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4481B1 -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4481B1
KR101304481B1 KR1020110105331A KR20110105331A KR101304481B1 KR 101304481 B1 KR101304481 B1 KR 101304481B1 KR 1020110105331 A KR1020110105331 A KR 1020110105331A KR 20110105331 A KR20110105331 A KR 20110105331A KR 101304481 B1 KR101304481 B1 KR 101304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elevator
voltage
power electronics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5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0510A (ko
Inventor
헤르만 귄터
로어 슈테판
Original Assignee
티센크루프 아우프주크스베르케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센크루프 아우프주크스베르케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티센크루프 아우프주크스베르케 게엠베하
Priority to KR1020110105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4481B1/ko
Publication of KR20130040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0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4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4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0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driving gear, e.g. acting on power electronics, on inverter or rectifier controlled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23Control system configuration, i.e. lay-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50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with operating or control mechanisms mounted in the car or cage or in the lift well or hoistw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 모터와, 엘리베이터 카와 그리고 제동 장치를 지닌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구동 모터를 위한 제1 파워 일렉트로닉스와 상기 파워 일렉트로닉스에 대한 제어 신호의 전달을 차단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신호 차단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가 안전 관련 소프트웨어를 필요로 하지 않고 엘리베이터의 저소음 운행이 가능하도록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 차단 장치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분리된 회로 배치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신호 차단 장치는 나머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회로 영역과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또한 제어 신호 전달을 위해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전위 분리 신호 전달 소자와 상기 전위 분리 신호 소자를 전압원과 연결하는 전압 공급 회로를 구비하되, 이때, 상기 전압원과 상기 전압 공급 회로 간의 연결은 상위 엘리베이터 제어기에 의해 비활성화될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ELEVATOR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구동 모터와, 엘리베이터 카(elevator car)와 그리고 제동 장치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에 대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구동 모터를 위한 제1 파워 일렉트로닉스(power electronics)와 제1 파워 일렉트로닉스를 위한 제어 신호의 전달을 차단하는 하나 이상의 신호 차단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형식의 제어 장치들은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되었다. 예컨대 DE 10 2004 006 049 A1는 안전 스위칭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문헌의 안전 스위칭 장치에 의해 주파수 변환기로서 형성되는 구동 모터의 제1 파워 일렉트로닉스에 대한 제어 신호의 전달이 차단될 수 있다. 제어 신호에 의해 직류 전압이 변환될 수 있다. 변환이 일어나지 않으면 파워 일렉트로닉스가 모터 토크의 생성에 필요한 회전 자계를 생성할 수 없고, 그럼으로써 구동 모터로부터 더 이상 회전 운동이 야기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안전 스위칭 장치의 오작동 시에 주파수 변환기의 제어에 필요한 제어 신호가 생성되어 주파수 변환기로 전달된다는 점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파워 일렉트로닉스로부터 구동 모터에 제공되는 전류를 감시하는 전류 검출 장치가 추가로 이용된다. 또한 전류 검출 장치는 안전 관련 소프트웨어의 안전 스위칭 장치의 작동을 위해서도 요구된다. 이로 인해 안전 스위칭 장치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시에 높은 비용이 초래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인 형식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개선하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가 안전 관련 소프트웨어를 필요로 하지 않고 엘리베이터는 저소음 운행이 가능하도록 개선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은 처음에 언급한 형식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서, 하나 이상의 신호 차단 장치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분리된 회로 배치 구조(circuit arrangement)로서 형성되되 신호 차단 장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나머지 회로 영역과 분리되고, 또한 신호 차단 장치는 제어 신호 전달을 위해 직렬로 서로 연결되는 2개 이상의 전위 분리 신호 전달 소자와 그리고 신호 전달 소자와 전압원을 연결하는 전압 공급 회로를 구비하며, 이때, 전압원과 전압 공급 회로 간의 연결은 상위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의해 비활성화될 수 있음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서는 구동 모터의 파워 일렉트로닉스에 대한 제어 신호의 전달이 서로 직렬 연결되는 전위 분리 신호 전달 소자를 통해 이루어지며, 신호 전달 소자에는 신호 차단 장치의 전압 공급 회로를 통해 공급 전압이 제공될 수 있다. 공급 전압의 공급을 위해 전압 공급 회로는 전압원과 연결된다. 제어 신호의 전달이 신호 전달 소자를 통해 차단되어야 한다면, 상위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의해 전압원과 신호 차단 장치의 전압 공급 회로 간의 연결이 비활성화될 수 있다. 그로 인해 전위 분리 신호 전달 소자에 대한 공급 전압이 인가되지 않고, 그 결과 신호 전달 소자를 통해서 제어 신호가 더 이상 전달될 수 없게 된다.
