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6342B1 -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포함한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들의부품정보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포함한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들의부품정보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6342B1
KR101306342B1 KR1020080004664A KR20080004664A KR101306342B1 KR 101306342 B1 KR101306342 B1 KR 101306342B1 KR 1020080004664 A KR1020080004664 A KR 1020080004664A KR 20080004664 A KR20080004664 A KR 20080004664A KR 101306342 B1 KR101306342 B1 KR 101306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que information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information
permission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4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2530A (ko
Inventor
차인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2/023,264 priority Critical patent/US8638457B2/en
Priority to CN2008100856469A priority patent/CN101241328B/zh
Publication of KR20080072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2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6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6342B1/ko
Priority to US14/105,272 priority patent/US9342021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포함한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들의 부품정보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교환부품의 고유정보가 화상형성장치의 고유정보와 다르면 두 고유정보들을 서로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들의 부품정보 관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고유정보가 교환부품의 고유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화상형성장치의 고유정보가 교환부품의 고유정보와 일치하지 않으면, 두 고유정보들이 일치하도록 화상형성장치 및 교환부품 중 적어도 하나의 고유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포함한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들의 부품정보 관리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NETWORK SYSTEM COMPRISING THE SAME AND MANAGEMENT METHOD OF PARTS INFORMATION COMPRI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부품정보 관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부품정보 관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부품정보 관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화상형성장치 110...교환부품
112...저장부 120...본체
130...저장부 140...제어부
150...표시부 200...웹서버
300...단말장치 310...인터페이스
320...통신부 330...제어부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포함한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들의 부품정보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교환부품의 고유정보가 화상형성장치의 고유정보와 다르더라도 화상형성장치를 정상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포함한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들의 부품정보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컴퓨터 뿐만 아니라 프린터, 스캐너, 복사기, 복합기 등과 같은 화상형성장치도 점차 고기능, 저가격으로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의 제조회사들은 자사 제품의 구매를 촉진시키기 위해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 중 하나로 자사 제품을 구입한 사용자가 자사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사용자 계정을 신청하면 그 제조회사는 e-메일 서비스, 뉴스 수신 서비스, 정보 탐색 서비스, 웹 하드 서비스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한편, 화상형성장치는 화상을 용지상에 실제로 인쇄하기 때문에 카트리지를 사용하게 되며, 카트리지는 일정기간 이상 사용하게 되면 내부의 잉크 또는 토너가 고갈되어 더 이상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의 사용자는 필요시 기존의 카트리지를 제거하고, 새로운 카트리지를 화상형성장치에 장착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새롭게 장착된 카트리지의 출향지가 자신의 출향지와 다르면 에러메시지를 표시하고 화상형성작업을 더 이상 수행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전술한 화상형성장치는 자신의 국가코드와 새로운 카트리지의 국가코드가 동일하지 않으면 "Invalid Toner Cartridge"와 같은 에러메시지를 출력하고 화상형성작업을 중단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교환부품의 고유정보가 자신의 고유정보와 다르면 사용자가 이 정보들을 서로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포함한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들의 