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8007B1 - 신호 재밍 방법 - Google Patents

신호 재밍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8007B1
KR101298007B1 KR1020120054252A KR20120054252A KR101298007B1 KR 101298007 B1 KR101298007 B1 KR 101298007B1 KR 1020120054252 A KR1020120054252 A KR 1020120054252A KR 20120054252 A KR20120054252 A KR 20120054252A KR 101298007 B1 KR101298007 B1 KR 101298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mming
signal
phase
time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4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0830A (ko
Inventor
임태환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4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8007B1/ko
Publication of KR20130010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0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8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8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40Jamming having variable characteristics
    • H04K3/42Jamming having variable characteristics characterized by the control of the jamming frequency or wave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40Jamming having variable characteristics
    • H04K3/41Jamming having variable characteristics characterized by the control of the jamming activation or deactivation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40Jamming having variable characteristics
    • H04K3/46Jamming having variable characteristics characterized in that the jamming signal is produced by retransmitting a received signal, after delay or 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60Jamming involving special techniques
    • H04K3/62Jamming involving special techniques by exposing communication, processing or storing systems to electromagnetic wave radiation, e.g. causing disturbance, disruption or damage of electronic circuits, or causing external injection of faults in the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 재밍 기능이 있는 주파수 도약 신호를 전파 교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 재밍은 주파수 추적 시간, 추적 정확도, 다중 신호 추적 등에서 한계를 가졌으나, 본 발명 재밍은 추적 시간이 필요 없고 1~50% 신호 수집 저장 후 잡음을 섞거나 반복 송신 가능하다. 또한, 수백 ns 이하로 저장 후 바로 송신 가능하여 짧은 재밍 반응 시간을 가진다. 또한, 잡음 대역폭을 정밀하게 조정 가능하여 재밍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일정 주파수 대역과 일정 동적 범위에서 다중 재밍이 가능하다. 또한, 대역 내 신호를 모두 저장 후 동시에 재밍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신호 재밍 방법 {Method for jamming signal}
본 발명은 신호를 전파 교란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항 재밍(anti-jamming) 기능이 있는 주파수 도약 신호를 전파 교란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신호를 전파 교란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재밍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일반적인 재밍 방법으로 전대역 재밍과 부분대역 재밍이 있다. 그러나, 전대역 재밍이나 부분대역 재밍은 충분한 재밍대 신호 세기 비율을 만족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항 재밍 기능이 있는 주파수 도약 신호에 대해서는 전대역 재밍과 부분대역 재밍의 재밍 효율이 매우 낮다. 그래서, 주파수 도약 신호를 전파 교란할 때에는 추적 재밍이 이용되고 있다.
추적 재밍은 전파 교란시키려는 신호를 고속으로 추적하여 그 주파수에 재밍을 해야 재밍 효과가 증대된다. 그런데, 전파 교란 대상 신호를 추적하기 위해 신호 존재 대역을 찾는 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더욱이, 추적 재밍에서 신호가 짧은 시간에 도약할 경우 재밍 비율이 짧아져 재밍 효과가 감소하거나 무효가 되기 때문에, 초고속 도약 신호나 다중 신호의 경우 추적 재밍을 이용하더라도 해당 신호를 전파 교란시키는 것이 매우 어렵다. 초고속 도약 신호와 다중 신호의 경우 새로운 적응형 추적 재밍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한편, 추적 재밍은 신호를 추적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해야 하기 때문에 지출 비용이 많아지는 단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재밍 대상 신호가 포함된 소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들의 위상값을 저장한 뒤 이 위상값을 기초로 신호를 전파 교란하는 신호 재밍 방법을 제안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재밍 대상 신호를 탐색하는 재밍 대상 신호 탐색부; 탐색된 재밍 대상 신호로부터 위상 정보를 추출하여 미리 정해진 제1 시간 이내에 추출된 위상 정보를 저장하는 위상 정보 처리부; 저장된 위상 정보에 상기 탐색과 관련된 탐색 조건 정보를 기초로 한 잡음 정보를 반영시키는 잡음 정보 처리부; 및 상기 잡음 정보가 반영된 위상 정보를 기초로 한 재밍 신호를 미리 정해진 제2 시간 동안 출력하는 재밍 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재밍 장치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재밍 대상 신호 탐색부는 재밍 필요 여부에 따라 다중 주파수 대역에서 재밍 범위를 결정하는 재밍 범위 결정부; 및 미리 정해진 순시 주파수 대역폭을 단위값으로 상기 재밍 범위에서 상기 재밍 대상 신호를 탐색하며, 상기 탐색 때에 저주파 방향으로의 제1 탐색과 고주파 방향으로의 제2 탐색을 번갈아 수행하는 재밍 범위 탐색부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호 재밍 장치는 상기 탐색된 재밍 대상 신호의 주파수 값을 포함하는 재밍 주파수 대역을 상기 재밍 범위 내에서 결정하는 재밍 주파수 대역 결정부; 및 상기 재밍 범위에서 상기 재밍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나머지 대역을 디지털 필터링시키는 디지털 필터링부를 더욱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호 재밍 장치는 신호 저장과 신호 재밍에 대한 듀티비(duty ratio)를 이용하여 상기 재밍 대상 신호를 재밍하는 데에 부여된 전체 재밍 시간 내에서 상기 제1 시간을 결정하거나, 상기 전체 재밍 시간에서 상기 제1 