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6029B1 - 월류 방지 구조물 - Google Patents

월류 방지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6029B1
KR101306029B1 KR1020120140015A KR20120140015A KR101306029B1 KR 101306029 B1 KR101306029 B1 KR 101306029B1 KR 1020120140015 A KR1020120140015 A KR 1020120140015A KR 20120140015 A KR20120140015 A KR 20120140015A KR 101306029 B1 KR101306029 B1 KR 101306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overflow prevention
bottom plate
hinge
preventio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0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섭
곽상진
조길제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40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60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6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6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 E02B3/102Permanently installed raisable dykes
    • E02B3/104Permanently installed raisable dykes with self-activ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월류 방지 구조물은 제외지 바닥에 설치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 단부에 결합되어 제내지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과 상기 바닥판이 접하는 위치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월류를 방지하는 월류방지판과, 상기 월류방지판과 상기 바닥판이 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바닥판이 회전하도록 하는 힌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월류 방지 구조물{Overflow Preven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월류 방지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관 또는 이동이 간편하도록 접을 수 있으므로 하천 또는 제방에 물이 넘쳤을 때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월류 방지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방은 물이 호안 밖으로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하고 유수의 소통을 원활케 하여 홍수를 예방하거나 저수(貯水)를 목적으로 하천·호수·바다가 육지와 분리되는 경계부위에 높게 쌓은 구조물을 말한다.
그리고, 월류란 이런 제방이나 방파제, 호안 등에서 물이 넘쳐흐르는 현상이나 물의 양으로 고조(高潮) 등에 의하여 물이 구조물의 마루를 넘는 현상을 말한다.
최근에는 도심하천의 경우 제방은 홍수 피해방지 목적 이외에 친수 공간 조성으로 인근 주민의 휴식 및 산책로 등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하천 공간을 주민들의 휴식공간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늘어나는 추세이며, 도심하천들이 자연형 하천으로 복원됨에 따라 하천의 고유 기능 회복은 물론 경관적인 측면도 중요시되고 있다.
통상 하류에 위치하는 도심하천의 경우에는 장기간에 걸친 토사 및 유하물의 퇴적으로 인해 장마철에 홍수위가 상승됨에 따라 하천수가 범람하여 장마철마다 이재민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홍수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일환으로 하천 주변의 토지를 매수하여 제방을 축조하여야 하나, 현실적으로 제방축조부지를 마련하기 위해 도심지의 밀집된 가옥과 토지를 매수하거나 수용한다는 것은 천문학적인 보상비와 민원발생이 예상되어 사실상 추진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이러한 사항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방에 패널과 같은 판을 고정 한 후 제외지를 향해 사선방향으로 지지대를 설치하는 월류 방지 구조물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월류 방지 구조물은 지지대가 제외지를 향하고 있는데 홍수 등과 같이 수위가 올라가면 상류의 나무토막 등의 부유물이 지지대에 걸려 구조물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구조물 설치 후 수위상승에 따른 정수압에 의해 전도 또는 밀림에 대한 위험성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홍수 등과 같이 천재지변이 발생하지 않을 때는 경관을 해치므로 설치한 월류 방지 구조물을 해체해야 하는데 해체 과정이 복잡하여 이동 시간 및 인력이 많이 투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천 또는 제방에 월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월류 방지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어서 보관 및 이동을 하므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월류 방지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월류 방지 구조물은 제외지 바닥에 설치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 단부에 결합되어 제내지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과 상기 바닥판이 접하는 위치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월류를 방지하는 월류방지판과, 상기 월류방지판과 상기 바닥판이 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바닥판이 회전하도록 하는 힌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월류 방지 구조물은 상기 고정판을 관통하여 상기 제내지에 삽입하는 고정핀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월류 방지 구조물은 전도와 밀림에 대한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강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은 상기 월류 방지 구조물의 이동 편의성을 위하여 이동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힌지는 상기 바닥판이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걸림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월류 방지 구조물은 제외지 바닥에 설치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 단부에서 연장되어 제내지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과 상기 바닥판이 연장되는 위치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월류를 방지하는 월류방지판과, 상기 월류방지판이 상기 바닥판과 접하도록 상기 월류방지판을 회전시키는 힌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월류 방지 구조물은 상기 고정판을 관통하여 상기 제내지에 삽입하는 고정핀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힌지는 상기 월류방지판이 소정의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걸림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월류 방지 구조물은 제외지 바닥에 설치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 단부에 결합되어 제내지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바닥판과 상기 고정판이 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바닥판과 상기 고정판을 회전하도록 하는 