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3523B1 - 물품연동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 Google Patents

물품연동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3523B1
KR101303523B1 KR1020110089301A KR20110089301A KR101303523B1 KR 101303523 B1 KR101303523 B1 KR 101303523B1 KR 1020110089301 A KR1020110089301 A KR 1020110089301A KR 20110089301 A KR20110089301 A KR 20110089301A KR 101303523 B1 KR101303523 B1 KR 101303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ccount
article
user
go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9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5996A (ko
Inventor
윤혁범
Original Assignee
윤혁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혁범 filed Critical 윤혁범
Priority to KR1020110089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3523B1/ko
Publication of KR20130025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5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3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3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printed characters having additional code marks or containing code marks
    • G06V30/2247Characters composed of bars, e.g. CMC-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 환경에서 물품관련 정보 교류의 활성화를 위한 물품연동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구성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물품에 물리적인 계정 물품을 식별하기 위한 기초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한 각종 정보의 기록을 포함하는 물품계정;전술된 물품계정에 사용자들이 기록한 정보들을 분배/관리하는 정보 처리부;물품계정에 접근하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부;물품계정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가 기록되어 접속의 매개가 되는 2차원 코드/RFID 태그 등과 같은 계정 접속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물품연동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Goods connected social network service}
본 발명은 물품을 이용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물품에 별도의 물품계정을 할당하고, 등록된 물품계정과 연결되는 2차원 코드나 RFID 태그 등을 물품에 부착한 뒤, 물품계정과 물품을 기반으로 이용자들에게 효율적인 물품관련 정보교환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에 관한 것이다.
1인 미디어, 1인 커뮤니티를 지향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웹을 통하여 다양한 사용자들이 효율적으로 관계를 맺고 소통하도록 도와주는 도구다. 초기 서비스들은 학교와 같은 제한된 정보에 의존한 사용자 분류 서비스나 이용자의 블로그나 홈페이지의 모양 꾸미기 정도의 기능 제공에 그쳤다. 하지만 현재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이메일 사용 내역, 소속집단, 과거 소속집단, 이용자의 현재 서비스 이용 현황 등의 다양한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낮은 탐색비용으로 빠르게 인간관계를 탐색하여 연결해주는 단계에 도달 하였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또 다른 발전 양상으로 볼 수 있는 것은 커뮤니티 수단으로서의 발전이다. 블로그와 같은 초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들은 상대방의 정보를 얻기 위해서 상대방이 정보를 게시한 위치까지 찾아가야 하는 서비스였다. 반면 현재는 자신이 관심을 가지고 등록한 대상이 정보를 갱신하면 자신에게도 정보가 갱신되므로 정보를 최신화하는 탐색비용이 크게 줄어들었다.
이러한 발전의 추세성을 두고 볼 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있어 제시될 수 있는 발전 모델은 우선 유효한 정보교류 대상을 보다 낮은 탐색비용으로 연결해주는 것; 그리고 최신 정보를 보다 낮은 탐색비용으로 이용자에게 전달해줄 수 있는 것 이어야 한다고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물품을 매개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서비스 대상 물품에 대한 관심을 공유하는 사람들의 교류를 촉진하는 서비스 시스템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물품을 매개로 이루어지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있어서, 물품을 식별하기 위한 기초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한 각종 정보의 기록을 포함하는 물품계정; 전술된 물품계정에 사용자들이 기록한 정보들을 분배/관리하는 정보 처리부; 물품계정에 접근하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부; 물품계정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가 기록되어 접속의 매개가 되는 2차원 코드/RFID 태그 등과 같은 계정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물품계정은 계정에 접속한 사용자가 본 계정이 해당 물품의 것임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됨이 바람직하며, 확인 정보에는 물품의 것임이 식별가능한 디지털 이미지와 물품의 명칭이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물품계정에는 계정에 접속한 사용자들이 물품에 대한 정보를 기록 할 수 있음이 바람직하다.
정보 처리부는 물품 계정에 접속한 사용자가 기록한 물품에 대한 정보를 구분하여 사용자들의 설정에 따라 실시간으로 물품의 소유자, 물품과 관련이 있는 이해 관계자 등에게 전해줄 수 있음이 바람직하다.
