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5356B1 - 더블 인코딩한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더블 인코딩한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5356B1
KR101305356B1 KR1020130042056A KR20130042056A KR101305356B1 KR 101305356 B1 KR101305356 B1 KR 101305356B1 KR 1020130042056 A KR1020130042056 A KR 1020130042056A KR 20130042056 A KR20130042056 A KR 20130042056A KR 101305356 B1 KR101305356 B1 KR 101305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lution image
image
low
motion
im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2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관중
최용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트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트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트링
Priority to KR1020130042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53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5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5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06T7/269Analysis of motion using gradient-based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4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for obtaining an image which is composed of whole input images, e.g. split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를 고해상도 영상 및 저해상도 영상으로 각각 인코딩하여 저장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의 영상을 화면에 동시에 표시하는 경우, 상기 저해상도 영상을 포함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저해상도 영상에 대한 확대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고해상도 영상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가 픽셀급으로 녹화된 영상 데이터를 고해상도 영상 및 저해상도 영상으로 2중으로 인코딩하여, 저해상도 영상을 이용하여 분할 화면을 표시할 수 있어, 시스템의 과부하를 막고 유연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더블 인코딩한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DOUBLE ENCODED IMAGES}
본 발명은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메가 픽셀급으로 녹화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영상 데이터를 고해상도 영상 및 저해상도 영상으로 2중으로 인코딩하여, 저해상도 영상을 이용하여 분할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DVR, Digital Video Recorder)가 상용화 되고 있다. DVR은 기존에 쓰이던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CR)가 녹화를 여러번 반복하는 방식이라 화질이 떨어지고, 비디오테이프를 교체하는 등 사용이 번거로워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DVR은 비디오테이프 대신 하드디스크나 디지털비디오디스크 등을 사용하므로 저장된 화면을 재생하거나 검색하기가 쉬운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디지털 신호로 저장되기 때문에 데이터의 관리와 화상을 전송하기에도 편리하다.
그리고 DVR은 움직임 탐지 기능, 센서와 연결 녹화 기능, 자동 Pan/Tilt/Zoom/Control 기능 및 화상 확대·편집 기능 등 다양한 메뉴 선택을 지원하며, 데이타를 HDD·DAT등에 반영구적으로 보관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이를 이용하면 영상 데이터를 시간별·날짜별은 물론, 카메라별·이벤트별로 검색할 수 있으며, 멀리 떨어진 곳에서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고, 검색과 백업 및 카메라 제어 등도 가능하다.
최근 DVR은 HD 방송의 표준인 HD-SDI 신호를 이용하여 영상을 녹화하는 시스템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대부분 Full HD급 화질 (1920x1080)을 제공한다. 이는 2.1 메가픽셀급 고해상도 이미지이다. 그러나 이러한 고해상도 이미지를 다중 분할 화면에 동시에 표시하는 경우 시스템의 과부하가 걸려 재생 속도가 매우 느려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최근 DVR(100)은 스마트 서치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스마트 서치 기능이란, 검색하고자 하는 채널과 시간 범위, 선택한 채널에서 움직임을 감지할 부분, 움직임을 검색하는 민감도 등을 사용자가 별도로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한 부분에서 움직임이 검색된 경우에 그에 해당하는 비디오 클립들이 자동으로 표시되는 기능이다.
