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7390B1 - 액상물 포장기의 액 정량 주입장치 - Google Patents

액상물 포장기의 액 정량 주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7390B1
KR101297390B1 KR1020110141922A KR20110141922A KR101297390B1 KR 101297390 B1 KR101297390 B1 KR 101297390B1 KR 1020110141922 A KR1020110141922 A KR 1020110141922A KR 20110141922 A KR20110141922 A KR 20110141922A KR 101297390 B1 KR101297390 B1 KR 101297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injection
moving block
movement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1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5559A (ko
Inventor
임종윤
Original Assignee
임종목
농업회사법인 코엔에프(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종목, 농업회사법인 코엔에프(유) filed Critical 임종목
Publication of KR20130065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5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7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7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3/10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application of pressure to material
    • B65B3/12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application of pressure to material mechanically, e.g. by pistons or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26Method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quantity of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9/00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65B2039/009Multiple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9/00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65B39/007Guides or funnels for introducing article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 Of Fluid Materials To The Packaging Location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성이 큰 액상물을 용기의 수용홈들에 동시에 주입하는 과정에서 정량 주입이 가능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액상물 포장기의 액 정량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액상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의 하부에 다수열로 배치되고 액상물의 주입 경로가 되는 다수개의 주입관들과, 주입관들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액상물이 일시 저장되고 하부에 주입노즐을 갖는 다수개의 주입구가 배치되는 충전부와, 충전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충전부 내의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충전부내에 충전된 일정량의 액상물을 동일한 압출력으로 상기 다수의 주입노즐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수단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액상물 포장기의 액 정량 주입장치{Device for pouring a fixed quantity liquid into packing-sheet in liquid material pac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액상물 포장기의 액 정량 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점성이 큰 액상물을 용기의 수용홈들에 주입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수용홈들에 정량 주입이 가능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액상물 포장기의 액 정량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상물 포장재는 사용자가 일회 복용할 수 있는 일정량을 포장 용기에 주입, 밀봉하여 보관 및 복용을 편리하게 하며, 다량의 액상물이 저장된 탱크로부터 일정량씩 소량 주입한 후에 포장 용기에 개별 포장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상기한 액상물 주입기는 자동으로 포장 용기를 이송시키는 이송설비 및 포장 용기 내에 액을 주입하는 주입장치로 구성된다.
도 8은 기존 액상물이 주입되는 용기를 나타낸 것으로, 상부가 개구된 오목 형태의 수용홈이 다수개 형성된 것이다.
기존 포장기의 액 정량 주입장치는 용기의 수용홈에 액상물을 주입하기 위해서 수직 하방으로 주입되는 주입기의 노즐 하측으로 용기들을 이동시키면서 순차적으로 주입하는 주입과정을 갖는다.
이러한 액상의 주입물을 용기의 수용홈에 주입한 후에, 수용홈을 밀폐시키는 포장 시트를 접착시켜 밀봉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러한 종래의 액상물 포장방식은 순차적으로 액을 포장 용기에 주입하는 과정에서 정량 주입이 이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점성이 큰 액체의 경우에는 포장 용기에 주입되는 액상물이 점성이 큰 액체(일 예로 액상 커피)일 경우에는, 액을 주입하는 노즐 부위에 액이 달라붙게 되어 정량 주입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수동으로 주입할 경우에는, 액 주입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점성이 큰 액상물을 포장 용기의 수용홈들 내에 주입하는 과정에서 정량 주입이 가능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액상물 포장기의 액 정량 주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액상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의 하부에 다수열로 배치되고 액상물의 주입 경로가 되는 다수개의 주입관들과,
상기 주입관들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액상물이 일시 저장되고 하부에 주입노즐을 갖는 다수개의 주입구가 배치되는 충전부와,
상기 충전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충전부 내의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충전부내에 충전된 일정량의 액상물을 동일한 압출력으로 상기 다수의 주입노즐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충전부의 일측에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 내부에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충전부 내의 압력을 조절하는 피스톤부와,
