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4796B1 -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fellet of sintered ore's dust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fellet of sintered ore's du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4796B1
KR101304796B1 KR1020110115474A KR20110115474A KR101304796B1 KR 101304796 B1 KR101304796 B1 KR 101304796B1 KR 1020110115474 A KR1020110115474 A KR 1020110115474A KR 20110115474 A KR20110115474 A KR 20110115474A KR 101304796 B1 KR101304796 B1 KR 101304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driving
molding
device housing
gran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54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50423A (en
Inventor
윤영재
이종남
양경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115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4796B1/en
Publication of KR20130050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04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4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47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7/00Arrangements for using waste heat; Arrangements for using, or disposing of, waste gases
    • F27D17/001Extraction of waste gases, collection of fumes and hoods used therefor
    • F27D17/002Details of the installations, e.g. fume conduits or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20Agglomeration, binding or encapsulation of solid was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21/00Open or uncovered sintering apparatus; Other heat-treatment apparatus of like construction
    • F27B21/02Sintering grates or t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7D2099/0085Accessories
    • F27D2099/0093Means to collect ashes or dust, e.g.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더스트를 포함하는 투입물이 투입되고 입상화되어 배출되는 장치하우징과 상기 장치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고 투입물을 입상화 성형토록 하는 성형부 및 상기 장치하우징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성형부를 작동토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입상화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R-EP 집진기에서 포집된 더스트을 입상화함으로써, 더스트의 비산으로 인한 주위 대기환경과 설비의 오염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 미립자 상태인 경우보다 배합원료의 평균입도가 향상되어 소결대차의 공극율이 좋아지므로 궁극적으로 소결광의 생산성 및 소결광 성분의 품질편차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vice housing in which an input including dust is injected, granulated and discharged, and a molding unit located inside the apparatus housing and granulating the input, and a driving unit located below the apparatus housing to operate the molding uni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nulation molding apparatus including a particle form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granulating dust collected in an R-EP dust collector, it is possible to suppress contamination of the surrounding air environment and equipment due to scattering of dust, Since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blended raw material is improved and the porosity of the sintered trolley is improved compared to the state, ultimately, the productivity of the sintered ore and the quality deviation of the sintered ore component can be expected.

Description

입상화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fellet of sintered ore's dust}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fellet of sintered ore's dust}

본 발명은 입상화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소결공정 중 발생하는 더스트를 포집하여 별도의 공정을 통해 입상화(fellet)시킨 후 재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입상화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nulation molding apparatus and a mold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granulation molding apparatus and a molding method configured to collect dust collected during a sintering process, pelletize through a separate process, and reuse the same. It is about.

원산지에서 생산된 철광석은 성분, 크기 등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고로에 직접 투입할 수 없으므로, 철광석의 성분, 크기 등을 일정하게 처리하고 코크스 등과 혼합한 후 이를 소결시킨 소결광 등의 배합원료 형태로 고로에 장입한다.  Iron ore produced in the country of origin cannot be added directly to the blast furnace because the composition and size are not constant. Therefore, the iron ore is processed in the form of a blended raw material such as sintered ore, which is treated with coke and mixed with a constant amount of iron ore. Charge in.

제철공장의 소결공정에서 사용되는 소결기(10)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소결기(10)는 장입장치를 통하여 무한궤도형태로 여러 대가 연이어 이동하는 소결대차(11)상에 배합원료가 장입되고, 이와 같은 소결대차(11)들이 점화로를 통과하면 원료중에 혼합된 코크스에 착화되고, 소결대차(11)가 연속 주행하는 동안 그 하부에 위치한 메인블로어(Blower)로부터 흡입되는 강력한 흡인력이 상기 소결대차(11) 하부의 윈드박스(12)측으로 흡인력을 발생시킴으로서, 소결대차(11)의 표면측에 착화된 화기가 원료장입층의 아래쪽, 즉 소결대차(11)의 바닥측으로 옮겨지면서 소결대차(11)를 통한 배합원료의 소결작업이 수행되게 된다.The sintering machine 10 used in the sintering process of the steel mill is shown in Figure 1, such a sintering machine 10 is compounded on the sintering bogie 11 which is continuously moved in a trackless manner through a charging device. When the raw material is charged, and these sintered trolleys 11 pass through the ignition furnace, they are ignited by coke mixed in the raw materials, and are sucked from the main blower located below the sintered trolley 11 during continuous running. The suction force generates a suction force toward the windbox 12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inter bogie 11, so that the firearm complexed to the surface side of the sinter bogie 11 moves to the lower side of the raw material loading layer, that is, the bottom side of the sinter bogie 11. Sintering of the blended raw material through the sintering cart 11 is performed.

상기의 일련의 소결공정에서는 원료 저장조에서부터 고로 소결광 저장조까지의 전체 공정중에서 발생하여 비산되는 더스트를 포집하여 처리하기 위해 R-EP(Room - Electric Precipitation)집진기(13)가 설치하게 된다.In the series of sintering processes, a room-electric precipitation (R-EP) dust collector 13 is installed to collect and process dust generated during the entire process from the raw material storage tank to the blast furnace sintered ore storage tank.

이러한 R-EP 집진기(13)에서 포집된 더스트는 밸트 컨베이어로 저장호퍼(14)에 저장된 후, 재사용을 위해 에어 압송시스템(15)을 이용하여 자체반광조(16)로 압송된다. The dust collected by the R-EP dust collector 13 is stored in the storage hopper 14 by a belt conveyor, and then, the dust is transported to the self-reflecting tank 16 by using the air pressure feeding system 15 for reuse.

그리고 자체반광조(16)에 이송되어 절출된 더스트는 각종의 배합원료들과 드럼믹서(17, mixer)에서 혼합 교반되는데, 미립자인 더스트의 입상화(조립)정도에 따라 배합원료의 평균입도가 좌우되며, 이것은 소결공정의 생산성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 The dust transferred to the self-reflecting tank 16 is mixed and stirred in various blended raw materials and a drum mixer 17, and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blended raw materials depends on the degree of granulation (assembly) of the dust, which is fine particles. This depends and has a major impact on the productivity of the sintering process.

