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8555B1 - 나무의 표피 분리방법 - Google Patents

나무의 표피 분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8555B1
KR101298555B1 KR1020100088642A KR20100088642A KR101298555B1 KR 101298555 B1 KR101298555 B1 KR 101298555B1 KR 1020100088642 A KR1020100088642 A KR 1020100088642A KR 20100088642 A KR20100088642 A KR 20100088642A KR 101298555 B1 KR101298555 B1 KR 101298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tree
wood
mulberry
f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8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6644A (ko
Inventor
이봉진
Original Assignee
이봉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봉진 filed Critical 이봉진
Priority to KR1020100088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8555B1/ko
Publication of KR20120026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6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8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8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LREMOVING BARK OR VESTIGES OF BRANCHES; SPLITTING WOOD; MANUFACTURE OF VENEER, WOODEN STICKS, WOOD SHAVINGS, WOOD FIBRES OR WOOD POWDER
    • B27L1/00Debarking or removing vestiges of branches from trees or logs; Machines therefor
    • B27L1/14Debarking or removing vestiges of branches from trees or logs; Machines therefor using jets of flui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hemical And Physical Treatments For Woo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무의 표피 분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닥나무, 뽕나무를 포함한 나무에 고압증기를 분사하여 나무의 목질부에서 흑피, 청피 및 백피를 포함한 표피를 자동으로 기계적으로 간편하게 벗겨 분리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종래처럼 나무의 목질부에서 흑피, 청피 및 백피를 포함한 표피를 작업자가 직접 수동으로 벗겨낼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지의 대량생산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나무의 표피 분리방법{SEPARATION OF WOOD BLACK LAYER}
본 발명은 닥나무, 뽕나무를 포함한 나무에 고압증기를 분사하여 나무의 목질부에서 흑피, 청피 및 백피를 포함한 표피를 자동으로 기계적으로 간편하게 벗겨 분리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종래처럼 나무의 목질부에서 흑피, 청피 및 백피를 포함한 표피를 작업자가 직접 수동으로 벗겨낼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지의 대량생산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는 나무의 표피 분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류의 문명이 발달되면서 문자가 만들어졌고, 이것을 기록하려는 도구가 발명되었다.
중국의 후한시대(AD 105년) 채륜에 의하여 종이가 발명되기 전에는 파피루스, 파치먼트, 죽간, 목간 등이 기록용지로 사용되었다.
인피섬유를 원료로 하는 한지는 610년경 중국으로부터 도입되어 삼국시대(775년경)에 우리 고유의 전통한지 제지술로 발전되었다.
이 제지술이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으나, 20세기에 이르러 양지 산업이 도입되면서 수록한지는 사양화 되었다.
양지는 대량생산이 가능하나, 수록한지는 생산이 한정적이고 인건비, 원료비 등의 상승으로 양지에 비해 경제성이 떨어진다.
한지는 양지에 비해 우수한 성질을 갖고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시켜야 한다.
한편, 한지는 닥나무, 뽕나무, 삼지닥나무 등을 포함한 나무의 껍질을 원료로 하여 만들어진다.
그러나, 작업자가 닥나무, 뽕나무, 삼지닥나무 등을 포함한 나무의 껍질을 번거롭게 일일이 손으로 직접 벗겨 말려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작업성이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한지의 대량생산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닥나무, 뽕나무를 포함한 나무에 고압증기를 분사하여 나무의 목질부에서 흑피, 청피 및 백피를 포함한 표피를 자동으로 기계적으로 간편하게 벗겨 분리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종래처럼 나무의 목질부에서 흑피, 청피 및 백피를 포함한 표피를 작업자가 직접 수동으로 벗겨낼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지의 대량생산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는 나무의 표피 분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닥나무, 뽕나무를 포함한 나무에 고압증기를 분사하여 나무의 표피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의 표피 분리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또한, 상기 나무를 물에 불린 후 고압증기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의 표피 분리방법을 제공한다.
나아가, 상기 나무를 증자한 후 고압증기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의 표피 분리방법을 제공한다.
