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7182B1 - 자동 역광 보정 기능을 구비한 이미지 촬영기기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역광 보정 기능을 구비한 이미지 촬영기기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7182B1
KR101297182B1 KR1020060117221A KR20060117221A KR101297182B1 KR 101297182 B1 KR101297182 B1 KR 101297182B1 KR 1020060117221 A KR1020060117221 A KR 1020060117221A KR 20060117221 A KR20060117221 A KR 20060117221A KR 101297182 B1 KR101297182 B1 KR 101297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image
luminance
backlight
bright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7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7190A (ko
Inventor
이혜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7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7182B1/ko
Publication of KR20080047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7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7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7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6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image sig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61Detection; Localisation; Normal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1Circuitry for evaluating the brightness var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자동 역광 보정 기능을 구비한 이미지 촬영기기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이미지 촬영기기는, 이미지를 촬영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미지 촬영부,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를 분석하여, 이미지 데이터가 역광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이미지 상태 판단부, 및, 판단 결과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를 자동 조정하여 이미지 데이터의 역광을 보정하는 휘도 조정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이미지 촬영기기는 역광 보정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별도의 메뉴 기능 또는 키를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되어 기기 제작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미지 촬영기기, 역광 보정, 인물 이미지

Description

자동 역광 보정 기능을 구비한 이미지 촬영기기 및 그 방법{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function of auto back light compensation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촬영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촬영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촬영기기의 역광 보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촬영기기의 역광 보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0, 200 : 이미지 촬영기기 110, 210 : 이미지 촬영부
120, 220 : 이미지 상태 판단부 130, 230 : 휘도 조정부
본 발명은 이미지 촬영기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촬영시, 이미지 데이터의 역광 상태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의 역광을 자동 보정하는 이미지 촬영기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와 같은 이미지 촬영기기는 촬영 환경에 따라 촬영 조건을 변경함으로써, 보다 좋은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들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기능 중 역광 보정 기능은, 피사체가 빛을 등지고 있는 조건에서 촬영이 수행될 경우, 피사체가 어둡게 촬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정될 수 있다. 특히, 역광 보정 기능은 피사체가 사람일 경우, 필수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역광 보정 기능은 별도의 메뉴 기능 또는 키 등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이미지 촬영기기는 역광 보정 기능 설정에 따라 조리개, 셔터, 이득 등을 제어함으로써, 촬영되는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를 조정하여 이미지 데이터의 역광을 보정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이미지 촬영기기는 촬영시, 사용자가 역광 보정 기능을 직접 설정해 주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 편의성이 떨어진다. 또한, 역광 보정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별도의 메뉴 기능 또는 키 등을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기기의 제작비용이 증대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촬영시, 이미지 데이터의 역광 상태를 판단하여, 역광을 자동 보정함으로써, 별도의 하드웨어 추가없이도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미지 촬영기기 및 그 방법 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미지 데이터 내에 인물 이미지가 포함되었는지까지 추가적으로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역광을 자동 보정함으로써, 이미지에 적합한 역광 보정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이미지 촬영기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촬영기기는, 이미지를 촬영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미지 촬영부,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를 분석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역광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이미지 상태 판단부, 및, 상기 이미지 상태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를 자동 조정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역광을 보정하는 휘도 조정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이미지 상태 판단부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부, 각 분할 영역에 대한 휘도 특성값을 산출하는 산출부, 및, 상기 산출된 각 분할 영역의 휘도 특성값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역광 상태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이미지 상태 판단부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부, 각 분할 영역에 대한 휘도 특성값을 산출하는 산출부, 상기 산출된 각 분할 영역의 휘도 특성값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역광 상태를 판단하는 제1 판단부, 및, 상기 제1 판단부를 통해 상기 이미지 데 이터가 역광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서 인물 이미지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제2 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휘도 조정부는 상기 제2 판단부에서 상기 인물 이미지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를 자동 조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휘도 조정부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역광을 보정하기 위한 휘도 조정값을 산출하는 조정값 산출부, 및, 상기 휘도 조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전체 휘도를 조정하는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휘도 조정부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역광을 보정하기 위한 휘도 조정값을 산출하는 조정값 산출부, 및, 상기 휘도 조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개의 분할영역 중 적어도 일부분의 휘도를 조정하는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촬영기기의 역광 보정 방법은, (a)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를 분석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역광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b)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를 자동 조정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역광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a) 단계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각 분할 영역에 대한 휘도 특성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각 분할 영역의 휘도 특성값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역광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a) 단계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각 분할 영역에 대한 휘도 특성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각 분할 영역의 휘도 특성값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역광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역광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서 인물 후보 이미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인물 후보 이미지와 기 저장된 기준 인물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관도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상관도에 따라 인물 이미지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 단계는 인물 이미지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를 자동 조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역광을 보정하기 위한 휘도 조정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휘도 조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전체 휘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b) 단계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역광을 보정하기 위한 휘도 조정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휘도 조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분할된 복수개의 영역 중 적어도 일부분의 휘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촬영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미지 촬영기기(100)는 이미지 촬영부(110), 이미지 상태 판단부(120) 및 휘도 조정부(130)를 포함한다.
