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0526B1 - Lte 시스템에서 pusch의 ri 디코딩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Lte 시스템에서 pusch의 ri 디코딩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0526B1
KR101300526B1 KR1020120032435A KR20120032435A KR101300526B1 KR 101300526 B1 KR101300526 B1 KR 101300526B1 KR 1020120032435 A KR1020120032435 A KR 1020120032435A KR 20120032435 A KR20120032435 A KR 20120032435A KR 101300526 B1 KR101300526 B1 KR 101300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ymbol
decoding
rearranging
extra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2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섭
지승환
임용훈
양승익
경수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Priority to KR1020120032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05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68Details of algorithms
    • H04L27/2673Details of algorithms characterised by synchronisation parameters
    • H04L27/2676Blind, i.e. without using known symbols
    • H04L27/2678Blind, i.e. without using known symbols using cyclostationarities, e.g. cyclic prefix or postfi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TE 업링크의 PUSCH에 포함된 RI를 채널 디인터리빙이 완료되기 이전에 미리 LTE 표준에 따라 디코딩함으로써 채널 디코딩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LTE 시스템에서 PUSCH의 RI 디코딩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LTE 시스템에서 PUSCH의 RI 디코딩 장치는 CP의 종류, RI의 전체 길이 및 RI의 비트수에 의해 RI 심벌의 위치를 확인하고, 이렇게 확인된 RI 심벌 위치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RI 심벌 위치의 해당 부반송파로 입력되는 디스크램블러의 출력 신호에서 RI 신호를 추출하는 RI 신호 추출부; 상기 RI 신호 추출부에서 추출된 RI 신호를 저장 순서 및 RI의 전체 길이에 따라 재배열하여 원래의 RI 신호를 추출하는 RI 신호 재배열부 및 상기 RI 신호 재배열부에 의해 생성된 원래의 RI 신호를 디코딩하는 RI 디코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LTE 시스템에서 PUSCH의 RI 디코딩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coding RI in PUSCH for LTE system}
본 발명은 LTE 시스템에서 PUSCH의 RI 디코딩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LTE 업링크의 PUSCH에 포함된 RI를 LTE 표준에 따라 미리 디코딩함으로써 채널 디인터러빙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LTE 시스템에서 PUSCH의 RI 디코딩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의 경우 한정된 무선 자원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효과적인 송수신 기법 및 활용 방안들이 제안되어 왔다. 차세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고려되고 있는 시스템 중 하나가 낮은 복잡도로 심벌간 간섭(ISI; Inter-Symbol Interference) 효과를 감쇄시킬 수 있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시스템이다.
OFDM은 직렬로 입력되는 데이터 심벌을 N개의 병렬 데이터 심벌로 변환하여 각각 분리된 N개의 부반송파(subcarrier)에 실어 전송한다. 부반송파는 주파수 차원에서 직교성을 유지하도록 한다. 각각의 직교 채널은 상호 독립적인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frequency selective fading)을 경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수신단에서의 복잡도가 감소하고 전송되는 심벌의 간격이 길어져 심벌간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OFDMA)은 OFDM을 변조 방식으로 사용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이용 가능한 부반송파의 일부를 각 사용자에게 독립적으로 제공하여 다중 접속을 실현하는 다중 접속 방법을 말한다. OFDMA는 부반송파라는 주파수 자원을 각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각각의 주파수 자원은 다수의 사용자에게 독립적으로 제공되어 서로 중첩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결국 주파수 자원은 사용자마다 상호 배타적으로 할당된다.
한편, 3GPP LTE 또는 여기에서 진보된 LTE-A(Advanced) 표준(이하 총칭하여 'LTE 표준'이라 한다)에서 무선 프레임은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slot)으로 구성된다. 무선 프레임 내 슬롯은 #0부터 #19까지 슬롯 번호가 매겨진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전송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TTI(Transmission TimeInterval)라 한다. TTI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단위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무선 프레임의 길이는 10ms이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ms이고, 하나의 슬롯의 길이는 0.5ms일 수 있다.