더불어, 상기 나무를 이송펠트로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펠트상에 공급되는 상기 나무에 고압증기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의 표피 분리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펠트의 상측에 상기 이송펠트로 공급된 상기 나무를 수용하는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의 표피 분리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에 브러시롤러가 축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나무를 드럼내로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가 구비되고, 상기 드럼내에 공급되는 상기 나무에 고압증기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의 표피 분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닥나무, 뽕나무 등을 포함한 나무에 고압증기를 분사하여 나무의 목질부에서 흑피, 청피 및 백피를 포함한 표피를 자동으로 기계적으로 간편하게 벗겨 분리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종래처럼 나무의 목질부에서 흑피, 청피 및 백피를 포함한 표피를 작업자가 직접 수동으로 벗겨낼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지의 대량생산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닥나무, 뽕나무 등을 포함한 나무에 고압증기를 분사할 경우 상기 나무의 목질부에서 벗겨져 분리되는 흑피, 청피 및 백피를 포함한 표피의 분리효율이 보다 더욱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닥나무, 뽕나무 등을 포함한 나무를 물에 불린 후 고압증기를 물에 불린 상기 나무에 분사할 경우 상기 나무의 목질부에서 흑피, 청피 및 백피를 포함한 표피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간편하게 벗겨 분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닥나무, 뽕나무 등을 포함한 나무를 증자한 후 고압증기를 증자한 상기 나무에 분사할 경우 상기 나무의 목질부에서 흑피, 청피 및 백피를 포함한 표피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간편하게 벗겨 분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이송펠트상에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닥나무, 뽕나무 등을 포함한 나무에 고압증기를 분사하여 나무의 목질부에서 흑피, 청피 및 백피를 포함한 표피를 기계적으로 보다 더욱 간편하게 벗겨 분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펠트의 상측에 구비되는 가이드부의 내측에 상기 이송펠트로 공급된 상기 나무가 수용되거나,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에 축결합된 브러시롤러의 브러시가 상기 이송펠트로 공급된 나무와 접할 경우 상기 나무가 고압증기에 의해 유동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드럼내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닥나무, 뽕나무 등을 포함한 나무에 고압증기를 분사하여 나무의 목질부에서 흑피, 청피 및 백피를 포함한 표피를 기계적으로 보다 더더욱 간편하게 벗겨분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표피를 분리하고자 하는 나무를 공급받는 이송펠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이송펠트의 상측에 가이드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가이드부의 내측에 나무가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가이드부의 하부에 브러시롤러가 축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고압증기를 분사하는 분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표피를 분리하고자 하는 나무를 공급받는 드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나무의 표피 분리방법은 닥나무, 뽕나무를 포함한 나무(도 3의 3)에 고압증기를 분사하여 상기 나무(3)의 목질부(도 3의 30)로부터 껍질, 즉 흑피, 청피 및 백피를 포함한 표피(31)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삭제
닥나무, 뽕나무 등을 포함한 상기 나무(3)에 고압증기를 분사할 경우 상기 나무(3)의 목질부(30)로부터 벗겨져 분리되는 흑피, 청피 및 백피를 포함한 표피(31)의 분리효율이 보다 더욱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작업자는 상기 나무(3)를 물이 일정높이로 수용된 가마솥 등을 포함한 수용부재(미도시)에 일정시간 동안 수용시켜 상기 나무(3)를 물에 불린 후 물에 불린 상기 나무(3)에 고압증기를 분사할 수도 있다.
닥나무, 뽕나무 등을 포함한 상기 나무(3)를 물에 불린 후 고압증기를 물에 불린 상기 나무(3)에 분사할 경우 상기 나무(3)의 목질부(30)에서 흑피, 청피 및 백피를 포함한 표피(31)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간편하게 벗겨 분리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나아가, 작업자는 상기 나무(3)를 물이 일정높이로 수용된 가마솥 등을 포함한 수용부재(미도시)에 수용시킨 후 가마솥 등을 포함한 상기 수용부재(미도시)를 장작 등을 이용하여 일정시간 동안 불에 떼어 상기 가마솥 등을 포함한 상기 수용부재(미도시)에 물과 함께 수용된 상기 나무(3)를 증자한 후 증자한 상기 나무(3)에 고압증기를 분사할 수도 있다.
닥나무, 뽕나무 등을 포함한 상기 나무(3)를 증자한 후 고압증기를 증자한 상기 나무(3)에 분사할 경우 상기 나무(3)의 목질부(30)에서 흑피, 청피 및 백피를 포함한 표피(31)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간편하게 벗겨 분리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1은 표피(31)를 분리하고자 하는 나무를 공급받는 이송펠트(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닥나무, 뽕나무 등을 포함한 상기 나무(3)를 그물망 형태의 이송펠트(10)로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펠트(10)상에 공급되는 상기 나무(3)에 고압증기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이송펠트(10)는 전측롤러(110)와; 상기 전측롤러(110)와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후측롤러(130)와; 상기 전측롤러(110) 및 후측롤러(130)의 외주연에 감겨지는 그물망형태의 펠트부재(150)와; 상기 전측롤러(110) 또는 후측롤러(130)와 축결합되어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측롤러(110) 또는 후측롤러(130)를 정역회전시켜 상기 펠트부재(150)를 정역회전시키는 구동모터(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작업자는 상기 이송펠트(10)의 펠트부재(150)의 전측에 닥나무, 뽕나무 등을포함한 상기 나무(3)를 직접 안착시켜 상기 이송펠트(10)로 닥나무, 뽕나무 등을 포함한 상기 나무(3)를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이송펠트(10)의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상기 펠트부재(150)가 정역회전할 시 상기 이송펠트(10)의 펠트부재(150)의 전측에 안착된 상기 나무(3)는 상기 이송펠트(10)의 펠트부재(150)의 후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도 3의 화살표 참조.)