원하지 않는 외부 전압이 신호 차단 장치로 주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신호 차단 장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분리된 회로 배치 구조로 형성되고, 신호 차단 장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나머지 회로 영역과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전기적 분리는 전기적 안전 간격을 통해 전압을 가이드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모든 어셈블리에 대해 보장되며 또한 전위 분리 신호 전달 소자의 분리에 의해서도 보장된다. 따라서 상위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해당 신호가 인가될 시에도 전위 분리 신호 전달 소자의 공급 전압은 확실하게 차단되고, 그로 인해 구동 모터의 파워 일렉트로닉스에는 예컨대 엘리베이터 카의 통상적인 정지 시에 확실하게 제어 신호가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서는 구동 모터의 회전 자계를 생성하는 데에 필요한 제어 신호가 특수한 회로 배치 구조 구조를 통해 전달되고, 이러한 회로 배치 구조 구조는 전기적 안전 거리, 예컨대 적절한 에어 갭(air gap) 및 연면 거리의 제공을 통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나머지 회로 영역과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회로 배치 구조 구조의 공급 전압은 상위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공급 전압이 차단되면, 분리된 회로 배치 구조 형태의 신호 차단 장치는 회로 배치 구조 구조의 전체 영역에서 영전위가 된다. 신호 차단 장치가 차단되었을 시에 제어 신호는 더 이상 파워 일렉트로닉스에 대해 전달될 수 없다. 전기적 안전 간격을 통해 분리된 회로 배치 구조는 신뢰할 만하게 의도하지 않은 외부 전압으로부터 분리된다. 또한 전위 분리 신호 전달 소자는 분리된 회로 배치 구조의 전기적 분리에 필요한 전압 간격을 구비한다. 구동 모터의 접지 오류의 경우에도 바람직하지 않게 제어 신호가 신호 차단 장치를 통해 전달되는 위험이 없다.
신호 차단 장치의 공급 전압이 차단됨으로써, 즉 전압원과 전압 공급 회로 간의 연결이 비활성화됨으로써 계획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정지 시마다 구동 모터에 대한 파워 일렉트로닉스의 활성화가 차단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정상 운행 시에 접촉기(contactor)를 통해 구동 모터의 공급 전압을 추가로 차단할 필요가 없다. 이런 방식으로 엘리베이터의 정상 운행 시에 저소음 운행도 보장된다.
전위 분리 신호 전달 소자라 함은 본원에서는 제1 회로로부터 제2 회로로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 전달 소자를 의미하며, 이 때 제2 회로는 제1 회로와 갈바닉 절연된다.
전위 분리 신호 전달 소자는 예컨대 광신호 전달, 유도성 및/또는 용량성 신호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 전위 분리 신호 전달 소자는 옵토 커플러로 형성된다. 옵토 커플러는 구조적으로 단순한 형식으로 갈바닉 절연된 2개 회로 사이에서 신호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옵토 커플러는 광발신기, 예컨대 LED와 광수신기, 예컨대 광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어 신호의 전달은 직렬로 연결되는 2개의 신호 전달 소자, 특히 제1 및 제2 옵토 커플러를 통해 이루어진다. 제1 옵토 커플러의 광수신기의 전압 공급은 제2 옵토 커플러의 광발신기의 전압 공급과 마찬가지로 신호 차단 장치의 전압 공급 회로를 통해 이루어진다. 전압 공급 회로는 광신호 전달에 필요한 공급 전압을 공급한다. 제1 옵토 커플러의 수신기와 여기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2 옵토 커플러의 발신기의 공급 전압이 차단됨으로써 신호 전달이 신뢰할 만하게 저지될 수 있다. 광발신기와 광수신기는 신호 차단 장치의 전기적 분리가 보장되는 그러한 간격과 그러한 배치 구조로 서로 위치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신호 차단 장치는 구동 모터의 파워 일렉트로닉스의 전력 반도체에 대한 스위치 신호를 위한 신호 라인에 배치된다. 파워 일렉트로닉스는 예컨대 주파수 변환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구동 모터의 파워 일렉트로닉스에 대한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제1 제어 소자, 특별히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신호 차단 장치는 제1 제어 소자와 파워 일렉트로닉스의 스위칭 신호 입력부 사이에 위치한다. 신호 차단 장치의 공급 전압을 차단함으로써, 즉 전압원과 신호 차단 장치의 전압 공급 회로 간의 연결을 비활성화함으로써 파워 일렉트로닉스의 작동에 필요한 제어 부재의 스위칭 신호가 파워 일렉트로닉스로 전달되는 것이 저지될 수 있다.
전압원과 전압 공급 회로 간의 연결을 비활성화하기 위하여 제1 제어 가능 스위치가 이용되는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다. 제1 제어 가능 스위치는 예컨대 계전기 형태로, 특히 강제 가이드 접점식 계전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어 가능 스위치는 상위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요청에 의해 전압원과 신호 차단 장치의 전압 공급 회로 간의 연결을 비활성화 할 수 있고, 그럼으로써 신호 차단 장치의 공급 전압이 차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특히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 제1 제어 가능 스위치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제동 장치에 대한 공급 전압도 차단될 수 있다. 제동 장치는 통상적으로 작동 해제를 위해 전압이 공급되어야 하는 브레이크를 구비하고, 전압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 제동 장치는 엘리베이터 카의 운동을 저지해야 한다. 제동 장치에 대한 공급 전압이 차단되면, 브레이크가 작동 해제될 수 없고 엘리베이터 카의 운동이 신뢰할 만하게 저지된다. 제1 제어 가능 스위치에 의해 전압원과 신호 차단 장치의 전압 공급 회로 간의 연결이 비활성화될 수 있고 또한 제동 장치에 대한 공급 전압도 차단되면, 특별히 신뢰할만하게 엘리베이터 카가 정지하게 된다. 왜냐하면 한편으로는 파워 일렉트로닉스가 구동 모터에 회전 자계를 더 이상 제공할 수 없고 그리하여 구동 모터가 더 이상 회전 운동을 야기할 수 없기 때문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브레이크가 엘리베이터 카의 운동을 저지하기 때문이다. 제동 장치의 공급 전압을 차단하기 위해 그리고 전압원과 전압 공급 회로 간의 연결을 비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단지 제1 제어 가능 스위치에 적절한 제어 신호가 공급되기만 하면 된다. 