사용자 식별부는 계정에 접속한 사용자를 구분하여 접속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기능과 정보를 제한하는 기능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계정 접속부는 물품계정에 접속하기 위한 경로를 기록한 물리적 기록매체로 등록된 물품에 직접 부착되는 것이며, 2차원 코드/RFID 태그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단말기에서 인식 가능한 동시에 정확한 접속 경로에 대한 정보 기록이 가능한 매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물품 소유자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하여 오직 물품계정에의 접속 경로만을 기록하고 있음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물품연동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에 있어 등록된 물품에 대한 정보를 물품계정에 저장하고 유지하는 단계; 상기 물품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유사성이 높은 물품간에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단계; 사용자의 최종 승인에 의해 유사성을 가진 계정의 네트워크가 활성화 되어 물품계정간에 정보 교류가 이루어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물품에 관심이 있으나 관련정보의 습득 경로를 모르는 사람은 해당 물품의 계정 접속부를 인식하는 과정을 통해 물품 계정에 접근하여 물품의 주인 혹은 물품과 직접 관련된 사람들에게 연결을 시도할 수 있으므로 자신이 원하는 정확한 관련정보를 습득할 확률은 높이고, 정보의 탐색비용은 줄일 수 있다.
이때, 물품을 통한 연결과 정보의 교류는 물품계정을 경유하므로 개인정보와 같이 불필요한 이용자 정보의 노출은 적절하게 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해 물품의 소유자들이나 생산자, 판매자 같은 물품과 관련된 이해 당사자들이 물품과 관련된 정보를 효과적으로 교류할 수 있도록 연결 할 수 있다.
도 1a는 물품연동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구성도이다.
도 1b는 물품계정의 구성도이다.
도 1c는 계정 접속부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물품연동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일례이다.
도 3은 물품계정의 유사성에 따른 네트워크 구축 서비스의 일례이다.
도 4는 물품계정의 유사성에 따른 네트워크 구축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물품연동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구성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물품연동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계정 접속부(140)를 읽어들인 사용자가 통신망을 통하여 물품계정(110)으로의 접근을 시도하면, 사용자 식별부(130)를 거쳐 물품의 소유자 여부와 소유자와의 등록 관계 등을 확인하고, 물품계정(110)에 접속하여 원하는 정보를 기록/조회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식별부(130)는 물품계정(110)에 접근하는 사용자를 소유자 및 소유자와 관계가 있는 사용자, 소유자와 무관한 사용자, 물품과 관계가 있는 사용자 등으로 식별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식별에는 서비스 내부의 사용자 계정 뿐만 아니라 이용 가능한 외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계정까지 활용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식별부(130)에 식별된 사용자는 다수의 물품계정(110)을 소유하고 있을 수도 있으며, 다수의 물품계정(110)을 소유한 사용자가 접근할 경우 소유한 물품계정(110)의 목록과 최신정보를 종합해서 보여줄 수 있다.
이때, 정보 처리부(120)는 물품계정(110)에 접속한 사용자가 기록한 정보를 사용자 식별부에서 판별된 사용자 정보와 사전에 설정된 정보기록 설정에 따라 분류하여 물품의 소유자 및 각각의 정보와 관계도가 높은 사용자 및 물품계정의 유사성에 따른 네트워크로 묶여있는 다른 물품계정으로 보내주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처리부(120)에서 정보와 관계도가 높은 사용자는 물품 소유자의 친구나 가족과 같은 인간 관계상의 것과 동시에 물품의 제조사나 유통사와 같이 소유자와 인간 관계상으로는 무관하나 순수하게 해당 물품과는 연관이 있는 사용자일 수 있다.
상기 물품계정의 유사성에 따른 네트워크 구축은 도 3을 사용하여 후술한다.
도 1b는 물품계정(110)의 구성도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물품계정은 물품의 식별을 위한 정보가 기록된 기본 물품식별 정보부(111)와 물품에 대한 사용자들의 의견 및 각종 정보 등이 기록되는 물품관련 정보 기록부(112)를 포함하고 있음이 바람직하다.
이때, 물품 식별 정보부(111)는 접속한 이용자가 물품과 계정의 연동이 정상적인지 확인 할 수 있도록 모든 사용자에게 공개됨이 바람직하며, 물품의 식별에 대한 정보만이 기록되고 소유자에 대한 정보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물품관련 정보 기록부(112)는 상기 사용자 식별부(130)에서 식별된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현재 접속된 사용자의 열람과 기록 권한을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용도와 사용자 집단별로 다양한 계층을 설정 해둘 수 있고, 이후 모든 물품계정(110)을 통한 정보의 전달은 물품관련 정보 기록부(112)를 매개로 이루어진다.