상기 펠트부재(150)가 그물망형태이기 때문에 후술할 분사부(50)가 상기 이송펠트(10)의 펠트부재(150)로 연속적으로 공급된 상기 나무(3)에 고압증기를 분사할 시 고압증기에 포함된 수분은 물론 상기 나무(3)의 목질부(30)로부터 분리된 흑피, 청피 및 백피를 포함한 표피(31)가 상기 이송펠트(10)의 펠트부재(170)의 하부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 2는 이송펠트(10)의 상측에 가이드부(20)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가이드부(20)의 내측에 나무(3)가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송펠트(10)의 펠트부재(150)의 상측방향에는 상기 이송펠트(10)로 공급된 상기 나무(3)를 내측으로 수용하는 가이드부(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20)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분사부(50)의 전방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송펠트(10)의 펠트부재(150)의 상측방향에 구비되는 전측 가이드부(210)와; 상기 분사부(50)의 후방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송펠트(10)의 펠트부재(150)의 상측방향에 구비되는 후측 가이드부(2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 가이드부(210)는 전측 지지바(211)와 전측 가이드판(21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 지지바(211)는 상기 분사부(50)의 전방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이송펠트(10)의 펠트부재(150)의 상측방향에 좌우방향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측 가이드판(213)은 하단부가 상기 이송펠트(10)의 펠트부재(150)의 상부면과 접하지 않도록 상기 전측 지지바(211)의 하부면에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 가이드판(213)은 상기 전측 지지바(211)를 따라 좌우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측 가이드부(230)는 후측 지지바(231)와 후측 가이드판(23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 지지바(231)는 상기 분사부(50)의 후방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이송펠트(10)의 펠트부재(150)의 상측방향에 좌우방향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측 가이드판(233)은 하단부가 상기 이송펠트(10)의 펠트부재(150)의 상부면과 접하지 않도록 상기 후측 지지바(231)의 하부면에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 가이드판(233)은 상기 후측 지지바(231)를 따라 좌우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측 가이드판(213) 사이마다 형성되는 전측, 후측 및 하측이 개방된 상태인 전측 수용홈(213a)내와 상기 후측 가이드판(233) 사이마다 형성되는 전측, 후측 및 하측이 개방된 상태인 후측 수용홈(233a)내에 상기 나무(3)가 각각 수용될 수 있다.
도 4는 가이드부(20)의 하부에 브러시롤러(22)가 축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20)의 하부에는 외주연에 브러시(24)가 구비된 브러시롤러(22)가 축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브러시롤러(22)는 상기 가이드부(20)의 전측 가이드부(210)의 전측 지지판(211)의 하부에 축결합되는 전측 브러시롤러(221)와; 상기 가이드부(20)의 후측 가이드부(230)의 후측 가이드부(230)의 후측 지지바(231)의 하부에 축결합되는 후측 브러시롤러(2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펠트(10)의 상측방향에 구비되는 상기 가이드부(20)의 내측에 상기 이송펠트(10)로 공급된 상기 나무(3)가 수용되거나, 상기 가이드부(20)의 하부에 축결합된 상기 브러시롤러(22)의 브러시(24)가 상기 이송펠트(10)로 공급된 상기 나무(3)와 접할 경우 상기 나무(3)가 고압증기에 의해 유동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5는 고압증기를 분사하는 분사부(5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앞서 상술한 상기 분사부(50)는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송펠트(10)의 펠트부재(150)의 상측방향, 특히 상기 전측 가이드부(210)와 후측 가이드부(23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송펠트(10)의 펠트부재(150)의 상측방향에 수평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펠트(10)의 펠트부재(150)로 연속적으로 공급된 상기 나무(3)에 고압증기를 분사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분사부(50)가 상기 이송펠트(10)의 펠트부재(1150)로 연속적으로 공급된 상기 나무(3)에 고압증기를 분사하고자 할 경우,
상기 분사부(5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압공기발생부재(520)와 스팀발생부재(540) 및 분사관(5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압공기발생부재(520)는 공기압축기(compressor, 521)와, 상기 공기압축기(521)와 연통되도록 상기 공기압축기(521)의 일측면에 타단부가 기밀하게 연결고정되는 연결관(5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팀발생부재(540)는 탱크(541), 히터(미도시) 및 연결관(545)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탱크(541)의 내부에는 물 등이 일정높이로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히터(미도시)는 상기 탱크(541)의 내부에 수용된 물을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가열하여 상기 탱크(541)의 내부에 스팀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관(545)의 타단부는 상기 탱크(541)와 연통되도록 상기 탱크(541)의 일측면 상측에 기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545)의 일단부는 상기 분사관(560)과 연통되도록 상기 분사관(560)의 상부면 중심부에 기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압공기발생부재(520)의 연결관(523)의 일단부는 상기 스팀발생부재(540)의 