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9609B1 - 천장형 샤워기 - Google Patents

천장형 샤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9609B1
KR101299609B1 KR1020100080166A KR20100080166A KR101299609B1 KR 101299609 B1 KR101299609 B1 KR 101299609B1 KR 1020100080166 A KR1020100080166 A KR 1020100080166A KR 20100080166 A KR20100080166 A KR 20100080166A KR 101299609 B1 KR101299609 B1 KR 101299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hower
nozzle
strea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0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7531A (ko
Inventor
김정애
Original Assignee
김정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애 filed Critical 김정애
Priority to KR1020100080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9609B1/ko
Publication of KR20120017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7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9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9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8Roses; Shower 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8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g. anti-splash devices
    • E03C1/084Jet regulators with aera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천장형 샤워기(1)는, 소나기형 물줄기가 통과되는 소나기형 물줄기구멍(11)들이 형성되어 있는 불투명한 저판(10); 소나기형 물줄기구멍(11)들을 포위하도록 저판(10)의 둘레에 수밀하게 부착되고, 소나기형 물줄기의 분사를 위한 물이 일시적으로 저수되는 일정 높이(T1)의 제1 저수공간(21)을 형성하는 테두리벽(20); 제1 저수공간(21)의 개방된 상면을 수밀하게 덮는 커버판(30); 커버판(30)에 형성된 제1 급수구(31a)에 연결되어, 제1 저수공간(21)에 고압의 물을 급수하는 제1 급수관(40a); 제1 저수공간(21)의 저판(10) 위에 올려지고, 제1 저수공간(21)의 높이(T1)보다 낮은 두께(T2)를 가지며, 소나기형 물줄기구멍(11)들에 대응하는 위치에 소나기형 물줄기를 형성하는 소나기형 물줄기노즐(51)들이 형성되어서, 물이 두께(T2)에 해당하는 노즐통로를 통과하면서 소나기형 물줄기가 직진성을 가지도록 하는 투명한 제1 노즐판(50); 및 투명한 제1 노즐판(50)의 후방에 커버판(30)의 내면에 설치되어 소나기형 물줄기노즐(51)의 소나기형 물줄기를 백라이트 조명하는 조명수단(90); 을 포함한다. 조명수단(90)의 광이 투명한 제1 노즐판(50)을 통과하고 소나기형 물줄기구멍(11)을 통과하여, 소나기형 물줄기노즐(51)을 통과하는 소나기형 물줄기를 충분한 광량으로 조명하도록, 저판(10)의 소나기형 물줄기구멍(11)의 직경이 제1 노즐판(50)의 소나기형 물줄기노즐(51)의 직경보다 크다.

Description

천장형 샤워기{Ceiling Type Shower}
본 발명은 사워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머리 위의 천장 쪽에 고정 설치하여 소나기형 물줄기와 선택적으로 폭포수형 물줄기를 분사하는 천장형 샤워기로서, 물줄기의 직진성과 균일성, 잔수 제거력, 세척력 및 조명 성능 등이 향상된 천장형 샤워기에 관한 것이다.
목욕은 청결한 몸을 유지하는 개인위생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휴식과 피로회복, 나아가서는 치료 등의 목적으로 일상적으로 행하는 일이며, 목욕에 관련된 대표적인 설비 중에 하나가 욕조와 함께 샤워기이다.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물줄기로 몸을 씻는 샤워기는, 매우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있는바, 대별하여 물줄기를 분사하는 노즐이 벽이나 천장 등에 고정된 고정식과 노즐이 가요성 관에 연결되어 있는 유동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관련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샤워기도 단순히 물줄기를 분사하는 기본 기능에 더하여, 물줄기를 가변시키는 기능이나 조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이 부가되어 사용되고 있다.
샤워기 중에는 머리 위의 천장 쪽에 고정 설치하여 물줄기를 분사하는 천장형 샤워기가 있다. 종래 천장형 샤워기로서는, 소나기형 물줄기와 폭포수형 물줄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6069호(2009. 09. 24. 공고)의 '천장용 샤워기'가 있다.
상기 '069의 종래 천장형 샤워기는, 소나기 물줄기용 분사노즐과 폭포수 물줄기용 장공이 형성된 메인판넬부, 상기 메인판넬부의 소나기 물줄기용 분사노즐에 물을 공급하는 소나기 물줄기 공급실, 및 상기 메인판넬부의 상기 폭포수 물줄기용 장공에 물을 공급하는 폭포수 물줄기 공급실을 구비한다.
천장형 샤워기가 갖추어야할 바람직한 요건으로서는, 첫째 분사되는 물줄기가 흩어지지 않고 직진성을 유지할 것, 둘째 분사되는 물줄기가 노즐들에 대해 한쪽으로 편중되지 않고 균일할 것, 셋째 사용을 완료하고 난 후에 샤워기 내부에 존재하는 잔수가 가능한 신속히 배출되어 장시간에 걸쳐 물방울이 떨어지지 않도록 할 것, 샤워기 내부에 물때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발생된 물때를 쉽게 세척할 수 있을 것, 분사하는 물줄기의 목욕 세척력이 우수할 것, 조명을 적용할 경우에 광이 분산 없이 물줄기를 따라 충분한 광도로 조사될 것 등이 요구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찬장형 샤워기는, 공급실에 공급된 물을 단지 노즐을 통해 분사하는 것에 불과하였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은 요건을 갖추기에 미흡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머리 위의 천장 쪽에 고정 설치하여 소나기형 물줄기와 선택적으로 폭포수형 물줄기를 분사할 수 있는 천장형 샤워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분사되는 물줄기가 흩어지지 않고 직진성을 유지할 수 있는 천장형 샤워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분사되는 물줄기가 노즐들에 대해 한쪽으로 편중되지 않고 균일하게 분사될 수 있는 천장형 샤워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을 완료한 후에 내부에 남아 있는 잔수가 신속히 배출됨으로써 장시간에 걸친 물방울 떨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천장형 샤워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포를 함유한 물줄기를 분사함으로써, 샤워기 내부에서의 물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발생된 물때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는 천장형 샤워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포를 함유한 물줄기를 분사함으로써, 목욕 세척력을 향상시킨 천장형 샤워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LED로 대표되는 조명을 분사되는 물줄기에 적용함에 있어서, 충분한 광량을 확보하여 조명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천장형 샤워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샤워기는, 머리 위의 천장 쪽에 고정 설치되는 샤워기로서, 저판, 테두리벽, 커버판, 제1 급수관 및 제1 노즐판을 포함한다.