그런데, R-EP 집진기(13)에서 포집된 더스트를 밸트 컨베이어에 분말형태로 실리게 하는 것은 이송시 더스트의 비산으로 주위 환경 및 설비의 오염을 초래하며, 더스트를 그대로 자체반광조(16)에 투입하여 드럼믹서(17, mixer)에서 혼합 교반 후 재사용하는 것은 미립자 형태로 구성된 더스트로 인해 배합원료의 평균입도가 낮아져 소결대차(11)의 공극율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생산성 저하 및 소결광 성분의 품질편차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However, the dust collected in the R-EP dust collector 13 in the form of powder on the belt conveyor causes dust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equipment due to the scattering of the dust during transport, and the dust as it is in the self-reflecting tank 16. Reuse after mixing and mixing in a drum mixer 17 after mixing and agitating lowers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blended raw material due to the dust composed of particulates, thus affecting the porosity of the sintered trolley 11, thereby lowering productivity and quality deviation of the sintered ore component. Cause to generate.

따라서, 당해 기술분야에서는 R-EP 집진기에 의해 포집된 더스트를 입상화하여, 더스트가 이송과정에서 비산하지 않게 함으로써 주위 설비 및 환경 오염을 줄이고, 또한 배합원료의 평균입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소결광 생산성 및 품질에 기여할 수 있는 장치 또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Therefore, in the art, by granulating the dust collected by the R-EP dust collector, by preventing the dust from scattering during the transfer process, to reduce the environmental equipment and environmental pollution, and also to prevent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blending material is lowered, There is a need for an apparatus or method that can contribute to sintered ore productivity and qualit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은 다음과 같은 입상화 성형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ranulation apparatus and method as follows.

본 발명인 입상화 성형장치는 더스트를 포함하는 투입물이 투입되고 입상화되어 배출되는 장치하우징 및 상기 장치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고 투입물을 입상화 성형토록 하는 성형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granular mol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evice housing in which an input including dust is injected, granulated and discharged, and a molding part positioned inside the apparatus housing to granulate the input.

그리고, 상기 장치하우징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성형부를 작동토록 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nd,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drive unit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evice housing to operate the molding portion.

여기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장치하우징 내부에서 회전하는 원통형 구동체와상기 구동체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체가 회전토록 동력을 전달하는 유압조정기와 상기 구동체의 하단 둘레에 따라 설치되는 제1구동기어의 회전에 대응토록 상기 장치하우징의 하부 측면에 설치되는 제2구동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drive unit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cylindrical drive body and the drive body that rotates inside the device housing, the first drive is install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end of the drive body and the hydraulic regulator for transmitting the power to rotate the drive body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drive gear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device housing to correspond to the rotation of the gear.

또한, 상기 성형부는 상기 구동체의 상단에 장착되는 연결블럭에 수직하게 설치된 연결축에 연계되어 회전하고, 투입된 더스트를 압착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요형 돌기가 외경부을 따라 형성된 하나 이상의 원통형 압착롤 및 상기 압착롤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압착롤에 의해 압착된 더스트가 통과되며 입상화토록 수직방향으로 복수의 관통부가 형성된 성형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lding unit is rotated in connection with a connecting shaft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connection block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drive body, and at least one cylindrical pressing roll formed with a plurality of concave protrusions along the outer diameter so as to compress the input dust and th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olded plate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ing roll and the dust is pressed by the pressing roll and formed with a plurality of penetration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granulate.

그리고, 상기 성형판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구동체에 장착되는 회전블럭에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성형판을 통해 낙하하는 입상화된 더스트를 절단하는 컷팅날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cutting blade may further include a cutting blade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orming plate and installed on a rotation block mounted to the driving body to cut granular dust falling through the forming plate.

여기서, 상기 성형판은 복수의 원형 관통부로 구성되고, 상기 원형 관통부의 직경은 4.5~8mm 으로 구성될 수 있다. Here, the molded plate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circular through parts,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through parts may be composed of 4.5 ~ 8mm.

본 발명인 입상화 성형방법은 소결공정에서 발생하는 더스트를 집진하여 자체반광조로 투입하여 재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더스트를 집진기에 의해 포집하여 호퍼에 저장하는 단계와 호퍼에 저장된 더스트를 절출하여 혼합조에 투입하고 분코크스, 성형바인더, 수분과 혼합 교반하는 단계와 혼합 교반된 더스트를 압출성형하여 입상화하는 단계 및 입상화된 더스트를 건조시켜 자체반광조로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the granulation mol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st generated in the sintering process is collected and reused in a self-reflecting tank, and the dust is collected by the dust collector and stored in the hopper and the dust stored in the hopper is cut out and added to the mixing tank. An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tep of mixing and stirring the powder coke, molding binder, moisture and granulation by mixing the stirred mixture dust and the step of drying the granulated dust to the self-reflecting bath.

본 발명인 입상화 성형장치 및 방법의 일 실시태양은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R-EP 집진기에서 포집된 더스트을 입상화함으로써, 더스트의 비산으로 인한 주위 대기환경과 설비의 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ranulation apparatus and method granules the dust collected by the R-EP dust collector through the above configura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pollution of the surrounding air environment and equipment due to the scattering of dust. .

또한, 더스트를 입상화하여 자체반광조에 투입하여 드럼믹서에서 혼합 교반 후 소결공정에 재사용함으로써, 종래 미립자 상태인 경우보다 배합원료의 평균입도가 향상되어 소결대차의 공극율이 좋아지므로 궁극적으로 소결광의 생산성 및 소결광 성분의 품질편차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ust is granulated, put into a self-reflecting tank, and mixed and stirred in a drum mixer, and then reused in the sintering process, thereby improving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blended raw materials and improving the porosity of the sintered bogie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particulate state. And an effect of reducing the quality deviation of the sintered ore component.

도1 은 종래 소결광 더스트가 재사용되는 공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2 는 본 발명인 입상화 성형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3 는 본 발명인 입상화 성형장치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4a 는 본 발명인 입상화 성형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부분절개도이다.
도4b 는 본 발명인 입상화 성형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5 는 본 발명인 입상화 성형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6 은 본 발명인 입상화 성형장치의 평면도이다.
도7 은 본 발명인 입상화 성형장치의 압축롤과 성형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8 은 본 발명인 입상화 성형장치의 구동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9 는 본 발명인 입상화 성형방법에 의한 소결광 더스트가 재사용되는 공정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10 은 본 발명인 입상화 성형방법의 공정순서도이다.
도11a 는 소결광 더스트의 입상화 성형 전 사진이다.
도11b 는 소결광 더스트의 입상화 성형 후 사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process in which a conventional sintered ore dust is reused.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granul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granul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is a partial cutaway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granu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B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granu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granu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of the granu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showing a compression roll and a forming plate of the granul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showing a drive unit of the granu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process in which sintered ore dust is reused by the granulation mol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rocess flowchart of the granulation mol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11A is a photograph before granulation molding of sintered ore dust.
Fig. 11B is a photograph after granulation molding of sintered ore dust.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태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 은 본 발명인 입상화 성형장치(100)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3 는 본 발명인 입상화 성형장치(100)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분해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4a 는 본 발명인 입상화 성형장치(100)의 내부를 나타낸 부분절개도를 도시하고 있다.Figure 2 show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granular forming apparatus 100, Figure 3 show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combined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granular forming apparatus 100, Figure 4a is a present inventor A partially cutaway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granulation apparatus 100 is shown.

