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4041B1 - 두 개 반응기로부터 생성물을 회수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두 개 반응기로부터 생성물을 회수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4041B1
KR101304041B1 KR1020127011792A KR20127011792A KR101304041B1 KR 101304041 B1 KR101304041 B1 KR 101304041B1 KR 1020127011792 A KR1020127011792 A KR 1020127011792A KR 20127011792 A KR20127011792 A KR 20127011792A KR 101304041 B1 KR101304041 B1 KR 101304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or
line
column
stream
cataly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1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0236A (ko
Inventor
로라 이. 레오나르드
지브릴 에이. 콰피시에
로버트 엘. 멜베르그
Original Assignee
유오피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2/614,938 external-priority patent/US8354018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2/614,964 external-priority patent/US8506891B2/en
Application filed by 유오피 엘엘씨 filed Critical 유오피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20080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0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4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4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1/00Catalytic cracking, in the absence of hydrogen, of hydrocarbon oils
    • C10G11/14Catalytic cracking, in the absence of hydrogen, of hydrocarbon oils with preheated moving solid catalysts
    • C10G11/18Catalytic cracking, in the absence of hydrogen, of hydrocarbon oils with preheated moving solid catalysts according to the "fluidised-bed" techni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 B01J8/04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passing successively through two or more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18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fluidised particles
    • B01J8/24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fluidised particles according to "fluidised-bed" technique
    • B01J8/26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fluidised particles according to "fluidised-bed" technique with two or more fluidised beds, e.g. reactor and regeneration install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51/00Treatment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by two or more cracking processes only
    • C10G51/02Treatment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by two or more cracking processes only plural serial stage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51/00Treatment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by two or more cracking processes only
    • C10G51/02Treatment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by two or more cracking processes only plural serial stages only
    • C10G51/026Treatment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by two or more cracking processes only plural serial stages only only catalytic cracking step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10Feedstock materials
    • C10G2300/1037Hydrocarbon fractions
    • C10G2300/1044Heavy gasoline or naphtha having a boiling range of about 100 - 180 °C

Abstract

두 개의 공급물 스트림을 촉매적으로 전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제1 촉매 반응기로의 공급물은 제2 촉매 반응기에서 나온 생성물과 접촉되어 두 스트림 간에 열 교환이 가능할 수 있고 생성물 스트림에서 나온 촉매를 공급물 스트림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촉매 반응기로의 공급물은 제1 촉매 반응기에서 나온 생성물의 일부일 수 있다.

Description

두 개 반응기로부터 생성물을 회수하는 방법 및 장치 {PROCESS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PRODUCTS FROM TWO REACTOR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촉매 반응기들로부터 생성물의 회수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유동 접촉 분해 (Fluid catalytic cracking; FCC)는 유동화 반응 구역에서 중질의(heavier) 탄화수소를 촉매 미립자 물질과 접촉시켜 달성되는 촉매 탄화수소 전환 공정이다. 수첨분해(hydrocracking)와 달리 접촉 분해 반응은 상당량으로 첨가되는 수소의 부재하에 또는 수소의 소비 없이 수행된다. 분해 반응이 진행될수록 상당량의 고도 탄소질 물질 (코크스로 불림)이 촉매에 침착되어 코크화되거나 소비된 폐 촉매(spent catalyst)를 만들어 낸다. 반응기 용기의 폐 촉매로부터 증기상의 경질(lighter) 생성물이 분리되어진다. 폐 촉매는 스팀과 같은 불활성 가스하에 스트리핑되며 이에 따라 포획된 탄화수소성 가스를 폐 촉매로부터 스트리핑할 수 있다. 재생 구역내에서 산소를 이용한 고온 재생 작업은 (미리 스트리핑되어진) 폐 촉매로부터 코크스를 연소시킨다. 이러한 공정으로부터 다양한 생성물 (나프타 생성물, 및/또는 프로필렌 및/또는 에틸렌과 같은 경질 생성물 포함)이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공정에서는, 단일 반응기 또는 이중(dual) 반응기가 사용될 수 있다. 이중 반응기 장치를 사용하면 부가적인 투자금이 발생될 수 있지만, 반응기 중 하나가 생성물, 예컨대 프로필렌 및/또는 에틸렌을 포함한 경질 올레핀을 최대로 증대시키기 위한 조건에 맞게 작동되어질 수 있다. 이는 반응기 중 하나에서 생성물의 수율을 극대화시키는데 있어 종종 유리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일 반응기로부터 나머지 반응기로 재순환되어 원하는 생성물, 예컨대 프로필렌의 생성을 최대화하기 위한 바람이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두 개의 반응기가 사용되면, 생성물 분리를 위해 단일 생성물 회수 시스템이 이용된다. 별도의 생성물 회수 시스템이 또한 제안되고 있다. 두 반응기 시스템 사이의 상승효과를 최대화하는 것이 크게 원해지고 있다.
정의
본원에서 사용된 하기 용어들은 상응하는 정의를 가진다.
용어 "연통(communication)"은 열거된 구성요소들 사이에 물질 흐름이 작동적으로(operatively)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용어 "하류(downstream) 연통"은 하류 연통하는 대상(subject)까지 흐르는 물질의 적어도 일부분이 연통하는 대상(object)으로부터 작동적으로 흐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용어 "상류(upstream) 연통"은 상류 연통하는 대상(subject)으로부터 흐르는 물질의 적어도 일부분이 연통하는 대상(object)까지 작동적으로 흐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용어 "직접(direct) 연통"은 물리적 분류(fractionation) 또는 화학적 전환으로 인한 조성 변화없이 흐름이 상류 구성요소로부터 하류 구성요소로 진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용어 "컬럼(column)"은 탑저(bottom)에 리보일러(reboiler)를, 오버헤드상에 응축기를 구비할 수 있는, 1종 이상의 다양한 휘발 성분을 분리하기 위한 증류 컬럼 또는 컬럼들을 의미한다. 달리 지적하지 않는다면, 각각의 컬럼은 오버헤드 스트림의 일부를 응축시켜 컬럼의 탑정(top)으로 환류시키기 위해 컬럼의 오버헤드상에 배치된 응축기와, 탑저 스트림의 일부를 증발시켜 컬럼의 탑저로 보내기 위해 컬럼의 탑저에 배치된 리보일러를 구비한다. 컬럼으로 공급되는 공급물은 예열될 수 있다. 탑정 압력은 컬럼의 출구에서의 오버헤드 증기압이다. 탑저 온도는 액체 탑저물 출구 온도이다.
용어 "Cx-" (여기서 "x"는 정수임)는 x 및/또는 그 미만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x 및 그 미만의 탄소 원자를 가진 탄화수소를 갖는 탄화수소 스트림을 의미한다.
용어 "Cx+" (여기서 "x"는 정수임)는 x 및/또는 초과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x 및 초과의 탄소 원자를 가진 탄화수소를 갖는 탄화수소 스트림을 의미한다.
용어 "주된(predominant)"은 대부분, 적당하게는 8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이상을 의미한다.
방법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제1 탄화수소 공급물을 세척 컬럼에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탄화수소 공급물을 상기 세척 컬럼으로부터 제1 반응기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접촉 분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촉매는 상기 제1 반응기로 전달된 다음 상기 제1 탄화수소 공급물과 접촉하여 제1 분해 생성물이 얻어진다. 상기 제1 분해 생성물의 일부는 제2 탄화수소 공급물로서 제2 반응기에 공급된다. 촉매가 상기 제2 반응기로 전달되어 상기 제2 탄화수소 공급물과 접촉하여 제2 분해 생성물이 얻어진다. 상기 제2 분해 생성물은 상기 세척 컬럼에 공급된다. 또다른 방법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상기 제1 분해 생성물의 일부를 증발시켜 상기 제2 탄화수소 공급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다른 방법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제1 유동 접촉 분해 반응기로 보내지는 제1 탄화수소 공급물을 제2 유동 접촉 분해 반응기에서 나온 제2 탄화수소 생성물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동 접촉 분해 방법을 제공한다.
장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세척 컬럼과 연통하는 제1 촉매 반응기를 포함하는 접촉 분해 장치를 제공한다. 제2 촉매 반응기는 상기 제1 촉매 반응기와 연통하고, 상기 세척 컬럼은 상기 제2 반응기와 연통한다. 대안적인 실시양태에서는, 주(main) 컬럼이 상기 제1 촉매 반응기와 연통하고, 제2 촉매 반응기가 상기 주 컬럼과 연통한다. 추가의 대안적인 실시양태에서는, 탈부탄기 컬럼이 상기 제1 촉매 반응기와 연통하고 나프타 분리기(splitter) 컬럼이 상기 탈부탄기 컬럼과 연통한다. 상기 제2 촉매 반응기는 상기 나프타 분리기 컬럼과 연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양태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대안적인 실시양태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가스 회수 섹션의 상류에 나프타 분리기 컬럼이 구비된 추가의 실시양태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4의 실시양태에 대한 추가적인 실시양태의 개략도이다.
도면에 관한 상세한 설명
통상적인 공급원료로부터 고 수율의 프로필렌을 생성할 수 있는 FCC 기술에 대한 상업적인 요구가 존재한다. 공정 조건 및 촉매 조성을 조절함으로써 통상적인 FCC 유닛에서 프로필렌 수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프로필렌 생성 정도는 평형 지배적이다(equilibrium-limited). 프로필렌의 수율을 증가시키는 일 수단은 반응기압을 감소시켜 올레핀 분압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반응기압을 감소시키면 투자 비용의 상당한 상승과 심지어 설비 비용의 상당한 상승을 초래한다. 대안적인 해결책은 경질 나프타를 주 컬럼 및 가스 회수 유닛이 구비된 통상적인 분리 섹션으로부터 제1 반응기 라이저(riser) 또는 제2 반응기 라이저에 공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 모두 투자금 상승을 유발하지만, 단순히 반응기압을 감소시키는 것보다 공정 경제측면에서 보다 유리하다. 프로필렌 수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경질 나프타를 통상적인 반응기 라이저로 재순환시키면, 설비 비용의 본질적인 상승없이 투자 비용이 약간 증가한다. 재순환물이 통상의 분리 시스템이 있는 제2 라이저에 공급되면 프로필렌 수율이 추가로 증가될 수 있지만 투자 비용과 설비 비용이 뚜렷이 상승하는데, 하지만 단순히 반응기압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비해서는 낮다.
본 출원인은 제2 라이저 반응기의 유출물을 격리된 분리 섹션으로 보냄으로써 프로필렌 수율을 보다 상당한 정도로 좀더 경제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음을 밝혀내었다. 이중(dual) 라이저-이중 분리 섹션 흐름 방식을 이용하면, 프로필렌 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지만, 통상의 분리 시스템이 있는 해당 이중 라이저에 의한 것보다 놀라울 정도로 상당히 낮아진 투자 및 설비 비용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4가지 구성요소: 제1 촉매 반응기(10), 재생기 용기(60), 제1 생성물 분류 섹션(90), 가스 회수 섹션(120), 제2 촉매 반응기(200) 및 제2 생성물 분류 섹션(230)을 참조하여 기술되어질 장치 및 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구성이 가능하지만, 본원에서는 특정 실시양태가 예시적으로 제공된다.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가능한 모든 실시양태가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예를 들어 제1 반응기(10) 및 제2 반응기(200)가 FCC 반응기가 아니라면, 재생기 용기(60)는 선택사항일 수 있다.
