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0094B1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0094B1
KR101300094B1 KR1020120063861A KR20120063861A KR101300094B1 KR 101300094 B1 KR101300094 B1 KR 101300094B1 KR 1020120063861 A KR1020120063861 A KR 1020120063861A KR 20120063861 A KR20120063861 A KR 20120063861A KR 101300094 B1 KR101300094 B1 KR 101300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module
module
camera module
lens
optic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3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용
강병길
이종필
Original Assignee
자화전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화전자(주) filed Critical 자화전자(주)
Priority to KR1020120063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00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6Addressed sensors, e.g. MOS or CMOS sensors
    • H04N25/77Pixel circuitry, e.g. memories, A/D converters, pixel amplifiers, shared circuits or shared components
    • H04N25/772Pixel circuitry, e.g. memories, A/D converters, pixel amplifiers, shared circuits or shared components comprising A/D, V/T, V/F, I/T or I/F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 모듈; 상기 렌즈 모듈을 수용하여 상기 렌즈 모듈의 촬영 경로를 제공하며, 적어도 일 측에는 제 1 결합부가 형성된 메인 프레임; 및 상기 렌즈 모듈의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렌즈 모듈이 광 축에 평행한 상기 촬영 경로 내에서 진퇴 운동하도록 상기 렌즈 모듈에 구동력을 제공하며, 적어도 일 측에는 상기 제 1 결합부와 결합 가능한 제 2 결합부가 형성된 구동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부는 상기 렌즈 모듈이 상기 광 축을 따라 진퇴 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렌즈 모듈의 틸트 보정을 위한 별도의 외부 기기의 필요 없이 렌즈 모듈을 광 축에 정렬시킴으로써 외부 기기의 사용으로 인한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카메라 제작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소형화 및 경량화된 카메라 모듈을 장착한 휴대 기기들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 기기들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의 일 예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이용되는 카메라 모듈은, 렌즈 모듈(11), 상기 렌즈 모듈(11)의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렌즈 모듈(11)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모듈(12) 및 상기 렌즈 모듈(11)을 수용하는 메인 프레임(13)을 포함한다.
종래의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구동 모듈(12)과 메인 프레임(13) 간의 결합 부위가 과도하게 이격되어 있거나, 그 결합 부위가 평탄하지 못한 이유로 렌즈 모듈(11)의 입사 축(B-B')이 광 축(A-A')과 어긋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의 조립 이후에, 렌즈 모듈(11)이 광 축(A-A')에 정렬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렌즈 모듈(11)의 틸트(tilt) 보정을 수행하는 공정이 필요하다. 틸트 보정을 위한 이러한 공정은, 틸트 보정을 위한 외부 기기(14A, 14B)에 구동 모듈(12)을 안착한 상태에서 일정한 거리에 위치하는 기준 피사체를 촬영하면서 이루어지는데, 이를 위한 상기 외부 기기(14A, 14B)의 비용이 적지 않으며, 또한, 틸트 보정을 위한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카메라 모듈은, 카메라 모듈의 구동 시작 시에 렌즈 모듈(11)을 초기 초점 위치라 불리는 일정한 위치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종래 초기 초점 위치를 결정하는 공정 역시 상기 외부 기기(14A, 14B)에 구동 모듈(12)을 안착한 상태에서 기준 피사체를 촬영하면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초기 초점 위치를 결정하는 공정 역시 외부 기기(14A, 14B)의 필요에 따른 비용과 시간 소모라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렌즈 모듈의 틸트 보정이 필요치 않은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체적으로 초기 초점 위치 설정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그 외의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은, 하기의 실시 예들을 통하여 파악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 모듈; 상기 렌즈 모듈을 수용하여 상기 렌즈 모듈의 촬영 경로를 제공하며, 적어도 일 측에는 제 1 결합부가 형성된 메인 프레임; 및 상기 렌즈 모듈의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렌즈 모듈이 광 축에 평행한 상기 촬영 경로 내에서 진퇴 운동하도록 상기 렌즈 모듈에 구동력을 제공하며, 적어도 일 측에는 상기 제 1 결합부와 결합 가능한 제 2 결합부가 형성된 구동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부는 상기 렌즈 모듈이 상기 광 축을 따라 진퇴 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 모듈; 상기 렌즈 모듈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듈; 상기 렌즈 모듈의 최대 이동 가능 구간을 제한하는 제 1 및 제 2 스토퍼; 상기 렌즈 모듈을 통하여 수신되는 광을 검출하여 디지털화된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이미지의 해상도 값을 출력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렌즈 모듈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센서; 및 상기 렌즈 모듈이 상기 제 1 및 제 2 스토퍼에 각각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위치 센서부로부터 수신되는 각각의 센싱 값에 설정된 보정 값을 적용하여 유효 이동 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렌즈 모듈이 상기 유효 이동 구간 내에서 이동하면서 기준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 모듈을 제어하며, 상기 유효 이동 구간 내에서 생성된 이미지의 해상도 값 중 가장 높은 해상도를 갖는 이미지의 생성 위치를 초기 초점 위치로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렌즈 모듈의 틸트 보정을 위한 별도의 외부 기기의 필요 없이 렌즈 모듈을 광 축에 정렬시킴으로써 외부 기기의 사용으로 인한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 자체적으로 초기 초점 위치를 설정함으로써 외부 기기의 사용으로 인한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틸트 보정과 초기 초점 위치 결정을 위한 종래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인 프레임과 구동 모듈 프레임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종래 기술과 대비하여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효 이동 구간 설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초기 초점 위치 설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라이브 IC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렌즈 모듈의 틸트 보정과 초기 초점 위치를 결정하는 종래의 공정은 별도의 외부 기기의 필요로 인하여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는, 틸트 보정이 필요 없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카메라 모듈 자체적으로 초기 초점 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도, 도 2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조립도, 도 2의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동 모듈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2의 (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광 축(A-A')을 따라 정렬 되는 하부 프레임(100), 메인 프레임(200), 렌즈 모듈(400), 구동 모듈(520) 및 상부 프레임(300)을 포함한다.