먼저, 도2 및 도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입상화 성형장치(100)는 더스트가 투입되고 입상화되어 배출되는 장치하우징(110)과 상기 장치하우징(110) 내부에서 투입된 더스트에 대해 입상화 공정을 수행하는 성형부(200) 및 상기 성형부(200)를 구동토록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300)가 상기 장치하우징(110)의 하부에 설치되게 된다. First, referring to Figures 2 and 3, the present invention granulation molding apparatus 100 is a granulation process with respect to the dust injecting the dust in the device housing 110 and the device housing 110 is injected and granulated and discharged Molding unit 200 to perform the operation and the driving unit 300 for transmitting power to drive the forming unit 200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evice housing 110.

구체적으로 상기 장치하우징(110)은 상기 장치하우징(110) 상부에 더스트가 투입되는 원형의 투입구(12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투입구(120)와 연결되고 상기 투입구(120)보다 넓은 직경을 가진 원통형의 상부커버(111)와 상부커버(111)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성형부(200)를 보호토록 하는 원통형 보호플레이트(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호플레이트(112)의 하부에는 상기 성형부(200)에서의 입상화 성형과정을 마친 입상화된 더스트가 배출되는 배출구(130)가 일단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커버(113)가 장착된다. Specifically, the device housing 110 has a circular inlet 120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device housing 110, the dust is injected, is connected to the inlet 120 and has a diameter larger than the inlet 12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ylindrical protective plate 112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cover 111 and the upper cover 111 of the cylindrical to protect the molded part 200. In addition, a lower cover 113 having a discharge port 130 through which granulated dust is discharged after the granulation process in the forming unit 200 is discharged is moun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rotective plate 112.

여기서 상기 원통형 상부커버(111)의 높이를 이루는 측면에는 손잡이(111b)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성형부(200)의 작동불량 등에 대비하여 신속하게 상기 상부커버(111)를 분리하여 수리, 교체할 수 있도록 제공되고 있다. Here, the handle 111b is installed on the side surface forming the height of the cylindrical upper cover 111 so that the upper cover 111 can be quickly removed and repaired and replaced in preparation for the malfunction of the molding part 200. Is being provided.

그리고 상기 상부커버(111)의 상부면에는 4개의 볼트홈(111a)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장치하우징(110)의 안쪽에 설치되는 가이드판(111c)을 상기 상부커버(111)에 결합되도록 제공된다.In addition, four bolt grooves 111a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111, which is coupled to the upper cover 111 with the guide plate 111c installed inside the device housing 110. Is provided.

또한 상기 하부커버(111)의 하단에 장착되고 상기 성형부(200)를 구동하는 구동부(300)를 보호하는 구동부커버(114)가 설치되게 된다. 상기 구동부커버(114)에는 상기 구동부(300)에 발생하는 열을 잘 방출할 수 있도록 복수의 열방출판(114a)이 설치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driving unit cover 114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lower cover 111 and protects the driving unit 300 for driving the molding unit 200. The driving unit cover 114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plates 114a so as to dissipate heat generated in the driving unit 300 well.

이제, 도3 및 도4a 를 참고하여 본 발명인 입상화 성형장치(100)의 결합상태를 살피면, 상기 장치하우징(110)의 상단에 형성된 투입구(120)를 통해 들어오는 혼합교반된 더스트가 상기 성형부(20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커버(111)의 내부에 가이드판(111c)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판(111c)은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는 4개의 바(111e)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상부커버(111)의 상단면에 형성된 4개의 볼트홈(111a)을 통해 들어오는 볼트(111d)와 체결되어 상기 상부커버(111)에 연결되게 된다. Now, referring to Figures 3 and 4a to look at the combined state of the granulat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xed stirring dust coming through the inlet 120 formed on the top of the device housing 110 is the molding portion The guide plate 111c is installed inside the upper cover 111 to move in the direction of 200. The guide plate 111c is equipped with four bars 111e having screw grooves formed therein, and bolts 111d coming in through four bolt grooves 111a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111. It is fastened to be connected to the upper cover 111.

그리고 상기 상부커버(111)의 하부로 원통형 보호플레이트(112)가 설치되게 되고, 상기 보호플레이트(112) 내부에는 상기 성형부(200)가 구성되게 된다. 여기서 성형부(200)는 크게 압착롤(221), 성형판(231), 컷팅날(241) 등으로 구성되게 된다. The cylindrical protection plate 112 is installed below the upper cover 111, and the molding part 200 is configured inside the protection plate 112. Here, the molding part 200 is largely composed of a pressing roll 221, a forming plate 231, a cutting blade 241, and the like.

먼 저 압착롤(221)은 원통형의 바퀴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기 압착롤(221)의 외경부를 이루는 측면에는 복수개의 요형 돌기(222)가 형성되어 있어 혼합 교반된 더스트를 압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압착롤(221)은 연결블럭(224)의 측면에 장착되어 있는 연결축(221e)에 연계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First, the pressing roll 221 has a cylindrical wheel shape, and a plurality of concave protrusions 222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 forming the outer diameter portion of the pressing roll 221 and configured to press the mixed and stirred dust. have. In addition, the pressing roll 221 is rotatable in connection with the connecting shaft 221e mounted on the side of the connecting block 224.