그러한 제어 신호는 상위 엘리베이터 제어기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위에서 이미 언급되었듯이, 제1 제어 가능 스위치는 계전기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제어 가능 스위치는 전자 스위치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한 전자 스위치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며 예컨대 신호를 전환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 또는 MOS 트랜지스터를 지닐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카의 의도하지 않은 운동과 관련하여 특히 높은 안전성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가 구동 모터의 공급 전압을 차단할 수 있는 제2 제어 가능 스위치를 구비함으로써 달성된다. 제2 제어 가능 스위치에 의해 드라이브의 작동에 필요하여 구동 모터의 파워 일렉트로닉스에 대한 제어 신호 외에 추가로 구동 모터의 공급 전압도 차단될 수 있다. 제2 제어 가능 스위치는 일어날 법 하지 않은 경우로서 전압원과 신호 차단 장치의 전압 공급 회로 간의 연결이 비활성화되지 않는 경우에 구동 모터로부터 회전 운동이 공급될 수 없도록 보장한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가 엘리베이터의 제동 장치에 대한 제2 파워 일렉트로닉스를 구비하고 하나 이상의 신호 차단 장치가 제2 파워 일렉트로닉스의 제어 신호를 위한 신호 라인에 배치될 때에 바람직하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제동 장치의 파워 일렉트로닉스에 대한 제어 신호의 전달은 직렬로 서로 연결된 전위 분리 신호 전달 소자를 통해 이루어지며, 전위 분리 신호 전달 소자로는 신호 차단 장치의 전압 공급 회로를 통해 공급 전압이 제공될 수 있다. 전압 공급 회로는 이를 위해 전압원과 연결되고, 전압원과 전압 공급 회로 간의 연결은 상위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의해 비활성화될 수 있다. 파워 일렉트로닉스에 제어 신호가 공급되는 한, 제동 장치의 파워 일렉트로닉스로부터 브레이크 해제에 필요한 전압이 공급된다. 제동 장치의 파워 일렉트로닉스에 대한 제어 신호의 전달이 신호 차단 장치의 공급 전압이 차단됨으로써 중단되면, 브레이크는 해제될 수 없고 엘리베이터 카의 운동이 저지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 신호 차단 장치는 구동 모터의 제1 파워 일렉트로닉스에 대한 제어 신호의 전달을 위해 직렬로 서로 연결되는 제1 쌍의 전위 분리 신호 전달 소자를 하나 이상 지니고, 또한 제동 장치의 제2 파워 일렉트로닉스에 대한 제어 신호의 전달을 위해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2 쌍의 전위 분리 신호 전달 소자를 하나 이상 지닌다. 이때, 신호 전달 소자의 모든 쌍들은 신호 차단 장치의 전압 공급 회로에 연결되고 전압 공급 회로와 신호 차단 장치의 전압원 간의 연결은 상위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의해 비활성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러한 구현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의해 공급 전압이 차단될 수 있는 유일한 신호 차단 장치를 이용하여, 구동 모터의 파워 일렉트로닉스에 대한 제어 신호의 전달뿐만 아니라 제동 장치의 파워 일렉트로닉스에 대한 제어 신호의 전달도 차단될 수 있다. 제어 신호의 차단은 상위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예컨대 앞에서 이미 언급한 제1 제어 가능 스위치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전위 분리 신호 전달 소자에 더하여 하나 이상의 신호 차단 장치의 전압 공급 회로에 추가의 회로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하여 예컨대 하나 이상의 신호 차단 장치의 전압 공급 회로에 상태 생성 소자(state-generating element)가 상태 신호의 생성을 위해 연결될 수 있고, 상태 신호는 전위 분리 신호 전달 소자를 통해 모니터링 장치에 전달될 수 있다. 상태 생성 소자는 회로 형태로, 분리된 회로 배치 구조로서 형성되는 신호 차단 장치의 어셈블리를 형성한다. 신호 생성 소자는 상태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상태 신호는 전압 공급 회로에 인가되는 전압에 일치한다. 제어 신호는 전위 분리 신호 전달 소자, 예컨대 옵토 커플러를 통해 엘리베이터의 모니터링 장치로 전달될 수 있다. 특히 상태 신호가 상위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전달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전압 공급 회로에 인가되는 전압을 검출하고 엘리베이터의 정상 작동 시에 기대되는 정격값과 비교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신호 차단 장치의 전압 공급 회로에 신호 생성 소자가 연결되고, 이 신호 생성 소자는 전위 분리 신호 전달 소자를 통해 구동 모터의 파워 일렉트로닉스의 신호 증폭기를 위한 전압 공급 장치와 연결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그러한 실시예로는 파워 일렉트로닉스가 신호 증폭기를 지니고, 신호 증폭기는 자주 “드라이버”(driver)로도 지칭되며, 파워 일렉트로닉스에 공급되는 제어 신호의 증폭에 이용된다. 신호 증폭기는 전압 공급 장치에 연결되고, 전압 공급 장치는 전위 분리 신호 전달 소자를 통해 신호 차단 장치의 전압 공급 회로에 연결되는 신호 생성 소자와 연결된다. 따라서 신호 생성 소자는 분리된 회로 배치 구조로서 형성되는 신호 차단 장치의 회로를 형성한다. 신호 생성 소자의 전압 공급은 신호 차단 장치의 전압 공급 회로를 통해 이루어지고, 따라서 상위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의해서 차단될 수 있다. 공급 전압이 인가될 시에 신호 증폭기의 전압 공급 장치의 신호 생성 소자는 파워 일렉트로닉스에 신호를 제공하고, 이 신호가 다시금 신호 증폭기의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신호 생성 소자는 예컨대 클럭 발생기(clock generator)로 형성될 수 있다. 클럭 발생기의 클럭 신호는 전위 분리 신호 전달 소자를 통해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스위칭 소자로 공급될 수 있고, 스위칭 소자는 변압기의 1차 코일에 직렬 연결된다. 전기적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상태는 클럭 발생기의 클럭 신호에 의해 결정된다. 전기적 스위칭 소자의 개방과 폐쇄가 교대로 나타남으로써 변압기의 1차 코일을 통해 맥동 전류가 흐를 수 있고, 그렇게 함으로써 변압기의 2차 코일에 파워 일렉트로닉스의 신호 증폭기를 위해 공급 전압으로 이용될 수 있는 2차 전압이 유도될 수 있다. 그리하여 신호 증폭기에는 클럭 발생기가 해당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때에만 공급 전압이 공급된다. 이에 대한 전제 조건은 역시 신호 차단 장치의 전압 공급 회로와 전압원과의 연결이 상위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의해 비활성화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전압원과 전압 공급 회로 간의 연결이 비활성화됨으로써 구동 모터의 파워 일렉트로닉스로의 제어 신호 전달이 중단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동시에 파워 일렉트로닉스의 신호 증폭기에 의한 제어 신호의 입력측 증폭도 저지될 수 있다.