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을 상기 제2 시간으로 결정하는 시간 결정부를 더욱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상 정보 처리부는 상기 저장된 위상 정보를 스크램블 기준에 따라 분리 출력하며, 상기 잡음 정보 처리부는 상기 탐색 조건 정보로 순시 주파수 대역폭을 이용하고 난수 발생율로 상기 순시 주파수 대역폭의 역수값을 이용하여 상기 난수 발생율에 따른 잡음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는 잡음 정보 생성부; 및 분리 출력된 위상 정보에 생성된 잡음 정보를 실시간으로 반영시키는 잡음 정보 반영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재밍 신호 출력부는 상기 잡음 정보가 반영된 위상 정보로부터 정합 위상 신호와 직교 위상 신호를 추출하는 위상 신호 추출부; 추출된 정합 위상 신호와 직교 위상 신호를 상기 재밍 대상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 신호로 변환시키는 위상 신호 변환부; 및 대역 변환된 정합 위상 신호와 직교 위상 신호를 상기 재밍 신호로 출력하는 위상 신호 출력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재밍 대상 신호를 탐색하는 재밍 대상 신호 탐색 단계; 탐색된 재밍 대상 신호로부터 위상 정보를 추출하여 미리 정해진 제1 시간 이내에 추출된 위상 정보를 저장하는 위상 정보 처리 단계; 저장된 위상 정보에 상기 탐색과 관련된 탐색 조건 정보를 기초로 한 잡음 정보를 반영시키는 잡음 정보 처리 단계; 및 상기 잡음 정보가 반영된 위상 정보를 기초로 한 재밍 신호를 미리 정해진 제2 시간 동안 출력하는 재밍 신호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재밍 방법을 제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재밍 대상 신호 탐색 단계는 재밍 필요 여부에 따라 다중 주파수 대역에서 재밍 범위를 결정하는 재밍 범위 결정 단계; 및 미리 정해진 순시 주파수 대역폭을 단위값으로 상기 재밍 범위에서 상기 재밍 대상 신호를 탐색하며, 상기 탐색 때에 저주파 방향으로의 제1 탐색과 고주파 방향으로의 제2 탐색을 번갈아 수행하는 재밍 범위 탐색 단계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호 재밍 방법은 상기 탐색된 재밍 대상 신호의 주파수 값을 포함하는 재밍 주파수 대역을 상기 재밍 범위 내에서 결정하는 재밍 주파수 대역 결정 단계; 및 상기 재밍 범위에서 상기 재밍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나머지 대역을 디지털 필터링시키는 디지털 필터링 단계를 더욱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호 재밍 방법은 신호 저장과 신호 재밍에 대한 듀티비(duty ratio)를 이용하여 상기 재밍 대상 신호를 재밍하는 데에 부여된 전체 재밍 시간 내에서 상기 제1 시간을 결정하거나, 상기 전체 재밍 시간에서 상기 제1 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을 상기 제2 시간으로 결정하는 시간 결정 단계를 더욱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상 정보 처리 단계는 상기 저장된 위상 정보를 스크램블 기준에 따라 분리 출력하며, 상기 잡음 정보 처리 단계는 상기 탐색 조건 정보로 순시 주파수 대역폭을 이용하고 난수 발생율로 상기 순시 주파수 대역폭의 역수값을 이용하여 상기 난수 발생율에 따른 잡음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는 잡음 정보 생성 단계; 및 분리 출력된 위상 정보에 생성된 잡음 정보를 실시간으로 반영시키는 잡음 정보 반영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재밍 신호 출력 단계는 상기 잡음 정보가 반영된 위상 정보로부터 정합 위상 신호와 직교 위상 신호를 추출하는 위상 신호 추출 단계; 추출된 정합 위상 신호와 직교 위상 신호를 상기 재밍 대상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 신호로 변환시키는 위상 신호 변환 단계; 및 대역 변환된 정합 위상 신호와 직교 위상 신호를 상기 재밍 신호로 출력하는 위상 신호 출력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재밍 대상 신호가 포함된 소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들의 위상값을 저장한 뒤 이 위상값을 기초로 신호를 전파 교란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초고속 도약 신호나 다중 신호의 재밍이 가능해진다. 둘째, 재밍 신호의 밀도를 기존 재밍 방법보다 더욱 높일 수 있다. 세째, 신호 추적 시스템을 구축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시스템을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비용과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 재밍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신호 재밍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부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신호 재밍 장치에 부가될 수 있는 구성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기존 재밍과 본 발명 재밍을 비교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재밍 장치의 일실시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신호 재밍 장치 예시에 의한 신호 재밍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입력 신호와 재밍 출력 신호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8은 재밍 신호의 주파수에 대한 수신부의 신호 세기 검출 결과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 재밍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 재밍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신호 재밍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부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신호 재밍 장치에 부가될 수 있는 구성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재밍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에 따르면, 신호 재밍 장치(100)는 재밍 대상 신호 탐색부(110), 위상 정보 처리부(120), 잡음 정보 처리부(130), 재밍 신호 출력부(140), 전원부(150) 및 주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재밍 대상 신호 탐색부(110)는 재밍 대상 신호를 탐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재밍 대상 신호 탐색부(110)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밍 범위 결정부(111)와 재밍 범위 탐색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재밍 범위 결정부(111)는 재밍 필요 여부에 따라 다중 주파수 대역에서 재밍 범위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재밍 범위 결정부는 입력값을 기초로 재밍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재밍 범위 탐색부(112)는 미리 정해진 순시 주파수 대역폭을 단위값으로 재밍 범위에서 재밍 대상 신호를 탐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재밍 범위 탐색부(112)는 재밍 대상 신호 탐색 때에 저주파 방향으로의 제1 탐색과 고주파 방향으로의 제2 탐색을 번갈아 수행한다. 재밍 대상 신호 탐색부(110)는 재밍 범위 결정부(111)와 재밍 범위 탐색부(112)를 통해 재밍 범위 내 다중 신호 재밍이 가능해진다.
