제2 경사면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제2 돌기들과 상호작용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2차 분쇄와 교반동작이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건조함의 하부 외측면에 히터가 내장되어 건조함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the drying unit is fixed to the outside of the drying box is a second motor for rotating the second conveyor, a second drive sprocket is mount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second motor, the second drive sprocket is a second When the chain is connected and connected to a second driven sprocket provided on the drive shaft of the second conveyor, when the second motor is operated, the second chain is rotated in an infinite orbit between the second driving sprocket and the second driven sprocket. By rotating the drive shaft of the second conveyor, a plurality of second scrapers mounted on the second conveyor move along the second inclined surface of the drying machine to interact with the second protrusions to perform secondary grinding and stirring of the food waste,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for drying the food waste inside the dryer is built in the heater outer outer surface of the drying box Lt; / RTI >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어부는 건조함의 제2 경사면 상부측에 제2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배출구를 덮으면서 상하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게이트가 장착되며, 상기 게이트의 배면 중앙에는 너트 블록이 일체로 장착되고, 상기 너트 블록에는 볼 스크류가 회전가능하도록 수직으로 결합되는 한편, 상기 볼 스크류의 상단은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체인과 스프로켓 기어들을 통하여 연결됨으로써 상기 구동 모터가 작동하면 볼 스크류가 정역회전하면서 너트 블록을 통하여 게이트를 승하강시켜 제2 배출구를 개폐시킴으로써, 제2 배출구가 게이트에 의해서 닫친 상태에서는 건조부의 내부에서 음식물 쓰레기의 2차 분쇄, 교반 및 건조가 이루어지고, 제2 배출구가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 건조부에서 2차 분쇄 및 건조가 완료된 음식물 쓰레기를 회수함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한다.And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the door portion is formed with a second outlet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of the dry, the gate is mounted so as to slide up and down while covering the second outlet, the nut in the center of the back of the gate The block is integrally mounted, and the nut block is vertically coupled so that the ball screw is rotatable, while the upper end of the ball screw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drive motor through a chain and a sprocket gear so that the ball screw is operated when the drive motor is operated. The gate is moved up and down through the nut block while the reverse rotation rotates to open and close the second outlet, so that the second waste is closed by the gate, and the second crushing, stirring, and drying of the food waste is performed inside the drying unit. When the outlet is open, the second crushed and dried food in the drying unit Provides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configured to be moved to a waste collection bin.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교환부는 건조부의 배기구에 연결된 배기관 둘레를 감도록 배치된 냉각 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냉각 코일에 공급되는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를 구비하며, 상기 응축기의 냉매를 냉각시키기 위한 라디에이터를 구비하는 한편, 상기 라디에이터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팬을 구비하여 상기 냉각 코일에 저온의 냉매를 연속 공급하여 배기관을 냉각시키고, 상기 배기관 내부를 통해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배기로부터 수분을 응축시켜서 배기관 하부측의 드레인 관으로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탈수부의 배수구로부터 배출되는 수분과 함께 합쳐서 외부로 배출시키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comprises a cooling coil disposed around the exhaust pipe connected to the exhaust port of the drying unit, a condenser for condensing the refrigerant supplied to the cooling coil, and cooling the refrigerant of the condenser. And a radiator for cooling the radiator, and continuously supplying a low-temperature refrigerant to the cooling coil to cool the exhaust pipe, condensing moisture from the exhaust of food waste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ipe. It is to be discharged to the drain pipe of the lower side of the exhaust pipe, and together with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drain of the dewatering portion to provide a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to discharge to the outside.