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4300B1 - 비닐튜브용 케미칼 앙카 - Google Patents

비닐튜브용 케미칼 앙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4300B1
KR101304300B1 KR1020130026605A KR20130026605A KR101304300B1 KR 101304300 B1 KR101304300 B1 KR 101304300B1 KR 1020130026605 A KR1020130026605 A KR 1020130026605A KR 20130026605 A KR20130026605 A KR 20130026605A KR 101304300 B1 KR101304300 B1 KR 101304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body
raw material
vinyl
main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6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은태
Original Assignee
우진기술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진기술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진기술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6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43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4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4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0553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with means allowing the stock of material to consist of at least two different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0583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the container for the material to be dispensed being deform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의 앞 부분만을 채택하면서 주제와 경화제를 비닐패키지 형태로 구성하여 제품의 생산비용을 절감하고 원료의 용량변화를 탄력적으로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원료 간에 균일한 혼합비로 정량토출함을 제공하도록, 내부에 일정량의 주제와 경화제를 구분수용하여 각각 밀봉된 상태를 유지하고 한쪽 선단이 전방을 향해 길게 연장하여 주제 및 경화제를 각각 토출가능하도록 토출부가 구비되는 원료비닐패키지와; 상기 원료비닐패키지의 전방을 부분적으로 수용하되 주제와 경화제를 토출하는 토출부가 각각 구분된 수용공간에 위치할 수 있게 구획하는 경계벽을 구비하고 전방에 토출구가 형성되는 용기헤드부;를 포함하는 비닐튜브용 케미칼 앙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비닐튜브용 케미칼 앙카 {Chemical Anchor for Vinyl Tube}
본 발명은 비닐튜브용 케미칼 앙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의 앞 부분만을 채택하면서 주제와 경화제를 비닐패키지 형태로 구성하여 제품의 생산비용을 절감하고 원료의 용량변화를 탄력적으로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원료 간에 균일한 혼합비로 정량토출하는 것이 가능한 비닐튜브용 케미칼 앙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나 석재 등의 구조물을 보강하는 작업에는 돌이나 콘크리트 또는 암반 등의 모재에 구멍을 천공하고, 천공된 구멍에 화학물질인 수지계 접착제를 충진시킨 다음 앵커볼트를 삽입하여 접착 응고시킴에 따라 앵커볼트를 고착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케미칼 앙카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케미칼 앙카의 적용물질인 수지계 접착제로는 중합체 콘크리트 조성물을 재료로 사용하고 있다. 즉 케미칼 앙카에 사용되는 조성물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우레탄수지, 페놀수지 등에 탄산칼슘, 모래, 실리카질의 충진제가 서로 혼재된 상태를 이루는 주제와, 주제를 신속하게 경화시킬 수 있는 벤조일퍼옥사이드(BPO, benzyl peroxide) 등의 경화제를 사용한다.
이때 케미칼 앙카로부터 앵커볼트를 고정하거나 건축크랙의 보수작업 및 보강작업 등에 사용함에는 기본적으로 강력한 접착력과 강도를 부여함이 요구되며, 이는 케미칼 앙카를 통해 원료조성물인 주제와 경화제를 적합한 혼합비율로 토출시킬 수 있는 기술적 제반사항이 요구된다.