하나의 슬롯은 시간 영역(time domain)에서 복수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벌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의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OFDM 심벌은 3GPP LTE가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사용하므로 하나의 심벌 구간(symbol period)을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다중 접속 방식에 따라 다른 명칭으로 불리울수 있다. 예를 들어, 상향링크 다중 접속 방식으로 SC-FDMA가 사용될 경우 SC-FDMA 심벌이라고 할 수 있다. 자원블록(RB; Resource Block)은 자원 할당 단위로 하나의 슬롯에서 복수의 연속하는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일 예에 불과한 것이다. 따라서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개수나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개수, 또는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벌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LTE 표준에 따르면, 노멀(normal) 사이클릭 프리픽스(CP; Cyclic Prefix)에서 하나의 슬롯은 7개의 OFDM 심벌을 포함하고, 확장(extended) CP에서 하나의 슬롯은 6개의 OFDM 심벌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각각의 슬롯의 네 번째 SC-FDMA 심벌에는 1개의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심벌이 할당된다.
한편, LTE 표준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주파수 영역은 제어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나뉠 수 있는데, 제어 영역에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가 전송되기 위한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가 할당되고 데이터 영역에는 데이터가 전송되기 위한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가 할당된다.
PUSCH는 전송 채널(transport channel)인 UL-SCH(Uplink Shared Channel)에 맵핑된다. PUSCH 상으로 전송되는 상향링크 데이터는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동안 전송되는 UL-SCH를 위한 데이터 블록인 전송 블록(transport block)일 수 있다. 상기 전송 블록은 사용자 정보일 수 있다. 또는, 상향링크 데이터는 다중화된(multiplexed) 데이터일 수 있다. 다중화된 데이터는 UL-SCH를 위한 전송 블록과 제어정보가 다중화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에 다중화되는 제어정보에는 CQI,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 HARQ(Hybrid ARQ)를 및 RI(Rank Indicator) 등이 있을 수 있다. 상향링크 데이터는 제어정보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PUSCH에서 데이터 채널 및 제어 채널이 맵핑되는 물리적 자원 요소 저장 버퍼의 일례를 보인 도로서, (a)는 노멀 CP의 경우를 나타내고, (b)는 확장 CP의 경우를 나타낸다. 도 1에서, 가로축은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의 입력인 가상 부반송파(virtual subcarrier)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SC-FDMA 심벌을 나타내는데, 편의상 각 슬롯의 4번째 SC-FDMA 심벌에 맵핑된 참조 신호(RS)를 생략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여러 종류의 데이터들이 할당된 자원 공간 안에서 순서대로 정렬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인코딩된 후 채널 인터리빙(channel interleaving) 과정에서 특정 패턴에 따라 인터리빙됨으로써 서로 뒤섞인 채로 PUSCH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채널 인터리빙된 상태에서 전송될 때에는 처음의 심벌 위치부터 세로축, 즉 부반송파 축으로 신호가 전송되기 때문에 가로 방향으로 순서대로 쌓인 데이터들이 다른 종류의 데이터들과 순서가 뒤섞여서 전송된다.
여기에서 주의할 것은 도 1에 도시한 저장 버퍼의 한 주소당 데이터가 변조차수 Qm개씩 묵여서 저장되고, RI 및 HARQ는 각각 4개의 심벌에 걸처서 저장된다. 여기에서, 좌측에서 우측의 심벌의 순서로 번호가 증가한다고 가정할 때 노멀 CP의 경우에는 1->10->7->4의 순서로 저장되고, 확장 CP의 경우에는 0->8->5->3의 순서로 저장된다.
한편, 뒤섞여 들어오는 PUSCH를 수신단, 예를 들어 기지국의 수신단이나 신호 분석기(Signal Analyzer)에서 채널 디인터리빙하게 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데이터들이 구분되는 모양으로 복원된다.
