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6866B1 - 폐수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폐수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6866B1
KR101296866B1 KR1020120014968A KR20120014968A KR101296866B1 KR 101296866 B1 KR101296866 B1 KR 101296866B1 KR 1020120014968 A KR1020120014968 A KR 1020120014968A KR 20120014968 A KR20120014968 A KR 20120014968A KR 101296866 B1 KR101296866 B1 KR 101296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main body
opening
main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4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8618A (ko
Inventor
김종인
Original Assignee
김종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인 filed Critical 김종인
Priority to KR1020120014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6866B1/ko
Publication of KR20130028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8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6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6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11Turbidit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폐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수용공간으로 상기 폐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가 형성된 본체와, 수용공간 내의 폐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일단부가 본체에 연통되게 연결되되, 내부로 폐수가 유입되는 주입구가 유입구에 대해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배수관과,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폐수 내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여과시키기 위해 유입구 및 주입구 사이의 수중에 여과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유입구 및 주입구 사이의 수중에 부유하는 다수의 메인여과부재가 마련된 메인 여과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처리장치는 구성이 간단하여 설치 및 제작이 용이하며, 폐수 내에 부유하는 다수의 여과부재에 의해 여과층을 형성하므로 상기 여과부재에 이물질이 흡착되더라도 통수성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정화된 폐수의 배출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폐수 처리 장치{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폐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 내로 유입된 폐수를 하부에서 상부로 상향이동시키면서 상기 폐수 내의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폐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일상생활과 관련되어 발생하는 오수는 각 가정이나 산업체에 설치된 오수정화시설, 정화조 및 하폐수 종말처리시설이나 농공단지 오폐수 처리시설 등에서 처리되고 있다.
인간 생활과 관련된 오폐수의 발생지는 일반가정, 음식점 등의 화장실, 목욕탕, 주방등이다. 오수의 발생량은 물 사용량과 비례하고 주요 오수 발생원은 수세식 변소와 일상 생활 중에 사용하는 물이 오수로 변하게 된다. 오수의 발생량은 오염원 및 상수 급수량의 증가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2000년부터는 오수 분뇨 및 축산 폐수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에 의하여 오수정화시설의 처리용량에 관계없이 10ppm으로 규제하고 있다.
또한, 산업의 발전과 인구의 도시 집중화 및 생활 양식의 다양화로 인하여 물의 수요가 대량으로 요구되었다. 특히, 최근에는 대규모의 아파트 단지가 건설되면서 일정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오염부량이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어서 폐수 처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폐수처리방법에는 활성슬러지법과 막분리법이 있다. 활성슬러지법은 폭기조에서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이 흡착분해되며, 침전조에서 침전된 유기물과 유출수를 분리하여 유출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활성슬러지법은 처리장의 부지면적, 건설비, 운영비가 과다하고 고도의 유지관리 기술이 요구된다. 또한, 과다한 슬러지 발생으로 인한 슬러지 처리비용이 추가로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막분리법은 오염원으로부터 수집된 폐수를 다공성 필터에 통과시켜 폐수 내의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방법이다. 그러나 막분리법은 폐수 내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이 필터에 점착되어 통수성이 저하되며, 정화효율이 감소하므로 주기적으로 필터를 세척 또는 교환해주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설치 및 제작이 용이하며, 다수의 부유체로 여과층을 형성하므로 이물질의 흡착에 의해 통수성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되는 폐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처리장치는 내부에 폐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 상기 폐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수용공간 내의 상기 폐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일단부가 상기 본체에 연통되게 연결되되, 내부로 폐수가 유입되는 주입구가 상기 유입구에 대해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배수관과,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상기 폐수 내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여과시키기 위해 상기 유입구 및 주입구 사이의 수중에 여과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유입구 및 주입구 사이의 수중에 부유하는 다수의 메인여과부재가 마련된 메인 여과부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여과부재는 상기 폐수보다 밀도가 낮은 소재로 형성된 메인부력체와, 상기 메인부력체에 고정되며, 상기 메인부력체가 상기 폐수 내에 침강하여 상기 유입구 및 주입구 사이의 수중에 부유하기 위해 상기 메인부력체에 침력(沈力)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폐수보다 밀도가 높은 소재로 형성된 메인침력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여과부재는 상기 폐수 내의 오염물질을 분해할 수 있는 미생물이 서식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삽입홈이 형성된다.
상기 배수관은 상기 주입구가 형성된 일단부가 상기 본체 내로 인입되되, 상방으로 연장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폐수 처리장치는 상기 본체 내에 수용된 상기 폐수의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부유물 배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부유물 배출부는 상기 배수관의 주입구보다 상측의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을 상기 부유물이 유입되는 유입공간과 상기 폐수가 상기 배수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제1배출공간으로 구획하며, 상방으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게 연장되되, 상단부에 상기 제1배출공간 내의 상기 부유물이 상기 유입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게 유입공이 형성된 격벽과, 상기 제1배출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부유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배출공간에 연통되게 상기 본체에 연결된 부유물 배출관을 구비한다.
상기 본체는 내부에 침전된 침전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바닥면에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구에 개폐부재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폐수 처리장치는 상기 여과층 상측의 상기 수용공간 내에는 상기 메인여과부재들이 상기 폐수의 흐름에 의해 상기 배수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여과부재는 차단하고, 상기 폐수는 통과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차단막을 더 구비한다.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관통구에 설치되며, 상기 침전물이 상기 수집용기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관통되게 제1배출공이 형성된 제1마개부재와, 상기 제1마개부재 또는 상기 제1마개부재 상측의 본체 내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키는 제1전자석과, 상기 제1배출공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마개부재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제1전자석으로부터 발생된 자력에 의해 상기 제1마개부재 방향으로 인접되어 상기 제1배출공을 폐쇄할 수 있도록 자성을 갖는 자성체가 마련된 제1덮개유닛과, 상기 제1전자석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전원공급부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본체의 관통구를 통해 배출되는 폐수의 탁도를 측정하는 탁도측정센서와, 상기 탁도측정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본체 내의 탁도가 기설정된 탁도보다 높을 시, 상기 제1덮개유닛이 제1배출공을 폐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제1전자석으로의 전원을 공급하는 제1개폐제어부를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폐수 처리장치는 상기 메인침력체가 자성체로 형성되며, 상기 메인 여과부는 상기 여과층이 기설정된 높이에 형성될 수 있도록 설정된 상기 여과층의 높이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수집용기에 설치되어 자력을 발생시키는 구속자석을 더 구비한다.