상기 저판은 소나기형 물줄기가 통과되는 소나기형 물줄기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테두리벽은, 상기 소나기형 물줄기구멍들을 포위하도록 상기 저판의 둘레에 수밀하게 부착된다. 상기 테두리벽은 상기 소나기형 물줄기의 분사를 위해 물이 일시적으로 저수되는 일정 높이의 제1 저수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커버판은, 상기 제1 저수공간의 개방된 상면을 수밀하게 덮는다.
상기 제1 급수관은 상기 커버판에 형성된 제1 급수구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저수공간에 물을 고압 급수한다.
상기 제1 노즐판은, 상기 제1 저수공간의 상기 저판 위에 올려지고, 상기 제1 저수공간의 높이보다 낮은 두께를 가진다. 상기 제1 노즐판에는 상기 소나기형 물줄기구멍들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소나기형 물줄기를 형성하는 소나기형 물줄기노즐들이 형성되어서, 물이 상기 두께에 해당하는 노즐통로를 통과하면서 상기 소나기형 물줄기가 직진성을 가지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저판의 일부 구역에 폭포수형 물줄기가 통과되는 폭포수형 물줄기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칸막이벽, 제2 급수관 및 제2 노즐판을 더 포함한다.
상기 칸막이벽은 상기 폭포수형 물줄기구멍을 상기 소나기형 물줄기구멍과 격리하도록 상기 저판에 수밀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칸막이벽은 상기 폭포수형 물줄기의 분사를 위한 물이 일시적으로 저수되는 상기 일정 높이의 제2 저수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제2 급수관은 상기 커버판에 형성된 제2 급수구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저수공간에 물을 고압 급수한다.
상기 제2 노즐판은 상기 제2 저수공간의 상기 저판 위에 올려지고, 상기 제2 저수공간의 높이보다 낮은 두께를 가진다. 상기 제2 노즐판은 상기 폭포수형 물줄기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폭포수형 물줄기를 형성하는 폭포수형 물줄기노즐이 형성되어서, 물이 상기 두께에 해당하는 노즐통로를 통과하면서 상기 폭포수형 물줄기가 직진성을 가지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노즐판의 변형을 제한하는 지지대들이 상기 제1 저수공간을 가로질러 상기 테두리벽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제1 노즐판을 받쳐주는 받침돌기와 상기 지지대를 가로질러 물이 흘러가는 것을 허용하는 통수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노즐판의 상기 소나기형 물줄기노즐들은, 상기 제1 급수구의 직하방에 있고 상대적으로 상기 노즐통로의 직경이 작은 소노즐들과, 상기 제1 급수구로부터 벗어나 있고 상대적으로 상기 노즐통로의 직경이 큰 대노즐들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급수구에는, 상기 제1 저수공간으로 분출되는 물이 직하방으로 분출되는 않고 횡방향으로 방사되도록 하는 횡구코크가 결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판의 내면에는, 상기 소나기형 물줄기 또는 상기 폭포수형 물줄기에 조명을 조사하는 조명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조명수단은 상기 소나기형 물줄기노즐의 상기 소나기형 물줄기 또는 상기 폭포수형 물줄기노즐의 상기 폭포수형 물줄기를 백라이트 조명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노즐판과 상기 제2 노즐판은 투명하고, 상기 저판은 불투명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명수단으로부터의 광은, 투명한 상기 제1 노즐판을 통과하고 상기 소나기형 물줄기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소나기형 물줄기노즐을 통과하는 상기 소나기형 물줄기를 충분한 광량으로 조명할 수 있도록, 상기 저판의 상기 소나기형 물줄기구멍의 직경이 상기 제1 노즐판의 상기 소나기형 물줄기노즐의 직경보다 충분히 크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급수관 또는 상기 제2 급수관에는, 상기 제1 저수공간 또는 상기 제2 저수공간으로 공급되는 물에 미세기포를 혼합시키는 기포혼합기가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포혼합기는, 상기 제1 급수관 또는 상기 제2 급수관에 연결된 벤투리관, 상기 벤투리관에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유입관 및 상기 공기유입관으로의 물의 역류를 차단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천장형 샤워기는, 머리 위의 천장 쪽에 고정 설치하여, 소나기형 물줄기 샤워와 선택적으로 폭포수형 물줄기 샤워를 즐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샤워기는, 노즐로서 일정 두께(예, 대략 3mm 내지 10mm)의 상기 제1 노즐판과 상기 제2 노즐판을 적용하여 충분한 길이의 노즐통로를 통해 물을 분사함에 따라, 분사되는 물줄기가 흩어지지 않고 직진성을 유지한다.
본 발명의 샤워기는, 상기 제1 노즐판의 상기 소나기형 물줄기노즐들을 상기 소노즐(예, 대략 직경 2mm 미만)들과 상기 대노즐(예, 대략 직경 2mm 내지 6mm)들로 혼합 형성함에 따라, 분사되는 물줄기가 노즐들에 대해 한쪽으로 편중되지 않고 균일하게 분사된다.
