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1297B1 - 연결 지향적 이더넷 망의 가입자 서비스 제어를 위한 확장된 프로토콜 메시지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연결 지향적 이더넷 망의 가입자 서비스 제어를 위한 확장된 프로토콜 메시지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1297B1
KR101301297B1 KR1020100065957A KR20100065957A KR101301297B1 KR 101301297 B1 KR101301297 B1 KR 101301297B1 KR 1020100065957 A KR1020100065957 A KR 1020100065957A KR 20100065957 A KR20100065957 A KR 20100065957A KR 101301297 B1 KR101301297 B1 KR 101301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node
service frame
information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5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5280A (ko
Inventor
이원경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2/939,781 priority Critical patent/US8391297B2/en
Publication of KR20110065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5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1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1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72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using reservation actions during connection setup
    • H04L47/724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using reservation actions during connection setup at intermediate nodes, e.g.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RSV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0Traffic poli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5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using label swapping, e.g. multi-protocol label switch [MP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복수의 노드로 이루어진 연결 지향적 이더넷 망의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확장된 프로토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하여, LSP(Label Switched Path) 생성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LSP 생성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며 역방향 서비스 프레임 정보 전달을 위한 오브젝트 및 순방향 트래픽 폴리싱을 위한 서비스 프레임의 트래픽 정보의 전송을 위해 수정된 오브젝트가 포함된 패스(PATH) 메시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복수의 노드 중 하나인 제2 노드가 제1 노드로부터 전송된 패스 메시지를 수신하면, 순방향 서비스 프레임 정보 전송을 위해 추가된 오브젝트와 역방향의 트래픽 폴리싱을 위한 서비스 프레임의 트래픽 정보의 전송을 위해 수정된 오브젝트가 포함된 LSP 생성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RESV(reservation)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연결 지향적인 이더넷 망에서 수용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RSVP-TE의 확장된 프로토콜 메시지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결 지향적 이더넷 망의 가입자 서비스 제어를 위한 확장된 프로토콜 메시지 전송 방법{Method for extension for service control of connection oriented ethernet network}
본 발명은 연결 지향적 이더넷 망의 가입자 서비스 제어를 위한 확장된 프로토콜 메시지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8-S-009-02, 과제명: 패킷-광 통합 스위치 기술 개발].
제어 평면은 네트워크상에서 통신 연결의 설정 및 유지, 해제 등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가 흘러다니는 개념적인 평면을 의미한다. 이러한 제어 평면의 기술 중 하나인 GMPLS(Generalized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는 MPLS 망을 제어하는 프로토콜로부터 시작되어, 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파장 분할 다중화) 및 SONET/SDH(Synchronous Optical Network/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동기식 광 네트워크/동기식 디지털 계층) 망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확장되었다. 그리고 현재 이더넷 망을 제어하기 위해 확장되고 있다.
한편, 이더넷 망은 액세스 망의 L2VPN(Layer 2 Virtual Private Networks)에서 매트로 코어 망의 캐리어 이더넷으로 발전 되었으며, 현재 백본 망의 패킷 기반의 전송 기술로 확장되고 있다. 이에, GMPLS 기술은 연결 지향적인 이더넷 백본 망을 제어할 수 있는 표준화된 전송 제어 평면으로 확장될 필요가 있다.
즉, 패킷 기반 전송 계층(PLT: Packet Transport Layer)에서 수용할 수 있는 서비스는 EPL(Ethernet Private Line), EVPL(Ethernet Virtual Private Line) 서비스의 C-TAG 프레임과 PB(Provider Bridging, 공급자 브리지) 기반의 S-TAG 프레임, PBB(Provider Backbone Bridges, 공급자 백본 브리지) 기반의 I-TAG 또는 B-TAG 프레임 등이 있다. 그러나, 현재 GMPLS 기술은 UNI(User to Network Interface, 사용자 망 인터페이스)와 PBB-TE(Provider Backbone Bridges Traffic Engineering, 공급자 백본 브리지 교통공학)에 관해서만 표준화가 진행중이며, 다양한 프레임의 서비스를 수용하고 제어하는 부분은 관리 평면에서 운영자가 직접 설정해야 한다.