종래의 케미칼 앙카는 주제가 수용된 주제용기와 경화제가 수용된 경화제용기를 구비하되 각각 구분된 수용공간을 이루도록 결합한 구조로 구성하여 주제와 경화제를 각각 전방을 향해 토출시킬 수 있는 토출구를 구비하고, 토출구가 구비된 앞쪽에는 각각의 용기로부터 토출되는 주제와 경화제가 고르게 혼합된 후 돌이나 콘크리트 등 모재의 천공된 구멍을 향해 주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이송스크류가 마련된 압출봉이 선택적으로 결합된 구조로 구성되며, 용기의 뒤쪽에는 마개가 구비되어 내부를 따라 전진하면서 원료를 가압함에 따라 외부로 원료를 토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케미칼 앙카는 주제를 수용하는 용기와 경화제를 수용하는 용기를 각각 구비토록 제조한 후 서로 결합하는 구조를 이루므로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용기를 제조하는 시간이나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또한 서로 나눠진 상태의 용기에 수용된 원료를 토출시키기 위해서는 용기마다 각각 마개를 구성해야만 하여 불편하고 2개의 푸셔를 구비한 전용 인젝션 디스펜서만이 사용가능할 뿐 1개의 푸셔를 구비한 일반적인 실리콘 건으로부터 병행하여 사용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특허청의 등록특허공보 제573429호(2006.04.17.)에는 내부에 주제 조성물이 저장되고, 전방에는 토출구가 형성되며, 후면에는 마개가 결합되어 밀폐되되, 이 마개는 내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어 마개를 밀면 마개가 전진하면서 주제 조성물을 가압하여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주제 용기; 내부에는 경화제 조성물이 저장되고, 상기 주제 용기의 내부에 설치되되, 신축 가능한 형상을 갖도록 하여 상기 주제 용기의 마개가 전진하면 그 힘에 의해 함께 수축되면서 경화제 조성물을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경화제 용기; 상기 경화제 용기의 외경과 주제 용기의 내경 사이에 개재되어 경화제 용기가 처지지 않도록 잡아주는 스페이서; 및 상기 주제 용기의 토출구에 결합되어 내부에 마련된 이송스크류부를 통해 토출되는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시켜 안내하는 압출봉을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일반적인 실리콘 건을 통한 작업이 가능하고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성이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식 케미컬 앵커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케미컬 앵커는 주제 용기 내에 경화제 용기와 함께 경화제 용기를 잡아주기 위한 다수의 스페이서로 구성됨에 따라 주제 용기의 한정된 공간에 경화제 용기와 다수의 스페이서를 설치하는 과정이 어려워 제조가 복잡하고 제조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 케미컬 앵커는 경화제를 수용한 경화제 용기가 주제 용기 내에서 주제와 함께 자바라 형상의 구조를 이루어 수축가능하게 구성됨에 따라 자바라 구조의 경화제 용기가 작업 중 쉽게 뒤틀리거나 내부 압력에 의해 터지는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크며, 만약 경화제 용기가 주제 용기 내에서 터짐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주제 용기 내에서 주제와 경화제가 자체적으로 혼합되어 사용 전에 용기 내에서 이미 경화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주제에 경화제가 무방비로 혼합되어 불균일한 혼합비율로 토출되면 시공성이 크게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31190호(2012.03.21.)