통상적인 FCC 공급원료 및 고비등 탄화수소 공급원료가 제1 FCC 반응기에 적합한 제1 공급물(8)이다. 이러한 통상적인 공급원료 중 가장 일반적인 것은 "진공 가스 오일" (VGO)이며, 이는 전형적으로 상압잔사유(atmospheric residue)의 진공 분류에 의해 제조된 비등점이 343 내지 552℃ (650 내지 1025℉) 범위인 탄화수소 물질이다. 이러한 분획은 일반적으로 촉매를 오염시킬 수 있는 코크스 전구체 및 중금속 오염물에서는 낮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중질 탄화수소 공급원료는 원유, 중질의 역청(bitumen) 원유, 셰일 오일(shale oil), 타르 모래(tar sand) 추출물, 탈아스팔트 잔사, 석탄 액화 생성물, 상압 및 진공 잔사유(atmospheric and vacuum reduced crudes)에서 나온 중질 탑저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을 위한 중질 공급원료는 또한 상기의 탄화수소의 혼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리스트는 포괄적이지 않다. 또한, 부가적인 양의 공급물이 초기 공급 지점의 하류에 도입될 수 있다. 라인(8) 내 제1 공급물은 세척 컬럼(30)에서 예열될 수 있으며, 이에 관해서는 하기에서 추가로 논의될 것이다.
제1 반응기(10)는 제1 반응기 라이저(12) 및 제1 반응기 용기(20)를 구비한 촉매 접촉식 또는 FCC 반응기일 수 있다. 재생기 촉매 파이프(14)는 제1 반응기 라이저(12)와 상류 연통한다. 재생기 촉매 파이프(14)는 재생 촉매를 재생기 용기(60)로부터 재생 촉매 입구를 통해 제어 밸브에 의해 조절된 속도로 반응기 라이저(12)로 전달한다. 분배기(18)에서 나온 유동 매질, 예컨대 스팀은 재생 촉매 스트림을 제1 반응기 라이저(12)를 통해 위로 보낸다. 제1 반응기 라이저(12)와 상류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공급물 분배기(22)는 제1 탄화수소 공급물(8)을, 바람직하게는 불활성 분무화 가스(atomizing gas), 예컨대 스팀과 함께, 촉매 입자 유동 스트림을 가로질러 주입하여 탄화수소 공급물을 제1 반응기 라이저(12)에 분배시킨다. 제1 반응기 라이저(12)에서 탄화수소 공급물이 촉매와 접촉하면, 중질의 탄화수소 공급물이 분해되어 보다 경질의 가스성 제1 분해 생성물이 얻어지고 전환 코크스 및 오염물 코크스 전구체가 촉매 입자상에 침착되어 폐 촉매를 생성한다.
제1 반응기 용기(20)는 제1 반응기 라이저(12)와 하류 연통한다. 얻어진 가스성 생성물 탄화수소 및 폐 촉매의 혼합물은 제1 반응기 라이저(12)를 통해 위로 보내지고 폐 촉매와 가스성 생성물이 분리되는 제1 반응기 용기(20)에 수용된다. 한 쌍의 해지 아암(disengaging arms)(24)이 가스와 촉매의 혼합물을 제1 반응기 라이저(12)의 탑정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출구 포트(26) (하나만이 도시되어 있음)를 통해 촉매로부터 가스를 부분적으로 분리하는 해지 용기(28) 안으로 접선으로 그리고 수평으로 배출할 수 있다. 수송 도관(30)은 스트리핑된 탄화수소를 포함한 탄화수소 증기, 스트리핑 매질 및 포획된 촉매를 가스성 탄화수소 생성물 스트림으로부터 폐 촉매를 분리하는 제1 반응기 용기(20)에서 하나 이상의 사이클론(32)으로 운반한다. 해지 용기(28)는 제1 반응기 용기(20)에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제1 반응기 용기(20)의 일부분으로 간주될 수 있다. 가스 도관은 분리된 가스성 탄화수소 스트림을, 출구 노즐을 통해 생성물 라인(88)으로 보낸 후 결국 생성물 회수를 위한 생성물 분류 섹션(90)으로 보내기 위해, 제1 반응기 용기(20)에서 사이클론(32)으로부터 수집 플레넘(plenum)(36)으로 전달한다. 딥레그(Diplegs)는 촉매를 사이클론(32)으로부터 제1 반응기 용기(20)의 하부 층(lower bed)으로 배출한다. 흡착되거나 포획된 탄화수소를 가진 촉매는 최종적으로 상기 하부 층으로부터 해지 용기(28)의 벽에서 정의된 포트를 가로질러 임의적인 스트리핑 섹션(44)으로 보내질 수 있다. 해지 용기(28)에서 분리된 촉매는 층을 통해 임의적인 스트리핑 섹션(44)으로 직접적으로 보내질 수 있다. 유동화 분배기(50)는 불활성 유동 가스, 전형적으로 스팀을 스트리핑 섹션(44)으로 전달한다. 스트리핑 섹션(44)은 스트리핑 가스와 촉매간의 접촉을 촉진하기 위해 배플(52) 또는 다른 장비를 포함한다. 스트리핑된 폐 촉매는, 이것이 진입시에 가지거나 스트리핑되지 않은 경우 보다 낮은 농도의 포획되거나 흡착된 탄화수소를 가진 상태로 제1 반응기 용기(20)의 해지 용기(28)의 스트리핑 섹션(44)을 떠난다. 폐 촉매, 바람직하게는 스트리핑된 폐 촉매의 제1 부분은 폐 촉매 도관(54)을 통해 제1 반응기 용기(20)의 해지 용기(28)를 떠나 슬라이드 밸브에 의해 조절된 속도로 재생기 용기(60)로 보내진다. 재생기 용기(60)는 제1 반응기(10)와 하류 연통한다. 폐 촉매의 제2 부분은 해지 용기(28)로부터 라이저(12)의 베이스로 이어지는 리사이클 도관(56)에서 슬라이드 밸브에 의해 조절된 속도로 재순환하여 재생됨이 없이 공급물과 다시 접촉한다.
제1 반응기 라이저(12)는 임의의 적합한 온도에서 작동할 수 있으며, 전형적으로는 라이저 출구(24)에서 150 내지 580℃, 바람직하게는 520 내지 580℃의 온도에서 작동한다. 일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는, 라이저 출구 포트(24)에서 보다 높은 라이저 온도, 예컨대 565℃ 이상이 바람직할 수 있고, 압력은 69 내지 517 kPa (게이지(gauge)) (10 내지 75 psig), 전형적으로는 275 kPa (게이지) (40 psig) 미만이다. 촉매 : 오일의 비(라이저의 탑저에 진입하는 촉매와 공급물 탄화수소의 중량을 기준으로)는 30:1 이하 범위일 수 있지만 전형적으로는 4:1 내지 10:1 범위이고, 7:1 내지 25:1 범위일 수 있다. 수소는 일반적으로 라이저에 추가되지 않는다. 스팀이 2-35 중량%의 공급물에 상응하는 양으로 제1 반응기 라이저(12) 및 제1 반응기 용기(20)로 보내질 수 있다. 그러나, 전형적으로, 스팀 속도는 최대 가솔린 생성의 경우 2 내지 7 중량%일 수 있고 최대 경질 올레핀 생성의 경우 10 내지 15 중량%일 수 있다. 라이저에서 촉매의 평균 체류 시간은 5초 미만일 수 있다.
제1 반응기(10)에서 촉매는 단일 촉매 또는 다양한 촉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촉매는 2 성분 또는 촉매, 즉 제1 성분 또는 촉매 및 제2 성분 또는 촉매를 포함한다. 이러한 촉매 혼합물은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7,312,370 B2호에 기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제1 성분은 FCC의 업계에서 사용되는 익히 알려진 임의의 촉매, 예컨대 활성 무정형 점토형 촉매 및/또는 고 활성, 결정형 분자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올라이트가 FCC 공정에서 분자체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성분은 세공이 큰 제올라이트, 예컨대 Y-형 제올라이트, 활성 알루미나 물질, 바인더 물질 (실리카 또는 알루미나 포함), 및 불활성 충전제, 예컨대 카올린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제1 성분을 위해 적합한 제올라이트 분자체는 큰 평균 세공 크기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세공 크기가 큰 분자체는 10개 초과, 전형적으로 12개로 구성된 고리에 의해 정의된 유효 직경이 0.7 nm 보다 큰 개구를 가진 세공을 갖는다. 큰 세공의 세공 크기 지수는 31 이상일 수 있다. 적합한 큰 세공의 제올라이트 성분은 합성 제올라이트, 예컨대 X 및 Y 제올라이트, 모르데나이트(mordenite) 및 포자사이트(faujasite)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성분, 예컨대 제올라이트의 일부는 임의의 적당량의 희토 금속 또는 희토 금속 산화물을 가질 수 있다.
제2 성분은 중간 크기 또는 작은 크기의 세공을 가진 제올라이트 촉매, 예컨대 MFI 제올라이트, 예를 들면 ZSM-5, ZSM-11, ZSM-12, ZSM-23, ZSM-35, ZSM-38, ZSM-48 중 하나, 및 다른 유사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적합한 중간 크기 또는 작은 크기의 세공을 갖는 제올라이트는 페리에라이트(ferrierite) 및 에리오나이트(erionite)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성분은 바인더 물질, 예컨대 실리카 또는 알루미나, 및 불활성 충전제 물질, 예컨대 카올린을 포함한 매트릭스상에 배치된 중간 크기 또는 작은 크기의 세공을 갖는 제올라이트를 가진다. 제2 성분은 또한 몇몇 다른 활물질, 예컨대 베타 제올라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결정형 제올라이트 함량이 10 내지 50 중량% 이상, 매트릭스 물질 함량이 50 내지 90 중량%일 수 있다. 40 중량%의 결정형 제올라이트 물질을 함유한 성분이 바람직하고, 이보다 많은 결정형 제올라이트 함량을 가진 성분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중간 크기 및 작은 크기의 세공을 갖는 제올라이트는 유효 세공 개구 직경이 0.7 nm 이하이고, 고리 개수가 10개 이하이며, 세공 크기 지수가 31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촉매 성분은 규소:알루미늄 비가 15 초과, 바람직하게는 75 초과인 MFI 제올라이트이다. 일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규소:알루미늄 비는 15:1 내지 35:1일 수 있다.
