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7303B1 - Multi-layer structure of the container house and construction method - Google Patents

Multi-layer structure of the container house and construction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7303B1
KR101297303B1 KR1020120158316A KR20120158316A KR101297303B1 KR 101297303 B1 KR101297303 B1 KR 101297303B1 KR 1020120158316 A KR1020120158316 A KR 1020120158316A KR 20120158316 A KR20120158316 A KR 20120158316A KR 101297303 B1 KR101297303 B1 KR 101297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ainer house
layer
house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83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양경철
Original Assignee
양경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경철 filed Critical 양경철
Priority to KR1020120158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730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7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73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04H1/04Apartment houses arranged in two or more lev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2001/1283Small buildings of the ISO containers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PURPOSE: A multi-layered container house and a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are provided to ensure high structural stability, to facilitate construction without arranging the perpendicularity, and to maximize space utilization with less installation space constraints. CONSTITUTION: A construction method of a multi-layered container house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compacting the ground and fixing a container body to the ground by pouring concrete; partition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container body into lines and preparing a multi-layered container house body with a fixing combination unit; longitudinally standing the multi-layered container house body in a lateral direction to combine the fixing combination unit with the container fixing unit; and installing access stairs and adjusting the perpendicularity. [Reference numerals] (S100) Basic step; (S200) Multi-layered container house body preparing step; (S300) Multi-layered container house body installing step; (S400) Access stairs installing step; (S500) Perpendicularity adjusting step; (S600) Reinforcing step

Description

복층구조의 컨테이너 하우스 및 시공방법{Multi-layer structure of the container house and construction method}Multi-layer structure of the container house and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복층구조의 컨테이너 하우스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횡방향의 컨테이너 내부를 종방향으로 구획하고, 종방향으로 구획된 횡방향의 컨테이너를 종방향으로 기립시켜 지면에 고정함으로써, 복층구조의 컨테이너 하우스의 시공이 가능함에 따라 종래 컨테이너를 적재하여 복층구조를 형성한 컨테이너 하우스의 시공 공정수 보다 현저히 시공 공정수가 줄어 설치시공이 간편하고, 시공비용의 절감 및 인건비 절감이 가능하며, 시공시간의 단축과 다양한 변형 구조의 복층구조를 가진 컨테이너 하우스의 제공이 가능하고, 종래 콘크리트 건축물과 조화롭게 형성이 가능한 복층구조의 컨테이너 하우스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house and a construction method of a multi-layer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by partitioning the interior of the transverse contain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ta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verse container partitio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be fixed to the ground As the construction of a multi-layer container house is possible, the number of construction processes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a container house in which a conventional container is loaded to form a multi-layer structure, so that installation and installation is simple, and construction cost and labor cost can be reduc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tainer house having a multi-layered structure having shortened construction time and various deformation structures, and to a container house having a multi-layered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which can be formed in harmony with a conventional concrete building.

종래, 다세대 주택이나 연립 주택식의 빌라형 건축물, 그리고 내부에 많은 임대 사무실을 가지고 있는 빌딩형 건축물 등의 다세대나 공동 집합 건축물을 구축함에 있어서는, 시공현장에서 건축물을 구축하기 위한 모든 작업이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Conventionally, in constructing a multi-family or a collective assembly building such as a multi-family house, a villa-type building of a townhouse type building, and a building-type building having many rental offices, all the work for constructing the building at the construction site is carried out. It was common.

종래 기술에 따른 건축물 구축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철골을 엮거나, H형 빔, I형 빔 등의 철골 프레임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골격구조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철골을 수직수평으로 엮어 설치하거나, 다수의 철골 프레임을 수직 및 수평으로 설치한 다음, 철골 또는 철골 프레임 상호간을 엮거나, 용접 또는 브라켓 등으로 체결하여 골격구조를 형성한다.
Referring to the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rst to form a skeleton structure of the building using steel frame, such as weaving steel frame, H-beam, I-beam. Specifically, the steel frame is woven vertically or horizontally, or a plurality of steel frames are install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nd then the steel or steel frames are woven together or fastened by welding or bracket to form a skeleton structure.

다음으로, 수직으로 설치된 철골 또는 철골 프레임의 사이에는 벽돌을 조적하거나, 거푸집을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벽체를 구축한다. 그리고 벽체 표면은 모르타르로 미장, 마감한다. 또한, 수평으로 설치된 철골 또는 철골 프레임 사이에는 거푸집을 이용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슬라브를 구축한다. 이때, 구축된 건축물은 여러 세대가 거주할 수 있도록 벽체와 슬라브에 의해 구획되어 다층을 가짐과 동시에 하나의 층에는 여러 곳의 거주 공간으로 구획된다.
Next, between the vertically installed steel frame or steel frame frame bricks or, using a formwork to pour concrete, curing to build a wall. And the wall surface is plastered and finished with mortar. In addition, between the steel frame or the steel frame is installed horizontally by using the formwork to pour concrete, to build a slab. At this time, the constructed building is partitioned by walls and slabs so that several generations can live and have multiple layers.

또한, 벽체를 구축함에 있어서, 벽돌의 조적이나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타설 방법은 공기 및 공임이 증가되기 때문에 최근에는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 또는 조립식 판넬을 이용하는 방법이 많이 시도되고 있다.
In addition, in constructing a wall, a concrete masonry or formwork method using the formwork has been increased in recent years because a lot of air and labor has been attempted to use a prefabricated concrete block, or a prefabricated panel.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르면,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이나 조립식 판넬을 사용할지라도 공기 및 공임이 증가되고, 재료 자체의 가격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even when using a prefabricated concrete block or a prefabricated pane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ir and labor is increased, because of the cost of the material itself.

이러한, 통상의 콘크리트 또는 벽돌 등을 이용한 철골 건축물은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당히 비용이 고가이고, 시공시 많은 시공비 및 시공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상당한 부담으로 다가갈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As described above, a steel frame building using a conventional concrete or brick, etc., is quite expensive and requires a lot of construction costs and construction time during construction, and thus, a situation inevitably reaches a consumer with a considerable burden.

이러한, 실정을 해결하고자 현재 컨테이너를 개조하여 다양한 건축물 대용으로 사용을 하고 있다. 컨테이너는 조립시공이 간편하고, 통상의 철골 건축물과 같이 복잡한 시공과정을 거칠 필요없이 설치하고자 하는 지면에 놓아두거나 앵커 등을 지면에 설치하여 고정하면 시공이 완료되어 현재는 다양한 산업체의 사무실, 공장의 경비실 등으로 응용되어 설치시공이 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situation, the current container is remodeled and used as a substitute for various buildings. Containers are easy to assemble and install, and the construction is completed by placing them on the ground to be installed or fixing anchors on the ground without the complicated construction process like ordinary steel structures. It is applied to security guards and installed.

나아가, 현재에는 컨테이너를 좀더 고급화하여 컨테이너 내부에 다양한 부자재를 설치시공하여 집과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한 컨테이너 하우스 내지는 컨테이너 사무실로 응용 설치되고 있고, 이러한 응용범위는 복층을 구성함에 있어서도 다양하게 실시되고 있다.
Furthermore, nowadays, the container is being installed as a container house or a container office, which is formed to perform a role as a house by installing various subsidiary materials inside the container by upgrading the container to a higher level. Is being done.

그러나, 컨테이이너는 화물 운송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통상 가로 길이가 3~13m의 다양한 길이로 길게 형성된 직육면체상의 함체형상으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복층의 사무실 내지는 컨테이너 하우스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설치되는 메인 컨테이너가 구비되고, 메인 컨테이너 상단부에 복층을 이룰 컨테이너를 적층하여 설치하게 된다.
However, the container is used for cargo transportation, and as mentioned above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box which is generally formed in various lengths of 3 to 13 m in length, as described above, when it is to be used as an office or a container house in a two-story floor, As shown in FIG. 1, a main container installed on the ground is provided, and a plurality of containers stacked in a multi-layered container are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main container.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복층형 컨테이너 하우스는 메인 컨테이너 상단에 컨테이너를 적층하여 층 수를 증축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지면과 복층으로 층 수를 증축하는 컨테이너들의 수직도가 유지되어야만 안전한 시공이 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의 복층형 컨테이너 하우스는 우선 메인 컨테이너를 지면에 고정하고, 메인 컨테이너 상부에 올려질 서브 컨테이너를 크레인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메인 컨테이너 상부에 올리게 된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multi-storey container house stacks containers on top of the main container, thereby increasing the number of floors, and thus safe construction is possible only when the verticality of the containers that extend the number of floors to the ground and the double floor is maintained. 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multi-layer container house, the main container is first fixed to the ground, and the sub container to be mounted on the main container is mounted on the main container by using a crane or the like.

이후, 메인 컨테이너 상부에 올려진 서브 컨테이너는 크레인에 메달린 상태로 메인 컨테이너 상부에서 지면과 메인컨테이너-서브컨테이너의 수직도를 확인하면서 설치하게 됨에 따라 상당한 작업공정시간이 소요된다. 더욱이, 지면으로부터 서브 컨테이너의 수직도가 맞지 않게 되면 서브 컨테이너의 구조적 결함이 발생되어 안전성에도 상당휘 취약한 문제점이 발생되고, 서브 컨테이너를 이용한 복층 구조의 재설치가 요구되어 결국에는 시공시간의 증대로 이어져 시공비용의 상승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Subsequently, the sub-container mounted on the main container is installed while checking the verticality of the ground and the main container-sub-container from the upper part of the main container in a state suspended by a crane, which takes a considerable work process time. Moreover, if the verticality of the sub-containers does not match from the ground, structural defects of the sub-containers may occur, resulting in a problem that is significantly weaker in safety. There is a problem that causes an increase in construction costs.