그러나 채널 디인터리빙 이후에 바로 CQI 및 CTC(Convoluion Turbo Code) 디디코딩이 진행되기 때문에 채널 디인터리빙이 완료되기 이전에 미리 RI를 디코딩하여 CQI 데이터 영역의 길이나 UL-SCH 데이터 영역의 길이를 계산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종래에는 채널 디인터리빙이 완료된 이후에 비로소 RI를 디코딩함으로써 데이터 처리에 시간 지연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LTE 업링크의 PUSCH에 포함된 RI를 채널 디인터리빙이 완료되기 이전에 미리 LTE 표준에 따라 디코딩함으로써 채널 디코딩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LTE 시스템에서 PUSCH의 RI 디코딩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LTE 시스템에서 PUSCH의 RI 디코딩 장치는 CP의 종류, RI의 전체 길이 및 RI의 비트수에 의해 RI 심벌의 위치를 확인하고, 이렇게 확인된 RI 심벌 위치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RI 심벌 위치의 해당 부반송파로 입력되는 디스크램블러의 출력 신호에서 RI 신호를 추출하는 RI 신호 추출부; 상기 RI 신호 추출부에서 추출된 RI 신호를 저장 순서 및 RI의 전체 길이에 따라 재배열하여 원래의 RI 신호를 추출하는 RI 신호 재배열부 및 상기 RI 신호 재배열부에 의해 생성된 원래의 RI 신호를 디코딩하는 RI 디코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장치는 기지국의 수신단이나 신호 분석기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LTE 시스템에서 PUSCH의 RI 디코딩 방법은 CP의 종류와 RI의 전체 길이(mux_len)를 확인하는 (a) 단계; CP의 종류에 따른 RI 심벌 위치를 확인하는 (b) 단계; 상기 (b) 단계에서 확인된 RI 심벌 위치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RI 심벌 위치의 해당 부반송파로 입력되는 디스크램블러의 출력 신호에서 RI 신호를 추출하는 (c) 단계; 상기 (c) 단계에서 추출된 RI 신호를 저장 순서 및 RI의 전체 길이에 따라 재배열하여 원래의 RI 신호를 추출하는 (d) 단계 및 상기 (d) 단계에서 추출된 원래의 RI 신호를 디코딩하는 (e)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d) 단계에서의 상기 저장 순서는 상기 (a) 단계에서 확인된 CP의 종류에 따라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RI 심벌 위치는 RI의 전체 길이(mux_len)에 따라 가변적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LTE 시스템에서 PUSCH의 RI 디코딩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LTE 업링크의 PUSCH에 포함된 RI를 채널 디인터리빙이 완료되기 이전에 미리 LTE 표준에 따라 디코딩함으로써 채널 디코딩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다.
도 1은 PUSCH에서 데이터 채널 및 제어 채널이 맵핑되는 물리적 자원 요소 저장 버퍼의 일례를 보인 도.
도 2는 본 발명의 LTE 시스템에서 PUSCH의 RI 디코딩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LTE 시스템에서 PUSCH의 RI 디코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LTE 시스템에서 PUSCH의 RI 디코딩 장치 및 방법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 특징은 인코딩된 RI 신호를 재배열하여 서브프레임 상의 자원에 할당하는 과정에서 생겨나는 RI 신호 할당 규칙의 성질을 이용하여 디코딩하는 것인바, 이하에서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LTE 시스템에서 PUSCH의 RI 디코딩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LTE 시스템에서 PUSCH의 RI 디코딩 장치는 기지국의 수신단 또는 신호 분석기에 적용될 수 있는데, CP의 종류, RI의 전체 길이 및 RI의 비트수에 의해 RI 심벌의 위치를 확인한 후에 확인된 RI 심벌 위치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RI 심벌 위치의 해당 부반송파로 입력되는 디스크램블러(100)의 출력 신호에서 RI 신호를 추출하는 RI 신호 추출부(120), 추출된 RI 신호를 저장 순서 및 RI의 전체 길이에 따라 재배열하여 원래의 RI 신호를 추출하는 RI 신호 재배열부(125) 및 RI 신호 재배열부(125)에 의해 생성된 원래의 RI 신호를 디코딩하는 RI 디코더(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서 참조번호 110은 디스크램블러(100)의 출력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버퍼 메모리를, 130은 디인터리버를, 150은 채널 디코더를 각각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LTE 시스템에서 PUSCH의 RI 디코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한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LTE 시스템에서 PUSCH의 RI 디코딩 장치의 동작을 그 방법과 함께 설명하면, 먼저 단계 S10에서는 CP의 종류 확인, 즉 CP가 노멀 CP인지 확장 CP인지를 확인하는데, 이러한 CP의 종류에 따라 RI 심벌 위치와 저장 순서가 상이하기 때문이다.