그러므로, GMPLS 기술이 연결 지향적인 이더넷 백본 망을 완전히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백본 에지 브리지에서 수용하는 다양한 프레임의 이더넷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프레임의 이더넷 가입자 서비스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연결 지향적 이더넷 망의 가입자 서비스 제어를 위한 확장된 프로토콜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인 복수의 노드로 이루어진 연결 지향적 이더넷 망의 가입자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확장된 프로토콜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은,
상기 복수의 노드 중 하나인 제1 노드가 외부로부터 LSP(Label Switched Path) 생성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LSP 생성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며, 역방향 서비스 프레임 정보 전달을 위한 오브젝트 및 순방향 트래픽 폴리싱을 위한 서비스 프레임의 트래픽 정보의 전송을 위해 수정된 오브젝트가 포함된 패스(PATH)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노드 중 하나인 제2 노드가 상기 제1 노드로부터 전송된 상기 패스 메시지를 수신하면, 순방향 서비스 프레임 정보 전송을 위해 추가된 오브젝트와 역방향의 트래픽 폴리싱을 위한 서비스 프레임의 트래픽 정보의 전송을 위해 수정된 오브젝트가 포함된 상기 LSP 생성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RESV(reservation)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한 RESV 메시지를 상기 제1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더넷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GMPLS 시그널링 프로토콜인 RSVP-TE 프로토콜에 포함시켜 백본 에지 브리지간에 전달함으로써, 다양한 프레임의 이더넷 가입자 서비스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본 에지 브리지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 메시지 전송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ATH 메시지 포맷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ESV 메시지 포맷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PSTREAM_LABEL> 오브젝트와 <LABEL> 오브젝트의 포맷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PSTREAM_SUBLABEL_SET> 오브젝트와 <SUBLABEL_SET> 오브젝트의 포맷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a는 일반적인 <SENDER_TSPEC> 오브젝트 포맷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ENDER_TSPEC> 오브젝트의 포맷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ALL_ATTRIBUTES> 오브젝트의 포맷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지향적 이더넷 망의 가입자 서비스 제어를 위한 GMPLS의 RSVP-TE(Resource Reservation Protocol-Traffic Engineering) 프로토콜 확장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본 에지 브리지의 구조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본 에지 브리지(100)는 이더넷 서비스를 수용하여 서비스 인스턴스를 부여하는 I 컴포넌트(I-component)(110)와 서비스 인스턴스를 기반으로 연결 지향 경로인 양방향 이더넷 LSP(Label Switched Path)를 생성하는 B 컴포넌트(B-component)(12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각각의 포트(PIP(Provider Instance Port), CBP(Customer Backbone Port), PNP(Provider Network Port))들의 기능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GMPLS에서는 연결 지향 경로에 해당하는 백본 에지 브리지의 B 컴포넌트(120)만 제어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I 컴포넌트(110)의 CNP(Customer Network Port)에서 수용하는 이더넷 서비스의 프레임 및 트래픽 정보를 GMPLS 시그널링 프로토콜에 포함시켜 GMPLS로 전달함으로써, NNI(Network to Network Interface, 망간 인터페이스)뿐만 아니라 UNI까지 GMPLS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이더넷 서비스의 프레임 및 트래픽 정보를 포함하는 GMPLS RSVP-TE 프로토콜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2를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 메시지 전송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노드(제1 노드(10) ∼ 제4 노드(40))가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제1 노드(10)에서 제4 노드(40)로 LSP의 생성을 요청하고, LSP를 생성할 수 있는 제4 노드(40)가 이에 대해 응답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즉, 제1 노드(10)는 운영자(operator)로부터 CLI(Command Line Interface, 명령어 인터페이스) 또는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간이 망 관리 프로토콜)를 통해 제4 노드(40)에서 LSP(Label Switched Path)를 생성하라는 LSP 생성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S100). 그러면, 제1 노드(10)는 LPS 생성 요청 메시지를 제4 노드(40)로 전달하기 위해, RSVP-TE 프로토콜 엔진에서 PATH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한 PATH 메시지에 LSP 생성 요청 메시지를 포함한다.