상기 부유물 배출부는 상기 수집용기에 수용된 폐수의 수위에 따라 상기 격벽의 유입공을 개폐하는 차단덮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차단덮개부는 상기 격벽의 유입공에 설치되며, 상기 부유물이 상기 유입공간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관통되게 적어도 하나의 제2배출공이 형성된 제2마개부재와, 상기 제2마개부재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관통되게 설치되되,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 내에 수용된 폐수 수면과 부유물 사이에 부유하는 부구체와, 상기 제2마개부재 및 상기 부구체 사이의 사이 승강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 내에 수용된 폐수 수면의 상승시 상기 유입공으로 상기 폐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마개부재의 상기 제2배출공을 폐쇄하는 승강덮개를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부유물 배출부는 상기 수집용기에 수용된 폐수의 수위에 따라 상기 격벽의 유입공을 개폐하는 차단덮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차단덮개부는 상기 격벽의 유입공에 설치되며, 상기 부유물이 상기 유입공간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관통되게 제3배출공이 형성된 제3마개부재와, 상기 제3마개부재에 설치되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키는 제2전자석과, 상기 제3마개부재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전자석에 전원공급시, 발생된 자력에 의해 상기 제2전자석에 부착되어 상기 제3배출공을 폐쇄할 수 있도록 자성을 갖는 제2자성덮개와, 상기 제3마개부재 및 제2자성덮개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전자석이 자력을 발생시, 상기 제2자성덮개가 상기 제3배출공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제2자성덮개를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전자석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전원공급부와, 상기 수집용기에 설치되어 상기 수집용기에 수용된 폐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센서와, 상기 수위측정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폐수의 수위가 상기 유입공에 인접되면, 상기 유입공을 통해 상기 폐수가 상기 유입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자성덮개가 상기 제3배출공을 폐쇄하기 위해 상기 제2전원공급부를 작동시켜 상기 제2전자석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개폐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배수관은 상기 주입구가 형성된 일단부가 상기 본체 내로 인입되되, 상방으로 연장형성되고, 타단부는 상기 본체 내의 수위가 상기 주입구 및 상기 격벽의 유입공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주입구보다 상측에, 상기 격벽의 유입공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폐수 처리장치는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침전되는 침전물을 수집하여 탈수하는 탈수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탈수부는 내부에 설치공간이 마련되며, 탈수된 물을 배출할 수 있는 탈수배출구가 형성된 외통부와, 상기 외통부의 설치공간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침전된 상기 침전물이 유입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구와 연통되며, 내부에 상기 침전물을 수용할 수 있는 탈수공간이 마련되되, 외주면에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내통부와, 상기 내통부 내에 수용된 상기 침전물을 탈수시키기 위해 상기 내통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폐수 처리장치는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침전된 상기 침전물을 수집할 수 있도록 내부에 상기 침전물이 수용되는 수집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수집공간으로 상기 침전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상부에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형성된 상기 관통구에 연통되게 설치된 수집용기를 더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폐수 처리장치는 상기 본체 내에 수용된 상기 폐수 수면의 요동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폐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하류 측에 상기 폐수에 대한 흡입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배수관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폐수를 펌핑하는 흡입펌프를 더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메인여과부재는 부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내부에 부력공간이 마련된 메인부력체와, 상기 메인부력체에 고정되며, 상기 메인부력체가 상기 폐수 내에 침강하여 상기 유입구 및 주입구 사이의 수중에 부유하기 위해 상기 메인부력체에 침력(沈力)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폐수보다 밀도가 높은 소재로 형성된 메인침력체를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폐수 처리장치는 상기 배수관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폐수에 오존 또는 산소를 공급하는 기체공급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폐수 처리장치는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침전되는 침전물을 수집하여 탈수하는 탈수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탈수부는 내부에 설치공간이 마련되며, 하면이 개방되게 형성된 제1통부재와, 상기 제1통부재의 하면에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통부재의 하면을 개폐하는 제1개폐덮개가 마련된 외통부와, 상기 제1통부재의 설치공간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침전된 상기 침전물이 유입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구와 연통되며, 내부에 상기 침전물을 수용할 수 있는 탈수공간이 마련되되, 외주면에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되고, 하면은 개방되게 형성된 제2통부재와, 상기 제2통부재의 하면에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2통부재의 하면을 개폐하는 제2개폐덮개가 마련된 내통부와, 상기 내통부 내에 수용된 상기 침전물을 탈수시키기 위해 상기 제1개폐덮개 및 제2개폐덮개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개폐덮개에 회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내통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처리장치는 구성이 간단하여 설치 및 제작이 용이하며, 폐수 내에 부유하는 다수의 여과부재에 의해 여과층을 형성하므로 상기 여과부재에 이물질이 흡착되더라도 통수성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정화된 폐수의 배출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수 처리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폐수 처리장치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폐수 처리장치의 메인여과부재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메인여과부재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메인여과부재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폐수 처리장치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폐수 처리장치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폐수 처리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폐수 처리장치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폐수 처리장치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폐수 처리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폐수 처리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폐수 처리장치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폐수 처리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폐수 처리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폐수 처리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폐수 처리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폐수 처리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처리장치(1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폐수 처리장치(10)는 내부에 폐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21)이 마련된 본체(20)와, 수용공간(21) 내의 폐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본체(20)에 연통되게 연결된 배수관(30)과, 상기 폐수를 여과시키기 위해 상기 수용공간(21) 내에 여과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다수의 메인여과부재(41)가 마련된 메인 여과부(40)와, 본체(20)의 바닥면에 침전된 침전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본체(20)의 바닥면에 형성된 관통구(24)를 개폐하는 개폐부재(52)와, 상기 본체(20)의 바닥면에 침전된 침전물을 수집하는 수집용기(50)를 구비한다.
본체(20)는 내부에 수용공간(21)이 마련되며, 원형 단면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본체(20)가 원통형의 구조를 갖는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본체(20)의 구조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다면체의 기둥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20)의 하부 외주면에는 상기 수용공간(21)으로 폐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입구(22)에는 폐수 유입관(23)이 연통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20)는 다수의 폐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된다. 본체(20)의 바닥면에는 침전물이 상기 수집용기(50)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관통구(24)가 형성되어 있다.
배수관(30)은 유입구(22)에 대향되는 위치의 본체(20)의 외주면에, 상기 수용공간(21)에 연통되게 설치된다. 배수관(30)은 내부에 폐수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가 마련되며, 일단부에는 상기 유로로 폐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주입구(31)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는 메인 여과부(40)를 통해 여과된 폐수를 처리하는 처리시설에 연결되어 있다.
이때, 주입구(31)가 형성된 배수관(30)의 일단부는 본체(20) 내에 인입되게 연장되되,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되어 있다. 배수관(30)의 일단부가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유입구(22)를 통해 본체(20) 내로 유입된 폐수는 본체(20)의 하부에서 상부로 흐르며 배출된다. 본체(20) 내의 폐수는 상방으로 이동되는 동안 폐수 내의 밀도가 높은 이물질은 바닥으로 용이하게 침전된다.
메인 여과부(40)는 유입구(22)를 통해 수용공간(21) 내로 유입된 폐수 내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여과시키기 위해 유입구(22) 및 주입구(31) 사이에 여과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유입구(22) 및 주입구(31) 사이의 폐수에 부유하는 다수의 메인여과부재(41)를 구비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메인여과부재(41)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제1실시 예에 따른 메인여과부재(41)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메인여과부재(41)는 수용공간(21) 내의 폐수의 흐름에 의한 간섭을 줄이기기 위해 구형으로 형성되며, 폐수 내에 침강하여 상기 유입구(22) 및 주입구(31) 사이에 부유하는 것으로서, 폐수보다 밀도가 낮은 소재로 형성된 메인부력체(42)와, 폐수보다 밀도가 높은 소재로 형성된 메인침력체(43)를 구비한다.
메인부력체(42)는 본체(20) 내에 수용된 폐수에 부유할 수 있게 소정의 부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폐수보다 밀도가 낮은 스티로폼과 같은 발포성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메인침력체(43)는 메인부력체(42)가 폐수 내에 침강하여 유입구(22) 및 주입구(31) 사이의 위치에 부유하기 위해 메인부력체(42)에 침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폐수보다 밀도가 높은 소재로 형성된다. 메인침력체(43)는 폐수에 의해 부식되어 이차적인 오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테인레스 강, 구리 또는 납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메인침력체(43)는 폐수의 유속 및 여과층의 형성위치에 따라 적합한 무게를 갖도록 제작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의 부피에, 0.12g의 중량을 갖는 스티로폼을 메인부력체(42)로 사용할 경우, 5.5g~7g 의 중량을 갖는 메인침력체(43)가 사용된다.
메인침력체(43)는 상면에 메인부력체(42)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44)가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고정돌기(44)는 메인침력체(43)에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메인부력체(42)의 높이보다 더 길게 연장된다. 작업자는 고정돌기(44)를 메인부력체(42)에 관통되게 삽입한 다음, 고정돌기(44)의 단부를 절곡되게 구부려 메인침력체(43)가 메인부력체(42)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고정시킨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 메인여과부재(41)는 메인침력체(43)가 고정돌기(44)에 의해 메인부력체(42)에 고정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메인여과부재(41)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메인부력체(42) 내부에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공간에 메인침력체(43)를 삽입설치하거나 메인부력체(42) 및 메인침력체(43)를 분쇄한 다음 상호 혼합하여 구형으로 성형할 수도 있다.