신호 차단 장치의 전압 공급 회로와 전압원 간의 연결을 형성하는 것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상세하게 보고되지 않았다. 예컨대 전압 공급 회로는 변압기를 통해 전압원과 연결될 수 있다. 변압기의 1차 측은 전압원과 연결되고 변압기의 2차 측은 전압 공급 회로에 연결된다. 변압기는 전압원과 전압 공급 회로의 유도성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전압원은 교류 전압을 공급한다. 변압기의 2차 측에서는 신호 차단 장치가 정류 회로를 지니며, 정류 회로에 의해 2차 측에 유도되는 교류 전압이 정류될 수 있고, 그럼으로써 전위 분리 신호 전달 소자와 또한 경우에 따라 전압 공급 회로에 연결되는 추가의 회로에 정류된 공급 전압이 공급될 수 있다.
의도적으로 전위 분리 신호 전달 소자를 우회하는 경우에 신호 차단 장치를 통한 신호 전달이 신뢰할만하게 방지되기 위해서는, 입력측 및 출력측에서 하나 이상의 신호 차단 장치에 인가되는 제어 신호의 신호 레벨이 직렬로 서로 연결되는 2개의 신호 전달 소자들 사이의 신호 차단 장치 내 신호 레벨과 구분될 때에 바람직하다. 입력측에서 신호 차단 장치에 인가되는 제어 신호의 신호 레벨은 예컨대 직렬로 서로 연결되는 2개의 신호 전달 소자 사이의 신호 레벨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직렬로 서로 연결되는 2개의 신호 전달 소자 사이의 신호 레벨은 출력측에서 신호 차단 장치에 인가되는 제어 신호의 신호 레벨보다 더 작게 선택될 수 있다. 전위 분리 신호 전달 소자가 의도적으로 우회된다면, 이는 신호 레벨 이내의 신호와 신호 레벨 외부의 신호 사이에서 단락을 초래한다. 이러한 단락은 다양한 신호 레벨 때문에 신호 차단 장치가 더 이상 기능을 할 수 없게, 즉 신호 전달이 더 이상 가능하지 않게 한다.
전압 공급 회로에 인가되는 공급 전압이 확실하게 분리된 저전압일 때 바람직하다. 그러한 저전압은 또한 “안전 초저전압”으로, 영어 용례로는 “safety extra low voltage”(SELV)로도 칭해진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과 관련지어 다음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 선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 선도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된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는 제1 제어 소자(12), 예컨대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구동 모터(16)의 제1 파워 일렉트로닉스(14)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구비한다. 제1 제어 소자(12)는 총 6개의 제어 출력부를 지니며, 이 출력부 가운데 제1 제어 출력부(18)와 제6 제어 출력부(20)만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다. 그러나 추가의 제어 출력부들도 제어 출력부들(18 및 20)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적절한 방식으로 구동 모터(16)의 파워 일렉트로닉스(14)와 연결된다. 제1 제어 출력부(18)는 제1 신호 라인(22)을 통해 파워 일렉트로닉스(14)의 제1 제어 입력부(24)와 연결된다. 적절한 방식으로 제6 제어 출력부(20)는 제6 신호 라인(26)을 통해 파워 일렉트로닉스(14)의 제6 제어 입력부(28)와 연결된다. 제1 제어 소자(12)와 파워 일렉트로닉스(14)를 연결하는 총 6개의 신호 라인들에는 신호 차단 장치(30)가 연결되며, 이 신호 차단 장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의 분리된 회로 배치 구조로서 형성되고,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의 나머지 회로 영역으로부터 전기적 안전 간격(32)을 통해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제1 신호 라인(22)에 배치되는 신호 차단 장치(30)는 제1 옵토 커플러(34) 형태의 전위 분리 신호 전달 소자와 이 전위 분리 신호 전달 소자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2 옵토 커플러(36) 형태의 제2 전위 분리 신호 전달 소자를 지닌다. 제1 제어 소자(12)로부터 제1 신호 라인(22)을 통해 제1 파워 일렉트로닉스(14)로 전달되는 제어 신호들은 따라서 제1 옵토 커플러(34)와 제2 옵토 커플러(36)를 통해 흐른다.
제1 제어 소자(12)를 제1 파워 일렉트로닉스(14)와 연결하는 추가의 신호 라인들에도 적합한 방식으로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2개의 전위 분리 신호 전달 소자가 각각 장착된다. 더 나은 이해를 위해 제1 옵토 커플러(34)와 제2 옵토 커플러(36)를 보충하여 단지 제6 신호 라인(26)에 장착된 제3 옵토 커플러(38)와 제3 옵토 커플러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4 옵토 커플러(40) 형태의 전위 분리 신호 전달 소자만 도시된다.