RI가 저장되는 RI의 심벌 위치와 그 저장 순서는 아래의 표 1로 나타낸 바와 같다.
CP 종류 RI 심벌 위치 RI 저장 순서
노멀 1,4,7,10 1->10->7->4
확장 0,3,5,8 0->8->5->3
다음으로 단계 S20에서는 RI의 전체 길이(mux_len)를 확인하고, 다시 단계 S30에서는 RI의 비트수를 확인한다. 여기에서 RI가 1비트의 b0인 경우의 인코딩 과정은 아래 표 3의 내용과 같이 Qm값을 참조하여 진행된다.
Qm(변조차수) Encoding out(인코딩 출력)
2 {b0,y}
4 {b0,y,x,x}
6 {b0,y,x,x,x,x}
이와는 달리 RI가 2비트의 b0과 b1인 경우의 인코딩 과정은 아래의 표 4의 내용과 같이 Qm 값을 참조하여 진행된다.
Qm(변조차수) Encoding out(인코딩 출력)
2 {b0,b1,b2,b0,b1,b2}
4 {b0,b1,x,x,b2,b0,x,x,b1,b2,x,x}
6 {b0,b1,x,x,x,x,b2,b0,x,x,x,x,b1,b2,x,x,x,x}
위의 표 2 및 표 3에서 "x"는 1을 나타내고, "y"는 b(i)=b(i-1)(이전 스크램블 데이터)를 나타낸다. 또한 위의 표 3에서 b2 = (b0 + b1) mod 2로 정해질 수 있다.
한편 위의 표 2 및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코더는 다수의 인코딩된 RI 블록들의 연쇄(concatenation)에 의해 인코딩된 비트 시퀀스를 획득한다. 이들은 나중에 인코딩 체인에서 블록들이 변조부로 삽입될 것이기 때문에 블록들로 유도된다. 따라서 QPSK 변조는 2개의 세트에서 다수의 인코딩된 RI 블록들의 연쇄를 취할 것이다. 16QAM 변조는 4개의 세트로 다수의 인코딩된 RI 블록들의 연쇄를 취할 것이다. 또한, 64QAM 변조부는 6개의 세트로 다수의 인코딩된 RI 블록들의 연쇄를 취할 것이다.
또한 표 2 및 표 3에 나타낸 대로 인코딩된 출력을 서브프레임 상에서 사용가능한 자원 길이(mux_len)만큼 반복하여 길이를 확장한다. 이때 변조차수 Qm 비트만큼이 하나의 IQ 심벌을 구성하는 것을 고려하여 채널 인터리빙 과정에서는 Qm개의 비트를 한 묶음화하여 다루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이를 쉽게 표현하기 위해 Qm개의 비트 묶음을 순서대로 ①,②,③…의 방식으로 번호를 부여한다.
그러면 RI가 1비트인 경우의 길이확장(ratematching)된 최종 인코딩 출력은 ①①①①… 순서로 반복되고 RI가 2비트인 경우의 최종 인코딩 출력은 ①②③①②③… 순서로 반복된다. 마지막으로 송신단에서는 위 내용대로 나온 RI 신호를 CP의 종류에 따라 서브프레임 상에서 정해진 RI 심벌 위치를 고려하여 가장 낮은 주파수를 갖는 최하위 부반송파부터 할당한다. RI 신호가 위치하는 정해진 심벌 위치는 위의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아래의 표 4는 RI가 1비트, 노멀 CP 및 RI의 전체 길이(mux_len)가 15인 경우에 RI 신호가 서브프레임 상에 할당된 형태를 보인 표인바, 가로축은 심벌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부반송파를 나타낸다.