에는 내부에 케미컬원료를 수용가능하게 후방이 개방되고 전방에 토출구멍이 형성되는 용기부와; 서로 다른 케미컬원료가 내외 이중으로 구분되어 각각 밀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용기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원료튜브체와; 상기 용기부의 내부에 끼움 결합하여 전방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원료튜브체를 향해 절개날이 돌출되어 접촉시 상기 원료튜브체를 뚫어 절개하도록 형성되는 파봉수단과; 상기 파봉수단에 끼움 결합하여 상기 원료튜브체를 향해 대응되도록 고정설치되고 탄성체로 형성되는 완충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통상의 인젝션 디스펜서를 호환한 작업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케미컬 앵커 인젝션 카트리지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기존에 사용중인 용기와는 별도로 파봉수단의 제조가 필요하여 전반적인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작업에 의한 스프링의 유동으로부터 원료튜브체가 파봉수단의 절개날에 접하여 터질 우려가 크기 때문에 작업이 곤란하며, 원료가 토출되는 위치에 파봉수단이 위치하여 용기 내에 원료가 잔류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등록특허공보 제573429호 및 등록특허공보 제1131190호는 양자 모두 주제와 경화제를 전체적으로 수용가능한 길이로 용기의 몸체를 사출성형함은 물론 주제나 경화제를 밀어낼 수 있는 마개 등의 구성이 필요하여 제품의 생산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 기존에는 주제와 경화제의 용량을 늘리기 위해서 고가인 사출금형비를 지출하여 새로운 용량의 카트리지를 제작해야만 하여 과다한 생산비용이 소요되고 원료의 용량변경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제와 경화제를 일체화한 비닐패키지와 비닐패키지의 앞 부분만을 수용하는 용기로 구성하여 간단한 구조를 이루고 용기성형의 비용을 대폭 절감하며 원료의 용량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비닐튜브용 케미칼 앙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주제와 경화제가 각각 수용된 비닐을 전체적으로 수축하여 일체화하므로 실리콘 건에 장착이 용이하고 실리콘 건에 의해 밀착하여 원료를 토출한 후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며 주제와 경화제 간에 정량토출을 도모할 수 있는 비닐튜브용 케미칼 앙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비닐튜브용 케미칼 앙카는 내부에 일정량의 주제와 경화제를 구분수용하여 각각 밀봉된 상태를 유지하고 한쪽 선단이 전방을 향해 길게 연장하여 주제 및 경화제를 각각 토출가능하도록 토출부가 구비되는 원료비닐패키지와; 상기 원료비닐패키지의 전방을 부분적으로 수용하되 주제와 경화제를 토출하는 토출부가 각각 구분된 수용공간에 위치할 수 있게 구획하는 경계벽을 구비하고 전방에 토출구가 형성되는 용기헤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원료비닐패키지는 원료 중 주제를 수용하여 밀봉되는 제1튜브체와, 상기 제1튜브체의 상측에 접하여 부착되고 원료 중 경화제를 수용하여 밀봉되는 제2튜브체와, 상기 제1튜브체와 상기 제2튜브체의 외면을 감싸도록 씌워지고 열에 의해 수축하여 상기 제1튜브체와 상기 제2튜브체를 일체화하도록 밀착하는 제3튜브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튜브체 및 상기 제2튜브체는 각각 알루미늄에 비닐성분이 혼합된 알루미나비닐 재질로 구성한다.
상기 원료비닐패키지의 제1튜브체 및 제2튜브체는 각각 상기 토출부의 폭이 상기 용기헤드부의 토출구에 대응하도록 주제나 경화제가 수용된 공간의 폭보다 상기 토출부의 폭을 좁게 형성한다.
상기 제1튜브체 및 상기 제2튜브체는 각각 주제 및 경화제가 수용된 공간에서 상기 토출부를 향해 좁아지는 구간에 완만한 곡면을 이루도록 굴곡된 만곡부를 형성한다.
상기 만곡부는 상기 제1튜브체 및 상기 제2튜브체에 상호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한다.
상기 제3튜브체는 상기 제1튜브체와 상기 제2튜브체의 외면을 감싸는 동시에 상기 용기헤드부를 향해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용기헤드부의 길이 중 1/2~2/3의 영역을 상기 제1튜브체 및 상기 제2튜브체와 함께 감싸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용기헤드부의 경계벽은 상기 토출구를 기준으로 상기 원료비닐패키지 중 주제가 수용되는 공간을 경화제가 수용되는 공간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토록 구획한다.