여기서, 각각의 노드들은 GMPLS 프로토콜 스택이 탑재된 시스템을 의미하며, GMPLS 프로토콜 스택 내에 GMPLS의 RSVP-TE 프로토콜 엔진이 포함되어 있는 형태로 구현된다. 그러면 제1 노드(10)로부터 전송된 LSP 생성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는 PATH 메시지는, 제1 노드(10)와 제4 노드(40) 사이의 중간 노드들인 제2 노드(20)와 제3 노드(30)를 거쳐 제4 노드(40)로 전송된다(S110∼S130). 이때, 제1 노드(10)에서 전송된 PATH 메시지의 목적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4 노드(40)에 대한 식별자 정보가 PATH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다.
이때, 제1 노드(10)에서 전송되는 PATH 메시지의 포맷은, 백본 에지 브리지에서 수용하는 서비스 프레임 정보(C 태그 프레임, S 태그 프레임, I 태그 프레임 및 B 태그 프레임)를 제4 노드(40)로 전송하기 위하여 다음 표 1과 같이 정의하며, PATH 메시지의 포맷은 도 3과 같다.
<Path Message> :: = <Common Header> [<INTEGRITY>]
[[<MESSAGE_ID_ACK>|<MESSAGE_ID_NACK>]...]
[<MESSAGE_ID>]
<SESSION> <RSVP_HOP>
<CALL_ID>
<TIME_VALUES>
[<EXPLICIT_ROUTE>]
<LABEL_REQUEST>
[<PROTECTION>]
[<LABEL_SET>...]
[<CALL_ATTRIBUTES>]
[<SESSION_ATTRIBUTES>]
[<NOTIFY_REQUEST>]
[<ADMIN+STATUS>]
[<POLICY_DATA>...]
<sender descriptor>
<sender descriptor>::= <SENDER_TEMPLATE> <SENDER_TSPEC>
[<ADSPEC>]
[<RECORD_ROUTE>]
[<SUGGESTED_LABEL>]
[<RECOVERY_LABEL>]
<UPSTREAM_LABEL>
[<UPSTREAM_FLOWSPEC>]
[<UPSTREAM_SUBLABEL_SET>]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역방향(upstream)의 서비스 프레임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도 3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ATH 메시지 포맷의 예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UPSTREAM_SUBLABEL_SET> 오브젝트가 추가되었으며, 순방향(downstream)의 수신 폴리싱(ingress policing)을 위한 서비스 프레임의 트래픽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SENDER_TSPEC> 오브젝트의 TLV를 수정하였다.
제4 노드(40)로 상기에서 설명한 PATH 메시지가 전달되면, 제4 노드(40)는 제1 노드(10)로부터 전송된 PATH 메시지 내에 포함되어 있는 LSP 요청 메시지를 토대로 자신이 LSP를 생성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즉, 각각의 노드에는 자원 관리부(Resource Manager)를 포함하고 있어, 노드에서 LSP를 생성할 수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제4 노드(40)가 LSP를 생성할 수 있어, 자원 관리부에서 확인 메시지(LSP Accept)를 수신하면(S140), 제4 노드(40)는 LSP 승낙에 대한 정보를 제1 노드(10)로 전달하기 위해 RESV(reservation) 메시지를 생성한다. RESV 메시지 또한 PATH 메시지와 마찬가지로 RSVP-TE 프로토콜 엔진에서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RESV 메시지는 제3 노드(30)와 제2 노드(20)를 거쳐 최초 LSP 생성을 요청한 제1 노드(10)로 전달된다(S150∼S170). RESV 메시지에도 제1 노드(10)로의 전송을 위해 제1 노드(10)에 대한 식별자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때의 RESV 메시지의 포맷은 다음 [표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다.
<Resv Message> :: = <Common Header> [<INTEGRITY>]
[[<MESSAGE_ID_ACK>|<MESSAGE_ID_NACK>]...]