부품정보 관리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고유정보가 교환부품의 고유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화상형성장치의 고유정보가 교환부품의 고유정보와 일치하지 않으면, 두 고유정보들이 일치하도록 화상형성장치 및 교환부품 중 적어도 하나의 고유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고유정보는 국가정보, 일련번호 및 제조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고유정보가 교환부품의 고유정보와 일치하 지 않으면, 에러메시지가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장치의 고유정보가 교환부품의 고유정보와 일치하지 않으면, 두 고유정보들이 일치하도록 화상형성장치 및 교환부품 중 적어도 하나의 고유정보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의 고유정보가 교환부품의 고유정보와 일치하지 않으면, 화상형성장치에서 웹서버로 고유정보의 변경을 요청하는 단계와, 요청에 따라 웹서버에서는 변경허가명령을 화상형성장치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화상형성장치는 변경허가명령이 수신되면, 두 고유정보들이 일치하도록 화상형성장치 및 교환부품 중 적어도 하나의 고유정보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웹서버는 변경허가명령을 암호화하여 출력하고, 화상형성장치는 암호를 해독하는 모듈을 사용하여 변경허가명령의 암호를 해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덧붙여, 화상형성장치의 고유정보 및 교환부품의 고유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은 유료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단말장치에서 웹서버로 화상형성장치 및 교환부품 중 적어도 하나의 고유정보 변경을 요청하는 단계와, 요청에 따라 웹서버에서는 변경허가명령을 화상형성장치로 출력하는 단계와, 화상형성장치는 변경허가명령이 수신되면, 자신의 고유정보가 교환부품의 고유정보와 일치하도록 화상형성장치 및 교환부품 중 적어도 하나의 고유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의 고유정보 및 교환부품의 고유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은 유료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웹서버는 변경허가명령을 암호화하여 출력하고, 화상형성장치는 암호를 해독하는 모듈을 사용하여 변경허가명령의 암호를 해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고유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화상형성장치에 교환가능하고, 고유정보가 저장되는 교환부품과, 저장부의 고유정보가 교환부품의 고유정보와 일치하지 않으면, 두 고유정보들이 일치하도록 저장부 및 교환부품 중 적어도 하나의 고유정보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부의 고유정보가 교환부품의 고유정보와 일치하는지 않으면, 에러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환부품의 고유정보가 자신이 저장하는 교환부품의 고유정보와 일치하지 않으면, 고유정보의 변경을 요청하는 화상형성장치와, 요청에 따라 변경허가신호를 화상형성장치로 출력하는 웹서버를 포함하고, 화상형성장치는 변경허가신호가 수신되면, 두 고유정보들이 일치하도록 교환부품의 고유정보 및 자신에게 저장된 교환부품의 고유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웹서버는 변경허가명령을 암호화하여 출력하고, 화상형성장치는 암호를 해독하는 모듈을 사용하여 변경허가명령의 암호를 해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교환부품 중 적어도 하나의 고유정보 변경을 요청하는 단말장치와, 요청에 따라 변경허가명령을 화상형성장치로 출력하는 웹서버와, 변경허가명령이 수신되면, 화상형성장치의 고유정보가 교환부품의 고유정보와 일치하도록 화상형성장치 및 교환부품 중 적어도 하나의 고유정보를 변경하는 화상형성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의 고유정보 및 교환부품의 고유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은 유료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교환부품(110) 및 본체(120)를 포함한다.
교환부품(110)은 자신의 고유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12)를 구비하고, 저장부(112)는 CRUM(Customer Replacement Unit Monitor) 메모리이며, 고유정보는 교환부품(110)의 일련번호, 제조정보 및 국가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조정보는 화상형성장치(100)를 제조한 날짜를 포함하는 제조관련 모든 정보를 말하며, 국가정보는 교환부품(110)을 제조한 국가에 대한 정보로서 제조국, 원산국, 출고국을 포함하고, 고유정보는 바코드(bar code) 또는 전자식별태그(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등과 같은 형식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이 처럼 교환부품(110)의 고유정보가 바코드 또는 전자식별태그에 저장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바코드나 전자식별태그를 인식할 리더부(Reader)를 본체(120)에 구비된다. 바코드의 인식방법이나 전자식별태그의 인식방법은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체(120)는 저장부(130), 제어부(140), 표시부(150) 및 기타 부품들을 가지며 본체(120)에는 교환부품(110)이 장착된다.
본체(120)의 저장부(130)는 화상형성장치(100) 또는 교환부품(110)의 고유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화상형성장치(100)의 고유정보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일련번호,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조정보 및 국가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저장부(130)에 저장하는 교환부품(110)의 고유정보는 화상형성장치(100)에 장착되는 최초 교환부품의 고유정보로서 교환부품(110)의 제조정보 및 국가정보를 포함한다.