상기 용기헤드부의 경계벽은 상기 용기헤드부의 내측에서 15~25㎜로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닐튜브용 케미칼 앙카에 의하면, 용기헤드부와 원료비닐패키지로 구성하여 간단한 구조를 이루므로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용기를 헤드 부분만 적용하는 동시에 사출구성(뒷 마개 등)을 최소화하여 제품의 단가를 낮추면서 가격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비닐튜브용 케미칼 앙카는 원료비닐패키지를 최종적으로 열 수축하여 일체화하도록 구성하므로 실리콘 건에 장착이 용이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원료가 흐트러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주제와 경화제 간에 상호 정량토출로부터 균일한 혼합비율로 시공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닐튜브용 케미칼 앙카는 원료비닐패키지를 알루미나비닐을 사용하여 구성하므로 원료비닐패키지가 스프링처럼 접히면서 토출되어 반발력에 따른 비닐의 복원성을 방지하고 원료비닐패키지를 가압한 후에도 밀착압축된 상태 그대로를 유지하여 부드럽고 안정된 토출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닐튜브용 케미칼 앙카는 원료비닐패키지만을 변경하여 원료의 용량변경이 가능하고, 용량변경에 따른 별도의 사출작업이 불필요하여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의 (a),(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1튜브체 및 제2튜브체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용기헤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본 발명은 내부에 일정량의 주제와 경화제를 구분수용하여 각각 밀봉된 상태를 유지하고 한쪽 선단이 전방을 향해 길게 연장하여 주제 및 경화제를 각각 토출가능하도록 토출부가 구비되는 원료비닐패키지와; 상기 원료비닐패키지의 전방을 부분적으로 수용하되 주제와 경화제를 토출하는 토출부가 각각 구분된 수용공간에 위치할 수 있게 구획하는 경계벽을 구비하고 전방에 토출구가 형성되는 용기헤드부;를 포함하는 비닐튜브용 케미칼 앙카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료비닐패키지는 원료 중 주제를 수용하여 밀봉되는 제1튜브체와, 상기 제1튜브체의 상측에 접하여 부착되고 원료 중 경화제를 수용하여 밀봉되는 제2튜브체와, 상기 제1튜브체와 상기 제2튜브체의 외면을 감싸도록 씌워지고 열에 의해 수축하여 상기 제1튜브체와 상기 제2튜브체를 일체화하도록 밀착하는 제3튜브체를 포함하는 비닐튜브용 케미칼 앙카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튜브체 및 상기 제2튜브체는 각각 알루미늄에 비닐성분이 혼합된 알루미나비닐 재질로 이루어지는 비닐튜브용 케미칼 앙카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료비닐패키지의 제1튜브체 및 제2튜브체는 각각 상기 토출부의 폭이 상기 용기헤드부의 토출구에 대응하도록 주제나 경화제가 수용된 공간의 폭보다 상기 토출부의 폭을 좁게 형성하는 비닐튜브용 케미칼 앙카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튜브체 및 상기 제2튜브체는 각각 주제 및 경화제가 수용된 공간에서 상기 토출부를 향해 좁아지는 구간에 완만한 곡면을 이루도록 굴곡된 만곡부가 형성되는 비닐튜브용 케미칼 앙카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만곡부는 상기 제1튜브체 및 상기 제2튜브체에 상호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는 비닐튜브용 케미칼 앙카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튜브체는 상기 제1튜브체와 상기 제2튜브체의 외면을 감싸는 동시에 상기 용기헤드부를 향해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용기헤드부의 길이 중 1/2~2/3의 영역을 상기 제1튜브체 및 상기 제2튜브체와 함께 감싸도록 이루어지는 비닐튜브용 케미칼 앙카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헤드부의 경계벽은 상기 토출구를 기준으로 상기 원료비닐패키지 중 주제가 수용되는 공간을 경화제가 수용되는 공간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토록 구획하는 비닐튜브용 케미칼 앙카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헤드부의 경계벽은 상기 용기헤드부의 내측에서 15~25㎜로 형성되는 비닐튜브용 케미칼 앙카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비닐튜브용 케미칼 앙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비닐튜브용 케미칼 앙카의 일실시예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료비닐패키지(10)와, 용기헤드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원료비닐패키지(1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용기헤드부(20) 내에 수용되고 원료의 용량만큼 후방으로 길게 연장된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원료비닐패키지(1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일정량의 주제(3)와 경화제(5)를 구분수용하여 각각 밀봉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상기 원료비닐패키지(10)는 주제(3)와 경화제(5)를 각각 수용하여 밀봉된 튜브 팩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원료비닐패키지(10)는 원료 중 주제(3)를 수용하여 밀봉되는 제1튜브체(13)와, 원료 중 경화제(5)를 수용하여 밀봉되는 제2튜브체(15)와, 상기 제1튜브체(13)와 상기 제2튜브체(15)를 일체화하도록 밀착하는 제3튜브체(17)로 구성된다.