그 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는 제2 제어 소자(42)를 지니며, 이 제2 제어 소자도 역시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제7 신호 라인(44)을 통해 엘리베이터의 제동 장치(48)의 제2 파워 일렉트로닉스(46)와 연결된다. 제2 파워 일렉트로닉스(46) 외에 제동 장치(48)는 브레이크(50)를 지니고, 이 브레이크는 엘리베이터 카의 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2 파워 일렉트로닉스(46)에 의해 해제될 수 있다. 제7 신호 라인(44)에는 신호 차단 장치(30)의 직렬로 서로 연결되는 2개의 전위 분리 신호 전달 소자가 제5 옵토 커플러(52)와 제6 옵토 커플러(54)의 형태로 연결된다.
분리된 회로 배치 구조로서 형성되는 신호 차단 장치(30)의 모든 옵토 커플러들은 공급 전압을 제공하기 위하여 신호 차단 장치(30)의 전압 공급 회로(56)에 연결된다. 전압 공급 회로(56)를 통해 신호 차단 장치(30)의 모든 옵토 커플러들에 공급 전압이 공급될 수 있고, 그럼으로써 옵토 커플러들을 통해 제어 신호들이 전달될 수 있다.
전압 공급 회로(56)는 제2 강제 가이드 접점식 안전 계전기(60) 형태의 제1 제어 가능 스위치의 제1 스위칭 접점(58)을 통해 신호 차단 장치(30)의 전압원(6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2개의 제1 스위칭 접점들(58) 가운데 일측 스위칭 접점은 여기서 신호 차단 장치(30)의 분리된 회로 배치 구조 영역에 배치되고, 타측 스위칭 접점은 전기적 안전 간격을 보장하면서 신호 차단 장치(30)의 분리된 회로 배치 구조 외부에 위치 결정된다. 제1 스위칭 접점(58)을 통해 전압원(62)으로부터 직류 전압이 전압 공급 회로(56)에 전달될 수 있다.
제1 스위칭 접점(58)의 작동을 위해 계전기(60)는 작동 코일(64)을 지니고, 이 작동 코일은 상위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6)로부터 제어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 작동 코일(64)는 이 경우에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6)의 안전 체인(68)에 연결된다. 작동 코일(64)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6)로부터 전류를 공급받는 한, 제1 스위칭 접점(58)은 폐쇄된다. 즉 전압 공급 회로(56)와 전압원(62) 간의 연결이 활성화되고 옵토 커플러들은 공급 전압을 공급받으며, 그럼으로써 옵토 커플러들을 통해 제어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작동 코일(64)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6)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지 않으면, 제1 스위칭 접점(58)이 개방되고 전압 공급 회로(56)와 전압원(62) 간의 연결이 비활성화된다. 그러면 옵토 커플러들에 공급 전압이 제공되지 않고, 옵토 커플러들을 통한 신호 전달이 가능하지 않다.
제1 스위칭 접점(58)에 더하여 계전기는 제2 스위칭 접점(70)을 지니며, 이 제2 스위칭 접점은 제동 장치(48)에 공급 전압을 공급할 수 있는 제동 공급 라인(72)에 연결된다. 전압 공급 회로(56)와 전압원(62) 사이의 연결이 비활성화되는 경우에 동시에 제동 장치(48)를 위한 공급 전압도 차단된다.
구동 모터(16)에 대한 에너지 공급은 멀티 컨덕터 모터 라인(74)을 통해 이루어지며, 멀티 컨덕터 모터 라인에는 접촉기(76)가 연결되고, 접촉기에 의해 구동 모터(16)의 공급 전압이 차단될 수 있다. 접촉기(76)는 더 나은 이해를 위해 도면에 미도시된 신호 라인을 통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와 연결된다.
신호 차단 장치(30)는 앞서 언급한 옵토 커플러들 외에 상태 생성 부재(78)를 지니며, 상태 생성 부재는 전압 공급 회로(56)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상태 신호를 생성하고, 이 상태 신호는 추가의 옵토 커플러(80)를 통해 모니터링 장치, 예컨대 엘리베이터 제어기(66)로 전달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압 공급 회로(56)의 전압 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의 정상 작동 시에 기대되는 전압 상태와 비교할 수 있다.
전압원(62)과 전압 공급 회로(56) 간의 연결이 활성화 되어 있을 시에 전압 공급 회로(56)에 인가되는 공급 전압은 확실하게 분리된 저전압(안전 초저전압, SELV)으로 형성되고, 이 저전압은 제1 제어 소자(12)로부터 공급되는 입력측 제어 신호의 신호 레벨뿐만 아니라 제1 파워 일렉트로닉스(14)로부터 공급되는, 신호 차단 장치(30)의 출력측 제어 신호와도 구분된다.