도 1c는 물품 접속부(140)의 구성도이다.
도 1c를 참조하면, 물품 접속부는 물품(141)과 물품에 부착 또는 내장되는 RFID 태그(142)와 2차원 코드(143)와 같은 접속정보 기록매체로 구성되어 있음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접속정보 기록매체는 매체가 부착될 물품(141)의 제조 단계에서 사전에 물품계정에 등록 된 물품(141)에 내장하여 제거가 곤란한 구조로 만들어 질 수 있으며, 물품(141)을 구입한 사용자가 직접 물품(141)의 계정을 등록 한 후 발급받아 부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접속정보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정보는 물품계정(110)으로의 접속 경로만을 기록하여 불필요한 사용자 개인정보의 노출을 최소화 한다.
도 2는 물품연동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일예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서비스에 등록되어 2차원 코드로는 QR코드(ISO/IEC 18004)와 RFID 태그로는 근거리 무선 통신(ISO/IEC 18092) 태그로 구성된 계정 접속부를 부착 혹은 내장한 물품(210)을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며 계정 접속부를 인식 할 수 있는 단말기(220)로 인식하여 물품계정에 접근하면, 사용자 식별 절차를 거쳐(230) 각각의 사용자 집단으로 분류한 뒤, 물품 계정의 사용 가능한 기능에 차별을 두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물품에 관심을 가지고 접속한 제3자는 제한적 물품계정 이용(240)이 가능하며, 소유자의 설정에 따라 물품 소유자나 물품 제조사에 문의사항을 전하는 정도의 기능만이 가능하거나 혹은 물품의 기본 물품식별 정보부(111)에 기록된 내용만을 볼 수 있게 하는 것도 소유자의 설정에 따라 가능할 것이다.
본 일예에서는 물품 소유자가 상기 제3자에 대한 제한적 물품계정 이용(240) 정도를 소유자나 제조사에 메세지를 남기고 자신에게 전달된 답변을 볼 수 있는 정도로 설정해 두었다고 하면, 물품계정(110)에 접속한 제3자는 물품 자체에 대한 궁금증을 물품 제조사와 같은 물품과 관계있는 사용자들에게 문의 할 수 있으며, 물품 소유자에 대한 개인적인 메세지를 남기는 것도 가능하여 잘 모르는 타인의 가방에 전달 사항을 적은 메모를 꼽아두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도 이용할 수 있는 동시에, 전술된 바와 같이 메세지가 물품계정(110)의 물품관련 정보 기록부(112)를 통해서 전달되어 메세지를 남기는 제3자나 물품의 소유자를 포함한 모든 사용자들은 개인정보의 노출 정도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식별 절차(230)에서 외부 소셜 네트워크 계정이나 본 서비스 자체 계정에서 물품 소유자의 지인으로 확인된 사용자는 소유자의 설정에 따라 물품계정(110)의 커뮤니티 기능이 활성화(250) 될 수 있으며, 여타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들이 가지는 연락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물품계정(110)에 접속한 사용자가 물품(210)의 소유자라면 물품계정(110)의 모든 기능이 활성화 되며, 전술된 여타 사용자들이 이용 가능한 기능들을 설정하는 등의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모든 세세한 설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품연동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물품계정의 유사성에 따른 네트워크 구축 서비스의 일예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중앙에 진한색 원으로 표시된 기준 물품계정에 대하여 주변 물품계정들을 물품 종류별(310), 물품 제조사별(320), 물품계정 소유자의 친분별(330)과 같이 유사성의 척도로 삼을 수 있는 요소들을 이용하여 분류 한뒤, 다음, 유사성에 대한 일치도가 높은 계정 순서로 물품 소유자에게 물품계정 네트워크 구축을 추천할 수 있고, 마지막으로, 사용자의 확인에 의해 물품계정 네트워크가 활성화 되면 각각의 물품계정에 기록되는 정보들이 공유되어 물품의 소유자는 자신의 물품 혹은 자신이 관심을 가지는 물품에 대한 정보를 보다 빠르고 쉽게 얻을 수 있다.