상기 피스톤부의 일단부가 각각 연결되고 배출실린더의 이동력을 매개로 전,후 이동되어 상기 피스톤부에 전,후 이동력을 부여하는 이동블럭 및,
상기 이동블럭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이동가이드를 구비한다.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이동블럭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스톱퍼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스톱퍼수단은 상기 이동블럭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블럭의 움직임과 연동되도록 이동되는 스톱퍼와,
상기 이동블럭의 일측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스톱퍼가 접촉되어 상기 이동블럭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구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구에 근접되게 배치되어 상기 스톱퍼와 접촉됨에 따라 상기 배출실린더의 전,후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를 더 구비한다.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각각의 피스톤부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액상물의 주입량을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이동블럭의 타측 부위에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상기 피스톤부의 일단부에 체결되는 너트부재와,
상기 이동블럭의 타측을 경계로 상기 너트부재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피스톤부의 일단부에 체결되는 고정너트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배출수단의 이동블럭 및 각각의 피스톤부를 이용하여 각각의 충전부 내에 충전된 액상물에 동일한 압출력을 제공함으로써, 각각의 수용홈들에 주입되는 액상물의 정량 주입이 가능한 매우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상물 포장기의 액 정량 주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중요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주입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충전부와 피스톤부 및 개폐밸브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배출수단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 주입수단의 동작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배출수단의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일반적인 포장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은 커피 등과 같은 점성이 큰 액상물의 용기 내 주입과정시 다수개의 용기의 수용홈내에 정량의 액상물이 동시에 주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상물 포장기의 액 정량 주입장치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그 구성은 평판 형태의 베이스(10)로부터 상측에 이격되게 배치되고 내부에 액상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100)와, 저장탱크(100)의 하측에 다수열로 배치되고 액상물의 주입 경로가 되는 파이프 형태의 주입관(150)들과, 주입관(150)들의 내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회전 동작시 상기 주입관(150)을 개폐시키는 개폐밸브(340)와, 개폐밸브(340)들의 개폐동작을 연동시켜 상기 개폐밸브(340)들과 연결된 하나의 링크부재(320)를 매개로 동시에 조작하기 위한 주입수단과, 주입관(150)들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액상물이 일시 저장되고 하부에 주입노즐(212)을 갖는 주입구(210)가 배치되는 충전부(200)와, 충전부(200)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충전부(200) 내의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충전부(200)내에 충전된 정량의 액상물을 상기 주입노즐(212)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수단(400)으로 구성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주입관(150)은 상부가 저장탱크(100)에 연결되고, 하부가 블록 형태의 충전부(200)에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내부에 액상물의 주입 경로가 되는 유로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개폐밸브(340)는 연결레버(330)의 하부에 일단부가 체결되어 일체화되고, 타단부가 상기 주입관(15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타단부에 상기 액상물이 통과되는 주입구멍(345)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로 인해, 개폐밸브(340)는 회전 동작시 회전 각도에 따라 주입구멍(345)이 주입관(150)의 내부를 개폐시키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이와는 달리 공지의 버터플라이 밸브 타입을 채택할 수도 있다.
또, 개폐밸브(340)는 축 형태로 구성되어 주입관(150)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베어링(미도시)이 결합될 수도 있다.
주입수단은 링크부재(320)의 상부에 좌,우 이동 가능한 로드(310)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링크부재(320)에 좌,우 이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주입실린더(300)와, 링크부재(32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핀 결합되고 상기 개폐밸브(340)들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레버(330)들로 구성된다.
주입실린더(300)는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원(에어,유압)에 의해 로드(310)를 좌,우로 이동시켜 링크부재(320)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각각의 연결레버(330)들은 상기 링크부재(320)의 좌,우 움직임을 상기 개폐밸브(340)에 회전력으로 변환시키기 위해 복수회 꺾이도록 절곡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배출수단(400)은 충전부(200)의 일측에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연결관(250)과, 연결관(250) 내부에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후진 이동시 충전부(200) 내에 진공 부압을 형성시켜 액상물의 주입을 유도하며 전진 이동시 액상물을 주입노즐(212)측으로 밀어내기 위한 상기 충전부(200) 내의 압력을 조절하는 피스톤부(440)와, 피스톤부(440)의 일단부가 각각 연결되고 배출실린더(410)의 이동력을 매개로 전,후 이동되어 상기 피스톤부(440)에 전,후 이동력을 부여하는 이동블럭(430)과, 이동블럭(430)의 일측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고 배출실린더(410)가 고정되는 고정블럭(420)으로 구성된다.