더 나은 이해를 위해 도면에 미도시된 엘리베이터 카의 운동을 위해 제1 제어 소자(12)로부터 제어 신호들이 공급되고, 이 제어 신호들은 총 6개의 신호 라인들을 통해 제1 파워 일렉트로닉스(14)의 전력 반도체에 전달된다. 전력 반도체들 가운데 2개가 본 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되며, 도면 부호 82로 표시된다. 신호의 전달은 신호 차단 장치(30)의 옵토 커플러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신호 차단 장치(30)의 옵토 커플러들은 전압 공급 회로(56)로부터 공급 전압을 공급받는다. 전압 공급 회로(56)와 전압원(62) 사이에 필요한 연결을 위해 제1 스위칭 접점(58)이 폐쇄된다. 제1 파워 일렉트로닉스(14)는 공지된 주파수 변환기 형태로 형성되고, 주파수 변환기는 자신에게 공급되는 제어 신호를 바탕으로 구동 모터(16)에 교호적 펄스 패턴의 형태로 공급 전압을 공급한다. 이러한 교호적 펄스 패턴을 통해 구동 모터(16)는 엘리베이터 카를 운동시키기 위해 회전 운동을 야기할 수 있다. 공급 전압은 제1 파워 일렉트로닉스(14)에 모터 라인(74)를 통해 공급된다. 이를 위해 접촉기(76)가 자신의 폐쇄 지점을 점유한다.
엘리베이터 카가 운동할 수 있기 위해서 제동 장치(48)에는 제동 공급 라인(72)을 통해 공급 전압이 공급되고 제2 제어 소자(42)는 제동 장치(48)의 파워 일렉트로닉스(46)에 신호 차단 장치(30)를 통해 제어 신호를 공급하며, 그럼으로써 브레이크(50)가 작동 해제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카를 정지하기 위해서는 제1 제어 소자(12)가 구동 모터(16)의 파워 일렉트로닉스(14)로 제어 신호의 전달을 차단하고, 제2 제어 소자(42)는 제동 장치(48)의 파워 일렉트로닉스(46)로의 제어 신호 전달을 차단한다. 그 결과 파워 일렉트로닉스(14)가 구동 모터(16)에 교호적 펄스 패턴 형태의 공급 전압을 공급할 수 없게 되고 그리하여 회전 운동의 생성이 저지된다. 또한 제2 파워 일렉트로닉스(46)에 더 이상 제어 신호가 제공되지 않으므로 브레이크(50)가 작동된다.
또한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제1 제어 소자(12)로부터 제1 파워 일렉트로닉스(14)로의 제어 신호의 전달은 신호 차단 장치(30)를 이용하여 차단된다. 이를 위해 계전기(60)의 제1 스위칭 접점(58)이 제2 스위칭 접점(70)과 마찬가지로 개방된다. 그 결과 신호 차단 장치(30)의 전압 공급 회로(56)와 전압원(62)과의 연결이 비활성화되고, 신호 차단 장치(30)의 옵토 커플러들의 공급 전압이 차단된다. 그럼으로써 옵토 커플러들을 통해 더 이상 제어 신호가 전달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제1 파워 일렉트로닉스(14)에 제어 신호가 전달될 수 없다.
동시에 제2 스위칭 접점(70)도 개방되므로, 제동 장치(48)의 공급 전압도 차단되고, 그럼으로써 브레이크(50)가 신뢰할 만하게 작동된다. 신호 차단 장치(30)의 옵토 커플러들을 통한 제2 제어 소자(42)의 제어 신호의 전달은 신호 차단 장치(30)의 공급 전압이 차단되므로 저지된다.
접촉기(76)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의 정지 시에 모터 라인(74)을 통해서 공급되는 구동 모터(16)의 공급 전압도 차단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차단은 엘리베이터의 정상 운행을 위해서는 바람직하지 않으며, 접촉기(76)의 개폐에 현저히 큰 소음이 야기되기 때문이다. 오히려 예컨대 도면에 미도시된 모니터링 장치가 엘리베이터 카의 운동에 대해 바람직하지 않은 운동을 상위 엘리베이터 제어기(66)에 알리는 경우에 한해 접촉기(76)가 개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엘리베이터의 정상 운행 시에 접촉기(76)는 바람직하게는 항상 제1 파워 일렉트로닉스(14)의 에너지 공급을 보장해야 한다.
접촉기(76)의 기능 제어를 위해 접촉기(76)는 엘리베이터 제어기(66)를 통해 예컨대 1일 1회 자신의 기능이 점검되게 할 수 있다.
도 2에는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90으로 표시되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된다. 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대체로 앞서 도 1과 관련하여 설명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도 2에서 도 1과 같은 부재 번호가 사용되고, 이러한 부재와 관련하여서는 반복을 피하기 위해 앞서 언급한 설명이 참조된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90)에서는 전압 공급 회로(56)가 변압기(92)를 통해 전압원(94)와 연결된다. 변압기(92)의 1차 측(96)은 연결 라인(98, 100)을 통해 전압원(94)과 연결되고, 변압기(92)의 2차 측(102)은 정류기(104)를 통해 전압 공급 회로(56)와 연결된다. 변압기(92)의 2차 측(102)은 따라서 정류기(104)와 마찬가지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90)의 분리된 회로 배치 구조로서 형성되는 신호 차단 장치(91)의 구조 부재를 형성한다. 신호 차단 장치(91)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90)의 나머지 회로 영역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변압기(92)를 통해 전압원(94)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압이 전달될 수 있고, 이 교류 전압은 공급 전압으로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90)의 신호 차단 장치(91)를 위해 이용된다.