이미지 촬영부(110)는 촬영 모드 구동시, 이미지를 촬영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미지 상태 판단부(120)는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를 분석하여, 이미지 데이터가 역광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이 경우, 이미지 상태 판단부(120)는 분할부(121), 산출부(122) 및 판단부(123)를 포함한다.
분할부(121)는 이미지 촬영부(110)를 통해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를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한다. 이 경우, 이미지 데이터는 중심 영역과 주변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중심 영역과 주변 영역은 동일한 픽셀 수를 가지도록 분할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분할되는 개수 및 분할 크기는 조정될 수 있다.
산출부(122)는 각 분할 영역에 대한 휘도 특성값을 산출한다. 이 경우, 휘도 특성값이란, 분할 영역 내부 픽셀의 휘도값을 더한 휘도합, 분할 영역 내부 픽셀들의 평균 휘도값 또는 분할 영역 내부 픽셀의 휘도값을 대표하는 픽셀 휘도 대표값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만약, 산출부(122)가 휘도 특성값으로 휘도합을 산출할 경우, 중심 영역과 주변 영역 각각의 픽셀 휘도값을 더하여 각각에 대해서 내부 픽셀 휘도값을 더하는 연산을 수행하여 각 영역에 대한 휘도합을 산출할 수 있다.
판단부(123)는 각 분할 영역의 휘도 특성값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역광 상태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판단부(123)는 산출부(122)를 통해 산출된 각 분할 영역 간의 휘도 특성값을 비교하여, 비교 조건에 부합되는 경우 현재 이미지 데이터가 역광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 분할 영역 간의 휘도 특성값이, 비교 조건인 a<b/α 또는 b<a/α에 부합되는 경우 이미지 데이터가 역광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비교 조건은 a-b>β 또는 b-a>β이 될 수도 있다. 비교 조건에서 a 및 b는 비교 대상인 분할 영역의 휘도 특성값을 의미하며, α 및 β는 기 설정된 임의의 자연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할 영역 중 중심 영역의 휘도 휘도합이 a, 주변 영역의 휘도합이 b이고, α가 2인 경우, a 및 b가 a<b/2 또는 b<a/2의 조건에 부합되면 이미지 데이터는 역광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다.
휘도 조정부(130)는 이미지 상태 판단부(12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를 자동 조정하여 이미지 데이터의 역광을 보정한다. 이 경우, 휘도 조정부(130)는 조정값 산출부(131) 및 조정부(132)를 포함한다.
조정값 산출부(131)는 판단부(123)의 판단 결과, 이미지 데이터가 역광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이미지 데이터의 역광 상태를 보정하기 위한 휘도 조정값을 산출한다. 또는, 판단부(123)의 판단 결과, 이미지 데이터가 역광 상태가 아닌 경우, 노멀(normal) 휘도값을 산출한다.
조정부(132)는 이미지 데이터가 역광 상태이면, 조정값 산출부(131)를 통해 산출된 휘도 조정값을 이용하여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를 조정한다. 구체적으로, 조정부(132)는 조리개, 셔터 및 이득 등을 조정하여 이미지 데이터 전체의 평균 휘도가 상기 산출된 휘도 조정값에 근접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미지 데이터의 역광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조정부(132)는 조리개, 셔터 및 이득 등을 조정하여 복수개의 영역 중 적어도 일 영역의 평균 휘도가 상기 산출된 휘도 조정값에 근접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미지 데이터의 역광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조정부(132)는 이미지 데이터가 역광 상태가 아니면, 노멀(normal) 휘도값을 이용하여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를 조정한다. 이와 같은 방식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의 역광 상태를 자동 판단하여,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를 전체 또는 일 영역의 휘도를 조정함으로써, 이 미지 데이터의 역광을 보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촬영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미지 촬영기기(200)는 이미지 촬영부(210), 이미지 상태 판단부(220) 및 휘도 조정부(230)를 포함한다.