또한, 2층 정도의 복층구조를 설치하는 데에는 큰 문제가 없을 수 있으나, 2층 이상의 복층구조를 컨테이너를 통해 하우스 형태로 지을 경우 컨테이너와 컨테이너 사이의 체결 장비와 제차 크레인 등의 장비를 동원하여 컨테이너를 적층하여야 함에 따라 시공비용의 증대 및 시공시간의 상승을 초래하게 된다.
In addition, there may not be a big problem in installing a two-layered double-layer structure, but when a two-layered or more two-layered structure is formed in a house form through a container, the container may be mobilized by using fastening equipment between the container and equipment such as a secondary crane. Due to the lamination, the construction cost increases and the construction time increases.

더욱이, 앞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3층 이상으로 복층을 구성하게 되면 메인 컨테이너 상부에 적층되는 서브 컨테이너 각각의 수직도와 전체의 수직도가 일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복층 컨테이너 하우스의 사용자 안전성 및 구조적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Furthermore, as mentioned above, if the multi-layer is composed of three or more floors, the vertical and overall verticality of each of the sub-containers stacked on the main container must be matched, so that user safety and structural stability of the multi-storey container house are deteriorated. Is generated.

또한, 컨테이너가 화물을 운송하기 위한 것이기에 그 형태가 가로로 길게 형성된 직육면체상의 함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통상의 건축물 시공에서 가로로 넓게 펼쳐진 형태의 건축물의 경우 시공면적이 상당히 증대되는 문제가 있고, 이로 인해 설치면적 증대에 따른 시공비용상승과 컨테이너 하우스의 사용처의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ntainer is intended for transporting cargo, since its shape is composed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enclosure, the construction area of the building that is spread out horizontally in a normal building construction has a problem of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construction area. Due to thi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struction cost increases due to the increase of the installation area and the restriction of the use of the container house is caused.

한편, 종래의 복층형 구조로 형성된 컨테이너 하우스는 메인 컨테이너에 서브컨테이너를 적층하여 시공함에 따라 컨테이너 건물의 운반에서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이동성에 한계가 있어 정작 설치시공에 문제로 발생된다.
On the other hand, a container house formed of a conventional multi-layered structure takes a considerable time in transporting a container building as the sub-container is laminated to the main container, and there is a limitation in mobility, which causes problems in installation.

나아가, 종래의 컨테이너 하우스는 가로로 형성된 형태 상부에 적층하는 구조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컨테이너 하우스의 설치에 제약이 따르고, 통상의 철골 건축물 사이의 불필요한 공간을 활용하는 데 앞서 언급한 시공면적의 제약으로 인해 설치가 불가능하다. 즉, 최근 경향에 따라 철골 건출물 사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틈세 하우스의 활용도에 있어 불가능하다.
Furthermore, the conventional container house is restricted in the installation of various types of container house due to the structure stacked on the upper side formed horizontally, and as a limitation of the construction area mentioned above to utilize the unnecessary space between ordinary steel structures. Installation is impossible. 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recent trend, it is impossible to utilize the niche house for efficiently utilizing the space between steel structures.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가로형태의 컨테이너를 한 번의 크레인작업공정을 통해 설치장소에 기립설치함으로써, 복층구조의 컨테이너 설치가 가능하고, 별도의 지면에 대한 수직도를 종래 적층형태의 복층 컨테이너와 같이 반복적으로 수직도를 맞출 필요 없이 시공이 간편하며, 가로형태의 컨테이너 적층구조에 따른 복층형태와 달리 설치 공간의 제약이 적어 공간활용도가 극대화될 수 있는 복층구조의 컨테이너하우스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by installing the horizontal container in the installation site through a single crane work process, it is possible to install a container of a multi-layer structure, on a separate ground It is easy to install without having to adjust the vertical degree to the vertical level repeatedly like the conventional stacked type multi-layer container, and unlike the multi-layer type according to the horizontal container stacked structure, the installation space is limited and the space utilization can be maximize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ulti-storey container house and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직도의 불량으로 인한 종래 적층형태의 복층구조를 가진 컨테이너하우스의 안전성에 대비하여 높은 안전성 및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되는 복층구조의 컨테이너하우스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ainer house and a construction method of a multi-layered structure that ensures high safety and structural stability in preparation for the safety of a container house having a conventional multi-layered stacked structure due to poor verticalit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층을 일체로 형성한 컨테이너 하우스간에 결합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복층구조를 가진 컨테이너 하우스의 제작이 가능하여 소비자 취향에 따른 컨테이너 하우스의 생산이 가능하고, 종래 철근 콘크리트 건물과도 조화롭게 형성이 가능함은 물론, 폐 컨테이너를 재활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인 복층구조의 컨테이너하우스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duce a container house having a variety of multi-storey structure through the coupling between the container house formed integrally a multi-storey, it is possible to produce a container house according to consumer taste, conventional reinforced concrete buildings It can be formed in harmony with, as well as by recycling the waste container, to provide an environment-friendly multi-layer container house and construction method.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층구조의 컨테이너 하우스는 컨테이너 하우스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하우스가 지면에 설치고정되도록 콘크리트 타설을 통해 지면에 형성되는 컨테이너 고정수단(100)과; 가로로 길게 횡(橫)방향으로 형성되어 내부공간(S)이 형성된 직육면체형상의 컨테이너에 상기 내부공간(S)으로 출입이 가능한 출입문과 다수의 창문이 형성된 컨테이너 본체(C)가 구비되고, 상기 컨테이너 본체(C)의 내부 공간(S)을 행(行)으로 구획하고, 행으로 내부 공간(S)이 구획된 상기 컨테이너 본체(C)를 종(縱)방향으로 기립하여 행으로 구획된 내부 공간(S)이 열(列)로 변경됨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S)이 각각의 층을 형성하여 일체형 복층을 형성하도록 상기 컨테이너 고정수단(100)에 결합되어 지면에 고정되는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200)와; 일체로 상기 복층을 형성하는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200) 외측면 또는 내부 공간에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의 복층으로 출입이 가능하도록 층간 이동이 가능한 출입계단(30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Container house having a multi-store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ontainer house, container fixing means (100) formed on the ground through the concrete pouring so that the container house is installed on the ground; A container main body (C) having a door and a plurality of windows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container formed horizontally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having an inner space (S) formed therein is provided. The interior space S of the container body C is partitioned in rows, and the container body C in which the interior space S is partitioned in rows is erect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o be partitioned in rows. As the space S is changed into rows, the inner space S is coupled to the container fixing means 100 so as to form respective layers to form an integrated double layer. 200); An entrance staircase 300 capable of moving between floors so as to allow entry and exit to the duplex container house body on the outer side or the inner space of the duplex container house 200 integrally forming the duplex;

여기서, 상기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200)는 가로로 길게 형성된 횡방향의 상기 컨테이너 본체(C)를 종방향으로 기립시 복층을 이루도록 컨테이너 내부 공간(S)을 행으로 구획하는 다수의 층간 구획판(210)과; 상기 층간 구획판(210)에 의해 내부 공간(S)이 행으로 구획된 상기 컨테이너 본체(C) 외측 바닥면 좌우양단 및 바닥면 일면에 다수 형성되고, 상기 컨테이너 본체(C)를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로 이동시 차량에 적재가 용이하고, 상기 컨테이너 본체(C)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 및 설치장소에 종방향으로 기립시 바닥면에 접하여 파손없이 기립 설치가 가능하게 받침목 역할을 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간극조절지지판(220)과; 상기 컨테이너 본체(C)를 설치장소에 종방향 기립 설치시 바닥을 이루는 일면 외측으로 다수 형성되어 상기 컨테이너 고정수단(100)에 결합되도록 마련된 고정결합수단(23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multilayer container house body 200 includes a plurality of interlayer partition plates partitioning the container internal space S in rows so as to form a double layer when the container body C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s vertically er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210; A place where a plurality of internal spaces S are partitioned in rows by the interlayer partition plate 210 are form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outer bottom surface and one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and the container body C is to be installed. It is easy to load on the vehicle when moving to, a plurality of gaps formed to serve as a supporting neck to stan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out any damag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when sta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buffer and installation place to prevent damage to the container body (C) Adjusting support plate 220; When the container body (C) is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ite in the longitudinal standing position, a plurality of the outer surface forming a bottom forming a plurality of fixed coupling means 230 is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container fixing means 100;

