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6894B1 - 가스절연개폐장치 - Google Patents

가스절연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6894B1
KR101296894B1 KR1020120052913A KR20120052913A KR101296894B1 KR 101296894 B1 KR101296894 B1 KR 101296894B1 KR 1020120052913 A KR1020120052913 A KR 1020120052913A KR 20120052913 A KR20120052913 A KR 20120052913A KR 101296894 B1 KR101296894 B1 KR 101296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contact member
fixed
gas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2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춘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2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68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6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6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70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7015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characterised by flow directing elements associated with contacts
    • H01H33/7023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characterised by flow directing elements associated with contacts characterised by an insulating tubular gas flow enhancing nozz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33/08Stationary parts for restricting or subdividing the arc, e.g. barrier pl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70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80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from a pressure source being controlled by a val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70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88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produced or increased by movement of pistons or other pressure-producing parts
    • H01H33/90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produced or increased by movement of pistons or other pressure-producing parts this movement being effected by or in conjunction with the contact-operating mechanism
    • H01H33/904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produced or increased by movement of pistons or other pressure-producing parts this movement being effected by or in conjunction with the contact-operating mechanism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operating mechanism and piston or movable contac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70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88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produced or increased by movement of pistons or other pressure-producing parts
    • H01H33/90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produced or increased by movement of pistons or other pressure-producing parts this movement being effected by or in conjunction with the contact-operating mechanism
    • H01H2033/908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produced or increased by movement of pistons or other pressure-producing parts this movement being effected by or in conjunction with the contact-operating mechanism using valves for regulating communication between, e.g. arc space, hot volume, compression volume, surrounding volume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절연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정 아크 접점 부재 및 고정 메인 접점 부재를 포함하는 고정 접촉부 및 (i) 상기 고정 메인 접점 부재에 의하여 수용되는 가동 메인 접점 부재, 상기 가동 메인 접점 부재의 내측에 결합되는 외부 노즐을 포함하는 실린더부 및 (ii) 상기 고정 아크 접점 부재를 수용하는 가동 아크 접점 부재, 상기 가동 아크 접점 부재를 일단에 결합하는 가동축, 상기 가동 아크 접점 부재를 감싸고 상기 가동축에 결합되며 상기 가동축과 동일한 외경으로 구성된 내부 노즐, 상기 가동축에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부 내부를 분할하는 격벽부를 포함하는 가동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부는 상기 격벽부를 통해 상기 가동축부에 연결되고, 상기 가동축부의 이동에 의해 함께 이동하는 가동 접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스절연개폐장치{GAS INSULATED SWITCHGEAR}
본 발명은 가스절연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단기의 열 챔버(Thermal Chamber) 내에서 고온 및 고압의 절연가스를 특정 방향으로 흐름을 유도하여 절연가스의 냉각을 용이하게 하고, 차단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스절연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절연개폐장치(Gas Insulated Switchgear)는 모선, 단로기, 변류기, 차단기, 보수용 접지개폐기, 선로용 단로기, 선로용 접지개폐기 및 부싱으로 구성된다. 가스절연개폐장치는 단로기, 차단기, 보수용 접지개폐기, 선로용 단로기 및 선로용 접지개폐기 등의 개폐설비와 모선, 변류기 및 부싱 등을 금속제 탱크인 외함 내에 수납하고, 외함 내부에는 절연성능과 소호능력이 뛰어난 SF6 가스를 절연매체로 하여 충진 및 밀봉한 개폐설비 시스템이다. 여기에서 차단기는 평상시에도 전류를 통하고, 회로에 이상이 발생했을 때에 순간적으로 동작하여 전로나 주요기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의 가스절연개폐장치(100)는 고정 접촉부(110) 및 가동 접촉부(120)로 구성된다. 고정 접촉부(110)는 고정 메인 접점 부재(111), 고정 아크 접점 부재(112) 및 고정측 쉴드(113)를 포함한다. 고정 접촉부(110)는 실린더 형상의 고정 도체부(114)를 더 포함하고, 고정 도체부(114)의 일단에 고정 메인 접점 부재(111)가 결합된다. 또한, 고정 접촉부(110)는 고정 도체부(114)의 내부에 고정 아크 접점 부재(112)가 위치한다. 고정측 쉴드(113)는 고정 메인 접점 부재(111)의 외측을 이격되게 감싼다.