이미지 촬영부(210)는 촬영 모드 구동시, 이미지를 촬영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미지 상태 판단부(220)는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를 분석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역광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이 경우, 이미지 상태 판단부(220)는 분할부(221), 산출부(222), 제1 판단부(223) 및 제2 판단부(224)를 포함한다.
분할부(221)는 이미지 촬영부(210)를 통해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를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한다. 이 경우, 이미지 데이터는 중심 영역과 주변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중심 영역과 주변 영역은 동일한 픽셀 수를 가지도록 분할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분할되는 개수 및 분할 크기는 조정될 수 있다.
산출부(222)는 각 분할 영역에 대한 휘도 특성값을 산출한다. 이 경우, 휘도 특성값이란, 분할 영역 내부 픽셀의 휘도값을 더한 휘도합, 분할 영역 내부 픽셀들의 평균 휘도값 또는 분할 영역 내부 픽셀의 휘도값을 대표하는 픽셀 휘도 대표값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제1 판단부(223)는 각 분할 영역의 휘도 특성값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역광 상태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1 판단부(223)는 산출부(222)를 통해 산출된 각 분할 영역 간의 휘도 특성값을 비교하여, 비교 조건에 부합되는 경우 현재 이미지 데이터가 역광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 분할 영역 간의 휘도 특성값이, 비교 조건인 a<b/α 또는 b<a/α에 부합되는 경우 이미지 데이터가 역광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비교 조건은 a-b>β 또는 b-a>β이 될 수도 있다. 비교 조건에서 a 및 b는 비교 대상인 분할 영역의 휘도 특성값을 의미하며, α 및 β는 기 설정된 임의의 자연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할 영역 중 중심 영역의 휘도 휘도합이 a, 주변 영역의 휘도합이 b이고, α가 2인 경우, a 및 b가 a<b/2 또는 b<a/2의 조건에 부합되면 이미지 데이터는 역광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다.
제2 판단부(224)는 제1 판단부(223)를 통해 이미지 데이터가 역광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이미지 데이터에서 인물 이미지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 이 경우, 제2 판단부(224)는 저장부(224a), 검출부(224b), 비교부(224c) 및 확인부(224d)를 포함한다.
저장부(224a)는 기준 인물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기준 인물 이미지란, 사람의 얼굴형에 눈, 코, 입, 귀 등이 포함된 일반적인 사람의 얼굴을 말하는 것으로, 기준이 될 수 있는 인물 이미지에 대한 템플릿 정보를 의미한다.
검출부(224b)는 이미지 데이터에서 인물 후보 이미지를 검출한다. 이 경우, 인물 후보 이미지란, 인물 이미지일 확률이 높은 이미지를 말하는 것이다. 검출부(224b)는 이미지 데이터의 분할 영역 중 휘도 특성값이 낮은 영역상에서 인물 후보 이미지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제1 판단부(223)를 통해 이미지 데이터가 역광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분할 영역 중 휘도 특성값이 낮은 영역에 인물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휘도 특성값이 낮은 영역상에서 인물 후보 이미지를 검출한다. 한편, 인물 후보 이미지는 휘도 특성값이 낮은 영역상에서 피부 색상과 유사한 범위 내의 색상 값을 가지는 영역을 추출한 후, 추출된 영역을 이치화하여 라벨링함으로써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비교부(224c)는 저장부(224a)에 저장된 기준 인물 이미지와 검출부(224c)를 통해 검출된 인물 후보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관도를 확인한다. 한편, 기준 인물 이미지와 인물 후보 이미지를 비교하는 경우, 두 이미지의 크기가 상이하면, 인물 후보 이미지의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스케일링을 통해 기준 인물 이미지의 크기와 동일 또는 유사하도록 조정한 후, 비교한다.
확인부(224d)는 기준 인물 이미지와 검출된 인물 후보 이미지의 상관도에 따라 인물 이미지 존재 여부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기준 인물 이미지와 검출된 인물 후보 이미지의 상관도가 70% 이상인 경우, 검출된 인물 후보 이미지는 인물 이미지인 것으로 확인될 수 있다. 반면, 상관도가 70% 미만인 경우, 인물 후보 이미지는 인물 이미지가 아닌 것으로 확인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판단부(223)는 각 분할 영역의 휘도를 비교하여 1차적으로 역광 상태를 판단하고, 제2 판단부(224)는 이미지 데이터상에 인물 이미지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여 2차적으로 역광 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휘도 조정부(230)는 이미지 상태 판단부(22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인물 이미지가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를 자동 조정하여 이미지 데이터의 역광을 보 정한다. 이 경우, 휘도 조정부(230)는 조정값 산출부(231) 및 조정부(232)를 포함한다.
