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6865B1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6865B1
KR101296865B1 KR1020060133968A KR20060133968A KR101296865B1 KR 101296865 B1 KR101296865 B1 KR 101296865B1 KR 1020060133968 A KR1020060133968 A KR 1020060133968A KR 20060133968 A KR20060133968 A KR 20060133968A KR 101296865 B1 KR101296865 B1 KR 101296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frequency band
terminal
allocated
down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3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9976A (ko
Inventor
정석호
노진우
송봉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3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6865B1/ko
Publication of KR20080059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9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6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6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정 단말에 대한 자원 할당 이벤트가 발생될 시, 상기 단말에 기본 주파수 대역의 자원을 할당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에 대역폭 추가 할당이 필요한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대역폭 추가 할당이 필요할 시, 상기 단말에 상기 기본 주파수 대역 이외의 별도의 주파수 대역의 자원을 추가 할당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단말에 할당되는 대역폭을 적응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 같은 데이터를 적재하여 다이버시티 효과를 내어 높은 성능을 얻을 수 있고, 상기 별도의 주파수 대역을 공용으로 사용하여 방송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본 주파수 대역과 별도의 주파수 대역의 시간 옵셋을 적절히 조정하여 MAP 처리에 따른 시간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주파수 대역, 대역할당, 마스터밴드, 슬레이브밴드, MAP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프레임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버스트 수의 증가로 인해 맵의 크기가 커지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맵이 처리되는 시간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마스터 밴드와 슬레이브 밴드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단말의 블록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블록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마스터 밴드 이외에 슬레이브 밴드를 추가로 할당하는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마스터 밴드 이외에 슬레이브 밴드를 추가로 할당받는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마스터 밴드와 슬레이브 밴드를 사용하는 단말과 기지국간의 신호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마스터 밴드와 슬레이브 밴드의 관계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슬레이브 밴드의 타임 옵셋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슬레이브 밴드를 사용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단말의 특성에 따라 사용 가능한 슬레이브 밴드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말에 기본 주파수 대역(master band; 이하 '마스터 밴드'라 칭함)이외에 별도의 주파수 대역(slave band; 이하 '슬레이브 밴드'라 칭함)을 추가로 할당하여 사용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 통신 시스템인 4세대(9th Generation; 이하 '4G'라 칭하기로 한다) 통신 시스템에서는 약 100Mbps의 전송 속도를 가지는 다양한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이하 'QoS' 칭하기로 한다)을 가지는 서비스들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현재 4G 통신 시스템에서는 무선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 이하 'LAN'이라 칭하기로 한다) 시스템 및 무선 도시 지역 네트워크(Metropolitan Area Network; 이하 'MAN'이라 칭하기로 한다) 시스템과 같은 광대역 무선 접속(BWA: Broadband Wireless Access) 통신 시스템에 이동성(mobility)과 서비스 품질(QoS)을 보장하는 형태로 고속 서비스를 지원하도록 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통신 시스템이 패킷 기반의 무선통신 시스템인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이다.
상기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은 주파수 자원을 공유하는 주파수분할(FDD; Frequency Division Duplexing)방식과 시간 자원을 공유하는 시간분할(TDD; Time Division Duplexing) 방식을 기본 무선통신기술로 사용한다. 상기 FDD 방식은 미리 정해진 하나 혹은 두 개의 대역을 상향과 하향으로 구분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비대칭적인 데이터 전송이 발생될 경우 대역이 부족하거나 낭비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TDD 방식은 사용 가능한 대역이 미리 정해지기 때문에 전송 대역폭이 제한되고, 사용될 대역이 미리 점유되기 대문에 거시적인 관점에서 대역폭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TDD 방식의 프레임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의 초기 동기 획득 및 셀 탐색에 이용되는 프리엠블(preamble), DLMAP을 디코딩하기 위한 정보를 나타 내어 프레임의 기본 구성을 묘사하는 FCH, 하향링크 정보(하향링크 서브 프레임의 정보, busrt의 위치, burst의 특징 정보 및 MCS 레벨 등)를 나타내는 DL-MAP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TDD 방식에서는 한 프레임에 데이터의 할당 정보와 해당 데이터가 함께 포함되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을 수신한 단말에서는 상기 데이터의 할당 정보를 나타내는 MAP의 디코딩 및 할당 정보의 분석 처리 시간이 지난 이후에 상기 해당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프레임에 포함되는 burst의 개수가 많아지면 상기 burst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MAP의 크기가 커지기 때문에 상기 해당 데이터의 영역을 디코딩하기까지 지연되는 시간이 증가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프리엠블, FCH, DLMAP 및 burst에 대한 FFT 처리, 버퍼링(buffering), 채널 추정 절차가 순차적으로 수행된 후 각 영역의 데이터 디코딩(301, 303, 305)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순차적인 절차 수행 시간 동안 채널 디코더는 대기(310, 312, 314) 상태가 되고, 이는 결국 모뎀의 대역폭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종래의 TDD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방송채널을 할당할 시, 단말별로 서로 다른 대역에 