본 발명의 샤워기는, 상기 제1 급수구에 상기 제1 저수공간으로 분출되는 물이 횡방향으로 방사되도록 하는 상기 횡구코크가 결합되어서, 분사되는 물줄기가 노즐들에 대해 한쪽으로 편중되지 않고 균일하게 분사된다.
본 발명의 샤워기는, 상기 제1 노즐판의 상기 소나기형 물줄기노즐들을 상기 소노즐들과 상기 대노즐들로 혼합 형성함에 따라, 사용 종료 후에 내부에 남아 있는 잔수가 신속히 배출되므로 샤워기로부터 물방울이 장시간에 걸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샤워기는, 상기 제1 저수공간 또는 상기 제2 저수공간으로 공급되는 물에 미세기포를 혼합시키는 상기 기포혼합기가 설치되어서, 물에 혼합된 기포가 샤워기 내부에의 물때 부착을 차단하고 부착된 물때를 분리시킴에 따라, 샤워기 내부에서의 물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발생된 물때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샤워기는, 상기 제1 저수공간 또는 상기 제2 저수공간으로 공급되는 물에 미세기포를 혼합시키는 상기 기포혼합기가 설치되어서, 기포가 혼합된 물줄기를 분사함으로써 목욕 세척력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샤워기는, 상기 커버판의 내면에 상기 조명수단이 설치되어 상기 소나기형 물줄기 또는 상기 폭포수형 물줄기를 백라이트 방식으로 조명하고, 조명된 광이 충분한 광량으로 물줄기를 조명하므로, 물줄기의 조명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천장형 샤워기의 사용상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천장형 샤워기의 외관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천장형 샤워기의 외관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천장형 샤워기의 분해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천장형 샤워기의 분해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천장형 샤워기의 분분절단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천장형 샤워기의 부분 상세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에 적용된 예시적인 배관의 개략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샤워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샤워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천장형 샤워기(1)는, 욕실(3)의 머리 위쪽 구조물, 바람직하게 욕조 바로 위의 천장(2)에 장착되는 샤워기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 천장형이라 함은 단지 도1과 같이 천장에 매립형으로 설치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머리 위쪽의 적당한 구조물에 수평으로 고정 장착하는 형태도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천장형 샤워기(1)는, 도2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저판(10), 테두리벽(20), 커버판(30), 제1 급수관(40a) 및 제1 노즐판(50)을 포함한다.
상기 저판(10)은, 본 발명의 샤워기(1)에서 샤워용 물이 일시적으로 저수되는 저수공간(21, 61)의 바닥면을 이루는 판상의 부재이다. 저판(10)의 전면(全面)에는 소나기형 물줄기가 통과되는 소나기형 물줄기구멍(11)들이 일정 패턴으로 다수 관통되어 있다.
상기 테두리벽(20)은, 저판(10)의 상면 둘레에 수밀하게 부착(예, 용접)된 칸막이부재이다. 테두리벽(20)은 소나기형 물줄기구멍(11)들을 모두 포위하는 위치에 부착됨으로써, 소나기형 물줄기구멍(11)들 모두 테두리벽(20)에 의해 형성되는 구획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샤워기(1)는 저판(10)과 테두리벽(20)에 의해 소나기형 물줄기의 분사를 위한 물이 일시적으로 저수되는 제1 저수공간(21)이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제1 저수공간(21)은 테두리벽(20)에 의해 구획된 밑넓이와 높이가 테두리벽(20)의 높이(T1)인 체적을 가지게 된다.
상기 커버판(30)은 제1 저수공간(21)의 개방된 상면을 수밀하게 덮음으로써 제1 저수공간(21)이 소나기형 물줄기구멍(11)들을 제외하고 수밀하게 밀폐된 공간이 되도록 한다.
저판(10), 테두리벽(20) 및 커버판(30)은 샤워에 필요한 높은 수압과 온도 및 자체의 하중을 견딜 수 있고, 위생적이며, 내구성 있는 소재로 제작되며,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스틸과 같은 강재 및 구리와 같은 금속소재가 바람직하며, 위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라면 플라스틱 합성수지도 제작할 수도 있다.
커버판(30)의 테두리벽(20)에 대한 고정은, 둘레에 프레임(130)을 끼우고 고정볼트(131)로 조인 후에 실리콘 등으로 방수 처리하여 고정할 수 있다. 프레임(130)은 앵커볼트(132)에 의해 천장 내의 콘크리트벽 등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급수관(40a)은, 커버판(30)에 형성된 제1 급수구(31a)에 연결되어서 제1 저수공간(21)에 고압의 물을 급수하는 관이다.
상기 제1 노즐판(50)은, 저판(10), 테두리벽(20) 및 커버판(30)에 의해 구획되는 제1 저수공간(21)의 바닥에 대응하는 넓이를 가지는 일정 두께(T2)의 판상의 부재이다. 제1 노즐판(50)은 제1 저수공간(21)에 꼭 맞게 삽입된 상태에서 저판(10) 위에 올려진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노즐판(50)의 두께(T2)는 제1 저수공간(21)의 높이(T1)보다 낮으며, 삽입된 제1 노즐판(50) 위로 제1 저수공간(21)이 유지된다.
예를 들어 테두리벽(20)의 높이, 즉 제1 저수공간(21)의 전체 높이(T1)는 대략 20mm 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고, 제1 노즐판(50)의 두께(T2)는 대략 3mm 내지 10mm 내외 및 그 이상으로 할 수 있으며, 이로써 제1 노즐판(50) 위에 노출된 실질적인 제1 저수공간(21)의 높이(T1-T2)는 대략 10mm 이상이 된다.