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탈취부는 탈취 필터의 내부에 활성탄을 포함한 탈취재료를 내장하여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악취를 흡착 제거하고, 배기 팬의 입구를 탈취 필터에 연결하며, 배기 팬의 출구를 열교환부의 라디에이터측에 연결시켜서 열교환부를 통과하여 냉각된 음식물 쓰레기의 배기를 열교환부의 냉각 팬에 의해서 외부 덕트로 흡입 배기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한다.And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the deodorizing unit has a deodorizing material containing activated carbon inside the deodorizing filter to adsorb and remove odors from food waste, connect the inlet of the exhaust fan to the deodorizing filter, the outlet of the exhaust fan to the heat exchanger Provided is a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which is connected to the radiator side and sucks and exhausts the food waste cooled through the heat exchanger to the outside duct by a cooling fan of the heat exchanger.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탈수부는 분쇄 탈수가 이루어진 음식물 쓰레기를 즉시 건조로에 이송된 후 비워진 상태로 유지하고, 상시적으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납 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provides a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that can be kept in the empty state after the food waste made of crushed dehydration is immediately transferred to the drying furnace, and can receive the food waste generated at all times.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의하면, 탈수부를 통하여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수분을 짜고, 1차 분쇄시키며, 상기 탈수부와 유사한 구조로서 나란하게 배치된 건조부를 통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2차 분쇄 및 교반시키며, 히터를 이용하여 건조시킨다.According to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is squeezed from the food waste through the dehydration unit, and firstly crushed, and the food waste is secondaryly crushed and agitated through the drying units arranged side by side in a structure similar to the dehydration unit, Dry using a heater.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열교환부를 통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배기로부터 수분을 제거시키고, 탈취부의 탈취 필터를 통하여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악취를 흡착 제거하여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음식물 쓰레기를 신속하게 탈수, 분쇄 및 건조처리하고, 악취 등의 냄새를 탈취 제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is removed from the exhaust of the food waste through the heat exchanger, and the food waste is quickly dehydrated, pulverized and dried by adsorbing and removing the odor from the food waste through the deodorizing filter of the deodorizing unit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smell of these etc. can be deodorized.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장소를 크게 차지하지 않는 간단한 구조로서 음식물 쓰레기의 발생과 동시에, 빠르고 완벽하게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 분쇄 및 건조처리하고, 탈취하여 즉시 처리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얻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simple structure that does not occupy a large place, food waste can be generated at the same time, and the food waste can be dehydrated, pulverized and dried, and deodorized and treated immediatel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도시한 전방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커버를 제외하고 중요 부분을 상세히 도시한 후방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구비된 탈수부와 건조부를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구비된 탈수부의 배수구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덮개를 제거한 상태로 탈수부와 건조부의 내부가 보이도록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구비된 탈수부의 배수구 작동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구비된 열교환부와 탈취부를 상세히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구비된 건조부의 작동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구비된 건조부의 히터구조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구비된 도어부의 배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구비된 도어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front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rear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in detail the important parts of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invention except for the cover.