가동 접촉부(120)는 가동 메인 접점 부재(121), 가동 아크 접점 부재(122), 외부 노즐(123), 내부 노즐(124) 및 가동축(125)을 포함한다. 가동 메인 접점 부재(121)는 고정 메인 접점 부재(111)에 끼워진다. 가동 아크 접점 부재(122)는 고정 아크 접점 부재(112)를 수용한다. 외부 노즐(123)은 가동 메인 접점 부재(121)의 내측에 결합된다. 내부 노즐(124)은 가동 아크 접점 부재(122)를 이격되게 감싸고, 외부 노즐(123)과 이격되게 구성되어 절연가스의 이동경로를 제공한다. 가동축(125)은 일단에 내부 노즐(124)을 결합하고, 내부 노즐(124)이 결합되는 일단의 내측에 가동 아크 접점 부재(122)를 결합한다. 또한, 가동축(125)에 가스의 흐름을 가이드해주는 장치가 없을 때는 가열되는 고온의 절연가스를 가동 접촉부(120) 내부에 전체적으로 흐를 수 있게 유도한다. 이러한 절연가스의 이동 경로를 통해 가동 접촉부(120) 내부에 전체적으로 흐르는 고온의 절연가스는 가동 접촉부(120) 내부에서 순환 및 냉각이 적절히 일어나지 못해 전류 차단시 절연가스의 절연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가스절연개폐장치(100)는 냉각이 불충분한 고온의 절연가스에 의해 차단 후 재점호가 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57544호는 가스절연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둥근 원통형상의 고정측 아크접촉자, 고정측 아크접촉자의 외주를 감싸며 접촉하는 노즐, 및 노즐과 연결되며, 개방동작시 아크소호를 위한 압축가스를 수용하는 실린더 공간을 형성하는 가동측 주접촉자를 포함하고, 고정측 아크접촉자의 외주면에는, 실린더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노즐은 내부의 직경이 감소하는 목이 존재하며, 연통홈은 노즐의 목에 접촉하는 고정측 아크접촉자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여기에 개시된 기술은 이러한 형상의 아크 접촉자를 이용함으로써, 투입 후에도 내부 열가스 배출 및 외부 냉가스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곧바로 차단 동작이 일어나더라도 아크 소호를 위한 상대 압력 상승이 충분히 이루어져서, 차단 성능이 유지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30912호는 가스절연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고정접점, 고정접점과 접촉 또는 개리되는 가동접점 및 차단동작시 발생하는 아크를 소호하기 위해서 압축가스를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고, 노즐은 고정접점에 형성된 고정노즐과 가동접점에 형성된 가동노즐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차단동작시 분사되는 가스를 저장하는 실린더를 더 포함하고, 가동노즐은 가동접점의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차단동작시 실린더 내부의 가스를 아크를 향해 분사하며, 고정노즐은 고정접점의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차단동작시 실린더 내부의 가스를 아크를 향해 분사한다. 본 발명의 차단기는 개방동작에서 발생하는 아크를 소호하기 위해 분사되는 가스가 여러방향에서 분사됨으로써, 아크 소호 및 냉각효과가 높아지고, 차단부 성능이 향상되어 신뢰성과 품질이 향상되는 유리한 효과가 발생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57544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30912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가동 접촉부 내부에서 아크에 의해 가열된 고온의 절연가스 및 저온의 절연가스를 특정 경로로 유도할 수 있는 가스절연개폐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가동 접촉부 내부에서 고온의 절연가스 및 저온의 절연가스를 특정 경로로 순환시켜 원활한 냉각이 이루어 질 수 있는 가스절연개폐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가동 접촉부 내부에서 고온의 절연가스를 빠르게 냉각하여 차단시 절연가스의 절연 성능을 빠르게 회복할 수 있는 가스절연개폐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가스절연개폐장치는 고정 아크 접점 부재 및 고정 메인 접점 부재를 포함하는 고정 접촉부, 및 (i) 상기 고정 메인 접점 부재에 의하여 수용되는 가동 메인 접점 부재, 상기 가동 메인 접점 부재의 내측에 결합되는 외부 노즐을 포함하는 실린더부 및 (ii) 상기 고정 아크 접점 부재를 수용하는 가동 아크 접점 부재, 상기 가동 아크 접점 부재를 일단에 결합하는 가동축, 상기 가동 아크 접점 부재를 감싸고 상기 가동축에 결합되며 상기 가동축과 동일한 외경으로 구성된 내부 노즐, 상기 가동축에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부 내부를 분할하는 격벽부를 포함하는 가동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부는 상기 격벽부를 통해 상기 가동축부에 연결되어 외력에 의해 이동하는 가동 접촉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동 