제1 노즐판(50)에는 저판(10)의 소나기형 물줄기구멍(11)들에 대응하는 위치에 소나기형 물줄기노즐(51)들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샤워기(1)는 물이 저판(10)의 소나기형 물줄기구멍(11)들 통과하면서 소나기형 물줄기를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제1 노즐판(50)에 관통 형성된 구멍인 소나기형 물줄기노즐(51)을 통과하면서 소나기형 물줄기를 형성한다. 따라서 저판(10)의 소나기형 물줄기구멍(11)은 소나기형 물줄기가 통과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소나기형 물줄기노즐(51)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한다.
제1 노즐판(50)의 소나기형 물줄기노즐(51)은 소나기형 물줄기의 형성에 바람직한 직경으로 형성하며, 예를 들어 1mm 내외, 후술하는 바와 같이 2mm 내외, 극단적으로 최대 6mm 정도까지 형성할 수 있다. 저판(10)의 소나기형 물줄기구멍(11)은 소나기형 물줄기노즐(51) 보다 대략 2mm 정도 더 크게 또는 그 이상 더 크게 충분한 크기로 형성하여 소나기형 물줄기노즐(51)로부터 소나기형 물줄기가 분사될 때 소나기형 물줄기구멍(11)을 자연스럽게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물줄기의 분사를 저판(10)이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결국, 제1 저수공간(21)의 물이 소나기형 물줄기노즐(51)을 통과할 때, 물은 제1 노즐판(50)의 두께(T2)에 해당하는 충분히 긴(예, 3mm 내지 10mm) 길이의 노즐통로를 통과하게 되고, 이렇게 물이 소나기형 물줄기노줄(51)을 통과하면서 만들어진 소나기형 물줄기는 옆으로 퍼지지 않고 직진하는 직진성을 가지게 되며, 그 분사가 저판(10)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다.
제1 저수공간(21)의 높이(T1), 제1 노즐판(50)의 두께(T2), 소나기형 물줄기노즐(51)의 직경 및 소나기형 물줄기구멍(11)의 직경은, 앞서 예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샤워기(1)의 규모나 용도에 의존하여, 제1 저수공간(21)에 적당한 양의 물이 저수될 수 있고, 소나기형 물줄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소나기형 물줄기에 직진성을 부여할 수 있는 적절한 범위로 선택할 수 있다.
소나기형 물줄기의 직진성을 유지하기 위해, 소나기형 물줄기노즐(51)의 직경과 제1 노즐판(50)의 두께(T2)는 대략 비례 관계를 가진다. 즉, 소나기형 물줄기노즐(51)의 직경을 크게 하고자 할 경우 상대적으로 두꺼운 제1 노즐판(50)을 사용하여야 직진성을 유지할 수 있고, 소나기형 물줄기노즐(51)의 직경이 작을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얇은 제1 노즐판(50)을 사용하여도 직진성을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노즐판(50)은 소나기형 물줄기노즐(51)의 가공성이 좋고, 무게가 가벼우며, 후술하는 조명수단(90)을 적용 했을 때 빛이 투과될 수 있는 투명 아크릴판과 같은 투명 합성수지판을 사용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샤워기(1)는 소나기형 물줄기 샤워뿐만 아니라 폭포수형 물줄기 샤워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저판(10)의 일부 구역에는 폭포수형 물줄기가 통과되는 폭포수형 물줄기구멍(12)이 형성된다.
도시된 구체예는 직사각형 저판(10)의 중앙 위치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는 초승달 형상의 2개의 폭포수형 물줄기구멍(12)이 형성되어 있고, 폭포수형 물줄기구멍(12)의 양측과 둘레에 전술한 소나기형 물줄기구멍(11)이 배치된 예이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폭포수형 물줄기의 제공을 위해, 본 발명의 샤워기(1)는, 칸막이벽(60), 제2 급수관(40b) 및 제2 노즐판(7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칸막이벽(60)은, 폭포수형 물줄기구멍(12)을 소나기형 물줄기구멍(11)과 격리하도록, 저판(10)의 일정 구역에 테두리벽(20)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밀하게 부착(예, 용접)되며, 폭포수형 물줄기의 분사를 위한 물이 일시적으로 저수되는 제2 저수공간(61)을 형성한다. 도시된 구체예에서 칸막이벽(60)은 폭포수형 물줄기구멍(12)의 둘레에 대략 정사각형의 폐쇄환 형태로 부착되어 정사각형의 제2 저수공간(61)을 형성하고 있다.
칸막이벽(60)은 테두리벽(20)과 동일한 높이(T1)를 가지며, 전술한 커버판(30)에 의해 덮여 저면(10)과 협력하여 폭포수형 물줄기구멍(12) 제외하고 수밀하게 밀폐된 제2 저수공간(61)을 형성한다.
상기 제2 급수관(40b)은 커버판(30)에 형성된 제2 급수구(31b)에 연결되며, 제2 저수공간(61)에 고압의 물을 급수한다.
상기 제2 노즐판(70)은 전술한 제1 노즐판(50)에 대응하는 노즐판으로서, 저판(10), 칸막이벽(60) 및 커버판(30)에 의해 구획되는 제2 저수공간(61)의 밑넓이에 대응하는 넓이를 가지는 일정 두께(T2)의 판상의 부재이다. 제2 노즐판(70)도 제2 저수공간(61)에 꼭맞게 삽입된 상태에서 저판(10) 위에 올려진다. 바람직하게, 제2 노즐판(70)도 제1 노즐판(50)과 마찬가지 이유로 투명 아크릴판과 같은 투명 합성수지판을 사용한다.
또한, 제2 노즐판(70)은, 제1 노즐판(50)과 마찬가지로, 제2 저수공간(61)의 높이(T1)보다 낮은 두께(T2)를 가지며, 삽입된 제2 노즐판(70) 위로 제2 저수공간(61)이 유지된다.