여기서, 상기 연결블럭(224)은 팔각기둥의 형상을 가지고 중앙부에는 구동체(33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원형의 홀(224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블럭(224)의 측면에는 상기 보호플레이트(112)에 지지되어 상기 압착롤(221)이 틀어지지 않게 제공되는 지지부재(22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Here, the connection block 224 has the shape of an octagonal pillar and a circular hole 224a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to allow the driving body 330 to be coupled, and the protective plate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connection block 224.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support member 223 that is supported by (112) is provided so that the pressing roll 221 is not twisted.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223)가 형성되어 있는 측면의 인접된 측면에는 상기 압착롤(221)을 결합시킬 수 있는 연결축(221e)이 들어가는 원형의 홈(224b)이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 원형의 홈(224b)에 상기 연결축(221e)이 끼워지고 상기 연결축(221e)의 일단에 형성된 지지링(221d) 부분으로 상기 압착롤(221)의 중심부가 위치하게 된다. 그 후 결합부재(221a, 221g)를 통해 상기 압착롤(221)을 상기 연결축(221e)에 단단히 고정되게 하여 상기 연결블럭(224)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In addition, a circular groove 224b is formed at an adjacent side of the side on which the support member 223 is formed to enter the connecting shaft 221e to engage the pressing roll 221. The connecting shaft 221e is fitted into the circular groove 224b, and a center portion of the pressing roll 221 is positioned as a support ring 221d formed at one end of the connecting shaft 221e. Thereafter, the pressing rolls 221 are firmly fixed to the connecting shaft 221e through the coupling members 221a and 221g so as to rotate together with the connecting block 224.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블럭(224)의 한측면에는 상기 압착롤(221)이 결합되는 연결축(221a)이 형성되고, 인접면에는 상기 지지부재(223)가 형성되어 상기 압착롤(221)과 상기 지지부재(223)가 교대로 설치되어 있다. 그에 따라 팔각기둥의 형상을 가진 상기 연결블럭(224)은 4 개의 압착롤(221)과 4 개의 지지부재(223)가 장착되어 구동하게 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상기 연결블럭(224)은 원형, 사각 또는 육각기둥 등의 다른 다각형의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압착롤(221)과 상기 지지부재(223)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surface of the connection block 224 is formed with a connecting shaft 221a to which the pressing roll 221 is coupled, and an adjacent surface of the supporting member 223 is formed with the pressing roll ( 221 and the support member 223 are alternately provided. Accordingly, the connection block 224 having the shape of an octagonal pillar is driven by four pressing rolls 221 and four supporting members 223,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connection block 224 may be implemented in the shape of another polygon such as a circle, a square or a hexagonal column, in which case the number of the pressing roll 221 and the support member 223 may be changed.

다음으로 상기 압착롤(221)의 하부에는 상기 성형판(231)이 결합되게 된다. 상기 성형판(231)은 중앙부에 원형의 홀(231a)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구동체(330)가 연결되도록 하고, 원형의 홀(231a)을 제외한 상기 성형판(231)의 표면에는 복수의 관통부(232)가 형성되어 있다. Next, the forming plate 231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ing roll 221. The forming plate 231 has a circular hole 231a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so that the driving body 330 is connected,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orming plate 231 except for the circular hole 231a. The part 232 is formed.

상기 관통부(232)는 상기 압착롤(221)에 의해 아래방향으로 압착된 혼합교반된 더스트가 일정한 직경을 가진 펠렛(fellet)으로 입상화될 수 있도록 구현된 것이며, 상기 관통부(232)는 4.5mm ~ 8mm 정도의 직경을 가지는데, 이는 소결공정의 자체반광조에서는 통상 5mm 이하의 직경을 가진 소결광을 자체회수하여 일정한 공정을 거친 후 다시 소결공정에 재사용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응하여 혼합교반된 더스트를 4.5mm ~ 8mm 직경을 가진 펠렛으로 입상화한 후 다시 자체반광조에 투입하여 재사용하기 위함이다. 즉 자체반광조에서 자체회수한 소결광과 입상화된 더스트의 크기가 비슷하다면 다시 재사용하는 공정에 있어서도 유리한 측면이 있다. The through part 232 is implemented so that the mixed stirred dust pressed downward by the pressing roll 221 can be granulated into pellets having a certain diameter, the through part 232 is It has a diameter of about 4.5mm to 8mm. In the self-reflecting bath of the sintering process, the sintered ore having a diameter of 5 mm or less is usually recovered by itself and then reused in the sintering process after a certain process. The dust is granulated into pellets with a diameter of 4.5mm ~ 8mm and then put back into the semi-reflective tank for reuse. That is, if the size of the sintered ore recovered in the self-reflecting tank and the granulated dust are similar, there is an advantageous aspect in the re-use process.

다만, 상기 관통부(232)의 제시된 직경은 소결공정의 자체반광조에서 회수되는 소결광의 직경을 고려한 것일 뿐이므로 반드시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However, the diameter of the through part 232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because only the diameter of the sintered ore recovered in the self-reflecting tank of the sintering process is considered.

다음으로 상기 성형판(231)의 하부에는 컷팅날(241)이 구성되게 되는데, 이는 상기 성형판(231)의 복수의 관통부(232)를 통해 펠렛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기 위해 제공된다. 상기 성형판(231)을 통해 아래로 배출되는 펠렛은 길이가 긴 국수의 형태로 뽑아지게 되므로 상기 성형판(231)의 하부에서 컷팅날(241)을 회전시켜 상기 국수형태의 펠렛을 절단하게 되는 것이다. Next, a cutting blade 241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orming plate 231, which is provided to cut the pellet into a predetermined size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portions 232 of the forming plate 231. Since the pellet discharged down through the forming plate 231 is pulled out in the form of long noodles, the cutting blade 241 is rota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orming plate 231 to cut the noodles-shaped pellets. will b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체(330)가 관통하며 연결되도록 중앙부에 원형의 홈(241a)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블럭(242)이 있고, 상기 회전블럭(242)의 상부측 외경부에는 상기 성형판(231)의 하부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4 개의 컷팅날(241)이 장착되어 하부로 떨어지는 펠렛을 절단토록 하고 있으며, 상기 회전블럭(242)의 하부측 외경부에는 상기 장치하우징(110)상에 형성된 배출구(130)의 높이선상에 맞추어 정착되는 배출유도바(243)가 구비되어 있다.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rotating block 242 in which a circular groove 241a is formed at the center portion so that the driving body 330 penetrates and is connected thereto. Four cutting blades 241 are installed close to the bottom of the forming plate 231 to cut the pellets falling to the bottom, the device housing 110 in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side of the rotating block 242 The discharge induction bar 243 is provided to be fixed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line of the discharge port 130 formed on the.