조정값 산출부(231)는 제1 판단부(223) 및 제2 판단부(224)의 판단 결과, 이미지 데이터가 역광 상태이며, 인물 이미지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미지 데이터의 역광 상태를 보정하기 위한 휘도 조정값을 산출한다. 또한, 제1 판단부(223) 및 제2 판단부(224)의 판단 결과, 이미지 데이터가 역광 상태가 아니거나, 인물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노멀(normal) 휘도값을 산출한다. 한편, 이미지 데이터의 역광 상태 보정을 위한 휘도 조정값은 노멀(normal) 휘도값의 두 배 이상되는 값으로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멀(normal) 휘도값이 0×B00일 경우, 역광 보정을 위한 휘도 조정값은 0×1600이 될 수 있다.
조정부(232)는 조정값 산출부(231)를 통해 산출된 휘도 조정값을 이용하여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를 조정한다. 구체적으로, 조정부(232)는 조리개, 셔터 및 이득 등을 조정하여 이미지 데이터 전체의 평균 휘도가 상기 산출된 휘도 조정값에 근접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미지 데이터의 역광을 보정할 수 있다. 또는, 조정부(232)는 조리개, 셔터 및 이득 등을 조정하여 복수개의 영역 중 일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의 평균 휘도가 상기 산출된 휘도 조정값에 근접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미지 데이터의 역광을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영역 중 인물 이미지 부분의 평균 휘도가 산출된 휘도 조정값에 근접하도록 조리개, 셔터 및 이득 등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조정부(232)는 이미지 데이터가 역광 상태가 아니면, 노멀(normal) 휘도값을 이용하여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를 조정한다.
이와 같은 방식에 따라, 인물 이미지가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의 역광 상태를 판단하여, 이미지 데이터 전체 휘도 또는 일부분의 휘도를 조정함으로써, 이미지 데이터의 역광을 자동 보정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촬영기기의 역광 보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이미지 촬영기기(100)는 이미지를 촬영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한다(S410).
다음, 이미지 촬영기기(100)는 이미지 데이터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한다(S420). 이 경우, 이미지 데이터의 분할 개수 및 크기는 다양하게 조정될 수 있다.
이 후, 각 분할 영역에 대한 휘도 특성값을 산출한다(S430). 이 경우, 휘도 특성값이란, 분할 영역 내부 픽셀의 휘도값을 더한 휘도합, 분할 영역 내부 픽셀들의 평균 휘도값 또는 분할 영역 내부 픽셀의 휘도값을 대표하는 픽셀 휘도 대표값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한편, 이미지 촬영기기(100)는 각 분할 영역의 휘도 특성값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의 역광 상태를 판단한다(S440). 예를 들어, S420 단계에서 이미지 데이터가 중심 영역과 주변 영역과 같이 두 개의 영역으로 분할된 경우, 중심 영역의 휘도 특성값과 주변 영역의 휘도 특성값을 비교한다. 이 경우, 중심 영역 및 주변 영역의 휘도 특성값이, 비교 조건인 a<b/α 또는 b<a/α에 부합되는 경우 이미지 데이터가 역광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비교 조건은 a-b>β 또는 b-a>β가 될 수도 있다. 비교 조건에서 a 및 b는 비교 대상인 분할 영역의 휘도 특성값을 의미하며, α 및 β는 기 설정된 임의의 자연수가 될 수 있다.
이 후, 이미지 촬영기기(100)는 이미지 데이터가 역광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S450), 이미지 데이터의 역광을 보정하기 위한 휘도 조정값을 산출한다(S460).
이미지 촬영기기(100)는 산출된 휘도 조정값을 이용하여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를 조정한다(S470). 구체적으로, 이미지 데이터의 평균 휘도가 상기 산출된 휘도 조정값에 근접하도록 조리개, 셔터 및 이득 등을 조정하는 방식으로 이미지 데이터 의 휘도를 조정함으로써, 역광을 보정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이미지 촬영기기(100)는 이미지 데이터 전체의 휘도를 조정할 수 있으며, 또는 복수개의 분할 영역 중 일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의 휘도만을 조정할 수도 있다.