하부 프레임(100)은, 메인 프레임(200)의 하단에 결합되며 렌즈 모듈(400)의 하부 하우징의 역할을 한다. 하부 프레임(100)에는 렌즈 모듈(400)을 통하여 입사되는 광을 검출하여 디지털화된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센서(112)가 장착된다. 이미지 센서(112)는 회로 기판(114)에 인쇄된 회로 패턴(미도시)에 와이어 본딩 또는 소켓 형태로 연결된다. 회로 기판(114)은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는 기기의 소정 회로부에 연결되는 커넥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00)은, 렌즈 모듈(400)을 수용하며, 하부 프레임(100) 및 상부 프레임(300)과 결합된다. 메인 프레임(200)의 내부에는 렌즈 모듈(400)이 광 축(A-A')을 따라 진퇴 운동할 수 있도록 촬영 경로가 형성된다.
상부 프레임(300)은, 메인 프레임(200)의 상단에 결합되며 렌즈 모듈(400)의 상부 하우징의 역할을 한다. 상부 프레임(300)에는 광 축(A-A')을 따라 상부 프레임(300)을 관통하는 개구부(320)가 형성되어 촬영 경로를 제공한다. 상부 프레임(300)의 일 측에는 상부 프레임(300)과 메인 프레임(200)을 고정시키는 결속 편(312) 및 결속 후크(314)가 구비될 수 있다.
렌즈 모듈(400)은, 메인 프레임(200) 내에 형성된 촬영 경로 내에서 광 축(A-A')을 따라 진퇴 운동 가능하게 수용되며,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구비한다.
구동 모듈(520)은, 렌즈 모듈(400)의 진퇴 운동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구동 모듈(520)은, 자성체(522) 및 코일(512)을 포함한다. 자성체(522)는 메인 프레임(200)의 일 측에 장착되며, 코일(512)은 자성체(522)와 대향되도록 구동 모듈 프레임(510)에 장착된다.
구동 모듈 프레임(510)의 적어도 일 측에는 렌즈 모듈(400)에 형성된 지지부(414)와 결합하여 렌즈 모듈(400)의 진퇴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514)가 구비된다. 가이드부(514)에는 자성체(522)와 코일(512) 간의 간격을 유지하며 렌즈 모듈(400)의 진퇴 운동을 원활히 하는 볼 베어링(516)이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코일(512)이 장착된 상기 구동 모듈 프레임(510)의 내측에는 위치 센서(532)가 구비된다. 위치 센서(532)는, 렌즈 모듈(400)의 위치와 위치 변화를 감지하여 렌즈 모듈(400)의 진퇴 운동에 필요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렌즈 모듈(400)에는 자성체(522)가 설치되므로 자성체(522)의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렌즈 모듈(400)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자성체(522)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소자로는 홀 이펙트(hall effect) 효과를 이용하는 홀 센서(hall sensor)가 이용될 수 있다.
구동 모듈 프레임(510)의 하부 및 상부 각각에는 렌즈 모듈(400)의 최대 이동 가능 구간을 제한하는 하부 스토퍼(518A) 및 상부 스토퍼(518B)가 구비된다. 따라서, 렌즈 모듈(400)은 하부 스토퍼 및 상부 스토퍼(518B)에 의하여 제한되는 최대 이동 가능 구간 사이에서 진퇴 운동을 할 수 있다.
구동 모듈 프레임(510)의 외측, 즉 구동 모듈 프레임(510)을 기준으로 자성체(522)의 반대 측에는 요크(미도시)가 구비된다. 요크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자성체(522)와의 인력에 의하여 렌즈 모듈(400)을 구동 모듈 프레임(510) 방향으로 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자성체(522)와의 인력에 의하여 렌즈 모듈(400)을 정렬시키는 역할도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성에 대하여 간략히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관련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동 모듈과 메인 프레임의 구성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렌즈 모듈이 안착된 상태의 구동 모듈 프레임이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구동 모듈 프레임과의 결합을 위한 메인 프레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의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라 메인 프레임과의 결합을 위한 구동 모듈 프레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인 프레임(200)은 구동 모듈 프레임(510)과의 결합을 위한 제 1 결합부(240) 를 포함하고, 구동 모듈 프레임(510)은 메인 프레임(200)과의 결합을 위한 제 2 결합부(540) 를 포함한다.