그러나 스마트 서치 기능을 매가픽셀급 고해상도 영상에 대해 제공하는 경우, 시스템의 과부하가 걸려 검색 속도가 매우 느려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메가 픽셀급으로 녹화된 영상 데이터를 고해상도 영상 및 저해상도 영상으로 2중으로 인코딩하여, 저해상도 영상을 이용하여 분할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스마트 서치 기능을 이용하여 영상에서 움직임을 탐색하는 경우, 상기 저해상도로 인코딩된 영상을 탐색하여 시스템의 부하를 줄이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를 고해상도 영상 및 저해상도 영상으로 각각 인코딩하여 저장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의 영상을 화면에 동시에 표시하는 경우, 상기 저해상도 영상을 포함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저해상도 영상에 대한 확대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고해상도 영상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저장하는 단계 이후에,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의 영상을 동시에 스트리밍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저해상도 영상을 포함하여 스트리밍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저해상도 영상에 대한 확대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고해상도 영상으로 전환하여 스트리밍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 이후에, 움직임 탐색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저해상도 영상을 검색하여 움직임을 탐색하는 단계; 및 움직임이 탐색되는 경우, 움직임이 탐색된 상기 저해상도 영상의 비디오 클립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데이터를 고해상도 영상 및 저해상도 영상으로 각각 인코딩하여 저장하고,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의 영상을 화면에 동시에 표시하는 경우, 상기 저해상도 영상을 포함하여 표시하고, 상기 저해상도 영상에 대한 확대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고해상도 영상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의 영상을 동시에 스트리밍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저해상도 영상을 포함하여 스트리밍 전송하고, 상기 저해상도 영상에 대한 확대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고해상도 영상으로 전환하여 스트리밍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는, 움직임 탐색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저해상도 영상을 검색하여 움직임을 탐색하고, 움직임이 탐색되는 경우, 움직임이 탐색된 상기 저해상도 영상의 비디오 클립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가 픽셀급으로 녹화된 영상 데이터를 고해상도 영상 및 저해상도 영상으로 2중으로 인코딩하여, 저해상도 영상을 이용하여 분할 화면을 표시할 수 있어, 시스템의 과부하를 막고 유연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에서 움직임을 탐색하는 경우, 저해상도로 인코딩된 영상을 탐색할 수 있어 빠르고 안정적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고해상도 데이터를 더블 인코딩하는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고해상도 데이터를 더블 인코딩하여 표시 또는 스트리밍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저해상도 영상을 이용하여 움직임을 탐색하고 결과를 표시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저해상도 영상을 16 분할로 표시하고, 사용자 선택 명령을 수신하여 고해상도 영상을 전체 화면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저해상도 영상 및 고해상도 영상을 혼합하여 표시하는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
도 6는 영상의 움직임을 탐색하는 스마트 서치 설정화면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저해상도 영상을 이용하여 E-map을 표시하고, 사용자 선택 명령을 수신하여 고해상도 영상을 포함하여 표시하는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이하에 기재되는 실시예들의 설명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그리고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로 표현된다. 그리고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도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요지와 관련이 없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설명하기 위함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고해상도 데이터를 더블 인코딩하는 DVR 의 내부 구조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VR(100)은 통신부(110), 저장부(120), 입력부(130), 표시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DVR(100)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통신부(110)는 유선 또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50)로 출력하고, 제어부(15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유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통신부(110)는 카메라로부터 고해상도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나아가 통신부(110)는 제어부(150)의 신호를 받아 인코딩된 영상을 스트리밍을 위하여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한편, 도 2에 별도로 도시된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VR(100)은 오디오 처리부와 비디오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은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비디오 처리부는 제어부(150)의 신호를 받아, 제어부가 지정한 포멧을 적용하여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고해상도 또는 저해상도 영상으로 인코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저장부(120)는 DVR(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DVR(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나아가 DVR(100)의 기타 옵션 기능, 예컨대, 움직임 탐지 기능, 센서와 연결 녹화 기능, 자동 Pan/Tilt/Zoom/Control 기능 및 화상 확대·편집 기능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제어부(150)의 신호를 받아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인코딩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DVR(100)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을 입력받고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50)에 전달한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영상 확대 명령, 움직임 탐색 명령 및 비디오 클립 선택 명령 등을 수신할 수 있다. 특히 움직임 탐색 명령의 경우, 사용자는 움직임을 탐색할 카메라, 날짜, 시간 범위, 움직임 감지 민감도 또는 탐색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DVR(100)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표시부(140)는 제어부(150)의 신호를 받아 고해상도 또는 저해상도 영상을 다중 분할 화면으로 동시에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50)는 DVR(100)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50)는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고해상도 영상 및 저해상도 영상으로 각각 인코딩하고, 다중 분할 화면을 표시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포멧에 따라 저해상도 영상을 배치하여 표시하며, 저해상도 영상에 대한 확대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고해상도 영상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통신부(110)를 통하여 카메라들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수신한 영상 데이터 각각을 고해상도, 저해상도로 2중으로 인코딩하고 이를 저장부(120)에 저장한다.
이후 제어부(150)는 DVR(100)의 표시부(140)에 상기 카메라들의 영상을 채널로 분류하여 다중 분할 화면을 표시해야 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포멧에 따라 고해상도 영상 또는 저해상도 영상을 배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화면을 4분할, 8분할, 9분할, 10분할 등 다양하게 분할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분할한 화면에 고해상도 영상 또는 저해상도 영상을 배치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후술된다.