접촉부는 상기 실린더부에 끼워지는 피스톤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격벽부와 상기 피스톤 사이에 절연가스가 충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격벽부는 특정 각도로 기울어진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울어진 홀은 상기 가동축을 중심으로 기울어진 각도가 0 ~ 60도 사이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격벽부는 상기 가동 메인 접점 부재 방향의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기울어진 홀을 닫을 수 있는 디스크형 릴리프 밸브 및 상기 릴리프 밸브를 지지하는 가이드 및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디스크형 릴리프 밸브는 단면이 'ㅡ'자형 또는 'L'자형 디스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개폐장치는 가동 접촉부 내부에서 아크에 의해 가열된 고온의 절연가스 및 저온의 절연가스를 특정 경로로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개폐장치는 가동 접촉부 내부에서 고온의 절연가스 및 저온의 절연가스를 특정 경로로 순환시켜 원활한 냉각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개폐장치는 가동 접촉부 내부에서 고온의 절연가스를 빠르게 냉각하여 차단시 절연가스의 절연 성능을 빠르게 회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스절연개폐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개폐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개폐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 또는 도 3에 있는 격벽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있는 가스절연개폐장치에서 저온 및 고온의 절연가스의 이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있는 가스절연개폐장치에서 저온의 절연가스의 이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개폐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개폐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가스절연개폐장치(200)는 고정 접촉부(210) 및 가동 접촉부(220)를 포함한다.
고정 접촉부(210) 및 가동 접촉부(220)는 외함(미도시됨) 내부에 절연성능과 소호능력이 뛰어난 SF6 가스를 절연매체로 하여 함께 충진 및 밀봉된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 및 가동 접촉부들(210, 220)은 평상시에 접촉되어서 전류를 통하고, 회로에 이상이 발생했을 때에 순간적으로 작동하여 접촉이 떨어지며 회로를 차단한다. 이러한 회로 차단은 외부의 전로 또는 주변 기기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고정 접촉부(210)는 고정 아크 접점 부재(211), 고정 메인 접점 부재(212) 및 고정 도체부(213)를 포함한다. 고정 아크 접점 부재(211)는 고정 도체부(213)의 중심에 배치된다. 고정 메인 접점 부재(212)는 고정 아크 접점 부재(211)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고정 도체부(213)의 일단에 결합된다. 고정 도체부(213)는 실린더 형상으로 구성되고, 이중의 외벽을 형성하여 절연가스의 이동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가동 접촉부(220)는 실린더부(221) 및 가동축부(22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실린더부(221)는 가동축부(222)와 연결되어 가동축부(222)의 이동을 통해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가동 접촉부(220)는 피스톤부(223)를 더 포함한다. 피스톤부(223)는 실린더부(221)에 끼워지고, 실린더부(221)의 내부는 가동축부(222) 및 피스톤부(223)를 통해 이중으로 분할되어 제1 및 제2 챔버들(221a, 221b)을 형성한다. 실린더부(221)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챔버들(221a, 221b)은 절연가스가 충진된다.
실린더부(221)는 가동 메인 접점 부재(221c), 외부 노즐(221d) 및 파퍼 실린더(221e)를 포함한다. 가동 메인 접점 부재(221c)는 고정 메인 접점 부재(212)에 의하여 수용된다. 외부 노즐(221d)은 가동 메인 접점 부재(221c)의 내측에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서, 파퍼 실린더(221e)는 일단에 가동 메인 접점 부재(221c) 및 외부 노즐(221d)을 결합하고, 고정 아크 접점 부재(211)가 끼워지는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가동축부(222)는 가동 아크 접점 부재(222a), 가동축(222b), 내부 노즐(222c) 및 격벽부(222d)를 포함한다. 가동 아크 접점 부재(222a)는 고정 아크 접점 부재(211)를 수용한다.