제1 반응기(10)에서 전체 촉매 혼합물은 중간 크기 내지 작은 크기의 세공을 가진 결정형 제올라이트를 포함한 제2 성분을 1 내지 25 중량% 함유할 수 있고, 7 중량% 이상의 제2 성분이 바람직하다. 제2 성분이 40 중량%의 결정형 제올라이트를 포함하고 나머지가 바인더 물질, 불활성 충전제, 예컨대 카올린 및 임의적으로 활성 알루미나 성분인 경우, 촉매 혼합물은 중간 크기 내지 작은 크기의 세공을 가진 결정형 제올라이트를 0.4 내지 10 중량% 함유할 수 있고, 바람직한 함량은 2.8 중량% 이상이다. 제1 성분은 촉매 조성의 나머지를 구성할 수 있다. 몇몇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혼합물 중 제1 및 제2 성분의 상대적인 비율은 제1 반응기(10) 전체에 걸쳐 실질적으로 달라지지 않을 수 있다. 촉매 혼합물의 제2 성분으로서 고 농도의 중간 크기 또는 작은 크기의 세공을 가진 제올라이트는 경질 올레핀에 대한 선택도를 개선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제2 성분은 ZSM-5 제올라이트일 수 있고 촉매 혼합물은 임의의 다른 성분, 예컨대 바인더 및/또는 충전제를 배제한 0.4 내지 10 중량%의 ZSM-5 제올라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재생기 용기(60)는 제1 반응기 용기(20)와 하류 연통한다. 재생기 용기(60)에서, 코크스는 산소 함유 가스, 예컨대 공기와의 접촉에 의해 재생기 용기(60)로 전달된 폐 촉매의 일부로부터 연소되어 재생 촉매가 얻어진다. 재생기 용기(6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형 재생기일 수 있지만 다른 재생기 용기 및 다른 유동 조건도 본 발명에 적합할 수 있다. 폐 촉매 도관 (54)은 폐 촉매를 폐 촉매 입구를 통해 외부 벽에 의해 정의된 제1 또는 하부 챔버(62)로 공급한다. 제1 반응기 용기(20)에서 나온 폐 촉매는 일반적으로 탄소를 0.2 내지 2 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며, 이는 코크스의 형태로 존재한다. 코크스는 주로 탄소로 이루어지지만, 황 및 다른 물질뿐만 아니라 3 내지 12 중량%의 수소를 함유할 수 있다. 산소 함유 가스, 전형적으로 공기는 도관을 통해 재생기 용기(60)의 하부 챔버(62)에 진입하여 분배기(64)에 의해 분배되어진다. 연소 가스가 하부 챔버(62)에 진입함에 따라, 이는 폐 촉매 도관(54)으로부터 진입하는 폐 촉매와 접촉하고 빠른 유동화 흐름 조건하에 하부 챔버(62)에서 연소 가스의 공탑 속도(superficial velocity), 아마도 1.1 m/s (3.5 ft/s) 이상의 공탑 속도로 촉매를 들어올린다. 일 실시양태에서, 하부 챔버(62)는 촉매 밀도가 48 내지 320 kg/㎥ (3 내지 20 lb/ft3)이고 공탑 가스 속도가 1.1 내지 2.2 m/s (3.5 내지 7 ft/s) 일 수 있다. 연소 가스 중 산소는 폐 촉매와 접촉하고 촉매로부터 탄소질 침착물을 연소시켜 적어도 부분적으로 촉매를 재생시키고 연도 가스를 생성한다.
하부 챔버(62)내 촉매와 연소 가스의 혼합물은 원뿔대 천이 섹션(66)을 통해 하부 챔버(62)의 수송 라이저 섹션(68)으로 상승한다. 라이저 섹션(68)은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이고 바람직하게는 하부 챔버(62)로부터 위로 뻗은 튜브를 정의한다. 촉매와 가스의 혼합물은 하부 챔버(62)에서보다 높은 공탑 가스 속도로 이동한다. 증가된 가스 속도는 천이 섹션(66) 아래의 하부 챔버(62)의 단면적에 비해 라이저 섹션(68)의 단면적 감소에 기인한다. 이에, 공탑 가스 속도는 일반적으로 2.2 m/s (7 ft/s)를 능가할 수 있다. 라이저 섹션(68)은 촉매 밀도가 80 kg/㎥ (5 lb/ft3) 미만일 수 있다.
재생기 용기(60)는 또한 상부 또는 제2 챔버(70)를 포함할 수 있다. 촉매 입자와 연도 가스의 혼합물이 라이저 섹션(68)의 상부로부터 상부 챔버(70)로 배출된다. 실질적으로 완전히 재생된 촉매가 수송 라이저 섹션(68)의 탑정을 벗어날 수 있지만 부분적으로 재생된 촉매가 하부 챔버(62)에서 나오는 구성도 고려될 수 있다. 연도 가스로부터 재생 촉매의 대부분을 분리하는 해지 장치(72)를 통해 배출이 이루어진다. 일 실시양태에서, 라이저 섹션(68)에서 위로 흐르는 촉매 및 가스는 해지 장치(72)의 탑정 타원형 캡에 영향을 미치고 흐름을 역행시킨다. 이후 촉매와 가스는 해지 장치(72)의 하류로 통하는 배출구를 통해 벗어난다. 운동량(momentum)의 갑작스런 상실과 하류 흐름의 역행은 대다수의 중질 촉매가 조밀 촉매층으로 하강하도록 하고 그 속에 포획된 경질의 연도 가스와 미량의 촉매를 상부 챔버(70)에서 상승하도록 한다. 사이클론(75, 76)은 상승 가스로부터 촉매를 추가로 분리하고 촉매를 딥레그를 통해 조밀 촉매층으로 침착시킨다. 연도 가스는 가스 도관을 통해 사이클론(75, 76)을 벗어나고 재생기 용기(60)의 출구 노즐 및 아마도 연도 가스 또는 동력 회수 시스템(미도시)으로 보내지기 위해 플레넘(82)에서 모아진다. 조밀 촉매층에서 촉매 밀도는 전형적으로 640 내지 960 kg/㎥ (40 내지 60 lb/ft3) 범위로 유지된다. 유동 도관은 유동 가스, 전형적으로 공기를 유동 분배기를 통해 조밀 촉매층(74)으로 전달한다. 일 실시양태에서, 하부 챔버(62)에서 코크스의 연소를 촉진하기 위해, 상부 챔버(70) 내 조밀 촉매층으로부터 고온의 재생 촉매가 리사이클 도관(미도시)을 통해 하부 챔버(62)로 재순환될 수 있다.
재생기 용기(60)는 전형적으로 완전한 재생을 위해 제거되는 코크스 1 kg 당 14 kg의 공기를 필요로할 수 있다. 보다 많은 촉매가 재생되면, 보다 많은 양의 공급물이 제1 반응기(10)에서 처리될 수 있다. 재생기 용기(60)는 전형적으로, 하부 챔버(62)의 온도가 594 내지 704℃ (1100 내지 1300℉)이고 상부 챔버(70)의 온도가 649 내지 760℃ (1200 내지 1400℉)이다. 재생 촉매 파이프(14)는 재생기 용기(60)와 하류 연통한다. 조밀 촉매층에서 유래한 재생 촉매는 재생 촉매 파이프(14)를 통해 재생기 용기(60)로부터 제어 밸브에 의해 FCC 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라인(8) 내 제1 공급물과 다시 접촉하는 제1 반응기 라이저(12)로 다시 수송된다.
제1 반응기(10)에서 나와 라인(88)을 통과하는 제1 분해 생성물(상대적으로 촉매 입자가 없고 스트리핑 유체를 포함함)은 출구 노즐을 통해 제1 반응기 용기(20)를 벗어난다. 라인(88) 내 제1 분해 생성물 스트림은 미세 촉매 입자를 제거하거나 분류 이전에 스트림을 추가로 준비하기 위해 부가적인 처리를 받을 수 있다. 라인(88)은 제1 분해 생성물 스트림을 생성물 분류 섹션(90) (일 실시양태에서, 주 분류 컬럼(100) 및 가스 회수 섹션(12)을 구비할 수 있음)으로 수송한다.
주 컬럼(100)은 트레이 조건하에 증기 및 액체가 접촉하여 평형 비율에 이르도록 하고 일련의 순환 환류(pump-arounds)가 주 컬럼의 내용물을 냉각하기 위해 높이를 따라 트레이 및/또는 팩킹이 위치한 분류 컬럼이다. 주 분류 컬럼은 제1 반응기(10)와 하류 연통하고 탑정 압력 35 내지 172 kPa (게이지) (5 내지 25 psig) 및 탑저 온도 343 내지 399℃ (650 내지 750℉)에서 작동할 수 있다. 생성물 회수 섹션(90)에서, 라인(88) 내 가스성 FCC 생성물은 FCC 주 분류 컬럼(100)의 하부 섹션으로 보내진다. 다양한 생성물이 주 컬럼(100)으로부터 회수된다. 이 경우, 주 컬럼(100)은 오버헤드 라인(94)을 통해 불안정 나프타 및 경질 가스를 포함한 경질 생성물 오버헤드 스트림을 회수한다. 오버헤드 라인(94) 내 오버헤드 스트림은, 제1 반응기(10)와 하류 연통하는 수용기(98)에 진입하기 이전에 응축기에서 응축되고 아마도 96으로 표시된 냉각기에서 냉각되어진다. 라인(102)은 수용기(98)로부터 액화 석유 가스(LPG)와 건조 가스의 경질 배출 가스 스트림을 회수한다. 수성 스트림은 수용기(98) 내 부트(boot)로부터 제거된다. 경질의 불안정 나프타의 탑저 액체 스트림은 라인(104)을 경유하여 수용기(98)를 떠난다. 탑저 액체 스트림의 제1 부분은 주 컬럼의 상부로 되돌려지고 라인(106) 내 제2 부분은 가스 회수 섹션(120)으로 보내질 수 있다. 두 라인(102 및 106)은 가스 회수 섹션(120)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수의 다른 분획은 라인(108) 내 임의적인 중질 나프타 스트림, 라인(110) 내 경질 사이클 오일(LCO), 라인(112) 내 중질 사이클 오일(HCO) 스트림, 및 라인(114) 내 탑저로부터 중질 슬러리 오일을 포함하는 주 컬럼으로부터 분리되어 취해질 수 있다. 라인(118-114)의 임의 스트림 또는 모든 스트림의 일부는 회수될 수 있지만 나머지 부분은 전형적으로 보다 높은 진입 위치에서 주 컬럼을 냉각하기 위해 냉각되고 주 컬럼(100)으로 다시 펌핑될 수 있다. 경질의 불안정 나프타 분획은 바람직하게는 초기 비등점 (IBP)이 C5 범위 이하; 즉 35℃ (95℉) 이하이고, 온도의 종점 (EP)이 127℃ (260℉) 이상이다. 이들 분획에 대한 비등점은 ASTM D86-82로 알려진 과정을 이용하여 결정된다. 임의의 중질 나프타 분획은 IBP가 127℃ (260℉) 이상이고 온도의 EP가 200℃ (392℉) 이상, 바람직하게는 204 내지 221℃(400 내지 430℉), 특히 216℃ (420℉) 이다. LCO 스트림은 중질 나프타 컷이 취해지지 않는다면 IBP가 177℃ (350℉) 이상이고, 중질 나프타가 취해진다면 IBP가 중질 나프타의 EP 온도이며 EP는 260 내지 371℃ (500 내지 700℉) 범위, 바람직하게는 343℃ (650℉) 이다. HCO 스트림은 LCO 스트림의 EP 온도의 IBP를 가지고 EP는 371 내지 427℃ (700 내지 800℉) 범위, 바람직하게는 399℃ (750℉) 이다. 중질 슬러리 오일 스트림은 HCO 스트림의 EP 온도의 IBP를 가지고 이보다 높은 온도에서 모든 비등을 포함한다.