한편, 상기 컨테이너 고정수단(100)은 지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에 결합된 앵커체(102)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결합수단(230)은 상기 앵커체(102)와 결합되는 앵커공(234)이 형성된 앵커결판편(232)으로 형성되어 상기 컨테이너 본체(C)를 종방향으로 기립 설치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ainer fixing means 100 is concrete is poured on the ground, is formed of an anchor body 102 coupled to the poured concrete, the fixed coupling means 230 is coupled to the anchor body 102 It is preferable that the anchor hole 234 is formed as an anchor plate piece 232 formed so that the container body C is erected and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나아가, 상기 컨테이너 고정수단(100)은 지면에 콘크리트 홀(102')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결합수단(230)은 상기 콘크리트 홀(102')에 끼움결합되는 고정지주(232')로 형성되어 상기 컨테이너 본체(C)를 종방향으로 기립시 지면에 수직도를 유지한 상태로 결합되도록 하여도 바람직하다.
Further, the container fixing means 100 is formed as a concrete hole 102 'on the ground, and the fixed coupling means 230 is formed as a fixing column 232' which is fitted to the concrete hole 102 ' When the container body (C) is er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preferable to be coupled in a state maintaining th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하우스의 시공방법은 지면을 다짐하고 그 위에 콘크리트 타설과 함께 앵커체 또는 콘크리트 홀의 컨테이너 고정수단(100)을 형성하여 지면과 컨테이너 본체(C)가 결합고정되는 기초단계(S100); 가로로 길게 형성된 횡방향의 컨테이너 본체(C)를 종방향으로 기립시 복층을 이루도록 상기 컨테이너 본체(C) 내부 공간(S)을 행으로 다수의 층간 구획판(210)을 통해 구획하고, 상기 층간 구획판(210)에 의해 내부 공간(S)이 행으로 구획된 상기 컨테이너 본체(C) 외측 바닥면 좌우양단 및 바닥면 일면에 다수 형성되어 상기 컨테이너 본체((C)를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로 이동시 차량에 적재가 용이하고, 상기 컨테이너 본체(C)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 및 설치장소에 종방향으로 기립시 바닥면에 접하여 파손없이 기립 설치가 가능하게 받침목 역할을 하도록 다수의 간극조절지지판(220)을 형성하며, 상기 컨테이너 본체(C)를 설치장소에 종방향 기립 설치시 바닥을 이루는 일면 외측으로 다수 형성되어 상기 컨테이너 고정수단(100)에 결합되도록 고정결합수단(230)을 마련한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200)를 준비하는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 준비단계(S200); 상기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 준비단계를 통해 준비된 횡방향의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200)를 종방향으로 기립시켜 상기 층간 구획판(210)에 의해 행으로 구획된 내부공간(C)이 열로 배열됨에 따라 복층을 형성하도록 상기 컨테이너 본체(C) 바닥면 일단에 형성된 상기 간극조절지지판(220)을 지면에 접하도록 하여 이를 기준으로 상기 컨테이너 본체(C)를 종방향으로 기립시킨 후, 상기 고정결합수단(230)이 상기 기초단계의 컨테이너 고정수단(100)에 고정결합되는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 설치단계(S300);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를 출입하기 위해 출입계단(300)을 상기 컨테이너 본체(C)의 일면 또는 구획된 내부 공간에 설치하는 출입계단 설치단계(S400); 상기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200) 내부 마감처리 및 종방향으로 기립된 상기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의 수직도를 조정하여 구조정 안정성을 확보하는 수직도조정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container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o compact the ground and to form the container fixing means 100 of the anchor body or concrete hole together with the concrete placing thereon fixing the ground and the container body (C) coupling Basic step (S100) to be; The container body C in the transverse direction formed long horizontally partitioned through the plurality of interlayer partition plates 210 in rows in the container body (C) inner space (S) to form a double layer when sta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interlayer When the container space (C) is moved to a place where the container body (C) is to be installed, a plurality of inner spaces (S) partitioned in rows by the partition plate (210) are form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outer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Easy to load on the vehicle, a plurality of clearance adjustment support plate to act as a supporting neck to stand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sta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buffer and installation place to prevent damage to the container body (C) ( 220 is formed, the container body (C) is fixed to be coupled to the container fixing means 100 is formed in a plurality of the outer side forming the bottom when the longitudinal standing in the installation place to form a bottom A multi-level container house body preparation step (S200) of preparing a multi-layer container house body (200) provided with 230; The gap control support plate 220 formed at one end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C is contacted with the ground to form a multi-layer as the inner spaces C partitioned in rows by the interlayer partition plate 210 are arranged in rows. After erecting the container body (C)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ased on this, the multi-layer container house body installation step of the fixed coupling means 230 is fixedly coupled to the container fixing means 100 of the basic step (S300) Access stair installation step (S400) for installing the access stair 300 in one side or the partitioned interior space of the container body (C) to enter and exit the multi-storey container house body; Vertically to house the inner member (200) to adjust the verticality of the multilayer container body houses standing in the internal finish and to ensure the longitudinal stability of rescue boats adjustment step (S500);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여기서, 상기 기초단계(S100)는 상기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200)의 바닥면 면적에 해당되는 텃파기 공사를 통해 지면 바닥이 요입된 형태로 요입구(H)를 형성하고, 상기 요입구(H)에 상기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200)를 종방향으로 기립시 바닥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층에 해당되는 층이 상기 요입구(H)에 내입되어 결합됨에 따라 지하층을 상기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를 통해 형성이 가능하며, 동시에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의 종방향 기립설치가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basic step (S100) is to form a recess (H) in the form of the bottom of the ground through the excavation work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urface area of the multi-storey container house body 200, the recess (H) When the multi-level container house body 200 is er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basement layer is formed through the multi-layer container house body as a layer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layer of the bottom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recess H and joined. It is possible, at the same tim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ngitudinal standing installation of the multi-storey container house body can be installed more stably.

한편, 종방향으로 기립형성된 상기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 일면에 와이어 또는 결합부재가 결합되어 지면 또는 주변 구조물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200)의 구조적 안정성을 보강하는 보강단계(S6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a wire or coupling member is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multilayer container house body standing up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be fixed to the ground or the surrounding structure, thereby reinforcing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multilayer container house body 200 (S600)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본 발명은 가로형태의 컨테이너를 한 번의 크레인작업공정을 통해 설치장소에 종방향으로 기립설치함으로써, 복층구조의 컨테이너 설치가 한 번에 이루어지고, 별도의 지면에 대한 수직도를 종래 횡방향의 컨테이너를 적층하여 복층 컨테이너를 이루는 시공과정에서와 같이 반복적으로 수직도를 맞출 필요 없이 시공이 간편하며, 시공비용이 절감되고, 가로형태의 컨테이너 적층구조에 따른 복층형태와 달리 설치 공간의 제약이 적어 공간 활용도가 극대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tainer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is installed at a time by vertically installing the horizontal container in the installation site through a single crane working process, and the vertical degree of the container in the conventional transverse direction is obtained. It is easy to install without the need to repeatedly adjust the verticality as in the construction process of forming a multi-layer container by stacking the multi-layer container, and the construction cost is reduced, and unlike the multi-layer type according to the horizontal container stacking structure, the space of installation is small.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maximized utilization.

또한, 본 발명은 수직도의 불량으로 인한 종래 적층형태의 복층구조를 가진 컨테이너하우스의 안전성에 대비하여 복층을 이루는 매 층마다 수직도를 맞출 필요가 없어 수직도를 조정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컨테이너 수직도 불량에 따른 안전성 문제가 방지되어 높은 안전성 및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되고, 복층을 일체로 형성한 컨테이너 하우스간에 결합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복층구조를 가진 컨테이너 하우스의 제작이 가능하여 소비자 취향에 따른 컨테이너 하우스의 생산이 가능하고, 종래 철근 콘크리트 건물과도 조화롭게 형성이 가능함은 물론, 폐 컨테이너를 재활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adjust the verticality of each floor constituting the multi-storey in order to prepare for the safety of the container house having a multi-layered stack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stack due to the poor verticalness of the container generated in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verticality Safety problems due to poor roads are prevented, and high safety and structural stability are secured, and container houses having various types of multi-layered structures can be manufactured by combining between container houses having integrally formed double layers. It is possible to produce, can be formed in harmony with conventional reinforced concrete buildings, as well as by recycling waste containers, there i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advantage.

도 1은 종래 복층 구조의 컨테이너 하우스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층구조의 컨테이너 하우스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층구조의 컨테이너 하우스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층구조의 컨테이너 하우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층구조의 컨테이너 하우스 시공방법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층구조의 컨테이너 하우스 시공방법의 시공계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층구조의 컨테이너 하우스 시공방법의 기초단계를 통한 지하층의 형성하는 시공방법의 실시예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복층구조의 컨테이너 하우스 시공방법을 통한 설치예를 도시한 실시예시도이다.
1 is a front view of a container house of a conventional multilayer structure.
2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house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ontainer house of a multi-layere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container house of a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block diagram of a container house construction method of a multi-layere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struction schematic diagram of a container house construction method of a multi-layere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construction method for forming a basement floor through the basic steps of the construction method for a container house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exemplary views showing an installation example through a container house construction method of a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복층구조의 컨테이너 하우스 및 시공방법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container house and construction method of a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층구조의 컨테이너 하우스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층구조의 컨테이너 하우스의 측면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층구조의 컨테이너 하우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층구조의 컨테이너 하우스 시공방법 블럭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층구조의 컨테이너 하우스 시공방법의 시공계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층구조의 컨테이너 하우스 시공방법의 기초단계를 통한 지하층의 형성하는 시공방법의 실시예시도이며,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복층구조의 컨테이너 하우스 시공방법을 통한 설치예를 도시한 실시예시도이다.
2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multi-layered container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multi-layered container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other embodiment of a multi-layered container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igure 5 is a block diagram of a container house construction method of a multi-layere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onstruction schematic diagram of a container house construction method of a multi-layered structur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7 8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construction method for forming a basement layer through a foundation step of a container hous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8 and 9 illustrate an installation example through a container house construction method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 illustration.

통상의 컨테이너는 ISO 규격에 따른 길이-폭-높이 최저가 3.048m(10피트)-2.438m(8피트)-2.62m(8.6피트)에서 최대가 13.716m(45피트)-2.438m(8피트)-2.62m(8.6피트)로 형성되어 통용되고 있다. 이러한 통상의 컨테이너의 규격을 보면 가로 방향의 횡방향 길이에 따라 그 규격을 나누고 있고, 각각의 규격에 따른 컨테이너의 높이와 폭은 동일한 것을 알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컨테이너는 차량을 통한 이동성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폭은 2.438m에서 최대 5m 까지 제한된다. 실질적으로 5m가 초과되면 국내 도로 여건 및 차량이동에 문제가 발생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컨테이너를 이용한 컨테이너 하우스의 형상에 따라 길이와 폭을 결정하여 컨테이너를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typical container has a length-width-height from 3.048 m (10 ft) to 2.438 m (8 ft) to 2.62 m (8.6 ft) at a maximum of 13.716 m (45 ft) to 2.438 m (8 ft) It is commonly used, forming at -2.62 m (8.6 ft). When looking at the standard of such a container, the standard is divided according to the horizontal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t can be seen that the height and width of the container according to each standard are the same. Moreover, such containers are limited in width from 2.438 m up to 5 m in order to facilitate mobility through the vehicle. This is because if the actual length exceeds 5m, problems in domestic road conditions and vehicle movements will occur.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select the container by determining the length and width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ontainer house using the container.