상기 제1튜브체(13)의 부피는 상기 제2튜브체(15)의 부피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원료 중 주제(3)가 수용된 제1튜브체(13)와 원료 중 경화제(5)가 수용된 제2튜브체(15)는 일정한 혼합비율에 맞춰 용량을 설정하되 원료 중 주제(3)의 혼합비율이 크기 때문에 경화제(5)를 수용한 제2튜브체(15)의 부피보다 주제(3)가 수용된 제1튜브체(13)의 부피가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1튜브체(13)와 상기 제2튜브체(15)는 동일한 길이를 이루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튜브체(13) 및 상기 제2튜브체(15)는 각각 알루미늄에 비닐성분이 혼합된 알루미나비닐 재질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제1튜브체(13) 및 제2튜브체(15)를 알루미나비닐 재질로 구성하게 되면, 원료인 주제(3) 및 경화제(5)를 수용한 후 밀봉시 둘레를 따라 열선 접착이 가능하여 밀봉작업이 용이함은 물론 밀봉성능을 향상시키고, 기존 비닐재료의 반발력이나 마찰력을 방지하여 부드러운 토출을 유도하며, 외부로부터 압력이 가해지면 스프링처럼 접혀지면서 원료를 토출하여 안정된 토출을 도모한다.
상기 제1튜브체(13)와 상기 제2튜브체(15)는 서로 부착하여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한다. 즉 상기 제2튜브체(15)는 상기 제1튜브체(13)의 상측에 접하여 부착된다.
상기에서 제2튜브체(15)를 상기 제1튜브체(13)에 부착함에는 일반적인 테이프를 사용하여 부착한다. 즉 상기 제2튜브체(15)를 상기 제1튜브체(13)의 상측에 위치한 후 둘레를 따라 테이프를 부착하여 사용한다.
또한 상기 제1튜브체(13)에 상기 제2튜브체(15)를 부착함에는 상호 접촉면에 양면테이프를 사용하여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원료비닐패키지(10)는 한쪽 선단에 주제(3) 및 경화제(5)를 각각 토출가능하도록 토출부(11)가 구비된다. 즉 상기 제1튜브체(13) 및 상기 제2튜브체(15)에 각각 주제(3) 및 경화제(5)를 토출할 수 있게 토출부(11)가 구비된다.
상기 토출부(11)는 전방을 향해 길게 연장하여 밀봉된 상태를 유지하되 전방으로 충분히 연장하여 가위나 칼과 같은 절개수단을 통해 절개하므로 원료가 토출될 수 있게 형성한다.
상기 토출부(11)의 폭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튜브체(13) 및 상기 제2튜브체(15)에서 원료가 수용되어 있는 공간의 폭보다 좁게 형성한다. 즉 상기 원료비닐패키지(10)의 제1튜브체(13) 및 제2튜브체(15)에서 각각 주제(3)나 경화제(5)가 수용된 공간의 폭보다 원료가 토출되는 상기 토출부(11)의 폭을 좁게 형성하여 적정량의 원료를 토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튜브체(13) 및 상기 제2튜브체(15)는 각각 주제(3) 및 경화제(5)가 수용된 공간에서 상기 토출부(11)를 향해 좁아지는 구간에 완만한 곡면을 이루도록 굴곡된 만곡부(19)가 형성된다.
상기 만곡부(19)는 상기 토출부(11)를 향해 내측으로 굴곡되도록 형성한다.