또한, 배출수단(400)은 이동블럭(430)의 전,후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이동가이드(415)가 복수개 배치되어 있다.
피스톤부(440)는 연결관(250) 내에 배치되어 전,후 이동되는 피스톤부재(445)를 가지며, 단부가 이동블럭(430)의 타측 부위에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더 바람직하게는, 이동블럭(43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스톱퍼수단을 더 구비하되,그 스톱퍼수단은 상기 이동블럭(430)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블럭(430)의 움직임과 연동되도록 이동되는 스톱퍼(450)와, 이동블럭(430)의 일측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도록 배치되고 스톱퍼(450)가 접촉됨에 따라 상기 이동블럭(430)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구(455)로 구성된다.
또, 스톱퍼수단은 고정구(455)에 근접되게 배치되어 상기 스톱퍼(450)와 접촉됨에 따라 상기 배출실린더(410)의 전,후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센서(460)로 구성된다.
센서(460)는 접촉식 센서(일 예: 리미트 스위치)를 채용할 수 있으나, 굳이 이에 한정하지는 아니한다.
한편, 센서(460)를 구비하지 않고 단순히 스톱퍼(450)가 접촉되어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고정구(455)가 고정블럭(420)에 배치되거나, 센서(460)와 고정구(455)를 같이 병행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배출수단(400)은 상기 각각의 피스톤부(440)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액상물의 주입량을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절수단은 상기 이동블럭(430)의 타측 부위에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상기 피스톤부(440)의 일단부에 체결되어 피스톤부(440)의 이동을 제한하는 너트부재(444)와, 이동블럭(430)의 타측을 경계로 반대편에 배치되고 피스톤부(440)의 단부에 결합되어 피스톤부(440)의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너트(442)로 구성된다.
또, 조절수단은 너트부재(444)의 단부에 배치되어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체결부재(44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는, 각각의 피스톤부(440)를 이동블럭(430)에 고정시키기 전에 연결관(250) 내에 진입되는 피스톤부(440)의 각각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액상물 포장기의 액 정량 주입장치는, 도 8을 같이 참조하여 설명하면, 베이스(10)의 상측에 용기(50)가 안착되면, 저장탱크(100) 내의 액상물이 주입관(150)을 통해 충전부(200) 내부로 유입되도록 개폐밸브(340)를 개방시키고, 충전부(200) 내의 압력을 진공부압으로 형성시킨다.
이때, 개폐밸브(340)의 개방동작은 주입실린더(300)에 외부 동력원을 공급하면, 주입실린더(300)의 로드(310)가 도면상 우측으로 당겨지게 되고, 이로 인해 링크부재(320)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각각의 연결레버(330)를 회전시키게 된다.(도 6참조)
이 연결레버(330)가 회전됨에 따라 각각의 개폐밸브(340)들이 연동 회전되면서 각각의 주입관(150)들을 개방시키게 된다.
이어서, 배출실린더(410)가 도면상 후진 동작되면서 이동블럭(430)을 고정블럭(420)측으로 후진시켜 이동블럭(430)과 연결된 피스톤부(440)를 후진 동작시킨다.
피스톤부(440)의 후진동작에 의해 연결관(250) 및 충전부(200) 내부에 진공 부압이 형성되므로, 개방된 주입관(150)들의 내부를 통해 저장탱크(100) 내의 액상물이 충전부(200) 내부로 유입된다.
이후에, 다시 주입실린더(300)의 로드(310)가 도면상 좌측에 이동되면서, 링크부재(320)와 연결레버(330)가 원 위치로 복귀되고, 개폐밸브(340)가 회전 동작되어 주입관(150) 내의 유로를 폐쇄시키게 된다.