Figure 112012025323822-pat00001
아래의 표 5는 RI가 2비트, 확장 CP 및 RI의 전체 길이(mux_len)가 22인 경우에 RI 신호가 서브프레임 상에 할당된 형태를 보인 표인바, 가로축은 심벌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부반송파를 나타낸다.
Figure 112012025323822-pat00002
한편, 수신단에서의 디스크램블링 출력은 표 4 및 표 5로 예시된 서브프레임 구조에서 0번 심벌부터 상단에서 하단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표 4에 예시한 서브프레임 구조에서는 해당 RI 심벌 위치인 1, 4, 7 및 10번 심벌에서 RI 신호를 추출하고. 표 5에 예시한 서브프레임 구조에서는 해당 RI 심벌 위치인 0, 3, 5 및 8번 심벌에서 RI 신호를 추출한다.
다시 도 3으로 돌아가서 단계 S40에서는 RI의 비트수를 체크한다. 먼저 단계 S40에서의 판단 결과, RI 비트수가 1인 경우에는 단계 S50으로 진행하여 CP의 종류에 따른 RI 심벌 위치를 확인한다. 다음으로, 단계 S60에서는 확인된 RI 심벌 위치상의 첫 번째 RI 심벌 위치의 해당 부반송파로 입력되는 디스크램블러의 출력 신호에서 RI 신호를 추출하여 원래의 RI 신호를 확인한다.
이에 대해 부연 설명하면, RI 비트수가 1인 경우에는 모든 RI 심벌 위치에서 출력되는 모든 RI 신호가 ①①①…의 순서로 출력된다. 따라서 디스크램블러의 출력을 재배열하지 않고도 첫 번째 RI 심벌 위치, 즉 표 4의 1번 심벌 위치 또는 표 5의 0번 심벌 위치의 해당 부반송파로 입력되는 RI 신호를 1개 이상 추출하여 원래의 RI 신호를 확인한다. 다음으로, 단계 S100에서는 이렇게 확인된 원래의 RI 신호를 디코딩한다.
반면에 단계 S40에서의 판단 결과, RI 비트수가 2이상인 경우에는 다시 단계 S70으로 진행하여 CP의 종류에 따른 RI 심벌 위치를 확인한다. 다음으로, 단계 S80에서는 확인된 RI 심벌 위치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RI 심벌 위치의 해당 부반송파로 입력되는 디스크램블러의 출력 신호에서 RI 신호를 추출한다.
이에 대해 부연 설명하면, 예를 들어 RI 비트수가 2이고 표 4에 예시된 서브프레임 구조의 경우에는 각 부반송파마다 1->10->7->4 심벌의 순서로 Qm개의 비트 묶음이 ①->②->③의 순서대로 배열되는데, 이를 각 심벌 위치(세로축)에서 살펴보면, ③->②-> ①의 순서로 순서로 순환되면서 출력된다. 한편, 각 심벌 위치에서의 처음 시작되는 Qm개의 비트 묶음 번호는 RI의 전체 길이에 따라 전체 길이(mux_len)에 따라 상이, 예를 들어 표 4의 서브프레임 구조에서 4번 심벌 위치에서는 ②번의 Qm개의 비트 묶음이, 7번 심벌 위치에서는 ①번의 Qm개의 비트 묶음이, 10번 심벌 위치에서는 역시 ①번의 Qm개의 비트 묶음이 먼저 출력된다.
이 경우에 RI의 전체 길이(mux_len)가 4의 배수이면 정해진 RI 심벌 위치인 1, 4, 7 및 10번 심벌 모두에서 동일한 수만큼의 RI 신호가 출력되고, 4의 배수보다 1만큼 큰 경우에는 1번 심벌에서만 다른 심벌보다 1개 더 많은 RI 신호가 출력되며, 2만큼 큰 경우에는 1번 및 10 심벌에서 다른 심벌보다 1개 더 많은 RI 신호가 출력되고, 3만큼 큰 경우에는 1, 10 및 7번 심벌에서 4번 심벌보다 1개 더 많은 RI 신호가 출력된다.