제 1 결합부(240)는 렌즈 모듈(400)이 광 축(A-A')에 정렬되어 광 축(A-A')을 따라 진퇴 운동할 수 있도록 제 2 결합부(540)와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제 1 결합부(240)의 일 측에는 제 1 평탄부(244)가 형성되며, 제 2 결합부(540)의 하 측에는 제 1 평탄부(244)와 대향하는 제 2 평탄부(544)가 형성된다. 제 2 평탄부(544)는 제 1 결합부(240)와 제 2 결합부(540)의 결합 시에 제 1 평탄부(244)와 밀착 가능하게 형성되며, 제 1 평탄부(244)와 제 2 평탄부(544)의 밀착 시에 렌즈 모듈(400)이 광 축(A-A')에 정렬되도록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평탄부(244)와 제 2 평탄부(544) 각각은 광 축(A-A')과 수직하게 형성된다. 이 때, 광 축(A-A')은 메인 프레임(200) 내에 형성되어 렌즈 모듈(400)의 촬영 경로를 제공하는 만곡부(252)의 중심 축이라 가정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 1 평탄부(244)와 제 2 평탄부(544)가 광 축(A-A')에 수직하게 형성되고, 제 1 결합부(240)와 제 2 결합부(540)의 결합 시에 제 1 평탄부(244)와 제 2 평탄부(544)가 밀착되는 경우 렌즈 모듈(400)은 광 축(A-A')과 동심 축을 갖는 촬영 경로에서 진퇴 운동을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광 축(A-A')과 수직하게 메인 프레임(200)에 형성된 제 1 평탄부(244)와 광 축(A-A')과 수직하게 구동 모듈 프레임(510)에 형성된 제 2 평탄부(540)가 밀착되어 결합함으로써 렌즈 모듈(400)의 입사 축(B-B')을 광 축(A-A')과 일치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렌즈 모듈(400)이 메인 프레임(200)에 형성된 촬영 경로 내에서 광 축(A-A')을 따라 진퇴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종래의 방법과 비교하면, 렌즈 모듈(400)의 틸트 보정을 위한 외부 기기의 사용이 필요치 않게 되어, 틸트 보정을 위한 막대한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를 도 4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의 (b)는 도 4의 (a)에 도시된 절단면(C-C')을 따라 절단한 종래의 카메라 모듈을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4의 (c)는 절단면(C-C')을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4의 (b)에 도시된 종래의 카메라 모듈은 메인 프레임(200)과 구동 모듈 프레임(510)이 서로 이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이격은 렌즈 모듈(400)의 틸트를 발생시키고, 그 결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틸트 보정을 위한 외부 기기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도 4의 (c)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메인 프레임(200)의 결합 부위와 구동 모듈 프레임(510)의 결합 부위가 밀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제 1 평탄부(244)와 제 2 평탄부(544)가 밀착되어 렌즈 모듈(400)이 광 축(A-A')에 정렬되며, 메인 프레임(200)과 구동 모듈 프레임(510)의 안정적인 결합으로 인하여 렌즈 모듈(400)의 틸트가 발생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메인 프레임(200)과 구동 모듈 프레임(510)의 결합 시, 즉 제 1 결합부(240)와 제 2 결합부(540)의 결합 시에, 이들의 결합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가이드부들(242, 542)이 각각 메인 프레임(200)과 구동 모듈 프레임(510)에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가이드부(242)와 제 2 가이드부(542)는 각각 광 축(A-A')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 1 가이드부(242)에는 광 축(A-A')과 평행하게 연장된 홈이 형성되며, 제 2 가이드부(542)에는 상기 홈과 맞물림 가능하며 광 축(A-A')과 평행하게 연장된 요철이 형성된다. 따라서, 메인 프레임(200)과 구동 모듈 프레임(510)의 결합 시에 제 2 가이드부(542)는 광 축(A-A')과 평행하게 슬라이딩되어 제 1 가이드부(242)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가이드부(242)는, 제 1 평탄부(244)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며, 바람직하게는 제 1 평탄부(244)의 일단으로부터 제 1 평탄부(244)에 수직한 방향, 즉 광 축(A-A')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2 가이드부(542)는, 제 2 평탄부(544)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며, 바람직하게는 제 2 평탄부(544)의 일 단으로부터 제 2 평탄부(544)에 수직한 방향, 즉 광 축(A-A') 방향으로 연장된다.