제2 노즐판(70)에는, 저판(10)의 폭포수형 물줄기구멍(12)에 대응하는 위치에 폭포수형 물줄기를 형성하기 위한, 폭포수형 물줄기노즐(71)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샤워기(1)는, 물이 저판(10)의 폭포수형 물줄기구멍(12)들 통과하면서 폭포수형 물줄기를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제2 노즐판(70)에 관통 형성된 구멍인 폭포수형 물줄기노즐(71)을 통과하면서 폭포수형 물줄기를 형성하므로, 저판(10)의 폭포수형 물줄기구멍(12)도 폭포수형 물줄기가 통과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물줄기노즐(71)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한다.
도시된 구체예에서 폭포수형 물줄기노즐(71)은, 저판(10)의 초승달 형상의 폭2개의 포수형 물줄기구멍(12)에 대응하여, 초승달 형상의 2개가 형성된다. 이때 폭포수형 물줄기노즐(71)은 폭포수형 물줄기구멍(12)의 둘레보다 대략 2mm 정도 또는 그 이상 작게 형성하여, 폭포수형 물줄기노즐(71)로부터 형성된 폭포수형 물줄기가 분사될 때 폭포수형 물줄기구멍(12)을 자연스럽게 통과되도록 함으로써 폭포수형 물줄기의 분사를 저판(10)이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결국, 물이 제2 노즐판(70)의 폭포수형 물줄기노즐(71)을 통과할 때, 물은 제2 노즐판(70)의 두께(T2)에 해당하는 충분히 긴 길이의 노즐통로(대략 3mm 내지 10mm 내외)를 통과하게 되고, 이렇게 만들어진 폭포수형 물줄기는 옆으로 퍼지지 않고 직진하는 직진성을 가지게 된다.
폭포수형 물줄기의 직진성을 유지하기 위한, 제2 노즐판(70)의 두께(T2)와 폭포수형 물줄기노즐(71)의 직경과의 비례적 사이즈 관계는, 전술한 제1 노즐판(50)의 두께와 소나기형 물줄기노즐(51)의 직경과의 사이즈 관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시된 구체예에서, 폭포수형 물줄기 샤워가 적용된 본 발명의 샤워기에서, 제2 저수공간(61)이 정사각형 형상으로 직사각형의 제1 저수공간(21)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노즐판(50)은 중앙에 정사각형의 관통구(52)가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이 된다.
제1 노즐판(50)과 제2 노즐판(70)을 투명 아크릴판과 같은 합성수지판으로 형성하는 경우에, 도시된 구체예에서 제2 노즐판(70)은 그 크기가 작아 큰 문제가 없지만, 제1 노즐판(50)은 빈번하게 온수와 냉수에 노출됨으로써 열변형을 받아 뒤틀리는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노즐판(50, 70)의 변형을 제한하기 위해, 본 발명의 샤워기(1)에는 지지대(80)들을 설치할 수 있다. 도시된 구체예에서 지지대(80)들은 소나기형 물줄기노즐(51)들과 오버랩되지 않는 위치에서 제1 저수공간(21)을 가로질러 테두리벽(20)에 부착(예, 용접)되어 된다.
지지대(80)는 물의 이동은 방해하지 않으면서 제1 노즐판(50)을 받쳐주어야 함으로, 바람직하게, 지지대(80)는 제1 노즐판(50)을 받쳐주는 받침돌기(81)와 지지대(80)를 가로질러 물이 흘러가는 것을 허용하는 통수로(82)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시된 구체예는 지지대(80)를 제1 저수공간(21)에만 양측 가로로 3개씩, 중앙에 세로로 2개를 형성한 예이며,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샤워기(1)는 제1 노즐판(50) 위에 제1 저수공간(21)을 매개하여 커버판(30)이 덮여있고, 커버판(30)의 제1 급수구(31a)로부터 제1 노즐판(50)의 중심부 바로 위로 고압의 물이 공급되는 구조이므로, 제1 급수구(31a)에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소나기형 물줄기노즐(51)들에 물이 편중됨으로써, 소나기형 물줄기의 형성이 제1 급수구(31a)의 바로 아래의 소나기형 물줄기노즐(51)들에 편중될 수 있다.
소나기형 물줄기의 편중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1 노즐판(50)의 소나기형 물줄기노즐(51)들은 그 직경을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 급수구(31a)의 직하방에 있는 소나기형 물줄기노즐(51)들은 상대적으로 노즐통로의 직경이 작은 소노즐(51a)들로 형성하고, 제1 급수구(31a)로부터 벗어나 있는 소나기형 물줄기노즐(51)들은 상대적으로 노즐통로의 직경이 큰 대노즐(51b)들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나기형 물줄기노즐(51)들을 그 위치에 따라 소노즐(51a)과 대노즐(51b)로 서로 다르게 배치함에 따라, 제1 급수구(31a)로부터 공급된 물은 바로 아래의 분사량이 적은 소노즐(51a)들을 통해 모두 분사되지 못하고 제1 저수공간(21)에 저수된 후에 대노즐(51b)을 통해서도 분사됨으로, 소나기형 물줄기가 제1 급수구(31a)의 바로 아래의 소나기형 물줄기노즐(51)들에 편중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소나기형 물줄기의 편중을 최소화하는 측면에서만 본다면, 모든 소나기형 물줄기노즐(51)들을 소노즐(51a)로 형성하면 될 것이나, 이럴 경우 샤워기의 사용을 종료한 후에 제1 저수공간(21)에 남아 있는 물(잔수)이 소노즐(51a)을 통해 배출될 때, 제1 저수공간(21)에 부압(진공)이 발생하여 잔수의 배출시간이 매우 길어질 수 있고, 이로써 샤워를 끝낸 뒤에도 한참 동안 샤워기에서 물방울이 낙하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소노즐(51a)과 대노즐(51b)을 혼합 배치한 본 발명의 샤워기(1)는, 샤워를 끝낸 후에 제1 저수공간(21)에 남아 있는 물(잔수)이 대노즐(51b)을 통해 쉽게 배출되고 제1 저수공간(21)의 진공이 즉시적으로 해소되므로, 잔수의 물방울 떨어짐 시간이 현격하게 단축된다.