상기 배출유도바(243)는 상기 컷팅날(241)에 의해 절단되어 일정한 크기를 가지게 된 펠렛을 회전하면서 모아주고, 상기 배출구(130)로 펠렛이 배출될 수 있도록 S 자형의 만곡부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The discharge guide bar 243 is collected by rotating the pellets cut by the cutting blade 241 having a certain size, and has a shape of the S-shaped curved portion so that the pellets can b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130. have.

또한, 상기 컷팅날(241)과 상기 배출유도바(243)를 구비한 상기 회전블럭(242)을 감싸는 하부커버(113)가 상기 보호플레이트(112)의 하단에 설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커버(113)의 일단에는 펠렛이 배출되도록 제공되는 배출구(1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와 같이 상기 배출구(130)의 하단선에 일치하는 위치에 펠렛을 모아주고 배출토록 하는 배출유도바(243)의 위치가 결정되게 될 것이다. In addition, a lower cover 113 surrounding the rotating block 242 having the cutting blade 241 and the discharge guide bar 243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protective plate 112. And one end of the lower cover 113 is formed with a discharge port 130 is provided so that the pellet is discharged, the discharge oil to collect and discharge the pellets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ottom line of the discharge port 130 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of the bar 243 will be determined.

여기서, 상기 하부커버(113)의 안쪽에서 상기 배출구(130)의 하단선에 일치하는 위치에 절단된 펠렛이 낙하되는 배출판(113a)이 존재하며, 상기 배출유도바(243)는 상기 배출판(113a) 상부를 회전하면서 낙하된 펠렛을 모으고 상기 배출구(130)로 배출을 유도하게 된다. Here, there is a discharge plate 113a in which the cut pellet falls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ottom line of the discharge port 130 inside the lower cover 113, and the discharge guide bar 243 is the discharge plate. The dropped pellets are collected while rotating the upper portion 113a to induce discharge to the outlet 130.

다음으로, 상기 장치하우징(110)의 하부에는 구동부(300)가 구성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치하우징(110)의 하부를 이루는 구동부커버(114) 안쪽으로 상기 구동체(330)를 지지토록 하는 지지판(330c)이 놓이며, 상기 지지판(330c)은 복수의 볼트(330b)에 의해 상기 구동부커버(114)의 하부에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330c)의 중앙부에 형성된 홈에는 구동체(330)의 하부를 지지하고 원활히 회전토록 하는 원형의 지지밴드(330a)가 설치되게 된다. Next, the driving unit 300 is configured under the device housing 110. Specifically, the support plate 330c for supporting the drive body 330 is placed inside the drive part cover 114 forming the lower part of the device housing 110, and the support plate 330c is attached to the plurality of bolts 330b. It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drive unit cover 114 by. And the groov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upport plate 330c is provided with a circular support band 330a for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drive body 330 and smoothly rotates.

상기 구동체(330)는 원통형을 이루고 있으며, 측면에는 복수의 요형 돌기(3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형 돌기(331)는 상기 구동체(330)가 회전할 때 상기 구동체(330)와 상기 요형 돌기(331)에 의해 연계되어 있는 회전블럭(242), 연결블럭(224)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구동체(330)의 측면에 가공되게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체(330)는 회전블럭(242), 연결블럭(224)까지 결합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가질 것이다. The driving body 330 has a cylindrical shape, a plurality of concave protrusions 331 is formed on the side. The concave protrusion 331 may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on block 242 and the connection block 224 connected by the driving body 330 and the concave protrusion 331 when the driving body 330 rotates. In order to be able to be provided is processed to the side of the drive body 330. Here, the driving body 330 may have a length sufficient to be coupled to the rotation block 242 and the connection block 224.

상기 구동체(330)의 하단에는 제1구동기어(310)가 결합된다. 상기 제1구동기어(310)는 중앙부에는 상기 구동체(330)와 연결될 수 있도록 원형의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구동기어(310)의 외경부에는 경사각을 가진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홈은 제2구동기어(320)와 맞물리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2구동기어(320)는 상기 제1구동기어(310)의 회전에 대응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first driving gear 310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driving body 330. A circular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driving gear 310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driving body 330, and a plurality of grooves having an inclination angle are formed in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driving gear 310. have. The plurality of grooves are provided to engage with the second driving gear 320. Here, the second driving gear 320 plays a role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driving gear 310.

상기 구동체(330)의 상단에는 유압조정기(34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유압조정기(340)는 상기 장치하우징(110)내로 유입되는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구동체(33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그에 따라 본 발명인 입상화 성형장치(100)가 작동하게 된다. The hydraulic regulator 340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drive body 330. The hydraulic regulator 340 by adjusting the flow rate flowing into the device housing 110, to enable the rotation of the drive body 330, thereby operating the granulat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작동과정를 살펴본다. 도4b 는 본 발명인 입상화 성형장치의 작동상태도를 도시하고 있다.Hereinafter, look a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Fig. 4B show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the granu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b 를 참조하면, 먼저 혼합 교반된 더스트가 상기 장치하우징(110)의 상부에 위치한 투입구(120)를 통해 투입되게 된다. 투입된 혼합 교반되어 반죽형태를 띤 더스트는 상기 상부커버(111)의 안쪽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가이드판(111c)에 의해 압착롤(221) 방향으로 유도되게 된다. Referring to FIG. 4B, first, the mixed and agitated dust i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20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apparatus housing 110. The mixed and stirred dust in the form of dough is guided in the direction of the pressing roll 221 by the guide plate 111c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upper cover 111.

이 때, 상기 구동체(330)의 상부에 장착되어 있는 유압조정기(340)에 의한 동력으로 상기 구동체(330)를 회전하게 되는데, 도4b 에서는 상기 구동체(3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상태를 화살표로 확인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riving body 330 is rotated by the power of the hydraulic regulator 340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riving body 330. In FIG. 4B, the driving body 330 rotates clockwise. You can check the status with the arrow.

