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3243B1 - 와이어 스퀴즈 리미터를 가지는 단자 용접 탭 - Google Patents

와이어 스퀴즈 리미터를 가지는 단자 용접 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3243B1
KR101303243B1 KR1020097001902A KR20097001902A KR101303243B1 KR 101303243 B1 KR101303243 B1 KR 101303243B1 KR 1020097001902 A KR1020097001902 A KR 1020097001902A KR 20097001902 A KR20097001902 A KR 20097001902A KR 101303243 B1 KR101303243 B1 KR 101303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
post
segment
welding
w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1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0307A (ko
Inventor
토마스 에이 혼
Original Assignee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40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0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3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3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023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between cables or wires and termi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6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positioning the molten material, e.g. confining it to a desired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002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ions to coils, e.g.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3/022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without preliminary removing of insulation before soldering o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6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
    • B23K2101/38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2007/062Details of terminals or connectors for electro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일 실시예는 적어도 제1 용접 탭(22)을 포함하는 전기적 연결 단자(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용접 탭(22)은 외부면(23)과 용접 가능한 내부면(33)을 포함한다. 상기 용접 가능한 내부면(33)은 대체로 평평한 제1 부분(25) 및 대체로 평평한 제2 부분(27)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부분(25) 및 제2 부분(27)은 동일한 평면 상에 있지 않다.
전기, 연결, 단자, 용접, 탭, 와이어, 압착,

Description

와이어 스퀴즈 리미터를 가지는 단자 용접 탭{TERMINAL WELD TAB HAVING A WIRE SQUEEZE LIMITER}
<관련 출원들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06년 7월 19일에 제출된 미국 가출원 제60/831,757호의 이익을 주장하고 있으며 2007년 4월 3일에 제출된 미국 가출원 제60/909,739호의 이익을 주장하고 있다.
명세서가 관련된 분야는 전기적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제품들 및 이를 제조하며 사용하는 방법들을 포함한다.
전기적 연결 단자들은 와이어들 또는 연결 포스트들(connection posts)에 납땜, 용접, 또는 크림핑되어 왔다. 상기 단자들은 일반적으로 다른 단자에 압착함으로써 전기적 연결을 하기 위한 암 연결부(female connection portion), 수 연결부(male connection portion) 또는 압착 전기적 연결부(press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를 포함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와이어는 솔레노이드 코일의 연결 포스트의 주위에 감겼으며 단자는 상기 와이어에 용접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제1 용접 탭(first weld tab)을 포함하는 전기적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제품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용접 탭은 외부면과 용접 가능한 내부면을 포함한다. 상기 용접 가능한 내부면은 대체로 평평한 제1 부분과 대체로 평평한 제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은 동일한 평면 상에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포스트와 솔레노이드 밸브의 자기 코일의 와이어의 일부에 용접되도록 조립되어 배열되는 전기적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제품을 포함한다. 상기 단자는 자기 와이어 스퀴즈 리미터를 포함하는 용접 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일 부분을 노출되게 하고 상기 포스트의 일 부분의 둘레에 감긴 와이어의 일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외부면과 용접 가능한 내부면을 포함하는 적어도 제1 용접 탭을 포함하는 전기적 연결 단자가 제공된다. 상기 용접 가능한 내부면은 대체로 평평한 제1 부분과 대체로 평평한 제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은 동일 평면 상에 있지 않다. 상기 대체로 평평한 제1 부분은 상기 포스트의 노출된 부분에 용접된다. 다른 실시예는 상기 포스트의 둘레에 감긴 상기 와이어의 부분에 상기 대체로 평평한 제2 부분을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은 아래에 제공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상세한 설명과 구체적인 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지만, 단지 설명의 목적으로 의도된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 아니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들로부터 보다 완전하게 이해될 것이며:
도 1은 전기적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제품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도 1의 선 2-2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도 1의 선 3에 따라서 아래로부터 보이는 도 1의 제품을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전기적 연결 단자와 포스트의 둘레에 감기는 와이어의 일 부분을 가지는 상기 포스트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을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유용한 포스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스트의 둘레에 감긴 와이어를 가지는 상기 포스트의 일 부분 위에 위치되는 용접 탭을 가지는 전기적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제품의 평면도이다.
도 7은 포스트의 둘레에 감긴 와이어를 가지는 상기 포스트의 둘레에 용접 탭을 가지는 전기적 연결 단자를 용접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포스트의 부분의 둘레에 감긴 와이어를 가지는 상기 포스트에 용접 탭을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정을 나타내고 있다.
도 9는 그 위에 절연층을 가지는 와이어 및 포스트에 전기적 연결 단자를 용 접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는 용접하는 공정이 절연층을 재로 만들도록 상기 포스트의 일 부분의 둘레에 감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정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유용한 자기 코일의 보빈에 연결된 포스트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은 수 블레이드(male blade)를 가지는 전기적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는 두 개의 용접 탭들을 가지는 전기적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은 두 개의 용접 탭들을 포함하는 전기적 연결 단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전기적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제품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제품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포스트의 둘레에 감긴 와이어의 부분을 가지는 상기 포스트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및 전기적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도 14의 제품의 사시도이다.