메인 여과부(40)는 다수의 메인여과부재(41)에 의해 여과층을 형성하고, 폐수는 상기 여과층을 통과하며 오염물질이 여과된다. 이때, 폐수 내에 오염물질이 메인여과부재(41)에 흡착될 경우, 메인여과부재(41)의 중량이 증가하여 여과층의 하측으로 하강하고, 여과층의 하측에 위치하는 메인여과부재(41)가 여과층의 상측으로 상승한다. 오염물질이 흡착되어 하강하는 메인여과부재(41)는 본체(20)의 바닥면에 침전되고, 침전물과 함께 수집용기(50)에 배출된다.
이때, 메인여과부재(41)에 흡착된 오염물질은 바닥으로 침전 중, 상측으로 승강하는 폐수의 흐름에 의해 메인여과부재(41)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다. 메인여과부재(41)로부터 분리된 오염물질은 본체(20)의 바닥면에 침전되고, 오염물질이 분리된 메인여과부재(41)는 중량이 감소하여 부력에 의해 상승하여 여과층으로 회귀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메인 여과부(40)는 오염물질이 흡착된 메인여과부재(41)를 본체(20)의 하부로 하강하여 여과층으로부터 분리되므로 폐수가 흡착된 오염물질에 의해 흐름이 방해받는 것이 아니라 용이하게 여과층을 통과하여 배수관(30)으로 유입된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메인여과부재(14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메인여과부재(140)는 원형 단면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폐수보다 밀도가 낮은 소재로 형성된 메인부력체(141)와, 폐수보다 밀도가 높은 소재로 형성된 메인침력체(142)를 구비한다.
메인부력체(141)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중앙부분에는 폐수 내의 오염물질을 분해할 수 있는 미생물이 서식할 수 있도록 삽입홈(143)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는 삽입홈(143)이 메인부력체(141)의 중앙부분에 1개가 형성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삽입홈(143)의 갯수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다수개가 형성되어 있다. 메인부력체(141)의 재질은 상기 제1실시 예의 메인부력체(141)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메인침력체(142)는 메인부력체(141)의 단면에 대응되는 원형 단면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면에는 메인부력체(141)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돌기(144)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메인침력체(142)의 재질 및 고정돌기(144)는 상기 제1실시 예의 메인침력체(142)의 재질 및 고정돌기(144)와 구성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메인여과부재(24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메인여과부재(240)는 부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내부에 부력공간이 마련된 메인부력체(241)와, 메인부력체(241)에 고정되며, 폐수보다 밀도가 높은 소재로 형성된 메인침력체(242)를 구비한다.
메인부력체(241)는 소정의 반경을 갖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부력공간이 마련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메인부력체(241)가 구형으로 형성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메인부력체(241)의 형상은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육면체 또는 다면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메인침력체(242)는 내부에 메인부력체(241)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21)이 마련되며, 메인부력체(241)가 폐수 내에 침강하여 유입구(22) 및 주입구(31) 사이의 위치에 부유하기 위해 메인부력체(241)에 침력을 제공하며, 폐수에 의해 부식되어 이차적인 오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부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강, 구리 또는 납 등으로 형성된다.
한편, 도 6에는 메인 여과부(247)의 또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메인 여과부(247)는 메인여과부재(41)들을 구속하는 차단막을 더 구비한다. 차단막은 메인여과부재(41)들에 의해 형성된 여과층의 상측의 수집용기(50) 내에 설치되며, 수집용기(50)의 단면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차단막은 폐수를 통과시키되, 메인여과부재(41)는 차단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차단막은 여과층의 상측에 설치되어 메인여과부재(41)가 여과층을 이탈하여 배수관(3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 7에는 메인 여과부(248)의 또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메인 여과부(248)는 메인여과부재(41)들이 일정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수집용기(50)에 설치된 구속자석(48)을 더 구비한다. 이때, 메인여과부재(41)의 침력체는 구속자석(48)의 자력에 의해 부유위치가 유지될 수 있도록 철, 니켈,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자성체로 형성된다.
구속자석(48)은 설정된 여과층 형성위치의 수집용기(50) 내부 및 외부에 설치된다. 구속자석(48)은 작업자가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속자석(48)의 자력에 의해 메인여과부재(41)는 설정된 위치를 벗어나는 것이 방지되어 여과층을 유지한다.
개폐부재(52)는 본체(20)의 관통구(24)를 개폐하는 것으로서, 덮개(53)와, 덮개(53)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미도시)를 구비한다. 덮개(53)는 관통구(24)를 덮을 수 있도록 관통구(24)보다 더 큰 단면으로 형성되며, 일단부는 수집용기(50)의 천장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덮개(53)는 구동부의 회전력에 의해 회동하며 관통구(24)를 개폐한다.
구동부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덮개(53)의 회동축에 체결되어 덮개(53)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구동모터를 구비한다.
작업자는 주기적으로 구동부를 통해 개폐부재(52)를 작동시켜 본체(20)의 바닥면에 침전된 침전물 및 오염물질이 흡착된 메인여과부재(41)를 수집용기(50)로 배출한다. 수집용기(50)로 배출된 침전물은 별도의 침전물 처리시설로 이송되며, 오염물질이 흡착된 메인여과부재(41)는 세척된 다음, 본체(20) 내로 재공급된다.
이때, 침전물 처리시설로 배출된 오염물질 및 침전물을 탈수 후, 케이크 상태로 배출되며, 오염물질 및 침전물로부터 탈수된 물은 폐수 유입관(23)을 통해 본체(20) 내에 재유입되어 재차 정수처리된다.
한편, 도 8에는 개폐부재(300)의 또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개폐부재(300)는 상기 관통구(24)에 설치되며, 상기 침전물이 상기 수집용기(50)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관통되게 제1배출공(312)이 형성된 제1마개부재(311)와, 상기 제1마개부재(311) 상측의 본체(20) 내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키는 제1전자석(320)과, 상기 제1배출공(312)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마개부재(311)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제1전자석(320)으로부터 발생된 자력에 의해 상기 제1마개부재(311) 방향으로 인접되어 상기 제1배출공(312)을 폐쇄할 수 있도록 자성을 갖는 자성체가 마련된 제1덮개유닛(330)과, 상기 제1전자석(3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전원공급부(340)와, 상기 본체(2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20) 내에 수용된 폐수의 탁도를 측정하는 탁도측정센서(350)와, 상기 탁도측정센서(350)를 통해 측정된 상기 본체(20) 내의 탁도가 기설정된 탁도보다 높을 시, 상기 제1덮개유닛(330)이 제1배출공(312)을 폐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전원공급부(340)로부터 상기 제1전자석(320)으로의 전원을 공급하는 제1개폐제어부(360)를 구비한다.
제1마개부재(311)는 본체(20)의 관통구(24)에 설치되며, 상면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다수의 제1배출공(312)이 형성된다. 제1마개부재(311)는 제1전자석(320)의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비자성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마개부재(311)는 중앙부분에 후술되는 제1덮개유닛(330)의 제1가이드부재(331)가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중공이 형성되어 있다. 제1마개부재(311)는 제1전자석(320)으로부터 발생된 자력이 제1자성덮개(332)에 작용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전자석(320)은 제1전원공급부(340)를 통해 공급된 전원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지지바(321)에 의해 제1마개부재(311)의 상면에 상방으로 이격되게 위치한다. 지지바(321)는 일단은 본체(20)의 내벽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1전자석(320)에 고정되며, 제1전자석(320)을 제1마개부재(311)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게 지지할 수 있게 상방으로 연장형성된다.