가동축(222b)은 가동 아크 접점 부재(222a)를 일단에 결합한다. 일 실시예에서, 가동축(222b)은 실린더 형상으로 구성되고, 내측에 가동 아크 접점 부재(222a)가 위치한다.
내부 노즐(222c)은 가동 아크 접점 부재(222a)를 감싸고 가동축(222b)에 결합된다. 또한, 내부 노즐(222c)은 가동축(222b)과 동일한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내부 노즐(222c)은 외부 노즐(221d)에 이격되게 위치하여 절연가스의 이동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격벽부(222d)는 실런더부(221) 내부에서 가동축(222b)에 결합되고, 실린더부(221) 내부를 분할한다. 일 실시예에서, 격벽부(222d)는 실린더부(221)를 축방향으로 분할하여 파퍼 실린더(221e) 내부에 제1 및 제2 챔버들(221a, 221b)을 형성 할 수 있다, 또한, 격벽부(222d)는 파퍼 실린더(221e) 내측에 결합되고, 가동축(222b)의 이동에 따라 실린더부(221)를 함께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격벽부(222d)를 설명한다.
도 4는 도 2 또는 도3에 있는 격벽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격벽부(222d)는 기울어진 홀(410), 릴리프 밸브(420), 밸브 가이드(430) 및 탄성부재(440)를 더 포함한다. 기울어진 홀(410)은 특정 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된다. 일 실시예예서, 기울어진 홀(410)은 가동축(222b)을 중심축으로 하여 일단에서 가동 아크 접점 부재(222a) 방향으로 갈수록 바깥쪽으로 벌어질 수 있다. 이때, 기울어진 각도는 가동축(222b)을 중심으로 0 ~ 60도 사이에 해당할 수 있다.
릴리프 밸브(420)는 가동 아크 접점 부재(222a) 방향의 일면에 배치되고, 기울어진 홀(410)을 닫을 수 있는 디스크형상으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릴리프 밸브(420)는 단면이 'ㅡ'자형 또는 'L'자형 디스크로 구성될 수 있다.
밸브 가이드(430)는 릴리프 밸브(420)를 지지하고, 릴리프 밸브(420)가 기울어진 홀(410)을 열거나 닫을 때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탄성부재(440)는 밸브 가이드(430)를 감싸고, 릴리프 밸브(420)를 지지한다. 탄성부재(440)는 릴리프 밸브(420)가 열리면 수축하고, 탄성력에 의해 릴리프 밸브(420)를 닫을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있는 가스절연개폐장치에서 저온 및 고온의 절연가스의 이동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3에 있는 가스절연개폐장치에서 저온의 절연가스의 이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가스절연개폐장치(100)는 회로에 이상이 발생했을 때에 순간적으로 작동하여 접촉이 떨어지면 회로를 차단한다. 이때, 고정 및 가동 아크 접점 부재(211, 222a)는 접촉이 떨어지면서 아크가 발생하고, 아크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열에 의해 인근의 절연가스가 가열된다. 가동 아크 접점 부재(222a) 인근에서 가열된 고온의 절연가스는 외부 노즐(221d) 및 내부 노즐(222c)의 사이에 형성된 경로를 통해 실린더부(221) 내부로 방출된다. 고온의 절연가스는 내부 노즐(222c) 및 가동축(222b)의 외벽을 따라 제1 챔버(211a)로 이동하게 된다. 격벽부(222d)는 가동축(222b)의 이동에 따라 실린더부(221)와 함께 이동하여 제2 챔버(211b)를 압축한다. 이때, 제2 챔버(211b)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저온의 절연가스는 압축되는 압력에 의해 릴리프 밸브(420)를 열고, 기울어진 홀(410)의 각도를 따라 실린더부(211) 내벽쪽으로 방출된다. 이러한 고온 및 저온의 절연가스의 흐름은 동일한 방향으로 흐르면서 원활하게 섞이면서 고온의 절연가스를 냉각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10 : 고정 접촉부 211 : 고정 아크 접점 부재
212 : 고정 메인 접점 부재 213 : 고정 도체부
220 : 가동 접촉부 221 : 실린더부
221a : 제1 챔버 221b : 제2 챔버
221c : 가동 메인 접점 부재 221d : 외부 노즐
221e : 파퍼 실린더 222 : 가동축부
222a : 가동 아크 접점 부재 222b : 가동축
222c : 내부 노즐 222d : 격벽부
410 : 기울어진 홀 420 : 릴리프 밸브
430 : 밸브 가이드 440 : 탄성부재

Claims (6)

  1. 고정 아크 접점 부재 및 고정 메인 접점 부재를 포함하는 고정 접촉부; 및