상기 만곡부(19)는 상기 제1튜브체(13) 및 상기 제2튜브체(15)에 상호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튜브체(13)의 만곡부(19)를 완만한 곡선으로 10㎜의 곡률반경(반지름)을 이루는 크기로 형성하는 경우, 상기 제2튜브체(15)의 만곡부(19)도 완만한 곡선으로 10㎜의 곡률반경을 이루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제1튜브체(13)와 제2튜브체(15)에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갖는 만곡부(19)를 구성하게 되면, 주제(3)와 경화제(5)가 일정한 흐름으로 안내되면서 동일한 양만큼 토출되어 원료의 정량토출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3튜브체(17)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튜브체(13)와 상기 제2튜브체(15)를 일체화하도록 밀착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튜브체(13)와 상기 제2튜브체(15)가 상호 부착된 상태에서 외면을 감싸며 씌워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3튜브체(17)는 상기 제1튜브체(13)와 상기 제2튜브체(15)의 외면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열에 의해 수축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3튜브체(17)는 가열하면 수축하는 튜브 즉 열수축튜브를 사용하고, 상기 제3튜브체에 열을 가하면 상기 제1튜브체(13) 및 상기 제2튜브체(15)가 서로 부착된 상태의 모양대로 수축하여 빈틈없이 잡아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3튜브체(17)는 상기 제1튜브체(13)와 상기 제2튜브체(15)의 외면을 감싸는 동시에 상기 제1튜브체(13) 및 상기 제2튜브체(15)와 함께 상기 용기헤드부(20)를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3튜브체(17)는 상기 용기헤드부(20)를 부분적으로 감싸되 상기 제1튜브체(13) 및 상기 제2튜브체(15)로부터 상기 용기헤드부(20)를 향해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용기헤드부(20)의 길이 중 1/2~2/3의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3튜브체(17)는 상기 제1튜브체(13) 및 상기 제2튜브체(15)의 둘레 면인 외면과 더불어 뒷면(상기 용기헤드부의 반대쪽 면)도 열에 의해 수축하여 밀폐되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제3튜브체(17)를 구성하게 되면, 원료비닐패키지(10)의 제1튜브체(13) 및 제2튜브체(15)와 함께 용기헤드부(20)가 일체화되어 일정한 형상을 유지함은 물론 실리콘 건(G)에 장착이 용이하고 원료의 흐트러짐을 방지하며 실리콘 건(G)으로부터 주제(3)와 경화제(5)의 토출에 동일한 힘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용기헤드부(20)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원료비닐패키지(10)의 한쪽에서 상기 제1튜브체(13) 및 상기 제2튜브체(15)의 전방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용기헤드부(20)는 상기 원료비닐패키지(10)의 전방을 수용하되 상기 원료비닐패키지(10)가 1/8~1/12의 부분에 대해 수용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용기헤드부(20)의 전방에는 상기 원료비닐패키지(10)로부터 주제(3) 및 경화제(5)를 토출하는 토출구(21)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21)에는 상기 제1튜브체(13)와 상기 제2튜브체(15)의 토출부(11)가 각각 위치하여 원료를 토출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21)에는 상기 원료비닐패키지(10)의 토출부(11)가 서로 대응되는 폭을 이루며 위치한다.
상기 용기헤드부(20)의 토출구(21)에는 내부에 이송스크류(도면에 미도시)가 구비된 압출봉(8)이 나사결합될 수 있게 형성된다. 즉 상기 토출구(21)의 외면에는 수나사를 형성하여 암사나가 구비된 압출봉(8)이 나사결합가능하게 형성한다.
상기 용기헤드부(20)에는 상기 원료비닐패키지(10)의 한쪽을 수용하되 주제(3)와 경화제(5)를 토출하는 토출부(11)가 각각 구분된 수용공간에 위치할 수 있게 구획하는 경계벽(23)을 구비한다. 즉 상기 경계벽(23)은 주제(3)가 수용된 상기 제1튜브체(13)와 경화제(5)가 수용된 상기 제2튜브체(15)를 각각 구분하여 위치할 수 있게 상기 용기헤드부(20)의 내측 공간을 나눠 구획하므로 상호 간섭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용기헤드부(20)의 경계벽(23)은 상기 용기헤드부(20)의 내측 공간을 경계하되 상기 토출구(21)를 기준으로 상기 원료비닐패키지(10) 중 경화제(5)가 든 상기 제2튜브체(15)가 수용되는 공간보다 주제(3)가 든 상기 제1튜브체(13)가 수용되는 공간을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토록 구획한다.