힌지와, 상기 힌지를 하부에 수용하며 월류를 방지하는 월류방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월류 방지 구조물은 상기 고정판을 관통하여 상기 제내지에 삽입하는 고정핀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월류 방지 구조물은 전도와 밀림에 대한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강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판과 상기 고정판은 상기 힌지에 의하여 상기 월류방지판 방면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월류방지판은 상기 힌지에 의하여 상기 월류방지판 방면으로 회전하는 상기 고정판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힌지는 상기 바닥판과 상기 고정판이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걸림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월류 방지 구조물에 의하면, 강재로 형성되어 정수압에 견딜 수 있으며 바닥판을 제외지를 향해 설치하므로 월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바닥판을 힌지에 의하여 접을 수 있으므로 간편하게 보관 또는 이동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월류 방지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월류 방지 구조물을 하천에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월류 방지 구조물의 바닥판을 접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월류 방지 구조물의 힌지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월류 방지 구조물을 적재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월류 방지 구조물의 월류방지판을 접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월류 방지 구조물의 바닥판과 고정판을 접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월류 방지 구조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월류 방지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월류 방지 구조물을 하천에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월류 방지 구조물(100)은 제외지(20) 바닥에 설치하는 바닥판(110)과, 상기 바닥판(110) 단부에 겹합되어 제내지(30)에 고정되는 고정판(120)과, 상기 고정판(120)과 상기 바닥판(110)이 접하는 위치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월류를 방지하는 월류방지판(130)과, 상기 월류방지판(130)과 상기 바닥판(110)이 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바닥판(110)이 회전하도록 하는 힌지(14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월류 방지 구조물(100)은 하천변 또는 제방에 물(10)이 넘쳐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월류 방지 구조물(100)은 홍수 등과 같이 수위가 늘어날 때 사용하는 것으로 평소에는 설치를 하지 않는다. 상기 월류 방지 구조물(100)을 평소에 사용하게 되면 미관을 해치게 되며, 물(10)의 흐름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월류 방지 구조물(100)은 홍수 등과 같이 물(10)의 흐름에 의하여 정수압이 발생하여 상기 월류 방지 구조물(100)에 횡압력을 가하므로 상기 월류 방지 구조물(100)을 강재로 형성하여 전도와 밀림에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바닥판(110)은 물(10)이 흐르는 제외지(20)의 바닥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바닥판(110)은 강재로 형성되어 상기 월류 방지 구조물(100)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등의 균형을 잡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바닥판(110)을 제외지(20) 바닥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월류 방지 구조물(100)을 제방 등의 둑 상부에 설치할 때는 제방 비탈선에 맞게 상기 바닥판(110)이 기울어져 상기 제방 비탈선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방을 설치할 때는 제외지(20) 방면의 제방 비탈선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제방 상부에 상기 월류 방지 구조물(100)을 설치하면 상기 바닥판(110)은 제방 비탈선에 의하여 바닥에 밀착하지 못하고 뜨는 구조일 수 있다. 그렇게 되면 물(10)의 횡압력에 의하여 바닥판(110)이 상부로 상승하여 상기 월류 방지 구조물(100)의 균형을 무너뜨리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바닥판(110)이 상기 제방 비탈선에 맞게 상기 바닥판(110)이 밀착될 수 있게 한다.
상기 고정판(120)은 상기 바닥판(110) 단부에 결합되어 제내지(3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120)에는 상기 고정판(120)을 제내지(30) 바닥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핀(150)이 상기 고정판(120)을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홀(12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121)은 상기 고정판(120) 상부에 다수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판(120)은 상기 월류방지판(130)에 고정되어 상기 월류 방지 구조물(100)이 물(10)의 횡압력에 의하여 뒤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판(120)과 상기 월류방지판(130)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고정판(120)에 고정핀(150)을 관통하여 제내지(30) 바닥에 고정하거나 상기 고정판(120) 위에 모래주머니 등을 쌓아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월류방지판(130)은 상기 바닥판(110)과 상기 고정판(120)이 결합하는 위치에서 상기 고정판(120)의 단부 또는 상부에서 수직으로 상승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월류방지판(130)은 물(10)의 횡압력에 의하여 전도 또는 밀림에 대한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소정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월류방지판(130)은 홍수 등의 갑자기 수위가 오르는 것에 대비하기 위하여 소정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월류방지판(130)의 하부는 상기 고정판(120)과 결합이 되며 상기 월류방지판(130)의 각도는 수직으로 형성되거나 제외지(20) 방면으로 기울여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월류방지판(130)이 제내지(30) 방면으로 기울여져 형성이 되면 물(10)의 횡압력에 의하여 상기 고정판(120)과의 각도를 유지하지 못하고 파손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월류방지판(130)은 제외지(20) 방면으로 기울이거나 상기 고정판(120)과 직각이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힌지(140)는 상기 월류방지판(130)과 상기 고정판(120)이 결합되는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힌지(140)는 상기 바닥판(110)과 결합되어 상기 바닥판(110)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월류 방지 구조물의 바닥판을 접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월류 방지 구조물의 힌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월류 방지 구조물을 적재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월류 방지 구조물(100)은 힌지(140)에 의하여 바닥판(110)을 접을 수 있다.