이때, 제1전자석(320)은 제1마개부재(311)의 중앙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덮개유닛(330)은 제1가이드부재(331), 제1자성덮개(332) 및 제1자성체(333)를 구비한다.
제1가이드부재(331)는 제1마개부재(311)의 중공에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방으로 연장형성된다. 제1가이드부재(331)는 용이하게 제1마개부재(311)의 중공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중공에 대응되는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1자성덮개(332)는 제1마개부재(311)의 하측에 대응되는 위치의 제1가이드부재(331)의 하단에 고정되며, 제1마개부재(311)의 제1배출공(312)을 폐쇄할 수 있도록 제1마개부재(311)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1자성체(333)는 제1마개부재(311)의 상측에, 제1전자석(320)의 하측에 대응되는 위치의 제1가이드부재(331)의 상부에 고정설치된다. 제1자성체(333)는 제1전자석(320)으로부터 발생되는 자력에 의해 제1전자석(320)에 부착될 수 있도록 철, 니켈,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자성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자성체(333)는 제1가이드부재(331)가 제1마개부재(3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마개부재(311)의 중공보다 큰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전원공급부(340)는 전원선에 의해 제1전자석(320)에 연결되어 제1전자석(320)에 전원을 공급한다. 제1전원공급부(340)는 제1자성덮개(332)가 제1전자석(320)에 부착될 수 있도록 제1전자석(320)에 전원을 공급한다.
탁도측정센서(350)는 본체(20) 내에 설치되어 본체(20) 내에 수용된 폐수의 탁도를 측정한다. 탁도측정센서(350)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센서이므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개폐제어부(360)는 제1자성덮개(332)가 제1마개부재(311)의 제1배출공(312)을 개폐할 수 있도록 제1전원공급부(340)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탁도측정센서(350)를 통해 측정된 본체(20) 내의 탁도가 기설정된 탁도를 초과할 시, 제1마개부재(311)의 제1배출공(312)이 폐쇄될 수 있도록 제1전원공급부(340)로부터 제1전자석(320)으로의 전원공급을 공급한다.
본체(20) 내의 폐수의 유입시, 본체(20)의 관통구(24)를 통해 폐수와 침전물이 수집용기(50) 내로 유입된다. 수집용기(50) 내로 다량의 침전물이 유입되어 기설정된 탁도를 초과시, 제1개폐제어부(360)는 제1전원공급부(340)로부터 제1전자석(320)으로의 전원을 공급하여 제1전자석(320)에 제1자성체(333)를 부착시킨다. 제1전자석(320)의 자력에 의해 상승하는 제1자성체(333)에 의해 제1가이드부재(331)에 하단에 설치된 제1자성덮개(332)가 상승하여 제1마개부재(311)의 제1배출공(312)을 폐쇄시킨다. 제1배출공(312)이 폐쇄되면, 수집용기(50)를 본체(20)로부터 분리하여 내부에 수용된 침전물을 침전물 처리시설로 이송시킨다.
수집용기(50)는 내부에 침전물이 수용되는 수집공간(51)이 마련되며, 수집공간(51)으로 상기 침전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본체(20)의 관통구(24)에 연통되게 설치된다. 수집용기(50)는 본체(20)의 단면에 대응되는 원형단면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본체(20)의 하면에 상면이 설치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300)는 수집용기(50) 내의 탁도가 기설정된 탁도를 초과시, 전력을 공급하여 제1덮개유닛(330)을 통해 제1배출공(312)을 폐쇄하므로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수집용기(50)의 탁도에 따라 수집용기(50)의 침전물 수거시기를 결정하여 관리자가 침전물을 수거하여 관리하는 데 소요되는 노력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처리장치(10)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폐수 유입관(23)을 통해 유동되는 폐수는 유입구(22)를 통해 본체(20) 내의 수용공간(21)에 유입된다. 수용공간(21) 내에 유입된 폐수는 상방으로 유동하며, 다수의 메인여과부재(41)에 의해 형성된 여과층을 통과하며 오염물질이 여과되어 배수관(30)으로 유입된다.
이때, 메인여과부재(41)에 오염물질이 흡착시, 오염물질의 중량에 의해 메인여과부재(41)를 본체(20)의 하측으로 하강하며, 본체(20)의 바닥면에 침전되면, 수집용기(50)에 의해 침전물과 함께 수집되어 본체(20)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처리장치(10)는 구성이 간단하여 설치 및 제작이 용이하며, 폐수 내에 부유하는 다수의 여과부재에 의해 여과층을 형성하므로 상기 여과부재에 이물질이 흡착되더라도 통수성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정화된 폐수의 배출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한편, 도 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폐수 처리장치(13)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폐수 처리장치(13)는 배수관(30) 내로 유입되는 상기 폐수를 재여과시키는 서브여과부(70)와 상기 본체(20) 내에 수용된 상기 폐수의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부유물 배출부(60)를 더 구비한다.
서브여과부(70)는 배수관(30) 내로 유입된 폐수를 재여과시키기 위해 배수관(30) 내에 여과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배수관(30) 내의 폐수에 부유하는 다수의 서브여과부재(71)를 구비한다.
서브여과부재(71)는 배수관(30) 내의 폐수의 흐름에 의한 간섭을 줄이기 위해 구형으로 형성되며, 배수관(30) 내에 부유하는 것으로서, 폐수보다 밀도가 낮은 소재로 형성된 서브부력체(72)와, 폐수보다 밀도가 높은 소재로 형성된 서브침력체(73)를 구비한다.
서브부력체(72)는 배수관(30) 내에 유입되는 폐수에 부유할 수 있게 소정의 부력이 발생할 수 있게 폐수보다 밀도가 낮은 스티로품과 같은 발포성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서브부력체(72)는 폐수 내에서 부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내부에 부력공간이 마련된 부구가 사용될 수도 있다.
서브침력체(73)는 서브부력체(72)가 폐수 내에 침강하여 배수관(30) 내에 부유하기 위해 서브부력체(72)에 침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폐수보다 밀도가 높은 소재로 형성된다. 서브침력체(73)는 폐수에 의해 부식되어 이차적인 오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테인레스 강, 구리 또는 납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서브침강체는 폐수의 유속 및 여과층의 형성위치에 따라 적합한 무게를 갖도록 제작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의 부피에, 0.12g의 중량을 갖는 스티로폼을 서브부력체(72)로 사용할 경우, 5.5g~7g 의 중량을 갖는 서브침력체(73)가 사용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서브침력체(73)는 상면에 서브부력체(72)에 고정도리 수 있도록 결속돌기(미도시)가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서브부력체(72)의 결속돌기는 서브침력체(73)에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서브부력체(72)의 높이보다 더 길게 연장된다. 작업자는 서브침력체(73)의 결속돌기를 서브부럭체에 관통시킨 다음, 서브침력체(73)의 결속돌기의 단부를 절곡되게 구부려 서브침력체(73)가 서브부력체(72)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고정시킨다.
서브여과부(70)는 다수의 서브여과부재(71)에 의해 배수관(30) 내에 여과층을 형성하여 메인 여과부(40)를 통과하여 여과된 폐수를 재여과시키므로 폐수에 대한 정화효율을 향상시킨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 서브여과부재(71)는 서브침력체(73)가 결속돌기에 의해 서브부력체(72)에 고정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서브여과부재(71)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서브부력체(72) 내부에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공간에 서브침력체(73)를 삽입설치하거나 서브부력체(72) 및 서브침력체(73)를 분쇄한 다음 상호 혼합하여 구형으로 성형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0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브여과부(17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서브여과부(170)는 배수관(30)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배수관(30)을 통해 배출되는 폐수에 오존 또는 산소를 공급하는 기체공급부를 더 구비한다.