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in detail the dewatering and drying unit provided in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in detail the drainage structure of the dewatering portion provided in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dehydration unit and the drying unit 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is removed from the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rainage operation structure of the dehydration unit provided in the food waste tr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rear view showing in detail the heat exchanger and the deodorizing unit provided in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structure of the drying unit provided in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eater structure of a drying unit provided in the food waste tr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rear view of the door unit provided in the food waste tr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door unit provided in the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는 음식물 쓰레기(P)를 탈수, 분쇄 및 건조처리하고, 냄새를 탈취하여 처리하기 위한 장치이다.Food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는 도 1 및 도 2에 전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탈수부(200), 건조부(300), 도어부(400), 열교환부(500) 및 탈취부(600)를 포함하고, 이를 철판으로 이루어진 커버(110)로 에워싸서 그 내부에 내장하고 있다. Food
본 발명에 구비된 탈수부(20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측에 음식물 쓰레기 투입구(210)가 형성되고, 탈수함(220)의 일측 제1 경사면(222)에는 제1 컨베이어(230)가 경사지게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음식물 쓰레기(P)로부터 수분을 짜고, 1차 분쇄시키며, 하부면에는 수분 배출용 배수구(240)가 형성된 구조이다.As shown in FIGS. 1 and 3, the
이와 같은 탈수부(200)는 그 내부에서 음식물 쓰레기(P)가 1차 분쇄되고, 주로 수분이 짜져서 제거되는데, 철판으로 이루어진 탈수함(220)의 전면이 수직면(224)으로 형성되고, 후면이 상광하협의 제1 경사면(222)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 상부측의 음식물 쓰레기 투입구(210)를 통해서 음식물 쓰레기(P)가 담긴다. The
또한 이와 같은 탈수부(200)는 탈수함(220) 하부에 배수구(240)가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배수구(2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배수공(242)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수구(240)가 형성된 탈수함(220)의 내측면에는 다수의 제1 돌기(252)들이 횡방향 일정간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such a
그리고 이와 같은 탈수부(200)는 그 내부에 제1 컨베이어(230)가 구비되며, 이러한 제1 컨베이어(23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제1 스크래퍼(234)들이 일정간격으로 장착되고, 상기 각각의 제1 스크래퍼(234)에는 상기 제1 돌기(252)들에 일치하여 제1 돌기(252)들이 통과가능한 제1 홈(236)들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The
따라서 이와 같은 탈수부(200)는 제1 컨베이어(23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제1 스크래퍼(234)들이 제1 돌기(252)들을 통과하게 되면, 그 사이에서 음식물 쓰레기(P)의 수분이 짜짐과 동시에, 음식물 쓰레기(P)가 1차 분쇄된다.Therefore, the
즉, 음식물 쓰레기(P)는 최초 발생시에는 다량의 수분(물)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제1 컨베이어(230)가 동작하면서 제1 스크래퍼(234)가 제1 돌기(252)를 지나쳐서 회전이동하면, 제1 스크래퍼(234)에 마련된 제1 홈(236)들을 통하여 제1 돌기(252)가 지나치면서 직경 또는 크기가 큰 음식물 쓰레기(P)는 보다 작은 직경의 음식물 쓰레기(P)로 1차 분쇄된다.That is, since the food waste P contains a large amount of water (water) at the first occurrence, when the
동시에, 이러한 탈수부(200)는 제1 스크래퍼(234)가 제1 돌기(252)를 지나가면서, 제1 돌기(252)들에 의해서 제1 스크래퍼(234)가 진행하는 유로 크기를 축소시키게 되므로, 음식물 쓰레기(P)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크래퍼(234)와 제1 돌기(252) 사이에서 협착(狹窄)되면서 짜지는 작동(squeezing)이 이루어지게 되어 다수의 배수공(242)으로 이루어진 배수구(240)를 통하여 하부로 수분이 배출되고, 수분이 제거되며 1차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P)가 탈수함(220) 내에서 얻어진다. At the same time, the
또한 이와 같은 탈수부(200)는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컨베이어(230)를 회전시키는 제1 모터(260)가 탈수함(220)의 외측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모터(260)의 회전축에는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 스프로켓(262)이 장착되는데, 이와 같은 제1 구동 스프로켓(262)에는 제1 체인(264)이 연결되어 상기 제1 컨베이어(230)의 구동축(238)에 마련된 제1 종동 스프로켓(266)에 연결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2 and 7, the
따라서 상기 제1 모터(260)가 작동되면 제1 구동 스프로켓(262)과 제1 종동 스프로켓(266) 사이에서 제1 체인(264)이 무한괘도형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 종동 스프로켓(266)에 연결된 제1 컨베이어(230)의 구동축(238)을 회전시킨다.Accordingly, when the
이와 같이 제1 컨베이어(230)가 회전되면, 다수의 제1 스크래퍼(234)들이 탈수함(220)의 제1 경사면(222)을 따라서 이동하게 되고, 제1 돌기(252)들과 상호작용하여 음식물 쓰레기(P)의 1차 분쇄와 탈수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As such, when th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는 상기 탈수부(200)의 후방에서 탈수부(200)에 나란하게 배치된 건조부(300)를 구비하는데, 이와 같은 건조부(300)는 탈수부(200)의 제1 배출구(292)에 연이어서 유입구(302)가 형성되며, 일측 제2 경사면(322)에는 제2 컨베이어(330)가 경사지게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음식물 쓰레기(P)를 2차 분쇄 및 교반시키며, 하부에는 히터(370)를 내장한 구조이다.And the food