제어부(140)는 교환부품(110)의 고유정보와 저장부(130)의 고유정보를 비교하여 두 고유정보가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두 고유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두 고유정보가 일치하도록 교환부품(110) 및 저장부(130) 중 적어도 하나의 고유정보를 변경한다. 즉, 제어부(140)는 두 고유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교환부품(110)의 고유정보 및 저장부(130)의 고유정보 중 어느 하나를 변경시켜 두 고유정보가 무조건 일치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일본에서 제조한 화상형성장치를 한국으로 들여와 사용할 경우, 화상형성장치의 저장부(130)에 저장된 국가코드가 일본이고, 새롭게 장착된 교환부품(110)의 저장부(112)에 저장된 국가코드가 한국이면, 제어부(140)는 저장된 국가 코드를 일본에서 한국으로 변경하여 화상형성장치(100)가 정상적으로 동작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교환부품(110)의 고유정보가 저장부(130)의 고유정보와 일치하지 않으면 에러메시지가 표시부(150)로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가 정보변경을 허락할 경우에만 두 고유정보들을 일치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40)는 표시부(150)로 "화상형성장치의 국가코드와 교환부품의 국가코드가 일치하지 않습니다. 두 국가코드를 동일하게 변경할까요?"와 같은 에러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이를 확인한 사용자가 "네" 또는 "아니오"를 입력하면 교환부품(110) 또는 저장부(130)의 국가코드를 변경시킨다.
표시부(150)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며, 엘씨디(LCD), 피디피(PDP), 티에프티(TFT), 유기이엘(EL), 씨알티(CRT) 등과 같은 장치로 구성된다. 또한, 표시부(150)는 화상형성장치(100)에 구비되거나 화상형성장치(100)와 연결된 다른 기기의 표시수단일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와 그 부품정보 관리방법의 동작과정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부품정보 관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는 시스템 초기 점검 시(200)에 교환부품의 고유정보가 자신의 고유정보와 일치하지 않는지 판단한다(210).
다음으로, 두 고유정보들이 일치하지 않는 것이 확인(210단계의 '예')되면, 두 고유정보가 일치하도록 화상형성장치 및 교환부품 중 적어도 하나의 고유정보 를 변경한다(520). 이때, 교환부품의 고유정보가 화상형성장치의 고유정보와 일치하지 않으면 에러메시지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하고, 사용자가 고유정보의 변경을 허락할 경우에만 두 고유정보를 일치시킬 수도 있다. 이때, 화상형성장치의 고유정보 및 교환부품의 고유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은 유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서버를 통해 고유정보의 변경에 대한 금액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금액정보에 따라 사용금액이 부과되도록 제어한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블록도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시스템은 화상형성장치(100) 및 화상형성장치(100)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웹서버(200)를 포함한다.
이하, 도 1과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1에서 인용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며, 이전에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은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화상형성장치(100)는 교환부품(110) 및 본체(120)를 포함한다.
교환부품(110)는 자신의 고유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12)를 구비하고, 저장부(112)는 CRUM 메모리이며, 고유정보는 교환부품(110)의 일련번호, 제조정보 및 국가정보를 포함한다.
본체(120)는 저장부(130), 제어부(140), 표시부(150) 및 기타 부품들을 가지 며 본체(120)에는 교환부품(110)이 장착된다.
저장부(130)는 화상형성장치(100) 또는 교환부품(110)의 고유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화상형성장치(100)의 고유정보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일련번호,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조정보 및 국가정보를 포함하며, 교환부품(110)의 고유정보는 화상형성장치(100)에 장착되는 최초 교환부품의 고유정보로서 교환부품(110)의 제조정보 및 국가정보를 포함한다.
제어부(140)는 교환부품(110)의 고유정보와 저장부(130)의 고유정보를 비교하여 두 고유정보가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두 고유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두 고유정보가 일치하도록 웹서버(200)로 교환부품(110) 및 저장부(130) 중 적어도 하나의 고유정보 변경을 요청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교환부품(110)의 고유정보가 저장부(130)의 고유정보와 일치하지 않으면 에러메시지가 표시부(150)로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가 정보변경을 허락할 경우에만 두 고유정보들을 일치시킬 수 있도록 고유정보 변경을 요청한다.