연결관(545)과 연통되도록 상기 스팀발생부재(540)의 연결관(545) 타단부 상부면에 기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분사관(560)은 상기 이송펠트(10)의 펠트부재(150)의 상측방향, 특히 상기 전측 가이드부(210)와 후측 가이드부(23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송펠트(10)의 펠트부재(150)의 상측방향에 좌우방향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사관(560)의 하부면에는 상기 이송펠트(10)의 펠트부재(150)로 연속적으로 공급된 상기 나무(3)에 고압증기를 분사하는 분사노즐(561)이 상기 분사관(560)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고압공기발생부재(520)와 상기 스팀발생부재(540)는 상기 연결관(523, 545)를 통해 상기 분사관(560)으로 고압의 공기와 함께 스팀 즉, 증기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이송펠트(10)상에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닥나무, 뽕나무 등을 포함한 상기 나무(3)에 고압증기를 분사하여 상기 나무(3)의 목질부(30)에서 흑피, 청피 및 백피를 포함한 표피(31)를 기계적으로 보다 더욱 간편하게 벗겨 분리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6 및 도 7은 표피(31)를 분리하고자 하는 나무(3)를 공급받는 드럼(11)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나무(3)를 드럼(11)내로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드럼(11)내에 공급되는 상기 나무(3)에 고압증기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드럼(11)의 전측과 후측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드럼(11)의 내경크기는 전측에서 후측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커질 수 있다.
상기 드럼(11)은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드럼(11)을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90)의 상측에 정역회전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드럼(11)은 상기 지지프레임(90)의 상부면에 수평구비되는 구동부재(100)에 의해 정역회전할 수 있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드럼(11)의 전측에는 작업자에 의해 상부면에 안착된 상기 나무(3)를 상기 드럼(11)내로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공지된 컨베이어(12)가 전후방향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11)의 전단부외주연, 중심부 외주연 및 후단부 외주연에는 환형의 돌출부(112, 114, 116)가 각각 일정간격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럼(11)의 중심부 외주연에 형성된 환형의 상기 돌출부(114)의 외주연에는 기어치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90)은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판(910)과 롤러(9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910)의 상부면 각 모서리에는 상기 롤러(930)가 각각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롤러(930)의 중심부에 상기 롤러(930)의 내측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되는 환형의 삽입홈(931)내에는 상기 드럼(11)의 전단부 외주연과 후단부 외주연에 각각 수직형성된 환형의 돌출부(112, 116)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100)는 구동모터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판(910)의 상부면 후측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전후방향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100)의 구동축(101)에는 상기 드럼(11)의 중심부 외주연에 형성된 환형의 상기 돌출부(114)의 외주연에 형성된 기어치와 치합되는 기어(103)가 수직으로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구동부재(100)의 구동축(101)이 정역회전할 시 상기 기어(103)와 상기 드럼(11)의 중심부 외주연에 형성된 환형의 상기 돌출부(114)의 외주연에 형성된 기어치를 통해 상기 드럼(11)이 정역회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드럼(11)이 정역회전하는 과정 중에 상기 드럼(11)내로 연속적으로 공급된 상기 나무(3)는 상기 드럼(11)의 하부 내주연에 상기 드럼(11)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는 경사면(13)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드럼(11)의 후측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드럼(11) 내부 상측에는 상기 드럼(11)내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상기 나무(3)에 고압증기를 분사하는 상기 분사부(50)가 전후방향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사부(50)는 앞서 상술하였음으로, 이하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드럼(11)내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닥나무, 뽕나무 등을 포함한 상기 나무(3)에 고압증기를 분사하여 상기 나무(3)의 목질부(30)에서 흑피, 청피 및 백피를 포함한 표피(31)를 기계적으로 보다 더더욱 간편하게 벗겨 분리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닥나무, 뽕나무 등을 포함한 상기 나무(3)에 고압증기를 분사하여 상기 나무(3)의 목질부(30)에서 흑피, 청피 및 백피를 포함한 표피(31)를 자동으로 기계적으로 간편하게 벗겨 분리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종래처럼 상기 나무(3)의 목질부(30)에서 흑피, 청피 및 백피를 포함한 표피(31)를 작업자가 직접 수동으로 벗겨낼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지의 대량생산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3; 나무, 30; 목질부,
31; 표피, 10; 이송펠트,
11; 드럼.