방송채널을 가지게 되어 여러 대역에 같은 방송 데이터가 할당됨으로써, 상기 제한된 대역폭에서 상기 중복된 방송 데이터의 할당으로 인해 방송 이외의 다른 자원에 대한 데이터율이 감소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한된 대역폭을 확장 혹은 연장 할당하여 데이터율을 증가 혹은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단말에 기본 주파수 대역 이외에 맵(MAP) 처리에 의한 시간지연을 최소화하는 별도의 주파수 대역을 추가로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본 주파수 대역 이외에 별도의 주파수 대역을 여러 단말이 공유하여 방송 서비스를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대역폭을 적응적으로 조절하여 서로 다른 대역에 같은 데이터를 적재하여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특정 단말에 대한 자원 할당 이벤트가 발생될 시, 상기 단말에 기본 주파수 대역의 자원을 할당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에 대역폭 추가 할당이 필요한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대역폭 추가 할당이 필요할 시, 상기 단말에 상기 기본 주파수 대역 이외의 별도의 주파수 대역의 자원 을 추가 할당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현재 사용 중인 기본 주파수 대역 이외의 별도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물리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물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별도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동기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동기 획득을 알리는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별도의 주파수 대역 자원을 추가 할당받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하는 기지국 장치는, 단말에 기본 주파수 대역의 자원을 할당하고, 상기 단말에 대역폭 추가 할당이 필요한지 검사하여 상기 대역폭 추가 할당이 필요할 시, 상기 단말에 상기 기본 주파수 대역 이외의 별도의 주파수 대역의 자원을 추가 할당하는 스케줄러와, 상기 스케줄러로부터 기본 및 별도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데이터를 각각 입력받아 프레임을 구성하여 해당 송수신부로 출력하고, 상기 해당 송수신부로부터 상기 기본 및 별도의 주파수 대역의 데이터를 각각 입력받아 복호화하여 정보 데이터를 복원하는 복수의 프레임 구성 및 디코딩부와, 상기 기본 및 별도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신호를 각각 송수신하는 복수의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하는 단말의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되는 기본 주파수 대 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1 송수신부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기본 주파수 대역 이외의 추가 할당되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2 송수신부와, 상기 제 1 송수신부와 상기 제 2 송수신부에서 수신된 신호를 복호화하여 정보 데이터를 복원하고,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할 패킷 데이터를 생성하여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 구성 및 디코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단말에 기본 주파수 대역(master band; 이하 '마스터 밴드'라 칭함) 이외에 별도의 주파수 대역(slave band; 이하 '슬레이브 밴드'라 칭함)을 추가로 할당하여 사용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해 설명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마스터 밴드와 슬레이브 밴드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마스터 밴드(401)는 현재 사용되는 기본 주파수 대역으로서, 각 단말의 할당된 자원의 정보를 나타내는 맵(MAP)(401)을 포함한다. 여기 서, 상기 맵(410)은 기본 주파수 대역인 상기 마스터 밴드(401)의 소정 데이터뿐만 아니라 다른 주파수 대역, 즉, 슬레이브 밴드(403, 405)의 소정 데이터를 나타냄으로써, 특정 단말에 상기 마스터 밴드(401)의 소정 영역과 함께 상기 슬레이브 밴드(403, 405)의 소정 영역이 할당됨을 나타낼 수 있다.
슬레이브 밴드(403, 405)는 대역폭 증가 혹은 방송채널의 추가 수신을 필요로 하는 단말에 대해 상기 마스터 밴드 이외에 추가적으로 할당되는 대역으로서, 그 용도에 따라 하향 대역폭 확장용, 상향 대역폭 확장용, 방송용, 다목적용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슬레이브 밴드(403, 405)는 상기 마스터 밴드(401)가 할당된 후 소정 시간만큼 지연(time offset)되어 할당됨으로써, 단말의 맵(MAP) 처리에 의한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단말의 블록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Base Station)(500)과 단말(Mobile Station)(530)은 복수의 주파수 대역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기지국(500)은 스케줄러(501)와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복수의 프레임 구성 및 디코딩부(503, 505, 507), 복수의 송수신부(509, 511, 513) 및 복수의 안테나(515, 517, 519)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말(530)은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안테나(537, 533), 복수의 송수신부(531, 533) 및 프레임 구성 및 디코딩부(5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도 5에는 상기 단말(530)이 두 개의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구조가 도시되었으나, 상기 송수신부를 추가로 포함 함으로써, 상기 송수신부의 수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을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상기 기지국(500)의 블록구성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기지국(500)의 스케줄러(501)는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패킷들을 바탕으로 상기 기지국(500)에 속한 해당 단말들의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자원할당을 스케줄링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스케줄러(501)는 상기 단말(530)에 할당되는 대역폭이 증가될 필요성이 있거나 상기 단말(530)에 방송채널이 추가가 필요될 경우, 상기 단말(530)이 마스터 밴드 이외에 슬레이브 밴드를 추가로 지원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슬레이브 밴드를 지원할 경우, 용도에 적합한 슬레이브 밴드를 추가로 할당한다. 이후, 상기 스케줄러(501)는 상기 단말(530)에 상기 추가 할당된 슬레이브 밴드가 필요 없다고 판단될 경우, 상기 추가 할당된 슬레이브 밴드를 해제한다. 여기서, 상기 스케줄러(501)는 상기 단말(530)에 마스터 밴드가 할당되었을 시, 상기 단말(530)에 전송될 하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세 개의 프레임 구성 및 디코딩부(503, 505, 507) 중 상기 마스터 밴드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프레임 구성 및 디코딩부로 출력하고, 상기 단말(530)에 슬레이브 밴드가 추가 할당될 시, 상기 세 개의 프레임 구성 및 디코딩부(503, 505, 507) 중 해당 슬레이브 밴드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프레임 구성 및 디코딩부로 출력한다.