가스 회수 섹션(120)은 흡착형 시스템인 것으로 도시되지만, 침냉(cold box) 시스템을 포함한 임의의 증기 회수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경질 가스 성분을 충분히 분리하기 위해, 라인(102) 내 가스성 스트림은 습윤 가스 압축기(compressor)로 알려진 압축기(122)에서 압축되어진다. 임의 개수의 압축기 단(스테이지, stage)이 사용될 수 있지만, 전형적으로 2단 압축이 이용된다. 2단 압축시, 압축기(122)로부터 압축 유체는 냉각되어 인터스테이지 압축 수용기(124)로 들어간다. 압축 수용기(124)의 탑저로부터 라인(126) 내 액체는 라인(106)에서 불안정 나프타와 합류하고 라인(136)에서 함께 흘러 1차 흡수기 컬럼(140)의 탑정 섹션으로 보내진다. 압축 수용기(124)의 탑정에서 라인(128)으로 보내진 가스는 습윤 가스 압축기로도 알려진 제2 압축기(130)로 들어간다. 제2 압축기(130)에서 나온 압축 유출물은 라인(131)에서 라인(138 및 142)을 통과한 스트림과 합류하여 냉각되고 제2 압축 수용기(132)로 보내진다. 제2 압축 수용기(132)의 탑정에서 나온 압축 가스는 라인(134)을 통해 이동하여 1차 흡착기 컬럼(140)의 하부 섹션으로 들어간다. 제2 압축 수용기(132)의 탑저에서 나온 액체 스트림은 라인(144)을 통해 스트리퍼 컬럼(146)으로 이동한다. 제1 압축 단은 가스성 유체를 345 내지 1034 kPa (게이지) (50 내지 150 psig)의 압력, 바람직하게는 482 내지 690 kPa (게이지) (70 내지 100 psig)의 압력으로 압축한다. 제2 압축 단은 가스성 유체를 1241 내지 2068 kPa (게이지) (180 내지 300 psig)의 압력으로 압축한다.
라인(134) 내 가스성 탄화수소 스트림은 1차 흡수기 컬럼(140)으로 보내지고 여기서 상기 스트림은 라인(106)에서 주 컬럼 수용기(98)에서 나온 불안정 나프타와 접촉하여 향류(counter-current) 접촉에 의해 중질 탄화수소를 나프타 스트림에 흡수시켜 C3+ 탄화수소와 C2- 탄화수소를 분리한다. 1차 흡수기 컬럼(140)은 응축기나 리보일러를 이용하지 않지만 컬럼 내 물질을 냉각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순환 환류(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1차 흡수기 컬럼은 탑정 압력 1034 내지 2068 kPa (게이지) (150 내지 300 psig) 및 탑저 온도 27 내지 66℃ (80 내지 150℉)에서 작동할 수 있다. 1차 흡수기 컬럼(140)의 탑저에서 나온 라인(142) 내 용액 중 주된 액체 C3+ 스트림은 상대적으로 소량의 C2- 물질과 함께 냉각을 위해 응축기 상류의 라인(131)으로 되돌려지고 제2 압축 수용기(132)로 되돌려진다.
1차 흡수기 컬럼(140)의 탑정에서 나온 라인(148) 내 배출 가스 스트림은 2차 또는 스펀지 흡수기 컬럼(150)으로 보내진다. 라인(110)으로부터 전향되어 2차 흡수기 컬럼(150)까지 이어지는 라인(152) 내 LCO 순환 스트림은 라인(148) 내 배출 가스 스트림 중의 C5+ 잔사 대부분과 몇몇 C3-C4 물질을 흡수한다. 2차 흡수기 컬럼의 탑저에서 나온 LCO는 C3+ 물질이 풍부한 라인(156)을 통해 라인(110)을 위한 순환 환류를 통해 주 컬럼(100)으로 되돌려진다. 2차 흡수기 컬럼(150)은 1차 흡수기 컬럼(140)의 탑정 압력 보다 낮은 탑정 압력인 965 내지 2000 kPa (게이지) (140 내지 290 psig) 및 38 내지 66℃ (100 내지 150℉)의 탑저 온도에서 작동할 수 있다. 황화수소, 아민 및 수소와 함께 주로 C2- 탄화수소로 이루어진 건조 가스를 포함하는 2차 흡수기 컬럼(150)의 오버헤드는 라인(158)을 통해 제거되고 에틸렌과 수소를 회수하기 위해 추가 분리될 수 있다.
제2 압축 수용기(132)의 탑저에서 나온 액체는 라인(144)을 통해 스트리퍼 컬럼(146)으로 보내진다. 대부분의 C2-는 스트리퍼 컬럼(146)의 오버헤드에서 제거되고 우선적으로 응축됨이 없이 오버헤드 라인(138)을 통해 라인(131)으로 되돌려진다. 라인(131) 상의 응축기는 라인(138)을 통과하는 오버헤드 스트림을 부분적으로 응축시킬 것이고, 라인(131)을 통과하는 가스 압축기 배출물 및 1차 흡수기 컬럼(140)에서 나온 탑저 스트림(142)은 제2 압축 수용기(132)에서 함께 증기-액체 분리될 것이다. 스트리퍼는 압축기(130) 배출압 이상의 압력인 1379 내지 2206 kPa (게이지) (200 내지 320 psig) 및 38 내지 149℃ (100 내지 300℉)의 온도에서 작동할 수 있다.
스트리퍼 컬럼(146)에서 나온 C3+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 탑저 스트림은 라인(162)을 경유하여 탈부탄기 컬럼(160)으로 보내진다. 탈부탄기 컬럼(160)은 제1 반응기(10) 및 1차 흡수기 컬럼(140)과 하류 연통하고 제1 반응기(10)에서 나온 제1 분해 생성물의 일부를 분류하여 C4-오버헤드 스트림과 C5+ 탑저 스트림이 얻어진다. 탈부탄기 컬럼은 1034 내지 1724 kPa (게이지) (150 내지 250 psig)의 탑정 압력 및 149 내지 204℃ (300 내지 400℉)의 탑저 온도에서 작동할 수 있다. 냉장의 필요없이 전형적인 냉각 설비를 이용하여 완전한 응축을 허락하면서 리보일러 온도를 가능한 낮게 유지하기 위해 압력은 가능한 낮게 유지되어야 한다. 탈부탄기에서 나온 라인(164) 내 오버헤드 스트림은 C3-C4 올레핀계 생성물을 포함하며 이는 탈부탄기 컬럼(160)의 오버헤드와 하류 연통하는 LPG 분리기 컬럼(170)으로 보내질 수 있다. 라인(166) 내 탑저 스트림은, C3+ 물질의 흡수를 돕기 위해 탈부탄화 나프타를 1차 흡수기 컬럼(140)으로 전달하는 라인(168)과 나프타 분리기 컬럼(180)으로 전달하는 라인(172)으로 분리될 수 있다.
LPG 분리기 컬럼(170)에서, C3 물질은 오버헤드로부터 라인(174)을 통해 C3 분리기로 보내져 프로필렌 생성물이 회수될 수 있다. 탑저에서 나온 C4 물질은 라인(176)을 통해 가솔린 풀(pool)에서 블렌딩을 위해 생성물로서 회수되거나, 추가 처리될 수 있다. LPG 분리기(170)는 69 내지 207 kPa (게이지) (10 내지 30 psig)의 탑정 압력 및 38 내지 121℃ (100 내지 250℉)의 탑저 온도에서 작동할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나프타 분리기 컬럼(180)은 탈부탄기 컬럼(160)의 탑저와 하류 연통될 수 있다. 나프타 분리기 컬럼(180)에서, 경질 나프타 스트림, 전형적으로 C5-C6 또는 C5-C7 스트림은 가솔린 블렌딩을 위해 오버헤드로부터 라인(182)을 통해 회수되거나, 추가 처리될 수 있다. 탑저에서 나온 중질 나프타(전형적으로 C7+ 물질을 포함함)는 라인(184)을 통해 회수되거나 추가 처리될 수 있다. 나프타 분리기 컬럼은 69 내지 448 kPa (게이지) (10 내지 65 psig)의 탑정 압력 및 121 내지 232℃ (250 내지 450℉)의 탑저 온도에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컬럼의 압력은 열 병합을 촉진하고 설비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범위로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라인(176) 내 C4 물질은 증발기(177)에서 증발되어 증발된 C4 스트림(178)이 얻어진다. 라인(182) 내 경질 나프타는 증발기(188)에서 증발되어 라인(186) 내 증발된 경질 나프타 스트림을 제공할 수 있다. 라인(178 및 186)내 증발된 스트림은 라인(190)에서 혼합되어 혼합 증발된 경질 나프타 스트림이 얻어질 수 있다. 라인(176 및 182) 내 스트림은 동일한 증발기에서 증발될 수 있다. 라인(190) 내 증발된 스트림은 제2 탄화수소 공급물로서 제2 촉매 반응기(200)에 전달될 수 있으며, 제2 촉매 반응기(200)는 주 분류 컬럼(100)의 오버헤드, 1차 흡수기(140)의 탑저, LPG 분리기의 탑저 및 나프타 분리기(180)의 오버헤드와 하류 연통한다. 일 실시양태에서, 라인(190) 내 혼합 증발된 경질 나프타 스트림은 라인(190)을 통해 제2 촉매 반응기(200)로 공급되기 이전에 열 교환기에서 과열될 수 있다.
제2 촉매 반응기(200)는 제2 FCC 반응기일 수 있다. 제2 반응기(200)가 제2 FCC 반응기로 기술되고 있지만, 임의의 적합한 촉매 반응기, 예컨대 고정층 반응기 또는 유동층 반응기가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제2 탄화수소 공급물은 리사이클 공급 라인(190)을 통해 공급물 분배기(202)를 경유하여 2차 FCC 반응기(200)로 공급될 수 있다. 제2 공급물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C10- 탄화수소(바람직하게 C4 내지 C7 올레핀을 포함함)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탄화수소 공급물은 주로 10개 이하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4 내지 7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탄화수소를 포함한다. 제2 탄화수소 공급물은 바람직하게는 제1 반응기(10)에서 생성되고, 생성물 회수 섹션(90)의 주 컬럼(100)에서 분류되어 제2 반응기(200)로 제공되는 제1 분해 생성물의 일부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제2 반응기는 생성물 분류 섹션(90) 및/또는 (생성물 분류 섹션(90)과 상류 연통하는) 제1 반응기(10)와 하류 연통한다.
제2 반응기(200)는 제2 라이저 반응기(212)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탄화수소 공급물은 제2 반응기 라이저(212)와 상류 연통하는 촉매 리턴 파이프(204)에 의해 제2 반응기(200)로 전달된 촉매와 접촉하여 업그레이드 분해 생성물이 얻어진. 촉매는 분배기(206)로부터 공급된 불활성 가스, 예컨대 스팀에 의해 유동화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2 반응기(200)는 경질의 나프타 공급물을 보다 작은 탄화수소 생성물로 전환하기 위한 조건하에 작동할 수 있다. C4-C7 올레핀은 하나 이상의 경질 올레핀, 예컨대 에틸렌 및/또는 프로필렌으로 분해된다. 제2 반응기 용기(220)는 제2 반응기 라이저(212)와 하류 연통되어 제2 반응기 라이저로부터 촉매와 업그레이드 생성물을 수용한다. 가스성 업그레이드 생성물인 탄화수소와 촉매의 혼합물은 제2 반응기 라이저(212)를 통해 위로 향하고 제2 반응기 용기(220)에 수용되며 여기서 촉매와 업그레이드 생성물인 가스성 탄화수소가 분리된다. 한 쌍의 해지 아암(208)이 가스와 촉매의 혼합물을 제2 반응기 라이저(212)의 탑정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출구 포트(210)(하나만 도시됨)를 통해 (촉매로부터 가스를 부분적으로 분리하는) 제2 반응기 용기(220)로 접선방향으로 그리고 수평으로 배출할 수 있다. 촉매는 제2 반응기 용기(220) 내 조밀 촉매층으로 떨어질 수 있다. 제2 반응기 용기(220) 내 사이클론(224)은 제2 분해 생성물로부터 촉매를 추가로 분리할 수 있다. 이후, 제2 분해 탄화수소 생성물은 제2 분해 생성물 라인(228)을 통해 제2 반응기 라이저(212)와 하류 연통하는 출구(226)를 통해 제2 반응기(20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분리된 촉매는 제어 밸브에 의해 조절되는 제2 반응기 용기(220)로부터 리사이클 촉매 파이프(204)를 경유하여 제2 탄화수소 공급물과 접촉되기 위해 제2 반응기 라이저(212)로 재순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제2 반응기(200)는 제1 반응기에 대해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촉매 성분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일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제2 반응기(200)는 20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5 중량% 미만의 제1 성분 및 20 중량% 이상의 제2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제2 반응기(200)는 촉매로서 오직 제2 성분, 바람직하게는 ZSM-5 제올라이트를 함유할 수 있다.