이후 제어부(150)는 입력부(130)를 통하여 표시부(140)에 표시된 분할 화면에 포함된 저해상도 영상에 대한 확대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50)는 상기 저해상도 영상에 대응하는 고해상도 영상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DVR(100)의 통신부(110)를 통하여 상기 카메라들의 영상을 채널로 분류하여 다중 분할 화면을 스트리밍 전송해야 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포멧에 따라 고해상도 영상 또는 저해상도 영상을 배치하여 스트리밍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4분할, 8분할, 9분할, 10분할 등 다양하게 분할한 다중 분할 화면을 스트리밍 전송할 수 있다. 스트리밍 전송된 분할 화면에 고해상도 영상 또는 저해상도 영상을 배치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후술된다.
이후 제어부(150)는 통신부(110)를 통하여 스트리밍 전송한 분할 화면에 포함된 저해상도 영상에 대한 확대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50)는 상기 저해상도 영상에 대응하는 고해상도 영상을 스트리밍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50)는, 저해상도 영상을 이용하여 움직임을 탐색하고 결과를 표시하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하여, DVR(100)이 제공하는 스마트 서치 기능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서치 기능이란, 검색하고자 하는 채널과 시간 범위, 선택한 채널에서 움직임을 감지할 부분, 움직임을 검색하는 민감도 등을 사용자가 별도로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한 부분에서 움직임이 검색된 경우에 그에 해당하는 비디오 클립들이 자동으로 표시되는 기능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스마트 서치 기능을 메가픽셀급 고해상도 영상에 대해 제공하는 경우, 시스템의 과부하가 걸려 검색 속도가 매우 느려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제어부(150)는 통신부(110)를 통하여 수신한 영상 데이터 각각을 고해상도, 저해상도로 더블로 인코딩하여 저장부(120)에 저장하고, 이러한 저해상도 영상을 이용하여 스마트서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스마트 서치 설정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저해상도 영상에서 움직임을 탐색할 수 있다. 그리고 움직임이 검색된 경우, 저해상도 영상의 비디오 클립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50)는 입력부(130)를 통하여 저해상도 비디오 클립에 대한 사용자의 확대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저해상도 비디오 클립에 대응하는 고해상도 영상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고해상도 데이터를 더블 인코딩하여 표시 또는 스트리밍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2의 단계 210에서 제어부(150)는 통신부(110)를 통하여 카메라들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50)는 단계 220에서 수신한 영상 데이터 각각을 고해상도, 저해상도로 2중으로 인코딩하고 이를 저장부(120)에 저장한다.
단계 230에서 제어부(150)는 DVR(100)의 표시부(140)에 상기 카메라들의 영상을 채널로 분류하여 다중 분할 화면을 표시해야 하는 경우인지 판단한다. 이는 입력부(130)를 통하여 다중 분할 화면 표시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판단할 수 있으며, 또는 미리 설정된 표시 화면 규격을 참고하여 판단할 수 있다.
다중 분할 화면을 표시해야 하는 경우에는, 단계 235에서 제어부(150)는 미리 설정된 포맷에 따라 고해상도 영상 또는 저해상도 영상을 배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화면을 4분할, 8분할, 9분할, 10분할 등 다양하게 분할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분할한 화면에 고해상도 영상 또는 저해상도 영상을 배치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후술된다.
단계 237에서 제어부(150)는 입력부(130)를 통하여 표시부(140)에 표시된 분할 화면에 포함된 저해상도 영상에 대한 확대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50)는 단계 239에서 상기 저해상도 영상에 대응하는 고해상도 영상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저해상도 영상에 대한 확대 요청을 수신하여 고해상도 영상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구체적인 실시 예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후술된다.
한편 단계 240에서 제어부(150)는 DVR(100)의 통신부(110)를 통하여 상기 카메라들의 영상을 채널로 분류하여 다중 분할 화면을 스트리밍 전송해야 하는 경우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는 통신부(110)를 통하여 다중 분할 화면 스트리밍 전송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판단할 수 있으며, 또는 미리 설정된 스트리밍 전송 화면 규격을 참고하여 판단할 수 있다.
이후 단계 245에서 제어부(150)는 4분할, 8분할, 9분할, 10분할 등 다양하게 분할한 다중 분할 화면을 스트리밍 전송할 수 있다. 스트리밍 전송된 분할 화면에 고해상도 영상 또는 저해상도 영상을 배치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후술된다.