이와 같은 건조부(300)는 상기 탈수부(200)에 구조적으로 유사한데, 상기 건조부(300)는 탈수함(220)에 인접한 건조함(320)의 전면이 수직면(324)으로 형성되고, 후면이 상광하협의 제2 경사면(322)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경사면(322)을 따라서 제2 컨베이어(330)가 배치된다.This
또한 상기 건조부(300)는 건조함(320)의 하부 내측면에,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제2 돌기(352)들이 횡방향 일정간격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2 컨베이어(330)에는 다수의 제2 스크래퍼(334)들이 일정간격으로 장착되고, 상기 각각의 제2 스크래퍼(334)에는 상기 제2 돌기(352)들에 일치하여 제2 돌기(352)들이 통과가능한 제2 홈(336)들이 다수 형성된다.In addition, the drying
따라서 이와 같은 건조부(300)는 제2 컨베이어(33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제2 스크래퍼(334)들이 제2 돌기(352)들을 통과하게 되면, 그 사이에서 음식물 쓰레기(P)의 2차 분쇄 및 교반이 이루어지고, 건조함(320) 하부에 장착된 히터(370)를 통하여 건조함(320)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P)의 건조가 이루어진다.Therefore, when the
상기 건조함(320)에 구비된 히터(37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히터인데, 이는 건조함(320)의 하부 외측면에 부착된 몰드(372) 내에 히터 소자(374)가 내장되어 외부로부터 전원 공급에 의해서 발열하고, 건조함(320)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P)를 건조시킨다.The
또한 이와 같은 건조부(300)는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컨베이어(330)를 회전시키는 제2 모터(360)가 건조함(320)의 외측에 고정되고, 상기 제2 모터(360)의 회전축에는 제2 구동 스프로켓(362)이 장착되며, 상기 제2 구동 스프로켓(362)에는 제2 체인(364)이 연결되어 상기 제2 컨베이어(330)의 구동축(338)에 마련된 제2 종동 스프로켓(366)에 연결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2 and 7, the drying
따라서 건조부(300)의 제2 모터(360)가 작동되면, 제2 구동 스프로켓(362)과 제2 종동 스프로켓(366) 사이에서 제2 체인(364)이 무한괘도형으로 회전되어 제2 컨베이어(330)의 구동축(338)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2 컨베이어(330)에 장착된 다수의 제2 스크래퍼(334)들이 건조함(320)의 제2 경사면(322)을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따라서 이와 같은 과정에서 제2 컨베이어(330)의 제2 스크래퍼(334)들은 제2 돌기(352)들과 상호작용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P)를 2차 분쇄시키고, 교반시키게 된다.Therefore, in this process, th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는 상기 건조부(300)의 출측 제2 배출구(392)에 도어부(400)를 구비한다.In addition, the food
이러한 도어부(400)는 상기 건조함(320)으로부터 2차 분쇄 및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P)를 회수함(410)으로 이동시키도록 개폐동작하는 것으로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승하강이 가능한 게이트(420)를 구비하고, 상기 게이트(420)를 동작시키는 구동 모터(430)를 갖는다.The
이와 같은 도어부(400)는 건조함(320)의 제2 경사면(322) 상부측에 제2 배출구(392)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배출구(392)를 덮으면서 상하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게이트(420)가 장착되며, 상기 게이트(420)의 배면 중앙에는 너트 블록(440)이 일체로 장착되고, 상기 너트 블록(440)에는 볼 스크류(450)가 회전가능하도록 수직으로 결합되어 있다.The
또한, 상기 볼 스크류(450)의 상단은 건조함(320)의 상부측으로 돌출되고, 구동 모터(430)의 회전축에 체인(460)과 스프로켓(470)들을 통하여 연결됨으로써 상기 구동 모터(430)가 작동하면 체인(460)과 스프로켓(470)들을 통하여 볼 스크류(450)가 정역회전하면서 너트 블록(440)을 통하여 게이트(420)를 승하강시켜 제2 배출구(392)를 개폐시킨다.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따라서, 상기 제2 배출구(392)가 도어부(400)의 게이트(420)에 의해서 닫친 상태에서는 건조부(300)의 내부에서 음식물 쓰레기(P)의 2차 분쇄, 교반 및 건조가 이루어진다. Therefore, in the state in which the
이와 같은 도어부(400)는 게이트(420)가 닫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P)가 충분하게 2차 분쇄되고, 건조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회수함(410)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한다.The
그리고 게이트(420)가 제2 배출구(392)를 열은 상태에서는 상기 건조부(300)에서 2차 분쇄 및 건조가 완료된 음식물 쓰레기(P)를 건조함(320) 후방의 회수함(410)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에는 건조부(300)의 제2 컨베이어(330)가 역회전하여 2차 분쇄되고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P)를 상부측으로 밀어 올림으로써, 도 1 내지 도 3에 기재된 바와 같은 회수함(410)의 내부에 모여지게 된다. In the state in which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는 음식물 쓰레기(P)의 배기로부터 수분을 제거시키는 열교환부(50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열교환부(500)는 상기 건조부(300)의 상부측에 마련된 배기구(505)를 통하여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P)의 악취와 수분을 응축시키는 냉각 코일(520)을 구비하고, 상기 냉각 코일(520)에 냉매를 순환 제공하는 응축기(530)를 구비한다.In addition, the food
즉, 상기 열교환부(500)는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부(300)의 배기구(505)에 연결된 배기관(510) 둘레를 감도록 배치된 냉각 코일(520)을 구비하고, 상기 냉각 코일(520)에 공급되는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530)를 구비하며, 상기 응축기(530)의 냉매를 냉각시키기 위한 라디에이터(540)를 구비한다.That is, the
이와 같은 냉각 코일(520), 응축기(530) 및 라디에이터(540)는 통상적인 냉동 싸이클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냉각 코일(520)은 증발기와 같은 작동을 하여 냉매가 냉각 코일(520)의 내부에서 증발하면서 그 잠열을 이용하여 배기관(510) 내부를 흐르는 음식물 쓰레기(P)의 배기 온도를 낮추고 수분이 응축되도록 한다.The cooling
이와 같은 냉각 코일(520)의 냉매는 응축기(530)로 회수 순환되어 다시 액체 상태로 응축되는데, 이와 같은 냉매의 응축을 위하여 라디에이터(540)가 사용된다.The refrigerant of the cooling
