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9214B1 - 아웃코너 연결부재 - Google Patents

아웃코너 연결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9214B1
KR101299214B1 KR1020110090719A KR20110090719A KR101299214B1 KR 101299214 B1 KR101299214 B1 KR 101299214B1 KR 1020110090719 A KR1020110090719 A KR 1020110090719A KR 20110090719 A KR20110090719 A KR 20110090719A KR 101299214 B1 KR101299214 B1 KR 101299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corner
connecting member
forming portion
corner conn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0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7239A (ko
Inventor
정병희
Original Assignee
(유)선일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선일건설 filed Critical (유)선일건설
Priority to KR1020110090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9214B1/ko
Publication of KR20130027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7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9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9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5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being tensioned by wedge-shap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1Corner fastening or connecting means for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아웃코너 연결부재는 콘트리트가 타설되는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거푸집 형성부와, 상기 거푸집 형성부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거푸집 형성부의 길이 방향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거푸집 형성부와 연결부에는 결합유닛에 의해 인접하는 거푸집 또는 아웃코너 연결부재와 결합을 위한 복수개의 관통공들이 소정의 피치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아웃코너 연결부재는 아웃코너부의 설치 시 작업자가 별도의 비규격 거푸집을 만들의 설치하여야 하는 자투리 공간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할수 있다.

Description

아웃코너 연결부재 {coupling member for construction mold}
본 발명은 거푸짚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건물의 벽체나 기둥의 시공 시 거푸짚과 더블어 아웃코너부의 콘크리트 틀을 이루는 아웃코너 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상, 고층 아파트와 같은 대형 구조물 시공현장에서 추락재해방지, 콘크리트 품질향상, 공기단축, 인건비 절감을 위해 갱폼과 유로폼의 활용이 일반적이다. 유로폼의 경우 먼저 인코너를 설치한 다음 이어서 평면 부분 유로폼, 아웃코너, 수평 파이프, 수직 파이프 순서로 설치한다. 이때 종래의 경우 유로폼의 코너부의 설계가 미흡하여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파손되거나 반대로 지나치게 과도한 중량으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증대된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3433호에는 중간연결부와 두 측면부가 일체로 이루어진 연결구를 통하여 콘크리트 성형체의 아웃코너가 선이 아닌 면을 이루도록 하며, 또 다양한 각도의 아웃코너 부분성형을 위하여 상기 중간연결부 및 상기 두 측면부의 두 연결기점을 연결한 가상의 직선과 상기 측면부가 이루는 각도는 180도를 초과하고 360 미만의 각도를 이루는 구성이 게시되어 있다.
삭제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 2008-0098315호에는 거푸집 아웃코너 마감부재가 게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2006-0011456호에는 코너앵글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체의 코너부 시공방법이 게시되어 있다. 게시된 코너 앵글은 제1 거푸집 패널의 측면에 결합되는 제1 연결 브라켓; 상기 제1 거푸집 패널의 측면과 인접하는 상기 제2 거푸집 패널의 측면에 결합되는 제2 연결 브라켓; 및 상기 제1 및 제2 거푸집 패널의 상호 인접하는 단부와 맞닿아 상기 제1 및 제2 거푸집 패널의 내측면과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내측면을 가지도록, 상기 제1 연결 브라켓의 단부에서 상기 제2 연결 브라켓의 단부까지 연장 형성된 코너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 2004-033669호에는 보 스틸 아웃코너폼 및 이를 이용한 보 스틸 거푸집 조립방법이 게시되어 있다. 게시된 거푸집은 단면이 L형으로 형성되고 상부벽체의 내측면과 바닥체의 상부면이 접하는 부분이 면처리 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벽체 상부면에 형성된 핀구멍과; 상기 몸체의 바닥체 측면에 형성된 핀구멍으로 구성을 가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아웃코너 또는 인코너용 거푸집이나 마감부재는 아웃코너 또는 인코너의 형상만을 한정하거나 결합구조가 개선된 것이므로 아웃 코너부와 연장되는 부위는 별도의 거푸집을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건축물을 시공함에 벽체의 마감부위 또는 기둥은 다양한 규격을 가지고 있으므로 벽체 또는 기둥의 아웃 코너부를 아웃코너 마감부재를 이용하여 마감하는 경우 마감하지 못한 자투리 부분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 자투리 부분을 커버하기 위한 별도의 거푸집을 만들어야 한다. 이러한 별도의 거푸집의 제작은 시공에 따른 많은 작업공수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작업성을 현저하게 떨어 뜨린다.