[<MESSAGE_ID>]
<SESSION> <RSVP_HOP>
<CALL_ID>
<TIME_VALUES>
[<RESV_CONFIRM>] [<SCOPE>]
[<NOTIFY_REQUEST>]
[<ADMIN_STATUS>]
[<POLICY_DATA>...]
[<STYLE>] <flow descriptor list>
<flow descriptor list>::= <FF flow descriptor list>
| <SE flow descriptor>
<FF flow descriptor list>::= <FLOWSPEC>
<UPSTREAM_TSPEC>
[<UPSTREAM_ADSPEC>]
<FILTER_SPEC>
<LABEL>
<SUBLABEL_SET>
[<RECORD_ROUTE>]
|<FF flow descriptor list>
<FF flow descriptor>
<SE flow descriptor>::= <FLOWSPEC>
<UPSTREAM_TSPEC>
[<UPSTREAM_ADSPEC>]
<SE filter spec list>
도 4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ESV 메시지 포맷에 도시한 바와 같이, <SUBLABEL_SET> 오브젝트는 순방향의 서비스 프레임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추가된 사항이고, 역방향의 발신 폴리싱(egress policing)을 위한 서비스 프레임의 트래픽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UPSTREAM_TSPEC> 오브젝트의 TLV가 수정되었다.
[표 1] 및 [표 2]에서 새로운 오브젝트는 LABEL_SET 오브젝트 포맷에서 변형된 SUB_LABEL_SET 오브젝트 개념을 도입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오브젝트 포맷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PSTREAM_LABEL> 오브젝트와 <LABEL> 오브젝트의 포맷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UPSTREAM_LABEL> 오브젝트와 <LABEL> 오브젝트는 백본 에지 브리지의 연결지향 경로인 패킷 전달 계층의 양방향 경로 정보를 전달한다. <UPSTREAM_LABEL> 오브젝트는 상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PATH 메시지의 포맷에 포함되어 있는 오브젝트이다. 이때 <UPSTREAM_LABEL> 오브젝트와 <LABEL> 오브젝트의 포맷은 Generalized Label 포맷을 사용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PSTREAM_SUBLABEL_SET> 오브젝트와 <SUBLABEL_SET> 오브젝트의 포맷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UPSTREAM_SUBLABEL_SET> 오브젝트와 <SUBLABEL_SET> 오브젝트는 양방향 서비스 프레임 정보를 전달한다. <UPSTREAM_SUBLABEL_SET> 오브젝트와 <SUBLABEL_SET> 오브젝트는 상기 도 4에 도시한 RESV 메시지 포맷에 포함되어 있는 오브젝트이다. 이들 오브젝트는 Generallized Label_Set 포맷과 유사하나, 서비스 타입을 구분하는 필드가 존재한다.
따라서 <UPSTREAM_SUBLABEL_SET> 오브젝트와 <SUBLABEL_SET> 오브젝트에는 Class number와 C-type이 포함된다. 여기서 Class number는 RSVP_SUBLABEL이고, C-type은 Generalized_Sublabel_Set으로 규정하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a는 일반적인 SENDER_TSPEC 오브젝트 포맷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ENDER_TSPEC 오브젝트의 포맷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백본 에지 브리지에서 수용하는 서비스 프레임의 트래픽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PATH 메시지 및 RESV 메시지의 일부 오브젝트가 변경되어야 한다. 이때, 양방향 이더넷 LSP의 비대칭 대역폭을 지원하기 위해 역방향과 순방향의 오브젝트가 다르게 설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서비스 프레임의 트래픽 정보를 전달하기 위하여, SENDER_TSPEC 오브젝트를 수정하여 계층적 대역폭 TLV 개념을 제안한다.
즉,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SENDER_TSPEC 오브젝트는 SENDER_TSPEC 오브젝트는 이더넷 LSP(Eth-LSP) 트래픽 정보만 전달한다. 그러나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ENDER_TSPEC 오브젝트의 이더넷 대역폭 프로파일 TLV1(Type, Length, Value)에는 일반적인 다운 스트림(downstream)의 이더넷 LSP(Eth-LSP) 트래픽 정보를 전달하고, 이더넷 대역폭 프로파일 TLV2에는 수신 인접 노드(ingress edge node)의 서비스 프레임에 대한 트래픽 정보를 전달한다. 여기서 SENDER_TSPEC 오브젝트는 PATH 메시지 포맷에 포함되어 있는 오브젝트 중 하나이다.