위상 정보 처리부(120)는 탐색된 재밍 대상 신호로부터 위상 정보를 추출하여 미리 정해진 제1 시간 이내에 추출된 위상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위상 정보 처리부(120)는 저장된 위상 정보를 스크램블 기준에 따라 분리 출력하는 위상 정보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잡음 정보 처리부(130)는 저장된 위상 정보에 재밍 대상 신호 탐색과 관련된 탐색 조건 정보를 기초로 한 잡음 정보를 반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잡음 정보 처리부(130)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잡음 정보 생성부(131) 및 잡음 정보 반영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잡음 정보 생성부(131)는 탐색 조건 정보로 순시 주파수 대역폭을 이용하고 난수 발생율로 순시 주파수 대역폭의 역수값을 이용하여 난수 발생율에 따른 잡음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잡음 정보 반영부(132)는 분리 출력된 위상 정보에 생성된 잡음 정보를 실시간으로 반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재밍 신호 출력부(140)는 잡음 정보가 반영된 위상 정보를 기초로 한 재밍 신호를 미리 정해진 제2 시간 동안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재밍 신호 출력부(140)는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상 정보 추출부(141), 위상 신호 변환부(142) 및 위상 신호 출력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위상 신호 추출부(141)는 잡음 정보가 반영된 위상 정보로부터 정합 위상 신호와 직교 위상 신호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위상 신호 변환부(142)는 추출된 정합 위상 신호와 직교 위상 신호를 재밍 대상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 신호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위상 신호 출력부(143)는 대역 변환된 정합 위상 신호와 직교 위상 신호를 재밍 신호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원부(150)는 신호 재밍 장치(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주제어부(160)는 신호 재밍 장치(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부의 전체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신호 재밍 장치(100)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밍 주파수 대역 결정부(170)와 디지털 필터링부(180)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재밍 주파수 대역 결정부(170)는 탐색된 재밍 대상 신호의 주파수 값을 포함하는 재밍 주파수 대역을 재밍 범위 내에서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디지털 필터링부(180)는 재밍 범위에서 재밍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나머지 대역을 디지털 필터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신호 재밍 장치(100)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결정부(190)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시간 결정부(190)는 신호 저장과 신호 재밍에 대한 듀티비(duty ratio)를 이용하여 재밍 대상 신호를 재밍하는 데에 부여된 전체 재밍 시간 내에서 제1 시간을 결정하거나, 전체 재밍 시간에서 제1 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을 제2 시간으로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기존 추적 재밍은 주파수 추적 시간, 추적 정확도, 다중 신호 추적 등에서 한계를 가졌다. 주파수를 추적하는 데에 보통 수 ms가 소요되어 전파 교란시키려는 신호와 잡음 신호 간에 겹치는 시간이 적어져 재밍 효과가 감소되었으며, 초고속 주파수 도약 신호의 경우 재밍 효과가 거의 무시되었다. 또한, 한번에 하나의 신호만 추적하는 것이 가능하여 다중 신호를 추적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많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재밍 장치(100)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추적 시간이 필요 없고 1~50% 신호 수집 저장 후 잡음을 섞거나 반복 송신 가능하다. 기존에 추적이 필요한 이유는 입력 신호의 주파수를 측정해야 재밍 주파수의 센터 신호를 설정해서 특정 대역폭의 잡음과 함께 송신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신호를 통째로 즉, 수신 대역 범위 f1(재밍 주파수 상한 범위) ~ f2(재밍 주파수 하한 범위) 전체 신호들의 통합 위상을 저장하고, 그 위상이 주파수 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잡음의 위상을 저장된 위상에 가감산만 하면 원신호를 중심으로 하는 특정 잡음 대역폭을 가지는 재밍 신호가 자동으로 생성된다. 1~50%는 저장 듀티비(duty ratio)로 '저장 시간÷(재밍 시간+저장 시간)'을 의미한다. 저장하는 구간은 재밍을 못하므로 짧게 저장하는 것이 좋다. 거꾸로, 긴 시간동안 재밍을 할 수 있어 전체 시간 동안 재밍 에너지가 높게 된다. 최소 재밍 효과가 있는 재밍 듀티비가 실험적으로 수십% 이상으로 알려져 있다.
둘째, 수백 ns 이하로 저장 후 바로 송신 가능하여 짧은 재밍 반응 시간을 가진다. 광대역 디지타이저를 활용한 위상 저장을 짧게(수백 ns) 저장 후, 실시간 생성되는 잡음의 위상 성분을 저장된 위상 성분과 실시간으로 가감산하여 출력하는 것이 재밍을 출력하는 것이 되므로 바로 송신 가능하다. 기존에는 추적된 주파수를 송신용 출력 주파수로 설정(마이크로 컨트롤러로 통신, 제어)해야 하는 시간이 필요하다.
세째, 잡음 대역폭을 정밀하게 조정 가능하여 재밍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기존은 추적된 주파수의 정확도가 예를 들어 수십kHz 정도 된다면, 재밍 주파수 대역폭을 그보다 2배 이상을 해야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주파수 정확도가 저장된 위상 신호에 내재되어 있어서 필요한 잡음 대역폭을 Hz 단위 정도로 설정할 수 있다. 이것은 재밍 효과 측정 지수인 신호 세기대 잡음 세기(J/S) 수식에 BWs/BWj(신호 대역폭/잡음 대역폭) 항목이 있는데, 이 항목을 1에 가까이 설정 가능하다는 뜻이어서 재밍 효과를 높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네째, 일정 주파수 대역과 일정 동적 범위에서 다중 재밍이 가능하다.
다섯째, 대역 내 신호를 모두 저장 후 동시에 재밍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전술한 바 즉, 본 발명 재밍이 기존 추적 재밍에 대해 가지는 차이점을 정리해 보면 다음 표 1과 같다. 표 1에서 기존 추적 재밍은 도 4의 (a)를 기초로 한 설명이며, 본 발명 재밍은 도 4의 (b)와 (c)를 기초로 한 설명이다. 도 4는 기존 재밍과 본 발명 재밍을 비교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4의 (b)는 재밍 전을 도시한 것이며, (c)는 재밍 후를 도시한 것이다.
기존 추적 재밍 본 발명 재밍
- 재밍 효과 있는 주파수 유지 시간(붉은색 표시)이 수 ㎳ 정도.