또한 규격화된 유로폼을 복수개 옆으로 나란히 배치하여 벽체를 구성하는 경우에도 벽체의 길이에 따라서 유로폼의 폭이 여분이 남거나 부족한 부분이 존재한다. 종래에는 작업자가 벽체의 남는 길이 또는 부족한 길이를 측정하여 이 길이에 상응하는 폭을 가진 별도의 거푸집을 제작하여 벽체 길이를 맞추고 있다. 이는 별도의 거푸집을 제작하는 작업에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거푸집의 기계적 강도가 취약해져 내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측압에 견디지 못하고 불량이 발생할 염려가 있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 특허 공개 제1996-1382호에서는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치수 불일치를 보정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위와 같은 종래기술은 치수를 불일치를 정확히 측정한 다음에 그에 상응하는 치수를 가진 스페이서를 별도로 제작하여 부착하는 것으로,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특히 스페이서는 금속 또는 금속과 수지재를 이용하여 별도로 제조하게 되므로 제조에 많은 작업공수가 소요되며 생산 단가가 상대적으로 높다.
삭제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SMC (Sheet Molding Compound)재를 이용하여 스페이서를 규격별로 생산하고 있으나 이 SMC에 의해 제조된 스페이서는 구조적 강도가 약하다. 특히 이러한 스페이서 및 유로폼은 상호 인접되는 유로폼들이 빈틈없이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콘크리트 타설 후 거푸집을 해체하는 탈형 작업에 있어서도 매우 불편하며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건축물의 아웃코너부의 시공 시 아웃 코너부를 제외한 부위의 벽체 또는 기둥에 거푸집을 시공하여야 할 여분이 남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시공에 따른 작업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작업공수를 대폭 줄일 수 있는 아웃코너 연결부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아웃코너 연결부재는 콘트리트가 타설되는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거푸집 형성부와, 상기 거푸집 형성부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거푸집 형성부의 길이 방향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거푸집 형성부와 연결부에 타이바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관통이 소정의 피치로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인접하는 아웃코너 연결부재의 연결부와 결합 시 연결부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관통홀을 형성하는 인입홈들이 소정의 피치로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웃코너 연결부재는 아웃코너부 및 이와 인접되는 부위를 거푸집 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아웃코너부의 거푸집 설치 시 인접되는 부위의 자투리 거푸집을 만들 필요가 없다. 따라서 자투리 거푸집 설치함에 따른 작업공수를 줄이고,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웃코너 연결부재가 시공된 상태의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아웃코너 연결부재가 시공된 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다른 아웃코너 연결부재가 일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아웃코너 연결부재에 의해 기둥을 시공하는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아웃코너 연결부재의 사용상태도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아웃코너 연결부재는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아웃코너부의 거푸집 설치 시 자투리 거푸집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줄일 수 있는 것으로, 그 일 실시예를 도 1 및 도 4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아웃코너 연결부재는 콘크리트 몰탈의 타설을 이용하여 벽체(100)의 시공 시 콘크리트 몰탈의 주입공간을 구획하기 위해 벽체를 형성하는 주입공간의 양측에 설치되는 거푸집(12)(13)들과, 상기 거푸집(12)(13)들을 상호 이격(벽체의 두께에 해당)된 상태로 지지하는 타이바(14)를 구비한다. 그리고 벽체의 아웃 코너부(101)는 아웃코너 연결부재(50)들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연결되거나 거푸집(12)(13)들과 결합되어 콘크리트 몰탈의 타설공간을 구획하게 된다.