실시예(들)의 아래의 설명은 사실상 오직 예시적일 뿐이고 본 발명, 그 응용, 또는 용도들을 제한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 아니다.
이제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 용접 탭(22)을 가지는 전기적 연결 단자(20)일 수도 있는 제품을 포함한다. 상기 단자 용접 탭(22)은 적어도 제1 탭 세그먼트(24)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자 용접 탭(22)은 자유 단부(30)를 가지는 제2 탭 세그먼트(26)를 포함한다. 제3 탭 세그먼트(28)는 상기 제1 탭 세그먼트(24)와 상기 제2 탭 세그먼트(26)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탭 세그먼트(24), 제2 탭 세그먼트(26), 및 제3 탭 세그먼트(28)가 포스트(56)의 일 부분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상기 단자 용접 탭(22)은 구부러질 수도 있고 상기 포스트(56)의 상기 일 부분에서 상기 단자 용접 탭(22)은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용접될 것이다. 각각의 상기 제1 탭 세그먼트(24), 제2 탭 세그먼트(26), 및 제3 탭 세그먼트(28)는, 만약 존재한다면, 외부면(23)과 용접 가능한 내부면(33)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용접 가능한 내부면(33)은 압인부(coined portion, 32)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용접 가능한 내부면(33)은 대체로 평평한 제1 부분(25)과 대체로 평평한 제2 부분(27)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제1 부분(25) 및 제2 부분(27)은 동일한 평면 상에 있지 않다. 도 3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단자 용접 탭(22)이 상기 외부면(23)으로부터 선(A)에 의해 나타낸 제1 두께를 가지는 상기 용접 가능한 내부면(33)의 상기 대체로 평평한 제1 부분(25)으로 연장된 제1 부분(52)을 포함하도록 상기 단자 용접 탭(22)이 조립되어 배열될 수도 있다. 상기 용접 탭의 제2 부분(54)은 상기 외부면(23)으로부터 상기 용접 가능한 내부면(33)의 상기 대체로 평평한 제2 부분(27)까지 연장된, 선(B)에 의해 나타낸, 두께를 가지며, 이에 따라 압인부(32)를 제공한다. 상기 단자 용접 탭(22)의 상기 압인부(32)는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용접 공정 중에 포스트(56)의 둘레에 감긴 와이어(60)에 가해질 수 있는 압력의 양을 제한하는 자기 와이어 스퀴즈 리미터(magnetic wire squeeze limiter)를 제공하기 위해 조립되어 배열된다. 상기 압인부(32)는, 예를 들어, 상기 용접 탭(22)의 일 부분을 스탬핑하거나 롤 프레싱(roll pressing)함으로써 만들어질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압인 영역(압입)은 0.23 mm이며 상기 제1 부분(52)의 두께(선(A))는 0.8 mm이며 상기 제2 부분(54)의 두께(선(B))는 0.57 mm이다. 상기 포스트(56)는 보빈(58)에 장착될 수도 있으며 그 둘레에 상기 와이어(60)가 자기 코일을 제공하기 위해 감길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각형 포스트(56)는 상기 보빈(58)에 상기 포스트(56)를 장착하기 위해 상기 보빈(58)의 내부에 형성된 둥근 구멍으로 압입될 수도 있다.
상기 전기적 연결 단자(20)는 상기 단자 용접 탭(22)이 연장될 수 있는 몸체부(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기적 연결부(31)는 또한 다른 단자에 전기적 연결을 하기 위해 상기 몸체부(34)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전기적 연결부(31)는 암 부분(female portion), 수 부분(male portion) 또는 다른 단자의 일 부분에 압착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조립되어 배열되는 압착 단자 부분(press terminal portion)을 포함한, 그러나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 본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사람들에게 알려진 어떠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도 1 내지 4에 나타내어진 실시예는 그의 단부 근처에 제1 돌출부(first nub, 40)를 가질 수도 있는 상부 조(upper jaw, 38)와 그의 단부 근처에 제2 돌출부(44)를 가질 수도 있는 하부 조(lower jaw, 42)를 포함하는 암 부분을 포함한다. 개구부(46)는, 예를 들어, 다른 단자의 수 블레이드(male blade)를 받아들이기 위해 상기 상부 조(38)와 하부 조(42)의 사이에 제공된다. 도 1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전기적 연결 단자(20)는 지지 블레이드(48)와 압인 영역들(50, 5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블레이드는 상기 단자를 상기 보빈(58)에 장착하기 위해 상기 보빈(58)의 내부에 형성된 슬롯으로 압입될 수도 있다. 상기 압인 영역들(50, 52)은 추가적인 강력을 제공한다.