상기 프레임 구성 및 디코딩부(503, 505, 507)는 상기 스케줄러(501)로부터 단말로 전송될 상기 마스터 밴드의 데이터와 상기 슬레이브 밴드의 데이터를 각각 입력받아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고, 상기 스케줄러(501)로부터 상기 마스터 밴드와 상기 슬레이브 밴드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각각 입력받아 각각의 MAP 정보를 생 성하여 프레임을 구성한 후, 상기 송수신부(509, 511, 513)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 구성 및 디코딩부(503, 505, 507)는 상기 송수신부(509, 511, 513)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마스터 밴드와 슬레이브 밴드의 데이터를 각각 복호화하여 정보 데이터를 복원한 후, 상기 스케줄러(501)로 제공한다.
상기 송수신부(509, 511, 513)는 미 도시되었지만 부호화기/복호화기, OFDM 변조기/복조기, DAC/ADC 및 RF 처리부를 포함하여, 상기 기지국(500)과 단말(530)간 교환되는 메시지를 상기 해당 통신 시스템의 방식으로 처리하여 상기 안테나(509, 511, 513)를 통해 송수신한다. 특히, 상기 프레임 구성 및 디코딩부(503, 505, 507)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마스터 밴드와 슬레이브 밴드 각각의 프레임을 상기 안테나(515, 517, 519)를 통해 해당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안테나(515, 517, 519)를 통해 상기 마스터 밴드와 슬레이브 밴드의 상향링크 구간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프레임 구성 및 디코딩부(503, 505, 507)로 출력한다.
다음으로, 단말(530)의 블록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530)의 송수신부(531, 533)는 미 도시되었지만 부호화기/복호화기, OFDM 변조기/복조기, DAC/ADC, 및 RF 처리부를 포함하여, 상기 기지국(500)과 단말(530)간 교환되는 메시지를 상기 해당 통신 시스템의 방식으로 처리하여 상기 안테나(537, 539)를 통해 송수신한다. 특히, 상기 안테나(537, 539)를 통해 상기 마스터 밴드와 슬레이브 밴드 각각의 하향링크 구간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프레임 구성 및 디코딩부(535)로 출력하고, 상기 프레임 구성 및 디코딩부(535)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마스터 밴드와 슬레이브 밴드 각각의 프레임을 상기 안테나(537, 539)를 통해 상기 기지국(500)으로 전송한다.
상기 프레임 구성 및 디코딩부(535)는 상기 기지국(500)으로 전송될 데이터를 입력받아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마스터 밴드와 슬레이브 밴드를 통해 송신할 패킷으로 나누어 해당 밴드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송수신부(531, 533)로 출력하고, 상기 송수신부(531,533)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마스터 밴드와 슬레이브 밴드의 데이터를 복호하여 정보 데이터를 복원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블록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은 안테나(601, 603), RF부(605, 607) ADC(609, 611), 주파수 동기부(613, 615), 시간 동기부(617), 슬레이브 시간 동기(619), 자동 이득 제어부(621, 623), FFT연산부(625, 627), 채널 추정기(629, 631), 버퍼(633, 635), 디매핑기(637), 채널 디코더(639), LMAC부(641), CPU(6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설명되는 단말의 블록 구성은 두 개의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의 구조로서, 상기 지원하는 두 개의 주파수 대역이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대역을 지원하기 위해 상기 안테나(613, 615)부터 상기 채널 추정기(629, 631) 및 상기 채널 버퍼(633, 635) 블록까지는 두 개씩 존재하고, 이후 블록인 디매핑기(637) 블록부터는 하나씩만 존재하여 상기 두 개의 대역을 모두 지원할 수 있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RF부(605, 607)는 전처리기(front end unit)와 필터(filter) 등의 구성들을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601, 603)를 통해 수신되는 고 주파 대역의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ADC(609, 611)는 상기 RF부(605, 607)로부터의 아날로그 기저대역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주파수 동기부(613, 615)는 주파수 동기를 획득하고, 상기 시간 동기부(617)와 상기 슬레이브 시간 동기부(619)는 마스터 밴드와 슬레이브 밴드의 각각 의 시간 동기를 획득하여 상기 자동 이득 제어부(621, 623), 상기 FFT 연산부(625, 627) 및 상기 채널 추정기(629, 631)로 제공한다.