상기 아웃코너 연결부재(5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트리트가 타설되는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거푸집 형성부(51)와, 상기 거푸집 형성부(51)의 폭(W1)보다 작은 폭(W2)을 가지며 거푸집 형성부(51)의 길이 방향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연결부(52)를 포함하는 본체(53)를 구비한다. 상기 거푸집 형성부(51)의 폭은 필요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상기 거푸집 형성부(51)와 연결부(52)의 폭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푸집 형성부(51)에는 길이 방향과 폭방향으로 복수개의 제 1관통공(54)들이 형성되고, 사이 연결부(52)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제 2관통공(55)들이 형성된다. 상기 제 1,2관통공(54)(55)들은 실질적으로 크기가 동일하며, 직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아웃코너 연결부재(50)는 상기 제 1관통공(54) 또는 제 2관통공(55)과 인접하는 아웃코너 연결부재(50')의 제 2관통공(55') 또는 제 2관통공(54')을 결합하는 결합유닛(60)을 더 구비한다.
상기 아웃코너 연결부재(50)(50')들을 상호 결합하는 결합유닛(60)은 상호 결합되는 아웃코너 연결부재(50)(50')들의 관통공(54,55';도 3참조)들에 삽입되는 것으로, 헤드부(61a)와, 이 헤드부(61a)로부터 연장되며 결합공(61b)이 형성된 삽입부(61c)를 가지는 티바(61)와, 상기 결합을 위한 아웃코너 연결부재(50)(50')의 제 1,2관통공에 삽입된 삽입부(61c)의 결합공(61b)에 결합되는 결합키(62)를 구비한다. 상기 결합유닛(60)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볼트와 너트 또는 와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푸집 형성부(51)와 연결부(52)의 외측 경계부위에는 이들을 보강하기 위한 별도의 보강리브(미도시)들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52)의 측면 즉, 연결부(52)와 인접되는 아웃코어 연결부재(50')의 연결부(52')와 대응되는 측면에는 길이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타이바가 결합되는 관통공을 형성하기 위한 인입홈(56)들이 소정의 피치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아웃코어 연결부재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 또는 토목 구조물을 건축함에 있어서, 콘크리트 몰탈을 이용한 벽체(100)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규격화 된 거푸집(12)(13)들을 이용하여 소정간격 이격될 수 있도록 타이바(14)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벽체의 아웃코너부(10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코너 연결부재(50)들을 이용하여 시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코너 연결부재(50)들의 연결부(52)와 인접하는 아웃코너 연결부재(50')의 거푸집 형성부(51')을 상호 결합유닛(60)을 이용하여 직각 형태를 이루도록 설치하고, 상기 거푸집(12)(13)과 결합하여 아웃코너부의 콘트리트 몰탈 타설공간을 구획한다. 따라서 타설공간을 구획하는 규격화된 거푸집(12 또는 13)의 시공 시 자투리 부분을 별도로 제작하여 설치하지 않고, 아웃코너 연결부재로서 커버할 수 있다.