이제 도 5 내지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포스트(56)는 제1 평탄면(62)과 반대편의 제2 평탄면(64)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포스트(56)는 제3 평탄면(66)과 반대편의 제4 평탄면(68), 및 상부면(63)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용접 가능한 내부면(33)의 상기 대체로 평평한 제1 부분(25)이 상기 포스트(56)의 노출된 부분의 상기 제1 평탄면(62)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상기 전기적 연결 단자(20)가 배열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탭 세그먼트(26)의 상기 용접 가능한 내부면(33)의 상기 대체로 평평한 제1 부분(25)은 상기 포스트(56)의 노출된 부분의 상기 제2 평탄면(64)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상기 제1 탭 세그먼트(24)와 제2 탭 세그먼트(26)의 상기 용접 가능한 내부면(33)의 상기 대체로 평평한 제2 부분(27)은 상기 포스트(56)의 둘레에 감긴 상기 와이어(60)의 부분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1 탭 세그먼트(24)의 상기 대체로 평평한 제1 부분(25)이 상기 포스트(56)의 노출된 부분의 상기 평탄면(62) 에 용접되도록 상기 제1 탭 세그먼트(24)의 상기 대체로 평평한 제1 부분(25)이 상기 포스트(56)의 노출된 부분의 상기 제1 평탄면(62)을 맞물도록 제1 용접 전극(74)이 상기 단자 용접 탭(22)의 상기 외부면(23)에 대응하여 배열되는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제2 탭 세그먼트(26)의 상기 대체로 평평한 제1 부분(25)이 상기 포스트(56)의 노출된 부분의 상기 평탄면(64)에 용접되도록 제2 용접 전극(76)이 상기 단자 용접 탭(22)의 상기 제2 탭 세그먼트(26)의 상기 외부면(23)에 대응하여 압착된다. 동시에, 상기 제1 탭 세그먼트(24)의 상기 대체로 평평한 제2 부분(27)과 상기 제2 탭 세그먼트(26)의 상기 대체로 평평한 제2 부분(27)은 상기 포스트(56)의 둘레에 감긴 상기 와이어(60)의 일 부분에 각각 용접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적당한 용접 파라미터들은 약 0.7 내지 0.76 볼트와 약 9에서 약 15 파운드 력(pounds force)의 범위의 압력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제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7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포스트(56)의 둘레에 둘러싸이는 대신에, 상기 포스트(56)의 상부면(63)에 걸쳐서 둘러싸이는 용접 탭(22)을 포함한다. 제1 부분(52) 및 제2 부분(54)은 여전히 상기 용접 탭(22)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제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그 위에 절연 코팅(101)을 포함하는 와이어(60)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용접 탭(22)이 상기 포스트(56)와 상기 와이어(60)에 용접됨에 따라, 상기 절연 코팅(101)은 상기 용접 공정 동안에 재가 된다. 도 7 내지 9에 의해 나타내어진 상기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상기 포스트(56)의 둘레에 감긴 상기 와이어(60)에 가해지는 압력이 제한되도록 더 큰 압력이 상기 전극들(74, 76)에 의해 상기 용접 탭(22)의 상기 제2 부분(54)에 비교되는 상기 용접 탭의 상기 제1 탭 세그먼트(24) 및 제2 탭 세그먼트(26) 각각의 상기 제1 부분(52)에 가해질 수도 있도록 상기 전극들(74, 76)은 조립되어 배열될 수도 있으며 상기 용접 공정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제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중 포펫 저 누설 가변 유출 솔레노이드 밸브(dual-poppet low leak variable bleed solenoid valve)일 수도 있는 제품(100)을 포함한다. 상기 밸브(100)는 보빈(58)의 둘레에 감긴 코일(118)을 가지는 상기 보빈(58)을 수용한 하우징(114)을 포함하는 솔레노이드부(124b)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코일(118)은 상기 와이어(60)로부터 만들어진다. 제1 포스트(56a)는 하나의 위치에서 상기 보빈(58)에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114)을 통해 연장된다. 상기 제1 포스트(56a)는, 예를 들어, 상기 코일(118)을 위한 플러스 단자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제2 포스트(56b)가 제2의 위치에 제공되어 상기 보빈(58)에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114)을 통해 연장된다. 