상기 월류 방지 구조물(100)은 수위가 높아지거나 수위가 높아질 것을 대비하여 하천 또는 제방에 물(10)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물(10)이다. 상기 월류 방지 구조물(100)은 홍수 등과 같이 유사시에 사용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설치를 하지 않고 보관하는 구조물(10)이다. 상기 월류 방지 구조물(100)은 홍수에 대비하는 구조물(10)이므로 다수를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크기가 큰 구조물(10)이다.
상기 월류 방지 구조물(100)을 보관하거나 이동을 할 때는 규모가 크므로 바닥판(110)과 월류방지판(130) 사이에 힌지(140)를 구비하여 상기 바닥판(110)이 회전가능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힌지(140)는 월류방지판(130)과 고정판(120)이 결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바닥판(110)과 결합되어 상기 바닥판(110)이 회전하여 상기 월류방지판(130)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힌지(140)는 상기 바닥판(110)이 제외지(20) 바닥의 형태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제외지(20) 바닥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외지(20) 바닥에 상기 바닥판(110)이 밀착되면 물(10)의 흐름에 상기 바닥판(110)이 회전하지 않도록 걸림장치(16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걸림장치(1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쇠가 상기 힌지(140)에 결합되어 상기 바닥판(110)이 회전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걸림쇠를 힌지(140)에 결합하는 구조외에도 힌지(140)의 회전을 멈추기 위한 걸림장치(16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걸림장치(160)는 상기 바닥판(110)이 회전하여 상기 월류방지판(130)에 접하게 된 후 힌지(140)에 고정하여 상기 바닥판(110)이 상기 월류방지판(13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바닥판(110)의 하부가 회전이 끝나면 상기 월류방지판(130)에 걸려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161)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월류방지판(130)과 상기 바닥판(110)이 접하게 된 후 상기 바닥판(110)이 상기 월류방지판(130)과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월류 방지 구조물(100)의 바닥판(110)을 회전하여 상기 월류방지판(130)에 접하게 되면 다수의 월류 방지 구조물(100)을 쌓아서 보관 또는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판(120)에는 이동수단(170)을 구비하여 상기 월류 방지 구조물(100)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바닥판(110)을 회전하여 상기 월류방지판(130)에 접하게 한 후 상기 이동수단(170)을 이용하여 상기 월류 방지 구조물(1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수단(170)은 별도의 조작으로 고정판(120) 내부로 삽입되어 사용하지 않을 때는 바닥에서 미끌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월류 방지 구조물(100)을 쌓을 때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바닥판(110)에 상기 이동수단(170)을 내부로 삽입하던가 상기 바닥판(110) 상부에 이동수단(170)이 이동할 수 있는 이동통로가 형성되어 적층된 상기 월류 방지 구조물(100)이 이탈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월류 방지 구조물을 설명함에 있어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월류 방지 구조물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월류 방지 구조물의 월류방지판을 접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월류 방지 구조물(100)은 제외지(20) 바닥에 설치하는 바닥판(110)과, 상기 바닥판(110) 단부에서 연장되어 제내지(30)에 고정되는 고정판(120)과, 상기 고정판(120)과 상기 바닥판(110)이 연장되는 위치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월류를 방지하는 월류방지판(130)과, 상기 월류방지판(130)이 상기 바닥판(110)과 접하도록 상기 월류방지판(130)을 회전시키는 힌지(14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바닥판(110)은 물(10)이 흐르는 제외지(20)의 바닥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바닥판(110)은 강재로 형성되어 상기 월류 방지 구조물(100)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등의 균형을 잡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고정판(120)은 상기 바닥판(110) 단부에서 연장되어 제내지(3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120)에는 상기 고정판(120)을 제내지(30) 바닥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핀(150)이 상기 고정판(120)을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홀(12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121)은 상기 고정판(120) 상부에 다수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120)은 상기 월류 방지 구조물(100)을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판(120) 위에 모래주머니 등을 쌓아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월류방지판(130)은 상기 바닥판(110)과 상기 고정판(120)이 결합하는 위치에서 상기 고정판(120)의 단부 또는 상부에서 수직으로 상승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월류방지판(130)은 물(10)의 횡압력에 의하여 전도 또는 밀림에 대한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소정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월류방지판(130)은 홍수 등의 갑자기 수위가 오르는 것에 대비하기 위하여 소정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월류방지판(130)의 하부는 상기 바닥판(110)에서 상기 고정판(120)이 연장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힌지(140)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월류방지판(130)은 힌지(140)에 의하여 제내지(30) 방면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바닥판(110)과 접할 때까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얼류방지판은 상기 고정판(120)에 걸리는 걸림턱(161)이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바닥판(110)과 직각까지 회전하며 물(10)의 횡압력에 의한 전도 또는 밀림에 대한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월류방지판(130)을 상기 바닥판(110)과 접할 때까지 회전시키면 다수의 상기 월류 방지 구조물(100)을 적층하여 보관 및 이동을 시킬 수 있다.
