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2616B1 - 복합기능을 가지는 무선마이크 송신기 - Google Patents

복합기능을 가지는 무선마이크 송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2616B1
KR101302616B1 KR1020130012228A KR20130012228A KR101302616B1 KR 101302616 B1 KR101302616 B1 KR 101302616B1 KR 1020130012228 A KR1020130012228 A KR 1020130012228A KR 20130012228 A KR20130012228 A KR 20130012228A KR 101302616 B1 KR101302616 B1 KR 101302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signal
unit
voice signal
microphone
transm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2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백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싸
주식회사 뉴런일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싸, 주식회사 뉴런일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싸
Priority to KR1020130012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26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2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2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3Constructional details, e.g. casings, housings
    • H04B1/034Portable transmit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Transmitter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기능을 가지는 무선마이크 송신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무선마이크 송신기는, 핀 마이크 또는 헤드셋을 포함하는 마이크 유닛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신호처리하여 무선송신하는 무선송신기능, 상기 마이크 유닛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녹음하는 녹음기능, 내부메모리 또는 별도의 메모리에 저장된 음악파일 또는 녹음파일을 재생하는 재생기능, 및 온/오프 스위치를 구비하여 온/오프 스위치 동작에 의해 레이저 포인터의 동작이 제어되는 레이저 포인팅 기능을 가지는 무선마이크 송신기를 구현함에 의해, 학원이나 학교 등에서 여러기기의 동작이 필요없이 하나의 기기를 이용하여 멀티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함에 의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며, 여러기기를 한꺼번에 모두 구입해야 하는 등의 비용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휴대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복합기능을 가지는 무선마이크 송신기{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having multi-function}
본 발명은 복합기능을 가지는 무선마이크 송신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기기를 통해 복합기능을 구현함에 의해, 사용이 편리하고, 휴대가 간편하며, 비용부담을 줄일 수 있는 복합기능을 가지는 무선마이크 송신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디지털 개발의 발전으로 인하여 생활의 편의성을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휴대폰이나 MP3 등과 같은 모체가 되는 전자기기에 부속하여 별도의 무선 헤드셋을 더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폰이나 MP3와 같은 기기를 직접 손에 쥐지 않은 상태에서도 이러한 기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이 무선 헤드셋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 것은, 블루투스(Bluetooth), WLAN(Wireless Lan),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의 발전에 기인한 것이다.
하지만, 기존의 무선 통화를 위한 제품들은 휴대폰 통화만을 목적으로 하는 블루투스 헤드셋이나 이어폰에 치중해 있으며, 블루투스 환경에서 소리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만이 가능하였다.
한편, 일반적으로 강사가 강의할 때 목소리 증폭을 위해 사용되며, 무선 환경으로 신호 전송이 가능한 무선마이크는 마이크 송신기와 무선마이크 수신기를 구비하고 있어 강사가 무선마이크 송신기를 들고 용이하게 이동하면서 강의를 하게 된다.
그런데, 강의과정에 있어서, 음악파일의 재생이 필요하거나, 레이저 포인팅 기능 등이 필요한 경우에, 각각 별도의 기기를 통해 수행하여야 하는 등 불편이 존재하였다. 또한, 강사가 강의를 한 경우, 강의 내용을 다시 들어보고 싶거나, 수강생들에게 일부 강의 내용을 다시 들려주고 싶은 경우에는 별도의 녹음기가 더 필요하게 되어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강의를 하는 강사 입장에서는 강의를 하는 경우에 여러기능을 하는 기기들을 모두 함께 사용해야 함에 따라, 강의에 집중하기가 힘들고, 개별적인 구입을 통해 많은 비용이 발생되며, 휴대나 사용시 번거로움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47508호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복합기능을 가지는 무선마이크 송신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이 편리하며, 비용부담을 줄일 수 있는 무선마이크 송신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마이크 송신기능, 녹음기능, 음성파일 재생기능, 레이저 포인팅 기능 등을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무선마이크 송신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무선마이크 송신기는, 핀 마이크 또는 헤드셋을 포함하는 마이크 유닛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신호처리하여 무선송신하는 무선송신기능, 상기 마이크 유닛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녹음하는 녹음기능, 내부메모리 또는 별도의 메모리에 저장된 음악파일 또는 녹음파일을 재생하는 재생기능, 및 온/오프 스위치를 구비하여 온/오프 스위치 동작에 의해 레이저 포인터의 동작이 제어되는 레이저 포인팅 기능을 가진다.