기체공급부는 일단은 배수관(30)에 연통되게 연결된 기체공급관과, 기체공급관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기체공급관을 통해 배수관(30)으로 오존 또는 산소를 공급하는 공급부재를 구비한다.
기체공급관은 내부에 공기 또는 기체상태의 오존이 유동할 수 있도록 유로가 마련된 파이프형으로 형성되며, 배수관(30)의 설치위치에 따라 용이하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급부재는 기체공급관에 오존 또는 공기를 주입하는 것으로서,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기 또는 다량의 산소가 수용된 산소탱크로 구성될 수 있다.
기체공급부는 서브여과부재(71)에 의해 형성된 여과층 하측의 배수관(30)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배수관(30) 내에 오존 또는 산소를 공급한다. 기체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오존 또는 산소에 의해 폐수에 대한 정화효율이 향상되며, 배수관(30) 내 공급된 오존 또는 산소의 흐름에 의해 배수관(30) 내 서브여과부재(71)의 부력을 향상시킨다.
부유물 배출부(60)는 본체(20) 내에 수용된 폐수의 수면에 부유물을 본체(20)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서, 격벽(61)과 부유물 배출관(62)을 구비한다.
격벽(61)은 본체(20)의 수용공간(21)을 부유물이 유입되는 유입공간과 폐수가 배수관(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제1배출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배수관(30)의 주입구(31)보다 상측의 본체(20) 내에 설치된다. 격벽(61)은 상방으로 갈수록 단면이 작아지게 원뿔형으로 형성되며, 상단부에는 제1배출공간의 부유물이 유입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유입공이 형성되어 있다.
부유물 배출관(62)은 일단이 유입공간에 연통되게 상기 본체(20)에 설치되며, 타단은 부유물을 수집하여 처리하는 부유물 처리설비에 연결되어 있다. 이때, 부유물 배출관(62)의 일단은 유입공간으로 유입된 부유물이 격벽(61)의 외주면을 따라 하강하여 부유물 배출관(62) 내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격벽(61)의 상단부보다 하측의 본체(20)에 설치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부유물 배출관(62)의 일단은 격벽(61)의 하단부에 인접되는 위치의 본체(20)에 설치된다.
유입구(22)를 통해 유입되는 폐수의 양이 배수관(30)을 통해 배수되는 양보다 많아지면, 본체(20) 내의 폐수 수위가 상승하고, 폐수 수위 상승에 따라 수용공간(21) 내의 폐수 수면 위에 부유하는 부유물은 격벽(61)의 유입공을 통해 유입공간으로 유입된다. 유입공간으로 유입된 부유물은 부유물 배출관(62)을 통해 배출된다. 이때, 격벽(61)이 원뿔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유입공간으로 유입된 부유물은 격벽(61)의 외측 경사면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므로 부유물이 유입공을 통해 제1배출공간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작업자는 유입공간으로 지속적으로 부유물이 유입되기 위해 폐수의 수면이 격벽(61)의 상단부보다 높게 유지되도록 폐수의 유입 유량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1은 부유물 배출부(160)에 대한 또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부유물 배출부(160)는 수집용기(50)에 수용된 폐수의 수위에 따라 격벽(61)의 유입공을 개폐하는 차단덮개부(161)를 더 구비한다.
차단덮개부(161)는 격벽(61)의 유입공에 설치되며, 부유물이 수입용기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관통되게 제2배출공(162a)이 형성된 제2마개부재(162)와, 상기 제2마개부재(162)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부재(163)와, 승강부재(163)의 하단에 설치되며, 본체(20) 내에 수용된 폐수 수면과 부유물 사이에 부유하는 부구체(164)와, 제2마개부재(162) 및 부구체(164) 사이의 상기 승강부재(163)에 설치되어 상기 제2마개부재(162)의 제2배출공(162a)을 개폐하는 승강덮개(165)와, 상기 제2배출공(162a)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개폐감지부(166)를 구비한다.
제2마개부재(162)는 격벽(61)의 유입공에 설치되며, 상면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다수의 제2배출공(162a)이 형성된다. 제2마개부재(162)는 중앙부분에 후술되는 승강부재(163)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중공이 형성되어 있다.
승강부재(163)는 소정 반경의 원형 단면을 갖는 환봉형으로 형성되며, 제2마개부재(162)의 중공에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이때, 승강부재(163)는 용이하게 제2마개부재(162)의 중공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중공에 대응되는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승강부재(163)는 본체(20) 내에 수용된 폐수의 수면을 낮아져서 제2마개부재(162)의 중공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측 외주면에 간섭부재(163a)가 형성되어 있다. 간섭부재(163a)는 제2마개부재(162)에 의해 간섭될 수 있도록 제2마개부재(162)의 중공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구체(164)는 승강부재(163)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본체(20) 내에 수용된 폐수의 수면 및 부유물 사이에 부유할 수 있도록 약 0.98 g/㎤ 의 밀도를 갖는다. 부구체(164)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폐수보다 밀도가 낮은 부력물질과, 폐수가 밀도가 높은 침력물질을 상호 혼합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승강덮개(165)는 부구체(164) 및 제2마개부재(162) 사이의 승강부재(163)에 설치되며, 용이하게 제2마개부재(162)의 제2배출공(162a)을 폐쇄할 수 있도록 제2마개부재(162)의 면적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개폐감지부(166)는 승강덮개(165)에 의해 제2마개부재(162)의 제2배출공(162a)의 개폐여부를 감지한다. 개폐감지부(166)는 제1접촉센서(166a), 제2접촉센서(166b) 및 덮개 제어부(166c)를 구비한다. 제1접촉센서(166a)는 승강덮개(165)부의 상면 가장자리에 설치되며, 제2접촉센서(166b)는 제1접촉센서(166a)에 대향되는 위치의 제2마개부재(162)의 하면에 설치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1접촉센서(166a)는 본체(20) 내에 수용된 폐수의 흐름에 의해 부구체(164)가 회전하더라도 제2접촉센서(166b)에 감지될 수 있도록 승강덮개(165)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폐궤도를 이루며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 제어부(166c)는 제1접촉센서(166a) 및 제2접촉센서(166b) 상호 접하면 접촉신호를 감지하여 제2마개부재(162)의 제2배출공(162a)을 통해 유입공간으로 폐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체(20) 내로 폐수를 공급하는 공급부(미도시)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단덮개부(161)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20) 내의 폐수의 수위가 높아져 부구체(164)가 상승하면 승강부재(163)는 상승한다. 승강부재(163)의 상승에 따라 승강덮개(165)는 제2마개부재(162)의 하면에 접하여 제2배출공(162a)을 폐쇄한다. 이때, 제1접촉센서(166a) 및 제2접촉센서(166b)에 상호 접하여 접촉신호를 덮개 제어부(166c)로 전달한다. 덮개 제어부(166c)는 제1접촉센서(166a) 및 제2접촉센서(166b)의 접촉신호에 의해 본체(20) 내로 폐수를 공급하는 공급부(미도시)의 작동을 정지시켜 본체(20) 내의 폐수 수위를 낮춘다.
본체(20) 내의 수위가 낮아져서 제1접촉센서(166a) 및 제2접촉센서(166b)가 상호 분리되면, 덮개 제어부(166c)는 상기 공급부를 작동시켜 본체(20) 내로 폐수를 공급한다.
한편, 도 12는 차단덮개부(260)에 대한 또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차단덮개부(260)는 격벽(61)의 유입공에 설치되며, 부유물이 수입용기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관통되게 제3배출공(268)이 형성된 제3마개부재(261)와, 제3마개부재(261)에 설치되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키는 제2전자석(262)과, 제3마개부재(261)의 하측에 위치하며, 제2전자석(262)에 전원공급시, 발생된 자력에 의해 제2전자석(262)에 부착되어 제3배출공(268)을 폐쇄할 수 있도록 자성을 갖는 제2자성덮개(263)와, 제3마개부재(261) 및 제2자성덮개(263) 사이에 설치되어 제2자성덮개(263)를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부재(264)와, 제2전자석(262)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전원공급부(265)와, 수집용기(50) 내에 설치되어 상기 수집용기(50)에 수용된 폐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센서(266)와, 수위측정센서(266)를 통해 측정된 폐수의 수위에 따라 제2전원공급부(265)를 제어하는 제2개폐제어부(267)를 구비한다.