또, 제어부(140)는 고유정보 변경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웹서버(200)에서 고유정보 변경을 허가하는 변경허가명령이 수신되면, 두 고유정보가 일치하도록 교환부품(110) 및 저장부(130) 중 적어도 하나의 고유정보를 변경시킨다.
표시부(150)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며, 엘씨디(LCD), 피디피(PDP), 디에프티(TFT), 유기이엘(EL), 씨알티(CRT) 등과 같은 장치로 구성된다. 또한, 표시부(150)는 화상형성장치(100)에 구비되거나 화상형성장치(100)와 연결된 다른 기기 의 표시수단일 수 있다.
웹서버(200)는 화상형성장치(100)에서 교환부품(110) 또는 저장부(130)의 고유정보 변경이 요청되면, 요청에 따라 변경허가명령을 화상형성장치(100)로 출력한다.
즉, 웹서버(200)는 화상형성장치(100)에서 교환부품(110) 또는 저장부(130)의 고유정보 변경을 요청하는 변경요청명령이 수신되면, 이 변경요청명령을 해석하여 변경요청명령에 상응하는 변경허가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변경허가명령을 화상형성장치(100)로 출력한다. 이때, 웹서버(200)는 암호화된 모듈을 사용하여 변경허가명령을 암호화하며, 화상형성장치(100)는 암호를 해독하는 모듈을 사용하여 변경허가명령의 암호가 해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부품정보 관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는 시스템 초기 점검 시(400)에 교환부품의 고유정보가 자신의 고유정보와 일치하지 않는지 판단한다(410).
다음으로, 두 고유정보들이 일치하지 않는 것이 확인(410단계의 '예')되면, 화상형성장치는 웹서버로 고유정보의 변경을 요청한다(420).
이어, 요청에 따라 웹서버에서는 변경허가명령을 화상형성장치로 출력(430)하고, 화상형성장치는 변경허가명령이 수신되면, 화상형성장치의 고유정보가 교환부품의 고유정보와 일치하도록 화상형성장치 및 교환부품 중 적어도 하나의 고유정보를 변경한다(440).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단말장치(300), 웹서버(200) 및 화상형성장치(100)를 포함한다.
단말장치(300)는 LAN(Local Area Network), 인프라스트럭처 네트워크, 애드호크 네트워크 등을 통해 인터넷망(400)에 연결된다. 단말장치(300)의 사용자는 소정의 웹브라우저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후, 주소 창에 웹서버(200)의 도메인네임을 입력함으로써 웹서버(200)가 운영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하게 된다.
또한, 단말장치(300)의 사용자는 웹사이트에 접속하고 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일련번호 등과 같이 정상적인 구매제품임을 입증할 수 있는 정보를 입력하여 사용자 계정을 개설해야 하며, 사용자 계정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단말장치(3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단말장치(300)는 인터페이스(310), 통신부(320) 및 제어부(330)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310)는 화상형성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며 구체적으로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등과 같은 시리얼(Serial) 인터페이스, 패러랠(Parallel) 인터페이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32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사용자에 대하여 소정의 사용자 계정을 부여하여 웹서버(200)에 접속한다.
통신부(320)는 인터넷망(400)을 통해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요 소이다. 사용자가 주소 창에 웹서버(200)의 도메인 네임을 입력하거나 교환부품(110)의 교체로 인해 자동링크가 걸리게 되면, 통신부(320)는 웹서버(200)에서 운영하는 웹사이트로 접속한다.
제어부(330)는 사용자로부터 화상형성장치(100) 및 교환부품(110) 중 적어도 하나의 고유정보 변경을 요청받아 웹서버(200)에 화상형성장치(100) 및 교환부품(110) 중 적어도 하나의 고유정보 변경을 요청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제1 실시예의 에러메시지를 보고, 웹서버(200)에서 운영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화상형성장치(100) 및 교환부품(110) 중 적어도 하나의 고유정보 변경을 요청하면, 단말장치(300)는 사용자 인증을 통하여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화상형성장치(100) 및 교환부품(110) 중 적어도 하나의 고유정보 변경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330)는 사용자로부터 화상형성장치(100) 및 교환부품(110) 중 적어도 하나의 고유정보 변경을 요청받아 웹서버(200)에 화상형성장치(100) 및 교환부품(110) 중 적어도 하나의 고유정보 변경을 요청한다.