상기 무선마이크 송신기는, 상기 마이크 유닛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제공하는 음성신호처리부와; 상기 마이크 유닛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의 녹음 및 재생, 메모리에 저장된 MP3파일을 포함하는 음악파일의 재생 동작을 수행하는 MP3모듈부와; 상기 음성신호처리부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변환된 음성신호를 안테나를 이용하여 무선송신하기 위한 RF송신부와; 온/오프 스위치에 의해 동작되는 레이저 포인터를 구비하는 레이저 포인팅부와; 상기 음성신호처리부, 상기 MP3모듈부, 및 상기 RF송신부의 컨트롤을 포함하여 상기 무선마이크 송신기의 전반적인 동작의 컨트롤을 수행하는 메인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 유닛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는, 상기 음성신호처리부를 통해 디지털 변환되어 안테나를 통해 무선송신되거나, 상기 MP3모듈부를 통해 디지털 변환되어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무선마이크 송신기를 통해 무선송신된 음성신호는, 별도로 구비되는 수신앰프를 통해 무선수신되어 재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핀 마이크 또는 헤드셋을 포함하는 마이크 유닛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신호처리하여 무선송신하는 무선송신기능, 상기 마이크 유닛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녹음하는 녹음기능, 내부메모리 또는 별도의 메모리에 저장된 음악파일 또는 녹음파일을 재생하는 재생기능, 및 온/오프 스위치를 구비하여 온/오프 스위치 동작에 의해 레이저 포인터의 동작이 제어되는 레이저 포인팅 기능을 가지는 무선마이크 송신기를 구현함에 의해, 학원이나 학교 등에서 여러기기의 동작이 필요없이 하나의 기기를 이용하여 멀티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함에 의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며, 여러기기를 한꺼번에 모두 구입해야 하는 등의 비용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휴대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마이크 송신기의 내부구성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음성신호의 경로(path)를 구성하는 부분만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상기 무선마이크 송신기의 외형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좌우측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의도 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마이크 송신기(100)의 내부구성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음성신호의 경로(path)를 구성하는 부분만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마이크 송신기(100)는, 전원공급부(120), 마이크 입력부(125), 음성신호처리부(140), MP3모듈부(130), 메모리부(135), RF 송신부(170), 레이저 포인팅부(150), 메인제어부(110)를 구비한다.
상기 전원공급부(120)는 전원스위치, 메인공급전원과 각 블록단위별 전원의 제어를 위한 회로, 충전회로, 충전중 표시 LED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충전지 또는 건전지 사용이 가능하도록 배터리 수용공간 및 전원공급회로 등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전원 스위치로서 2접점 슬라이드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전원 오프시 발생되는 팝업노이즈 제어를 위한 회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120)의 전체 메인공급전원과 블록단위 전원은 상기 메인제어부(110)의 전원컨트롤부(112)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 입력부(125)는 핀 마이크 또는 헤드셋 등의 마이크 유닛이 접속되는 곳으로, 상기 마이크 유닛과의 접속을 위한 접속커넥터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마이크 유닛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가 입력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마이크 유닛을 통해 음성을 입력하게 되면, 입력된 음성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음성신호 처리부(140)에서 신호처리 과정을 거쳐 외부로 송신되거나, 녹음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음성신호처리부(140)는 믹서(142), AD컨버터(144), DA컨버터(146), 증폭기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마이크 송신을 위해서는 상기 마이크 유닛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상기 RF 송신부(170)에 제공하여 안테나를 통해 무선송신되도록 한다. 상기 안테나를 통해 무선송신된 음성신호는 수신기(또는 앰프)에서 수신되어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재생되게 된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35)에 저장된 녹음파일 또는 음악파일의 재생을 위해서는 상기 메모리부(135) 또는 상기 MP3모듈부(130)에서 제공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상기 RF 송신부(170)에 제공하여 안테나를 통해 무선송신되도록 하거나, 유선으로 직접 연결된 헤드폰이나 이어폰(145)을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믹서(142)는 마이크 입력(MIC_IN), 외부입력 및 MP3 입력 음성신호의 믹싱을 위한 회로이다. 즉 상기 마이크 유닛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 외부 입력 라인(Line_in)을 통해 입력되는 외부음성신호 및 상기 MP3모듈부(130)에서 제공되는 녹음파일 또는 음악파일의 음성신호의 믹싱을 위한 회로이다.