상기 자동 이득 제어부(621, 623)는 상기 ADC(609, 611)로부터의 신호에서 수신단의 이득을 디지털 신호처리에 적합하도록 조절하여 상기 FFT연산부(625, 627)로 출력한다. 상기 FFT연산부(625, 627)는 상기 자동 이득 제어부(621, 623)로부터의 데이터를 고속 푸리에 변환하여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를 출력하여 채널 추정기(629, 631)로 제공한다. 상기 채널 추정기(629, 631)는 상기 FFT연산부(625, 627)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안테나(601, 603)와 상기 기지국의 안테나들 간의 채널을 추정하고, 상기 채널 추정 결과를 상기 채널 버퍼(633, 635)로 출력한다. 상기 채널 버퍼(633, 635)는 상기 안테나별 채널 추정 결과를 버퍼링하여 상기 디매핑기(637)로 출력한다.
상기 디매핑기(637)는 상기 채널 버퍼(633, 635)로부터의 신호에서 실제 데이터가 실린 부반송파 값들을 추출하여 상기 채널 디코더(639)로 출력하고, 상기 채널 디코더(639)는 상기 디매핑기(639)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를 해당 부호율로 채널 복호화하여 정보 데이터를 복원하여 상기 LMAC부(641)로 출력한다. 상기 LMAC 부(641)는 상기 복원된 데이터를 매체 접속 제어 계층의 데이터 유닛으로 변환하여 상기 CPU(643)로 출력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마스터 밴드 이외에 슬레이브 밴드를 추가로 할당하는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기지국은 701단계에서 특정 단말에 대한 스케줄링 이벤트가 발생되면, 703단계에서 마스터 밴드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에 자원 할당을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하여 상기 마스터 밴드를 통해 상기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705단계에서 상기 단말에 할당되는 대역폭의 증가가 필요하거나 상기 단말에 방송채널이 추가될 필요성이 있는지 혹은 상기 단말이 더 높은 수신 성능을 필요로 하는지 검사하여 상기 단말에 대역폭을 추가로 할당할 필요가 있는지 검사한다. 상기 대역폭의 추가 할당이 필요하지 않을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703단계로 되돌아가 상기 마스터 밴드만을 이용하여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반면, 상기 대역폭의 추가 할당이 필요할 경우, 상기 기지국은 7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단말이 슬레이브 밴드를 지원하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의 슬레이브 밴드 지원 여부는 상기 단말이 상기 마스터 밴드에 등록하는 과정에서 상기 슬레이브 밴드 지원 여부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함으로써 판단할 수도 있고, 상기 마스터 밴드에 등록한 후 상기 기지국과 단말 간에 상기 슬레이브 밴드 지원 여부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따로 송수신함으로써 판단할 수도 있 다.
상기 단말이 슬레이브 밴드를 지원하지 않을 시, 상기 기지국은 상기 703단계로 되돌아가 상기 마스터 밴드만을 이용하여 스케줄링을 수행하고, 상기 단말이 슬레이브 밴드를 지원할 시, 상기 기지국은 7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단말에 할당하고자 하는 슬레이브 밴드의 물리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슬레이브 밴드의 동기를 획득할 것을 요청한다. 여기서, 상기 물리정보는 사용하고자 하는 슬레이브 밴드의 수, 하향/상향링크의 특징, 시간 옵셋(time offset) 및 슬레이브 밴드 지시자(indicator) 등을 의미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711단계에서 상기 단말로부터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슬레이브 밴드의 동기를 획득했음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소정 시간 내에 상기 동기 획득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시, 상기 기지국은 상기 703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하고, 상기 소정 시간 내에 상기 동기 획득 신호가 수신될 시, 상기 기지국은 713단계에서 상기 마스터 밴드와 상기 슬레이브 밴드를 이용하여 스케줄링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마스터 밴드와 상기 슬레이브 밴드를 모두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슬레이브 밴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 상기 마스터 밴드의 MAP 영역에 상기 슬레이브 밴드의 데이터 할당 정보를 나타낼 수도 있고, 상기 슬레이브 밴드의 MAP 영역에 상기 데이터 할당 정보를 나타낼 수도 있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715단계에서 상기 단말이 상기 추가된 슬레이브 밴드를 계속해서 필요로 하는지 검사한다. 상기 단말이 상기 슬레이브 밴드를 계속해서 필 요로 할 시, 상기 기지국은 상기 713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슬레이브 밴드를 필요로 하지 않을 시, 상기 기지국은 7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단말에 슬레이브 밴드의 할당을 해제하고, 이를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719단계에서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슬레이브 밴드 해제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는지 검사하여 상기 응답이 수신되지 않을 시, 상기 717단계로 되돌아가고, 상기 응답이 수신될 시, 72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마스터 밴드만을 이용하여 스케줄링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마스터 밴드만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상기 705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마스터 밴드 이외에 슬레이브 밴드를 추가로 할당받는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단말은 801단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마스터밴드에 대한 자원할당 정보가 수신될 시, 8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할당된 마스터밴드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805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할당하고자 하는 슬레이브 밴드의 물리정보가 수신되는지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물리정보는 상기 단말에 할당될 슬레이브 밴드의 수, 하향/상향링크의 특징, 시간 옵셋 및 슬레이브 밴드 지시자 등을 의미한다.