    (i) 상기 고정 메인 접점 부재에 의하여 수용되는 가동 메인 접점 부재, 상기 가동 메인 접점 부재의 내측에 결합되는 외부 노즐을 포함하는 실린더부 및 (ii) 상기 고정 아크 접점 부재를 수용하는 가동 아크 접점 부재, 상기 가동 아크 접점 부재를 일단에 결합하는 가동축, 상기 가동 아크 접점 부재를 감싸고 상기 가동축에 결합되며 상기 가동축과 동일한 외경으로 구성된 내부 노즐, 상기 가동축에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부 내부를 분할하는 격벽부를 포함하는 가동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부는 상기 격벽부를 통해 상기 가동축부에 연결되고, 상기 가동축부의 이동에 의해 함께 이동하는 가동 접촉부를 포함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촉부는
    상기 실린더부에 끼워지는 피스톤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격벽부와 상기 피스톤 사이에 절연가스가 충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는
    특정 각도로 기울어진 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어진 홀은
    상기 가동축을 중심으로 기울어진 각도가 0 ~ 60도 사이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는
    상기 가동 아크 접점 부재 방향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기울어진 홀을 닫을 수 있는 디스크형 릴리프 밸브 및 상기 릴리프 밸브를 지지하는 가이드 및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디스크형 릴리프 밸브는
    단면이 'ㅡ'자형 또는 'L'자형 디스크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
KR1020120052913A 2012-05-18 2012-05-18 가스절연개폐장치 KR101296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913A KR101296894B1 (ko) 2012-05-18 2012-05-18 가스절연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913A KR101296894B1 (ko) 2012-05-18 2012-05-18 가스절연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6894B1 true KR101296894B1 (ko) 2013-08-14

Family

ID=49220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2913A KR101296894B1 (ko) 2012-05-18 2012-05-18 가스절연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689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019A (ko) * 2001-03-27 2002-10-09 한국전기연구원 양방향 구동형 가스 차단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019A (ko) * 2001-03-27 2002-10-09 한국전기연구원 양방향 구동형 가스 차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30731B1 (en) Self-blast circuit breaker reusing arc heat
US9147543B2 (en) Gas circuit breaker
US20120261383A1 (en) Circuit breaker arrangement
CN109564832B (zh) 气体绝缘式低压或中压断载开关
CN104835679A (zh) 具有长度减少的固定部件的气体绝缘开关设备的断路器
KR101291789B1 (ko) 가스절연개폐장치
JP2013125720A (ja) パッファ形ガス遮断器
KR101972872B1 (ko) 아크 에너지 활용율을 향상시킨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차단기
WO2013175565A1 (ja) ガス遮断器
KR101296894B1 (ko) 가스절연개폐장치
KR101231764B1 (ko) 가스절연개폐장치
KR101701817B1 (ko) 가스절연 차단기
KR101300721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JP2007035518A (ja) ガス遮断器
KR101501636B1 (ko) 체크밸브를 가지는 복합소호방식 가스 차단기
KR101296893B1 (ko) 가스절연개폐장치
KR20150144415A (ko) 가스절연 차단기
CN110770868B (zh) 气体绝缘负载断路开关和包括气体绝缘负载断路开关的开关设备
KR20140008133A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WO2018066119A1 (ja) ガス遮断器
JP2018113189A (ja) ガス遮断器
KR102466938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가스 차단기
KR20170119437A (ko) 가스절연 차단기
KR101697583B1 (ko) 초고압 가스 차단기
US9396891B2 (en) Switchgear arran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