제2 반응기(200)는 재생기 용기(60)와 하류 연통하고 용기(60)로부터 라인(214)을 통해 재생 촉매를 수용한다. 일 실시양태에서, 제1 촉매 반응기(10) 및 제2 촉매 반응기(200) 모두 동일한 재생기 용기(60)를 공유한다. 두 반응기(10, 200)에서 동일한 촉매 조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반응기(200)에서 작은 세공 크기의 제올라이트 : 중간 세공 크기의 제올라이트의 비율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면, 제2 반응기(200)에 추가되는 대체 촉매는 고 비율의 제2 촉매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촉매 성분은 제1 촉매 성분만큼 빠르게 활성을 상실하지 않기 때문에 보다 적은 양의 촉매 재고가 촉매 재생기(60)로 보내질 필요가 있지만 보다 많은 촉매 재고는 제2 반응기(200)에서 높은 수준의 제2 촉매 성분을 유지하기 위해 재생없이 리턴 도관(204)을 통해 라이저(212)로 재순환될 수 있다. 라인(216)은 제2 반응기(200)에서 나온 촉매의 유동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밸브를 이용하여 제2 반응기 용기(220)에서 나온 폐 촉매를 재생기 용기(60)로 운반한다. 촉매 재생기는 라인(216)을 통해 제2 반응기(200)와 하류 연통한다. 각각의 반응기에서 나온 촉매 조성물을 재생기(60)에서 분리하기 위한 수단이 가동될 수도 있다.
제2 반응기 라이저(212)는 임의의 적합한 조건, 예컨대 425 내지 705℃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550 내지 600℃의 온도, 및 40 내지 700 kPa (게이지)의 압력,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400 kPa (게이지)의 압력, 최적으로는 200 내지 250 kPa (게이지)의 압력에서 작동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제2 반응기 라이저(212)의 체류 시간은 5초 미만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초이다. 예시적인 라이저 및 작동 조건이 예를 들어 미국특허공개 제2008/0035527 Al호 및 미국특허 제7,261,807 B2호에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장치 및 방법의 일 독특한 특성은 제1 및 제2 반응기(10, 200)에서 나온 유출물의 별도 회수 처리이다. 본 출원인은 놀랍게도, 제1 및 제2 반응기의 생성물을 별도 처리하면, 동일 생성물 회수 섹션에서 함께 혼합된 반응기 유출물을 갖는 2개의 라이저 반응기 시스템과 비교했을 때, 프로필렌 수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투자 비용 및 설비 비용이 감소하는 점을 밝혀내었다. 별개의 생성물 회수 섹션으로 인해 파라핀을 이용한 제2 탄화수소 공급물의 희석이 덜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올레핀이 풍부한 공급물이 얻어진다. 파라핀을 이용한 제2 탄화수소 공급물의 희석이 덜함에 따라, 제2 탄화수소 공급 속도가 제2 촉매 반응기(200) 보다 낮고 가스 회수 섹션내 C4+ 물질의 재순환이 라인(142) 내 2차 흡수 희박유(lean oil)에 한정된다.
제2 반응기(200)에서 나온 제2 생성물은 라인(228)을 통해 제2 생성물 회수 섹션(230)으로 보내진다. 장치 및 방법의 또다른 측면은 세척 컬럼(30)에서, 제2 반응기(200)로부터 라인(228)을 통한 제2 생성물로부터의 열 회수이다. 세척 컬럼(30)은 제2 반응기(200)와 하류 연통하고 제1 반응기(10)와 상류 연통한다. 도 1은, 일 실시양태로서, 제1 반응기(10)용 제1 탄화수소 공급물을 운반하는 제1 탄화수소 공급 라인(6)을 도시하고 있으며, 제1 탄화수소 공급물은 세척 컬럼(30)에서 라인(228)을 통과한 제2 생성물과 접촉하여 제1 탄화수소 공급물(6)을 예열시키고 라인(228)을 통과한 제2 생성물을 냉각시킨다. 세척 컬럼(30)은 제1 탄화수소 공급 라인(6)과 하류 연통한다. 라인(228) 내 제2 생성물 스트림은 세척 컬럼(30)의 하부 섹션에 공급되고, 바람직하게는 향류 배치된 세척 컬럼(30)의 상부 섹션으로 공급되는 라인(6)의 제1 탄화수소 공급물과 접촉한다. 세척 컬럼(30)은 열 회수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순환 환류(미도시)를 가질 수 있지만 리보일러는 구비되지 않는다. 제2 생성물 스트림은 상대적으로 LCO, HCO 및 슬러리 오일을 거의 포함하지 않는데 이들은 제2 생성물 중 촉매 미분과 함께 라인(8)을 통해 세척 컬럼(30)의 탑저를 벗어나는 제1 탄화수소 공급물로 흡수되어진다. 세척 컬럼(30)은 제2 생성물 스트림의 열을 제1 탄화수소 공급 스트림으로 보내어 제2 생성물 스트림을 냉각하고 제1 탄화수소 공급 스트림을 가열하는 역할을 담당함으로써 열을 보존한다. 이러한 접촉에 의해, 제1 탄화수소 공급물(6)은 결국 140 내지 320℃로 가열될 수 있고 제2 반응기(200)에서 나온 제2 생성물에 존재할 수 있는 촉매를 골라낸다. 가열된 탄화수소 공급물은 라인(8)을 통해 세척 컬럼(30)을 벗어난다. 제1 반응기(10)는 라인(8)을 통해 세척 컬럼과 하류 연통한다. 골라내어진 촉매는 제1 반응기(10)에서의 반응을 추가로 촉진할 수 있다. 세척 컬럼은 35 내지 138 kPa (게이지) (5 내지 20 psig)의 탑정 압력 및 288 내지 343℃ (550 내지 650℉)의 탑저 온도에서 작동된다. 냉각된 제2 생성물은 라인(232)을 통해 세척 컬럼을 벗어난다.
냉각된 제2 생성물은 오버헤드 라인(232)을 통해 세척 컬럼(20)을 벗어나고, 부분적으로 응축된 다음 세척 컬럼 수용기(234)로 들어간다. 제2 생성물의 액체 부분은 세척 컬럼(30)의 상부 섹션으로 되돌려지고 제2 생성물의 기상 부분은 (세척 컬럼(30) 및 제2 반응기(200)와 하류 연통하는) 제3 압축기(24)로 보내진다. 제3 압축기(240)는 오직 하나의 단(스테이지)이거나 이후 하나 이상의 압축기(244)가 뒤따를 수 있다. 2단인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스테이지 압축 유출물이 냉각된 다음 인터스테이지 수용기(242)에 공급된다. 수용기(242)에서 나온 액체는 라인(252)을 통해 탈프로판기 컬럼(250)에 제공되지만 가스상은 라인(246)을 통해 제4 압축기(244)에 도입된다. 제4 압축기(244)에서 1379 내지 2413 kPa (게이지) (200 내지 350 psig)의 압력으로 압축된 가스성 제2 생성물 스트림은 라인(248)을 통해 라인(252)을 경유하여 탈프로판기 컬럼(250)에 공급된다.
탈프로판기 컬럼(250)은 제2 반응기(200)와 하류 연통한다. 탈프로판기 컬럼(250)에서, 압축된 제2 생성물 스트림의 분류가 진행되어 C3- 오버헤드 스트림과 C4+ 탑저 스트림이 얻어진다. 불필요하게 중복되는 장비를 없애기 위해, 제2 반응기에서 나온 제2 생성물 중 경질 부분을 운반하는 탈프로판기 컬럼 오버헤드 스트림은 가스 회수 섹션(120)에서 처리된다. 오버헤드 라인(154)은 C3- 물질의 오버헤드 스트림을 운반하여 라인(134)과 합류되고 가스 회수 섹션(120)의 1차 흡수기 컬럼(140)의 하부 섹션으로 들어간다. C3- 오버헤드 스트림의 중질 C3 탄화수소는 1차 흡수기 컬럼(140) 내 나프타 스트림으로 흡수된다. 이는 프로필렌과 건조 가스의 일반적인 회수를 가능하게 하고 중복되는 흡수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을 없애거나 경질 올레핀 분리 방식을 대체할 수 있다. 탈프로판기 컬럼(250)은 1379 내지 2413 kPa (게이지) (200 내지 350 psig)의 탑정 압력 및 121 내지 177℃ (250 내지 350℉)의 탑저 온도에서 작동한다. 탈프로판화 탑저 스트림은 라인(254)을 통해 탈프로판기 컬럼(250)의 탑저를 벗어난 다음 라인(254)을 통해 제2 탈부탄기 컬럼(260)으로 들어간다.
제2 탈부탄기 컬럼(260)은 제2 반응기(200)와 하류 연통한다. 제2 탈부탄기 컬럼(260)에서는, 압축된 제2 생성물 스트림 중 탈프로판화 부분이 분류되어 C4- 오버헤드 스트림과 C5+ 경질 나프타 탑저 스트림이 얻어진다. 오버헤드 라인(262)은 주로 C4 탄화수소로 이루어진 오버헤드 스트림을 추가 처리 또는 회수를 위해 운반한다. 제2 탈부탄기 컬럼(260)은 276 내지 690 kPa (게이지) (40 내지 100 psig)의 탑정 압력 및 93 내지 149℃ (200 내지 300℉)의 탑저 온도에서 작동한다. 탈부탄화 탑저 경질 나프타 스트림은 라인(264)을 통해 제2 탈부탄기 컬럼(260)의 탑저를 벗어나며 이후 추가 처리되거나 가솔린 풀로 보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은 가스 회수 섹션(120)에 영향을 미침이 없이 제2 생성물 회수 섹션(230)으로부터 재순환 물질을 제공하는 유연성을 가진다. 프로필렌의 목표 수율을 달성하기 위해 낮은 리사이클 유동율이 요구된다면, 일 실시양태에서는, 오버헤드 라인(262)의 증발된 C4 탄화수소가 응축 이전에 라인(266)으로 전향되고 제2 반응기로의 재순환을 위해 라인(190)으로 운반되어진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는, 제2 반응기(200)가 제2 탈부탄기 컬럼(260)의 오버헤드와 하류 연통될 수 있다. 탈부탄기 컬럼(260)으로부터 C4 탄화수소의 재순환은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다른 실시양태에서도 실시되어질 수 있다.
대안적인 일 실시양태에서는, 제1 탈부탄기 컬럼이 제1 탈프로판기 컬럼으로 대체되고 LPG 분리기 컬럼은 제거되며 그 결과 좀더 에너지 효율적이면서 투자금이 보다 낮은 구성이 가능하다. 도 2는 이러한 대안적인 실시양태를 보여준다. 도 1과 상이한 도 2의 구성요소는 참조부호에 프라임 표시(')가 되어 있다. 도 2의 다른 모든 항목은 도 1에서와 동일하다.