이와 같은 열교환부(500)는 상기 라디에이터(540)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팬(550)을 구비하여 라디에이터(540)를 냉각시킴으로써, 상기 냉각 코일(520)에 저온의 냉매를 연속 공급하여 배기관(510)을 냉각시킨다.The
따라서 열교환부(500)는 배기관(510) 내부를 통해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P)의 배기로부터 수분을 응축시켜서 배기관(510) 하부측의 드레인 관(560)으로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탈수부(200)의 배수구(240)로부터 배출되는 수분과 함께 합쳐서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Therefore, th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는 탈취 필터(610)를 구비하여 음식물 쓰레기(P)로부터 악취를 흡착 제거하는 탈취부(600)를 포함한다.And the food
이와 같은 탈취부(600)는 건조부(300)의 배기구(505)에 연결된 배기관(510)의 출측에 탈취 필터(610)를 장착하고, 탈취 필터(610)를 통하여 흡입력을 제공하여 음식물 쓰레기(P)의 배기를 흡입 배출시키는 배기 팬(620)을 구비한다.The
즉, 상기 탈취부(600)의 탈취 필터(610)는 그 내부에 활성탄을 포함한 탈취재료를 내장하여 음식물 쓰레기(P)로부터 악취를 흡착 제거한다. That is, the
그리고 상기 배기 팬(620)의 입구를 탈취 필터(610)에 연결하고, 배기 팬(620)의 출구를 열교환부(500)의 라디에이터(540) 측에 연결시켜서 열교환부(500)를 통과하여 냉각된 저온의 음식물 쓰레기(P)의 배기를 이용하여 라디에이터(540)를 냉각시킨다.In addition, the inlet of the
이와 같이 라디에이터(540)를 냉각시킨 음식물 쓰레기(P)의 배기는 열교환부(500)의 냉각 팬(550)에 의해서 외부 덕트로 배출 제거된다.Thus, the exhaust of the food waste P which cooled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는, 먼저 탈수부(200)의 상부측 음식물 쓰레기 투입구(210)를 덮고 있는 덮개(110a)를 열고, 탈수함(220)의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P)를 넣는다. Food
그리고 상기 덮개(110a)를 닫고, 탈수부(200)의 제1 모터(260)를 회전시키면, 제1 구동 스프로켓(262), 제1 체인(264) 및 제1 종동 스프로켓(266)을 통하여 제1 컨베이어(230)가 제1 경사면(222)을 따라서 회전되고, 다수의 제1 스크래퍼(234)들이 탈수함(220)의 제1 경사면(222)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제1 돌기(252)들과 상호작용하여 음식물 쓰레기(P)를 1차 분쇄하고 탈수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When the
이와 같은 과정에서 음식물 쓰레기(P)로부터 짜여진 수분은 다수의 배수공(242)으로 이루어진 배수구(240)를 통하여 탈수함(220)의 하부측으로 배수되고, 도 6과 같이 외부로 배수된다.In this process, the water woven from the food waste (P) is drained to the lower side of the
따라서 탈수부(200)를 통과한 음식물 쓰레기(P)는 최초의 상태보다 작은 직경의 음식물 쓰레기(P)로 1차 분쇄되고, 상당량의 수분이 제거된 상태로 남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1 모터(26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스크래퍼(234)를 통하여 음식물 쓰레기(P)를 후방의 건조부(300)로 이동시킨다.Therefore, the food waste P, which has passed through the
이와 같은 과정에서 탈수부(200)의 후방에 배치된 제1 배출구(292)는 건조부(300)의 유입구(302)에 일치되어 있으므로, 제1 컨베이어(230)의 역방향 회전으로 음식물 쓰레기(P)가 탈수함(220)의 제1 경사면(222)을 따라서 상향이동하여 제1 배출구(292)와, 건조부(300)의 유입구(302)를 통하여 건조함(320)으로 넘어가게 된다. In this process, since the
이와 같이 건조부(300)의 건조함(320)으로 넘어간 음식물 쓰레기(P)는 제2 컨베이어(330)에 의해서 2차 분쇄 및 교반되며, 히터(370)에 의해서 건조된다.In this way, the food waste P that has passed to the
이와 같은 건조부(300)는 상기 탈수부(200)와 유사하게 동작하며, 즉 건조부(300)의 제2 모터(360)가 동작함으로써, 제2 구동 스프로켓(362), 제2 체인(364) 및 제2 종동 스프로켓(366)을 통하여 제2 컨베이어(330)를 회전시키게 된다.The drying
따라서 제2 컨베이어(330)는 제2 스크래퍼(334)들이 건조함(320)의 제2 경사면(322)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제2 돌기(352)들과 상호작용하여 음식물 쓰레기(P)를 2차 분쇄시키고, 교반시키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과정에서 건조함(320)의 하부에 히터 구조로 형성된 히터(370)는 발열하여 건조함(320)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P)를 건조시킨다.Accordingly, the
이와 같이 건조부(300)에서 음식물 쓰레기(P)의 2차 분쇄, 교반 및 건조는 도어부(400)의 게이트(420)가 닫쳐진 상태로 이루어지게 되고, 음식물 쓰레기(P)는 건조함(320)의 내부에서 원하는 상태로 건조 및 분쇄된다.As such, the secondary crushing, stirring, and drying of the food waste P in the
이와 같은 과정에서 발생된 음식물 쓰레기(P)의 냄새와 수증기 등의 배기는 건조함(320)의 상부측에 형성된 배기구(505)를 통하여 배기관(510) 측으로 흡입되어 이후에 설명되는 열교환부(500)와 탈취부(600)를 통하여 외부로 제거된다.Exhaust such as the smell of food waste (P) and water vapor generated in such a process is sucked into the
그리고 충분한 상태로 건조 및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P)는 도어부(400)의 게이트(420)를 개방시키고, 회수함(410)측으로 이동시켜서 수거하게 되는데, 이때 도어부(400)는 구동 모터(430)가 작동하여 체인(460)과 스프로켓(470)들을 통하여 볼 스크류(450)를 회전시키고, 너트 블록(440)을 통하여 게이트(420)를 승강시켜서 제2 배출구(392)를 개방시킨다.And the food waste P dried and pulverized in a sufficient state is collected by opening the
또한 이와 같은 상태에서 건조부(300)의 제2 모터(360)를 역회전시키면, 제2 컨베이어(330)가 역회전하여 2차 분쇄되고,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P)를 건조함(320)의 제2 경사면(322)을 따라서 상부측으로 밀어 올림으로써, 도어부(400)의 열린 게이트(420)를 통하여 회수함(410)의 내부에 모여지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이와 같이 모여진 음식물 쓰레기(P)는 충분한 상태로 분쇄 및 건조된 상태이기 때문에, 냄새가 나지 않고, 가벼우며, 위생적이어서 폐기처리하지 않고 손쉽게 후처리과정을 거처 재활용 할수 있다.Since the collected food waste (P) is pulverized and dried in a sufficient state, it is not smelly, light, and hygienic, and can be easily recycled through post-treatment without waste disposal.