단계 247에서 제어부(150)는 통신부(110)를 통하여 스트리밍 전송한 분할 화면에 포함된 저해상도 영상에 대한 확대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50)는 단계 249에서 상기 저해상도 영상에 대응하는 고해상도 영상을 저장부(120)로부터 스트리밍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저해상도 영상을 이용하여 움직임을 탐색하고 결과를 표시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2에서와 마찬가지로, 단계 310에서 제어부(150)는 통신부(110)를 통하여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단계 320에서 수신한 영상 데이터 각각을 고해상도, 저해상도로 더블로 인코딩하여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단계 330에서 제어부(150)는 입력부(13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움직임 탐색을 명령하는 스마트 서치 설정 입력을 수신하여 스마트 서치 설정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서치 설정 입력은 검색하고자 하는 채널과 시간 범위, 선택한 채널에서 움직임을 감지할 부분, 움직임을 검색하는 민감도 등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서치 설정이 완료되면, 단계 340에서 제어부(150)는 상기 저해상도 영상을 이용하여 움직임을 탐색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350에서 움직임이 검색된 경우, 저해상도 영상의 비디오 클립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단계 360에서 제어부(150)는 입력부(130)를 통하여 저해상도 비디오 클립에 대한 사용자의 확대 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며, 그 경우 단계 370에서 상기 저해상도 비디오 클립에 대응하는 고해상도 영상을 저장부(120)로부터 송출하도록 표시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저해상도 영상을 16 분할로 표시하고, 사용자 선택 명령을 수신하여 고해상도 영상을 전체 화면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a는 다중분할화면을 16분할로 표시하는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한 화면에 매우 많은 영상이 표시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 4a와 같은 경우에는 16개의 영상을 모두 저해상도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4b는 도 4a의 16개의 저해상도 영상 중, 사용자 확대 명령을 수신한 영상을 고해상도 영상으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예시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 4a의 16 분할 화면이 포함하는 영상 중 하나의 영상만을 고해상도 영상으로 전환하고, 상기 고해상도 영상을 전체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저해상도 영상 및 고해상도 영상을 혼합하여 표시하는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는 다중분할 화면을 8분할로 표시하는 예시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8분할 표시를 하는 경우, 작게 표시되는 7개의 분할화면은 저해상도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크게 표시되는 1개의 분할화면은 고해상도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5b는 다중분할 화면을 10분할로 표시하는 예시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10분할 표시를 하는 경우, 작게 표시되는 8개의 분할화면은 저해상도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크게 표시되는 2개의 분할화면은 고해상도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6는 영상의 움직임을 탐색하는 스마트 서치 설정화면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도 6에서 예시된 설정화면을 통하여, 검색하고자 하는 채널(620), 검색하고자 하는 시간 범위(610), 선택한 채널에서 움직임을 감지할 부분(630), 움직임을 검색하는 민감도(640) 등 설정할 수 있다.
도 7은 저해상도 영상을 이용하여 E-map을 표시하고, 사용자 선택 명령을 수신하여 고해상도 영상을 포함하여 표시하는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a는 E-map의 최초 재생 화면의 예시를 도시한다. 용량이 큰 E-map을 매가픽셀급의 고해상도 영상으로 표시하면, 네트워크 트래픽 부하 및 메모리 소모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7a는 저해상도 영상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7a에서 사용자로부터 블록 710에 대한 확대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도 7b와 같은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 710에 대한 이미지를 고해상도 이미지인 블록 720와 같이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DVR (Digital Video Recorder)
110 : 통신부
120 : 저장부
130 : 입력부
140 : 표시부
150: 제어부

Claims (10)

  1.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를 고해상도 영상 및 저해상도 영상으로 각각 인코딩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움직임을 탐색할 카메라, 날짜, 시간 범위, 움직임 감지 민감도 또는 탐색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하는 움직임 탐색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움직임 탐색 명령에 따라, 상기 저해상도 영상으로 인코딩된 영상 데이터에서 움직임을 검색하는 단계;
    움직임이 검색된 경우, 움직임이 검색된 저해상도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저해상도 영상에 대한 확대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움직임이 검색된 저해상도 영상에 대응하는 상기 고해상도 영상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 이후에,
    16개의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저해상도 영상만으로 상기 화면을 16분할하여 표시하고, 8개의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고해상도 영상 1개를 상기 화면의 좌측 상단에 배치하고 상기 저해상도 영상 7개를 상기 화면의 나머지에 균등하게 배치하여 표시하고, 10개의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고해상도 영상 2개를 상기 화면의 상단에 균등하게 배치하고 상기 저해상도 영상 9개를 상기 화면의 나머지에 균등하게 배치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데이터를 고해상도 영상 및 저해상도 영상으로 각각 인코딩하여 저장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움직임을 탐색할 카메라, 날짜, 시간 범위, 움직임 감지 민감도 또는 탐색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하는 움직임 탐색 명령을 수신하며, 상기 움직임 탐색 명령에 따라 상기 저해상도 영상으로 인코딩된 영상 데이터에서 움직임을 검색하고, 움직임이 검색된 경우, 움직임이 검색된 저해상도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며, 상기 저해상도 영상에 대한 확대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움직임이 검색된 저해상도 영상에 대응하는