따라서, 이와 같은 길이에 따른 ISO 규격의 컨테이너를 이용한 컨테이너 하우스의 제작을 살펴보면 앞서 종래기술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단층을 이루는 것이 대부분이다. 또한, 복층을 이루기 위해서는 복수의 컨테이너를 구비하여 적층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어 그 시공이 상당히 복잡하고, 공간의 효율적 사용에 제한적인 것을 본 발명에 따른 복층구조의 컨테이너 하우스 및 시공방법을 통해 해결하게 되었다.
Therefore, when looking at the production of a container house using a container of the ISO standard according to the length 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prior art it is mostly to form a single layer. In addition, a multi-layered container house and a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olved by forming a plurality of containers and stacking them in order to form a multilayer. .

본 발명에 따른 복층구조의 컨테이너 하우스는 가로길이가 최저 3m에서 최대 13m 및 폭 2.4m에서 최대 5m에 이르는 컨테이너의 가로길이방향을 세로길이방향으로 기립시켜 단일 컨테이너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여 복층으로 형성함으로써, 컨테이너의 횡에서 종으로 기립시키는 시공과정만으로 복층 구조의 컨테이너 하우스의 시공이 가능하여 공기의 단축과 시공비의 절감 및 장소의 제약 한계를 해소할 수 있고, 최근 각광받고 있는 철근 콘크리트 건물 사이의 틈세 하우스로의 설비가 가능함은 물론, 폭 2m에서 최대 5m의 컨테이너를 통한 이동성을 갖춘 것이다.
The container house of the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ands in the vertical length direction of the horizontal length direction of the container having a horizontal length of at least 3m to 13m and a width of 2.4m to a maximum of 5m to partition the inner space of a single container to form a double layer Thus, the construction of a multi-story container house is possible only by the construction process of standing up vertically from the side of the container, which can shorten the air,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and eliminate the limitations of the place. It can be installed in a niche house, as well as with portability of containers from 2m to 5m in width.

이와 같은 횡방향의 컨테이너는 최저 3m의 컨테이너의 경우에는 내부공간의 구획을 다락방과 같은 형태의 복층형태를 구현할 수 있고, 최대 13m에 이르는 컨테이너의 경우에는 통상 층간 높이를 이루는 약 2m60Cm로 구성할 경우 5층 정도의 단일화된 복층구조의 컨테이너 하우스 시공이 가능한 것은 자명하다.
In the case of a container having a width of at least 3m, the inner space can be divided into a multi-layered form such as an attic. For a container of up to 13m, the container has a height of about 2m60Cm. Obviously,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container house with a single, five-story container structure.

또한, 폭이 최저 2.4m에서 최대 5m의 컨테이너의 선정으로 내부공간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컨테이너 하우스의 특성상 차량을 통한 국내 도로사정에 적합한 이동성의 장점에 부합할 수 있게 되어 설치장소의 면적 및 위치의 제약이 없는 것이다.
In addition, by selecting a container with a width of at least 2.4m and a maximum of 5m, not only can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internal space be improved, but also, as mentioned above, the container house meets the advantages of mobility suitable for domestic road conditions through vehicles. It is possible to do so, there is no restriction of the area and location of the installation place.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뛰어난 장점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복층구조의 컨테이너하우스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장소에 횡방향의 컨테이너를 종방향으로 기립시켜 복층을 이루되,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 고정수단(100),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200), 출입계단(300)으로 구성된다.
Therefore, the container house of the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excellent advantages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ure 2, to form a double layer by standing the contain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e installation pl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igure 2 and Figure As shown in 3, it comprises a container fixing means 100, a multi-layer container house 200, the entrance stairway (300).

상기 컨테이너 고정수단(100)은 컨테이너 하우스가 지면에 설치고정되도록 콘크리트 타설을 통해 지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컨테이너 고정수단(100)은 지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에 결합된 앵커체(102)로 형성되거나, 지면에 콘크리트 홀(102')로 형성된다. 즉, 상기 컨테이너 고정수단(100)이 앵커체(102)로 형성될 경우 후술되는 컨테이너 하우스체(200)가 종방향으로 기립고정시 앵커체에 결합되는 앵커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후자의 콘크리트 홀(102')로 형성될 경우에는 콘크리트 홀(102')에 끼움결합되는 고정지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tainer fixing means 100 is formed on the ground through concrete pouring so that the container house is fixed to the ground. Here, the container fixing means 100 is concrete is poured on the ground, formed of an anchor body 102 coupled to the poured concrete, or formed of concrete holes 102 'on the ground. That is, when the container fixing means 100 is formed as the anchor body 102,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ainer house body 200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as an anchor hole coupled to the anchor body when standing uprigh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latter concrete. In the case where the hole 102 'is formed, it is preferable that the hole 102' is formed of a fixed column fitted to the concrete hole 102 '.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하우스체를 통해 복층으로 컨테이너 하우스를 형성시, 복층을 형성한 컨테이너 하우스체 단일체 하나만 지면에 대해 수직도를 조정함으로써, 별도의 추가적 수직도 조정이 필요하지 않아 시공 공정이 단축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더욱이, 종래 컨테이너의 적층을 위한 반복적인 크레인 작업과 수직도 작업이 필요하지 않아 공기 단축 및 시공비 절감을 가져오는 것이다.
Therefore, when forming a container house in a multi-layer through the container hous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djusting the vertical degree with respect to the ground only one container house body formed in the multi-layer, no additional vertical adjustment is required, the construction process Shortening is self-evident. Moreover, the repetitive crane work and the vertical work for the stacking of the conventional container are not necessary, resulting in the reduction of the air and the construction cost.

한편, 전술한 상기 컨테이너 고정수단(100)에 종방향으로 기립설치되어 복층을 이루는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200)는 내부공간을 행으로 구획하여 종으로 기립함에 따라 행으로 구획된 공간이 열로 형성된 복층을 단일 컨테이너로 구현이 가능한 것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로 길게 횡(橫)방향으로 형성되어 내부공간(S)이 형성된 직육면체형상의 컨테이너에 상기 내부공간(S)으로 출입이 가능한 출입문과 다수의 창문이 형성된 컨테이너 본체(C)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컨테이너 본체(C)의 내부 공간(S)을 행(行)으로 구획하고, 행으로 내부 공간(S)이 구획된 상기 컨테이너 본체(C)를 종(縱)방향으로 기립하여 행으로 구획된 내부 공간(S)이 열(列)로 변경됨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S)이 각각의 층을 형성하여 일체형 복층을 형성하도록 전술한 상기 컨테이너 고정수단(100)에 결합되어 지면에 대하여 수직도를 유지한 상태로 고정된다.
On the other hand, the multi-storey container house body 200, which i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container fixing means 100 to form a double layer is divided into a row by partitioning the inner space in rows to form a vertical floor formed in columns 2 can be implemented as a single container, as shown in Figures 2 and 3,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horizontal (long) (long) direction to the internal space (S)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container to the internal space (S) A container body C having a door and a plurality of windows, which are accessible, is provided. Then, the inner space S of the container body C is partitioned in rows, and the container main body C in which the inner space S is partitioned in rows is er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be in a row. As the partitioned inner space S is changed into rows, the inner space S is coupled to the container fixing means 100 described above to form the respective layers to form an integral double layer, and is perpendicular to the ground. It is fixed while keeping the degree.

이와 같은 상기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200)는 층간 구획판(210), 간극조절지지판(220), 고정결합수단(230)으로 구성된다.
The multilayer container house body 200 is composed of an interlayer partition plate 210, a gap control support plate 220, and fixed coupling means 230.

상기 층간 구획판(210)은 가로로 길게 형성된 횡방향의 상기 컨테이너 본체(C)를 종방향으로 기립시 복층을 이루도록 컨테이너 내부 공간(S)을 행으로 구획하는 것으로, 최초 횡방향의 가로형 컨테이너 본체(C)시 측벽과 같이 내부 공간(C)을 구획한다. 여기서, 내부 공간(C)의 구획시에는 가로폭이 2.4m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유는 일반적으로 주택건설기준등에 관한 규칙에 의하여 층간 높이를 설정하는 것으로, 가로형 컨테이너 본체(C)가 종방향으로 기립될 경우 측간 구획판(210)에 의해 구획된 가로 공간이 층간 높이로 구성되기 때문에 주택건설기준등에 관한규칙에 의하여 2.4m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이다.
The interlayer partition plate 210 divides the container inner space S in rows so as to form a double layer when the container body C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s vertically er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container body in the first transverse direction. In (C), the inner space C is partitioned like the side wall. Here, in the division of the internal space C, the width is preferably formed to be 2.4 m or more. The reason is to generally set the height between floors according to the rules on housing construction standards. When the horizontal container body C sta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horizontal space partitioned by the side partition plate 210 is composed of the height between floors. Therefore, it is formed more than 2.4m according to the rules on housing construction standards.

이와 같은 상기 층간 구획판(210)은 상기 컨테니어 본체(C)가 종방향으로 기립하여 설치될 경우를 고려하여 내부 공간(C)을 구획함과 동시에 층을 이루는 천정임과 동시에 바닥이 되는 것을 감안하여 복층에 사람이 올라갈 경우 그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다수의 리브(도면부호 생략)가 받침되거나 별도의 받침지주를 형성하여도 바람직하다.
The interlayer partition plate 210 as described above partitions the interior space C in consideration of the case in which the container main body C i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forms a ceiling and forms a floor. In view of this, it is preferable that a large number of ribs (not shown) are supported or a separate support column is formed to withstand the load when a person climbs to the double layer.

상기 다수의 간극조절지지판(220)은 가로방향인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상태의 상기 컨테이너 본체(C) 바닥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컨테이너 본체(C)를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로 완성하여 종방향으로 기립설치시, 바닥측의 간극조절지지판이 선회점으로 작용하도록 함과 함께 차량에 이동시, 차량과의 충격을 감소하기 위한 완충역할을 하도록 형성된다.
The plurality of gap control support plates 220 ar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C in a state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stand up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completing the container body C with a multilayer container house body. In the installation, the gap adjusting support plate on the bottom side acts as a pivot point and is formed to act as a buffer for reducing the impact with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is moved.