연결 라인(98 및 100)에는 계전기(60)의 제1 스위칭 접점(106 혹은 108)이 연결되고, 그럼으로써 계전기(60)에 의해 적절한 방식으로, 앞서 도 1과 관련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전압원(94)과 신호 차단 장치(91)간의 연결이 비활성화 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90)은 신호 차단 장치(91)가 클럭 발생기(110)형태의 신호 생성 소자를 지닌다는 점에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와 구분된다. 이 클럭 발생기는 신호 차단 장치(91)의 전압 공급 회로(56)로부터 공급 전압을 공급받고 클럭 신호를 공급하며, 이 클럭 신호는 추가의 옵토 커플러(112)를 통해 공지된 그리하여 도면에 미도시되는 제1 파워 일렉트로닉스(14)의 신호 증폭기의 전압 공급 장치(114)에 전달될 수 있다. 신호 증폭기에 의해 제1 제어 소자(12)로부터 공급되는 제어 신호가 제1 파워 일렉트로닉스(14)의 입력부에서 증폭된다. 그러한 신호 증폭기는 “드라이버”로도 지칭된다. 전압 공급 장치(114)가 클럭 발생기(110)으로부터 클럭 신호를 공급받는 한, 신호 증폭기의 전압 공급은 전압 공급 장치(114)에 의해 이루어진다. 전압 공급 장치(114)는 예컨대 1차 코일과 하나 이상의 2차 코일을 포함하는 변압기를 지닌다. 1차 코일과 직렬로 스위칭 트랜지스터가 연결될 수 있고, 스위칭 트랜지스터는 클럭 발생기(110)의 클럭 신호에 의해 교대로 개방 및 폐쇄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1차 코일을 통해 맥동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이러한 맥동 전류는 변압기의 2차 코일 내에 2차 전압을 유도하고, 이 2차 전압은 제1 파워 일렉트로닉스(14)의 신호 증폭기를 위한 공급 전압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90)에서는 엘리베이터 카의 운동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제2 제어 소자(42)와 마찬가지로 제1 제어 소자(12)로부터 제어 신호가 공급되고, 이 제어 신호는 신호 차단 장치(91)를 통해 구동 모터(16)의 파워 일렉트로닉스(14) 혹은 제동 장치(48)의 파워 일렉트로닉스(46)에 전달된다. 신호 차단 장치(91)의 공급 전압이 활성화된다. 이를 위해 계전기(60)에 의해 제1 스위칭 접점(106 및 108)이 제2 스위칭 접점(70)과 마찬가지로 폐쇄된다. 따라서 제1 스위칭 접점을 통해 교류 전압이 변압기(92)의 1차 측에 전달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변압기(92)의 2차 측(102)에 교류 전압이 유도되고, 이 교류 전압은 정류가 이루어진 후에 신호 차단 장치(91)를 위한 공급 전압으로서 이용된다. 동시에 제2 스위칭 접점(70)이 폐쇄되고, 그럼으로써 제동 장치(48)에는 제동 공급 라인(72)을 통해 공급 전압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모터 라인(74)에 연결되는 접촉기(76)도 폐쇄되고, 그럼으로써 구동 모터(16)에 공급 전압이 제공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카를 정지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 제동 장치(90)에서도 제어 신호의 생성이 제2 제어 소자(42)와 마찬가지로 제1 제어 소자(12)에 의해서도 저지된다. 제어 신호의 의도하지 않은 전달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스위칭 접점(106, 108)과 제2 스위칭 접점(70)이 개방되면서 추가적으로 전압 공급 회로(56)와 전압원(94)의 연결이 비활성화된다. 따라서 제동 장치(48)에는 다소 오래 공급 전압이 공급되지 않고, 그럼으로써 브레이크(50)가 작동되고, 그것을 넘어서 신호 차단 장치(91)의 공급 전압 부족으로 인해 제1 제어 소자(12)로부터 제1 파워 일렉트로닉스(14)로의 제어 신호 전달과 제2 제어 소자(42)로부터 제2 파워 일렉트로닉스(46)로의 제어 신호 전달이 저지될 뿐만 아니라, 공급 전압의 부족으로 인해 클럭 발생기(110)가 클럭 신호를 더 이상 공급하지 않고, 그럼으로써 전압 공급 장치(114)는 제1 파워 일렉트로닉스(14)의 입력측 신호 증폭기에 더 이상 공급 전압을 제공할 수 없고, 그럼으로써 이러한 이유로 제1 파워 일렉트로닉스(14)가 구동 모터(16)에 대해 교호적인 펄스 패턴을 지닌 공급 전압을 야기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처리할 수 없다.
또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90)에서는 접촉기(76)에 의해 구동 모터(60)의 공급 전압이 차단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차단은 소음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피된다. 그러한 차단은 엘리베이터 카의 운동을 감시하는, 도면에 미도시된 모니터링 장치가 원하지 않는 운동을 엘리베이터 제어기(66)에 알리는 경우에 한해 이루어진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90)에서도 엘리베이터의 정상 운행 동안 1일 1회 접촉기(76)의 기능이 점검되게 한다.
안전 관련 소프트웨어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의 운행을 위해서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90)의 운행을 위해서도 생략할 수 있다. 분리된 회로 배치 구조로 형성되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6)에 의해 공급 전압이 차단될 수 있는 신호 차단 장치(30 혹은 91)는 엘리베이터 카의 정지 시마다 구동 모터의 파워 일렉트로닉스 및 제동 장치(48)의 파워 일렉트로닉스로 제어 신호가 바람직하지 않게 전달되는 것을 신뢰할만하게 저지하도록 보장한다.