상기 구동체(33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구동체(330)상에 연결축(221e)에 의해 장착되어 있는 상기 압착롤(221)이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압착롤(221)은 별도로 동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것이 아니고, 상기 구동체(3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상기 성형판(231) 위를 반시계 방향으로 굴러가듯이 회전하게 된다. As the driving body 330 rotates, the pressing roll 221 mounted on the driving body 330 by the connecting shaft 221e rotates. In this case, the pressing roll 221 is not rotated by being separately supplied with power, and rotates as if the driving body 330 is rotated in a clockwise direction, naturally rolling on the forming plate 231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그에 따라 혼합교반된 더스트가 상기 가이드판(111c)을 따라 상기 압착롤(221) 상부로 떨어지게 되고, 상기 압착롤(221)의 외경부를 따라 형성된 요형 돌기(222)에 걸려 회전되면서 아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mixed and stirred dust falls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ressing roll 221 along the guide plate 111c and is rotated by being caught by the concave protrusion 222 formed along the outer diameter of the pressing roll 221. Done.

그 뒤, 상기 압착롤(221)과 상기 성형판(231) 사이에 놓여지고, 상기 압착롤(221)이 회전하면서 누르는 힘에 의해 혼합교반된 더스트는 상기 성형판(231)에 형성된 관통부(232)를 지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체(330)와 함께 회전하는 상기 압착롤(2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4 개로 구성되어 있어 많은 양의 혼합교반된 더스트를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Thereafter, the dust placed between the pressing roll 221 and the forming plate 231 and mixed and stirred by the pressing force while the pressing roll 221 rotates is formed in the through part formed in the forming plate 231 ( 232). Here, the pressing roll 221 rotating together with the drive body 330 is composed of fou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process a large amount of mixed and stirred dust.

상기 압착롤(221)에 의해 눌려 상기 성형판(231)의 관통부(232)를 통해 아래방향으로 뽑아지는 입상화된 더스트는 국수형태를 띠게 될 것이다. 이것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기 위해 상기 성형판(231)의 바로 아래에는 상기 컷팅날(241)이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국수형태로 길죽한 입상화된 더스트를 절단하게 된다. 상기 컷팅날(241)은 상기 회전블럭(242)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회전함으로써 입상화된 더스트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게 된다. The granulated dust pressed by the pressing roll 221 and pulled downward through the through part 232 of the forming plate 231 may have a noodle shape. In order to cut this into an appropriate size, the cutting blade 241 is installed directly below the forming plate 231 to rotate and cut the granulated dust in the form of noodles. The cutting blade 241 is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block 242 to rotate the granulated dust to a certain length.

여기서 절단된 입상화된 더스트는 상기 배출구(130)의 하단선에 일치하여 위치하는 배출판(113a)에 떨어지게 되고, 상기 배출판(113a) 상부에 밀착되어 회전하고 S 자형의 만곡부의 형상을 가지는 상기 배출유도바(243)에 의해 모아져서, 상기 배출구(130)의 입구에서 상기 장치하우징(110)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Here, the granulated dust cut is dropped on the discharge plate 113a which is loca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bottom line of the discharge port 130,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discharge plate 113a, rotates, and has an S-shaped curved portion. Collected by the discharge induction bar 243,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evice housing 110 at the inlet of the discharge port 130.

본 발명인 입상화 성형장치(100)는 위와 같은 작동과정을 통해 혼합교반된 더스트를 펠렛으로 입상화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입상화 성형방법과 관련하여 소결광 더스트가 R-EP(Room - Electric Precipitation)전기집진기에 의해 집진된 후 상기 입상화 성형장치(100)가 사용되어 펠렛으로 입상화된 후 다시 자체반광조에 투입되어 소결공정에 재사용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The granulat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granulates mixed and stirred dust into pellets through the above operation process. Hereinafter, the sintered ore dust is collected by a room-electric precipitation (R-EP) electrostatic precipitator in relation to the granulation mol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granulation apparatus 100 is used to granulate pellets and then regenerate itself. Explain the process of being put into the semi-mineral bath and reused in the sintering process.

도9 는 본 발명인 입상화 성형방법에 의한 소결광 더스트가 재사용되는 공정을 나타낸 상태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10 은 본 발명인 입상화 성형방법의 공정순서도를 도시하고 있다. Fig. 9 shows a state diagram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sintered ore dust is reused by the granulation mol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shows a process flowchart of the granulation mol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9 및 도10 를 참고하면, 먼저 소결공정 중에 발생되는 소결광 더스트를 R-EP (Room - Electric Precipitation) 전기집진기(13)에 의해 집진된다. 그리고 집진된 더스트를 컨베이어 벨트 또는 기타 차량 등의 이동수단을 통해 저장호퍼(21)로 이동시켜 저장하게 된다(S1, S2). 9 and 10, first, sintered ore dust generated during the sintering process is collected by a room-electric precipitation (R-EP) electrostatic precipitator 13. Then, the collected dust is moved to the storage hopper 21 through a moving means such as a conveyor belt or other vehicle and stored (S1, S2).

이 때 저장호퍼(21)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호퍼(21)가 복수개로 구성되는 경우 각각의 저장호퍼(21)의 크기는 일정하면서 동일해야 할 것이다. 이는 혼합조(22)에서 더스트와 입상화 성형물질의 혼합교반시 양자간에 일정한 비율이 유지되게 집진된 더스트를 정량절출하기 위함이다. 상기 복수개의 저장호퍼(21)가 운용되는 경우에는 저장호퍼(21) 한 개 분량의 더스트에 맞추어 입상화 성형물질의 혼합비율을 정함으로써, 상기 저장호퍼(21)에 저장된 더스트를 절출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At this time, the storage hopper 21 may be configured in plural, and when the storage hopper 21 is configured in plural, the size of each storage hopper 21 should be constant and the same. This is to quantitatively extract dust collected in the mixing tank 22 so that a constant ratio is maintained between the dust and the granulated molding material. In the case where the plurality of storage hoppers 21 are operated, a method of cutting out the dust stored in the storage hopper 21 by determining the mixing ratio of the granulated mold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amount of dust of one storage hopper 21. You can also think.

상기 저장호퍼(21)가 가득 채워지게 되면, 집진된 더스트를 정량절출하여 혼합조(22)로 이동시키게 된다(S3). 상기 혼합조(22)에는 상기 저장호퍼(21)에서 정량절출된 더스트와 분코크스, 수분 및 성형바인더와 혼합교반하여 반죽형태의 더스트를 형성하게 된다(S4). 여기서 성형바인더의 성분은 전체 혼합비율 중 초속경 경화제(특수시멘트) 6%, 벤트나이트 4%, 규산소다 1%(성형시 수분에 따른 성형성 변동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사용)로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storage hopper 21 is full, the collected dust is quantitatively cut out and moved to the mixing tank 22 (S3). The mixing tank 22 is mixed with the dust and powdered coke, moisture, and molding binder quantified in the storage hopper 21 to form a dough-like dust (S4). Here, the components of the molding binder may be composed of a superhard hardener (special cement) 6%, bent nitrate 4%, sodium silicate 1% (optionally us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nge in formability depending on moisture during molding) of the total mixing ratio. .