상기 힌지(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장치(160)를 구비하여 상기 월류방지판(13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월류 방지 구조물의 바닥판(110)과 고정판을 접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월류 방지 구조물(100)은 제외지(20) 바닥에 설치하는 바닥판(110)과, 상기 바닥판(110) 단부에 결합되어 제내지(30)에 고정되는 고정판(120)과, 상기 바닥판(110)과 상기 고정판(120)이 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바닥판(110)과 상기 고정판(120)을 회전하도록 하는 힌지(140)와, 상기 힌지(140)를 하부에 수용하며 월류를 방지하는 월류방지판(13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바닥판(110)은 물(10)이 흐르는 제외지(20)의 바닥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바닥판(110)은 강재로 형성되어 상기 월류 방지 구조물(100)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등의 균형을 잡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고정판(120)은 상기 바닥판(110) 단부에 결합되어 제내지(3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120)에는 상기 고정판(120)을 제내지(30) 바닥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핀(150)이 상기 고정판(120)을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홀(12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121)은 상기 고정판(120) 상부에 다수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120)은 상기 월류 방지 구조물(100)을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판(120) 위에 모래주머니 등을 쌓아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월류방지판(130)은 상기 바닥판(110)과 상기 고정판(120)이 결합하는 위치에서 수직으로 상승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월류방지판(130)은 물(10)의 횡압력과 정수압에 의하여 전도 또는 밀림에 대한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소정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월류방지판(130)은 홍수 등으로 물(10)의 수위가 갑자기 오르는 것에 대비하기 위하여 소정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판(110)은 상기 월류방지판(130)에 결합된 제 1힌지(141)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바닥판(110)은 상기 제 1힌지(141)에 의하여 제방 비탈선과 동일하게 경사지게 회전하여 상기 제방 비탈선에 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힌지(141)에 의하여 상기 월류방지판(130)에 접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월류방지판(130)은 상기 고정판(120)을 수용하는 수용부(131)를 구비하며, 상기 수용부(131)의 하단에는 상기 고정판(120)을 회전시키는 제 2힌지(14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 2힌지(142)에 의하여 상기 고정판(120)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회전하여 상기 수용부(131)에 수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장치(160)를 구비하여 회전하였을 때 회전 각도를 유지하며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월류방지판(130)에 상기 바닥판(110)과 상기 고정판(120)을 회전하여 접하게 하면 상기 월류 방지 구조물(100)의 크기가 줄어들어 보관 및 이동이 편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월류 방지 구조물(100)의 크기를 줄이고 돌출되는 부위가 없이 접을 수 있으므로 다수의 상기 월류 방지 구조물(100)을 적층하여 보관 및 이동을 시킬 수 있다.