한편, 이미지 촬영기기(100)는 이미지 데이터가 역광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S450), 노멀(normal) 휘도값을 이용하여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를 조정한다(S480). 한편, 이미지 데이터의 역광 상태 보정을 위한 휘도 조정값은 노멀(normal) 휘도값의 두 배 이상되는 값으로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멀(normal) 휘도값이 0×B00일 경우, 역광 보정을 위한 휘도 조정값은 0×1600이 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에 따라, 이미지 촬영기기(100)는 이미지 데이터의 역광 상태를 자동 판단하여 휘도를 조정함으로써, 역광을 보정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촬영기기의 역광 보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미지 촬영기기(200)는 이미지를 촬영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한다(S510).
다음, 이미지 촬영기기(200)는 이미지 데이터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한 다(S515). 이 경우, 이미지 데이터의 분할 개수 및 크기는 다양하게 조정될 수 있다.
이 후, 각 분할 영역에 대한 휘도 특성값을 산출한다(S520).
한편, 이미지 촬영기기(200)는 각 분할 영역의 휘도 특성값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의 역광 상태를 판단한다(S525). 예를 들어, S515 단계에서 이미지 데이터가 중심 영역과 주변 영역과 같이 두 개의 영역으로 분할된 경우, 중심 영역의 휘도 특성값과 주변 영역의 휘도 특성값을 비교하여, 비교 조건에 부합되면 이미지 데이터가 역광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 후, 이미지 촬영기기(200)는 이미지 데이터가 역광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S530), 이미지 데이터에서 인물 후보 이미지를 검출한다(S535). 인물 후보 이미지란, 인물 이미지일 확률이 높은 이미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미지 데이터의 분할 영역 중 휘도 특성값이 낮은 영역상에서 검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물 후보 이미지는 피부 색상 영역을 추출한 후, 추출된 영역을 이치화하여 라벨링함으로써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이미지 촬영기기(200)는 기 저장된 기준 인물 이미지와 검출된 인물 후보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관도를 확인한다(S540). 이 경우, 기준 인물 이미지는 사람의 얼굴형에 눈, 코, 입, 귀 등이 포함된 일반적인 사람의 얼굴을 말하는 것으로, 기준이 될 수 있는 인물 이미지에 대한 템플릿 정보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기준 인물 이미지는 이미지 촬영기기(200)의 저장 매체에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기준 인물 이미지와 인물 후보 이미지를 비교하는 경우, 두 이미지 간의 크 기가 상이하면, 인물 후보 이미지 크기를 스케일링하여 기준 인물 이미지 크기와 동일 또는 유사하도록 조정한다. 이 경우, 기준 인물 이미지와 검출된 인물 후보 이미지의 상관도가 70% 이상인 경우, 검출된 인물 후보 이미지는 인물 이미지인 것으로 확인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미지 촬영기기(200)는 이미지 데이터에 인물 이미지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하게 된다. 반면, 상관도가 70% 미만인 경우, 인물 후보 이미지는 인물 이미지가 아닌 것으로 확인될 수 있다.
이 후, 이미지 촬영기기(200)는 인물 이미지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S540), 이미지 데이터의 역광을 보정하기 위한 휘도 조정값을 산출한다(550).
이미지 촬영기기(200)는 산출된 휘도 조정값을 이용하여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를 조정한다(S555). 구체적으로, 이미지 데이터 전체의 평균 휘도가 상기 산출된 휘도 조정값에 근접하도록 조리개, 셔터 및 이득 등을 조정하는 방식으로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를 조정함으로써, 역광을 보정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이미지 촬영기기(200)는 이미지 데이터 전체의 휘도를 조정할 수 있으며, 또는, 복수개의 분할 영역 중 일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의 일부분의 휘도만을 조정할 수도 있다.
한편, 이미지 촬영기기(100)는 이미지 데이터가 역광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거나(S530), 인물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S545), 노멀(normal) 휘도값을 이용하여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를 조정한다(S560). 이와 같은 방식에 따라, 인물 이미지를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의 역광 상태를 자동 판단하여 휘도를 조정함으로써, 이미지 데이터의 역광을 자동 보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촬영시, 이미지 데이터의 역광 상태를 판단하여 역광을 자동 보정함으로써. 별도의 하드웨어 추가없이도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다.