다른 예로, 외국에서 들여온 화상형성장치를 국내에서 사용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접속한 후, 단말장치(300)와 화상형성장치(100)를 연결시키면, 단말장치(300)의 제어부(330)는 화상형성장치(100)와 교환부품(110)의 고유정보를 비교하여 화상형성장치(100)의 사용가능여부를 확인하고, 화상형성장치(100) 및 교환부품(110)의 고유정보가 일치하지 않아 화상형성장치(100)의 사용이 불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면 고유정보 변경을 웹서버(200)로 요청하여 화상형성장치(100) 또는 교환부품(110)의 고유정보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웹서버(200)는 화상형성장치(100) 또는 교환부품(110)의 고유정보 변경이 요청되면, 화상형성장치(100) 또는 교환부품(110)의 고유정보 변경을 허가하는 변경허가명령을 화상형성장치(100)로 출력한다. 이때, 웹서버(200)는 암호화된 모듈을 사용하여 변경허가명령을 암호화한다.
상술한 화상형성장치의 고유정보 및 교환부품의 고유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은 유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웹서버(20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고유정보와 교환부품(110)의 고유정보를 이용하여 금액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금액정보에 따라 사용금액이 부과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면, 일본에서 제조한 화상형성장치를 한국으로 들여온 경우, 일본에서 제조한 화상형성장치가 10만원이고 한국에서 제조한 화상형성장치가 12만원이면, 국가별(한국,일본)로 화상형성장치의 가격이 2만원정도 차이가 발생하므로 웹서버는 사용자로 하여금 2만원이 부과되도록 제어한다.
덧붙여, 웹서버(20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종류에 따라 금액을 미리 산출하여 설정함으로써 설정된 금액에 따라 사용금액이 부과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웹서버(200)는 사용금액의 부과 시 사용자 인증을 통하여 핸드폰 요금 또는 전화 요금과 함께 부과되도록 제어하며, 그 외에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사용금액이 부과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정리하면, 사용자가 웹서버(200)에서 운영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화상형성장치(100)의 제품정보를 입력하고 사용금액을 결제한 후에 결제가 완료되면 화상형성장치(100)의 고유정보 변경이 요청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는 변경허가명령이 입력되면, 화상형성장치(100)의 고유정보가 교환부품(110)의 고유정보와 일치하도록 화상형성장치(100) 및 교환부품(110) 중 적어도 하나의 고유정보를 변경한다. 이때, 화상형성장치(100)는 웹서버(200)로 출력된 변경허가명령이 암호화된 신호이면, 암호를 해독하는 모듈을 사용하여 변경허가명령의 암호가 해독되도록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과 그 부품정보 관리방법의 동작과정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부품정보 관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로서, 도 5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는 시스템 초기 점검 시(500)에 교환부품의 고유정보가 자신의 고유정보와 일치하지 않는지 판단(510)하여 두 고유정보들이 일치하지 않는 것이 확인(510단계의 '예')되면, 에러메시지를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하도록 한다(520).
다음으로, 단말장치에서는 사용자로부터 고유정보의 변경을 요청받았는지 판단(530)하여 사용자가 고유정보의 변경을 원할 경우(530단계의 '예')에는 단말장치는 웹서버로 고유정보의 변경을 요청한다(540).
이어, 웹서버에서는 요청에 따라 고유정보의 변경을 허가하는 변경허가명령을 화상형성장치로 출력(550)하고, 화상형성장치(100)에서는 두 고유정보가 일치하도록 화상형성장치 및 교환부품 중 적어도 하나의 고유정보를 변경한다(56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들의 부품정보 관리방법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에 저장된 정보와 교환부품에 저장된 정보가 동일하지 않아도 화상형성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즉, 해외에서 구입한 화상형성장치를 국내에서 교환부품을 교체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교환부품 또는 화상형성장치의 고유정보 변경 시 화상형성장치에 저장된 정보를 교환부품에 저장된 정보로 변경시키기 위한 변경허가명령을 암호화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국가별로 화상형성장치의 가격에 차이가 있을 경우, 화상형성장치의 가격차이를 결제금액으로 채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들의 부품정보 관리방법은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를 창출한다.