상기 AD컨버터(144)는 상기 믹서(142)를 거친 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것이고, 5 밴드 이퀄라이저(EQ) 및 노이즈 필터 회로를 내장하고 있다.
상기 DA컨버터(146)는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MP3모듈부(130)는 음성신호의 녹음기능, 녹음파일 및 음악파일의 재생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MP3모듈부(130)는 우선 녹음기능의 경우, 상기 마이크 유닛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제공받아, 내장된 AD 컨버터(134)를 통해 디지털 변환하여 상기 메모리부(135)에 순차적으로 저장하게 된다. 저장되는 녹음파일은 웨이브(wave) 파일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REC****.WAV' 등의 파일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재생기능의 경우, 상기 메모리부(135)에 저장된 녹음파일 또는 음악파일을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재생의 경우는, 상기 메모리부(135)에 디지털 변환되어 저장된 녹음파일 또는 음악파일을, 내장된 DA컨버터(136)를 통해 아날로그 변환하여 상기 음성신호 처리부(140)에 제공하고, 상기 음성신호처리부(140)에서 신호처리 및 전송과정을 거쳐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MP3모듈부(130)는 상기 녹음파일 및 음악파일의 재생시, MP3전용 8 프리셋(preset) 이퀄라이저(EQ)와 연주방식 등의 설정이 가능하다. 이퀄라이저는 플랫(flat), 락, 팝, 클래식, 재즈, 블루, 홀, 베이스, 소프트 등의 설정이 가능하고, 연주방식은 연속, 무작위, 반복, 한곡 만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DA컨버터(136)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조정범위는 0~31까지 32단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35)는 음악파일, 녹음파일 등이 저장되기 위한 내장메모리 또는 외장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으며, 메모리 소켓을 구비하여, SD 메모리 카드 등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RF송신부(170)는 음성신호를 송신안테나(175)를 통해 무선으로 송신하기 위한 구성으로, 내장 CPU와 오디오 코프로세서(Audio co-process), 래디오 코프로세서(Radio co-process), 모뎀, 래디오 I/F, RF 증폭기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1채널이나 다채널로 구성가능하다. 상기 RF송신부(170)는 상기 메인제어부(110)으부터 페어링 신호를 받아 링크될 수 있다.
상기 메인제어부(110)는 상기 전원공급부(120), 상기 음성신호처리부(140), 상기 MP3모듈부(130), 및 상기 RF송신부(170)의 컨트롤을 포함하여 상기 무선마이크 송신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의 컨트롤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메인제어부(110)는 상기 전원공급부(120)의 컨트롤을 위한 전원컨트롤부(112), 상기 음성신호처리부(140)의 컨트롤을 위한 음성신호 컨트롤부(113), 상기 MP3모듈부(130)의 컨트롤을 위한 MP3컨트롤부(114), 상기 RF 송신부(170)의 컨트롤을 위한 RF 컨트롤부(119), 기능버튼들을 구비하는 기능버튼부(190)를 통한 신호입력상태나 스위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 컨트롤부(118), 상기 무선마이크 송신기 본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OLED) 등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부(180)의 컨트롤을 위한 디스플레이 컨트롤부(11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메인제어부(110)는 메인MPU와 상기 메인MPU에 의해 각각 제어되는, 전원컨트롤부(112), 음성신호 컨트롤부(113), MP3 컨트롤부(114), RF 컨트롤부(119), 버튼 컨트롤부(118), 디스플레이 컨트롤부(116) 등을 구비할 수도 있으나, 하나의 메인 MPU 자체에서 상술한 모든 컨트롤 기능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레이저 포인팅부(150)는 온/오프 스위치 및 상기 온/오프 스위치와 연결된 레이저 포인터(램프)를 구비하여, 온/오프 스위치 동작에 의해 레이저 포인터의 동작이 제어되는 구성을 가진다.