아래의 표 6은 RI가 2비트, 노멀 CP 및 RI의 전체 길이(mux_len)가 24인 경우에 RI 신호가 서브프레임 상에 할당된 형태를 보인 표인바, 가로축은 심벌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부반송파를 나타낸다.
Figure 112012025323822-pat00003
위의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①, ② 및 ③번의 세 종류의 Qm개의 비트 묶음이 가로 4개의 RI 심벌 위치에 반복적으로 할당되기 때문에 아래의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의 부반송파마다 동일한 패턴이 반복된다. 따라서 RI 전체 길이(mux_len)의 모든 RI 신호들 중에 12의 배수가 되는 양만 사용하면 매 심벌당 동일한 패턴의 신호들이 출력되므로 RI 신호의 추출이 좀 더 수월하다.
즉 1번 심벌은 항상 ③->②->①의 순서로, 4번 심벌도 항상 ③->②->①의 순서로, 7번 심벌은 항상 ②->①->③의 순서로, 마지막으로 10번 심벌은 항상 ①->③->②의 순서로 RI 신호가 추출되고 각 심벌별 추출하는 RI 신호 수도 동일하다. 따라서 각 심벌별로 정해진 신호의 순서를 추출할 때 주기적으로 3개의 RI 신호를 추출(단계 S80), 예를 들어 1번 심벌에서는 ③->②->①의순서로 RI 신호를 추출하여 누적하고 이를 ①->②->③의 순서로 재배열하여 원래의 RI 신호를 추출(단계 S90)한다.
이와 같이 단계 S80에서는 확인된 RI 심벌 위치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RI 심벌 위치의 해당 부반송파로 입력되는 디스크램블러의 출력 신호에서 RI 신호를 추출하고, 다시 단계 S90에서는 추출된 RI 신호를 저장 순서 및RI의 전체 길이에 따라 재배열하여 원래의 RI 신호를 추출한다.
마지막으로 단계 S100에서는 이렇게 추출된 원래의 RI 신호를 디코딩하여 후단의 채널 디코더에 전달함으로써 채널 디인터리빙이 완료되기 전에 CQI 디코딩 및 CTC 디코딩을 수행할 수가 있고, 이에 따라 천체 신호 처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다.
한편, 단계 S80에서 RI 신호를 추출할 때, RI의 전체 길이(mux_len)가 충분히 큰 경우에는 1번 심벌 위치 또는 4번 심벌 위치(노멀 CP의 경우)까지에서 RI 신호를 추출하는 반면에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에는 10번 심벌 위치까지에서 RI 신호를 추출하는 방식으로 RI 신호를 추출하는 심벌 위치를 RI 전체 길이(mux_len)에 따라 가변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LTE 시스템에서 PUSCH의 RI 디코딩 장치 및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100: 디스크램블러, 110: 버퍼 메모리,
120: RI 추출부, 125: RI 신호 재배열부,
130: 채널 디인터리버, 140: RI 디코더,
150: 채널 디코더

Claims (5)

  1. CP의 종류, RI의 전체 길이 및 RI의 비트수에 의해 RI 심벌의 위치를 확인하고, 이렇게 확인된 RI 심벌 위치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RI 심벌 위치의 해당 부반송파로 입력되는 디스크램블러의 출력 신호에서 RI 신호를 추출하는 RI 신호 추출부;
    상기 RI 신호 추출부에서 추출된 RI 신호를 저장 순서 및 RI의 전체 길이에 따라 재배열하여 원래의 RI 신호를 추출하는 RI 신호 재배열부 및
    상기 RI 신호 재배열부에 의해 생성된 원래의 RI 신호를 디코딩하는 RI 디코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LTE 시스템에서 PUSCH의 RI 디코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기지국의 수신단이나 신호 분석기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TE 시스템에서 PUSCH의 RI 디코딩 장치.