상기 제2 포스트(56b)는, 예를 들어, 상기 코일(118)을 위한 마이너스 단자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 중의 하나에 따른 전기적 연결 단자(20)(도시되지 않음)는 상기 제1 포스트(56a) 및 제2 포스트(56b) 각각에 용접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부(124b)는 단부 캡(120)의 둘레에 배열되는 배기 포트들(exhaust ports, 122)을 가지는 상기 단부 캡(12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밸브(100)는 상기 솔레노이드부(124b)에 연결되는 밸브 하우징(126)을 가지는 유압부(124a)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밸브 하우징(126)은 상기 보빈(58)에 인접한 상기 솔레노이드부(124b)로 슬라이딩하는 유동관부(flux tube portion, 128)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유압부(124a)는 상기 밸브 하우징(126)의 단부에 위치되는 체적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 포트(132)는 상기 체적 제어부(130)의 상부에 위치되는 지점에서 상기 밸브 하우징(126)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밸브 하우징(126)은 외부의 구멍과 연결되며 제1 오링 실(first O-ring seal, 133)은 상기 밸브 하우징(126)의 외부에 있는 공급 압력 영역을 상기 체적 제어부(volume control, 130)로부터 분리한다. 제2 오링 실(135)은 상기 밸브 하우징(126)의 외부에 있는 공급 압력 영역을 주위 또는 섬프(sump) 압력 영역으로부터 분리한다. 밸브 축(134)이 제공될 수도 있으며 상기 솔레노이드부(124b)를 통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열되고 상기 유압부(124a)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밸브 축(134)은 그를 통해 상기 유압부(124a)에서 상기 솔레노이드부(124b)까지 유체의 통과를 허용하는 통로(136)를 포함한다. 상기 통로(136)는 상기 솔레노이드부(124b)의 내부에 위치된 1차 밸브(138)에서 끝나는 제1 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1차 밸브(138)는 상기 밸브 축(134)의 단부 둘레에 형성되는 1차 포펫(140)과, 상기 단부 캡(120)에 형성되는 1차 밸브 시트(142)로 형성된다. 상기 1차 포펫(140)과 상기 1차 밸브 시트(142)가 함께 그 길이 방향의 축선을 따라 상기 밸브 축(134)의 슬라이딩에 의해 개방 및 폐쇄되는 상기 1차 밸브(138)를 형성한다.
상기 통로(136)는 상기 유압부(124a)의 내부에 위치되는 2차 밸브(144)에서 끝나는 제2 단부를 가진다. 상기 2차 밸브(144)는 상기 밸브 축(134)의 단부인 2차 포펫(146)으로 형성된다. 상기 2차 포펫(146)은 2차 밸브 시트(148)를 통해 상기 체적 제어부(130)까지 연장되는 구멍(150)을 가지는 상기 2차 밸브 시트(148)에 대응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하도록 배열된다.
작동 중에, 상기 밸브(100)는 상기 코일(118)을 통해 흐르는 전류에 반응하여 작동한다. 증가하는 전류가 상기 코일(118)에 가해 질 때, 상기 밸브 축(134)은 그 길이 방향의 축선을 따라 제1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것이다. 상기 밸브 축의 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전기자(152)가 상기 밸브 축(134)의 둘레에 환상으로 배열되어 상기 밸브 축(134)에 고정된다. 상기 전기자(152)는 상기 코일(118)을 통해 흐르는 전류의 결과로서 발생되는 자속(magnetic flux)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는 상기 솔레노이드부(124b)의 내부에서 상기 코일(118)을 통해 흐르는 전류의 정도에 비례하는 상기 밸브 축(134)의 선형 운동의 원인이 된다. 상기 솔레노이드부(124b)가 전력을 공급받을 때, 상기 밸브 축(134)은 상기 단부 캡(120)을 향해 제1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것이며 그 결과 상기 1차 포펫(140)은 상기 1차 밸브 시트(142)에 대응하여 안착할 것이고, 그에 따라 상기 1차 밸브(138)를 폐쇄한다. 동시에, 상기 밸브 축(134)의 운동이 상기 2차 포펫(146)을 상기 2차 밸브 시트(148)로부터 멀리 이동하게 함으로서 상기 2차 밸브(144)는 개방될 것이다. 상기 코일(118)을 통해 흐르는 전류가 차단되거나 감소될 때, 상기 솔레노이드부(124b)는 전력 공급이 차단되며, 상기 코일이 전력을 공급받을 때 스프링(160)이 상기 전기자(152)를 상기 전기자의 운동의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할 것이다. 상기 스프링(160)은 상기 전기자(152)와 상부 베어링(164)의 둘레에 배열될 수도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부(124b)에 전력 공급이 차단될 때, 상기 스프링(160)은 상기 밸브 축(134)을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전기자(152)에 대항하는 힘을 가하며 그 결과로 상기 2차 포펫(146)이 상기 2차 밸브 시트(148)에 접촉함에 따라 상기 2차 밸브(144)는 폐쇄된다. 동시에, 상기 1차 포펫(140)이 상기 1차 밸브 시트(142)로부터 멀리 이동함에 따라 상기 1차 밸브(138)는 완전히 개방하는 위치까지 이동할 것이다. 이 특징들과 다른 특징들, 및 도 10에 나타내어진 상기 실시예의 작동들은 2004년 6월 7일에 제출된 미국 특허 출원 제2005/0269538호에 개시되며, 상기 특허의 명세서는 여기에 참조문헌으로 첨부된다.
도 11은 수 블레이드인 전기적 연결부(31)를 포함하는 전기적 연결 단자(2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전기적 연결 단자(20)는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단자 용접 탭(22)을 포함한다.