상기 슬레이브 밴드의 물리정보가 수신되지 않을 시, 상기 단말은 상기 803 단계로 되돌아가 상기 마스터 밴드를 이용하여 계속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슬레이브 밴드의 물리정보가 수신될 시, 상기 단말은 8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된 물리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슬레이브 밴드의 동기를 획득한 후, 상기 동기를 획득하였음을 알리는 응답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809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슬레이브 밴드를 할당받음으로써, 상기 마스터 밴드와 상기 슬레이브 밴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811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슬레이브 밴드의 할당을 해제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슬레이브 밴드의 할당을 해제하는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을 시, 상기 단말은 상기 809단계로 되돌아가 상기 마스터 밴드와 상기 슬레이브 밴드를 이용하여 계속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반면, 상기 슬레이브 밴드의 할당을 해제하는 메시지가 수신될 시, 상기 단말은 813단계에서 상기 해제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후, 815단계에서 상기 마스터 밴드만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과의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상기 805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마스터 밴드와 슬레이브 밴드를 사용하는 단말과 기지국 간의 신호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단말(Mobile Station)(910)은 920단계에서 마스터 밴드를 통해 기지국(Base Station)(90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향 및 하향 동기를 획득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900)과 상기 단말(910)은 922단계와 924단계 에서 시그널링 절차를 수행하여 상기 기지국(900)과 상기 단말(910) 간의 기본 성능에 대한 협상을 수행하고, 926단계와 928단계에서 상기 단말(910)의 네트워크 등록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마스터 밴드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910)과 기지국(900)간에 시그널링을 수행하여 상기 단말을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절차는 종래 기술에 따른 OFDMA/TDD 시스템의 일반적인 절차를 따른다.
이후, 상기 기지국(900)은 상기 단말(910)에 대역폭을 추가로 할당할 필요가 있는지 판단하여 추가 대역폭의 할당이 필요할 시, 930단계에서 상기 마스터 밴드를 통해 상기 단말에 할당하고자 하는 슬레이브 밴드의 물리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슬레이브 밴드의 동기를 획득할 것을 요청하고, 상기 단말(910)은 932단계에서 상기 물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슬레이브 밴드의 동기를 획득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910)의 사용자 등록 정보는 상기 마스터 밴드 등록 절차 수행 시 미리 송수신되었기 때문에 상기 슬레이브 밴드의 등록시에는 상기 사용자 등록 정보를 송수신할 필요 없이 상기 슬레이브 밴드의 물리 정보만을 송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물리정보는 사용하고자 하는 슬레이브 밴드의 수, 하향/상향링크의 특징, 시간 옵셋 및 슬레이브 밴드 지시자 등을 의미한다.
이후, 상기 단말(910)은 938단계에서 상기 마스터 밴드 혹은 슬레이브 밴드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900)으로 상기 슬레이브 밴드의 동기 획득했음을 알리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934단계 및 936단계와 같이 상기 기지국(900)과 상기 단말(910)은 상기 슬레이브 대역 추가를 위한 신호 송수신 시, 상기 마스터 밴드를 통해 계속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기지국(900)과 상기 단말(900)은 940단계와 942단계에서 상기 마스터 밴드와 상기 슬레이브 밴드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단말(910)이 상기 추가된 슬레이브 밴드를 더 이상 필요로 하지 않을 시, 상기 기지국(900)은 944단계에서 상기 슬레이브 밴드를 해제하고, 상기 마스터 밴드를 통해 상기 슬레이브 밴드 해제를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단말(910)에 전송하고, 상기 단말(910)은 상기 마스터 밴드를 통해 상기 슬레이브 밴드 해제 응답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900)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900)은 상기 할당이 해제된 슬레이브 밴드를 다른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대기시킨다.
상술한 설명에서 상기 기지국(900)이 상기 단말(910)의 대역폭 추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슬레이브 밴드를 추가하는 절차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상기 대역폭 추가는 950단계와 같이 상기 단말(900)에서 먼저 요청될 수 있으며, 이후 절차는 상기 기지국(900)이 상기 대역폭 추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슬레이브 밴드를 추가하는 절차와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마스터 밴드와 슬레이브 밴드의 관계를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 밴드(Master band) 1(1001)는 현재 사용되는 기본 주파수 대역으로서 MAP(1020)을 포함한다.
상기 MAP(1020)은 상기 마스터 밴드 1(1001)의 burst 할당 정보와 다양한 용도의 슬레이브 밴드(1003, 1005, 1007, 1009, 10011, 1013)의 burst 할당 정보를 가리킴으로써, 해당 단말에 할당된 마스터 밴드와 슬레이브 밴드를 나타낼 수 있다. 즉, 상기 슬레이브 밴드에 할당되는 burst에 대한 정보는 상기 마스터 밴드에서 수신되는 MAP을 통해 해당 단말로 전달된다.