제3마개부재(261)는 격벽(61)의 유입공에 설치되며, 상면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다수의 제3배출공(268)이 형성된다. 제3마개부재(261)는 제2전자석(262)의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비자성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마개부재(261)는 중앙부분에 후술되는 제2가이드부재(264)가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중공이 형성되어 있다. 제3마개부재(261)는 제2전자석(262)으로부터 발생된 자력이 제2자성덮개(263)에 작용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전자석(262)은 제2전원공급부(265)를 통해 공급된 전원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제3마개부재(261)의 중앙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제3마개부재(261)의 중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가이드부재(264)가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제2자성덮개(263)는 제2전자석(262)의 하측에 위치하며, 제3마개부재(261)의 제2배출공(162a)을 폐쇄할 수 있도록 제3마개부재(261)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제2자성덮개(263)는 제2전자석(262)으로부터 발생되는 자력에 의해 제2전자석(262)에 부착될 수 있도록 철, 니켈,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자성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가이드부재(264)는 일단은 제2자성덮개(263)의 상면 중앙부분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2마개부재(162)의 중공 및 제2전자석(262)의 관통홀을 통해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방으로 연장형성된다. 제2가이드부재(264)는 용이하게 제3마개부재(261)의 중공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중공에 대응되는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3마개부재(261) 및 제2전자석(262)을 관통한 제2가이드부재(264)의 상단부에는 제2가이드부재(264)가 제3마개부재(26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3마개부재(261)의 중공보다 큰 단면을 갖는 이탈방지부재(269)가 형성되어 있다.
제2전원공급부(265)는 전원선에 의해 제2전자석(262)에 연결되어 제2전자석(262)에 전원을 공급한다. 제2전원공급부(265)는 제2자성덮개(263)가 제2전자석(262)에 부착될 수 있도록 제2전자석(262)에 전원을 공급한다.
수위측정센서(266)는 수집용기(50) 내에 설치되어 수집용기(50) 내에 수용된 폐수의 수위를 측정한다. 수위측정센서(266)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센서이므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개폐제어부(267)는 제2자성덮개(263)가 제2마개부재(162)의 제3배출공(268)을 개폐할 수 있도록 제2전원공급부(265)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수위측정센서(266)를 통해 측정된 폐수의 수위가 유입공에 인접되면, 유입공을 통해 폐수가 유입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2자성덮개(263)가 제3배출공(268)을 폐쇄하기 위해 제2전원공급부(265)를 작동시켜 제2전자석(262)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차단덮개부(260)는 폐수의 수위가 유입공에 인접되도록 높아지면 제2자성덮개(263)를 통해 격벽(61)의 유입공을 차단하여 유입공간으로 폐수의 유입을 차단한다. 이때, 작업자는 펌프를 조절하여 폐수의 유입량을 줄여 수집용기(50)에 수용된 폐수의 수위를 낮춘다. 폐수의 수위가 낮아지면 차단덮개부(260)는 제2전자석(262)으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제2배출공(162a)을 개방시킨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차단덮개부(260)는 격벽(61)의 유입공을 통해 부유물이 유입공간으로 유입되도록 제3배출공(268)을 개방하되, 폐수의 수위가 높아지면 제3배출공(268)을 폐쇄하여 폐수가 유입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 1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폐수 처리장치(15)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폐수 처리장치(15)는 본체(20) 내에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수위유지부(80)를 더 구비한다. 수위유지부(80)는 수위조절용기(81) 및 수위조절용기(81)에 폐수를 공급하는 폐수 공급부(84)를 구비한다. 이때, 본체(20) 내에 수용된 폐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관(30)의 타단부는 본체(20) 내의 수위를 유지시키 위해 배수관(30)의 일단부보다는 상측에, 격벽(61)의 유입공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연장형성된다.
수위조절용기(81)는 폐수 유입관(23)에 연통되게 설치되며, 내부에 폐수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21)이 마련된다. 수위조절용기(81)는 폐수 유입관(23)을 통해 내부에 수용된 폐수를 본체(20)로 공급한다. 수위조절용기(81)는 본체(20)에 대응되는 높이로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공급관(83) 및 공급펌프(84)로부터 내부에 폐수가 공급된다.
폐수 공급부(84)는 수위조절용기(81)에 연통되게 설치된 공급관(83)과, 상기 공급관(83)에 설치된 공급펌프(84)를 구비한다.
공급관(83)은 단부가 수위조절용기(81)에 연통되게 설치되며, 타단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폐수를 수집하여 공급하는 폐수 수집부에 연결된다. 공급관(83)은 수위조절용기(81)의 상측에 연결되며, 폐수 수집부로부터 수집된 폐수를 수위조절용기(81)로 공급한다. 공급관(83)에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개폐밸브가 설치되어 작업자가 용이하게 공급관(83)을 개폐할 수 있다.
공급펌프(84)는 공급관(83)에 설치되어 폐수 수집부로부터 폐수를 펌핑하여 수위조절용기(81)로 공급한다.
작업자는 공급펌프(84)를 작동시켜 공급관(83)을 통해 수위조절용기(81)에 폐수를 공급한다. 공급관(83)을 통해 유입된 폐수는 수위조절용기(81)에 수용된 다음 폐수 유입관(23)을 통해 본체(20)로 공급된다. 이때, 작업자는 수위조절용기(81) 내의 수위가 배수관(30)의 타단부의 높이에 대응되게 배수관(30)의 일단부보다 상측에, 격벽(61)의 유입공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공급펌프(84)를 작동시켜 수위를 조절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배수관(30)의 타단부의 높이 및 수위조절용기(81) 내의 수위를 조절하여 본체(20) 내의 수위가 일정하도록 조절한다. 수위조절부에 의해 본체(20) 내의 폐수가 일정수위를 유지하므로 본체(20) 내로 유입된 부유물은 폐수의 상측에 적층되고, 부유물이 일정두께로 적층되면 상측부분은 격벽(61)의 유입공을 통해 부유물 배출관(62)으로 배출된다.
한편, 배수관(30)의 타단부에는 상기 본체(20) 내에 수용된 상기 폐수 수면의 요동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폐수를 펌핑하는 흡입펌프(8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흡입펌프(89)는 폐수를 펌핑하므로 상기 폐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하류 측에 상기 폐수에 대한 흡입력이 발생하여 본체(20) 내에 수용된 폐수 수면의 요동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폐수 처리장치(4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폐수 처리장치(400)는 본체(20)의 바닥면에 침전되는 침전물을 수집하여 탈수하는 탈수부(410)를 더 구비한다.
상기 탈수부(410)는 본체(20)의 하부에 설치된 외통부(411)와, 외통부(41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내통부(412)와, 내통부(412)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413)를 구비한다. 이때, 본체(20)의 관통구(24)에는 개폐부재(300)가 설치되어 침전물이 본체(20) 외부로 배출되는 관통구(24)를 개폐한다. 개폐부재(300)는 도 8에 도시된 실시 예의 개폐부재(300)와 구성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외통부(411)는 본체(20)에 대응되는 반경을 갖고, 내부에 내통부(41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공간이 마련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외통부(411)의 하측 외주면에는 후술되는 내통부(412)의 회전에 의해 침전물로부터 탈수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탈수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탈수부(410)는 침전물로부터 탈수된 물을 본체(20)로 재유입시킬 수 있도록 일단은 탈수배출구에 연통되며, 타단은 폐수 유입관(23)에 연통되게 설치되는 재유입관(414)을 더 구비한다. 재유입관(414)에는 침전물로부터 탈수된 물을 펌핑하여 폐수 유입관(23)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펌프(436)가 설치될 수도 있다.