한편, 이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P)의 처리과정에서 발생된 악취와 수증기 등은 열교환부(500)와 탈취부(600)를 통하여 제거된다.On the other hand, odor and water vapor generated during the processing of such food waste (P) is removed through the
즉, 건조부(300)의 상부측에 마련된 배기구(505)를 통하여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P)의 악취와 수분은 배기관(510)을 통과하면서 열교환부(500)의 냉각 코일(520)에 의해서 냉각되고 수분이 제거된다.That is, the odor and moisture of the food waste (P) discharged through the
즉, 상기 열교환부(500)는 냉각 코일(520)의 내부에서 순환되는 냉매가 증발하면서 배기관(510)을 통해서 음식물 쓰레기(P)의 배기를 응축시키고, 수분은 수증기 상태로부터 물로 응축되어 배기관(510)의 드레인 관(560)을 통하여 배수된다.That is, the
이때 냉각 코일(520)내에서 증발한 냉매는 응축기(530)로 회수 순환되며, 다시 액체 상태로 응축되는데, 이와 같은 냉매의 응축을 위하여 라디에이터(540)와 냉각 팬(550)이 사용되며, 이와 같이 열교환부(500)는 냉각 코일(520)에 저온의 냉매를 연속 공급하여 배기관(510)을 냉각시키고, 음식물 쓰레기(P)의 배기로부터 수분을 응축시켜서 제거한다.At this time, the refrigerant evaporated in the
또한 음식물 쓰레기(P)에 포함된 악취는 탈취부(600)를 통과하면서 제거된다. 즉, 탈취부(600)의 배기 팬(620)은 배기관(510)의 출측에 배치되어 탈취 필터(610)를 통하여 흡입력을 제공하고, 음식물 쓰레기(P)의 배기를 흡입 배출시킨다.In addition, the odor contained in the food waste (P) is removed while passing through the deodorizing unit (600). That is, the
이와 같은 과정에서 탈취부(600)의 탈취 필터(610)는 내부에 활성탄을 포함한 탈취재료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P)로부터 악취를 효과적으로 흡착 제거한다. In this process, since the
그리고 배기 팬(620)의 출구는 열교환부(500)의 라디에이터(540)측으로 향하게 됨으로써 라지에터를 냉각 시킨는 냉각팬(550)의 하단을 따라 외부 덕트로 흡입 배기되게된다.And the outlet of th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에 의하면, 탈수부(200)를 통하여 음식물 쓰레기(P)로부터 수분을 짜고, 1차 분쇄시키며, 상기 탈수부(200)와 유사한 구조로서 나란하게 배치된 건조부(300)를 통하여 음식물 쓰레기(P)를 2차 분쇄 및 교반시키며, 히터(370)를 이용하여 건조시킨다.According to the food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열교환부(500)를 통하여 음식물 쓰레기(P)의 배기로부터 수분을 제거시키고, 탈취부(600)의 탈취 필터(610)를 통하여 음식물 쓰레기(P)로부터 악취를 흡착 제거하여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음식물 쓰레기(P)를 신속하게 탈수, 1,2차에 걸친 분쇄 및 건조처리하고, 악취 등의 냄새를 탈취 제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is removed from the exhaust of the food waste P through the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장소를 크게 차지하지 않는 간단한 구조로서 음식물 쓰레기(P)의 발생과 동시에, 빠르고 완벽하게 음식물 쓰레기(P)를 탈수, 분쇄 및 건조처리하고, 탈취하여 즉시 처리할 수 있으며 건조부로 이송후 비워진 탈수부에는 음식물 쓰레기(P)를 상시 투입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얻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simple structure that does not occupy a large place, food waste (P) can be dehydrated, pulverized and dried, and deodorized and processed immediately and completely at the same time as the occurrence of food waste (P). The dehydration part emptied after the transfer will have an excellent effect of always putting food waste (P)
본 발명은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그와 같은 단순한 설계적인 수정 또는 변형 구조들은 모두 명백하게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을 미리 밝혀 두고자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specific structure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However,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10: 커버 110a: 덮개
200: 탈수부 210: 음식물 쓰레기 투입구
220: 탈수함 222: 제1 경사면
224: 수직면 230: 제1 컨베이어
234: 제1 스크래퍼 236: 제1 홈
238: 구동축 240: 배수구
242: 배수공 252: 제1 돌기
260: 제1 모터 262: 제1 구동 스프로켓
264: 제1 체인 266: 제1 종동 스프로켓
292: 제1 배출구 300: 건조부
302: 유입구 322: 제2 경사면
324: 수직면 330: 제2 컨베이어
334: 제2 스크래퍼 336: 제2 홈
338: 구동축 352: 제2 돌기
360: 제2 모터 362: 제2 구동 스프로켓
364: 제2 체인 366: 제2 종동 스프로켓
370: 히터 372: 몰드
374: 히터 소자 392: 제2 배출구
400: 도어부 410: 회수함
420: 게이트 430: 구동 모터
440: 너트 블록 450: 볼 스크류
460: 체인 470: 스프로켓
500: 열교환부 505: 배기구
520: 냉각 코일 530: 응축기
540: 라디에이터 550: 냉각 팬
560: 드레인 관 600: 탈취부
610: 탈취 필터 620: 배기 팬
P: 음식물 쓰레기100: food waste disposal device
110: cover 110a: cover
200: dewatering unit 210: food waste inlet
220: dehydration 222: first slope
224: vertical surface 230: first conveyor
234: first scraper 236: first groove
238: drive shaft 240: drain
242: drain hole 252: first projection
260: first motor 262: first drive sprocket
264: first chain 266: first driven sprocket
292: first outlet 300: drying unit
302: inlet 322: second inclined surface
324
334: second scraper 336: second groove
338: drive shaft 352: second projection
360: second motor 362: second drive sprocket
364: second chain 366: second driven sprocket