지금까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샤워기에서 소나기형 물줄기를 형성하기 위한 노즐의 직경은 보통 1mm 이하이고, 2mm 이상으로 설정하는 경우가 없었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직경 2mm 미만의 소노즐(51a)과 직경 2mm 이상 6mm 정도까지의 대노즐(51b)을 전술한 바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소나기형 물줄기의 편중 문제와 잔수에 의한 물방울의 장시간 낙하 문제를 동시에 해소할 수 있다.
상기한 소나기형 물줄기의 편중은, 제1 급수구(31a)에 횡구코크(100)를 결함함으로써도 해소할 수 있다. 횡구코크(100)는 제1 저수공간(21)으로 분출되는 물이 직하방으로 분출되지 않고 횡방향으로 방사되도록 구성된 코크로서, 도5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의 출구(101)가 아래쪽으로는 형성되어 있지 않고 측면에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물을 횡방향으로 방사하는 코크이다.
횡구코크(100)를 적용하면 제1 저수공간(21)에 공급되는 물이 제1 저수공간(21)의 사방으로 방사되어 제1 급수구(31a)의 직하방으로 소나기형 물줄기가 편중되는 것을 상당히 차단할 수 있다.
물론, 제2 급수구(31b)에도 횡구코크(100)를 결합하여 폭포수형 물줄기가 편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7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포수형 물줄기구멍(12)과 폭포수형 물줄기노즐(71)을 제2 급수구(31b)의 바로 아래에 형성하지 않고 제2 급수구(31b)의 직하방으로부터 벗어나 양쪽에 초승달 모양으로 형성한 것도, 제2 급수구(31b)의 물이 일단 막혀 있는 제2 노즐판(70)에 먼저 부딪친 후에 양쪽으로 균일하게 퍼지도록 한 것으로서, 이런 구조 또한 폭포수형 물줄기가 한쪽으로 편중되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샤워기(1)는 분사되는 물줄기를 따라 조명이 조사되도록 하는 조명수단(90)을 부가할 수 있다.
상기 조명수단(90)으로서는 다양한 색상의 조명이 정해진 순서에 따라 또는 물의 수온에 따라 다양하게 변하는 LED 조명이 바람직하며, 커버판(30)의 내면에 부착된다. 커버판(30)의 내면은 물이 접하는 환경임으로, 조명수단(90)이 물에 직접적으로 접하지 않도록 조명수단(90)은 실리콘과 같은 방수피막(91)으로 도포한다. 도시된 구체예는, 커버판(30)의 내면에 LED 조명을 부착한 후에 커버판(30)의 내면 전체를 실리콘으로 밀봉시킨 예이다.
본 발명의 샤워기(1)는, 적용된 조명수단(90)이 소나기형 물줄기노즐(51)과 폭포수형 물줄기노즐(71)의 후방에 있는 커버판(30)에 설치되어서 백라이트 방식으로 물줄기를 조명하는 구조이고, 또한 소나기형 물줄기구멍(11)과 폭포수형 물줄기구멍(12)이 소나기형 물줄기노즐(51)과 폭포수형 물줄기노즐(71)보다 충분히 크게(예, 2mm 이상 크게)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투명한 제1 노즐판(50) 및 제2 노즐판(70)과 그 노즐(51, 71)을 통과한 광이 물줄기구멍(11, 12)들의 주변에 있는 불투명한 저판(10)에 의해 방해받지 않으면서 조사되고, 따라서 노즐(51, 71)을 통과한 물줄기들이 백라이트에 의해 충분한 광량으로 조사되어 조명의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샤워기(1)는 기포혼합기(110)를 부가할 수 있다. 기포혼합기(110)는 제1 급수관(40a) 및/또는 제2 급수관(40b)에 설치하여 제1 저수공간(21) 및/또는 제2 저수공간(61)으로 공급되는 물에 미세기포를 혼합함으로써 소나기형 물줄기 및/또는 폭포수형 물줄기에 미세기포가 함유되도록 한다. 기포혼합기(110)는 제1 급수관(40a)과 제2 급수관(40b)의 상류에 있는 메인관(41)에 설치하여 소나기형 물줄기 및 폭포수형 물줄기에 미세기포를 혼합시킬 수 있으나, 소나기형 물줄기에만 미세기포가 함유되도록 하면 충분하다.
기포혼합기(110)는 물줄기에 미세기포를 혼합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 제1 급수관(40a) 및/또는 제2 급수관(40b)에 연결된 벤투리관(111), 벤투리관(111)에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유입관(112), 및 공기유입관(112)으로의 물의 역류를 차단하는 체크밸브(113)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공기유입관(112)에 솔레노이드밸브(114)를 장착하여 필요에 따라 기포혼합기(110)의 작동을 개폐할 수 있다.
예시된 기포혼합기(110)에 의하면, 제1 급수관(40a) 등의 물이 벤투리관(111)을 통과할 때 부압이 발생하여 공기유입관(112)을 통해 공기가 유입됨으로써 기포가 혼합된 물이 생성되고, 공기유입관(112)을 통한 바람직하지 않은 물의 역류는 체크밸브(113)에 의해 차단된다.