도 2는 도 1의 무선 마이크 송신기(100)의 음성신호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신호 경로는 마이크 유닛을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가 무선송신되는 경로는 무선송신경로, 마이크 유닛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가 녹음되는 경로인 녹음경로, 메모리부(135)에 저장된 녹음파일 또는 음악파일의 재생경로, 기타 유선 경로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무선송신경로는, 우선 상기 마이크 유닛을 통해 상기 마이크 입력부(MIC_IN)를 통해 입력된 마이크 음성신호는 증폭이나 볼륨 조절 등의 과정을 거쳐 상기 음성신호처리부(140) 내의 상기 믹서(142)를 통과하게 되며, 상기 믹서(142)에서 다른 음성신호 등과 믹싱 등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 믹서(142)를 통과한 마이크 음성신호는 상기 AD 컨버터(144)를 통해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환되고, 톤(tone)이나 이퀄라이저(EQ) 컨트롤 등이 수행되고 상기 RF 송신부(170) 및 송신안테나(175)를 통해 무선송신되게 된다. 무선송신된 음성신호는 별도로 구비된 수신기(앰프)를 통해 수신되어 재생될 수 있다.
상기 무선마이크 송신기(100)에 외부앰프 또는 헤드폰이나 이어폰 등이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AD 컨버터(144)를 통해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환된 마이크 음성신호가 다시 상기 DA컨버터(146)를 통해 아날로그 변환되어 외부출력단자(Line_Out)를 통해 외부앰프 또는 헤드폰이나 이어폰을 통해 재생될 수 있다.
상기 녹음경로는 상기 마이크 유닛을 통해 상기 마이크 입력부(MIC_IN)를 통해 입력된 마이크 음성신호가 녹음되는 경로이다. 우선 상기 마이크 유닛을 통해 상기 마이크 입력부(MIC_IN)를 통해 입력된 마이크 음성신호는 상기 MP3 모듈부(130)에 내장된 앰프(132) 및 AD 컨버터(134)를 통해 증폭되고 디지털 변환되어 재생 및 녹음부(138)로 제공되고, 상기 재생 및 녹음부(138)에서는 녹음파일의 포맷이나 파일명 등을 정하여 상기 메모리부(135)에 저장되도록 한다.
메모리부(135)에 저장된 녹음파일 또는 음악파일의 재생경로는, 우선 상기 MP3 모듈부(130) 내의 재생 및 녹음부(138)를 통해 재생하고자 하는 녹음파일 또는 음악파일이 선택된다. 선택된 녹음파일 또는 음악파일은 상기 MP3 모듈부(130) 내에 내장된 DA 컨버터(136)를 통해 아날로그 변환되어 상기 음성신호처리부(140)로 제공되게 된다.
상기 음성신호처리부(140)에서는, 상기 MP3 모듈부(130)에서 제공되는 녹음파일 또는 음악파일의 볼륨조절 등을 수행하고 상기 믹서(142)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믹서(142)를 통과한 녹음파일 또는 음악파일 음성신호는 상기 AD 컨버터(144)를 통해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환되고, 톤(tone)이나 이퀄라이저(EQ) 컨트롤 등이 수행되고 상기 RF 송신부(170) 및 송신안테나(175)를 통해 무선송신되게 된다. 무선송신된 음성신호는 별도로 구비된 수신기(앰프)를 통해 수신되어 재생될 수 있다.