10: 물 20: 제외지
30: 제내지 100: 월류 방지 구조물
110: 바닥판 120: 고정판
130: 월류방지판 140: 힌지
150: 고정핀 160: 걸림장치
170: 이동수단

Claims (14)

  1. 제외지 바닥에 설치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 단부에 결합되어 제내지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과 상기 바닥판이 접하는 위치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월류를 방지하는 월류방지판과,
    상기 월류방지판과 상기 바닥판이 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바닥판이 회전하도록 하는 힌지와,
    상기 고정판을 관통하여 상기 제내지에 삽입하는 고정핀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판은 이동 편의성을 위하여 이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힌지는 상기 바닥판이 소정의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걸림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류 방지 구조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월류 방지 구조물은 전도와 밀림에 대한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강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류 방지 구조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외지 바닥에 설치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 단부에 결합되어 제내지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바닥판과 상기 고정판이 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바닥판과 상기 고정판을 회전하도록 하는 힌지와,
    상기 힌지를 하부에 수용하며 월류를 방지하는 월류방지판과,
    상기 고정판을 관통하여 상기 제내지에 삽입하는 고정핀을 구비하고,
    상기 월류방지판은 상기 힌지에 의하여 상기 월류방지판 방면으로 회전하는 상기 고정판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는 상기 바닥판과 상기 고정판이 소정의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걸림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판과 상기 고정판은 상기 힌지에 의하여 상기 월류방지판 방면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류 방지 구조물.
  10. 삭제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월류 방지 구조물은 전도와 밀림에 대한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강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류 방지 구조물.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20140015A 2012-12-05 2012-12-05 월류 방지 구조물 KR101306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015A KR101306029B1 (ko) 2012-12-05 2012-12-05 월류 방지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015A KR101306029B1 (ko) 2012-12-05 2012-12-05 월류 방지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6029B1 true KR101306029B1 (ko) 2013-09-12

Family

ID=49455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0015A KR101306029B1 (ko) 2012-12-05 2012-12-05 월류 방지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602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92918A1 (en) * 2001-05-14 2002-11-21 Floodprotection Systems Sweden Ab Flood protection device
US6840711B1 (en) * 2003-03-31 2005-01-11 Ross R. Martinez Flood control panel system
KR100942178B1 (ko) * 2009-07-23 2010-02-11 (주) 삼보하이드로테크 실린더 수납구조를 갖는 수문
JP2010242348A (ja) * 2009-04-03 2010-10-28 Hayashi Bussan Hatsumei Kenkyusho:Kk 堤防の嵩上げ用ブロックの安定を図る堤防決壊防止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92918A1 (en) * 2001-05-14 2002-11-21 Floodprotection Systems Sweden Ab Flood protection device
US6840711B1 (en) * 2003-03-31 2005-01-11 Ross R. Martinez Flood control panel system
JP2010242348A (ja) * 2009-04-03 2010-10-28 Hayashi Bussan Hatsumei Kenkyusho:Kk 堤防の嵩上げ用ブロックの安定を図る堤防決壊防止方法
KR100942178B1 (ko) * 2009-07-23 2010-02-11 (주) 삼보하이드로테크 실린더 수납구조를 갖는 수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79224B2 (en) Self-actuating shoreline flood guard
US10174474B2 (en) Movable tsunami buffer dam
US20100074687A1 (en) Pipeline Protection and Levee Module System
US9695563B1 (en) Bricks and a method for using such bricks to build dikes in water
JP6166370B2 (ja) 防波壁機能を有する組立式高さ可変型遮断構造物
JP5024943B2 (ja) 起伏ゲート式防波堤の底面構造
ZA201102296B (en) Breakwater structure
KR101306029B1 (ko) 월류 방지 구조물
KR101306019B1 (ko) 월류 방지 구조물 및 그의 설치 방법
US20090324334A1 (en) Prevention of flood from a water channel
FR2681621A1 (fr) Systeme permeable, dissipateur d'energie pour la constitution d'ouvrages marins, et a elements laminaires perfores.
CN108374407A (zh) 可替换滤箱互锁可延展盖重排水体及其施工方法
Dircke et al. A Global Overview of Navigable Storm Surge Barriers: Suitable Gate Types fo r New York from a Dutch Perspective
AU2012392206A1 (en) A versatile erosion control system
US8419315B2 (en) Harbor structure and a method of building such a structure
TW201128023A (en) Invert wall for disaster prevention
KR101969457B1 (ko) 월류 방지 구조물
Dircke et al. Navigable storm surge barriers for coastal cities: an overview and comparison
JP5438077B2 (ja) 越水防止装置又はこの越水防止装置を用いた河川の越水防止構造
CN214993503U (zh) 一种防洪堤钢筋混凝土面板结构
JP2002167727A (ja) 水の遮断装置
JP2016151164A (ja) 堰止装置
KR200361598Y1 (ko) 하천 제방 계단식 법면 보호블럭
KR20100018595A (ko) 하천의 제방용 배수장치
Fucik Petenwell Hydroelectric Proje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