- 표적 신호 추적 시간이 길고(1~수 ㎳), 추적 동안은 재밍이 안됨.
- 추적 후 다음 주파수 추적 때까지 재밍. 재밍 효과를 위해 주파수 유지 기간의 20~50%를 재밍해야 함.
- 수신 대역폭 내에서 추적이 실패할 수 있어 재밍 효과가 없을 수 있음.
- 다중 추적이 어려움.
- 동시 신호 재밍이 안됨.
- 추적 주파수 정확도가 나쁘고, 그보다 넓게 재밍(회색 표시)해야 하므로 효과(J/S)가 저하됨.
- 재밍 효과 있는 주파수 유지 시간(푸른색 표시)이 수 ㎲ 정도로 짧음.
- 신호 저장 동안 재밍이 안되지만, 표적 신호 저장 시간이 매우 짧음(수 ㎲),
- 저장 후 다음 저장까지 재밍. 동일 표적 신호 재밍에서 재밍 시간이 99% 까지도 가능해 재밍 효과가 좋음.
- 수신 대역폭 전부를 저장해 재밍하므로 실패 확율이 없음.
- 추적 대신 전대역 위상 저장을 사용.
- 동시 신호 재밍이 가능.
- 추적없이 원신호의 대역폭과 비슷한 재밍 대역폭 같이 정밀하게 대역폭을 만들 수 있어 효과(J/S) 좋음.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재밍 장치를 일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재밍 장치의 일실시 예시도이다. 이하 설명은 도 5를 참조한다.
도 5에 따르면,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재밍 시스템(500)은 전파 수신부(501), 수신 주파수 변환부(502), 디지타이저부(503), 위상 추출부(504), 세기 추출부(505), 신호 검출부(506), 저장 및 출력 제어부(507), 위상 저장부(508), 잡음 대역 제어부(509), 난수 발생부(510), 위상 가산부(511), IQ 변환부(512), 아날로그 변환부(513), 송신 주파수 변환부(514), 고출력 증폭부(515), 전파 형성부(516), 클럭 발생부(517), LO 발생부(518) 및 시스템 제어부(519)를 포함한다.
전파 수신부(501)는 전파를 수신하는 것으로서, 공간 전파를 RF로 변환하는 안테나부에 더하여 전력 제한기, 초단 증폭부, 필터 등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재밍 대상 신호 탐색부(110)는 이 전파 수신부(501)에 구비된다.
S=Aei (2π Ft +ψ)
상기에서, S는 재밍 대상 목표 신호로 진폭 A, 주파수 F, 시간 t, 위상 ψ로 구성된다.
수신 주파수 변환부(502)는 수신 신호를 디지털 샘플링 가능한 주파수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디지타이저부(503)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진폭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디지타이저부(503)는 도 3 (a)의 디지털 필터링부(180)를 구현한 것이다.
디지타이저부(503)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다음과 같다.
I(n)=A(n)cos[2πFin+ψ]
Q(n)=A(n)sin[2πFin+ψ]
I(n)은 n번째 샘플링된 신호의 cos 성분으로 정합 위상 신호이고, Q(n)은 n번째 샘플링된 신호의 sin 성분으로 직교 위상 신호이다.
세기 추출부(505)는 디지털 신호의 순시 세기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신호 검출부(506)는 문턱값 이상의 신호 존재 여부를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세기 추출부(505)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는 다음과 같다.
A2(n)=I2(n)+Q2(n)
신호 검출부(506)는 샘플링된 I 제곱과 Q 제곱인 A 제곱값을 설정된 기준 문턱값과 비교하여 신호의 존재 유무를 정한다. 이를 수학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A2(n) > 문턱값
위상 추출부(504)는 디지털 신호의 순시 위상을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위상 저장부(508)는 신호의 위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저장 및 출력 제어부(507)는 검출부터 저장을 제어하고, 출력 순서를 섞는 스크램블부를 포함한다. 위상 추출부(504)와 위상 저장부(508)를 결합 구성한 것이 도 1의 위상 정보 처리부(120)이다. 스크램블부는 위상 정보 처리부(120)에 포함되는 위상 정보 출력부를 구현한 것이다.
위상 출력부(504)에 의해 출력되는 순시 위상은 다음과 같다.
ψ(n)=tan-1[Q(n)/I(n)]
n번째 위상 ψ(n)은 n번째 샘플 Q(n), I(n)의 arctan (tan-1) 값으로 구한다. 연산은 룩업 테이블을 사용하여 변환 시간을 빠르게 할 수 있다. 위상 저장부(508)에 저장되는 위상은 ψ(n)이다.
난수 발생부(510)는 대역 제한 유니폼 난수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잡음 대역 제어부(509)는 이러한 난수 발생부(510)의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위상 가산부(511)는 원 대역 위상 신호와 잡음 위상 신호를 가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ψ(n)+ψ'(n)). ψ(n)은 원 대역 위상 신호를 의미하며, ψ'(n)은 잡음 위상 신호를 의미한다. 난수 위상은 신호 위상 ψ과 구별하기 위해 ψ'라 표기하고, 두 위상값을 더한다. 난수 발생부(510)와 잡음 대역 제어부(509) 및 위상 가산부(511)를 결합 구성한 것이 도 1의 잡음 정보 처리부(130)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난수 발생부(510)는 도 2 (b)의 잡음 정보 생성부(131)를 구현한 것이며, 위상 가산부(511)는 도 2 (b)의 잡음 정보 반영부(132)를 구현한 것이다.