상기 무선마이크 송신기(100)에 외부앰프 또는 헤드폰이나 이어폰 등이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AD 컨버터(144)를 통해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환된 음성신호가 다시 상기 DA컨버터(146)를 통해 아날로그 변환되고, 녹음파일 또는 음악파일 음성신호는 외부출력단자(Line_Out)를 통해 외부앰프 또는 헤드폰이나 이어폰을 통해 재생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상술한 무선마이크 송신기(100)의 외형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상기 무선마이크 송신기(100)의 외형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도 3의 좌우측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선마이크 송신기(100)는 일정형상의 케이스에 도 1 내지 도 2를 통해 설명한 내부구성이 내장되며, 상부쪽에는 송신안테나(175)가 돌출되고, 마이크 유닛(125)이 접속잭을 통해 접속된다. 또한 케이스의 상부쪽에는 레이저가 조사되기 위한 램프(150a)가 노출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앞면에는 상기 무선 마이크 송신기(100)의 상태(예를 들면, 마이크나 출력음성신호 볼륨레벨이나, 충전지의 상태, 안테나 상태, 페어링 상태 등이 디스플레이 되는 디스플레이 창(180a)이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창(180a)의 하단에는 각종 기능제어를 위한 5방향 버튼이 구비되게 된다. 상기 버튼은 페어링을 위한 링크동작시작버튼, 음성녹음모드 또는 재생모드 전환을 위한 전환버튼, MP3연주모드 전화를 위한 버튼, 마이크 음량조절을 위한 버튼, 메뉴선택모드 진입을 위한 버튼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뒷면에는 상기 무선마이크 송신기(100)를 옷이나 특정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클립(2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무선마이크 송신기(100)의 좌측면에는 외부오디오 연결출력 또는 헤드폰 연결을 위한 잭(145a)과 외부오디오 입력을 위한 잭(147a)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마이크 송신기(100)의 우측면에는 상기 레이저 포인팅부(150)에 의해 동작되는 램프(150a)의 동작을 위한 푸쉬버튼(155)이 구비되며, 전원 온./오프 스위치(120a) 및 음소거 온/오프 스위치(115) 등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우측면 하단부에 SD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메모리 삽입을 위한 삽입부(135a)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핀 마이크 또는 헤드셋을 포함하는 마이크 유닛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신호처리하여 무선송신하는 무선송신기능, 상기 마이크 유닛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녹음하는 녹음기능, 내부메모리 또는 별도의 메모리에 저장된 음악파일 또는 녹음파일을 재생하는 재생기능, 및 온/오프 스위치를 구비하여 온/오프 스위치 동작에 의해 레이저 포인터의 동작이 제어되는 레이저 포인팅 기능을 가지는 무선마이크 송신기를 구현함에 의해, 학원이나 학교 등에서 여러기기의 동작이 필요없이 하나의 기기를 이용하여 멀티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함에 의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며, 여러기기를 한꺼번에 모두 구입해야 하는 등의 비용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휴대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
110 : 메인제어부 120 ; 전원공급부
130 : MP3모듈부 140 ; 음성신호처리부
150 : 레이저 포인팅부 170 : RF송신부

Claims (4)

  1. 무선마이크 송신기에 있어서:
    핀 마이크 또는 헤드셋을 포함하는 마이크 유닛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신호처리하여 무선송신하는 무선송신기능, 상기 마이크 유닛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녹음하는 녹음기능, 내부메모리 또는 별도의 메모리에 저장된 음악파일 또는 녹음파일을 재생하는 재생기능, 및 온/오프 스위치를 구비하여 온/오프 스위치 동작에 의해 레이저 포인터의 동작이 제어되는 레이저 포인팅 기능을 가지되,
    상기 무선마이크 송신기는,
    상기 마이크 유닛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녹음파일로 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녹음동작, 상기 녹음파일을 아날로그 변환하여 제공하여 재생되도록 하는 재생동작, 및 메모리에 저장된 MP3파일을 포함하는 음악파일을 아날로그 변환하여 제공하는 재생 동작을 수행하는 MP3모듈부와;
    상기 마이크 유닛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와, 상기 음악파일 또는 녹음파일의 재생을 위해 상기 MP3모듈부에서 제공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믹싱하고 디지털 변환하여 무선송신되도록 하여 재생하거나, 믹싱되고 디지털 변환된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변환하여 재생되도록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음성신호처리부와;
    상기 음성신호처리부에서 제공되는 음성신호를 안테나를 이용하여 무선송신하기 위한 RF송신부와;
    온/오프 스위치에 의해 동작되는 레이저 포인터를 구비하는 레이저 포인팅부와;
    상기 음성신호처리부, 상기 MP3모듈부, 및 상기 RF송신부의 컨트롤을 포함하여 상기 무선마이크 송신기의 전반적인 동작의 컨트롤을 수행하는 메인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마이크 유닛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는, 상기 음성신호처리부를 통해 디지털 변환되어 안테나를 통해 무선송신되거나, 상기 MP3모듈부를 통해 디지털 변환되어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마이크 유닛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의 재생 및 저장이 동시에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마이크 송신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마이크 송신기를 통해 무선송신된 음성신호는, 별도로 구비되는 수신앰프를 통해 무선수신되어 재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마이크 송신기.