한편, 도 4의 (d) 및 도 4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구동 모듈 프레임(510)과 메인 프레임(200)의 결합 부위(D') 간의 과도한 이격(d')은 렌즈 모듈(400)의 틸트를 발생시키며, 이는 틸트 보정을 위한 외부 기기의 사용을 초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도 4의 (f) 및 도 4의 (g)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모듈 프레임(510)과 메인 프레임(200)의 결합 부위(D) 간의 이격을 최소화한다. 즉, 제 1 가이드부(242)와 제 2 가이드부(542)의 간격은 메인 프레임(200)과 구동 모듈 프레임(510)의 결합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최소한의 이격 거리를 갖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가이드부(240)와 제 2 가이드부(540)의 간격 d는 0 < d < 10um 가 되도록 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구동 모듈 프레임(510)의 일 측에는, 메인 프레임(200)과 구동 모듈 프레임(510)의 결합 이후에, 구동 모듈 프레임(510)을 메인 프레임(200)에 고정시키기 위한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는 접착제 도포 홈(55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로는 에폭시 수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도 4의 (d) 및 도 4의 (e)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카메라 모듈에서는 메인 프레임(200)과 구동 모듈 프레임(510)의 과도한 이격으로 인하여 이러한 접착제 도포 시에, 접착제가 메인 프레임 내부로 유입되어 불량이 발생하는 원인이 되었다. 그러나, 도 4의 (f) 및 도 4의 (e)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처럼, 제 1 가이드부(242)와 제 2 가이드부(542)의 간격 d를 0 < d < 10um 의 범위가 되도록 형성하는 경우 이러한 접착제 유입으로 인한 불량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인 프레임과 구동 모듈 프레임의 구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관련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유효 이동 구간을 설정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카메라 모듈의 구동 시에 렌즈 모듈(400)이 하부 스토퍼(518A) 또는 상부 스토퍼(518B)에 밀착되는 경우 전류 파형이 왜곡되어 과도한 전류가 코일에 인가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과도한 전류에 의한 히스테리시스 성능이 국부적으로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전류 왜곡을 제거하기 위하여, 이하에서 기재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렌즈 모듈(400)이 스토퍼(518A, 518B)에 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렌즈 초점 조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는, 코일(512)이 장착된 구동 모듈 프레임(510)의 내측, 즉 위치 센서부(532)에 인접하여 설치되거나, 위치 센서부(532)와 함께 하나의 칩(one-chip)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는, 렌즈 모듈(400)이 하부 스토퍼(518A) 및 상부 스토퍼(518B)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지점 사이에서 진퇴 운동하도록 렌즈 모듈(400)의 최대 이동 가능 구간에 설정된 제 1 보정 값을 적용하여 유효 이동 구간을 설정한다. 즉, 제어부는, 렌즈 모듈(400)을 하부 스토퍼(518A)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위치 센서부(532)에서 검출되는 렌즈 모듈(400)의 위치와, 렌즈 모듈(400)을 상부 스토퍼(518B)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위치 센서부(532)에서 검출되는 렌즈 모듈(400)의 위치에 설정된 보정 값을 적용하여 렌즈 모듈(400)의 유효 이동 구간을 설정한다. 상기 최대 이동 가능 구간은, 렌즈 모듈(400)이 하부 스토퍼(518A)에 밀착된 상태에서 위치 센서부(532)에 의해 감지된 렌즈 모듈(400)의 위치와 렌즈 모듈(400)이 상부 스토퍼(518B)에 밀착된 상태에서 위치 센서부(532)에 의해 감지된 렌즈 모듈(400)의 위치 사이의 구간을 의미한다. 유효 이동 구간은 하부 스토퍼(518A)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지점과 상부 스토퍼(518B)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지점 사이의 구간으로, 렌즈 모듈(400)이 자동 초점 조절 수행 시에 이동 가능한 구간을 의미한다.
한편, 렌즈 모듈(400)의 위치 검출에는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홀 센서를 이용한 방법이나, 발광 다이오드와 포토 다이오드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홀 센서를 이용하여 렌즈 모듈(400)의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렌즈 모듈(400)의 위치를 기반으로 렌즈 모듈의 유효 이동 구간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살펴본다.
제어부는, 렌즈 모듈(400)이 하부 스토퍼(518A)에 밀착될 수 있는 전류를 구동 모듈(520)에 인가하고, 렌즈 모듈(400)이 하부 스토퍼(518A)에 밀착된 상태에서 홀 센서에서 검출되는 자속을 최대 이동 가능 구간의 최대 하한 위치에 대응하는 하한 값으로 설정한다. 이후, 제어부는 상기 하한 값에 설정된 제 1 보정 값을 적용하여 유효 이동 구간의 하한 값을 설정한다.
마찬가지로 제어부는, 렌즈 모듈(400)이 상부 스토퍼(518B)에 밀착될 수 있는 전류를 구동 모듈(520)인가하고, 렌즈 모듈(400)이 상부 스토퍼(518B)에 밀착된 상태에서 홀 센서에서 검출되는 자속을 최대 이동 가능 구간의 최대 상한 위치에 대응하는 상한 값으로 설정한다. 이후, 제어부는 상기 상한 값에 설정된 제 1 보정 값을 적용하여 유효 이동 구간의 상한 값을 설정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설정된 유효 이동 구간에 관한 정보 즉, 유효 이동 구간의 하한 값과 상한 값을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유효 이동 구간의 하한 값과 상한 값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경우, 추후 별도의 보정 작업 없이 설정된 유효 이동 구간에서 초점 조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상한 값과 하한 값은 위치 센서부(53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설정된 비트 수로 디지털화한 값일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서, 유효 이동 구간의 상한 값과 하한 값 중 어느 하나를 설계자 또는 사용자가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고, 이러한 경우 유효 이동 구간의 상한 값 또는 하한 값을 기준으로 설정된 임의의 값을 가감하여 나머지 하나의 값을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설정된 제 1 보정 값 역시 자속으로서 표현되며, 그 크기는 드라이브 IC에서 사용하는 스케일 간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라이브 IC에서 128mT 자속 구간을 128 등분으로 세분화하여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제 1 보정 값은 1 등분의 자속 값인 1mT로 설정되거나 또는 1mT 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보정 값은 변수 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변수 값이란, 제품의 편차를 반영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50.2mT, 50.7mT 및 50.9mT 자속 구간이 일률적으로 51mT 자속 구간이 되도록 하는 값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렌즈 모듈의 유효 이동 구간을 설정하는 일 실시 예를 도 5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방향으로의 전류(- 전류)를 코일(512)에 인가하여 렌즈 모듈(400)을 하부 스토퍼(518A)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위치 센서부(532)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렌즈 모듈(400)의 최대 하한 위치에서의 자속을 검출하고, 제 2 방향으로의 전류(+ 전류)를 코일(512)에 인가하여 렌즈 모듈(400)을 상부 스토퍼(518B)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위치 센서부(532)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렌즈 모듈(400)의 최대 상한 위치에서의 자속을 검출한다.