하향 확장(DL extend) 슬레이브 밴드(1003)는 하향 채널을 확장하는 슬레이브 밴드를 의미한다. 여기서, 기지국은 MAP에서 데이터의 위치를 나타내는 필드로 255심볼(symbol)까지 표시 가능한 필드를 사용하여 종래에 할당 가능한 값보다 큰 값을 표현함으로써, 물리적으로 분리된 두 개의 영역, 즉, 상기 마스터 밴드 1(1001)와 상기 하향 확장 슬레이브 밴드(1003)를 하나의 큰 논리적인 영역으로 간주해 데이터를 할당하여 상기 하향 링크를 확장할 수 있다.
추가 하향(Extra DL) 슬레이브 밴드(1005)는 별도의 하향 채널로 할당되는 슬레이브 밴드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별도의 하향 채널을 할당하고자 할 시에는 MAP에 밴드를 구분해 주는 신호를 포함시켜야 할 것이다.
중복 및 확장 하향(Overlap and extend DL) 슬레이브 밴드(1007)는 상기 하향 확장 슬레이브 밴드(1003)와 같이 하향 영역을 확장함과 동시에 물리적인 영역을 상기 마스터 밴드(1001)와 부분적으로 겹치게 하여 상기 겹쳐진 영역에서 비트(bit) 단위의 결합을 통해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슬레이브 밴드를 의미한다.
추가 하향/상향(Extra DL/UL) 슬레이브 대역(1009)은 별도의 하향 채널과 상향 채널로 할당되는 슬레이브 밴드를 의미하고, 상기 상향 확장(UL extend) 슬레이브 대역(1011)은 상향 채널을 확장하는 슬레이브 밴드를 의미한다.
공용 하향(Common DL) 슬레이브 대역(1013)은 여러 개의 마스터 밴드(1001, 1015)에 의해 지정되는 슬레이브 대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방송 채널 할당 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스터 밴드(1001, 1015)는 상기 공용 하향 슬레이브 대역(1013)의 같은 데이터를 지정할 수도 있고 다른 데이터를 지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술한 슬레이브 밴드들의 추가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슬레이브 밴드의 프레임 시작을 상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터 밴드의 프레임과 일치시킬 수도 있으며, 임의적으로 변경시킬 수도 있다. 상기 임의적으로 변경되는 상기 슬레이브 밴드와 상기 마스터 밴드의 시간 옵셋은 상기 기지국과 단말이 합의하여 설정된 값일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시간 옵셋을 상기 단말의 MAP 처리 시간을 고려하여 설정하게 되면,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간 옵셋을 적절하게 설정(1110)함으로써, 상기 단말이 상기 마스터 밴드의 데이터 할당 정보인 MAP을 처리(1112)하여 실제 데이터의 위치를 알 수 있는 시점(1101)에 상기 단말에 상기 슬레이브 밴드의 데이터가 입력된다면, 상기 MAP 처리가 완료되는 시점까지 데이터를 처리하지 않고 기다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슬레이브 밴드를 사용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지원 가능한 슬레이브 밴드 타입이 서로 다른 세 개의 단말이 세 개의 마스터 밴드와 세 개의 슬레이브 밴드를 사용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할 것이다. 또한, 여기서 상기 슬레이브 밴드는 편의상 하향 확장용, 방송용, 다목적용으로 용도를 구분하여 설명할 것이나, 상기 구분은 의미상의 구분이기 때문에 실제로는 상기 기지국의 필요에 따라 다른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12를 참조하면, 먼저 단말 1(1220)은 하나의 마스터 밴드와 하나의 MBS 슬레이브 밴드를 지원하는 단말로서, 마스터 밴드 A에 등록하여 동작을 시작하며, 해당 기지국으로부터 방송용(1242)으로 사용되는 슬레이브 밴드 B를 추가 할당(1230)받음으로써, 상기 슬레이브 밴드 B가 해제될 때까지 방송용 데이터(1254)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슬레이브 밴드 B가 해제된 후, 상기 단말 1(1220)은 다목적용(1244)으로 사용되는 슬레이브 밴드 C를 추가 할당(1232)받음으로써, 멀티캐스트(multicast) 데이터(1258)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 1(1220)은 상기 마스터 밴드 A를 통해 일반적인 통신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상기 슬레이브 밴드 B를 통해 방송을 수신하거나 상기 슬레이브 밴드 C를 통해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 2(1222)는 하나의 마스터 밴드와 두 개의 슬레이브 밴드를 지원하는 단말로서, 마스터 밴드 B에 등록하여 동작을 시작하며, 해당 기지국으로부터 하향 확장용(1240)으로 사용되는 슬레이브 밴드 A를 추가 할당(1234)받아 추가된 하향 대역폭(1250)을 사용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단말 2(1222)는 상기 방송용(1242)으로 사용되는 슬레이브 밴드 B를 추가 할당(1236)받음으로써, 상기 증가 된 하향 대역폭(1252)을 사용함과 동시에 방송용 데이터(1256)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 2(1222)는 두 개의 슬레이브 밴드를 지원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마스터 밴드 B를 통해 일반적인 통신을 수행하면서 상기 슬레이브 밴드 A와 B를 통해 증가된 하향 대역폭을 사용하고, 방송을 수신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단말 3(1224)은 하나의 마스터 밴드와 하나의 슬레이브 밴드를 지원하는 단말로서, 마스터 밴드 C에 등록하여 동작을 시작하며, 해당 기지국으로부터 다목적용(1244)으로 사용되는 슬레이브 밴드 C를 추가 할당(1238)받음으로써, 증가된 상향 및 하향 대역폭(1260)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 3(1224)은 상기 마스터 밴드 C를 통해 일반적인 통신을 수행하면서 상기 슬레이브 밴드 C를 할당받음으로써, 상기 증가된 상/하향 대역폭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단말의 특성에 따라 사용 가능한 슬레이브 밴드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3을 참조하면, 각각의 기지국들은 각각 다른 마스터 밴드와 슬레이브 밴드를 지원하고, 이에 따라 각 단말은 자신의 위치에 따라 사용 가능한 밴드가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특정 기지국에 가까이 존재하는 단말(1303)의 경우는 상기 가까운 기지국이 사용하는 밴드를 사용하게 되며, 2중점 혹은 3중점에 존재하는 단말(1301)의 경우는 신호가 강한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여 상기 신호가 강한 기지국이 사용하는 밴드를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모든 기지국이 지원하는 공용 밴드(Common band)는 2 개 혹은 3개의 기지국에서 동시에 수신되는 신호를 사 용하므로 좀더 높은 성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단말에 기본 주파수 대역(마스터 밴드) 이외에 별도의 주파수 대역(슬레이브 밴드)을 추가로 할당함으로써, 대역폭을 적응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밴드에 같은 데이터를 적재하여 다이버시티 효과를 내어 높은 성능을 얻을 수 있고, 상기 슬레이브 밴드를 공용으로 사용하여 방송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터 밴드와 슬레이브 밴드의 시간 옵셋을 적절히 조정하여 MAP 처리에 따른 시간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8)