상기 용기헤드부(20)의 경계벽(23)은 상기 토출구(21)를 기준으로 상기 용기헤드부(20)가 연장된 길이보다 상기 경계벽(23)이 연장된 길이가 짧게 형성된다.
상기 경계벽(23)은 상기 용기헤드부(20)의 내측에서 15~25㎜로 형성된다. 즉 상기 경계벽(23)은 상기 토출구(21)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원료비닐패키지(10) 쪽으로 향해 15~25㎜의 길이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조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사출작업을 통해 용기헤드부(20)를 성형하여 준비함과 동시에 주제(3)를 수용하여 밀봉된 제1튜브체(13)와 경화제(5)를 수용하여 밀봉된 제2튜브체(15)를 준비하고, 상기 제1튜브체(13)의 상측에 상기 제2튜브체(15)를 부착시킨 후 상기 용기헤드부(20)에 조립하며, 상기 제1튜브체(13) 및 상기 제2튜브체(15)와 함께 상기 용기헤드부(20)를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제3튜브체(17)를 씌운 후 일정한 온도로 열을 가해 수축시켜 일체화된 케미칼 앙카를 제조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의 사용관계를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실리콘 건(G)을 준비한 후 원료비닐패키지(10)가 실리콘 건(G)에 수용되도록 장착하여 고정하고, 상기 용기헤드부(20)의 전방 토출구(21)에 압축봉(8)을 결합하여 실리콘 건(G)을 조작하므로 상기 원료비닐패키지(10)가 압축되면서 일정량의 주제(3)와 경화제(5)를 토출시켜 작업을 진행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비닐튜브용 케미칼 앙카에 의하면, 용기헤드부와 원료비닐패키지로 구성하여 간단한 구조를 이루므로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용기를 헤드 부분만 적용하는 동시에 사출구성(뒷 마개 등)을 최소화하여 제품의 단가를 낮추면서 가격경쟁력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원료비닐패키지를 최종적으로 열 수축하여 일체화하도록 구성하므로 실리콘 건에 장착이 용이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원료가 흐트러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주제와 경화제 간에 상호 정량토출로부터 균일한 혼합비율로 시공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원료비닐패키지를 알루미나비닐을 사용하여 구성하므로 원료비닐패키지가 스프링처럼 접히면서 토출되어 반발력에 따른 비닐의 복원성을 방지하고 원료비닐패키지를 가압한 후에도 밀착압축된 상태 그대로를 유지하여 부드럽고 안정된 토출성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원료비닐패키지만을 변경하여 원료의 용량변경이 가능하고, 용량변경에 따른 별도의 사출작업이 불필요하여 비용을 대폭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비닐튜브용 케미칼 앙카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3 : 주제 5 : 경화제
8 : 압출봉 10 : 원료비닐패키지
11 : 토출부 13 : 제1튜브체
15 : 제2튜브체 17 : 제3튜브체
19 : 만곡부 20 : 용기헤드부
21 : 토출구 23 : 경계벽
G : 실리콘 건

Claims (9)

  1. 내부에 일정량의 주제와 경화제를 구분수용하여 각각 밀봉된 상태를 유지하고 한쪽 선단이 전방을 향해 길게 연장하여 주제 및 경화제를 각각 토출가능하도록 토출부가 구비되는 원료비닐패키지와;
    상기 원료비닐패키지의 전방을 부분적으로 수용하되 주제와 경화제를 토출하는 토출부가 각각 구분된 수용공간에 위치할 수 있게 구획하는 경계벽을 구비하고 전방에 토출구가 형성되는 용기헤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원료비닐패키지는 원료 중 주제를 수용하여 밀봉되는 제1튜브체와, 상기 제1튜브체의 상측에 접하여 부착되고 원료 중 경화제를 수용하여 밀봉되는 제2튜브체와, 상기 제1튜브체와 상기 제2튜브체의 외면을 감싸도록 씌워지고 열에 의해 수축하여 상기 제1튜브체와 상기 제2튜브체를 일체화하도록 밀착하는 제3튜브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튜브체 및 제2튜브체는 각각 토출부의 폭이 상기 용기헤드부의 토출구에 대응하도록 좁게 형성되고, 각각의 토출부를 향해 좁아지는 구간에 완만한 곡면을 이루도록 만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헤드부의 경계벽은 상기 토출구를 기준으로 상기 원료비닐패키지 중 주제가 수용되는 공간을 경화제가 수용되는 공간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토록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튜브용 케미칼 앙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30026605A 2013-03-13 2013-03-13 비닐튜브용 케미칼 앙카 KR101304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605A KR101304300B1 (ko) 2013-03-13 2013-03-13 비닐튜브용 케미칼 앙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605A KR101304300B1 (ko) 2013-03-13 2013-03-13 비닐튜브용 케미칼 앙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4300B1 true KR101304300B1 (ko) 2013-09-11