이 후, 제어부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된 자속을 이용하여 렌즈 모듈의 유효 이동 구간을 설정한다.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유효 이동 구간의 설정을 위한 제 1 보정 값이 1mT이고, 렌즈 모듈(400)이 하부 스토퍼(518A)에 밀착된 상태에서 검출된 자속(X)이 10mT이라 가정하자. 즉, 최대 이동 가능 구간에서, 렌즈 모듈(400)의 최대 하한 위치는 10mT에 대응하는 위치인 것으로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 제어부는 자속(X) 10mT에 설정된 제 1 보정 값 1mT를 적용한 값인 11mT를 유효 이동 구간의 유효 하한 위치에 대응하는 자속(X')으로 설정한다.
마찬가지로, 유효 이동 구간의 설정을 위한 제 1 보정 값이 1mT이고, 렌즈 모듈(400)이 상부 스토퍼(518B)에 밀착된 상태에서 검출된 자속(Y)이 100mT이라 가정하자. 즉, 최대 이동 가능 구간에서, 렌즈 모듈(400)의 최대 상한 위치는 100mT에 대응하는 위치인 것으로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 제어부는 자속(Y) 100mT에 설정된 제 1 보정 값 1mT를 적용한 값인 99mT를 유효 이동 구간의 유효 상한 위치에 대응하는 자속(Y')으로 설정한다.
즉, 제어부는, 전술한 과정에 따라 렌즈 모듈(400)의 최대 이동 가능 구간에 대응하는 자속 범위(X-Y)에 설정된 제 1 보정 값을 적용하여 유효 이동 구간에 대응하는 자속 범위(X'-Y')를 설정한다. 유효 이동 구간의 설정이 완료되면, 자동 초점 조절 기능의 수행 시에, 렌즈 모듈(400)은 자속 범위(X-X')와 자속 범위(Y-Y')에 대응하는 구간으로는 이동을 하지 않게 된다. 즉, 자동 초점 조절 기능의 수행 시에 렌즈 모듈(400)은 스토퍼(518A, 518B)에 밀착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구동 파형과 전류 파형이 선형화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유효 이동 구간을 설정하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관련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초기 초점 위치를 설정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초기 초점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초기 초점 위치의 설정을 위하여, 제어부는, 렌즈 모듈(400)이 최대 이동 가능 구간 내에서 이동하면서 기준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구동 모듈(520)을 제어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모듈(400)을 유효 이동 구간의 하한 값에 대응하는 위치에 이동시킨 상태에서 Code 값을 순차적으로 증가시켜 렌즈 모듈(400)을 이동시키고, 각 Code 구간에서 촬영 기능을 수행하여 이미지 센서(112)로부터 수신되는 해상도 값을 기반으로 초기 초점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도 6의 (b)에 도시하였다.
제어부는, 이미지 센서(112)로부터 수신되는 해상도 값 중 가장 높은 해상도를 갖는 위치의 Code 값을 초기 초점 위치에 대응하는 Code 값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Code 값을 메모리에 저장한다. 저장된 Code 값은 추후 촬영 기능 수행 시에 독출되어 렌즈 모듈이 해당 위치, 즉 초기 초점 위치로 이동하는 데에 이용된다. 바람직하게, 초기 초점 위치는, 유효 이동 구간 내에 위치한다.
이러한 초기 초점 위치의 설정은, 렌즈 모듈이 광 축(A-A')에 정렬되어, 광 축(A-A')을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에서 행하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카메라 모듈은 틸트 보정을 위한 별도의 외부 기기를 이용하여 틸트 보정을 수행한 후, 상기 외부 기기를 이용하여 초기 초점 위치를 설정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틸트 보정이 필요 없는 카메라 모듈의 구조로 인하여, 카메라 모듈 자체적으로 초기 초점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틸트 보정과 초기 초점 위치 설정을 위한 외부 기기의 사용으로 인한 막대한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관련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조와, 유효 이동 구간 및 초기 초점 위치 설정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관련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카메라 모듈에 실장되는 드라이브 IC 회로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7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라이브 IC 실장 회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7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 칩 형태의 드라이브 IC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라이브 IC는 구동 모듈 프레임(510)에 설치된다. 도 7에서는 드라이브 IC 가 코일(512) 옆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시 예에 따라 그 위치를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 칩 형태의 드라이브 IC는 제어부(710), 메모리(720), 위치 센서부(730) 및 구동부(740)를 포함한다.