IQ 변환부(512)는 위상을 파형으로 바꾸는 롬테이블 방식의 것이다. IQ 변환부(512)는 도 2 (c)의 위상 신호 추출부(141)를 구현한 것이다. 아날로그 변환부(513)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것으로서, DAC 회로를 포함한다. 송신 주파수 변환부(514)는 필요 송신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송신 주파수 변환부(514)는 도 2 (c)의 위상 신호 변환부(142)를 구현한 것이다. 고출력 증폭부(515)는 열 발산부를 통해 출력을 증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파 형성부(516)는 필요한 방향으로 공간 전파를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파 형성부(516)는 도 2 (c)의 위상 신호 출력부(143)를 구현한 것이다. 도 1의 재밍 신호 출력부(140)는 IQ 변환부(512), 송신 주파수 변환부(514) 및 전파 형성부(516)를 결합 구성한 것이다.
전파 형성부(516)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는 다음과 같다.
Fn''=[△ψ(n)+△ψ'(n)]=Fn+Fn'
Fn''은 출력 순시 주파수를 의미한다. 이때, 순시 주파수 Fn은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Fn=[ψ(n)-ψ(n-1)]/2π
n번째 순시주파수 Fn은 두 샘플 위상 간의 차이[ψ(n)-ψ(n-1)]인 △ψ(n)에 비례한다. 이 관계는 주파수를 추출하지 않고도 위상만으로 주파수를 재밍할 수 있게 하는 근거가 된다. Fn과 잡음 주파수 Fn'의 합은 △ψ(n)+△ψ'(n)으로 표현되고, 신호에 잡음이 섞인 Fn''이 만들어진다.
클럭 발생부(517)는 디지털과 아날로그의 기준 시간을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LO 발생부(518)는 주파수 변환을 위한 것이다. 시스템 제어부(519)는 신호 재밍 시스템(500)의 송수신 운용을 결정하고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시스템 제어부(519)는 도 1의 주제어부(160)를 구현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신호 재밍 시스템(500)의 신호 재밍 제어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도 5의 신호 재밍 장치 예시에 의한 신호 재밍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설명은 도 6을 참조한다.
제1 단계는 재밍 대상 대역 탐색 단계(S601)이다. 이 단계에서는 필요한 전 고주파 대역 탐색이 수행된다. 재밍이 필요한 다중 주파수 대역을 순시 수신 가능 주파수 대역폭 만큼씩 아래 위로(저주파쪽, 고주파쪽) 훑어가며 재밍 대상 목표 신호의 존재 유무를 탐색한다. 제1 단계는 전파 수신부(501)에 의해 수행된다.
대상 신호가 존재하면(S602), 제2 단계로 수신 대역 설정 단계(S603)가 수행된다. 목표 신호가 존재하면 그에 맞는 하드웨어 수신 대역을 설정하게 되는데, 이때 재밍 대역은 최소값과 최대값에 의해 그 범위가 설정된다. 제2 단계는 수신 주파수 변환부(502)에 의해 수행된다. 이어서, 제3 단계로 디지털 필터 대역 설정 단계(S604)가 수행된다. 이 단계에서는 디지털 필터 설정으로 재밍 대역을 설정한다. 즉, 목표 신호를 디지타이징하여 디지털 필터링으로 미리 알고 있는 재밍 제외 대역을 억압한다. 제3 단계는 디지타이저부(503)에 의해 수행된다. 한편, 대상 신호가 존재하지 않으면(S602), 제1 단계를 다시 수행한다.
제4 단계에서는 위상을 메모리에 저장한다(S605). 이 단계에서는 목표 신호의 디지털 값들의 순시 위상을 추출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데, 위상 저장 시간이 초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별(S607)해 가면서 저장 기능을 수행한다. 제4 단계는 위상 추출부(504)와 위상 저장부(508)에 의해 수행된다. 위상 저장 시간 설정 단계(S606)에서는 수집대 교란 듀티비를 고려한 시간을 위상 저장 시간으로 설정한다. 이 단계에서는 수집과 교란의 듀티비를 제어한다.
위상 저장 시간이 초과되면, 제5 단계로 위상 출력 단계(S609)가 수행된다. 저장 시간이 끝나면, 메모리에 저장된 신호를 더 작은 단위 시간으로 쪼개어, 그 단위로 정해진 출력되는 순서를 참조하여 저장된 신호를 출력한다. 이것을 출력 스크램블 기능이라 한다. 출력 스크램블 설정 단계(S608)에서는 저장 신호 출력 스크램블 방법을 설정한다. 제5 단계와 출력 스크램블 설정 단계(S608)는 세기 추출부(505), 신호 검출부(506) 및 저장 및 출력 제어부(507)에 의해 수행된다.
제6 단계는 위상과 난수를 가감하는 단계(S611)이다. 이 단계에서는 목표 신호의 디지털 위상값과 잡음에 해당하는 위상으로 표현되는 난수값을 더한다. 이것이 신호에 잡음을 싣는 과정이며, 신호의 주파수는 위상값으로 내재화되어 있으므로 제안하는 주파수 적응형 재밍이 가능해진다. 음의 값을 난수로 사용하면, 감산기는 필요 없다. 제6 단계는 위상 가산부(511)에 의해 수행된다. 한편, 난수 발생율 설정 단계(S610)에서는 잡음 발생 대역용 난수 발생율을 제어한다. 이 단계에서는 정해진 대역폭의 역수에 해당하도록 난수값이 바뀌는 비율을 조절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난수 발생율 설정 단계(S610)는 잡음 대역 제어부(509)와 난수 발생부(510)에 의해 수행된다.
이후, 제7 단계로 고주파 변환 및 출력 단계(S612)가 수행된다. 이 단계에서는 가감된 위상값을 정합 위상 신호(I)와 직교 위상 신호(Q)로 추출하고, 다시 송신 대역으로 상향 변환하여 송신한다. 제7 단계는 IQ 변환부(512), 아날로그 변환부(513), 송신 주파수 변환부(514) 및 고출력 증폭부(515)에 의해 수행된다.