또한, 이미지 데이터 내에 인물 이미지 포함되었는지를 추가적으로 판단하여 역광을 자동 보정함으로써, 이미지에 적합한 역광 보정 처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10)

  1. 이미지를 촬영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미지 촬영부;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를 분석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역광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이미지 상태 판단부; 및,
    상기 이미지 상태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를 자동 조정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역광을 보정하는 휘도 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상태 판단부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부;
    각 분할 영역에 대한 휘도 특성값을 산출하는 산출부;
    상기 산출된 각 분할 영역의 휘도 특성값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역광 상태를 판단하는 제1 판단부; 및,
    상기 제1 판단부를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역광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서 인물 이미지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제2 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휘도 조정부는, 상기 제2 판단부에서 상기 인물 이미지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를 자동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촬영기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조정부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역광을 보정하기 위한 휘도 조정값을 산출하는 조정값 산출부; 및,
    상기 휘도 조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전체 휘도를 조정하는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촬영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조정부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역광을 보정하기 위한 휘도 조정값을 산출하는 조정값 산출부; 및,
    상기 휘도 조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개의 분할영역 중 적어도 일부분의 휘도를 조정하는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촬영기기.
  6. (a)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를 분석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역광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b)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를 자동 조정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역광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각 분할 영역에 대한 휘도 특성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각 분할 영역의 휘도 특성값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역광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역광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서 인물 후보 이미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인물 후보 이미지와 기 저장된 기준 인물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관도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상관도에 따라 인물 이미지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 단계는, 인물 이미지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를 자동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촬영기기의 역광 보정 방법.
  7. 삭제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역광을 보정하기 위한 휘도 조정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휘도 조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전체 휘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촬영기기의 역광 보정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역광을 보정하기 위한 휘도 조정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휘도 조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분할된 복수개의 영역 중 적어도 일부분의 휘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촬영기기의 역광 보정 방법.
KR1020060117221A 2006-11-24 2006-11-24 자동 역광 보정 기능을 구비한 이미지 촬영기기 및 그 방법 KR101297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7221A KR101297182B1 (ko) 2006-11-24 2006-11-24 자동 역광 보정 기능을 구비한 이미지 촬영기기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7221A KR101297182B1 (ko) 2006-11-24 2006-11-24 자동 역광 보정 기능을 구비한 이미지 촬영기기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7190A KR20080047190A (ko) 2008-05-28
KR101297182B1 true KR101297182B1 (ko) 2013-08-21

Family

ID=39663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7221A KR101297182B1 (ko) 2006-11-24 2006-11-24 자동 역광 보정 기능을 구비한 이미지 촬영기기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71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502B1 (ko) * 2009-07-20 2016-02-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인물 촬영 방법
KR101168110B1 (ko) 2009-09-04 2012-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영상의 역광을 보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8379141B2 (en) 2010-07-02 2013-02-19 Ability Enterprise Co., Ltd. Method of dynamically changing a parameter of a frame
CN112261306B (zh) * 2020-09-27 2021-10-08 厦门亿联网络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逆光判断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2741A (ja) * 1994-08-23 1996-03-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階調補正装置
KR19990058503A (ko) * 1997-12-30 1999-07-15 윤종용 역광보정용 그림자 영역 선정방법
JP2002185771A (ja) * 2000-12-14 2002-06-28 Noritsu Koki Co Ltd 画像形成装置、画像データ処理方法及び画像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2741A (ja) * 1994-08-23 1996-03-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階調補正装置
KR19990058503A (ko) * 1997-12-30 1999-07-15 윤종용 역광보정용 그림자 영역 선정방법
JP2002185771A (ja) * 2000-12-14 2002-06-28 Noritsu Koki Co Ltd 画像形成装置、画像データ処理方法及び画像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7190A (ko) 2008-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695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capturing apparatus
EP2773120B1 (en) White balance control device and white balance control method
US8160312B2 (en) Perfecting the effect of flash within an image acquisition devices using face detection
US8126208B2 (en) Digital image processing using face detection information
US7630527B2 (en) Method of improving orientation and color balance of digital images using face detection information
US7315630B2 (en) Perfecting of digital image rendering parameters within rendering devices using face detection
US8498452B2 (en) Digital image processing using face detection information
US7362368B2 (en) Perfecting the optics within a digital image acquisition device using face detection
US8339506B2 (en) Image capture parameter adjustment using face brightness information
US735899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recording medium thereof, and program thereof
US8989453B2 (en) Digital image processing using face detection information
US20060203107A1 (en) Perfecting of digital image capture parameters within acquisition devices using face detection
KR101297182B1 (ko) 자동 역광 보정 기능을 구비한 이미지 촬영기기 및 그 방법
JP6904788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102426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03216941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6229930A (ja) 画像補正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画像補正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