    고해상도 영상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16개의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저해상도 영상만으로 상기 화면을 16분할하여 표시하고, 8개의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고해상도 영상 1개를 상기 화면의 좌측 상단에 배치하고 상기 저해상도 영상 7개를 상기 화면의 나머지에 균등하게 배치하여 표시하고, 10개의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고해상도 영상 2개를 상기 화면의 상단에 균등하게 배치하고 상기 저해상도 영상 9개를 상기 화면의 나머지에 균등하게 배치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30042056A 2013-04-17 2013-04-17 더블 인코딩한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305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056A KR101305356B1 (ko) 2013-04-17 2013-04-17 더블 인코딩한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056A KR101305356B1 (ko) 2013-04-17 2013-04-17 더블 인코딩한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5356B1 true KR101305356B1 (ko) 2013-09-06

Family

ID=49455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2056A KR101305356B1 (ko) 2013-04-17 2013-04-17 더블 인코딩한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535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586A (ja) * 1994-07-07 1996-01-23 Meidensha Corp 多地点監視システム
KR20040082765A (ko) * 2003-03-20 2004-09-30 주식회사 성진씨앤씨 이중 동영상 압축 방법을 적용한 네트워크 카메라와네트워크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KR20050078398A (ko) * 2004-01-29 2005-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감시 시스템 및 그 사용 방법
KR20080033796A (ko) * 2006-10-13 2008-04-17 주식회사 엠아이비전 듀얼코덱을 이용한 영상처리보드 및 이를 이용한 고화질의영상표시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586A (ja) * 1994-07-07 1996-01-23 Meidensha Corp 多地点監視システム
KR20040082765A (ko) * 2003-03-20 2004-09-30 주식회사 성진씨앤씨 이중 동영상 압축 방법을 적용한 네트워크 카메라와네트워크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KR20050078398A (ko) * 2004-01-29 2005-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감시 시스템 및 그 사용 방법
KR20080033796A (ko) * 2006-10-13 2008-04-17 주식회사 엠아이비전 듀얼코덱을 이용한 영상처리보드 및 이를 이용한 고화질의영상표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081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User Control of Live Video Stream(s)
US20060001742A1 (en) System keyboard and remotely controlled surveillance system using the system keyboard
US20070212031A1 (en) Video monitoring system and video monitoring program
JPWO2013132828A1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中継装置
CN101103625A (zh) 记录设备、重放设备、记录/重放设备、其方法及程序
JP2007201995A (ja) 映像データ転送処理装置および監視カメラシステム
CN103369128A (zh) 同时显示多个运动图像缩略图的图像再现装置及方法
US20170134635A1 (en) Remote control method and remote control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US20190325667A1 (en) Vehicle-related data collecting apparatus and method
JP2019200312A (ja)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3989473B2 (ja) 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KR101311463B1 (ko) 원격 영상정보 제공시스템
KR20150121459A (ko) VoD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장치 및 클라이언트 장치와 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305356B1 (ko) 더블 인코딩한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US10200616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that performs image rotation processing,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US20100034523A1 (en) Digital display device for having dvr system and of the same method
JP2008271258A (ja) 画像処理装置
CN108718387B (zh) 摄像设备、客户端设备及其控制方法和记录介质
KR100853959B1 (ko) 아이피티브이망을 이용한 다채널 영상의 원격 감시 시스템및 그 방법
JP6257197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US8233530B2 (en) Video scene matching on return from virtual rendering in a consumer digital video recording device
JP2007189558A (ja) 映像表示システム及び映像蓄積配信装置
US20210144393A1 (en) Image capturing device, distribution system, distribu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WO2014080962A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image capturing system, control method of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JP2012015831A (ja) 映像処理装置、映像処理システム及び映像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