이러한 이러한 아웃코너 연결부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100)의 시공 시 벽체(100)의 마감부분을 아웃코너 연결부재(50)들을 상호 연결하여 하나의 마감 거푸집으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건축물이나 토목 구조물을 시공함에 있어서, 다양한 규격의 기둥들이 있는데, 이러한 기둥들을 콘크리트 몰타를 이용하여 시공하기 위해서는 규격제품의 거푸집과 규격 제품들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부분을 목수가 별도로 자투리 거푸집을 제작하여 시공하여 왔다. 그러나 아웃코너 연결부재를 이용하는 경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코너 연결부재(50)들의 연결부(52)와 인접하는 아웃코너부재(50')의 거푸집 형성부(51')를 결합유닛(60)들을 이용하여 상호 결합하여 기둥(200)을 형성하기 위한 타설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 내지 도 8에는 규격품의 거푸집(70)과 아웃코너 연결부재(50)들을 이용하여 기둥을 형성하기 위한 타설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특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코너 연결부재(50)(50')들의 연결부를 상호 연결하여 연결거푸집을 구성하고 이들의 사이에 규격품의 거푸집(70)을 설치하거나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코너 연결부재(50)(50')의 양측에 규격품의 거푸집(70)을 설치하여 기둥을 구현하기 위한 타설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웃 코너부 연결부재는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타설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거푸집의 설치 시 아웃코너부와 연계된 자투리 부분 즉, 목수가 자투리 거푸집을 제작하여 설치하여야 하는 자투리 부분의 공간을 아웃코너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시공할 수 있으므로 건축물 또는 토목구조물의 시공 시 거푸집의 시공에 따른 작업공수를 대폭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거푸집 형성부(51)와, 상기 거푸집 형성부(51)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거푸집 형성부(51)의 길이 방향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연결부(52)를 포함하는 본체(53)를 구비하며,
    상기 거푸집 형성부(51)와 연결부(52)에는 결합유닛(60)에 의해 인접하는 거푸집 또는 아웃코너 연결부재(50')와 결합을 위한 제1관통공(54)과 제 2관통공(55)가 소정의 피치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52)와 인접되는 아웃코어 연결부재(50')의 연결부(52')와 대응되는 연결부(52)의 측면에는 길이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타이바가 결합되는 관통공을 형성하기 위한 인입홈(56)들이 소정의 피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코너 연결부재.
  2. 삭제
  3. 삭제
KR1020110090719A 2011-09-07 2011-09-07 아웃코너 연결부재 KR101299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719A KR101299214B1 (ko) 2011-09-07 2011-09-07 아웃코너 연결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719A KR101299214B1 (ko) 2011-09-07 2011-09-07 아웃코너 연결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7239A KR20130027239A (ko) 2013-03-15
KR101299214B1 true KR101299214B1 (ko) 2013-08-28

Family

ID=48178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0719A KR101299214B1 (ko) 2011-09-07 2011-09-07 아웃코너 연결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921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381B1 (ko) * 2007-12-26 2010-02-10 세진아이앤디(주) 거푸집 코너용 면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381B1 (ko) * 2007-12-26 2010-02-10 세진아이앤디(주) 거푸집 코너용 면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7239A (ko) 2013-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1707Y1 (ko) 거푸집 겸용 외장벽판
KR101420203B1 (ko) 건축용 기둥과 보의 연결구조물
DK2630306T3 (en) Assemblable disposable FOR CONSTRUCTION OF MODULAR formwork FOR PRODUCTION OF CONCRETE FOUNDATION
KR101165563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가변형 강재형틀
KR101422076B1 (ko) 플랫타이 및 이 플랫타이와 비금속제 거푸집틀을 이용한 거푸집 설치방법
WO2000065166A1 (en) Steel-frame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on by using the same
KR101679666B1 (ko) 중고층 모듈러 건축물용 코아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299214B1 (ko) 아웃코너 연결부재
KR20180094673A (ko) 이중 플레이트 벽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89338B1 (ko) 거푸집용 조립식 패널
KR100769971B1 (ko) 거푸집용 조립식 패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415699B1 (ko) 기둥용 거푸집
CN113338472B (zh) 一种装配式磷石膏复合墙板及其预制方法
KR101311207B1 (ko) 철골 철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 그 제조방법, 및 그 시공방법
KR101202300B1 (ko) 조립식 거푸집 제조방법
KR200357642Y1 (ko) 인코너판넬 보강구조
KR101202296B1 (ko) 조립식 거푸집
KR20140112175A (ko) 형틀 일체형 건축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140627B1 (ko) 콘크리트 건물의 건축공법
JP2009041275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梁柱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型枠
KR102402013B1 (ko) 고강도 유로폼 거푸집
KR101320697B1 (ko) 거푸집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연결 방법
KR101386415B1 (ko)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와 모듈러 건축물의 모듈유닛 및 그 제작방법
KR101210855B1 (ko) 표준형 주택용 거푸집
KR20140130808A (ko) 거푸집 겸용 외장벽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