도 12는 제1 용접 탭(22)과 제2 용접 탭(200)을 포함하는 전기적 연결 단자(2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용접 탭(22)과 상기 제2 용접 탭(200)은 그들이 용접되는 상기 포스트의 둘레를 반드시 둘러쌀 필요는 없다. 도 13은 도 12에서 보여지는 것과 유사한 전기적 연결 단자(20)의 평면도이다. 상기 전기적 연결 단자(20)는 전기적 연결부(31)와 도 2 내지 3 및 도 6에 나타내어진 세그먼트(24)와 유사한 방식으로 조립되는 제1 용접 탭(2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기적 연결 단자(20)는 도 2 내지 3 및 도 6에 보여지는 상기 용접 탭(22)의 제2 탭 세그먼트(26)와 유사한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는 제2 용접 탭(200)을 포함한다.
도 14 내지 16은 적어도 하나의 단자 용접 탭(22)을 가지는 상기 전기적 연 결 단자(2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단자 용접 탭(22)은 상기 제1 탭 세그먼트(24), 상기 제2 탭 세그먼트(26), 및 상기 제1 탭 세그먼트와 상기 제2 탭 세그먼트의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제3 탭 세그먼트(28)를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상기 탭 세그먼트들은, 만약 존재한다면, 상기 외부면(23)과 상기 용접 가능한 내부면(33)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용접 가능한 내부면(33)은 상기 대체로 평평한 제1 부분(25)과 상기 대체로 평평한 제2 부분(27)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평평한 제1 부분(25)과 상기 평평한 제2 부분(27)은 동일한 평면 상에 있지 않다. 상기 용접 공정 동안 상기 포스트(56)의 둘레에 감긴 상기 와이어(60)에 가해질 수 있는 압력의 양을 제한하는 상기 자기 와이어 스퀴즈 리미터를 함께 제공하는 제1 벌어진 탭 부(first flared tab portion, 300)과 제2 벌어진 탭 부(302)를 가지는 상기 단자 용접 탭(22)이 조립되어 배열될 수도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기 벌어진 탭 부들은 다른 실시예들에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포스트(56)는 상기 자기 코일을 제공하기 위해 그 둘레에 상기 와이어(60)이 감길 수 있는 상기 보빈(58)에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벌어진 탭 부(300)와 상기 제2 벌어진 탭 부(302)는 상기 전극들(74, 76)에 의해 상기 제2 부분(54)에서 상기 와이어(60)에 가해지는 압력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자기 와이어 스퀴즈 리미터의 역할을 한다. 각각의 벌어진 탭 부는 상기 제1, 제2, 및 제3 탭 세그먼트들(24, 26, 28)에 대응하여 각 (θ)으로 구부러질 수도 있다. 보여진 바와 같이, 상기 각 (θ)은 약 8 내지 12°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각은 상기 벌어진 탭 부들에서 특정한 양의 탄성을 부여하며, 그 결 과로 용접하는 동안 상기 전극들(74, 76)이 압착되어 상기 벌어진 탭 부들을 굽힐 때, 상기 벌어진 탭 부들이 상기 벌어진 탭 부들에서 상기 와이어(60)에 가해지는 힘의 총량을 제한하는 대항력을 가한다. 상기 제1 벌어진 탭 부(300)는 상기 제1 탭 세그먼트(24)로부터 연장되며 동시에 상기 제2 벌어진 탭 부(302)는 상기 제2 탭 세그먼트(26)로부터 연장된다. 각각의 상기 벌어진 탭 부들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평평한 제2 부분(27)을 구성하는 평면을 한정할 수도 있다. 상기 평평한 부분들이 상기 포스트(56)와 상기 와이어(60)에 용접될 때까지도 상기 평평한 제1 부분(25)과 상기 평평한 제2 부분(27)의 사이에 약간의 간격을 만들어 내기 위해 단차(step, 304)가 상기 각각의 벌어진 탭 부들과 상기 탭 세그먼트들의 사이에 압인될 수도 있다. 상기 전극들(74, 76)이 상기 벌어진 탭 부들을 압착할 때, 상기 와이어(60)의 한 부분이 상기 벌어진 탭 부들 또는 어떤 다른 부분에 의해 직접적으로 압착되지 않게 되도록, 절단부(cutout, 306)는 상기 제1 벌어진 탭 부(300)와 상기 제2 벌어진 탭 부(302)의 사이에 절단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전기적 연결 단자(20)는 본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사람들에게 알려진 어떤 전기전도성이 있는 재료로 만들어질 수도 있으며 용접 가능한 재료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용접 가능하고 그 표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코팅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기적 연결 단자(20)는 구리 합금, 황동 합금, 또는 니켈과 같은, 제1 층과 임의로 도금되거나 코팅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하는 금속으로부터 만들어진다. 제2 층은 제1 층에 덮일 수도 있거나 밑에 있는 기저 금속 재료의 위에 직접적으로 부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층은 주석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포스트(56)는 어떤 전기전도성이 있는 재료로부터 만들어질 수도 있으며 용접 가능한 재료로부터 만들어질 수도 있거나 그 표면에 있는 용접 가능한 코팅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포스트(56)는 철과 탄소로 이루어지는 기저 금속(base metal), 및 그 표면에 있으며 니켈을 포함하는 임의의 제1 층을 포함한다. 제2 층은 상기 기저 금속의 위에 또는 상기 임의의 제1 층의 위에 직접적으로 부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층은 주석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위의 설명은 사실상 단지 예시적일 뿐이고, 따라서, 그 변형들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로부터 벗어난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Claims (32)