370: heater 372: mold
374: heater element 392: second outlet
400: door portion 410: recovered
420: gate 430: drive motor
440: nut block 450: ball screw
460: chain 470: sprocket
500: heat exchanger 505: exhaust port
520: cooling coil 530: condenser
540: radiator 550: cooling fan
560: drain tube 600: deodorizing portion
610: deodorizing filter 620: exhaust fan
P: food waste
Claims (9)
상부측에는 음식물 쓰레기 투입구가 형성되고, 일측 제1 경사면에는 제1 컨베이어가 경사지게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수분을 짜고, 1차 분쇄시키며, 하부면에는 수분 배출용 배수구가 형성된 탈수부;
상기 탈수부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탈수부의 제1 배출구에 연이어서 유입구가 형성되며, 일측 제2 경사면에는 제2 컨베이어가 경사지게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2차 분쇄 및 교반시키며, 하부에는 히터를 내장한 건조부;
상기 건조부의 출측 제2 배출구에 장착되어 상하로 승하강이 가능한 게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게이트를 동작시키는 구동 모터를 구비하여 일정 크기로 분쇄되고, 건조된 상태의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부로부터 회수함으로 이동시키도록 개폐시키는 도어부;
상기 건조부의 상부측에 마련된 배기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악취와 수분을 응축시키는 냉각 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냉각 코일에 냉매를 순환 제공하는 응축기를 구비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배기로부터 수분을 제거시키는 열교환부; 및
상기 건조부의 배기구에 연결된 배기관의 출측에 탈취 필터를 구비하여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악취를 흡착 제거하고, 상기 탈취 필터를 통하여 흡입력을 제공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배기를 외부 덕트로 흡입 배출시키는 배기 팬을 구비한 탈취부;를 포함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 분쇄 및 건조처리하고, 냄새를 탈취하여 처리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In the apparatus for processing food waste,
A food waste inlet is formed at an upper side, and a first conveyor is rotatably mounted on one side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to squeeze moisture from the food waste, and firstly crush it;
It is disposed side by side in the dewatering portion, the inlet is formed by successive to the first outlet of the dewatering portion, the second inclined surface is mounted so that the second conveyor is rotated inclined to the second crushing and agitated food waste, the lower portion A drying unit incorporating a heater;
It is equipped with a gate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mounted on the exit second outlet of the drying unit, and includes a drive motor for operating the gate, which is crushed to a certain size and moved to a food waste collected from the drying unit. A door part which opens and closes to be made;
A heat exchanger having a cooling coil for condensing odor and moisture of the food waste discharged through an exhaust port provided at an upper side of the drying unit, and a condenser for circulating a refrigerant to the cooling coil to remove moisture from the exhaust of the food waste part; And
A deodorization filter is provided on the outlet side of the exhaust pipe connected to the exhaust port of the drying unit to adsorb and remove odors from the food waste, and provides a suction force through the deodorization filter to provide a suction force to suck and discharge the food waste into the external duct.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dehydrate, pulverize and dry the food waste, including the deodorant, and to deodorize and proces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2210A KR101306679B1 (en) | 2012-09-14 | 2012-09-14 | Apparatus for food garbage treat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2210A KR101306679B1 (en) | 2012-09-14 | 2012-09-14 | Apparatus for food garbage treatme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06679B1 true KR101306679B1 (en) | 2013-09-10 |
Family
ID=49455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02210A KR101306679B1 (en) | 2012-09-14 | 2012-09-14 | Apparatus for food garbage treat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06679B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1425B1 (en) * | 2013-10-28 | 2014-03-07 | 코리아워터텍 주식회사 | System for resource conversion of food waste in an apartment house and method for resource conversion of food waste in an apartment house using the same |