이때, 물품계정 소유자의 친분별(330)로 유사성을 분류하기 위하여, 전술된 사용자 식별부(130)에서 식별을 위하여 사용 된 외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계정의 정보를 참고 할 수 있다.
상기 유사성의 척도로 삼을 수 있는 요소들을 이용하여 분류 하는 과정은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수정될 수 있다. 본 일례에서 물품 제조사나 유통사가 제품에 대한 피드백 경로를 만드는 예를 들자면 도 3에서 물품 종류별(310), 물품 제조사별(320) 분류만을 선택하여 물품계정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이 된다. 또한 전술된 물품계정 네트워크는 정보의 참조만을 위한 일방적 관계로도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물품계정의 유사성에 따른 네트워크 구축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 (S410)에서는 사용자의 설정 혹은 서비스의 기본 설정에 따라 유사성의 척도에 따른 분류 작업을 실시하며, 물품계정(110)에 기록된 물품과 관련된 정보들 및 사용자 식별부(130)에서 식별된 사용자의 기존 소셜 네트워크 구성 상태 등을 참조할 수 있다.
단계 (S420)에서는 유사성의 일치도에 따라 물품계정 네트워크를 추천하며, 물품의 소유자에게 가장 일치도가 높은 대상부터 추천하되,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추천 리스트 내부에서 재검색을 지원 할 수 있다.
단계 (S430)에서는 상기 단계 (S420)에서 사용자에게 제시된 추천리스트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물품계정 사이의 네트워크가 연결되며, 양 물품계정 소유자의 선택에 의해 두 계정은 쌍방적 혹은 일방적 연결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물품연동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물품계정을 경유하여 관련정보가 저장/전달/전파/수집 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물품관련 정보를 얻기위해 투자해야 하는 탐색비용과 불필요한 개인정보 노출 빈도를 줄이며, 물품계정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유사성 높은 물품을 소유한 계정간의 정보 교류를 촉진시켜 사용자의 만족도를 극대화 할 수도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이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것들이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110 물품계정
111 기본 물품식별 정보부 112 물품관련 정보 기록부
120 정보 처리부
130 사용자 식별부
140 계정 접속부
141 물품계정에 등록된 물품 142 계정 접속 경로가 기록된 RFID 태그
143 계정 접속 경로가 기록된 2차원 코드
210 물품 계정이 등록되었으며 계정 접속부를 내장한 물품
220 인터넷 및 계정 접속부의 인식이 가능한 단말기
230 서비스 프레임
310 물품 종류별 유사성 분류 예시
320 물품 제조사별 유사성 분류 예시
330 계정 소유자의 친분별 유사성 분류 예시
340 유사성에 따른 물품계정 네트워크 1순위 추천
350 유사성에 따른 물품계정 네트워크 2순위 추천
360 유사성에 따른 물품계정 네트워크 3순위 추천

Claims (11)

  1. 물품연동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
    물품을 식별하는 정보이자 기본적으로 공개되어 있는 기초 정보를 저장하는 기본 물품식별 정보부 및 허가된 이용자로 식별된 단말기에서 열람이 되는 일반 물품 관련 정보와 설정의 기록을 포함하는 물품관련 정보 기록부를 포함하는 물품 계정;
    전술된 물품계정에 입력된 정보들을 분배/관리하는 정보 처리부;
    물품계정에 접근하는 단말기의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부;
    물품계정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가 기록되어 접속을 매개하는 2차원 코드 / RFID 태그인 계정 접속부
    를 포함하는 물품연동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2. 물품연동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물품 식별을 위한 물품에 대한 기본 정보를 등록된 물품계정의 기본 물품식별 정보부에 저장하고 유지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물품에 대한 관련 정보를 등록된 물품계정의 물품관련 정보 기록부에 저장하고 유지하는 단계;
    정보 처리부에서 서비스 설정에 따른 유사성의 척도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된 물품에 대한 정보와 선택된 유사성의 척도 사이에 내용이 일치하는 숫자가 많은 순서로 물품의 유사성이 높다고 처리하여 우선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단계;
    사용자의 최종 승인에 의해 정보 처리부 내부에 구성된 상기 물품 계정의 네트워크가 활성화되어 물품 계정의 물품관련 정보 기록부 사이에 정보 교류가 이루어지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물품연동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 식별을 위한 계정과 분리되어 한명의 사용자가 다수의 물품계정을 소유할 수 있는 물품계정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물품연동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물리적으로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계정 접속부를 통하여 물품이나 물품의 소유자에 관심이 있는 제3자가 물품계정에 접근할 수 있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물품연동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물품계정에 기록된 정보를 사용자 식별부에서 판별된 사용자 정보와 정보기록 설정에 따라 분류하여 물품의 소유자 및 각각의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 사용자에게 보내주는 정보 처리부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물품연동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제 2 항에 있어서,