Claims (16)

  1. 화상형성장치의 고유정보가 교환부품의 고유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고유정보가 교환부품의 고유정보와 일치하지 않으면, 고유 번호의 변경을 요청하는 단계;
    화상 형성 장치의 고유 정보와 교환 부품의 고유 정보를 이용하여 금액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금액 정보에 따라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두 고유정보들이 일치하도록 상기 화상형성장치 및 상기 교환부품 중 적어도 하나의 고유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부품정보 관리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정보는,
    국가정보, 일련번호 및 제조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부품정보 관리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고유정보가 상기 교환부품의 고유정보와 일치하지 않으면, 에러메시지가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부품정보 관리방법.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고유정보가 상기 교환부품의 고유정보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웹서버로 상기 고유정보의 변경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웹서버에서는 변경허가명령을 상기 화상형성장치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변경허가명령이 수신되면, 두 고유정보들이 일치하도록 상기 화상형성장치 및 상기 교환부품 중 적어도 하나의 고유정보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부품정보 관리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상기 변경허가명령을 암호화하여 출력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암호를 해독하는 모듈을 사용하여 상기 변경허가명령의 암호를 해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부품정보 관리방법.
  7. 삭제
  8. 화상형성장치의 고유정보가 교환부품의 고유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고유정보가 교환부품의 고유정보와 일치하지 않으면,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단말장치에서 웹서버로 상기 화상형성장치 및 교환부품 중 적어도 하나의 고유정보 변경을 요청하는 단계;
    화상형성장치의 고유 정보와 교환 부품의 고유 정보를 이용하여 금액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금액 정보에 따라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웹서버가 변경허가명령을 상기 화상형성장치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변경허가명령이 수신되면, 자신의 고유정보가 상기 교환부품의 고유정보와 일치하도록 상기 화상형성장치 및 상기 교환부품 중 적어도 하나의 고유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부품정보 관리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고유정보 및 상기 교환부품의 고유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은 유료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부품정보 관리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상기 변경허가명령을 암호화하여 출력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암호를 해독하는 모듈을 사용하여 상기 변경허가명령의 암호를 해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부품정보 관리방법.
  11. 화상형성장치의 고유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교환가능하고, 고유정보가 저장되는 교환부품;
    화상형성장치의 고유정보가 교환부품의 고유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저장부의 고유정보가 상기 교환부품의 고유정보와 일치하지 않으면, 화상형성장치의 고유 정보와 교환 부품의 고유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금액 정보에 따른 결제 완료 여부에 따라서 두 고유정보들이 일치하도록 상기 저장부 및 상기 교환부품 중 적어도 하나의 고유정보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의 고유정보가 상기 교환부품의 고유정보와 일치하는지 않으면, 에러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교환부품의 고유정보를 저장하되, 상기 저장된 교환부품의 고유정보가 설치된 교환부품의 고유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설치된 교환부품의 고유정보가 상기 저장된 교환부품의 고유정보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고유정보의 변경을 요청하는 화상형성장치;
    상기 요청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고유 정보와 교환 부품의 고유 정보를 이용하여 금액 정보를 산출하고, 금액 정보에 따라 결제가 완료되면 변경허가명령을 상기 화상형성장치로 출력하는 웹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변경허가명령이 수신되면, 두 고유정보들이 일치하도록 상기 교환부품의 고유정보 및 자신에게 저장된 교환부품의 고유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상기 변경허가명령을 암호화하여 출력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암호를 해독하는 모듈을 사용하여 상기 변경허가명령의 암호를 해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5. 교환부품이 설치되는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장치의 고유정보가 교환부품의 고유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고유정보가 교환부품의 고유정보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화상형성장치 및 상기 교환부품 중 적어도 하나의 고유정보 변경을 요청하는 단말장치; 및
    상기 요청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고유 정보와 교환 부품의 고유 정보를 이용하여 금액 정보를 산출하고, 금액 정보에 따른 결제가 완료되면 변경허가명령을 상기 화상형성장치로 출력하는 웹서버;
    를 포함하되,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변경허가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고유정보가 상기 교환부품의 고유정보와 일치하도록 상기 화상형성장치 및 상기 교환부품 중 적어도 하나의 고유정보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6. 삭제