  1. 적어도 제1 용접 탭(22)을 포함하는 전기적 연결 단자(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용접 탭(22)은 외부면(23)과 자기 와이어 스퀴즈 리미터를 포함하는 단일 부품이고, 상기 자기 와이어 스퀴즈 리미터는 대체로 평평한 제1 부분(25)과 대체로 평평한 제2 부분(27)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부분(25) 및 제2 부분(27)은 동일한 평면 상에 있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접 탭(22)은 포스트(56)의 일 부분의 둘레를 둘러싸기 위해 조립되어 배열되며, 상기 포스트(56)는 제1 평탄면(62)과 제2 평탄면(64)을 가지며, 상기 용접 탭(22)은 상기 포스트(56)의 상기 제1 평탄면(62) 및 제2 평탄면(64)에 용접되기 위해 조립되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56)는 네 개의 측면들(62, 64, 66, 68)을 가지며 상기 제1 용접 탭(22)은 상기 포스트(56)의 상기 네 개의 측면들 중의 적어도 세 개의 측면들의 둘레를 둘러싸기 위해 조립되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56)는 제1 평탄면(62)과 제2 평탄면(64)을 포함하며 상기 용접 탭(22)은 상기 포스트의 상부면(63)과 적어도 상기 제1 평탄면(62)의 일부분 및 상기 제2 평탄면(64)의 일부분에 걸쳐서 둘러싸기 위해 조립되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20)는 기저 재료(base material) 및 그 표면에 있으며 주석을 포함하는 적어도 제1 코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6. 제1항에 있어서,
    포스트(56)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자(20)는 재료를 가진 기저와 주석을 포함하는 적어도 제1 코팅을 포함하며, 상기 포스트(56)는 기저 재료와 주석을 포함하는 적어도 제1 코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접 탭(22)은 제1 벌어진 탭 부(first flared tab portion, 300)와 제2 벌어진 탭 부(302)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벌어진 탭 부들은 포스트(56)의 외부에 위치되며, 각각 상기 제2 부분(27)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벌어진 탭 부(300)는 상기 제1 용접 탭(22)의 제1 탭 세그먼트(24)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2 벌어진 탭 부(302)는 상기 제1 용접 탭(22)의 제2 탭 세그먼트(26)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9. 포스트(56)와 솔레노이드 밸브(100)의 자기 코일(118)의 와이어(60)에 용접되기 위해 조립되어 배열되는 전기적 연결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20)는 자기 와이어 스퀴즈 리미터를 포함하는 제1 용접 탭(2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용접 탭은 단일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와이어 스퀴즈 리미터는 상기 제1 용접 탭의 압인부(coined portion, 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11. 제9항에 있어서,
    포스트(56) 및 상기 포스트의 일 부분이 그 위에 와이어 없이 노출되도록 상기 포스트의 둘레에 감겨진 부분을 가지는 와이어(6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용접 탭의 제1 세그먼트(24)는 제1 면(25)과 제2 면(27)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면(25)는 상기 포스트(56)의 노출된 부분에 용접되며 상기 제2 면(27)은 상기 포스트(56)의 둘레에 감긴 상기 와이어(60)의 적어도 일 부분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보빈(58)을 더 포함하며 상기 포스트(56)는 상기 보빈(58)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60)은 자기 코일(118)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보빈(58)의 둘레에 반복하여 감긴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20)는 수 블레이드 전기적 연결부(male blade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3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암 전기적 연결부(female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3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암 전기적 연결부는 그 사이에 개구부(46)를 가지는 한 쌍의 대응된 조 들(jaws, 38, 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접 탭(22)은 기저 금속과 그 표면에 있는 주석을 포함하는 코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56)는 기저 금속과 그 표면에 있으며 주석을 포함하는 코팅을 포함하며, 상기 단자(20)는 기저 금속과 그 표면에 있으며 주석을 포함하는 코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1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접 탭(22)은 제1 세그먼트(24), 제2 세그먼트(26), 및 상기 제1 및 제2 세그먼트들(24, 26)의 사이에 위치되는 제3 세그먼트(28)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2 및 제3 세그먼트들(24, 26, 28)은 포스트(56)의 일 부분의 둘레를 둘러싸기 위해 조립되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2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접 탭(22)은 제1 세그먼트(24)와 반대쪽에 있는 제2 세그먼트(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2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와이어 스퀴즈 리미터는 상기 제1 용접 탭(22)의 압인부(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2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접 탭(22)은 외부면(23)과 용접 가능한 내부면(33)을 포함하며, 상기 용접 가능한 내부면(33)은 대체로 평평한 제1 부분(25) 및 대체로 평평한 제2 부분(27)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부분(25) 