이후, 제8 단계로 전파 교란 단계(S614)가 수행된다. 이 단계에서는 교란 시간 초과 전까지 전파 교란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교란 시간은 수집대 교란 듀티비에 따라 결정된다. 제8 단계는 전파 형성부(516)에 의해 수행된다. 재밍 유무비 설정 단계(S613)는 미리 정해진 재밍 방법에 의해 수집대 교란 듀티비를 정해서 카운트하고 있다가, 송신 시간이 끝나면 다시 수신 및 저장 루틴으로 돌아가게 한다.
이상 설명한 신호 재밍 장치는 현 통신 전자전 재밍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제안된 적응형 다중 고속 도약 신호 교란 장비이다. 여기서, 한계는 초고속 주파수 호핑 신호를 추적 재밍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제안된 신호 재밍 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신호 저장을 1㎲ 동안 하고 다시 출력을 9㎲ 할 경우, 88% 이상의 재밍율을 가지고, 초당 십만 도약(호핑)의 주파수 변조 신호에 대해서도 추적 재밍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기존 50% 재밍율을 가지고 초당 최대 1000 호핑 대역폭을 가지는 시스템에 비해 100배 이상 빠른 추적 전파 교란을 가능케 한다. 즉, 재밍 대응 시간이 빠르다는 뜻이다. 추적 전파 교란은 일반 전파 교란에 비해 효과가 더 좋다고 알려져 있는데, 제안 시스템은 그보다 훨씬 좋은 효과를 가능하게 한다.
둘째, 일반적인 대역 재밍보다 추적 재밍이 효과가 좋지만, 다중 추적의 어려움과 다중 재밍 발생원의 어려움으로 대역 내 다중 재밍을 사용하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제안 시스템은 복잡한 추적 시스템 없이 대역 신호 저장과 그 신호에 적응적인 다중 주파수 잡음을 실어서 효과적인 다중 재밍을 가능하게 한다. 잡음을 실어 보내는 부분도 곱셈 부분이 없어 연산의 속도를 높일 수 있고 복잡도를 낮출 수 있다.
세째, 교란 기법이 원 대상 신호를 저장해서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대상 수신부의 대역폭에 최적화된 재밍이 가능해져, 대상 수신부 대역 외에서 버려지는 일반 대역 재밍에 비해 극대화된 재밍 에너지 밀도로 극대화된 효과(높은 J/S)가 가능하다. 기존 추적 재밍 기법에서도 주파수 추출 정확도가 좋지 않기 때문에 그 오차 이상의 잡음 대역폭을 사용하기 때문에 재밍 밀도가 떨어진다.
네째, 협대역 잡음을 믹서나 곱셈기를 사용하지 않고, 디지털 가·감산기를 사용하여 회로가 간단하고, 다양한 제어 방식을 적용하기 쉽다.
도 7은 입력 신호와 재밍 출력 신호를 비교한 도면이다. 이하 설명은 도 7을 참조한다.
(a)는 특정 주파수 입력 신호 그래프이다. (a)는 재밍 대상 타겟 신호의 짧은 일부 시간을 그린 것으로, 디지털 샘플을 했을 경우 1, 2, 3의 시간에 주파수를 나타낸다.
(b)는 (a) 입력 신호에 상응하는 원형 IQ 평면 표현을 도시한 것이다. 가로축은 I 신호 세기, 세로축은 Q 신호 세기를 나타내고, 1, 2, 3은 그 시간에 I와 Q의 세기를 나타낸다. 그 두 정보로 각 1, 2, 3 샘플 시각에 위상을 arctan(Q/I)로 구할 수 있고, 순시 주파수는 2와 1, 3과 2 사이의 위상차와 시간차에 의해 구할 수 있다.
(c)는 입력 주파수를 포함하는 특정 대역 잡음 출력 신호 그래프이다. (c)는 각 샘플 시각에 주파수가 흔들리며 잡음이 포함되어 제대로 된 원본 신호를 복원할 수 없게 될 것임을 나타낸다. 다른 표현으로 재밍이 되었다.
(d)는 (c) 재밍 출력 신호에 상응하는 원형 IQ 평면 표현을 도시한 것이다. 원래 입력 신호의 위치의 1, 2, 3이 위상 난수의 합에 의해 앞뒤로 바뀌어 1', 2', 3'로 바뀌게 됨을 도시하였고, 그렇게 위상 난수가 섞인 출력 신호는 동일 시간 차이에 위상이 2'-1'와 3'-2'로 바뀌어 결국 주파수가 바뀌게 되는 효과를 가진다. 위상 차이가 크면 주파수가 빠르고, 작으면 주파수가 느리게 되는 것인데, 입력 주파수를 기준으로 빨랐다 느렸다 하며 잡음이 실려, 대상 타겟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는 제대로 된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게 된다.
도 8은 재밍 신호의 주파수에 대한 수신부의 신호 세기 검출 결과 그래프이다. 도 8에 따르면, 입력 주파수를 포함하는 특정 대역 잡음 출력 신호는 수신기에서 진폭과 주파수가 랜덤하게 흔들리게 된다. 즉, 교란이 되는 것이다.
수신 중심 주파수를 기준으로 수신 대역 내에서 정보를 포함하게 송신과 수신이 되어야 하는 것이 재밍이 없는 상황이다. 본 도시는 재밍이 있는 상황으로, 수신기의 수신 대역보다 넓게 주파수가 이격이 되게 재밍이 되면, 수신 신호 세기 측면에서 신호가 강했다 약했다 하는 진폭 재밍의 효과를 가진다. 본 도시의 목적은 제안 시스템에 신호 세기를 삭제하고 위상만 저장하여, 위상 난수로 주파수만 랜덤하게 재밍했기 때문에, 주파수 재밍만 있어 효과가 적지 않을까 하는 이견에 대한 반대 근거로, 세기 재밍도 같이 이루어짐을 나타내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도 1의 신호 재밍 장치에 의한 신호 재밍 방법을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 재밍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설명은 도 9를 참조한다.