Family

ID=49455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6605A KR101304300B1 (ko) 2013-03-13 2013-03-13 비닐튜브용 케미칼 앙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43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848B1 (ko) 2018-07-03 2019-04-03 주식회사 제이에스컴 조립식 알루미늄과 스크류 케미칼 앵커를 이용한 교량 점검시설물의 설치 공법 및 그 구조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1268A (ko) * 2005-01-07 2006-07-12 최효승 2종 이상의 물질의 혼합, 배출이 같은 장소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용기 및 이의 사용 방법
KR20080006222U (ko) * 2007-06-11 2008-12-16 김태준 구조물 고착제용 카트리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1268A (ko) * 2005-01-07 2006-07-12 최효승 2종 이상의 물질의 혼합, 배출이 같은 장소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용기 및 이의 사용 방법
KR20080006222U (ko) * 2007-06-11 2008-12-16 김태준 구조물 고착제용 카트리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848B1 (ko) 2018-07-03 2019-04-03 주식회사 제이에스컴 조립식 알루미늄과 스크류 케미칼 앵커를 이용한 교량 점검시설물의 설치 공법 및 그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213507B2 (en) Nozzle and/or adaptor unit on cartridge
KR20070119668A (ko) 다성분 카트리지
US4366919A (en) Composite cartridge and device for metering extrusion of contents
US7997463B2 (en) Nozzle, adhesive dispenser, and method of dispensing adhesive
US10105731B2 (en) Cartridge,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nd multicomponent cartridge
CA2942622C (en) Cartridge and method of manufacture of a cartridge
US8985402B2 (en) Cove base nozzle for dispensing applications
AU2011259691B2 (en) Cartridge-type dispenser
CN103946126A (zh) 用于密封可塌缩容器的制品和方法
US20140208939A1 (en) One-piece ventable piston for a dispensing apparatus, a dispensing apparatus with same,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1304300B1 (ko) 비닐튜브용 케미칼 앙카
CN104249847A (zh) 胶粘剂的简易型非混合双组份单包装
JP5745756B2 (ja) 多成分物質のためのカセット
KR200396507Y1 (ko) 케미컬 앵커 토출용 용기의 토출구 및 개폐 보호켑
JP4573557B2 (ja) 2液性反応型接着剤用ケース
CN114555488B (zh) 料筒组件、套管、系统和组装料筒组件的方法
KR100573429B1 (ko) 주입식 케미컬 앵커
US4789012A (en) Injection head for filling dispenser that meters proportionate increments of dissimilar materials
KR20130095439A (ko) 일회용 튜브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200385177Y1 (ko) 주입식 케미컬 앵커
US10654203B2 (en) Method for producing an apparatus for dispensing a medium
KR101222177B1 (ko) 통합형 케미컬 앵커
CN210079941U (zh) 化学锚栓注射筒
EP3771497A1 (en) Cartridge assembly, sleeve, system and method of assembling a cartridge assembly
KR101131190B1 (ko) 일체형 케미컬 앵커 인젝션 카트리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