및 제2 부분(27)은 동일한 평면 상에 있지 않으며 상기 외부면(23)으로부터 상기 대체로 평평한 제1 부분(25)까지의 거리에 의해 측정된 것과 같은, 제1 부분(52)의 상기 용접 탭(22)의 두께는 상기 외부면(23)으로부터 상기 대체로 평평한 내부 부분(27)까지의 거리에 의해 측정된 것과 같은, 제2 부분(54)의 상기 용접 탭(22)의 두께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2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연결 단자(20)는 자기 와이어 스퀴즈 리미터(32)를 포함하는 제2 용접 탭(2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2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와이어 스퀴즈 리미터는 제1 벌어진 탭 부(300) 및 제2 벌어진 탭 부(302)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벌어진 탭 부는 상기 제1 용접 탭(22)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접 탭(22)은 제1 탭 세그먼트(24)와 반대쪽에 있는 제2 탭 세그먼트(26)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벌어진 탭 부(300)는 상기 제1 탭 세그먼트(24)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2 벌어진 탭 부(302)는 상기 제2 탭 세그먼트(26)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26. 포스트(56)와 상기 포스트의 일부분이 노출된 상태로 남도록 상기 포스트의 일 부분의 둘레에 감긴 와이어(60)의 일부분을 제공하는 단계;
    외부면(23)과 자기 와이어 스퀴즈 리미터를 포함하는 적어도 제1 용접 탭(22)을 포함하며, 상기 자기 와이어 스퀴즈 리미터는 대체로 평평한 제1 부분(25) 및 대체로 평평한 제2 부분(27)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부분(25) 및 제2 부분(27)은 동일한 평면 상에 있지 않는 전기적 연결 단자(20)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대체로 평평한 제1 부분(25)을 상기 포스트의 노출된 부분에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로 평평한 제2 부분(27)을 상기 포스트(56)의 둘레에 감긴 상기 와이어(60)의 부분에 용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56)는 네 개의 측면들(62, 64, 66, 68)을 가지며, 상기 제1 용접 탭(22)은 상기 포스트(56)의 세 개의 측면들의 둘레를 둘러싸기 위해 조립되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56)는 각각 평탄면을 가지는 네 개의 측면들(62, 64, 66, 68)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용접 탭(22)은 제1 세그먼트(24), 제2 세그먼트(26), 및 상기 제1 세그먼트(24) 및 제2 세그먼트(26)의 사이에 위치되는 제3 세그먼트(28)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세그먼트(24)가 상기 포스트(56)의 제1 측면(62)에 인접해 있으며 상기 제2 세그먼트(26)는 상기 포스트(56)의 제2 측면(64)에 인접해 있도록 상기 제1, 제2 및 제3 세그먼트들(24, 26, 28)은 상기 포스트(56)의 일 부분의 둘레를 둘러싸기 위해 조립되어 배열되며, 상기 용접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세그먼트(24)의 상기 외부면(23)에 대응하여 제1 전극(74)을 배열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세그먼트(26)의 상기 외부면(23)에 대응하여 제2 전극(76)을 배열하는 단계와 상기 용접 탭(22)의 상기 제1 세그먼트(24) 및 제2 세그먼트(26)의 상기 대체로 평평한 제2 부분(27)에 적용되는 것보다 더 큰 압력이 상기 제1 세그먼트(24) 및 제2 세그 먼트(26)의 상기 대체로 평평한 제1 부분(25)에 가해지도록 상기 포스트(56)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세그먼트(26)와 상기 제1 세그먼트를 압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연결 단자(20)는 외부면(23)과 용접 가능한 내부면(33)을 포함하는 제2 용접 탭(2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용접 탭(200)의 상기 용접 가능한 내부면(33)은 대체로 평평한 제1 부분(25) 및 대체로 평평한 제2 부분(27)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용접 탭(200)의 상기 제1 부분(25) 및 상기 제2 부분(27)은 동일한 평면 상에 있지 않으며, 상기 제2 용접 탭(200)의 상기 대체로 평평한 제1 부분(25)을 상기 포스트(56)의 노출된 부분에 용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31.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접 탭(22)은 제1 벌어진 탭 부(300) 및 제2 벌어진 탭 부(302)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벌어진 탭 부들은 상기 제2 부분(27)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벌어진 탭 부(300)는 상기 제1 용접 탭(22)의 제1 탭 세그먼트(24)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2 벌어진 탭 부(302)는 상기 제1 용접 탭(22)의 제2 탭 세그먼트(26)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KR1020097001902A 2006-07-19 2007-07-18 와이어 스퀴즈 리미터를 가지는 단자 용접 탭 KR1013032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3175706P 2006-07-19 2006-07-19
US60/831,757 2006-07-19
US90973907P 2007-04-03 2007-04-03
US60/909,739 2007-04-03
PCT/US2007/073758 WO2008011449A2 (en) 2006-07-19 2007-07-18 Terminal weld tab having a wire squeeze limi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0307A KR20090040307A (ko) 2009-04-23
KR101303243B1 true KR101303243B1 (ko) 2013-09-04

Family