이어서, 배출실린더(410)를 전진 동작시키면, 이동블럭(430)이 연결관(250) 측으로 전진 동작되면서 피스톤부(440)가 전진 동작되어 연결관(250) 및 충전부(200) 내부에 압출력을 제공하게 된다.(도 7참조)
이로 인해 충전부(200) 내에 충전된 액상물은 주입구(210)의 주입노즐(212)을 통해 하측으로 분사되어 용기(50)의 수용홈(52) 내로 주입된다.
이때, 배출수단(400)의 이동블럭(430)이 전진 동작됨에 따라 제공되는 압출력은 각각의 피스톤부(440)에 의해 동일한 압력으로 각각의 충전부(200)에 제공되므로, 동일한 양의 액상물을 용기(50)의 수용홈(52) 내에 주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액상물의 정량 배출을 위해 너트부재(444)와 고정너트(442)의 체결상태를 해제 또는 체결함에 따라 초기에 피스톤부(44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세팅한 후에, 이동블럭(430)을 이용하여 충전부(200) 및 연결관(250)의 내부에 공급되는 압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액상물 주입과정은 개폐밸브(340)의 개방동작에 의해 각각의 주입관(150)을 통해 충전부(200) 내로 충전된 후에, 배출수단(400)의 피스톤부(440) 움직임에 의해 주입구(210)의 주입노즐(212)을 통해 용기(50)의 수용홈(52) 내로 주입되는 과정을 갖는다.
이때, 이동블럭(430)에 의해 각각의 피스톤부(440)가 연동되게 이동됨에 따라, 각각의 액상물 주입에 필요한 압출력이 동일하게 작용하게 되므로, 다수의 수용홈(52) 내에 주입되는 액상물의 정량 주입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점성이 큰 액상물의 정량 주입이 자동으로 가능함과 아울러, 다수의 용기(50) 수용홈(52)내에 액상물을 동시에 주입할 수 있으므로 주입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베이스 50 : 용기
52 : 수용홈 100 : 저장탱크
150 : 주입관 200 : 충전부
210 : 주입구 212 : 주입노즐
250 : 연결관 300 : 주입실린더
310 : 로드 320 : 링크부재
330 : 연결레버 340 : 개폐밸브
345 : 주입구멍 400 : 배출수단
410 : 배출실린더 415 : 이동가이드
420 : 고정블럭 430 : 이동블럭
440 : 피스톤부 442 : 고정너트
444 : 너트부재 445 : 피스톤부재
446 : 체결부재 450 : 스톱퍼
455 : 고정구 460 : 센서

Claims (5)

  1. 삭제
  2. 액상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100)의 하부에 다수열로 배치되고 액상물의 주입 경로가 되는 다수개의 주입관(150)들과,
    상기 주입관(150)들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액상물이 일시 저장되고 하부에 다수의 주입노즐(212)을 갖는 다수개의 주입구(210)가 배치되는 충전부(200)와,
    상기 충전부(200)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충전부(200) 내의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충전부(200)내에 충전된 일정량의 액상물을 동일한 압출력으로 상기 다수의 주입노즐(212)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수단(400)을 구비하며,
    상기 배출수단(400)은 상기 충전부(200)의 일측에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연결관(250)과,
    상기 연결관(250) 내부에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충전부(200) 내의 압력을 조절하는 피스톤부(440)와,
    상기 피스톤부(440)의 일단부가 각각 연결되고 배출실린더(410)의 이동력을 매개로 전,후 이동되어 상기 피스톤부(440)에 전,후 이동력을 부여하는 이동블럭(430) 및
    상기 이동블럭(430)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이동가이드(41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 포장기의 액 정량 주입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400)은 상기 이동블럭(43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스톱퍼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스톱퍼수단은 상기 이동블럭(430)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블럭(430)의 움직임과 연동되도록 이동되는 스톱퍼(450)와,
    상기 이동블럭(430)의 일측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스톱퍼(450)가 접촉되어 상기 이동블럭(430)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구(45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 포장기의 액 정량 주입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455)에 근접되게 배치되어 상기 스톱퍼(450)와 접촉됨에 따라 상기 배출실린더(410)의 전,후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센서(46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 포장기의 액 정량 주입장치.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400)은 상기 각각의 피스톤부(440)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액상물의 주입량을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이동블럭(430)의 타측 부위에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상기 피스톤부(440)의 일단부에 체결되는 너트부재(444)와,
    상기 이동블럭(430)의 타측을 경계로 상기 너트부재(444)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피스톤부(440)의 일단부에 체결되는 고정너트(44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 포장기의 액 정량 주입장치.