본 발명의 샤워기(1)에 기포혼합기(110)를 적용되면, 물줄기와 함께 기포가 신체를 타격하는 현상과, 기포에 의해 물줄기가 단절되면서 신체를 타격하는 현상에 의해 신체에 대한 샤워의 세척력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샤워기(1)에 기포혼합기(110)를 적용하면, 물에 혼합된 기포들이 제1 저수공간(21)과 제2 저수공간(61) 등에 물때가 부착되는 것을 차단 또는 지연시키게 되고, 아울러 발명의 샤워기에 물을 순환시켜 침적된 물때를 세척할 때, 기포가 물때의 분리를 증진시켜 세정력이 향상되므로, 샤워기를 보다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아울러 기포혼합기(110)는 샤워가 끝난 후에 제1 저수공간(21) 등에 공기를 신속히 공급하여 샤워 과정에서 발생한 제1 저수공간(21) 등의 부압 상태가 신속히 해소되도록 함으로써, 제1 저수공간(21) 등의 잔수가 신속히 제거되어 물방울 떨어짐 시간을 단축하는 작용도 한다.
바람직한 본 발명의 샤워기(1)는 소나기형 물줄기 샤워와 폭포수형 물줄기 샤워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바, 이를 위해 제1 급수관(40a)과 제2 급수관(40b)에 연결되는 배관은 이와 같은 선택적 사용이 편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측의 2개의 제1 급수관(40a)과 중앙의 1개의 제2 급수관(40b)으로 구성된 구체예의 경우,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급수관(40a)과 제2 급수관(40b)은 하나의 메인관(41)에 연결하고, 메인관(41)에 욕조에 담겨 있는 물을 펌프에 의해 재순환시키는 순환관(42)과 새로운 물을 공급하는 수도관(43)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순환관(42)과 수도관(43)에는 각각 체크밸브(42a, 43a)를 장착하여 물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조절밸브(44)를 장착하여 잠금, 수돗물 사용 및 순환수 사용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급수관(40a)에는 평상시 열려 있는 솔레노이드밸브(45a)를 설치하고 제2 급수관(40b)에는 평상시 닫혀 있는 솔레노이드밸브(45b)를 장착하여, 제1 급수관(40a)을 통한 소나기형 물줄기의 샤워가 메인으로 작동하고, 포수물줄기의 샤워가 선택으로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샤워기(1)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욕실의 접근하기 좋은 위치에 조정판(120)을 설치하여, 그 작동을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
조정판(120)에는 상기 조절밸브(44)의 조정스위치, 상기 제1 급수관(40a)과 제2 급수관(40b)의 솔레노이드밸브(45a, 45b)들을 조절하는 스위치, 조명수단(90)을 조절하는 스위치, 및 기포혼합기(110)의 솔레노이드밸브(114)를 조절하는 스위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1: 본 발명의 샤워기 2: 천장
3: 욕실 10: 저판
11: 소나기형 물줄기구멍 12: 폭포수형 물줄기구멍
20: 테두리벽 21: 제1 저수공간
30: 커버판 31a: 제1 급수구
31b: 제2 급수구 40a: 제1 급수관
40b: 제2 급수관 41: 메인관
42: 순환관 42a, 43a: 체크밸브
43: 수도관 44: 조절밸브
45a, 45b: 솔레노이드밸브 50: 제1 노즐판
51: 소나기형 물줄기노즐 51a; 소노즐
51b: 대노즐 60: 칸막이벽
61: 제2 저수공간 70: 제2 노즐판
71: 폭포수형 물줄기노즐 80: 지지대
81: 받침돌기 82: 통수로
90: 조명수단(예, LED) 91: 방수피막
100: 횡구코크 110: 기포혼합기
111: 벤투리관 112: 공기유입관
113: 체크밸브 120: 조정판
130: 프레임 131: 고정볼트

Claims (8)

  1. 소나기형 물줄기가 통과되는 소나기형 물줄기구멍(11)들이 형성되어 있는 불투명한 저판(10);
    상기 소나기형 물줄기구멍(11)들을 포위하도록 상기 저판(10)의 둘레에 수밀하게 부착되고, 상기 소나기형 물줄기의 분사를 위한 물이 일시적으로 저수되는 일정 높이(T1)의 제1 저수공간(21)을 형성하는 테두리벽(20);
    상기 제1 저수공간(21)의 개방된 상면을 수밀하게 덮는 커버판(30);
    상기 커버판(30)에 형성된 제1 급수구(31a)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저수공간(21)에 고압의 물을 급수하는 제1 급수관(40a);
    상기 제1 저수공간(21)의 상기 저판(10) 위에 올려지고, 상기 제1 저수공간(21)의 높이(T1)보다 낮은 두께(T2)를 가지며, 상기 소나기형 물줄기구멍(11)들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소나기형 물줄기를 형성하는 소나기형 물줄기노즐(51)들이 형성되어서, 물이 상기 두께(T2)에 해당하는 노즐통로를 통과하면서 상기 소나기형 물줄기가 직진성을 가지도록 하는 투명한 제1 노즐판(50); 및
    투명한 상기 제1 노즐판(50)의 후방에 상기 커버판(30)의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소나기형 물줄기노즐(51)의 상기 소나기형 물줄기를 백라이트 조명하는 조명수단(90); 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조명수단(90)으로부터의 광이, 투명한 상기 제1 노즐판(50)을 통과하고 상기 소나기형 물줄기구멍(11)을 통과하여, 상기 소나기형 물줄기노즐(51)을 통과하는 상기 소나기형 물줄기를 충분한 광량으로 조명할 수 있도록, 상기 저판(10)의 상기 소나기형 물줄기구멍(11)의 직경이 상기 제1 노즐판(50)의 상기 소나기형 물줄기노즐(51)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샤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판(10)의 일부 구역에 폭포수형 물줄기가 통과되는 폭포수형 물줄기구멍(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폭포수형 물줄기구멍(12)을 상기 소나기형 물줄기구멍(11)과 격리하도록, 상기 저판(10)에 수밀하게 부착되어 있고, 상기 폭포수형 물줄기의 분사를 위한 물이 일시적으로 저수되는 상기 일정 높이(T1)의 제2 저수공간(61)을 형성하는 칸막이벽(60);
    상기 커버판(30)에 형성된 제2 급수구(31b)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저수공간(61)에 고압의 물을 급수하는 제2 급수관(40b); 및