즉,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간극조절지지판(220)은 상기 층간 구획판(210)에 의해 내부 공간(S)이 행으로 구획된 상기 컨테이너 본체(C) 외측 바닥면 좌우양단 및 바닥면 일면에 다수 형성되고, 상기 컨테이너 본체(C)를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로 이동시 차량에 적재가 용이하도록 함과 함께, 상기 컨테이너 본체(C)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 및 설치장소에 종방향으로 기립시 바닥면에 접하여 파손없이 기립 설치가 가능하게 받침목 역할을 하도록 형성된다.
That is, in more detail, the gap control support plate 220 has a plurality of inner and outer bottom surfaces of the container body C in which the inner space S is partitioned in rows by the interlayer partition plate 210, and 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It is formed, and the bottom surface when sta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buffer and installation place for preventing the damage of the container body (C), while also easy to load in the vehicle when moving to the place where the container body (C) is to be installed It is formed so as to support the stand standing without damage to the stand.

상기 고정결합수단(230)은 종방향으로 기립설치되는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가 전술한 컨테이너 고정수단에 고정결합되도록 마련된 것으로, 상기 컨테이너 본체(C)를 설치장소에 종방향 기립 설치시 컨테이너 본체를 통해 형성된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200)의 바닥을 이루는 일면 외측으로 다수 형성되어 상기 컨테이너 고정수단(100)에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컨테이너 고정수단(100)이 앵커체(102)일 경우에는 상기 고정결합수단(230)은 앵커공(234)이 형성된 앵커결합편(232)으로 형성되고, 콘크리트 홀(102')일 경우에는 상기 고정결합수단(230)은 고정지주(232')로 형성된다.
The fixed coupling means 230 is provided so that the multi-layer container house body standing uprigh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ixedly coupled to the container fixing means described above, formed through the container body when the container body (C) i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position in the installation place It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container fixing means 100 is formed in a plurality of the outer side forming the bottom of the multi-storey container house body 200. Here, when the container fixing means 100 is an anchor body 102, the fixed coupling means 230 is formed of an anchor coupling piece 232 formed with an anchor hole 234, concrete hole 102 ' In this case, the fixed coupling means 230 is formed of a fixed support 232 ′.

이와 같은 상기 고정결합수단(230)과 상기 컨테이너 고정수단(100)의 결합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상술한 전자의 앵커공(234)이 형성된 앵커결합편(232)의 경우에는 앵커체(102)를 형성한 컨테이너 고정수단에 끼움결합한 후, 볼트체결하여 상기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200)가 상기 컨테이너 고정수단(100)에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앵커체 결합에 의해 상기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200)의 수직도를 조정할 수 있고, 추후, 별도의 보강작업을 통해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의 수직도를 조정하여 복층 컨테이너 하우스가 견고히 기립시공이 가능하다.
As shown in FIG. 3, the combination of the fixed coupling means 230 and the container fixing means 100 is anchored in the case of the anchor coupling piece 232 having the aforementioned anchor hole 234 formed above. After fitting to the container fixing means to form a sieve 102, and bolted to ensure that the multi-layer container house body 200 is coupled to the container fixing means 100. In this case, the verticality of the multi-layer container house body 200 can be adjusted by the anchor body coupling, and later, the multi-level container house is firmly erected by adjusting the vertical degree of the multi-layer container house body through a separate reinforcement work. It is possible.

한편, 후자의 콘크리트 홀(102')로 형성된 상기 컨테이너 고정수단(100)의 구성을 통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 바닥측에 고정지주(232')가 형성되도록 함에 따라 별도의 수직도를 조정하지 않아도 최초 콘크리트 홀(102')의 수직도와 고정지주(232')의 수직도에 의해 수직도 조정작업을 간소화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견고히 복층 컨테이너 하우스의 시공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4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ainer fixing means 100 formed of the latter concrete hole (102 '), as the fixing column 232' is formed on the bottom side of the multi-layer container house body Even without adjusting the verticality, the verticality adjustment is simplified by the verticality of the first concrete hole 102 'and the verticality of the fixing column 232'. .

상기 출입계단(300)은 도 2 내지 도 4 및 도 7,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상기 복층을 형성하는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200) 외측면 또는 내부 공간에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의 복층으로 층간이동 출입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체형의 복층을 이루는 컨테이너 하우스에 사용자가 직접 이동하는 출입계단(300)으로 구성되지만 구조적 설치형태에 따라 층간 이동이 가능한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 등으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
As shown in FIGS. 2 to 4, 7 and 9, the entrance stairway 300 is a multi-layer container house body on an outer surface or an inner space of the multi-storey container house body 200 which integrally forms the multi-layer. The floor is provided to move in and out. Although it consists of the access stairway 300 to the user to move directly to the container house constituting an integrated multi-storey floo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hange to an escalator, elevator, etc. that can be moved between floors according to the structural installation form.

한편, 앞서도 잠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 고정수단(100)이 지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에 결합된 앵커체(102)로 형성되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하면 전술한 상기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200)의 상기 고정결합수단(230)을 상기 앵커체(102)와 결합되는 앵커공(234)이 형성된 앵커결판편(232)으로 형성하여 상기 컨테이너 본체(C)를 종방향으로 기립 설치되어 고정되도록 형성하여도 바람직히다.
On the other hand, as mentioned earlier, when the container fixing means 100 is formed as shown in Figure 3 so that the concrete is poured into the ground, the anchor body 102 coupled to the poured concrete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container body C may be formed by forming the anchor binding piece 232 having the anchor hole 234 coupled to the anchor body 102 by the fixed coupling means 230 of the multilayer container house body 200. It is preferable to form so as to stand and be fixed in the direction.

나아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 고정수단(100)을 지면에 콘크리트 홀(102')로 형성하게 되면 상기 고정결합수단(230)은 상기 콘크리트 홀(102')에 끼움결합되는 고정지주(232')로 형성되어 상기 컨테이너 본체(C)를 종방향으로 기립시 지면에 대하여 수직도를 유지한 콘크리트 홀(102')에 단순히 끼움결합함으로써,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가 수직도를 유지한 상태로 바로 결합되는 것이다. 즉, 한 번의 고정작업으로 수직도까지 동시에 조정하여 결합이 됨에 따라 컨테이너 하우스의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Furthermore, as shown in FIG. 4, when the container fixing means 100 is formed in the ground as a concrete hole 102 ′, the fixing coupling means 230 is fitted to the concrete hole 102 ′. Formed by struts 232 ', the container body C is simply fitted into the concrete hole 102' that is perpendicular to the ground when the container body C is er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by maintaining the vertical degree. To be combined immediately. In other words, as the combination is adjusted to the vertical degree at the same time in one fixed operation,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container house can be shortened, and the construction cost can be reduced.

이와 같은 구성의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복층구조의 컨테이너 하우스는 종방향으로 기립되는 높이가 서로 다른 컨테이너 하우스체를 시공시, 근접시켜 서로 결합하여 시공하게 되면 낮은 층의 상부를 데크로 꾸미거나, 중간층은 서로 연결시켜 공간활용을 좀더 넓게 사용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 of such a configuration, the container house of the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decorating the container house body having a different height sta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the construction is coupled to each other close to decorate the top of the lower floor to the deck or The intermediate layers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allow more space utilization.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컨테이너 하우스체가 시공되는 지면의 위치에 따라 별도로 떨어져 시공이 될 경우에는 연결통로를 별도 설치하여 "H" 형태의 구조물로 변형실시가 가능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9, when a plurality of container house body is separated apar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ground to be constructed, it is possible to deform to the structure of the "H" form by installing a connection passage separately.

즉, 본 발명에 따른 복층구조의 컨테이너 하우스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물의 변경형태 이외에도 다양하게 변경이 용이하여 주변환경과도 조형물과 같은 장식적 미감을 표출하면서 어우러짐은 물론, 그 실용성과 시공의 편리성을 통한 뛰어난 효과가 달성된다.
That is, the container house of the multi-layere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be modified in addition to the change form of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while expressing a decorative aesthetic like the sculpture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s well as its practicality and construction. Excellent effect through convenience is achieved.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복층구조의 컨테이너 하우스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단계(S100),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 준비단계(S200),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 설치단계(S300), 출입계단 설치단계(S400), 수직도 조정단계(S500)를 통해 컨테이너 하우스의 설치시공이 가능하다.
In order to construct a container house of a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ure 5, the foundation step (S100), a multi-level container house body preparation step (S200), a multi-layer container house body installation step ( S300), installation and installation of the container house is possible through the access stairway installation step (S400), the vertical adjustment step (S500).

한편, 상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초단계(S100)는 본 발명에 따른 복층구조의 컨테이너 하우스를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 기초를 형성하는 것으로, 통상 지면을 다짐하고 그 위에 콘크리트 타설과 함께 앵커체 또는 콘크리트 홀의 컨테이너 고정수단(100)을 형성하여 지면과 컨테이너 본체(C)가 결합고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기초단계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에 앵커체를 함께 양생하여 형성하거나, 콘크리트로 수직도를 형성한 콘크리트 홀을 형성하여도 좋다. 아울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을 텃파기하여 복층구조의 컨테이너 하우스체(200)의 일부를 지면 밑으로 내입되어 지하층을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5 and 6, the foundation step (S100) is to form a foundation in the place where you want to install a container house of a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usually compacted the ground and concrete thereon The container fixing means 100 of the anchor body or the concrete hole together with the pouring is formed so that the ground and the container body C are coupled and fixed. Here, the basic step may be formed by curing the anchor body together with concrete, as described above, or may form a concrete hole having a vertical degree of concrete. 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7, the ground may be dug so that a part of the container house body 200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may be inserted under the ground to form an underground layer.