  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특정 단말에 대한 자원 할당 이벤트가 발생될 시, 상기 단말에 기본 주파수 대역의 자원을 할당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에 대역폭 추가 할당이 필요한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대역폭 추가 할당이 필요할 시, 상기 단말에 상기 기본 주파수 대역 이외의 별도의 주파수 대역의 자원을 추가 할당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 추가 할당이 필요할 시, 상기 단말이 상기 기본 주파수 대역 이외의 별도의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지 검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을 추가 할당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에 할당하고자 하는 상기 별도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물리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별도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동기 획득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에 상기 별도의 주파수 대역의 자원을 할당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정보는, 할당하고자 하는 대역의 수, 하향/상향링크의 특징, 시간 옵셋(time offset) 및 대역 지시자(indicat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별도의 주파수 대역은, 하향채널을 확장하는 하향확장용 대역, 별도의 하향채널로 할당되는 추가하향 대역,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기 위한 중복 및 확장하향 대역, 상향채널을 확장하는 상향확장용 대역, 별도의 하향 및 상향 채널로 할당되는 추가하향 및 상향 대역, 공용으로 사용되는 공용대역 중 적어도 하나의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이 추가 할당된 후, 상기 단말이 상기 추가 할당된 자원을 계속해서 필요로 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추가 할당된 자원이 필요로 하지 않을 시, 상기 추가 할당된 별도의 주파수 대역의 자원을 해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할당하는 별도의 주파수 대역 자원은, 상기 기본 주파수 대역의 맵(MAP) 영역 혹은 상기 별도의 주파수 대역의 맵 영역에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현재 사용 중인 기본 주파수 대역 이외의 별도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물리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물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별도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동기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동기 획득을 알리는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별도의 주파수 대역 자원을 추가 할당받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정보는, 할당될 대역의 수, 하향/상향링크의 특징, 시간 옵셋(time offset) 및 대역 지시자(indicat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별도의 주파수 대역은, 하향채널을 확장하는 하향확장용 대역, 별도의 하향채널로 할당되는 추가하향 대역,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기 위한 중복 및 확장하향 대역, 상향채널을 확장하는 상향확장용 대역, 별도의 하향 및 상향 채널로 할당되는 추가하향 및 상향 대역, 공용으로 사용되는 공용대역 중 적어도 하나의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할당받는 별도의 주파수 대역 자원은, 상기 기본 주파수 대역의 맵(MAP) 영역 혹은 상기 별도의 주파수 대역의 맵 영역을 통해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하는 기지국의 장치에 있어서,
    단말에 기본 주파수 대역의 자원을 할당하고, 상기 단말에 대역폭 추가 할당이 필요한지 검사하여 상기 대역폭 추가 할당이 필요할 시, 상기 단말에 상기 기본 주파수 대역 이외의 별도의 주파수 대역의 자원을 추가 할당하는 스케줄러와,
    상기 스케줄러로부터 기본 및 별도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데이터를 각각 입력받아 프레임을 구성하여 해당 송수신부로 출력하고, 상기 해당 송수신부로부터 상기 기본 및 별도의 주파수 대역의 데이터를 각각 입력받아 복호화하여 정보 데이터를 복원하는 복수의 프레임 구성 및 디코딩부와,
    상기 기본 및 별도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신호를 각각 송수신하는 복수의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별도의 주파수 대역은, 하향채널을 확장하는 하향확장용 대역, 별도의 하향채널로 할당되는 추가하향 대역,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기 위한 중복 및 확장하향 대역, 상향채널을 확장하는 상향확장용 대역, 별도의 하향 및 상향 채널로 할당 되는 추가하향 및 상향 대역, 공용으로 사용되는 공용대역 중 적어도 하나의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러는, 상기 단말이 상기 추가 할당된 자원을 계속해서 필요로 하지 않을 시, 상기 추가 할당된 별도의 주파수 대역의 자원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할당하는 별도의 주파수 대역 자원은, 상기 기본 주파수 대역의 맵(MAP) 영역 혹은 상기 별도의 주파수 대역의 맵 영역에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하는 단말의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되는 기본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1 송수신부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기본 주파수 대역 이외의 추가 할당되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2 송수신부와,
    상기 제 1 송수신부와 상기 제 2 송수신부에서 수신된 신호를 복호화하여 정보 데이터를 복원하고,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할 패킷 데이터를 생성하여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 구성 및 디코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송수신부는, 각각이 지원하는 상기 기본 주파수 대역과 상기 추가 할당되는 주파수 대역의 동기를 획득하는 동기 획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할당되는 주파수 대역은, 하향채널을 확장하는 하향확장용 대역, 별도의 하향채널로 할당되는 추가하향 대역,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기 위한 중복 및 확장하향 대역, 상향채널을 확장하는 상향확장용 대역, 별도의 하향 및 상향 채널로 할당되는 추가하향 및 상향 대역, 공용으로 사용되는 공용대역 중 적어도 하나의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60133968A 2006-12-26 2006-12-26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KR101296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3968A KR101296865B1 (ko) 2006-12-26 2006-12-26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3968A KR101296865B1 (ko) 2006-12-26 2006-12-26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9976A KR20080059976A (ko) 2008-07-01