    상기 제2 저수공간(61)의 상기 저판(10) 위에 올려지고, 상기 제2 저수공간(61)의 높이(T1)보다 낮은 두께(T2)를 가지며, 상기 폭포수형 물줄기구멍(12)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폭포수형 물줄기를 형성하는 폭포수형 물줄기노즐(71)이 형성되어 서, 물이 상기 두께(T2)에 해당하는 노즐통로(72)를 통과하면서 상기 폭포수형 물줄기가 직진성을 가지도록 하는 투명한 제2 노즐판(7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샤워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즐판(50)의 변형을 제한하는 지지대(80)들이 상기 제1 저수공간(21)을 가로질러 상기 테두리벽(20)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80)는 상기 제1 노즐판(50)을 받쳐주는 받침돌기(81)와 상기 지지대(80)를 가로질러 물이 흘러가는 것을 허용하는 통수로(8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샤워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나기형 물줄기노즐(51)들은, 상기 제1 급수구(31a)의 직하방에 있고 상대적으로 상기 노즐통로(72)의 직경이 작은 소노즐(51a)들과, 상기 제1 급수구(31a)로부터 벗어나 있고 상대적으로 상기 노즐통로(72)의 직경이 큰 대노즐(51b)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샤워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급수구(31a) 또는 상기 제2 급수구(31b)에는, 상기 제1 저수공간(21) 또는 상기 제2 저수공간(61)으로 분출되는 물이 직하방으로 분출되지 않고 횡방향으로 방사되도록 하는 횡구코크(100)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샤워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수단(90)은, 투명한 상기 제2 노즐판(70)의 후방에 상기 커버판(30)의 내면에도 설치되어, 상기 폭포수형 물줄기노즐(71)의 상기 폭포수형 물줄기를 백라이트 조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샤워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급수관(40a) 또는 상기 제2 급수관(40b)에는, 상기 제1 저수공간(21) 또는 상기 제2 저수공간(61)으로 공급되는 물에 미세기포를 혼합시키는 기포혼합기(11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천장형 샤워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혼합기(110)는, 상기 제1 급수관(40a) 또는 상기 제2 급수관(40b)에 연결된 벤투리관(111), 상기 벤투리관(111)에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유입관(112) 및 상기 공기유입관(112)으로의 물의 역류를 차단하는 체크밸브(1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샤워기.




KR1020100080166A 2010-08-19 2010-08-19 천장형 샤워기 KR101299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0166A KR101299609B1 (ko) 2010-08-19 2010-08-19 천장형 샤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0166A KR101299609B1 (ko) 2010-08-19 2010-08-19 천장형 샤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531A KR20120017531A (ko) 2012-02-29
KR101299609B1 true KR101299609B1 (ko) 2013-08-23

Family

ID=45839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0166A KR101299609B1 (ko) 2010-08-19 2010-08-19 천장형 샤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96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512Y1 (ko) 2012-03-28 2014-02-28 영 근 송 잔수 배출방지 구조를 갖는 고정식 샤워기 헤드
CN104644003A (zh) * 2015-02-06 2015-05-27 成都陶玛斯卫浴有限责任公司 一种有助于通风透气的浴室隔断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225B1 (ko) * 2015-06-02 2016-12-07 하기호 모듈 타입의 샤워기 헤드 어셈블리
CN106639114A (zh) * 2017-01-24 2017-05-10 广东喜兔生活空间科技有限公司 一种集成吊顶花洒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913U (ko) * 2008-01-03 2009-07-08 주식회사 디엔이 천장용 샤워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913U (ko) * 2008-01-03 2009-07-08 주식회사 디엔이 천장용 샤워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512Y1 (ko) 2012-03-28 2014-02-28 영 근 송 잔수 배출방지 구조를 갖는 고정식 샤워기 헤드
CN104644003A (zh) * 2015-02-06 2015-05-27 成都陶玛斯卫浴有限责任公司 一种有助于通风透气的浴室隔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531A (ko) 2012-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78258A (en) Multiple showerhead apparatus
EP0708866B1 (en) Water recirculating bath fixture
JP3937444B2 (ja) シャワーヘッド
US4872225A (en)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bath enclosures
KR101299609B1 (ko) 천장형 샤워기
KR200446069Y1 (ko) 천장용 샤워기
US9469978B2 (en) Exposed shower system
US7200879B2 (en) Waterfall waterjet with debris removing outlet
US7815329B2 (en) Waterfall unit
JP5088680B2 (ja) 吐水装置
CA2647104C (en) Spout including a stream straightener
US20090218411A1 (en) Water sheet showerhead
US4991241A (en) Combination sanitaryware and fitting
US6631525B2 (en) Washing platform
JP2009520891A (ja) 衛生設備の放水水栓
KR102374199B1 (ko) 남성 소변튐 방지 장치
CA2819573C (en) Foamed-water saving aerator
AU2004271957B2 (en) Lavatory with a removable washing platform
ES2532135T3 (es) Sistema de ducha
JP4030828B2 (ja) シャワヘッド
US5852835A (en) Plumbing nozzle
JP2003313921A (ja) 局部洗浄装置
JP2004275625A (ja) 浴槽用吐水装置
CN210252773U (zh) 一种按摩浴缸瀑布喷嘴
US20230219104A1 (en) Show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