내통부(412)는 외통부(411)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을 갖고, 내부에 본체(20)로부터 배출되는 침전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탈수공간이 마련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외통부(411) 내부에 설치된다. 내통부(412)는 본체(20)로부터 침전물이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본체(20)의 관통구(24)의 하측에 대응되는 위치의 외통부(411) 내부에 설치되며, 상면은 개방되게 형성된다.
내통부(412)의 외주면에는 구동모터(413)에 의해 회전시, 내부에 수용된 침전물로부터 탈수된 물이 외통부(411)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모터(413)는 내통부(412)의 하면에 설치되어 내통부(412)를 회전시킨다. 이때, 내통부(412)가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구동모터(413)의 회전축은 내통부(412)의 하면 중앙부분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20) 내로 폐수가 유입되며, 본체(20)의 관통구(24)를 통해 폐수 및 침전물이 내통부(412)로 유입된다. 탁도측정센서(350)를 통해 측정된 내통부(412) 내의 탁도가 기설정된 탁도보다 높으면, 개폐부재(300)를 통해 본체(20)의 관통구(24)를 폐쇄한다. 본체(20)의 관통구(24)가 폐쇄되면, 외통부(411) 및 내통부(412) 내에 수용된 폐수를 재유입관(414)을 통해 폐수 유입관(23)으로 배출시키고, 구동모터(413)를 작동시켜 내통부(412)를 회전시킨다. 회전하는 내통부(412)에 의해 침전물로부터 탈수된 물은 배수공을 통해 외통부(411)으로 배출되고, 재유입관(414)을 통해 폐수 유입관(23)으로 유입되어 재 여과된다. 한편, 재유입관(414)에는 탈수된 물을 펌핑하여 폐수 유입관(23)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펌프(41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탈수부(410)는 침전물을 수거하여 탈수한 다음, 탈수된 물을 본체(20) 내로 재유입시켜 재차 여과하여 정화효율을 높이고, 침전물을 탈수하여 배출시키므로 침전물 처리에 소요되는 노력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도 1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탈수부(42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탈수부(420)는 본체(20)의 하부에 설치된 외통부(430)와, 외통부(43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내통부(440)와, 내통부(44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450)를 구비한다. 이때, 본체(20)의 관통구(24)에는 개폐부재(300)가 설치되어 침전물이 본체(20) 외부로 배출되는 관통구(24)를 개폐한다. 개폐부재(300)는 도 6에 도시된 실시 예의 개폐부재(300)와 구성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외통부(430)는 내부에 설치공간이 마련되며, 하면이 개방되게 형성된 제1통부재(431)와, 상기 제1통부재(431)의 가장자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개방된 제1통부재(431)의 하면을 개폐하는 제1개폐덮개(432)를 구비한다.
제1통부재(431)는 본체(20)에 대응되는 반경을 갖고, 내부에 상기 설치공간이 마련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제1통부재(431)의 하측 외주면에는 내통부(440)의 회전에 의해 침전물로부터 탈수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탈수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탈수배출구에는 단부가 폐수유입관에 연통된 재유입관(435)이 연통되게 설치되어 있다.
제1개폐덮개(432)는 제1통부재(431)의 반경에 대응되는 반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일단이 제1통부재(431)의 하측 가장자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통부재(431)의 하면을 개폐한다. 제1개폐덮개(432)는 제1통부재(431)와의 수밀성를 유지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따라 고무소재의 패킹부재(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외통부(430)는 제1개폐덮개(432)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유압실린더(433)를 더 구비한다. 유압실린더(433)는 일단은 제1개폐덮개(432)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은 제1개폐덮개(432)의 회동축에 인접된 위치의 제1통부재(431)의 외주면에 설치된 이격부재(434)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격부재(434)는 제1통부재(431)의 하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유압실린더(433)를 제1통부재(431)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한다. 외부에서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유압실린더(433)는 신축되며, 제1개폐덮개(432)를 회동시켜 제1통부재(431)의 하면을 개폐한다.
내통부(440)는 내부에 침전물이 수용되는 탈수공간이 마련되며, 하면이 개방되게 형성된 제2통부재(441)와, 개방된 제2통부재(441)의 하면을 개폐하는 제2개폐덮개(442)를 구비한다.
제2통부재(441)는 제1통부재(431)보다 작은 반경을 갖고, 내부에 본체(20)로부터 배출되는 침전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탈수공간이 마련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제2통부재(441)의 외주면에는 탈수공간에 수용된 침전물로부터 탈수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기 위해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2통부재(441)는 본체(20)에 침전된 침전물이 용이하게 상기 탈수공간에 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된 상면이 본체(20)의 관통구(24) 하측에 위치하도록 제1통부재(431)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개폐덮개(442)는 제2통부재(441)의 반경에 대응되는 반경을 갖는 원판형으로 형성되며, 제1개폐덮개(432)의 상면에 설치된 구동모터(450)의 회전축에 설치된다. 제2개폐덮개(442)는 구속수단에 의해 제2통부재(441)의 하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구속수단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2통부재(441)의 하단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폐궤도를 이루며 형성된 제1기어이와, 제2통부재(441)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폐궤도를 이루며 형성되되, 상기 제1기어이에 치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기어이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기어이에 의해 제2통부재(441) 및 제2개폐덮개(442)를 상호 결합되며, 구동모터(450)를 통해 발생된 회전력이 제2통부재(441)에 전달된다.
구동모터(450)는 제1개폐부재의 상면에 설치되며, 회전축에는 제2개폐덮개(442)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내통부(440)가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구동모터(450)의 회전축은 제2개폐덮개(442) 하면의 중앙부분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20) 내로 폐수가 유입되며, 본체(20)의 관통구(24)를 통해 폐수 및 침전물이 내통부(440)로 유입된다. 탁도측정센서를 통해 측정된 본체(20) 내의 탁도가 기설정된 탁도보다 높으면, 개폐부재(300)를 통해 본체(20)의 관통구(24)를 폐쇄한다. 본체(20)의 관통구(24)가 폐쇄되면, 외통부(430) 및 내통부(440) 내에 수용된 폐수를 재유입관(435)을 통해 폐수 유입관(23)으로 배출시키고, 구동모터(450)를 작동시켜 내통부(440)를 회전시킨다. 회전하는 내통부(440)에 의해 침전물로부터 탈수된 물은 배수공을 통해 외통부(430)으로 배출되고, 재유입관(435)을 통해 폐수 유입관(23)으로 유입되어 재여과된다.
이때,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탈수부(420)는 제1개폐덮개(432) 및 제2개폐덮개(442)가 제1통부재(431) 및 제2통부재(441)에 각각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탈수가 완료된 침전물을 제1통부재(431) 및 제2통부재(441)의 개방된 하면을 통해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한편, 도 1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탈수부(47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탈수부(470)는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의 침전물수집부에 연통되어 수집된 침전물을 탈수시킨다. 상기 탈수부(470)는 외통부(480)와, 외통부(48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내통부(491)와, 내통부(491)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492)를 구비한다.
외통부(480)는 내부에 설치공간이 마련되며,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된 제3통부재(481)와, 상기 제3통부재(481)의 상면 가장자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개방된 제3통부재(481)의 상면을 개폐하는 제3개폐덮개(482)를 구비한다.
제3통부재(481)는 소정의 반경을 갖고, 내부에 상기 설치공간이 마련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제1통부재(431)의 하측 외주면에는 내통부(491)의 회전에 의해 침전물로부터 탈수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탈수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탈수배출구에는 단부가 폐수유입관에 연통된 재유입관(485)이 연통되게 설치되어 있다.