KR1020080004664A 2007-02-01 2008-01-16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포함한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들의부품정보 관리방법 KR101306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023,264 US8638457B2 (en) 2007-02-01 2008-01-31 Method of managing exchangeable part information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CN2008100856469A CN101241328B (zh) 2007-02-01 2008-02-01 图像形成设备、网络系统及其部件信息管理方法
US14/105,272 US9342021B2 (en) 2007-02-01 2013-12-13 Image forming apparatus, network system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aging part information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0667 2007-02-01
KR20070010667 2007-0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2530A KR20080072530A (ko) 2008-08-06
KR101306342B1 true KR101306342B1 (ko) 2013-09-17

Family

ID=39882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4664A KR101306342B1 (ko) 2007-02-01 2008-01-16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포함한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들의부품정보 관리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06342B1 (ko)
CN (1) CN10124132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58852B2 (ja) * 2012-07-30 2015-01-2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
JP5863713B2 (ja) * 2013-06-21 2016-02-1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アプリケーション検索システ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9991A (ko) * 2000-07-28 2002-02-02 구자홍 온라인상의 각종 부품 원격 제어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운영방법
KR20060036252A (ko) * 2004-10-25 2006-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교환부품을 이용한 단말장치의 사용 설정값 변경 방법 및장치와 이것에 이용되는 교환부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9991A (ko) * 2000-07-28 2002-02-02 구자홍 온라인상의 각종 부품 원격 제어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운영방법
KR20060036252A (ko) * 2004-10-25 2006-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교환부품을 이용한 단말장치의 사용 설정값 변경 방법 및장치와 이것에 이용되는 교환부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41328B (zh) 2011-07-27
KR20080072530A (ko) 2008-08-06
CN101241328A (zh) 2008-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5649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management of sale transaction data
JP5391937B2 (ja) 画像形成装置、ライセンス処理方法、及びライセンス処理プログラム
WO2013145766A1 (ja) 印刷システム、およびプリンター
KR20060084520A (ko) 통합형 디지털 카드 발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KR101169390B1 (ko) 실시간 모바일쿠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8102718A (ja) 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データ処理方法
KR101306342B1 (ko)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포함한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들의부품정보 관리방법
KR20070019923A (ko) 영수증 번호와 제품코드 정보 운용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단말 장치와, 영수증 번호와 제품코드 정보운용서버와, 프로그램 기록매체 및 정보 저장매체
KR101398021B1 (ko) 결제채널 관리방법
JP2015215697A (ja) 決済システム、ユーザ端末装置、販売サーバ装置、決済サーバ装置、決済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サーバプログラム
JP2009059186A (ja) データ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509430B2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を提供する方法、サーバ及びシステム
KR101612022B1 (ko) 모바일 상품권 서비스 장치
US934202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network system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aging part information of the same
KR100636696B1 (ko) 전자상품권 수발신 모듈 및 그 방법과, 이 모듈과연동되어 전자상품권을 유통하는 전자상품권 서비스시스템 및 전자상품권 유통 방법
KR101886807B1 (ko) 최소 잔액을 활용한 hce 모바일 선불 교통 카드 결제 시스템 및 결제 방법
KR20140029696A (ko) 전자 영수증 조회와 이용에 관한 장치 및 방법
JP5648729B2 (ja) 情報処理装置、インストール方法、及びインストールプログラム
TW201415389A (zh) 用於安全交換資料之通訊系統、運算裝置及方法
KR100606128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신용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61225B1 (ko) 라이프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서비스
KR20180109091A (ko)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전자책 대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JP2009020579A (ja) 商品保証システム、id管理ゲートウェイ、商品保証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060008098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결제 시스템
KR100342990B1 (ko) 전자상거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