현재, 스위칭 객체(Switching Granularity)는 EPL(Ethernet Private Line), EVPL(Ethernet Virtual Private Line) 서비스까지만 할당된다. 그러나, LABEL_REQUEST 오브젝트의 스위칭(Switching) 타입에는 802_1 PBB-TE가 할당되어 있다. 따라서, 백본 에지 브리지 제어를 위하여 스위칭 객체(Switching Granularity)에 이더넷 LSP(CO-이더넷)를 추가해야 한다. 이더넷 대역폭 프로파일 TLV2에서 서비스를 구분하기 위해 Reserved 필드를 사용한다.
한편, PATH 메시지의 UPSTREAM_FLOWSPEC 오브젝트나 RESV 메시지의 FLOWSPEC 오브젝트는 이더넷 LSP의 자원 할당 정보만을 전달하면 되기 때문에, 서비스 제어와는 상관이 없다. 따라서 종래의 포맷을 그대로 사용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ALL_ATTRIBUTES 오브젝트의 포맷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백본 에지 브리지에서 수용하는 서비스 프레임과 이더넷 LSP 사이의 결합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CALL_ATTRIBUTES 오브젝트에 I-SID(I-Service Instance VLAN ID) 정보를 포함하여 전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CALL_ATTRIBUTES 오브젝트는 PATH 메시지의 포맷에 포함되어 있는 오브젝트 중 하나이다.
또한, CALL_ATTRIBUTES 오브젝트의 서비스 ID TLV 뒤에 역방향 및 순방향의 서비스 프레임 정보를 나타내는 Attributes TLV를 추가하면 BEB에서 수용하는 서비스 프레임 정보를 PATH 메시지의 CALL_ATTRIBUTES를 통해 전송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RSVP-TE 프로토콜을 확장하면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를 수용할 수 있으며, I 컴포넌트의 CNP 포트에서 수용하는 이더넷 서비스의 프레임 및 트래픽 정보를 GMPLS 시그널링 프로토콜에 포함시켜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NNI 뿐만 아니라 UNI까지 모두 GMPLS로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9)

  1. 복수의 노드로 이루어진 연결 지향적 이더넷 망의 가입자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확장된 프로토콜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노드 중 하나인 제1 노드가 외부로부터 LSP(Label Switched Path) 생성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LSP 생성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며, 역방향 서비스 프레임 정보 전달을 위한 오브젝트 및 순방향 트래픽 폴리싱을 위한 서비스 프레임의 트래픽 정보의 전송을 위해 수정된 오브젝트가 포함된 패스(PATH)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노드 중 하나인 제2 노드가 상기 제1 노드로부터 전송된 상기 패스 메시지를 수신하면, 순방향 서비스 프레임 정보 전송을 위해 추가된 오브젝트와 역방향의 트래픽 폴리싱을 위한 서비스 프레임의 트래픽 정보의 전송을 위해 수정된 오브젝트가 포함된 상기 LSP 생성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RESV(reservation)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한 RESV 메시지를 상기 제1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프로토콜 메시지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 메시지는 백본 에지 브리지에서 수용하는 서비스 프레임 정보를 상기 제2 노드로 전송하는 프로토콜 메시지 전송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 메시지는 패킷 전달 계층의 양방향 서비스 프레임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제1 오브젝트 및 순방향 수신 폴리싱을 위한 서비스 프레임의 트래픽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제2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프로토콜 메시지 전송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브젝트는 다운 스트림의 이더넷 LSP 트래픽 정보 및 수신 인접 노드의 서비스 프레임에 대한 트래픽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토콜 메시지 전송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브젝트는 UPSTREAM_SUBLABEL_SET 오브젝트이고, 상기 제2 오브젝트는 SENDER_TSPEC 오브젝트인 프로토콜 메시지 전송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ESV 메시지는 순방향의 서비스 프레임 정보를 전달하는 제3 오브젝트 및 서비스 프레임의 트래픽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제4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프로토콜 메시지 전송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RESV 메시지는 순방향의 서비스 프레임 정보를 전달하는 제3 오브젝트 및 서비스 프레임의 트래픽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제4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프로토콜 메시지 전송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오브젝트 및 제4 오브젝트는 클래스 번호와 서비스 타입을 구분하는 클래스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토콜 메시지 전송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오브젝트는 SUBLABEL_SET 오브젝트이고, 상기 제4 오브젝트는 UPSTREAM_TSPEC 오브젝트인 프로토콜 메시지 전송 방법.