WO2015064966A1 (en) * | 2013-10-28 | 2015-05-07 | 코리아워터텍 주식회사 | Residence having food recycling system, food recycling system for residence, and food recycling method for residence |
CN105382017A (en) * | 2015-12-22 | 2016-03-09 | 陈惊雷 | Garbage disposer |
KR20160087027A (en) * | 2015-01-12 | 2016-07-21 | 주식회사 엔비스 | Food Garbage Treatment Apparatus With Air Cooling System |
KR101909689B1 (en) * | 2017-08-04 | 2018-10-19 | 헬로그린 주식회사 | Functional food garbage disposal equipment |
CN110078146A (en) * | 2019-05-27 | 2019-08-02 | 苏州耀水源环境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squash type feeding device for the treatment of tank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60286U (en) * | 1997-03-10 | 1998-11-05 | 김길회 | Food waste handler |
KR200358420Y1 (en) * | 2004-05-20 | 2004-08-07 | 오일환 | drying and fermenting device for waste food |
-
2012
- 2012-09-14 KR KR1020120102210A patent/KR10130667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60286U (en) * | 1997-03-10 | 1998-11-05 | 김길회 | Food waste handler |
KR200358420Y1 (en) * | 2004-05-20 | 2004-08-07 | 오일환 | drying and fermenting device for waste food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1425B1 (en) * | 2013-10-28 | 2014-03-07 | 코리아워터텍 주식회사 | System for resource conversion of food waste in an apartment house and method for resource conversion of food waste in an apartment house using the same |
WO2015064966A1 (en) * | 2013-10-28 | 2015-05-07 | 코리아워터텍 주식회사 | Residence having food recycling system, food recycling system for residence, and food recycling method for residence |
KR20160087027A (en) * | 2015-01-12 | 2016-07-21 | 주식회사 엔비스 | Food Garbage Treatment Apparatus With Air Cooling System |
KR101708030B1 (en) * | 2015-01-12 | 2017-02-20 | 주식회사 엔비스 | Food Garbage Treatment Apparatus With Air Cooling System |
CN105382017A (en) * | 2015-12-22 | 2016-03-09 | 陈惊雷 | Garbage disposer |
KR101909689B1 (en) * | 2017-08-04 | 2018-10-19 | 헬로그린 주식회사 | Functional food garbage disposal equipment |
WO2019027119A1 (en) * | 2017-08-04 | 2019-02-07 | 헬로그린 주식회사 | Functional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
CN110078146A (en) * | 2019-05-27 | 2019-08-02 | 苏州耀水源环境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squash type feeding device for the treatment of tank |
CN110078146B (en) * | 2019-05-27 | 2021-12-24 | 北京龙世杰投资有限公司 | Extrusion formula feed arrangement in sewage treatment pon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06679B1 (en) | Apparatus for food garbage treatment | |
KR101284232B1 (en) | Feed production apparatus using garbage | |
KR101471168B1 (en) | Food waste disposer with enhanced drying capability | |
KR100994166B1 (en) | A cooling system for agitate dry apparatus of foodstuffs trash | |
KR101517289B1 (en) |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 |
JPH09262574A (en) | Garbage treatment apparatus | |
KR20160087027A (en) | Food Garbage Treatment Apparatus With Air Cooling System | |
KR101346593B1 (en) | A conveyor screw module and a food disposer including it | |
JP2005519758A (en) | Automatic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food residue | |
KR20090114501A (en) | A Waste Food Disposing Apparatus | |
KR100859554B1 (en) | A treatment apparatus of a food refuse for a sink | |
KR101634741B1 (en) | Device for organic waste | |
KR20110019659A (en) | Food treatment machine | |
KR20110118315A (en) | Food garbage processing apparatus | |
KR20100091513A (en) | Treatment apparatus for food waste by microwave heating | |
KR19980063228U (en) | Waste heat recovery and air circulation food waste drying device | |
KR102326195B1 (en) |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 |
KR100481462B1 (en) | Device for processing food waste | |
JP3176295U (en) | Garbage disposal equipment | |
KR101868479B1 (en) | Food waste drying device | |
KR100642556B1 (en) | Food waste disposal unit and the method | |
KR101269957B1 (en) | Portable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garbage | |
KR20160034469A (en) | Dryness appafatus for food trash | |
KR101236599B1 (en) |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 |
KR100967983B1 (en) | Foodtrash processing un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