    물품 계정에 대한 유사성의 척도를 사용자로 식별된 단말기에서 전송된 입력에 의해 수정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유사성의 척도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연동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10. 제 2 항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단계는 사용자 식별부에서 확인된 사용자의 외부 소셜 네트워크 계정에서 가져온 정보를 유사성의 척도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연동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11. 제 2 항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단계에서 정보 처리부가 연결 대상으로 추천된 양 물품계정 소유자의 선택에 의해 두 물품계정이 쌍방적 혹은 일방적 연결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물품연동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KR1020110089301A 2011-09-03 2011-09-03 물품연동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KR101303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301A KR101303523B1 (ko) 2011-09-03 2011-09-03 물품연동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301A KR101303523B1 (ko) 2011-09-03 2011-09-03 물품연동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5996A KR20130025996A (ko) 2013-03-13
KR101303523B1 true KR101303523B1 (ko) 2013-09-10

Family

ID=48177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9301A KR101303523B1 (ko) 2011-09-03 2011-09-03 물품연동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352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7809A (ko) * 2005-03-07 2006-09-18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정보 제공 서버와기록매체
JP2008123187A (ja) * 2006-11-10 2008-05-29 Zaxas Associates:Kk 情報提供システム
KR20100101041A (ko) * 2009-03-07 2010-09-16 이만희 구매자 중심의 인터넷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91349B1 (ko) * 2010-10-14 2011-12-07 홍성표 유무형 상품의 정보, 리뷰를 웹 및 에스엔에스(sns)를 통해 전파, 공유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7809A (ko) * 2005-03-07 2006-09-18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정보 제공 서버와기록매체
JP2008123187A (ja) * 2006-11-10 2008-05-29 Zaxas Associates:Kk 情報提供システム
KR20100101041A (ko) * 2009-03-07 2010-09-16 이만희 구매자 중심의 인터넷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91349B1 (ko) * 2010-10-14 2011-12-07 홍성표 유무형 상품의 정보, 리뷰를 웹 및 에스엔에스(sns)를 통해 전파, 공유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5996A (ko) 2013-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7976B2 (en) Electronic business/personal card and method of use thereof
US10019747B2 (en) Enhancing a user's shopping experience
US20180182189A1 (en) Displaying targeted messages on display screens of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terminals
JP4334980B2 (ja) 物品管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US20120209783A1 (en) Systems and methods used in the operation of a recycling enterprise
JP4865904B1 (ja) アフィリエイトシステム及びアフィリエイト方法並びにサーバ
US20170076352A1 (en) Peer-to-peer item sharing through personal virtual shopping carts
JP5422002B2 (ja) プロフィールデータを追加する方法、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053980B1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컨텐츠 제공 방법
JP6696146B2 (ja) 位置情報通知システム
KR101303523B1 (ko) 물품연동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JP2009277173A (ja) 携帯電話による商品情報保管、検索システムと商品購入支援システム
JP2011154615A (ja) Id管理システム
US20190347427A1 (en) Establishing communications between once physically proximate users
KR100830743B1 (ko) 전자식별코드를 이용한 미아찾기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6155296A (ja) 遺失物管理システム、遺失物管理方法及び遺失物管理プログラム
JP2006021850A (ja) 物品保管管理システム
KR102130968B1 (ko) 사물의 식별코드 생성에 기초한 사물 인터넷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JP2004118674A (ja) 客引き支援システム並びに情報提供サーバ
KR101761345B1 (ko) 글감 첨부 포스팅 방법, 서비스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JP7283277B2 (ja) サーバー装置、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20150042949A (ko) 사물의 식별코드를 이용한 사물과의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JP6762119B2 (ja) 登録管理システム、登録管理方法、および登録管理プログラム
CA3170775A1 (en) Retail methods and systems
AU2011100273A4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 Venue Patr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