상기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 준비단계(S200)는 전술한 기초단계를 통해 지면에 시공된 앵커체 또는 콘크리트 홀에 결합하여 복층컨테이너 하우스가 형성되도록 컨테이너 본체(C)를 구획하여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200)를 형성하는 단계로, 가로로 길게 형성된 횡방향의 컨테이너 본체(C)를 종방향으로 기립시 복층을 이루도록 상기 컨테이너 본체(C) 내부 공간(S)을 행으로 다수의 층간 구획판(210)을 통해 구획한다.
The multi-layer container house body preparation step (S200) is a multi-layer container house body 200 by partitioning the container body (C) to form a multi-storey container house is coupled to the anchor body or concrete hole installed on the ground through the above-described basic steps In the step of forming a plurality of interlayer partition plates 210 in a row in the container body (C) inner space (S) to form a double layer when sta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body (C)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mpartment through.

다음으로, 상기 층간 구획판(210)에 의해 내부 공간(S)이 행으로 구획된 상기 컨테이너 본체(C) 외측 바닥면 좌우양단 및 바닥면 일면에 다수 형성되어 상기 컨테이너 본체((C)를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로 이동시 차량에 적재가 용이하고, 상기 컨테이너 본체(C)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 및 설치장소에 종방향으로 기립시 바닥면에 접하여 파손없이 기립 설치가 가능하게 받침목 역할을 하도록 다수의 간극조절지지판(220)을 형성하며, 상기 컨테이너 본체(C)를 설치장소에 종방향 기립 설치시 바닥을 이루는 일면 외측으로 다수 형성되어 앵커체 또는 콘크리트 홀로 형성된 상기 컨테이너 고정수단(100)에 결합되도록 고정결합수단(230)을 마련한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200)를 제작준비한다.
Next, a plurality of inner spaces (S) of the container main body (C), which are divided into rows by the interlayer partition plate (210), are form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outer bottom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to install the container body (C). When moving to a desired place, it is easy to load on the vehicle, and when sta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buffer and installation place to prevent the damage of the container body (C) in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to serve as a supporting neck to enable the standing installation without damage Forming a gap control support plate 220, and the container body (C) is formed on the outside of one surface forming a floor when the longitudinal standing in the installation place is coupled to the container fixing means 100 formed of anchors or concrete holes The multi-layer container house body 200 having the fixed coupling means 230 is prepared to be prepared.

상기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 설치단계(S300)는 상기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 준비단계를 통해 준비된 횡방향의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200)를 종방향으로 기립시켜 상기 층간 구획판(210)에 의해 행으로 구획된 내부공간(C)이 열로 배열됨에 따라 복층을 형성하도록 상기 컨테이너 본체(C) 바닥면 일단에 형성된 상기 간극조절지지판(220)을 지면에 접하도록 하여 이를 기준으로 상기 컨테이너 본체(C)를 크레인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종방향으로 기립시킨 후, 상기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 전체를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이상 들어올린 후, 상기 고정결합수단(230)이 상기 기초단계의 컨테이너 고정수단(100)에 대응되어 고정결합되도록 한다.
The multi-layer container house body installation step (S300) is divided into a row by the interlayer partition plate 210 by sta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multi-layer container house body 200 prepared in the lateral container house body preparation step. As the inner space C is arranged in a row, the gap control support plate 220 formed at one end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C is contacted with the ground so as to form a double layer. After sta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using the equipment of the, after lifting the entire multi-level container house body from the ground by a predetermined height or more, the fixed coupling means 230 is fixed to correspond to the container fixing means 100 of the foundation step To be combined.

상기 출입계단 설치단계(S400)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초단계를 통해 형성된 컨테이너 고정수단(100)에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를 종방향으로 기립하여 고정결합한 후, 복층컨테이너 하우스를 완성하고,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의 각각의 구획된 층간 출입이 용이하도록 출입계단(300)을 상기 컨테이너 본체(C)의 일면 또는 구획된 내부 공간에 요구되는 위치에 따라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출입계단(300) 이외에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등의 자동 승하강장치가 설치되어도 좋다.
The entrance stairway installation step (S400) is, as described above, after standing up and fixing the multi-storey container hous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container fixing means 100 formed through the foundation step, to complete the multi-storey container house, the double-layer The access stairway 300 is installed according to a position required for one side of the container main body C or a partitioned inner space to facilitate entry and exit of each compartment of the container house. Here, an automatic elevating device such as an elevator or an escalator may be provided in addition to the access step 300.

상기 수직도조정단계(S500)는 상기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200) 내부 마감처리 및 종방향으로 기립된 상기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의 수직도를 조정하여 구조정 안정성을 확보하는 단계로, 기초단계를 통해 형성된 컨테이너 고정수단(100)의 앵커체 또는 콘크리트 홀에 상기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200)가 결합시, 지면으로부터 수직도가 삐뚤어지게 되면 컨테이너 하우스의 기울기가 발생되고 이로 인해 컨테이너 하우스의 시공불량을 초래하여 컨테이너 하우스 자체가 무너지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수직도를 정확히 맞추어 조정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수직도 조정은 통상의 수직도 측정장비와 크레인 등의 장비를 통해 조정한다.
The vertical degree adjusting step (S500) is a step of securing structural stability by adjusting the verticality of the interior of the multilayer container house 200 and the vertical container house body standing up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the multi-layer container house body 200 is coupled to the anchor body or concrete hole of the container fixing means 100, if the vertical degree is skewed from the ground, the container house is inclined and this causes a poor construction of the container house. It is a step to adjust the verticality precisely because safety accidents such as the container house itself may collapse. Here, the verticality adjustment is adjusted through the equipment such as a normal vertical measurement equipment and a cran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복층구조의 컨테이너 하우스 시공방법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컨테이너 하우스 시공이 가능한 것으로,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4층과 3층을 이루는 종방향의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200)를 서로 겹쳐 시공하면 최초 3층의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200)를 먼저 시공하는 데, 컨테이너 고정수단(100)에 3층의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200)를 수직도를 조정하여 시공한다. 이후, 4층에 해당되는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200)는 크레인을 통해 들어올려 컨테이너 고정수단(100)에 고정결합수단(230)과 대응하여 결합한다.
The container house construction of various forms is possible through the container house construction method of the multi-layere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8, a multi-layered container house body consisting of four and three layer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the 200 overlaps with each other, the first three-layered container house body 200 is first constructed, and the three-layered container house body 200 on the container fixing means 100 is constructed by adjusting the vertical degree. . Thereafter, the multi-layer container house body 200 corresponding to the fourth floor is lifted up through a crane and coupled to the container fixing means 100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xed coupling means 230.

이때, 4층에 해당되는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200)는 별도의 수직도를 조정하지 않더라도 이미 3층의 수직도가 조정되어 시공된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200)를 통해 수직도가 맞춰지게 되어 다수의 층을 형성한 컨테이너 하우스의 변형된 실시예의 시공이 용이하다.
At this time, the multi-layer container house body 200 corresponding to the fourth floor is adjusted to the vertical degree through the multi-layer container house body 200, which has already been constructed by adjusting the verticality of the third floor even if a separate vertical degree is not adjusted. The construction of the modified embodiment of the container house in which the layer is formed is easy.

이를 대별하기 위해서 종래의 4층과 3층의 복층 형태의 가로방향의 횡형 컨테이너 하우스는 하나의 컨테이너 본체를 지면에 기초시공하고, 그 상단에 적층하기 때문에 4층의 경우 4번의 크레인작업과 4번의 수직도 조정작업이 필요로 하며, 4층 옆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도 8과 같은 3층의 컨테이너 하우스가 함께 이어지는 형태를 취하기 위해서는 다시금 3번의 크레인 작업과 3번의 수직도 조정작업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총 7번의 크레인 작업과 7번의 수직도 작업이 요하게 되어 앞서 상술한 도 8의 구성과 같은 본원 발명의 다수의 층을 이룬 컨테이너 하우스의 시공과 대비할 때 현저히 본 발명의 시공방법이 간소화되고, 이로 인해 시공비 절감과, 구조적 안정성 및 장소의 제약에서 종래 컨테이너 하우스에 대비하여 감소될 수 있는 것이다.
In order to classify this, conventional horizontal and horizontal container houses of four and three floors have a single container body based on the ground and are stacked on top of them. Since verticality adjustment work is required, and in order to take the form of three-story container house as shown in FIG. 8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ext to the fourth floor, three crane operations and three verticality adjustment operations are necessary again. In total, seven crane works and seven vertical work are required,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gnificantly simplified as compared with the construction of a plurality of layered container houses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the configuration of FIG. 8 described above. It can be reduced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container house in the construction cost reduction, structural stability and location constraints.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층 컨테이너 하우스체(200)를 동시에 이음하여 다양한 형태로 소비자 취향에 맞추어 배치 및 제작이 가능한 것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4층과 3층 사이에 발코니를 형성하거나,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복층 컨테이너 하우스체(200) 사이에 이동통로를 설치하여 "H" 자 형태의 구조물 제작도 가능하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8, the multi-storey container house 200 may be simultaneously connected and arranged and manufactured according to consumer taste in various forms. As shown in FIG. 8, the balcony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ourth and third floors. Although not shown, it is also possible to manufacture a structure of the "H" shape by installing a moving passage between the multi-storey container house body 200.