  3. CP의 종류와 RI의 전체 길이(mux_len)를 확인하는 (a) 단계;
    CP의 종류에 따른 RI 심벌 위치를 확인하는 (b) 단계;
    상기 (b) 단계에서 확인된 RI 심벌 위치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RI 심벌 위치의 해당 부반송파로 입력되는 디스크램블러의 출력 신호에서 RI 신호를 추출하는 (c) 단계;
    상기 (c) 단계에서 추출된 RI 신호를 저장 순서 및 RI의 전체 길이에 따라 재배열하여 원래의 RI 신호를 추출하는 (d) 단계 및
    상기 (d) 단계에서 추출된 원래의 RI 신호를 디코딩하는 (e)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LTE 시스템에서 PUSCH의 RI 디코딩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의 상기 저장 순서는 상기 (a) 단계에서 확인된 CP의 종류에 따라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TE 시스템에서 PUSCH의 RI 디코딩 방법.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RI 심벌 위치는 RI의 전체 길이(mux_len)에 따라 가변적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TE 시스템에서 PUSCH의 RI 디코딩 방법.
KR1020120032435A 2012-03-29 2012-03-29 Lte 시스템에서 pusch의 ri 디코딩 장치 및 방법 KR101300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435A KR101300526B1 (ko) 2012-03-29 2012-03-29 Lte 시스템에서 pusch의 ri 디코딩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435A KR101300526B1 (ko) 2012-03-29 2012-03-29 Lte 시스템에서 pusch의 ri 디코딩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0526B1 true KR101300526B1 (ko) 2013-09-02

Family

ID=49454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2435A KR101300526B1 (ko) 2012-03-29 2012-03-29 Lte 시스템에서 pusch의 ri 디코딩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05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06577A1 (en) * 2013-10-14 2015-04-16 Lsi Corporation De-interleaving on an as-needed basi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39953A1 (en) 2008-08-18 2010-02-18 Qualcomm Incorporated A-periodic pucch transmission on pusch
KR20100083440A (ko) * 2009-01-13 2010-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반송파 전송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상향링크 제어 정보 송신 장치 및 방법
KR20120004533A (ko) * 2009-04-23 2012-01-12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Mimo 동작을 위한 랭크 및 프리코딩 표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39953A1 (en) 2008-08-18 2010-02-18 Qualcomm Incorporated A-periodic pucch transmission on pusch
KR20100083440A (ko) * 2009-01-13 2010-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반송파 전송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상향링크 제어 정보 송신 장치 및 방법
KR20120004533A (ko) * 2009-04-23 2012-01-12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Mimo 동작을 위한 랭크 및 프리코딩 표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06577A1 (en) * 2013-10-14 2015-04-16 Lsi Corporation De-interleaving on an as-needed basis
US9262350B2 (en) * 2013-10-14 2016-02-16 Intel Corporation De-interleaving on an as-needed basi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81514B2 (ja) Mu-mimoにおいて協調スケジューリングされるdmrsポートを示すためのシグナリング態様
KR100965723B1 (ko) 무선통신시스템의 물리하향제어채널의 자원 매핑 방법 및매핑된 물리하향제어채널의 송/수신 장치
KR101613893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인터리빙 방법 및 장치
US7782749B2 (en) Method for mapping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to resources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the mapp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12479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가상 자원들을 물리 자원들에 매핑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5932931B2 (ja) 不連続的なアップリンクリソース割当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5453308B2 (ja) 物理リソースブロックへの分散型リソースブロックインデックスのマッピング
JP5731544B2 (ja) 復調参照信号のためのアンテナポートマッピング方法および装置
EP3080939B1 (en) Group-based resource element mapping for radio transmission of data
JP5468606B2 (ja) 反復重複のあるシンボルのリソース・ブロック・マッピング
JP7149846B2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WO2018008744A1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WO2011049368A2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 확인 전송 방법 및 장치
CA3041225A1 (en) Terminal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1301212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resour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00062882A (ko) 신호 전송 방법 및 전송 장치
KR20130113324A (ko) 기준 신호를 전송 및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300526B1 (ko) Lte 시스템에서 pusch의 ri 디코딩 장치 및 방법
JP6027637B2 (ja) 復調参照信号のためのアンテナポートマッピング方法および装置
KR101665914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인터리빙 방법 및 장치
US20110069671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obile station device and distribution and placement method for resource elements
KR101300525B1 (ko) Lte 시스템에서 pusch의 ri 디코딩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