제3개폐덮개(482)는 제3통부재(481)의 반경에 대응되는 반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일단이 제3통부재(481)의 상측 가장자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제3통부재(481)의 상면을 개폐한다. 제3개폐덮개(482)는 제3통부재(481)와의 수밀성를 유지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따라 고무소재의 패킹부재(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3개폐덮개(482)의 상면에는 제3통부재(481) 내부에 설치된 내통부(491)로 침전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수집용기(50)의 하부에 연통된 침전물 유입관(483)이 연통되게 설치된다. 이때, 침전물 유입관(483)은 내통부(491)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제3개폐덮개(482)의 중앙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통부(491)는 제3통부재(481)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을 갖고, 내부에 침전물 유입관(483)을 통해 배출되는 침전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탈수공간이 마련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제3통부재(481) 내부에 설치된다. 내통부(491)는 본체(20)로부터 침전물이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상면은 개방되게 형성된다.
내통부(491)의 외주면에는 구동모터(492)에 의해 회전시, 내부에 수용된 침전물로부터 탈수된 물이 외통부(480)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17을 참조하면, 내통부(491) 내에는 미세한 크기의 침전물이 배수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탈수된 침전물을 용이하게 내통부(491)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여과포부재(494)가 설치될 수 있다. 여과포부재(494)는 다수의 관통공이 마련된 메쉬부재로 형성되며, 내통부(491) 내부를 감쌀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여과포부재(494)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여과포부재(494)를 용이하게 견인할 수 있도록 다수의 견인와이어(495)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모터(492)는 내통부(491)의 하면에 설치되어 내통부(491)를 회전시킨다. 이때, 내통부(491)가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구동모터(492)의 회전축은 내통부(491)의 하면 중앙부분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침전물 유입관(483)을 통해 수집용기(50) 내에 수용된 침전물이 내통부(491) 내부로 유입된다. 내통부(491) 내부에 침전물의 유입이 완료되면 구동모터(492)를 작동시켜 내통부(491)를 회전시킨다. 회전하는 내통부(491)에 의해 침전물로부터 탈수된 물은 배수공을 통해 외통부(480)으로 배출되고, 재유입관(485)을 통해 폐수 유입관(23)으로 유입되어 재여과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폐수처리장치
20: 본체
30: 배수관
40: 메인여과부
41: 메인여과부재
42: 메인부력체
43: 메인침력체
50: 수집용기
52: 개폐부재
70: 서브여과부
71: 서브여과부재
72: 서브부력체
73: 서브침력체

Claims (5)

  1. 내부에 폐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 상기 폐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일측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 침전된 침전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관통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부유물이 분리된 상기 폐수가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기 위해 일단부가 상기 폐수 수위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에 연통되게 연결된 배수관과;
    상기 관통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관통구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침전되는 침전물을 수집하여 탈수하는 탈수부;를 구비하고,
    상기 탈수부는
    내부에 설치공간이 마련되며, 하면이 개방되게 형성된 제1통부재와, 상기 제1통부재의 하면에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통부재의 하면을 개폐하는 제1개폐덮개가 마련된 외통부와;
    상기 제1통부재의 설치공간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침전된 상기 침전물이 유입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구와 연통되며, 내부에 상기 침전물을 수용할 수 있는 탈수공간이 마련되되, 외주면에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되고, 하면은 개방되게 형성된 제2통부재와, 상기 제2통부재의 하면에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2통부재의 하면을 개폐하는 제2개폐덮개가 마련된 내통부와;
    상기 내통부 내에 수용된 상기 침전물을 탈수시키기 위해 상기 제1개폐덮개 및 제2개폐덮개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개폐덮개에 회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내통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관통구에 설치되며, 상기 침전물이 상기 내통부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관통되게 배출공이 형성된 마개부재와;
    상기 마개부재 또는 상기 마개부재 상측의 본체 내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과;
    상기 배출공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마개부재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전자석으로부터 발생된 자력에 의해 상기 마개부재 방향으로 인접되어 상기 배출공을 폐쇄할 수 있도록 자성을 갖는 자성체가 마련된 덮개유닛과;
    상기 전자석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본체의 관통구를 통해 배출되는 폐수의 탁도를 측정하는 탁도측정센서와;
    상기 탁도측정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본체 내의 탁도가 기설정된 탁도보다 높을 시, 상기 덮개유닛이 배출공을 폐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전자석으로의 전원을 공급하는 개폐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처리 장치.

KR1020120014968A 2012-02-14 2012-02-14 폐수 처리 장치 KR101296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968A KR101296866B1 (ko) 2012-02-14 2012-02-14 폐수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968A KR101296866B1 (ko) 2012-02-14 2012-02-14 폐수 처리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0443A Division KR101184057B1 (ko) 2011-07-15 2011-07-15 폐수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8618A KR20130028618A (ko) 2013-03-19
KR101296866B1 true KR101296866B1 (ko) 2013-08-14

Family

ID=48179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4968A KR101296866B1 (ko) 2012-02-14 2012-02-14 폐수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686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2486A (ja) 1998-04-16 2000-01-07 Kiyoyasu Yamakawa 脱水機
JP2003299910A (ja) 2002-02-07 2003-10-21 Yamada Tetsuzo 浮上濾材を用いた濾過装置
KR100427044B1 (ko) 2001-05-18 2004-04-17 디아이(주) 원심분리형 슬러지 탈수장치
KR100427045B1 (ko) 2001-05-18 2004-04-17 디아이(주) 원심분리형 슬러지 탈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2486A (ja) 1998-04-16 2000-01-07 Kiyoyasu Yamakawa 脱水機
KR100427044B1 (ko) 2001-05-18 2004-04-17 디아이(주) 원심분리형 슬러지 탈수장치
KR100427045B1 (ko) 2001-05-18 2004-04-17 디아이(주) 원심분리형 슬러지 탈수장치
JP2003299910A (ja) 2002-02-07 2003-10-21 Yamada Tetsuzo 浮上濾材を用いた濾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8618A (ko) 2013-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4057B1 (ko) 폐수 처리 장치
CN102574031A (zh) 具有多孔过滤介质的高速过滤装置及其反冲洗方法
CN208648858U (zh) 承压式净化装置
CN109626749A (zh) 多功能一体化污水处理器及其处理工艺
KR101608197B1 (ko) 건축 지붕의 빗물 재활용 시스템
CN108622997A (zh) 承压式净化装置
CN205347020U (zh) 一种沉淀过滤一体化反应器
ES2676726T3 (es) Proceso de tratamiento biológico e instalación que incluye elevación por inyección de aire y postratamiento en filtro
KR0161203B1 (ko) 여과 일체형 침전조 및 그 역세척 방법
CN109678301A (zh) 分户式污水处理设备
KR20100114354A (ko) 초기 우수처리장치
KR101235351B1 (ko) 폐수 처리 장치
KR101037888B1 (ko) 침전, 생물학적 분해, 여과, 인제거, 자외선소독 일체형 하이브리드 하폐수 처리장치
KR101296866B1 (ko) 폐수 처리 장치
KR101917080B1 (ko) 하폐수처리장치
RU123337U1 (ru) Мембранный биореактор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CN201912802U (zh) 辐流式沉淀污泥泥渣层滤池
KR101748772B1 (ko) 물의 흐름을 이용한 수질정화 개선장치
KR100414688B1 (ko) 침전 및 생물막여과조를 이용한 오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
JP3779634B2 (ja) 長繊維ろ過装置
CN208684599U (zh) 一种双层一体化净水处理设备
US10870589B2 (en) Filtering system for removing chemicals from fluids
KR101109544B1 (ko) 친환경 비누제조장치 및 방법
KR100609837B1 (ko) 인공습지용 여과사
JP4013123B2 (ja) 好気処理槽の運転方法、好気処理槽及び汚水浄化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