반죽형태의 더스트는 다시 별도의 이동수단을 통해 입상화 성형 장치군(23)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입상화 성형 장치군(23)에서 펠렛으로 입상화되게 된다(S5). 이 때 상기 입상화 성형 장치군(23)는 집진된 더스트의 양이 적은 경우에는 단일 입상화 성형장치(100)가 구비될 수 있으나, 다량의 더스트가 집진되는 경우에는 입상화 성형 장치(100)가 복수개로 구비되어 신속하게 입상화시키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The dough-type dust is moved to the granulation apparatus group 23 again through a separate moving means, and granulated into pellets in the granulation apparatus group 23 (S5). In this case, the granulation apparatus group 23 may be provided with a single granulation apparatus 100 when the amount of dust collected is small, but when the large amount of dust is collected, the granulation apparatus 100 is collected. It may be contemplated that a plurality of particles are provided to granulate rapidly.

다음으로 지름 4.5mm ~ 8mm 정도의 일정한 크기의 펠렛으로 입상화된 더스트를 건조기(24)로 이동시켜 건조시키게 된다(S6). 혼합교반되는 과정에서 다량의 수분이 함유되어 있어 그대로 자체반광조(16)에 투입하여 재사용하는 것은 제품의 품질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재사용되기 전에 건조과정을 거침으로써 수분을 제거하게 된다.Next, the dust granulated into pellets having a constant size of about 4.5 mm to 8 mm in diameter is moved to a dryer 24 and dried (S6). In the process of mixing and stirring, a large amount of water is contained and reused as it is in the semi-reflecting tank 16, which may affect the quality of the product, thereby removing moisture by going through a drying process before reuse.

수분이 제거된 입상화된 더스트는 별도의 이동수단에 의해 자체반광조(16)로 투입되게 되고 자체회수된 소결광과 함께 혼합된다(S7). 그 후 믹서(17, mixer)로 이동하게 되고, 배합원료 등과 다시 혼합하는 과정을 거친 후 소결공정에 재사용되게 된다. The granulated dust from which moisture is removed is introduced into the self-reflecting tank 16 by a separate moving means and mixed with the self-recovered sintered ore (S7). After that, it is moved to the mixer 17, and then mixed again with the compounding material and the like, and then reused in the sintering process.

도11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상화되기 전의 더스트를 그대로 자체 반광조(16)에 투입하여 재사용하는 것은, 믹서(17)에서 혼합과정을 거친다고 하더라도 직경 5mm 이상의 원하는 크기의 소결광을 형성하지 못하여 소결대차(11)의 통기성을 나빠지게 하는 원인이 될 수 있지만, 도11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상화 성형과정을 거쳐 형성된 펠렛은 5mm 이상의 크기를 유지한 채 다시 자체반광조(16)에 투입되고 믹서에서 배합원료 등과의 혼합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일정크기 이상을 유지하게 되어 종래에 비해 소결대차(11)의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As shown in Fig. 11A, the dust before granulation is put into its semi-glossy tank 16 and reused as it is, even though the mixing process in the mixer 17 fails to form a sintered ore having a desired size of 5 mm or more in diameter. Although it may cause the air permeability of the trolley 11 to deteriorate, as shown in FIG. 11B, the pellet formed through the granulation process is put into the self-reflecting tank 16 again while maintaining a size of 5 mm or more. Since the mixer goes through the mixing process with the blended raw materials, it maintains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which results in improving the air permeability of the sintering cart 11 as compared to the prior art.

그리고 분진상태가 아니라 입상화된 상태로 더스트를 이동시켜 재사용하게 됨으로써, 더스트의 비산으로 인한 주위 대기환경이나 설비의 오염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by reusing dust by moving it to a granulated state instead of a dust state, an effect of suppressing pollution of the surrounding air environment or equipment due to dust scattering can be expected.

이상의 사항은 입상화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The above is merely showing specific embodiments of the granulation apparatus and the molding method.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do.

21...저장호퍼 22...혼합기
23...입상화 성형장치군 24...건조기
110...장치하우징 111...상부커버
112...보호플레이트 113...하부커버
114...구동부커버 120...투입구
130...배출구 200...성형부
221...압착롤 224...연결블럭
231...성형판 241...컷팅날
242...회전블럭 243...배출유도바
310...제1구동기어 320...제2구동기어
330...구동체 340...유압조정기
21 ... storage hopper 22 ... mixer
23 ... Granulation Molding Device Group 24 ... Dryer
110.Device housing 111 ... Top cover
112 Protection plate 113 Lower cover
114.Driver cover 120.Inlet
130 ... outlet 200 ... molding part
221 ... compression roll 224 ... connection block
231 Molding plate 241 Cutting blade
242 ... Rotating block 243 ... Emission guide bar
310 ... 1st drive gear 320 ... 2nd drive gear
330 Drive 340 Hydraulic regulator

Claims (7)