도 2에서 가스 회수 시스템(120')은 도 1과 상이하다. 스트리퍼 컬럼(146)에서 나온 액체 탑저 스트림이 라인(162)을 통해 제1 탈프로판기 컬럼(160')으로 보내진다. 탈프로판기 컬럼(160')은 제1 반응기(10)와 하류 연통하고 제1 반응기(10)에서 나온 제1 분해 생성물의 일부를 분류하여 C3- 오버헤드 스트림과 C4+ 탑저 스트림을 제공한다. 탈프로판기 컬럼에서 나와 라인(164')을 통과하는 오버헤드 스트림은 C3 올레핀계 생성물을 포함하며 이는 탈프로판기 컬럼(160')의 오버헤드와 하류 연통될 수 있는 프로판/프로필렌 분리기(미도시)로 보내질 수 있다. 라인(166')의 탑저 스트림은 C3+ 물질의 흡수를 돕기 위해 탈프로판화 나프타를 1차 흡수기(140)로 전달하기 위한 라인(168)과 나프타 분리기 컬럼(180)으로의 전달을 위한 라인(172')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나프타 분리기 컬럼(180)은 탈프로판기 컬럼(160')의 탑저와 하류 연통될 수 있다. 나프타 분리기 컬럼(180)에서는, 경질 나프타 스트림, 전형적으로 C4-C6 스트림이 가솔린 블렌딩 또는 추가 처리를 위해 라인(182')을 통해 오버헤드로부터 회수된다. 오버헤드 스트림은 증기 나프타 스트림을 라인(190')을 통해 제2 탄화수소 공급물로서 취하기 위해 응축 이전에 취해질 수 있다. 전형적으로 C7+ 물질을 포함하는 탑저 중질 나프타는 라인(184)을 통해 회수되거나 추가 처리될 수 있다.
도 2의 제2 생성물 회수 섹션(230') 또한 도 1과 상이한데, 탈프로판기 컬럼(250)이 제2 탈프로판기 컬럼이고 탈부탄기 컬럼(260)이 제1 탈부탄기 컬럼이다. 원하는 프로필렌 수율을 달성하기 위해 보다 큰 리사이클 속도가 요구되면, 제2 탈프로판기 컬럼 탑저물의 일부가 라인(254')을 통해 증발기 열 교환기(256)로 보내질 수 있다. 열 교환기(256)로부터 라인(258) 내 증발된 C4+ 탄화수소는 오버헤드 라인(182')내 경질 나프타 스트림과 합류되어 제2 탄화수소 공급물의 일부가 되어 라인(190')을 형성할 수 있다. 라인(255) 내 증발되지 않은 액체 부분은 이후 탈부탄기 컬럼(260)으로 보내질 수 있다. 도 2의 실시양태에서 라인(258) 내 탈프로판화 증기의 재순환은 본원의 임의의 다른 실시양태에서도 실시될 수 있다. 도 2의 실시양태의 다른 모든 측면은 도 1에서 기술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양태는 본 방법 및 장치로부터 나프타 분리기가 배제되지만 그 대신 탈부탄기 컬럼(160")으로부터 사이드 컷(side cut)을 취하며 그 결과 좀더 에너지 효율적이고 보다 낮은 투자 비용의 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도 1과 상이한 도 3의 구성요소는 참조번호에 이중 프라임 표시(")가 존재한다. 도 3의 다른 모든 항목은 도 1과 동일하다.
도 3의 가스 회수 시스템(120")은 도 1과 상이하다. 스트리퍼 컬럼(146)에서 나온 라인(162) 내 액체 탑저 스트림은 탈부탄기 컬럼(160")으로 보내진다. 탈부탄기 컬럼(160")은 제1 반응기(10)와 하류 연통하며 제1 반응기(10)에서 나온 제1 분해 생성물의 일부를 분류하여 C4- 오버헤드 스트림, C7+ 탑저 스트림, 및 탈부탄기 컬럼(160")에서 나온 라인(183) 내 사이드 컷으로서 C5-C7 탄화수소의 하트 컷(heart cut) 나프타 스트림을 제공한다. 분할 벽 컬럼이 탈부탄기 컬럼(160")으로 이용될 수 있지만 필수사항은 아니다. 사이드 컷은 바람직하게는 라인(162)에 대한 공급물 진입 지점 아래의 컬럼의 탑저 1/2 지점에서 취해지며 바람직하게는 증기 드로우(vapor draw)이다. 탈부탄기에서 나온 라인(164) 내 오버헤드 스트림은 C3-C4 올레핀계 생성물을 포함하며 이는 탈부탄기(160")의 오버헤드와 하류 연통하는 LPG 분리기(170)로 보내질 수 있다. 라인(166) 내 탑저 스트림은 C3+ 물질의 흡수를 돕기 위해 탈부탄화 나프타를 1차 흡수기(140)로 전달하는 라인(168)과 추가 처리 또는 회수를 위한 라인(172")으로 분리될 수 있다.
LPG 분리기(170)에서는, C3 물질이 오버헤드로부터 라인(174)을 통해 C3 분리기로 보내져 프로필렌 생성물을 회수할 수 있다. 탑저에서 나온 라인(176") 내 C4 물질은 가솔린 풀(gasoline pool)에서 블렌딩을 위한 생성물로서 회수되거나 추가 처리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는, 라인(176") 내 탑저 스트림이 재가열되고 컬럼으로 되돌려지는 증발된 C4 탄화수소의 일부와 라인(178)을 통한 재순환을 위한 이의 나머지 부분으로 분리된다. 라인(178) 내 증발된 스트림은 라인(183) 내 증기상 하트 컷 나프타와 혼합되어 라인(190")에서 경질 나프타 스트림을 형성한다. 이와 달리, 라인(176") 내 탑저 스트림은 전형적인 리보일러에서 재가열될 수 있고 라인(178) 내 재순환물은 별도의 증발기 열 교환기(미도시)에서 증발된다.
도 3의 제2 생성물 회수 섹션(230")은 도 1과 상이하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는, 라인(252)에 대한 공급물 진입 지점 아래의 탈프로판기 컬럼(250")의 탑저 가까이에서 사이드 증기 드로우(side vapor draw)로부터 취해진 탈프로판화 물질을 운반하는 리사이클 라인(258")이 사이드 컷 라인(183) 내 하트 컷 나프타 스트림 및 라인(178) 내 재가열된 증기상 스트림과 합쳐져 라인(190")을 형성할 수 있다. 모두 증기 스트림이며 따라서 증발시킬 필요가 없다. 일 실시양태에서, 라인(190") 내 혼합 경질 나프타 스트림은 제2 탄화수소 공급물로서 제2 촉매 반응기(200)로 전달되며, 상기 반응기(200)는 주 분류 컬럼(100)의 오버헤드, LPG 분리기의 탑저, 탈부탄기 컬럼(160")의 사이드 컷 및 탈프로판기 컬럼(250")의 사이드 컷과 하류 연통한다. 일 실시양태에서, 라인(190") 내 혼합 경질 나프타 스트림은 제2 촉매 반응기(200)로 공급되기 이전에 라인(190")에서 과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탈부탄기 컬럼(250") 탑저의 사이드 컷은 컬럼의 탑저 가까운 곳으로부터 증기 사이드 드로우를 라인(258")으로 끌어당겨 C4+ 증기를 제공하고, 라인(254) 내 탑저 스트림은 제2 탈부탄기 컬럼(260)으로 보내진다. 제2 탄화수소 공급물의 일부로서 재순환을 위해 탈부탄기(250")로부터 증기 사이드 컷을 취하는 도 3의 실시양태는 본원의 다른 실시양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는, 라인(190") 내 제2 탄화수소 공급물을 구성하는 모든 스트림이 증기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증발기가 필요없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양태에서는, 가스 회수 유닛의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나프타 분리기가 1차 흡수기 컬럼의 상류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양태는 1차 흡수 희박유의 분자량을 감소시키는 이점이 있고 또한 제2 탄화수소 공급물을 좀더 효율적으로 회수 및 가열할 수 있다. 1차 흡수기의 상류에 위치한 나프타 분리기를 사용하면, 중질 나프타가 상류 나프타 분리기에서 회수되기 때문에 제2 탄화수소 공급물이 탈부탄기 컬럼 탑저 또는 리보일러로부터 증기 드로우 형태로 회수될 수 있다. 도 1과 상이한 도 4의 구성요소는 참조번호의 100 단위 위치에 숫자 "4"를 표시하였다. 도 4의 다른 모든 항목은 도 1과 동일하다.
도 4의 가스 회수 시스템(420)은 도 1과 상이하다. 가스 회수 섹션(420)은 흡수계 시스템인 것으로 도시되지만, 침냉 시스템을 포함한 임의의 증기 회수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분류 컬럼에서의 온도 및 압력은 달리 언급이 없다면 도 1에서와 거의 동일하다. 경질 가스 성분들의 충분한 분리를 위해, 라인(102) 내 가스 스트림은 습윤 가스 압축기로도 알려진 압축기(122)에서 압축되며, 상기 압축기는 주 분류 컬럼 오버헤드 수용기(98)와 하류 연통한다. 임의 개수의 압축기 단(스테이지)이 사용될 수 있지만, 전형적으로 2단 압축이 이용된다. 2단 압축시, 압축기(122)에서 나온 압축 유체는 냉각된 다음 압축기(122)와 하류 연통하는 인터스테이지 압축 수용기(124)에 진입한다. 압축 수용기(124)의 탑저에서 나와 라인(426)을 통과하는 액체 및 주 분류 컬럼 오버헤드 수용기(98)에서 나와 라인(406)을 통과하는 불안정 나프타는 압축 수용기(124)와 하류 연통하는 나프타 분리기(480)로 흘러들어간다. 일 실시양태에서, 이들 스트림은 합류된 다음 함께 나프타 분리기(480)로 흘러들어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양태에서는, 라인(426)이 라인(406) 보다 높은 위치에서 나프타 분리기(480)로 흘러들어간다. 나프타 분리기(480)는 또한 제1 반응기(10) 및 주 분류 컬럼 오버헤드 수용기(98)의 탑저와 하류 연통한다. 일 실시양태에서, 나프타 분리기(480)는 주 분류 컬럼(100)의 오버헤드 수용기(98)의 탑저 및/또는 인터스테이지 압축 수용기(124)의 탑저와 직접적으로 하류 연통한다. 압축 수용기(124)의 탑정에서 나온 가스는 라인(128)을 통과해, 압축 수용기(124)와 하류 연통하는 제2 압축기(130) (습윤 가스 압축기로도 알려짐)에 진입한다. 제2 압축기(130)에서 나와 라인(131)을 통과하는 압축 유출물은 라인(138 및 142)을 통과하는 스트림과 합류되고, 가스 성분들은 부분적으로 응축되며, 모두 제2 압축기(130)와 하류 연통하는 제2 압축 수용기(132)로 흘러들어간다. 제2 압축 수용기(132)의 탑정에서 나온 압축 가스는 라인(134)을 통해 흐르면서 라인(482)을 통과하는 나프타 분리기 오버헤드 스트림의 진입 지점 보다 낮은 지점에서 1차 흡수기(140)로 진입한다. 1차 흡수기(140)는 제2 압축 수용기(132)와 하류 연통한다. 제2 압축 수용기(132)의 탑저에서 나온 액체 스트림은 라인(144)을 통과해 스트리퍼 컬럼(146)으로 들어간다.