Claims (8)

  1. 닥나무, 뽕나무를 포함한 나무(3)에 고압증기를 분사하여 나무(3)의 표피(31)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나무(3)를 이송펠트(10)로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펠트(10)상에 공급되는 상기 나무(3)에 고압증기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의 표피 분리방법.
  2. 닥나무, 뽕나무를 포함한 나무(3)에 고압증기를 분사하여 나무(3)의 표피(31)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나무(3)를 드럼(11)내로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가 구비되고,
    상기 드럼(11)내에 공급되는 상기 나무(3)에 고압증기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의 표피 분리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나무(3)를 물에 불린 후 고압증기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의 표피 분리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나무(3)를 증자한 후 고압증기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의 표피 분리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펠트(10)의 상측에 상기 이송펠트(10)로 공급된 상기 나무(3)를 수용하는 가이드부(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의 표피 분리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20)의 하부에 브러시롤러(22)가 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의 표피 분리방법.
  7. 삭제
  8. 삭제
KR1020100088642A 2010-09-10 2010-09-10 나무의 표피 분리방법 KR101298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642A KR101298555B1 (ko) 2010-09-10 2010-09-10 나무의 표피 분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642A KR101298555B1 (ko) 2010-09-10 2010-09-10 나무의 표피 분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6644A KR20120026644A (ko) 2012-03-20
KR101298555B1 true KR101298555B1 (ko) 2013-08-22

Family

ID=46132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8642A KR101298555B1 (ko) 2010-09-10 2010-09-10 나무의 표피 분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85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6787B1 (ko) * 2021-10-26 2023-12-21 장성우 닥나무 박피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1997A (ko) * 1995-06-04 1999-03-25 슈베르트 헬무트 고목처리방법
JP2001009807A (ja) * 1999-06-25 2001-01-16 Nakamura Giken:Kk 杉の木の皮むき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1997A (ko) * 1995-06-04 1999-03-25 슈베르트 헬무트 고목처리방법
JP2001009807A (ja) * 1999-06-25 2001-01-16 Nakamura Giken:Kk 杉の木の皮む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6644A (ko) 2012-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665681U (zh) 一种课桌椅用纤维板生产线
KR101298555B1 (ko) 나무의 표피 분리방법
CN101342714A (zh) 均质且能形成自然纹理的竹胶合板的加工方法
CN205233452U (zh) 一种消除无纸滤棒布带压痕的装置
CN102166774A (zh) 一种具有黑白间隔条纹的竹质包装材料及其加工方法
CN101861931A (zh) 一种猪皮狗咬胶的加工方法
CN107536065A (zh) 一种大型山楂去核设备
CN104562220B (zh) 一种竹纤维连续煮练脱胶工艺及其设备
CN101391433A (zh) 竹纤维束重组单板及其生产方法
CN206911827U (zh) 一种全自动锯片清洗干燥刷油一体机
CN102008207B (zh) 一种竹碗及生产方法
CN113146776A (zh) 一种竹条弯曲成型设备
CN211167754U (zh) 一种编织篮
CN211517811U (zh) 一种改进的竹条浸胶装置
CN201456162U (zh) 竹纤维束重组单板
CN210103988U (zh) 一种羊皮鞋材表皮喷涂加工用输送喷涂装置
KR101303696B1 (ko) 닥나무박피용노즐어셈블리
CN216533648U (zh) 一种受热均匀的智能控温玉米蒸箱
CN114953084B (zh) 一种桉树纤维的制备方法
CN213756902U (zh) 一种聚氨酯鞋底自动生产线
CN213428738U (zh) 一种珍珠加工增白剂添加装置
CN215050863U (zh) 一种压水剥毛装置
CN110725011B (zh) 一种竹纤维制备工艺
CN106393315A (zh) 一种采用竹壳生产环保型包装盒的方法
CN106393326A (zh) 一种农业废弃物回收再利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