삭제delete 삭제delete 더스트를 포함하는 투입물이 투입되고 입상화되어 배출되는 장치하우징(110);
상기 장치하우징(110)의 내부에 위치하고 투입물을 입상화 성형토록 하는 성형부(200); 및
상기 장치하우징(110)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성형부(200)를 작동토록 하는 구동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장치하우징(110) 내부에서 회전하는 원통형 구동체(330); 와
상기 구동체(330)의 상단에 설치되어, 구동체(330)가 회전토록 동력을 전달하는 유압조정기(340); 와
상기 구동체(330)의 하단 둘레에 따라 설치되는 제1구동기어(310)의 회전에 대응토록 상기 장치하우징(110)의 하부 측면에 설치되는 제2구동기어(32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화 성형장치
An apparatus housing 110 into which an input including dust is injected and granulated and discharged;
A molding part 200 located inside the apparatus housing 110 to granulate an input; And
And a driving unit 300 positioned below the apparatus housing 110 to operate the molding unit 200.
The driving unit 300
A cylindrical drive body 330 rotating inside the device housing 110; Wow
A hydraulic regulator 340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driving body 330 to transmit power to rotate the driving body 330; Wow
A second driving gear 320 installed at a lower side of the device housing 110 to correspond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driving gear 310 installed along the lower circumference of the driving body 330;
Granul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더스트를 포함하는 투입물이 투입되고 입상화되어 배출되는 장치하우징(110); 및
상기 장치하우징(110)의 내부에 위치하고 투입물을 입상화 성형토록 하는 성형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성형부(200)는
상기 구동체(330)의 상단에 장착되는 연결블럭(224)에 수직하게 설치된 연결축(221e)에 연계되어 회전하고, 투입된 더스트를 압착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요형 돌기(222)가 외경부을 따라 형성된 하나 이상의 원통형 압착롤(221); 및
상기 압착롤(221)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압착롤(221)에 의해 압착된 더스트가 통과되며 입상화토록 수직방향으로 복수의 관통부(232)가 형성된 성형판(231);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화 성형장치
An apparatus housing 110 into which an input including dust is injected and granulated and discharged; And
Includes; forming unit 200 located inside the device housing 110 to granulate the input granules;
The molding part 200
A plurality of concave protrusions 222 are formed along the outer diameter so as to rotate in connection with the connecting shaft 221e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connecting block 224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driving body 330 and to compress the injected dust. One or more cylindrical pressing rolls 221; And
A molding plate 231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ressing roll 221 and having a plurality of penetrating portions 232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so as to pass through the dust compressed by the pressing roll 221;
Granul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판(231)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구동체(330)에 장착되는 회전블럭(242)에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성형판(231)을 통해 낙하하는 입상화된 더스트를 절단하는 컷팅날(24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화 성형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 cutting blade for cutting the granulated dust falling through the forming plate 231 while being installed and rotated on the rotating block 242 positioned below the forming plate 231 and mounted to the driving body 330 ( Granula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24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판(231)은 복수의 원형 관통부(232)로 구성되고, 상기 원형 관통부(232)의 직경은 4.5~8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화 성형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orming plate 231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ircular through parts 232,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through parts 232 is a granul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4.5 ~ 8mm.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하우징(110)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성형부(200)를 작동토록 하는 구동부(3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장치하우징(110) 내부에서 회전하는 원통형 구동체(330); 와
상기 구동체(330)의 상단에 설치되어, 구동체(330)가 회전토록 동력을 전달하는 유압조정기(340); 와
상기 구동체(330)의 하단 둘레에 따라 설치되는 제1구동기어(310)의 회전에 대응토록 상기 장치하우징(110)의 하부 측면에 설치되는 제2구동기어(32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화 성형장치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6,
The driving unit 300 is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evice housing 110 to operate the molding unit 200;
The driving unit 300
A cylindrical drive body 330 rotating inside the device housing 110; Wow
A hydraulic regulator 340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driving body 330 to transmit power to rotate the driving body 330; Wow
A second driving gear 320 installed at a lower side of the device housing 110 to correspond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driving gear 310 installed along the lower circumference of the driving body 330;
Granul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KR1020110115474A 2011-11-08 2011-11-08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fellet of sintered ore's dust KR1013047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474A KR101304796B1 (en) 2011-11-08 2011-11-08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fellet of sintered ore's du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474A KR101304796B1 (en) 2011-11-08 2011-11-08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fellet of sintered ore's dus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0423A KR20130050423A (en) 2013-05-16
KR101304796B1 true KR101304796B1 (en) 2013-09-10

Family

ID=48660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5474A KR101304796B1 (en) 2011-11-08 2011-11-08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fellet of sintered ore's du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479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03737A (en) * 1993-09-30 1996-04-23 マシネンファブリーク・ケッパーン・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ウント・コンパニー・コマンデイト・ゲゼルシャフト Method for producing spongy iron briquettes from fine-grained ore
JPH0959724A (en) * 1995-08-21 1997-03-04 Nippon Steel Corp Production of sintered ore
KR20020048152A (en) * 2000-12-16 2002-06-22 이구택 Dust pellet producting appratus and its method as raw material of sinter cake
KR100711762B1 (en) * 2005-07-15 2007-04-30 주식회사 포스코 Pelletizer for granulating fine particl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03737A (en) * 1993-09-30 1996-04-23 マシネンファブリーク・ケッパーン・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ウント・コンパニー・コマンデイト・ゲゼルシャフト Method for producing spongy iron briquettes from fine-grained ore
JPH0959724A (en) * 1995-08-21 1997-03-04 Nippon Steel Corp Production of sintered ore
KR20020048152A (en) * 2000-12-16 2002-06-22 이구택 Dust pellet producting appratus and its method as raw material of sinter cake
KR100711762B1 (en) * 2005-07-15 2007-04-30 주식회사 포스코 Pelletizer for granulating fine part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0423A (en) 201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85730A (en) Rotary tumbler and metal reclaimer
CN103857809B (en) Method for granulation of sintering raw material
CN102950055B (en) Calcium carbonate slurry wet grinding manufacture method
KR20100011990A (en) Method for production of carbon composite metal oxide briquette
KR100528984B1 (en) Self-propelled recycling machine, and base unit and base frame of the self-propelled recycling machine
CN114621015B (en) Dry production method and equipment of powder for rock plate press forming
CN114101280B (en) Gangue cascade utilization system and method
KR10130479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fellet of sintered ore's dust
CN207271378U (en) A kind of efficient organic fertilizer processing unit (plant)
CN209222209U (en) A kind of hydraulic compound kibbler roll
CN1572371A (en) Crushing method and apparatus
CN101862810B (en) Cast used sand and slag recycling equipment
JP2006326415A (en) Soil insolubilization treatment vehicle
KR101427311B1 (en) Pellitizer
KR102157943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sintered ore
CN206872060U (en) A kind of flour returns powder device
KR200238075Y1 (en) Functional pelletizer for increased pellet quality and recovery
KR101304823B1 (en) Discharging Apparatus for Hopper and Method for Discharging Sintering Mixture Raw Matrials into Hopper
JP200000562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y sand-making process
CN219111746U (en) Mine stone crushing, screening and recycling device
CN219024557U (en) Fodder crushing and screening equipment
CN212498284U (en) Dustless dust soil mixer
JP7024649B2 (en) Granulation method of raw material for sintering
CN201157882Y (en) Apparatus for regenerating resin-bonded sand by heat method
CN209279648U (en) One kind can automated packing sinter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