KR1020100065957A 2009-12-07 2010-07-08 연결 지향적 이더넷 망의 가입자 서비스 제어를 위한 확장된 프로토콜 메시지 전송 방법 KR101301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939,781 US8391297B2 (en) 2009-12-07 2010-11-04 Method for transmitting extended protocol message to control subscriber services of connection-oriented Ethern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539 2009-12-07
KR20090120539 2009-1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280A KR20110065280A (ko) 2011-06-15
KR101301297B1 true KR101301297B1 (ko) 2013-08-28

Family

ID=44398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5957A KR101301297B1 (ko) 2009-12-07 2010-07-08 연결 지향적 이더넷 망의 가입자 서비스 제어를 위한 확장된 프로토콜 메시지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129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83251A1 (en) 2004-10-20 2006-04-20 Kenji Kataoka Route control method of label switch path
KR20080066786A (ko) * 2005-10-14 2008-07-16 노오텔 네트웍스 리미티드 이더넷의 gμpls 제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83251A1 (en) 2004-10-20 2006-04-20 Kenji Kataoka Route control method of label switch path
KR20080066786A (ko) * 2005-10-14 2008-07-16 노오텔 네트웍스 리미티드 이더넷의 gμpls 제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280A (ko) 201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8370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erving network resources for pseudo point-to-point connection
Kompella et al. Label switched paths (LSP) hierarchy with generalized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GMPLS) traffic engineering (TE)
US7792111B2 (en) Point-to-multipoint for multicast and unicast forwarding
EP2479940B1 (en) Pseudo wire establishment method and node device
US20050265365A1 (en) Ring bearing network and method of implementing service bearing thereof
KR20180014096A (ko)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경로 계산 요소 중앙 제어기(PCECCs)
US9461906B2 (en) Method for exchanging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a path between two nodes of a communication network
US20100111086A1 (en) Multicast and bidirectional unicast signaling in single root multipoint services using rsvp-te
US20080069007A1 (en) Dynamically and efficiently forming hierarchical tunnels
US20080310442A1 (e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Edge To Edge Pseudo Wire Emulation Of Bundling Interface
WO2005006670A1 (ja) ラベルスイッチ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セッション確立方法及びラベルスイッチノード
US20090103533A1 (en) Method, system and node apparatus for establishing identifier mapping relationship
US8897295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raffic engineering interworking
EP2239956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ip/optical convergence
US7158515B1 (en) Method of optical network bandwidth representation for optical label switching networks
KR101301297B1 (ko) 연결 지향적 이더넷 망의 가입자 서비스 제어를 위한 확장된 프로토콜 메시지 전송 방법
US8391297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extended protocol message to control subscriber services of connection-oriented Ethernet
CN101488900A (zh) 在下一代网络中传送业务的实现方法及系统
Takacs et al. GMPLS controlled Ethernet: An emerging packet-oriented transport technology
Hadjiantonis et al. Evolution to a converged layer 1, 2 in a global-scale, native ethernet over WDM-based optical networking architecture
Papadimitriou et al. Ethernet layer 2 label switched paths (LSP)
JP3790508B2 (ja) 通信装置,伝送システムおよびパス管理情報回復方法
Gao et al. Bod service with VCAT/LCAS and GMPLS signalling
Griffith The GMPLS Control Plane Architecture for Optical Networks: Routing and Signaling for Agile High Speed Switching
Papadimitriou et al. The Private User Network Interface-a GMPLS-compliant signaling interface for overlay-based multilayer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