나프타 분리기 컬럼(480)은 나프타를 라인(492)을 통과하는 중질 나프타 탑저물, 전형적으로 C7+으로 분리할 수 있고 이러한 물질은 라인(184) 상의 제어 밸브를 개방하고 라인(285)상의 제어 밸브를 폐쇄하여 라인(184)에서 회수되거나, 라인(285)상의 제어 밸브를 개방하고 라인(184)상의 제어 밸브를 폐쇄하여 라인(285)에서 추가 처리될 수 있다. 나프타 분리기 컬럼(48)에서 나온 오버헤드 스트림은 라인(482)을 통해 경질 나프타, 전형적으로 C7- 물질을 1차 흡수기 컬럼(140)으로 운반할 수 있다. 탈프로판기 컬럼(250)에서 나와 라인(154)을 통과하는 오버헤드 스트림은 라인(134)을 통과하는 압축 가스 스트림과 합류된 후 나프타 분리기 컬럼(1480)과 하류 연통하는 1차 흡수기 컬럼(140)으로 들어간다. 이 위치에서, 나프타 분리기 컬럼(480)은 오버헤드를 액상으로 유지하기 위한 탑정 압력, 예컨대 344 내지 3034 kPa (게이지) (50 내지 150 psig) 및 135 내지 191℃ (275 내지 375℉)의 온도에서 작동될 수 있다.
라인(134 및 154)을 통해 1차 흡수기 컬럼(140)에 공급된 가스성 탄화수소 스트림은 나프타 분리기 오버헤드에서 나와 라인(482)을 통과한 나프타와 접촉하여 향류 접촉에 의해 중질 탄화수소를 나프타 스트림으로 흡수시켜 C3+ 탄화수소 및 C2- 탄화수소를 분리한다. 탈부탄기 컬럼(460)의 저부에서 나와 라인(168)을 통과하는 탈부탄화 나프타 스트림은 라인(482)을 통과하는 나프타 분리기 오버헤드 스트림 보다 높은 위치에서 1차 흡수기 컬럼(140)으로 전달되며 이에 따라 C2- 탄화수소로부터 C3+의 추가적인 분리를 가능하게 한다. 1차 흡수기 컬럼(140)은 응축기 또는 리보일러를 이용하지 않지만 컬럼내 물질을 냉각하기 위해 1 이상의 순환 환류를 가질 수 있다. 1차 흡수기 컬럼의 탑저에서 나와 라인(142)을 통과하는 액체 C3+ 스트림은 냉각을 위해 응축기 상류의 라인(131)으로 되돌려진 다음 제2 압축 수용기(132)로 되돌려진다. 1차 흡수기(140)의 탑정에서 나와 라인(148)을 통과하는 배출 가스 스트림은 2차 또는 스펀지 흡수기(150)의 하부 단부로 보내진다. 라인(110)으로부터 전향된 라인(152)을 통과한 순환 LCO 스트림이 향류 접촉에 의해 라인(148)을 통과한 배출 가스 스트림 중 나머지 C5+ 물질 대부분과 몇몇 C3-C4 물질을 흡수한다. 라인(152)을 통과하는 순환 스트림 보다 C3+ 물질이 풍부한 라인(156)을 통과하는 제2 흡수기의 탑저에서 나온 LCO는 라인(156)을 통과한 후 라인(110) 용 순환 환류를 통해 주 컬럼(90)으로 되돌려진다. 주로 C2- 탄화수소로 이루어지고 황화수소, 아민 및 수소를 갖는 건조 가스를 포함하는 2차 흡수기(150)의 오버헤드는 라인(158)을 통해 제거되고 에틸렌 및 수소를 회수하기 위해 추가 분리될 수 있다.
제2 압축 수용기(132)의 탑저에서 나와 라인(144)을 통과하는 액체는 스트리퍼 컬럼(146)으로 보내진다. 대부분의 C2- 물질은 C3-C7 물질로부터 스트리핑되고 스트리퍼 컬럼(146)의 오버헤드에서 제거되며 먼저 응축됨이 없이 오버헤드 라인(138)을 경유하여 라인(131)으로 되돌려진다. 스트리퍼 컬럼에서 나와 라인(138)을 통과하는, C2- 물질, LPG 및 몇몇 경질 나프타를 포함하는 오버헤드 가스는 먼저 응축됨이 없이 라인(131)으로 되돌려진다. 따라서, 오직 경질 나프타만이 가스 회수 섹션(420)에서 순환된다. 라인(131)상의 응축기는 라인(138)을 통과한 오버헤드 스트림을 응축시킬 것이고, 라인(131)을 통과한 가스 압축기 배출물 및 1차 흡수기 컬럼(140)에서 나온 탑저 스트림(142)은 제2 압축 수용기(132)에서 증기-액체 분리가 이루어질 것이다. 스트리퍼 컬럼(146)은 1차 흡수기 컬럼을 경유하여 제1 반응기(10), 제2 압축 수용기(132)의 탑저, 1차 흡수기(140)의 탑저, 및 나프타 분리기(480)의 오버헤드와 하류 연통한다. 라인(162)을 통과하는 스트리퍼 컬럼(146)의 탑저 생성물은 경질 나프타가 풍부하다.
도 4는 스트리퍼 컬럼(146)에서 나온 액체 탑저 스트림이 라인(162)을 경유하여 제1 탈부탄기 컬럼(460)으로 보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탈부탄기 컬럼(460)은 제1 반응기(10), 제2 압축 수용기(132)의 탑저, 및 1차 흡수기(140)의 탑저 및 나프타 분리기(480)의 오버헤드와 하류 연통한다. 탈부탄기 컬럼(460)은 제1 반응기(10)에서 나온 제1 분해 생성물의 일부를 분류하여 C4- 오버헤드 스트림과 C5+ 탑저 스트림을 제공할 수 있다. 라인(466)을 통과한 탈부탄기 탑저물의 일부는 C3+ 물질의 흡수를 돕기위해 탈부탄화 나프타를 1차 흡수기 컬럼(140)으로 운반하는 라인(168)과, 두 개의 제어 밸브가 개방된 상태에서 임의적으로 라인(406)과 함께 탈부탄화 나프타를 나프타 분리기(480)로 재순환할 수 있는 라인(472)으로 분리될 수 있다. 원한다면, 탑저 생성물인 탈부탄화 나프타의 또다른 부분이, 라인(473)상의 제어 밸브를 개방하고 라인(472) 상의 하류 제어 밸브를 폐쇄한 상태에서 라인(473)을 통해 생성물로서 취해지거나, 하나의 분할(dividing) 벽 컬럼 또는 하나 이상의 통상적인 분류 컬럼일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별도 나프타 분리기(미도시)에서 원해지는 성질에 따라 2 이상의 컷으로 추가 분리될 수 있다. 탈부탄기에서 나와 라인(164)을 통과하는 오버헤드 스트림은 C3-C4 올레핀계 생성물을 포함하며 이는 탈부탄기 컬럼(460)의 오버헤드와 하류 연통하는 LPG 분리기 컬럼(170)으로 보내질 수 있다.
LPG 분리기 컬럼(170)에서는, 프로필렌 생성물을 회수하기 위해 C3 물질이 오버헤드로부터 라인(174)을 통해 C3 분리기로 보내질 수 있다. 탑저에서 나와 라인(476)을 통과하는 C4 물질은 가솔린 풀에서 블렌딩을 위해 생성물의 형태로 회수되거나 추가 처리될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라인(476) 내 C4 물질은 제2 탄화수소 공급물로서 (주 분류 컬럼(100)의 오버헤드, 1차 흡수기(140)의 탑저 및 LPG 분리기(170)의 탑저와 하류 연통하는) 제2 촉매 반응기(200)로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라인(476)을 통과한 C4 스트림은 증발기(488)에서 증발될 수 있으며, 증발된 나프타는 라인(490)을 통해 상기 증발기로부터 벗어나며 바람직하게는 제2 촉매 반응기(200)에 공급되기 이전에 과열된다. 제2 촉매 반응기(200)는 증발기(488)와 하류 연통한다. 일 실시양태에서, 경질 나프타 스트림은 탈부탄기(460)의 사이드에서 사이드 컷의 형태로 라인(483)을 통해 회수될 수 있다. 사이드 컷은 증발기에서 액체 스트림의 증발을 피하기 위해 증기 사이드 드로우로부터 취해질 수 있다. 라인(483) 내 나프타 사이드 컷은 라인(490) 내 증발된 C4 스트림과 혼합되어 라인(191)을 통과하는 제2 탄화수소 공급물이 얻어지고, 이에 따라 제2 반응기(200)는 증기 사이드 드로우를 경유하여 제1 탈부탄기 컬럼(460)과 하류 연통될 수 있다. 라인(191) 상의 열 교환기는 증발된 제2 탄화수소 공급물을 과열시킬 수 있다. 라인(483)용 증기 사이드 드로우는 제1 탈부탄기 컬럼(460)의 하부 1/2 지점 내 그리고 라인(162)용 공급물 진입 지점 아래여야 한다. 나프타 사이드 컷이 라인(483)을 통해 취해지면, 정상적인 작동하에서 라인(472) 상의 제어 밸브를 통해서는 극히 미량의 흐름만이 취해지는 데 이에따라 라인(472)은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라인(472)은 탈부탄기 컬럼(460)으로 이어진다면 중질 나프타의 축적을 제어하기 위해 여전히 사용될 수 있다.
도 4의 제2 반응기(200)의 작동은 일반적으로 도 1에서 기재한 바와 같다. 도 4의 제2 생성물 회수 섹션(430)의 작동은 일반적으로 하기의 예외사항을 제외하고는 도 1과 동일하다. 본 장치 및 방법은 가스 회수 섹션(420)에 영향을 미침이 없이 제2 생성물 회수 섹션(430)으로부터 재순환 물질을 제공하는 유연성을 가진다. 프로필렌의 목표 수율을 달성하기 위해 낮은 리사이클 유동율이 필요하다면, 제2 탈부탄기 컬럼(260)의 오버헤드 라인(262)에서 나온 증발된 C4 탄화수소는 라인(266)상의 제어 밸브의 개방을 통해 라인(266)을 통과하도록 전향될 수 있고 라인(476)으로 운반될 수 있다. 도 4는 전향된 C4 탄화수소가 충분히 증발되지 않아, LPG 분리기 탑저 스트림 내 C4 탄화수소를 공급 라인(478)으로 운반하는 라인(476)과 합류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라인(266 및 476) 내 두 스트림은 C4 탄화수소를 운반하며, 이에 따라 증발기 열 교환기(488)에서 함께 증발되기에 적합하다. 증발된 C4 탄화수소는 라인(490)을 통과하고 제2 탄화수소 공급물의 일부로서 제2 반응기(200)에 공급되기 이전에 열 교환기에서 과열될 수 있다.