더욱이, 최근 시행되고 있는 일반 철골콘크리트 건물 사이에 설치되는 틈새하우스와 같이 적은 면적에 협소한 공간을 요하는 구조물에도 본 발명에 따른 복층 컨테이너 하우스체(200)와 같이 횡방향을 종방향으로 기립하여 복층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최적의 틈새하우스의 생산이 가능하다.
Moreover, even in a structure requiring a small space in a small area, such as a niche house installed between general steel frame concrete buildings, which has been recently implemented, like the multi-layer container house body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verse direction is er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forming a multilayer, it is possible to produce an optimal niche house at a lower cost.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기초단계(S100)에서 상기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200)의 바닥면 면적에 해당되는 텃파기 공사를 통해 지면 바닥이 요입된 형태로 요입구(H)를 형성하고, 상기 요입구(H)에 상기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200)를 종방향으로 기립시 바닥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층에 해당되는 층이 상기 요입구(H)에 내입되어 결합됨에 따라 지하층을 상기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를 통해 형성이 가능하며, 동시에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의 종방향 기립설치가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가능하도록 하여 변형 실시하여도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7, in the above-described basic step (S100) through the digging work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urface area of the multi-storey container house body 200 in the form of the recessed inlet (H) When forming the multi-layer container house body 2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inlet (H), the base layer as the layer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layer of the bottom portion is incorporated in the inlet (H) is coupled It is possible to form the through the multi-layered container house body, and at the same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longitudinal standing installation of the multi-layered container house body to be more stably installed to be modified.

또한, 종방향으로 기립형성된 상기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200) 일면에 와이어 또는 결합부재가 결합되어 지면 또는 주변 구조물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200)의 구조적 안정성을 보강하는 보강단계(S600)를 더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은 지형에서는 지형지물을 적절히 이용하여 와이어 내지는 인접 구조물 내지는 건물에 연결바 등을 통해 연결하여 보다 안정적 구조의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의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여도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reinforcing step of reinforcing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multilayer container house body 200 by being coupled to a wire or a coupling member on one side of the multilayer container house body 200 sta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be fixed to the ground or the surrounding structure ( S600) is further included, even in the terrain where the structural stability is not secured, by using the feature properly connected to the wire or adjacent structure or building through a connection bar, such as to enable the construction of a multi-storey container house of a more stable structure desirable.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이동성 및 운송비의 절감이 가능하다. 종래의 복층 구조의 컨테이너 하우스는 다수의 컨테이너 하우스를 차량에 각각 실어 이동함에 따라 다수의 차량이 요구되고, 이로 인한 이동성이 떨어지며 운송비가 과도하게 지출되었지만 본 발명은 단일 컨테이너로 복층의 컨테이너 하우스의 시공이 가능함에 따라 차량 이동성이 우수하고, 운송비의 절감이 가능한 것은 자명한 것이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6,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vehicle mobility and transport costs. Conventional multi-storey container house requires a plurality of vehicles as a plurality of container houses are moved to each vehicle, resulting in poor mobility and excessive transportation costs, bu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struction of a multi-layer container house in a single container. As this is possible, the vehicle mobility is excellent, and it is obvious that the transportation cost can be reduced.

덧붙여 설명하면 앞서도 계속해서 언급하였지만 협소한 장소에 설치가 가능하여 설치제약이 많지 않으며, 도심의 건물 사이의 틈새하우스의 시공을 통해 자원절약 및 시공비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고, 도심의 틈새하우스로 설치 후에도 철거가 용이하여 언제든지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에 부합하여 복층 컨테이너 하우스의 시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도심의 건물과도 조화롭게 마치 블럭을 배치하는 것과 같이 배치가 가능하여 상부에서 확인할 때 "ㄱ, ㄴ, ㄷ, ㅁ" 자형 배치" 정면에서 확인할 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H"자형 배치 및 계단식 배치 등 다양한 변경시공이 가능한 것은 자명하다.
In addition, as mentioned above, the installation can be installed in a narrow place, so there are few installation restrictions, and the construction of a niche house between buildings in the city can bring about resource saving and construction cost, and install as a niche house in the city. Since it is easy to dismantle afterwards,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multi-storey container house at any time to meet the needs of various consumers. Furthermore, the arrangement is possible as if the blocks are arranged harmoniously with the buildings in the city, and when viewed from the top of the "a, b, c, ㅁ"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as shown in FIG. 9, "H" It is obvious that various modifications such as the shape arrangement and the step arrangement can be made.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s within the scope of the description.

C : 컨테이너 본체 S : 컨테이너 본체 내부공간
H : 요입구
100 : 컨테이너 고정수단 102 : 앵커체
102' : 콘크리트 홀 200 :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
210 : 층간 구획판 220 : 간극조절지지판
230 : 고정결합수단 232 : 앵커결합편
234 : 앵커공 232' : 고정지주
300 : 출입계단 S100 : 기초단계
S200 :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 준비단계
S300 :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 설치단계
S400 : 출입계단 설치단계 S500 : 수직도조정단계
S600 : 보강단계
C: Container body S: Container body interior space
H: Inlet
100 container fixing means 102 anchor body
102 ': concrete hall 200: multi-storey container house
210: interlayer partition plate 220: gap control support plate
230: fixed coupling means 232: anchor coupling piece
234: anchor ball 232 ': fixed holding
300: access staircase S100: basic step
S200: Multi-level container house body preparation step
S300: Multi-level container house installation step
S400: entrance stairway installation step S500: vertical degree adjustment step
S600: Reinforcement Step

Claims (7)