KR1020130012228A 2013-02-04 2013-02-04 복합기능을 가지는 무선마이크 송신기 KR101302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228A KR101302616B1 (ko) 2013-02-04 2013-02-04 복합기능을 가지는 무선마이크 송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228A KR101302616B1 (ko) 2013-02-04 2013-02-04 복합기능을 가지는 무선마이크 송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2616B1 true KR101302616B1 (ko) 2013-09-02

Family

ID=49454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2228A KR101302616B1 (ko) 2013-02-04 2013-02-04 복합기능을 가지는 무선마이크 송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261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0444A (ko) * 2002-02-25 2003-08-30 주식회사 넥스트웨이 녹음 기능을 구비한 인코더 마이크 및 녹음된 데이터의운용방법
KR20110047508A (ko) * 2009-10-30 2011-05-09 주식회사 엠디아이 레이저 포인터가 구비된 펜타입의 다기능 음성 무선송수신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0444A (ko) * 2002-02-25 2003-08-30 주식회사 넥스트웨이 녹음 기능을 구비한 인코더 마이크 및 녹음된 데이터의운용방법
KR20110047508A (ko) * 2009-10-30 2011-05-09 주식회사 엠디아이 레이저 포인터가 구비된 펜타입의 다기능 음성 무선송수신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8882B2 (en) Portable media player emulator for facilitating wireless use of an accessory
US7734055B2 (en) User configurable headset for monaural and binaural modes
US7590233B2 (en) User configurable headset for monaural and binaural modes
KR100659506B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장형 스피커시스템 및 이를 위한 무선수신팩
WO2006110109A1 (en) Multimode audio reproduction device
TW200428793A (en) Audio/video remote control with built-in headphone system
CN205754740U (zh) 麦克风
CN203933951U (zh) 便携式无线卡拉ok音乐麦克风
US20100190438A1 (en) Universal mutilmedia bluetooth car handsfree device
CN104796816A (zh) 一种自动开关的wifi智能音箱
CN201479213U (zh) 具伴唱功能的移动电话
JP3159467U (ja) 伴奏機能を有する携帯装置
KR200444074Y1 (ko) 블루투스 통신장치
KR20070016313A (ko) 젠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1302616B1 (ko) 복합기능을 가지는 무선마이크 송신기
KR100801061B1 (ko) 차량용 블루투스 핸즈프리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블루투스핸즈프리 시스템
JP3132766U (ja) コードレスイヤホーン
KR100705966B1 (ko) 디지털 음성 신호 파일의 재생 및 저장 기능을 내재한에코마이크
KR102082393B1 (ko) 다기능 무선 이어폰
JP2001069205A (ja) 携帯無線電話端末を利用した音響装置
JP3173995U (ja) デジタルワイヤレス送受信機
JP3155879U (ja) 携帯用音声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音声制御装置
KR100632112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배터리팩 및 그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000056051A (ko) 휴대용 디지털오디오데이터 재생기 겸용 휴대폰
KR200415707Y1 (ko) 에프엠(fm)무선송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