먼저, 재밍 대상 신호를 탐색한다(재밍 대상 신호 탐색 단계, S900). 재밍 대상 신호 탐색 단계(S900)는 재밍 범위 결정 단계(S901)와 재밍 범위 탐색 단계(S902)로 구체화될 수 있다. 재밍 범위 결정 단계(S901)는 재밍 필요 여부에 따라 다중 주파수 대역에서 재밍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재밍 범위 탐색 단계(S902)는 미리 정해진 순시 주파수 대역폭을 단위값으로 재밍 범위에서 재밍 대상 신호를 탐색하며, 재밍 대상 신호 탐색 때에 저주파 방향으로의 제1 탐색과 고주파 방향으로의 제2 탐색을 번갈아 수행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재밍 대상 신호 탐색 단계(S900) 이후, 탐색된 재밍 대상 신호로부터 위상 정보를 추출하여 미리 정해진 제1 시간 이내에 추출된 위상 정보를 저장한다(위상 정보 처리 단계, S910). 위상 정보 처리 단계(S910)는 저장된 위상 정보를 스크램블 기준에 따라 분리 출력한다.
위상 정보 처리 단계(S910) 이후, 저장된 위상 정보에 재밍 대상 신호 탐색과 관련된 탐색 조건 정보를 기초로 한 잡음 정보를 반영시킨다(잡음 정보 처리 단계, S920). 잡음 정보 처리 단계(S920)는 잡음 정보 생성 단계(S921)와 잡음 정보 반영 단계(S922)로 구체화될 수 있다. 잡음 정보 생성 단계(S921)는 탐색 조건 정보로 순시 주파수 대역폭을 이용하고 난수 발생율로 순시 주파수 대역폭의 역수값을 이용하여 난수 발생율에 따른 잡음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잡음 정보 반영 단계(S922)는 분리 출력된 위상 정보에 생성된 잡음 정보를 실시간으로 반영시키는 단계를 의미한다.
잡음 정보 처리 단계(S920) 이후, 잡음 정보가 반영된 위상 정보를 기초로 한 재밍 신호를 미리 정해진 제2 시간 동안 출력한다(재밍 신호 출력 단계, S930). 재밍 신호 출력 단계(S930)는 위상 신호 추출 단계, 위상 신호 변환 단계 및 위상 신호 출력 단계로 구체화될 수 있다. 위상 신호 추출 단계는 잡음 정보가 반영된 위상 정보로부터 정합 위상 신호와 직교 위상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위상 신호 변환 단계는 추출된 정합 위상 신호와 직교 위상 신호를 재밍 대상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 신호로 변환시키는 단계를 의미한다. 위상 신호 출력 단계는 대역 변환된 정합 위상 신호와 직교 위상 신호를 재밍 신호로 출력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신호 재밍 방법은 재밍 주파수 대역 결정 단계와 디지털 필터링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재밍 주파수 대역 결정 단계에서는 탐색된 재밍 대상 신호의 주파수 값을 포함하는 재밍 주파수 대역을 재밍 범위 내에서 결정한다. 디지털 필터링 단계에서는 재밍 범위에서 재밍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나머지 대역을 디지털 필터링시킨다. 재밍 주파수 대역 결정 단계와 디지털 필터링 단계는 재밍 대상 신호 탐색 단계(S900)와 위상 정보 처리 단계(S910) 사이에 수행된다.
이와 더불어, 신호 재밍 방법은 시간 결정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시간 결정 단계에서는 신호 저장과 신호 재밍에 대한 듀티비(duty ratio)를 이용하여 재밍 대상 신호를 재밍하는 데에 부여된 전체 재밍 시간 내에서 제1 시간을 결정하거나, 전체 재밍 시간에서 제1 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을 제2 시간으로 결정한다. 제1 시간을 결정할 경우의 시간 결정 단계는 위상 정보 처리 단계(S910) 이전이라면 어느 때라도 수행 가능하다. 제2 시간을 결정할 경우의 시간 결정 단계는 재밍 신호 출력 단계(S930) 이전이라면 어느 때라도 수행 가능하다. 시간 결정 단계가 제1 시간과 제2 시간을 모두 결정한다면 위상 정보 처리 단계(S910) 이전에 수행된다.