KR101296865B1 true KR101296865B1 (ko) 2013-09-16

Family

ID=39812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3968A KR101296865B1 (ko) 2006-12-26 2006-12-26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68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16255A1 (ja) 2008-08-06 2010-02-11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移動局装置及び通信方法
US9172501B2 (en) 2012-04-18 2015-10-27 Nevion Europe As Launch delay offset data flow protection
KR101937195B1 (ko) * 2016-11-11 2019-01-10 이문수 양방향 디지털 무선 방송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4035A (ko) * 1997-06-20 2001-02-26 탠티비 커뮤니케이션즈, 인코포레이티드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무선 링크를 통한 무선프로토콜을 전송하기 위한 동적 대역폭 할당방법
KR100396508B1 (ko) 1998-12-07 2003-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호분할다중접속통신시스템의채널할당장치및방법
KR20060044335A (ko) * 2004-03-12 2006-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안정적 채널운용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97496A (ko) * 2005-03-09 2006-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레인징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단말과 기지국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4035A (ko) * 1997-06-20 2001-02-26 탠티비 커뮤니케이션즈, 인코포레이티드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무선 링크를 통한 무선프로토콜을 전송하기 위한 동적 대역폭 할당방법
KR100396508B1 (ko) 1998-12-07 2003-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호분할다중접속통신시스템의채널할당장치및방법
KR20060044335A (ko) * 2004-03-12 2006-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안정적 채널운용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97496A (ko) * 2005-03-09 2006-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레인징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단말과 기지국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9976A (ko) 2008-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76884B2 (ja) 複数のサブフレームでリソースを割り当てるための方法及び端末デバイス
EP3494669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existence of low-latency and latency-tolerant communication resources
US11324020B2 (en) Data scheduling and transmission for different logical channels
JP6182598B2 (ja) 複数のサブフレームでリソースを割り当て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基地局
US9755803B2 (en) Method and arrangement in a radio-access network
US7580386B2 (en) Cooperative scheduling of master and slave base station transmissions to provide coexistence between networks
US10764881B2 (en) Resource management method and related device
JP2011504317A (ja) 複数の多元接続技術が割り当てられたアップリンク無線フレーム
JP2007214821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上りリンクおよび下りリンクのチャネル構成
JP6224743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中継方法およびノード
US11711141B2 (en) Methods and infrastructure equipment
WO2007123519A1 (en) Cooperative scheduling of master and slave base station transmissions to provide coexistence between networks
KR101296865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US2012009310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ally allocating resources in communication system
US860564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78078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 in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0139241B (zh) 一种同步方法、终端及网络设备
EP1968255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leasing mobile station information of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Hop relay scheme
US20240114561A1 (en) Multiple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gap collisions
US20230413173A1 (en) Extended reality power savings enhancements
WO2023230403A1 (en) Uplink extended reality scheduling
WO2023212074A1 (en) Reduced latency scheduling request procedures
JP5020923B2 (ja) 帯域割り当て方法
CN117956489A (zh)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节点中的方法和装置
CN114430929A (zh) 用于传输的资源重新调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