제어부(710)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어부에 대응된다. 즉, 제어부(710)는, 유효 이동 구간 설정과 초기 초점 위치 설정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710)는 유효 이동 구간 설정 및 초기 초점 위치 설정이 완료되면 이미지 센서 프로세서에서 사용하는 Code 값을 설정된 유효 이동 구간 및 초기 초점 위치에 맵핑하여 메모리(720)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Code 0~255 값을 사용하는 경우 Code 0 값을 유효 이동 구간의 유효 하한 위치에 대응하여 저장하고, Code 255 값을 유효 이동 구간의 유효 상한 위치에 대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710)는 유효 하한 위치와 유효 상한 위치 사이를 등분하여 각 Code 값에 맵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유효 상한 위치와 유효 하한 위치만 메모리(720)에 저장하고 유효 상한 위치와 유효 하한 위치로 등분 값을 설정한 후 등분된 값을 이미지 센서 프로세서로부터 수신되는 Code 값에 맵핑할 수 있다. 또한, 유효 이동 구간 설정이 완료된 이후, 초기 초점 위치에 해당하는 Code 값을 초기 초점 위치에 대응하여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710)는 렌즈 모듈(400)의 위치 제어 시에 이미지 센서 프로세서로부터 수신되는 Code 값에 맵핑되는 값을 독출하고, 독출된 값을 구동부(740)로 전달한다.
메모리(720)는, 유효 이동 구간에 관련된 정보 및 초기 초점 위치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720)는 유효 이동 구간의 하한 값 및 상한 값을 저장할 수 있으며, 초기 초점 위치에 대응하는 Code 값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720)는, 이미지 센서 프로세서에서 사용하는 Code 값을 설정된 유효 이동 구간에 맵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초기 초점 위치에 대응하는 Code 값은 이미지 센서(112)가 구비하는 메모리에 저장될 수도 있다.
메모리(720) 또는 이미지 센서(112)가 구비하는 메모리에 저장된 초기 초점 위치에 대응하는 Code 값은, 카메라 모듈의 시동 시에 제어부(710)에 의하여 독출되어 구동 모듈(520)을 제어하는 데 이용된다. 이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시동 시에 렌즈 모듈(400)이 초기 초점 위치로 이동되어 원거리 피사체의 선명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위치 센서부(730)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위치 센서부(532)에 대응된다. 위치 센서부(730)는 자성체(522)의 위치 및 위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렌즈 모듈(400)의 현재 위치를 검출한다.
구동부(740)는, 제어부(7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렌즈 모듈(40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전류 방향 및 전류 량을 결정한 후, 결정된 바에 따라 전류를 출력(OUT1, OUT2)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라이브 IC는 원 칩 형태로 형성되어 구동 모듈 프레임(510)에 장착되기 때문에, 위치 센서(532)를 위한 별도의 단자와 코일로의 전류 인가를 위한 별도의 단자가 필요 없다. 즉, 종래 이용되는 카메라 모듈에서는 드라이브 IC가 외부에 장착되어 위치 센서(532)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1 개의 단자와 코일(512)에 시그널 인가를 위한 2개의 단자가 별도로 필요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구동 단자(VDD, GND)와 이미지 센서(112)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단자(SCL, SDA)만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종래의 방법에 비하여 그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그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동 모듈과 구동 모듈 프레임을 구분하여 기재하였으나, 구동 모듈이 구동 모듈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구동 모듈은, 제 2 결합부(540)와 드라이브 IC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구동 모듈(구동 모듈 프레임을 포함하는 의미로 이해한다)과 메인 프레임 간의 결합을 위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렌즈 모듈과 메인 프레임 간의 결합을 위한 다른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의 (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도, 도 8의 (b)는 도 8의 (a)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8의 (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광 축(A-A')을 따라 정렬되는 하부 프레임(100), 메인 프레임(200), 렌즈 모듈(400), 구동 모듈(520) 및 상부 프레임(300)을 포함한다.
하부 프레임(100)은, 메인 프레임(200)의 하단에 결합되며 렌즈 모듈(400)의 하부 하우징의 역할을 한다. 하부 프레임(100)에는 렌즈 모듈(400)을 통하여 입사되는 광을 검출하여 디지털화된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센서(112)가 장착된다. 이미지 센서(112)는 회로 기판(114)에 인쇄된 회로 패턴(미도시)에 와이어 본딩 또는 소켓 형태로 연결된다. 회로 기판(114)은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는 기기의 소정 회로부에 연결되는 커넥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00)은, 렌즈 모듈(400)을 수용하며, 상부 프레임(300)과 결합된다. 메인 프레임의 내부에는 렌즈 모듈(400)이 광 축(A-A')을 따라 진퇴 운동할 수 있도록 촬영 경로가 형성된다.
메인 프레임(200)의 적어도 일 측에는 렌즈 모듈(400)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 1 가이드부(820)가 형성된다. 메인 프레임(200)에는 렌즈 모듈(400)의 최대 이동 가능 구간을 제한하는 하부 스토퍼(518A)가 형성된다.
상부 프레임(300)은, 메인 프레임(200)의 상단에 결합되며 렌즈 모듈(400)의 상부 하우징의 역할을 한다. 상부 프레임(300)에는 광 축(A-A')을 따라 상부 프레임(300)을 관통하는 개구부(320)가 형성되어 촬영 경로를 제공한다.
상부 프레임(300)에는 렌즈 모듈(400)의 최대 이동 가능 구간을 제한하는 상부 스토퍼(518B)가 형성된다. 따라서, 렌즈 모듈(400)은 하부 스토퍼(518A)와 상부 스토퍼(518B)에 의하여 제한되는 최대 이동 가능 구간 내에서 진퇴 운동을 할 수 있다.
렌즈 모듈(400)은, 메인 프레임(200) 내에 형성된 촬영 경로 내에서 광 축(A-A')을 따라 진퇴 운동 가능하게 수용되며,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구비한다.