추가의 일 실시양태에서, 나프타 분리기에서 나온 탑저 스트림은 라인(285) 상의 제어 밸브를 개방하여 라인(285)을 통해 제2 나프타 분리기 컬럼(290)으로 전향되어질 수 있다. 제2 나프타 분리기 컬럼은 공급물 입구와 라인(296)용 중간-컷 생성물 출구 사이에 배치된 분할 벽(292)을 구비할 수 있다. 분할 벽의 상부 및 저부 말단은 제2 나프타 분리기 컬럼(290)의 탑정 및 탑저 각각으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져 있으며, 이에 따라 유체가 분할 벽(292)의 위와 아래를 통과해 일측에서 반대측으로 흐를 수 있다. 나프타 분리기는 라인(294)을 통과하는 중간 나프타의 오버헤드 생성물, 중간-컷 생성물 출구를 통해 라인(296)을 통과하는 방향족이 풍부한 나프타 생성물, 및 탑저 생성물 라인(298)을 통과하는 중질 나프타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나프타 분리기 컬럼(290)은 본원의 임의의 실시양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또다른 실시양태에서는, 도 4에서와 같이 나프타 분리기가 가스 회수 섹션의 상류에 위치하지만, 탈부탄기가 탈프로판기 컬럼에 의해 대체되고 LPG 분리기 컬럼이 없으며, 이에 따라 유연성이 감소하기는 하지만 보다 에너지 효율적이고 투자금이 보다 낮은 구성이 가능하다. 도 4와 상이한 도 5의 구성요소는 참조번호의 100 단위를 숫자 "5"로 표시하였다. 도 5의 다른 모든 항목은 도 4와 동일하다.
도 5의 가스 회수 섹션(520)은 도 4의 실시양태와 상이하다. 라인(526) 내 인터스테이지 컴프레서 액체는 대안적으로 스트리퍼 컬럼(146)으로 향할 수 있다. 이러한 대안에서, 라인(526) 내 인터스테이지 압축기 액체는 라인(144) 보다 높은 진입 위치에서 스트리퍼 컬럼(146)으로 흘러들어간다. 이와 달리, 도 4에서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라인(526) 내 인터스테이지 압축기 액체의 전부 또는 일부가 나프타 분리기(480)로 흘러들어간다.
스트리퍼 컬럼(146)에서 나온 액체 탑저 스트림은 라인(162)을 통해 제1 탈프로판기 컬럼(560)으로 보내진다. 제1 탈프로판기 컬럼(560)은 제1 반응기(10)와 하류 연통하고 제1 반응기(10)로부터 제1 분해 생성물의 일부를 분류하여 C3- 오버헤드 스트림과 C4+ 탑저 스트림을 제공한다. 제1 탈프로판기 컬럼에서 나와 라인(564)을 통과하는 오버헤드 스트림은 C3 올레핀계 생성물을 포함하며 이는 탈프로판기 컬럼(560)의 오버헤드와 연통될 수 있는 프로판/프로필렌 분리기(미도시)로 보내질 수 있다. 라인(566) 내 탑저 스트림은 C3+ 물질의 흡수를 돕기 위해 탈프로판화 나프타를 1차 흡수기(140)로 전달하는 라인(568)과, 나프타 분리기 컬럼(480)으로의 재순환 또는 라인(473)을 통한 생성물 회수를 위한 라인(572)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경질 나프타 스트림은 라인(162)을 위한 공급물 진입 지점 보다 아래에 채택된 라인(583)을 통과하는 사이드 컷으로서 제1 탈프로판기 컬럼(560)의 사이드에서 회수될 수 있다. 사이드 컷은 주로 C4-C7 탄화수소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컷은 증발기에서 액체 스트림의 증발을 피하기 위해 증기 사이드 드로우로부터 취해질 수 있다. 라인(583) 내 나프타 사이드 컷은 라인(191) 내 제2 탄화수소 공급물 모두를 제공하거나 리사이클 라인(556) 내 증기상 탈프로판화 사이드 드로우 물질과 혼합되어 라인(191) 내 제2 탄화수소 공급물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반응기(200)는 증기 사이드 드로우 공급 라인(583)을 통해 제1 탈프로판기 컬럼(560)과 하류 연통될 수 있다. 라인(191) 상의 열 교환기는 증발된 제2 탄화수소 공급물을 과열시킬 수 있다.
탈프로판기 컬럼(560) 및 제2 생성물 회수 섹션(530)과 하류 연통하는 제2 반응기(200)의 동작은 일반적으로 도 4에서 기재한 바와 같다. 일 예외는, 라인(556)을 통해 제2 반응기(200)로의 재순환을 위한 증기 사이드 드로우가 제2 탈프로판기 컬럼(250)에서 채택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탈프로판기 컬럼(250)은 제2 탈프로판기 컬럼(250)이고 탈부탄기 컬럼(260)은 제1 탈부탄기 컬럼(260)이다. 이러한 실시양태의 다른 모든 측면은 도 1에서 기재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추가의 기교없이, 당업자는 상술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을 충분한 정도로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 따라서, 상기의 바람직한 특정 실시양태는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며 어떠한 형태로든 본 발명의 기재를 한정하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는다.
상기에서, 달리 언급이 없으면, 모든 온도는 섭씨로 표시되고, 모든 부 및 백분율은 중량부이다. 부가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로 표현된 제어 밸브는 두 라인을 선택하여 흐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의 기재로부터, 당업자는 본 발명의 필수적인 특성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용도 및 조건에 적합하도록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을 행할 수 있다.

Claims (10)

  1. 제1 유동 접촉 분해 반응기로 보내지는 제1 탄화수소 공급물을 제2 유동 접촉 분해 반응기에서 나온 제2 탄화수소 생성물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동 접촉 분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화수소 공급물을 세척 컬럼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제1 탄화수소 공급물을 상기 세척 컬럼으로부터 제1 반응기에 공급하는 단계;
    촉매를 상기 제1 반응기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제1 탄화수소 공급물을 상기 촉매와 접촉시켜 제1 분해 생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분해 생성물의 일부를 제2 탄화수소 공급물로 하여 제2 반응기에 공급하는 단계;
    촉매를 상기 제2 반응기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제2 탄화수소 공급물을 상기 촉매와 접촉시켜 제2 탄화수소 생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탄화수소 생성물을 상기 세척 컬럼에 공급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접촉 분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해 생성물의 일부를 상기 제2 반응기에 공급하기 이전에 증발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접촉 분해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해 생성물의 일부를 탈부탄화시켜 C4- 오버헤드 스트림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C4- 오버헤드 스트림으로부터 C4 탄화수소를 분리하여 상기 제1 분해 생성물의 일부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접촉 분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탄화 단계는 또한 상기 제1 분해 생성물의 일부로서 제공된 나프타의 사이드 컷(side cut)을 상기 제2 탄화수소 공급물로서 생성하는 것인 접촉 분해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나프타 분리기에서 탈부탄화 나프타 탑저 스트림을 분리하여 경질 나프타 스트림을 상기 제2 탄화수소 공급물의 일부로서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접촉 분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해 생성물의 일부를 탈프로판화시켜 C4+ 탑저 스트림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C4+ 탑저 스트림으로부터 경질 나프타 범위 탄화수소를 분리하여 상기 제1 분해 생성물의 일부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접촉 분해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화수소 생성물의 C4 스트림을 상기 제2 탄화수소 공급물의 일부로서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접촉 분해 방법.
  9. 세척 컬럼과 연통하는 제1 촉매 반응기;
    상기 제1 반응기와 연통하는 제2 촉매 반응기; 및
    상기 제2 반응기와 연통하는 상기 세척 컬럼
    을 포함하는 접촉 분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촉매 반응기와 연통하는 주 분류 컬럼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2 촉매 반응기는 상기 주 분류 컬럼과 연통하는 것인 접촉 분해 장치.
KR1020127011792A 2009-11-09 2010-10-28 두 개 반응기로부터 생성물을 회수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3040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614,938 2009-11-09
US12/614,938 US8354018B2 (en) 2009-11-09 2009-11-09 Process for recovering products from two reactors
US12/614,964 2009-11-09
US12/614,964 US8506891B2 (en) 2009-11-09 2009-11-09 Apparatus for recovering products from two reactors
PCT/US2010/054385 WO2011056691A2 (en) 2009-11-09 2010-10-28 Process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products from two reacto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0236A KR20120080236A (ko) 2012-07-16
KR101304041B1 true KR101304041B1 (ko) 2013-09-04

Family

ID=43970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1792A KR101304041B1 (ko) 2009-11-09 2010-10-28 두 개 반응기로부터 생성물을 회수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304041B1 (ko)
CN (1) CN102549113B (ko)
WO (1) WO201105669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11778B2 (en) 2013-12-17 2018-07-03 Uop Llc Process and apparatus for improving propylene yield from a fluid catalytic cracking process
CN113234482A (zh) * 2021-04-26 2021-08-10 福建福海创石油化工有限公司 一种生产精制重石脑油的系统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43477A1 (en) 2000-04-17 2002-04-18 Winter William E. Cycle oil conversion process incorporating shape-selective zeolite catalysts
US20040173503A1 (en) 2002-04-05 2004-09-09 Steven Stupin Combined hydrotreating process and configurations for same
US20060178546A1 (en) 2004-08-10 2006-08-10 Weijian Mo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middle distillate product and lower olefins from a hydrocarbon feedstock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0489A (en) * 1980-08-14 1982-01-12 Standard Oil Company (Indiana) Apparatus for the catalytic cracking of hydrocarbons
US4591425A (en) * 1984-12-14 1986-05-27 Ashland Oil, Inc. Cascading of fluid cracking catalysts
US20070185359A1 (en) * 2006-02-06 2007-08-09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Gasoline production by olefin polymerization
CN101045881B (zh) * 2006-03-31 2010-06-23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催化转化装置
CN100582200C (zh) * 2006-04-21 2010-01-20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一种提升管催化转化工艺及装置
US7491315B2 (en) * 2006-08-11 2009-02-17 Kellogg Brown & Root Llc Dual riser FCC reactor process with light and mixed light/heavy feed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43477A1 (en) 2000-04-17 2002-04-18 Winter William E. Cycle oil conversion process incorporating shape-selective zeolite catalysts
US20040173503A1 (en) 2002-04-05 2004-09-09 Steven Stupin Combined hydrotreating process and configurations for same
US20060178546A1 (en) 2004-08-10 2006-08-10 Weijian Mo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middle distillate product and lower olefins from a hydrocarbon feedst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0236A (ko) 2012-07-16
WO2011056691A2 (en) 2011-05-12
WO2011056691A3 (en) 2011-09-22
CN102549113A (zh) 2012-07-04
CN102549113B (zh) 2014-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4840B2 (en) Process for recovering products from two reactors
US8414763B2 (en) Process for recovering FCC product
US8263008B2 (en) Apparatus for improving flow properties of crude petroleum
KR101379539B1 (ko) Fcc 생성물을 회수하는 장치 및 방법
TWI440621B (zh) 於輕質烯烴碳氫化合物加工中之隔牆分離(dividing wall separation)
US20120141333A1 (en) Apparatus for recovering catalytic product
US20180079974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recycling cracked hydrocarbons
US7763165B1 (en) Fractionation recovery processing of FCC-produced light olefins
US8747654B2 (en) Process for recovering catalytic product
US8506891B2 (en) Apparatus for recovering products from two reactors
US8231847B2 (en) Apparatus for recovering FCC product
WO2012074691A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catalytic product
CN101517041B (zh) Fcc制成的轻质烯烃的吸收回收加工法
NO337658B1 (no) Fremgangsmåte for fluid katalytisk krakking av hydrokarboner.
KR101304041B1 (ko) 두 개 반응기로부터 생성물을 회수하는 방법 및 장치
US8007661B1 (en) Modified absorption recovery processing of FCC-produced light olefins
US9157037B2 (en) Process for improving flow properties of crude petroleum
US20240158323A1 (en) Process for recovering cracked product
US20240026234A1 (en) Process for cracking to light olefins
EP0066387B1 (en) Combination process for upgrading residual oils
US10011778B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improving propylene yield from a fluid catalytic cracking process
WO2010080249A1 (en) Process for improving flow properties of crude petrole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