본 발명은 적응형 다중 고속 도약 신호 교란 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재밍 범위 내 다중 신호 재밍이 가능하며, 재밍 신호의 밀도를 높일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전파 교란기에 적용되거나 통신 전자전에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CDMA 통신의 교란에도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군용 전술 첨단 무선 통신 전파 방해 장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신호 재밍 장치 110 : 재밍 대상 신호 탐색부
111 : 재밍 범위 결정부 112 : 재밍 범위 탐색부
120 : 위상 정보 처리부 130 : 잡음 정보 처리부
131 : 잡음 정보 생성부 132 : 잡음 정보 반영부
140 : 재밍 신호 출력부 141 : 위상 신호 추출부
142 : 위상 신호 변환부 143 : 위상 신호 출력부
170 : 재밍 주파수 대역 결정부 180 : 디지털 필터링부
190 : 시간 결정부

Claims (5)

  1. 재밍 대상 신호를 탐색하는 단계로서, 재밍 필요 여부에 따라 다중 주파수 대역에서 재밍 범위를 결정하는 재밍 범위 결정 단계, 및 미리 정해진 순시 주파수 대역폭을 단위값으로 상기 재밍 범위에서 상기 재밍 대상 신호를 탐색하며 상기 재밍 대상 신호를 탐색할 때에 저주파 방향으로의 제1 탐색과 고주파 방향으로의 제2 탐색을 번갈아 수행하는 재밍 범위 탐색 단계를 포함하는 재밍 대상 신호 탐색 단계;
    탐색된 재밍 대상 신호로부터 위상 정보를 추출하여 미리 정해진 제1 시간 이내에 추출된 위상 정보를 저장하는 위상 정보 처리 단계;
    저장된 위상 정보에 상기 탐색과 관련된 탐색 조건 정보를 기초로 한 잡음 정보를 반영시키는 잡음 정보 처리 단계; 및
    상기 잡음 정보가 반영된 위상 정보를 기초로 한 재밍 신호를 미리 정해진 제2 시간 동안 출력하는 재밍 신호 출력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위상 정보 처리 단계는 상기 저장된 위상 정보를 스크램블 기준에 따라 분리 출력하고,
    상기 재밍 신호 출력 단계는,
    상기 잡음 정보가 반영된 위상 정보로부터 정합 위상 신호와 직교 위상 신호를 추출하는 위상 신호 추출 단계;
    추출된 정합 위상 신호와 직교 위상 신호를 상기 재밍 대상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 신호로 변환시키는 위상 신호 변환 단계; 및
    대역 변환된 정합 위상 신호와 직교 위상 신호를 상기 재밍 신호로 출력하는 위상 신호 출력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재밍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된 재밍 대상 신호의 주파수 값을 포함하는 재밍 주파수 대역을 상기 재밍 범위 내에서 결정하는 재밍 주파수 대역 결정 단계; 및
    상기 재밍 범위에서 상기 재밍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나머지 대역을 디지털 필터링시키는 디지털 필터링 단계
    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재밍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신호 저장과 신호 재밍에 대한 듀티비(duty ratio)를 이용하여 상기 재밍 대상 신호를 재밍하는 데에 부여된 전체 재밍 시간 내에서 상기 제1 시간을 결정하거나, 상기 전체 재밍 시간에서 상기 제1 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을 상기 제2 시간으로 결정하는 시간 결정 단계
    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재밍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 정보 처리 단계는,
    상기 탐색 조건 정보로 순시 주파수 대역폭을 이용하고 난수 발생율로 상기 순시 주파수 대역폭의 역수값을 이용하여 상기 난수 발생율에 따른 잡음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는 잡음 정보 생성 단계; 및
    분리 출력된 위상 정보에 생성된 잡음 정보를 실시간으로 반영시키는 잡음 정보 반영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재밍 방법.
  5. 삭제
KR1020120054252A 2012-05-22 2012-05-22 신호 재밍 방법 KR101298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252A KR101298007B1 (ko) 2012-05-22 2012-05-22 신호 재밍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252A KR101298007B1 (ko) 2012-05-22 2012-05-22 신호 재밍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1689A Division KR101173935B1 (ko) 2011-07-19 2011-07-19 신호 재밍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0830A KR20130010830A (ko) 2013-01-29
KR101298007B1 true KR101298007B1 (ko) 2013-08-26

Family

ID=47839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4252A KR101298007B1 (ko) 2012-05-22 2012-05-22 신호 재밍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80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7894B1 (ko) * 2020-08-31 2022-01-06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무인기 데이터링크 스마트 재밍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30055250A (ko) * 2021-10-18 2023-04-2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재밍 대상신호의 유효 여부를 고려한 재밍 신호 발생장치 및 그를 위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6885B1 (ko) * 2019-10-17 2021-05-28 주식회사 케이넷츠 시분할 방식을 이용한 드론 재밍신호 발생장치
CN113708884B (zh) * 2020-05-22 2023-08-04 中国科学院信息工程研究所 面向涉密会议场所的违规使用移动终端的转发干扰方法
WO2023153559A1 (ko) 2022-02-10 2023-08-17 국방과학연구소 수동형 레이더 재밍을 위한 재밍 대상 송신원 선정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3935B1 (ko) * 2011-07-19 2012-08-14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신호 재밍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3935B1 (ko) * 2011-07-19 2012-08-14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신호 재밍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7894B1 (ko) * 2020-08-31 2022-01-06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무인기 데이터링크 스마트 재밍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30055250A (ko) * 2021-10-18 2023-04-2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재밍 대상신호의 유효 여부를 고려한 재밍 신호 발생장치 및 그를 위한 방법
KR102628750B1 (ko) * 2021-10-18 2024-01-23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재밍 대상신호의 유효 여부를 고려한 재밍 신호 발생장치 및 그를 위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0830A (ko) 2013-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8007B1 (ko) 신호 재밍 방법
CN109507661B (zh) 雷达和通信一体化信号处理方法
US9337877B2 (en) Method and system for multiband interference mitigation with multipath cancellation
JP4618082B2 (ja) 送信装置、受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CN112327287A (zh) 控制雷达发射以实现干扰抑制
Shepherd et al. Radar waveform design in active communications channel
TW200830746A (en) Active receiver detection and ranging
EP3335057B1 (en) Programmable apparatus for synthesized filter notch
RU2338219C1 (ru) Способ сопровождения цели и устройство моноимпульсной рлс, реализующей способ
KR101173935B1 (ko) 신호 재밍 장치
EP3309586A1 (en) Navigation receiver, navigation system jammer, method for determining a position, method for jamming unauthorized receivers and method for restricting usage of a navigation system
JP2000009833A (ja) 自動車用衝突防止レーダ装置
JPH0353185A (ja) パルスレーダ装置
US20190158134A1 (en) Multi-signal instantaneous frequency measurement system
RU2631422C1 (ru) Корреляционно-фазовый пеленгатор
RU2572083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варианты) создания преднамеренных помех
US11662474B2 (en) Satellite based 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10142143B2 (en) Receiving apparatus and demodulation method
WO2016040958A1 (en) Circuits and methods for detecting interferers
Vered Intersystem EMC Analysis, Interference, and Solutions
RU2329608C1 (ru) Когерентная радиолиния
RU2496241C2 (ru) Станция помех
JP2019524038A (ja) 広帯域不法無線信号の探知方法
RU2491570C1 (ru) Квадратурный компенсатор импульсных помех
Grundhöfer et al. Phase estimation of single tones next to modulated signals in the medium frequency R-Mod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