컨테이너 하우스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하우스가 지면에 설치고정되도록 콘크리트 타설을 통해 지면에 형성되는 컨테이너 고정수단(100)과; 가로로 길게 횡(橫)방향으로 형성되어 내부공간(S)이 형성된 직육면체형상의 컨테이너에 상기 내부공간(S)으로 출입이 가능한 출입문과 다수의 창문이 형성된 컨테이너 본체(C)가 구비되고, 상기 컨테이너 본체(C)의 내부 공간(S)을 행(行)으로 구획하고, 행으로 내부 공간(S)이 구획된 상기 컨테이너 본체(C)를 종(縱)방향으로 기립하여 행으로 구획된 내부 공간(S)이 열(列)로 변경됨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S)이 각각의 층을 형성하여 일체형 복층을 형성하도록 상기 컨테이너 고정수단(100)에 결합되어 지면에 고정되는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200)와; 일체로 상기 복층을 형성하는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200) 외측면 또는 내부 공간에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의 복층으로 출입이 가능하도록 층간 이동이 가능한 출입계단(300);이 형성되고,
상기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200)는 가로로 길게 형성된 횡방향의 상기 컨테이너 본체(C)를 종방향으로 기립시 복층을 이루도록 컨테이너 내부 공간(S)을 행으로 구획하는 다수의 층간 구획판(210)과; 상기 층간 구획판(210)에 의해 내부 공간(S)이 행으로 구획된 상기 컨테이너 본체(C) 외측 바닥면 좌우양단 및 바닥면 일면에 다수 형성되고, 상기 컨테이너 본체(C)를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로 이동시 차량에 적재가 용이하고, 상기 컨테이너 본체(C)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 및 설치장소에 종방향으로 기립시 바닥면에 접하여 파손없이 기립 설치가 가능하게 받침목 역할을 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간극조절지지판(220)과; 상기 컨테이너 본체(C)를 설치장소에 종방향 기립 설치시 바닥을 이루는 일면 외측으로 다수 형성되어 상기 컨테이너 고정수단(100)에 결합되도록 마련된 고정결합수단(230);으로 형성되며,
상기 컨테이너 고정수단(100)은 지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에 결합된 앵커체(102)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결합수단(230)은 상기 앵커체(102)와 결합되는 앵커공(234)이 형성된 앵커결판편(232)으로 형성되어 상기 컨테이너 본체(C)를 종방향으로 기립 설치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되고나 또는 상기 컨테이너 고정수단(100)은 지면에 콘크리트 홀(102')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결합수단(230)은 상기 콘크리트 홀(102')에 끼움결합되는 고정지주(232')로 형성되어 상기 컨테이너 본체(C)를 종방향으로 기립시 지면에 수직도를 유지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구조의 컨테이너하우스.
A container house, comprising: container fixing means (100) formed on the ground through concrete pouring so that the container house is fixed to the ground; A container main body (C) having a door and a plurality of windows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container formed horizontally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having an inner space (S) formed therein is provided. The interior space S of the container body C is partitioned in rows, and the container body C in which the interior space S is partitioned in rows is erect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o be partitioned in rows. As the space S is changed into rows, the inner space S is coupled to the container fixing means 100 so as to form respective layers to form an integrated double layer. 200); An entrance staircase 300 capable of moving between floors so as to allow entry and exit to a double layer of the double layer container house body integrally with the double layer container house body 200 forming the double layer;
The multilayer container house body 200 includes a plurality of interlayer partition plates 210 partitioning the container internal space S in rows so as to form a double layer when the container body C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s vertically er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ace where a plurality of internal spaces S are partitioned in rows by the interlayer partition plate 210 are form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outer bottom surface and one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and the container body C is to be installed. It is easy to load on the vehicle when moving to, a plurality of gaps formed to serve as a supporting neck to stan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out any damag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when sta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buffer and installation place to prevent damage to the container body (C) Adjusting support plate 220; When the container body (C) is installed on the installation site in the longitudinal standing up a plurality of the outer surface forming a bottom to form a fixed coupling means 230 is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container fixing means 100;
The container fixing means 100 is concrete is poured on the ground, is formed of an anchor body 102 coupled to the poured concrete, the fixing means 230 is an anchor hole coupled with the anchor body 102 234 is formed by the anchor plate piece 232 is formed so that the container body (C) is er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installed or fixed or the container fixing means 100 is a concrete hole (102 ') in the ground It is formed, the fixed coupling means 230 is formed of a fixed support 232 'is fitted into the concrete hole (102') to maintain th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when standing the container body (C)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ulti-storey container house,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sta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지면을 다짐하고 그 위에 콘크리트 타설과 함께 앵커체 또는 콘크리트 홀의 컨테이너 고정수단(100)을 형성하여 지면과 컨테이너 본체(C)가 결합고정되는 기초단계(S100); 가로로 길게 형성된 횡방향의 컨테이너 본체(C)를 종방향으로 기립시 복층을 이루도록 상기 컨테이너 본체(C) 내부 공간(S)을 행으로 다수의 층간 구획판(210)을 통해 구획하고, 상기 층간 구획판(210)에 의해 내부 공간(S)이 행으로 구획된 상기 컨테이너 본체(C) 외측 바닥면 좌우양단 및 바닥면 일면에 다수 형성되어 상기 컨테이너 본체((C)를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로 이동시 차량에 적재가 용이하고, 상기 컨테이너 본체(C)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 및 설치장소에 종방향으로 기립시 바닥면에 접하여 파손없이 기립 설치가 가능하게 받침목 역할을 하도록 다수의 간극조절지지판(220)을 형성하며, 상기 컨테이너 본체(C)를 설치장소에 종방향 기립 설치시 바닥을 이루는 일면 외측으로 다수 형성되어 상기 컨테이너 고정수단(100)에 결합되도록 고정결합수단(230)을 마련한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200)를 준비하는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 준비단계(S200); 상기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 준비단계를 통해 준비된 횡방향의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200)를 종방향으로 기립시켜 상기 층간 구획판(210)에 의해 행으로 구획된 내부공간(C)이 열로 배열됨에 따라 복층을 형성하도록 상기 컨테이너 본체(C) 바닥면 일단에 형성된 상기 간극조절지지판(220)을 지면에 접하도록 하여 이를 기준으로 상기 컨테이너 본체(C)를 종방향으로 기립시킨 후, 상기 고정결합수단(230)이 상기 기초단계의 컨테이너 고정수단(100)에 고정결합되는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 설치단계(S300);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를 출입하기 위해 출입계단(300)을 상기 컨테이너 본체(C)의 일면 또는 구획된 내부 공간에 설치하는 출입계단 설치단계(S400); 상기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200) 내부 마감처리 및 종방향으로 기립된 상기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의 수직도를 조정하여 구조정 안정성을 확보하는 수직도조정단계(S500);를 포함하고,
상기 기초단계(S100)는 상기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200)의 바닥면 면적에 해당되는 텃파기 공사를 통해 지면 바닥이 요입된 형태로 요입구(H)를 형성하고, 상기 요입구(H)에 상기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200)를 종방향으로 기립시 바닥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층에 해당되는 층이 상기 요입구(H)에 내입되어 결합됨에 따라 지하층을 상기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를 통해 형성이 가능하며, 동시에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의 종방향 기립설치가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가능하며,
종방향으로 기립형성된 상기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 일면에 와이어 또는 결합부재가 결합되어 지면 또는 주변 구조물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복층컨테이너 하우스체(200)의 구조적 안정성을 보강하는 보강단계(S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구조의 컨테이너하우스 시공방법.
A basic step (S100) in which the ground and the container body (C) are coupled and fixed by forming a container fixing means (100) of the anchor body or the concrete hole with the concrete being poured thereon; The container body C in the transverse direction formed long horizontally partitioned through the plurality of interlayer partition plates 210 in rows in the container body (C) inner space (S) to form a double layer when sta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interlayer When the container space (C) is moved to a place where the container body (C) is to be installed, a plurality of inner spaces (S) partitioned in rows by the partition plate (210) are form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outer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Easy to load on the vehicle, a plurality of clearance adjustment support plate to act as a supporting neck to stand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sta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buffer and installation place to prevent damage to the container body (C) ( 220 is formed, the container body (C) is fixed to be coupled to the container fixing means 100 is formed in a plurality of the outer side forming the bottom when the longitudinal standing in the installation place to form a bottom A multi-level container house body preparation step (S200) of preparing a multi-layer container house body (200) provided with 230; The gap control support plate 220 formed at one end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C is contacted with the ground to form a multi-layer as the inner spaces C partitioned in rows by the interlayer partition plate 210 are arranged in rows. After erecting the container body (C)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ased on this, the multi-layer container house body installation step of the fixed coupling means 230 is fixedly coupled to the container fixing means 100 of the basic step (S300) Access stair installation step (S400) for installing the access stair 300 in one side or the partitioned interior space of the container body (C) to enter and exit the multi-storey container house body; Inner house body 200 verticality adjustment step of adjusting the verticality of the multilayer container body houses standing in the internal finish and to ensure the longitudinal stability rescue boat (S500); and include,
The foundation step (S100) is formed in the inlet (H) in the form of the bottom of the ground through the excavation work corresponding to the floor area of the multi-storey container house body 200, the inlet (H) When the multilayer container house body 200 is er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base layer can be formed through the multilayer container house body as a layer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layer of the bottom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recess H and joined. At the same time, the vertical standing installation of the multi-level container house body can be installed more stably.
Further comprising a reinforcing step (S600) of reinforcing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multi-layer container house body 200 by being coupled to a wire or coupling member on one side of the multi-layer container house body sta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be fixed to the ground or the surrounding structure. Container house construction method having a multi-storey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20158316A 2012-12-31 2012-12-31 Multi-layer structure of the container house and construction method KR1012973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8316A KR101297303B1 (en) 2012-12-31 2012-12-31 Multi-layer structure of the container house and construc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8316A KR101297303B1 (en) 2012-12-31 2012-12-31 Multi-layer structure of the container house and construction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7303B1 true KR101297303B1 (en) 2013-08-16

Family

ID=49220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8316A KR101297303B1 (en) 2012-12-31 2012-12-31 Multi-layer structure of the container house and construction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7303B1 (en)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709B1 (en) 2014-07-21 2014-09-05 주식회사 엔그린텍 assembly structure of yard floor provied between container typic houses
KR20180001885U (en) 2016-12-15 2018-06-25 김도훈 Container apparatus having complex architecture of ground and underground
KR20190019096A (en) 2015-10-20 2019-02-26 임춘만 An artistic building that enhances the quailty of life
KR20200084293A (en) 2019-09-25 2020-07-10 임춘만 An artistic building that enhances the quailty of life
KR20200084307A (en) 2020-02-10 2020-07-10 임춘만 An artistic building that enhances the quality of life
KR20200084292A (en) 2019-09-25 2020-07-10 임춘만 An artistic building that enhances the quailty of life
KR20210029742A (en) 2021-03-02 2021-03-16 임춘만 An artistic building that enhances the quality of life
KR102308835B1 (en) * 2020-07-13 2021-10-01 조석진 Art Storage and Exhibition Structure Using Container
KR20210122203A (en) 2020-03-31 2021-10-08 임춘만 Smart City Houses and Roads
KR20210122058A (en) 2020-03-31 2021-10-08 임춘만 Smart City Houses and Roads
KR102601126B1 (en) 2023-06-12 2023-11-10 박진용 Non-Corrosive Semi-Permanent Design Container Construction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0072A (en) * 2006-12-27 2008-08-07 Kase Soko:Kk Container obtainable for certificate of confirmation and certificate of inspection based on building standard cod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0072A (en) * 2006-12-27 2008-08-07 Kase Soko:Kk Container obtainable for certificate of confirmation and certificate of inspection based on building standard code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709B1 (en) 2014-07-21 2014-09-05 주식회사 엔그린텍 assembly structure of yard floor provied between container typic houses
KR20190019096A (en) 2015-10-20 2019-02-26 임춘만 An artistic building that enhances the quailty of life
KR20180001885U (en) 2016-12-15 2018-06-25 김도훈 Container apparatus having complex architecture of ground and underground
KR20200084293A (en) 2019-09-25 2020-07-10 임춘만 An artistic building that enhances the quailty of life
KR20200084292A (en) 2019-09-25 2020-07-10 임춘만 An artistic building that enhances the quailty of life
KR20200084307A (en) 2020-02-10 2020-07-10 임춘만 An artistic building that enhances the quality of life
KR20210122203A (en) 2020-03-31 2021-10-08 임춘만 Smart City Houses and Roads
KR20210122058A (en) 2020-03-31 2021-10-08 임춘만 Smart City Houses and Roads
KR102308835B1 (en) * 2020-07-13 2021-10-01 조석진 Art Storage and Exhibition Structure Using Container
KR20210029742A (en) 2021-03-02 2021-03-16 임춘만 An artistic building that enhances the quality of life
KR102601126B1 (en) 2023-06-12 2023-11-10 박진용 Non-Corrosive Semi-Permanent Design Container Construction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7303B1 (en) Multi-layer structure of the container house and construction method
JP5643205B2 (en) Unit building system
CN201217898Y (en) Concrete prefabricated stairs
KR101389203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residential building using precast concrete and modular unit
CN105178433A (en) Precast concrete shear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197689B1 (en) Vertical core structure horizontally assembled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US20230014744A1 (en) Method of Construction
KR101319527B1 (en) Seismic retrofit structure for building remodeling and seismic retrofit method using the same
CN105804232A (en) Space module building
US20060156647A1 (en) Anti-seismic reinforcement and expansion mehtod for building and anti-seismically reinforced and expanded building
EP3833829A1 (en) Method of erecting a multi-storey structure and facade
KR101048470B1 (en) Observation platform having pavilion structure
CN104100000A (en) Steel reinforced concrete frame four-corner barrel bi-directional large-span steel truss mixed structure
JP3123656U (en) Bulkhead structure of cab room hoistway for retrofitted elevators for apartment houses
JP5637357B2 (en)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of existing reinforced concrete apartment houses
KR101279139B1 (en) a Connecting Device of Modular Unit Corridor
JP2000154597A (en)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of building and room unit used therefor
FI122569B (en) A method of raising a building
US20230417046A1 (en) Multi-story building having prefabricated stair and elevator modules
JP2007238315A (en) Partition wall structure for post-installed apartment elevator cab shaft
JP3792211B2 (en) Unit building
JP3116979U (en) Bulkhead structure of cab room hoistway for retrofitted elevators for apartment houses
JP4617918B2 (en) Stairway repair method
RU170796U1 (en) SECONDARY BUILDING HOUSE
Puzey et al. Use of load‐bearing AAC panels in transportable, prefabricated, pre‐finished, modular hou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