ID=38957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1902A KR101303243B1 (ko) 2006-07-19 2007-07-18 와이어 스퀴즈 리미터를 가지는 단자 용접 탭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041841B1 (ko)
KR (1) KR101303243B1 (ko)
CN (1) CN101501935B (ko)
WO (1) WO200801144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34405B2 (en) 2006-07-19 2017-04-25 Borgwarner Inc. Terminal weld tab having a wire squeeze limiter
DE102012103162A1 (de) * 2012-04-12 2013-10-17 Epcos Ag Kontaktierungsvorrichtung zum Anbinden eines elektrischen Leiters
DE102012106863A1 (de) * 2012-07-27 2014-01-30 Svm Schultz Verwaltungs-Gmbh & Co. Kg Spule
CN105252183B (zh) * 2015-10-16 2016-11-30 天津精创宏远科技发展有限公司 线圈与焊板的立式焊接治具
DE102016201615A1 (de) * 2016-02-03 2017-08-03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Schwingungsdämpfer
KR20180095962A (ko) 2017-02-20 2018-08-29 (주)에나로봇 환자용 이동 보조로봇
KR102209833B1 (ko) 2019-02-28 2021-01-29 주식회사 휠라인 신체적 약자를 위한 이동 이승을 위한 보조 로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418608A (fr) * 1964-12-23 1965-11-19 Ibm Procédé de soudage d'un conducteur à plusieurs fils
US3649743A (en) 1970-09-01 1972-03-14 Thomas & Betts Corp Wrapped wire connection
US6722898B2 (en) 2001-10-17 2004-04-20 Molex Incorporated Connector with improved grounding means
WO2006005291A1 (de) 2004-07-07 2006-01-19 Friatec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verbinden mindestens eines drahtes mit einem kontaktelemen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3286A (en) * 1994-06-28 1996-04-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lectroplated solder terminal
JP2003059550A (ja) * 2001-08-16 2003-02-28 Nissin Kogyo Co Ltd ターミナルおよびターミナルと電線との溶接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418608A (fr) * 1964-12-23 1965-11-19 Ibm Procédé de soudage d'un conducteur à plusieurs fils
US3649743A (en) 1970-09-01 1972-03-14 Thomas & Betts Corp Wrapped wire connection
US6722898B2 (en) 2001-10-17 2004-04-20 Molex Incorporated Connector with improved grounding means
WO2006005291A1 (de) 2004-07-07 2006-01-19 Friatec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verbinden mindestens eines drahtes mit einem kontakt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01935A (zh) 2009-08-05
EP2041841B1 (en) 2016-10-12
CN101501935B (zh) 2012-04-18
EP2041841A2 (en) 2009-04-01
WO2008011449A2 (en) 2008-01-24
KR20090040307A (ko) 2009-04-23
WO2008011449A3 (en) 2008-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3243B1 (ko) 와이어 스퀴즈 리미터를 가지는 단자 용접 탭
US8454396B2 (en) Terminal weld tab having a wire squeeze limiter
US8828589B2 (en)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EP2766649B1 (en) Solenoid valve with a metallic tube bobbin
US9269507B2 (en) Spring load adjustment structure of contact device and spring load adjustment method of contact device
US20140374155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ical wire connecting structure and electrical wire connecting structure
WO2014034418A1 (ja) 接続端子
JP2009283458A (ja) 圧着接続構造
CN103026553B (zh) 电连接
US9634405B2 (en) Terminal weld tab having a wire squeeze limiter
JP2014176857A (ja) 金属部品どうしの接合構造及びその接合方法
KR20010022285A (ko) 계전기 제조 방법
WO2021085542A1 (ja) 端子接続構造
JP6667467B2 (ja) 調理機器に適合する安全バルブ
DE102014116888A1 (de) Temperaturabhängiger Schalter
EP0174602B1 (en) Electrical coil
WO2014069238A1 (ja) スイッチの接点構造およびそれを用いた圧力スイッチ
EP0764960B1 (en) Fluid pressure responsive electric switch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US10446347B2 (en) Method of forming a reed for reed switch
JP2013123010A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CN113474950A (zh) 用于可拆卸地接触电池单元的装置
KR101608375B1 (ko) 비드부를 구비한 피메일 단자
CN219497659U (zh) 继电器
JP7299718B2 (ja) 電磁アクチュエータ及び立消え安全装置
JPH02135635A (ja) 圧力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