렌즈 모듈(400)의 적어도 일 측에는 제 2 가이드부(840)가 형성된다. 제 2 가이드부(840)는 제 1 가이드부(820)와 결합하여 렌즈 모듈(400)을 가이드한다. 제 1 가이드부(820)와 제 2 가이드부(840)의 결합 면 각각에는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홈에 적어도 하나의 볼(830)이 삽입되어 렌즈 모듈(400)의 가이드를 원활히 할 수 있다.
구동 모듈(520)은, 렌즈 모듈(400)의 진퇴 운동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구동 모듈(520)은, 자성체(522) 및 코일(512)을 포함한다. 자성체(522)는 렌즈 모듈(400)의 일 측에 장착되며, 코일(512)은 자성체(522)와 대향되도록 구동 모듈 프레임(510)에 장착된다.
구동 모듈 프레임(510)의 적어도 일 측에는 메인 프레임(200)에 형성된 제 1 지지부(562)와 결합하여 구동 모듈 프레임(510)을 고정시키는 제 2 지지부(564)가 형성된다. 구동 모듈 프레임(510)의 외측, 즉 구동 모듈 프레임(510)을 기준으로 자성체(522)의 반대 측에는 요크(미도시)가 구비된다. 요크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코일(512)이 장착된 구동 모듈 프레임(510)의 내측에는 위치 센서(532)가 구비된다. 위치 센서(532)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제 1 가이드부(820)와 제 2 가이드부(840)는 각각 광 축(A-A')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1 가이드부(820)와 제 2 가이드부(840)의 간격은 렌즈 모듈(400)의 결합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최소한의 이격 거리를 갖도록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가이드부(820)와 제 2 가이드부(840)의 간격 d는 0 < d < 10um 가 되도록 한다. 이렇게 제 1 가이드부(820)와 제 2 가이드부(840)의 간격 d를 최소한으로 하는 경우 렌즈 모듈(400)의 틸트를 방지하여 별도의 외부 기기를 이용한 틸트 보정이 필요하지 않은 이점이 있다. 또한, 제 1 가이드부(820)와 제 2 가이드부(840)가 각각 광 축(A-A')에 평행하게 연장되므로, 렌즈 모듈(400)이 메인 프레임(200)에 형성된 촬영 경로 내에서 광 축(A-A')을 따라 진퇴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카메라 모듈의 여러 동작들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 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효 이동 구간 설정 동작 및 초기 초점 위치 설정 동작 등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 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임의의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그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에, 다양한 운영 체제 또는 플랫폼을 이용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그러한 소프트웨어는 다수의 적합한 프로그래밍 언어들 중에서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작성될 수 있고, 또한 프레임워크 또는 가상 머신에서 실행되는 실행가능 기계어 코드 또는 중간 코드로 컴파일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경우 이상에서 논의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 광학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로 구현될 수 있다.

Claims (20)

  1.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렌즈 모듈;
    상기 렌즈 모듈을 수용하여 상기 렌즈 모듈의 촬영 경로를 제공하며, 적어도 일 측에는 제 1 결합부가 형성된 메인 프레임; 및
    상기 렌즈 모듈의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렌즈 모듈이 광 축에 평행한 상기 촬영 경로 내에서 진퇴 운동하도록 상기 렌즈 모듈에 구동력을 제공하며, 적어도 일 측에는 상기 제 1 결합부와 결합 가능한 제 2 결합부가 형성된 구동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부는 상기 렌즈 모듈이 상기 광 축을 따라 진퇴 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카메라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의 일 측에 형성된 제 1 평탄부; 및
    상기 제 1 평탄부와 대향하도록 상기 제 2 결합부의 하 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평탄부와 밀착 가능한 제 2 평탄부
    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평탄부는 상기 광 축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의 일 측에 상기 광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제 2 결합부의 일 측에 상기 광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광 축과 평행하게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 1 가이드부와 결합되는 제 2 가이드부
    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평탄부는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부로부터 상기 광 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카메라 모듈.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부와 상기 제 2 가이드부의 간격 d는 0 < d < 10um인
    카메라 모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에의 고정을 위한 접착제 도포를 위하여 상기 구동 모듈의 적어도 일 측에 형성되는 접착제 도포 홈
    을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모듈의 최대 이동 가능 구간을 제한하는 제 1 및 제 2 스토퍼; 및
    상기 렌즈 모듈이 상기 제 1 및 제 2 스토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지점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상기 최대 이동 가능 구간에 설정된 제 1 보정 값을 적용하여 유효 이동 구간을 설정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모듈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렌즈 모듈이 상기 제 1 및 제 2 스토퍼에 각각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위치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각각의 센싱 값에 상기 제 1 보정 값을 적용하여 상기 유효 이동 구간을 설정하는
    카메라 모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이동 구간의 일 방향 끝 점을 나타내는 제 1 설정 값과 상기 유효 이동 구간의 타 방향 끝 점을 나타내는 제 2 설정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
    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설정 값은,
    상기 위치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값을 설정된 비트 수로 디지털화한 값인
    카메라 모듈.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센서, 상기 제어부 및 상기 메모리는 원 칩(one-chip) 형태로 형성된
    카메라 모듈.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모듈을 통하여 수신되는 광을 검출하여 디지털화된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이미지의 해상도 값을 출력하는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렌즈 모듈이 상기 유효 이동 구간 내에서 이동하면서 기준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 모듈을 제어하며, 상기 유효 이동 구간 내에서 생성된 이미지의 해상도 값 중 가장 높은 해상도를 갖는 이미지의 생성 위치를 초기 초점 위치로 설정하는