Claims (15)

  1. 구동 모터, 엘리베이터 카 및 제동 장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를 위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있어서,
    구동 모터를 위한 제1 파워 일렉트로닉스 및 상기 제1 파워 일렉트로닉스에 대한 제어 신호의 전달을 차단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신호 차단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신호 차단 장치(30, 91)는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 90)와 분리된 회로 배치 구조로서 형성되고, 상기 신호 차단 장치의 상기 분리된 회로 배치 구조는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다른 회로 영역들과 전기적으로 분리되며, 제어 신호의 전달을 위해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적어도 2개의 전위 분리 신호 전달 소자(34, 36, 38, 40, 52, 54)와 전압 공급 회로(56)를 구비하고, 상기 전압 공급 회로를 통해 상기 신호 전달 소자가 전압원(62, 94)과 연결되되, 이때 상기 전압원(62, 94)과 상기 전압 공급 회로(56) 간의 연결은 상위 엘리베이터 제어기(66)에 의해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위 분리 신호 전달 소자는 옵토 커플러(34, 36, 38, 40, 52, 54)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신호 차단 장치(30, 91)는 상기 제1 파워 일렉트로닉스(14)의 전력 반도체(82)에 대한 스위칭 신호의 제공을 위해 신호 라인(22, 26)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원(62, 94)과 상기 전압 공급 회로(56) 간의 연결이 제1 제어 가능 스위치(60)에 의해 비활성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가능 스위치(60)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상기 제동 장치(48)를 위한 공급 전압도 차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가능 스위치는 강제 가이드 접점식 안전 계전기(60)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가능 스위치는 전자기 스위치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 90)는 제2 제어 가능 스위치(76)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제어 가능 스위치에 의해 상기 구동 모터(16)의 공급 전압이 차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 90)는 엘리베이터의 상기 제동 장치(48)를 위해 제2 파워 일렉트로닉스(46)를 더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신호 차단 장치(30, 91)는 상기 제2 파워 일렉트로닉스(46)에 대한 제어 신호의 공급을 위해 신호 라인(44)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신호 차단 장치(30, 91)는 상기 제1 파워 일렉트로닉스(14)에 대한 제어 신호 전달을 위해서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1 쌍의 제1 쌍 전위 분리 신호 전달 소자(34, 36, 38, 40)를 하나 이상 구비하고, 상기 제2 파워 일렉트로닉스(46)에 대한 제어 신호의 전달을 위해서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2쌍 전위 분리 신호 소자(52, 54)를 하나 이상 구비하며, 모든 쌍의 신호 전달 소자들은 상기 신호 차단 장치(30, 91)의 상기 전압 공급 회로(56)에 연결되고 상기 전압 공급 회로(56)와 상기 전압원(62, 94) 간의 연결은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기(66)에 의해 비활성화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공급 회로(56)에는 상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태 생성 소자(78)가 연결되고, 상기 상태 신호는 전위 분리 신호 전달 소자(80)를 통해 모니터링 장치에 전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공급 회로(56)에는 신호 생성 소자(110)가 연결되고, 상기 신호 생성 소자는 전위 분리 신호 전달 소자(112)를 통해 상기 제1 파워 일렉트로닉스(14)의 신호 증폭기에 대한 전압 공급 장치(114)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공급 회로(56)는 변압기(92)를 통해 상기 전압원(94)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신호 차단 장치(30, 91)의 입력측 및 출력측에 인가되는 제어 신호의 신호 레벨이 직렬로 서로 연결되는 2개의 신호 전달 소자들(34, 36. 38, 40. 52, 54) 사이에 배치된 상기 신호 차단 장치(30, 91) 내의 신호 레벨과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공급 회로(56)에 인가되는 공급 전압은 안전 초저전압(safety extra low voltage, SEL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KR1020110105331A 2011-10-14 2011-10-14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KR101304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331A KR101304481B1 (ko) 2011-10-14 2011-10-14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331A KR101304481B1 (ko) 2011-10-14 2011-10-14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0510A KR20130040510A (ko) 2013-04-24
KR101304481B1 true KR101304481B1 (ko) 2013-09-05

Family

ID=48440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5331A KR101304481B1 (ko) 2011-10-14 2011-10-14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448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6800A (ko) * 1994-03-24 1995-10-16 이희종 엘리베이터의 파워트랜지스터 보호회로
JPH11165963A (ja) * 1997-09-22 1999-06-22 Inventio Ag 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のための監視装置
WO2005073121A2 (de) 2004-01-30 2005-08-11 Danfoss Drives A/S Verfahren und anordnung zum stillsetzen von aufzügen
KR20110022055A (ko) * 2008-06-17 2011-03-04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저 전력 제어 디바이스들을 이용하는 브레이크의 안전 제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6800A (ko) * 1994-03-24 1995-10-16 이희종 엘리베이터의 파워트랜지스터 보호회로
JPH11165963A (ja) * 1997-09-22 1999-06-22 Inventio Ag 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のための監視装置
WO2005073121A2 (de) 2004-01-30 2005-08-11 Danfoss Drives A/S Verfahren und anordnung zum stillsetzen von aufzügen
KR20110022055A (ko) * 2008-06-17 2011-03-04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저 전력 제어 디바이스들을 이용하는 브레이크의 안전 제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0510A (ko) 2013-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46512B2 (ja) ブレーキコントローラおよ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US11542118B2 (en) Brake control apparatus and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vator brake
CN109516327B (zh) 运输输送机驱动
JP5124206B2 (ja) エレベーターのブレーキ装置
CN107250018B (zh) 用于电梯设备的安全电路
US10146189B2 (en) Safety chain circuit
US9906163B2 (en) Device and method for safe control of a semiconductor switch of an inverter
JP6072929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CN104540762A (zh) 安全电路和电梯系统
US10484052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electrical power and/or signals between a wall and a leaf pivotable relative thereto
CN102344059B (zh) 电梯控制装置
CN113677611B (zh) 用于中断电梯设备的由供电装置供电的驱动机的扭矩生成的安全扭矩切断装置
KR101304481B1 (ko)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US9093945B2 (en) Fail-safe interface
US20190036526A1 (en) Electronic circuit comprising a switching means
KR20120079205A (ko) 열차운행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