KR1020110141922A 2011-12-09 2011-12-26 액상물 포장기의 액 정량 주입장치 KR1012973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234 2011-12-09
KR20110132234 2011-1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5559A KR20130065559A (ko) 2013-06-19
KR101297390B1 true KR101297390B1 (ko) 2013-08-19

Family

ID=48862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1922A KR101297390B1 (ko) 2011-12-09 2011-12-26 액상물 포장기의 액 정량 주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73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73006A (zh) * 2017-09-05 2017-11-24 安徽百润食品有限公司 一种雪糕生产用瓜子仁定量装料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4584A (ko) * 1984-12-31 1986-07-11 레온 지도오끼 가부시끼가이샤 점성유체를 빵 또는 과자에 주입하는 방법
JPH05201490A (ja) * 1992-01-20 1993-08-10 Shibuya Kogyo Co Ltd 充填ノズル
KR200329132Y1 (ko) * 2003-06-10 2003-10-08 이탁영 자동 충전 및 캡핑 장치의 충전장치
KR200415117Y1 (ko) 2006-02-09 2006-04-27 (주)이레제이씨지 노패킹 피스톤을 이용한 자동 충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4584A (ko) * 1984-12-31 1986-07-11 레온 지도오끼 가부시끼가이샤 점성유체를 빵 또는 과자에 주입하는 방법
JPH05201490A (ja) * 1992-01-20 1993-08-10 Shibuya Kogyo Co Ltd 充填ノズル
KR200329132Y1 (ko) * 2003-06-10 2003-10-08 이탁영 자동 충전 및 캡핑 장치의 충전장치
KR200415117Y1 (ko) 2006-02-09 2006-04-27 (주)이레제이씨지 노패킹 피스톤을 이용한 자동 충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5559A (ko) 2013-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2070B2 (en) Device for filling containers
CN102390179B (zh) 墨水定量填充器及使用其向墨盒注入定量墨水的注墨方法
JP6113173B2 (ja) 流動性又は注入可能な材料、特にエアインチョコレートを分配する装置及び方法
KR101297390B1 (ko) 액상물 포장기의 액 정량 주입장치
US7621427B2 (en) Device for delivering paste substances into containers
KR101297389B1 (ko) 액상물 포장기의 액 주입장치
US3534523A (en) Machine for charging containers with a flowable material and for sealing each of them with a plug member
CN104709483B (zh) 半自动粉剂灌装机
KR102438088B1 (ko) 식품재료의 정량 공급 장치
EP1535659A1 (en) Module, system and method of dosing and mixing pasty products
CN107030960A (zh) 微泡注塑装置
CN207066240U (zh) 自动进水玩具枪
CN207190129U (zh) 微泡注塑装置
WO2016151227A1 (fr) Dispositif de dosage volumetrique pour machine de remplissage de recipients
CN107388888A (zh) 自动进水玩具枪
KR101335986B1 (ko) 파우치 포장 장치
CN207564858U (zh) 一种新型大剂量注射装置
CN205275178U (zh) 一种米酒自动化封装系统
JPH06508931A (ja) 定量分配器
KR101333249B1 (ko) 잔량 방지를 위한 장류 주입용 노즐장치
KR100860853B1 (ko) 직진식 충진기
CN208377117U (zh) 一种定量分装机
KR101774295B1 (ko) 용액 주입장치
JPS6181903A (ja) 袋体に液体等を注入しかつシールする装置
CN211283691U (zh) 一种可精确灌装的灌装机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