    카메라 모듈.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초점 위치를 저장하는 메모리
    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 및 상기 메모리는 원 칩(one-chip) 형태로 형성된
    카메라 모듈.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모듈의 최대 이동 가능 구간을 제한하는 제 1 및 제 2 스토퍼; 및
    상기 렌즈 모듈이 상기 제 1 및 제 2 스토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지점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설정된 유효 이동 구간의 일 방향 끝점을 나타내는 제 1 설정 값과 타 방향 끝점을 나타내는 제 2 설정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
    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7.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모듈을 통하여 수신되는 광을 검출하여 디지털화된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이미지의 해상도 값을 출력하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유효 이동 구간 내에서 생성된 이미지의 해상도 값 중 가장 높은 해상도를 갖는 이미지의 생성 위치를 저장하는 메모리
    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8.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렌즈 모듈;
    상기 렌즈 모듈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듈;
    상기 렌즈 모듈의 최대 이동 가능 구간을 제한하는 제 1 및 제 2 스토퍼;
    상기 렌즈 모듈을 통하여 수신되는 광을 검출하여 디지털화된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이미지의 해상도 값을 출력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렌즈 모듈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센서; 및
    상기 렌즈 모듈이 상기 제 1 및 제 2 스토퍼에 각각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위치 센서부로부터 수신되는 각각의 센싱 값에 설정된 보정 값을 적용하여 유효 이동 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렌즈 모듈이 상기 유효 이동 구간 내에서 이동하면서 기준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 모듈을 제어하며, 상기 유효 이동 구간 내에서 생성된 이미지의 해상도 값 중 가장 높은 해상도를 갖는 이미지의 생성 위치를 초기 초점 위치로 설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초점 위치를 저장하는 메모리
    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 및 상기 메모리는 원 칩(one-chip) 형태로 형성된
    카메라 모듈.
KR1020120063861A 2012-06-14 2012-06-14 카메라 모듈 KR101300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861A KR101300094B1 (ko) 2012-06-14 2012-06-14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861A KR101300094B1 (ko) 2012-06-14 2012-06-14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0094B1 true KR101300094B1 (ko) 2013-08-30

Family

ID=49221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3861A KR101300094B1 (ko) 2012-06-14 2012-06-14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009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9277A (ko) * 2016-06-09 2017-12-19 자화전자(주) 자동초점 조절장치
KR20190095986A (ko) * 2018-02-08 2019-08-19 자화전자(주) 메모리 유닛이 구비된 광학계 구동장치
KR20210013280A (ko) * 2018-02-08 2021-02-03 자화전자(주) 메모리 유닛이 구비된 광학계 구동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12065A (ko) * 2007-06-19 2008-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의 자동초점조절 장치 및 방법
KR20090023874A (ko) * 2007-09-03 2009-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의 자동 초점 조절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12065A (ko) * 2007-06-19 2008-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의 자동초점조절 장치 및 방법
KR20090023874A (ko) * 2007-09-03 2009-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의 자동 초점 조절 장치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9277A (ko) * 2016-06-09 2017-12-19 자화전자(주) 자동초점 조절장치
KR101978946B1 (ko) 2016-06-09 2019-05-15 자화전자(주) 자동초점 조절장치
KR20190095986A (ko) * 2018-02-08 2019-08-19 자화전자(주) 메모리 유닛이 구비된 광학계 구동장치
KR20210013280A (ko) * 2018-02-08 2021-02-03 자화전자(주) 메모리 유닛이 구비된 광학계 구동장치
KR102219453B1 (ko) 2018-02-08 2021-02-24 자화전자(주) 메모리 유닛이 구비된 광학계 구동장치
KR102423689B1 (ko) 2018-02-08 2022-07-21 자화전자(주) 메모리 유닛이 구비된 광학계 구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4652B1 (ko) 카메라 모듈 구동 제어 장치 및 방법
US11181669B2 (en) Optical system
US9736377B2 (en)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US8982274B2 (en) Camera module including handshaking correcting device
CN106468812B (zh) 透镜驱动装置、摄像头模块和光学设备
CN109917530B (zh) 镜头移动装置
US9774772B2 (en) Camera module with adjustable lens tilt
CN113448045B (zh) 透镜驱动装置、相机模块以及包括该相机模块的光学装置
US20240176098A1 (en)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instrument comprising same
CN110662999B (zh) 透镜驱动单元以及包括透镜驱动单元的摄像装置模块和光学装置
KR20190095986A (ko) 메모리 유닛이 구비된 광학계 구동장치
US20200213493A1 (en) Calibration method
KR101300094B1 (ko) 카메라 모듈
KR20190091911A (ko) 카메라 모듈
KR102635884B1 (ko) 조리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80039846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206592B1 (ko) 카메라 모듈
KR20200143971A (ko) 카메라 모듈
CN113348660B (zh) 透镜移动装置及包括该装置的相机模块和光学设备
KR102385409B1 (ko) 렌즈 구동 장치
KR101409819B1 (ko) 카메라 모듈 구동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230367135A1 (en) Camera device and optical instrument
KR20220042528A (ko) 줌 구동 액추에이터 및 줌 구동을 위한 위치제어방법
CN118317178A (en) Camera device and optical device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