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6806B1 - 단속적 발전원의 계통 접속을 위한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의 유효 전력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단속적 발전원의 계통 접속을 위한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의 유효 전력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6806B1
KR101296806B1 KR1020110133219A KR20110133219A KR101296806B1 KR 101296806 B1 KR101296806 B1 KR 101296806B1 KR 1020110133219 A KR1020110133219 A KR 1020110133219A KR 20110133219 A KR20110133219 A KR 20110133219A KR 101296806 B1 KR101296806 B1 KR 101296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y storage
power
storage devices
bess
intermit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3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6413A (ko
Inventor
민상원
김석주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33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6806B1/ko
Publication of KR20130066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6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6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6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02J3/3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4Energy storage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속적 발전원 및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단속적 발전원 시스템의 계통 접속을 위하여 상기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의 최적 유효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의 최적 유효 전력 제어를 위한 목적 함수를 정의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출력 전력 및 SOC(State of Charge)에 대한 제약 조건 및 상기 계통 접속 시 요구하는 증감발율 제한 조건을 만족하도록 상기 목적함수의 해를 구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에 대한 최적 유효 전력을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속적 발전원의 계통 접속을 위한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의 유효 전력 제어 방법{Active Power Control Method of Plural Energy Storage Devices for Grid Connection of Intermittent Generation}
본 발명은 BESS 및 ELDC를 포함하는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와 결합된 단속적 발전원을 계통에 접속하는 경우, 가장 경제적이고 안정적으로 계통으로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의 유효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석 연료의 비용이 증가하고 화석 연료의 전세계적인 공급량이 감소함에 따라, 대체 에너지원의 중요성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대부분의 재생 가능 자원들에 의해 제공되는 형태의 비연료 기반의 신재생 에너지는 효율적이며, 쉽게 이용 가능하고, 환경 친화적이다.
또한, 최근에 하이브리드 동력 전달 계통의 에너지 저장 장치가 외부에서 공급된 전기 그리고 엔진이나 회생 제동(regenerative breaking)으로부터 에너지가 충전될 수 있는 자동차 등이 계통(스마트 그리드)에 연결되는 V2G(Vehicle to Grid)의 개념이 소개되었다. 위와 같은 V2G는 예를 들어, 전기 수요가 적은 밤 시간대에는 전기를 자동차에 충전하고 전기 수요가 많아지는 낮 시간대에는 전기를 되팔도록 하여, 소비자들이 저렴한 시간대에 전기를 공급받아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고, 남는 여유 전력을 비싼 시간대에 되팔아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모델로 볼 수 있다.
그러나, 풍력 발전, 태양열 발전과 같은 대부분의 비연료 기반의 신재생 에너지 자원들이나 V2G 자원은 단속적(intermittent) 발전원이기 때문에, 이들에 의해서는 항상 원하는 양만큼의 전력을 계통에 제공할 수는 없다. 즉, 더 많은 전력/에너지를 원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사용자들은 이를 위해 전력/에너지를 생성시키는 햇빛의 세기나 바람의 속도 등을 증가시킬 수 없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단속적 발전원에서 생성되는 것 보다 더 작은 전력/에너지를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경우 등에는 여분의 전력을 추후의 사용을 위해 저장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속적 발전원의 경우 여분의 전력을 저장하기 위한 종래의 전력 저장 장치로는 일반적으로 리튬 이온 배터리와 같은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Battery Energy Storage System)(이하 “BESS”라 함)이 사용된다. 그러나 BESS는 대용량 에너지를 짧은 시간에 충전할 수 없으며 충전 알고리즘에 의하여 전류원 충전에서 전압원 충전으로 제어를 해주어야 한다. 또한 에너지 방전에서도 약 20%의 앝은 방전을 해야 수명이 오래가고 약 80%의 깊은 방전은 그 수명을 짧게 만든다. 즉 BESS와 같은 에너지 저장 장치는 그 수명 사이클이 짧고 장시간 사용을 위해 항상 관리해야 하며, 충전된 100%를 쓸 수 없다는 에너지 사용 효율상의 단점과 공해물질 배출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술한 BESS와 같은 에너지 저장 장치에 대한 대체 또는 병용품으로서 슈퍼 캐패시터(Super Capacity)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슈퍼 캐패시터는 화학반응을 이용하는 배터리와는 달리 전극과 전해질 계면으로의 단순한 이온의 이동이나 표면화학반응에 의한 충전 현상을 이용한다. 이에 따라 급속 충방전이 가능하고 높은 충방전 효율 및 반영구적인 사이클 수명 특성으로 보조 배터리나 배터리 대체용으로 각광받고 있다. 1980년대에 활성탄소재료의 고비표면적을 이용하는 소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Electrical Double Layer Capacitor)(이하 “EDLC”라고 함)가 각종 전자기기의 메모리 백업용으로 상용화된 이후, 중ㆍ대형 제품에서는 하이브리드 전원시스템, 자동차의 스타터용 전원, 배기가스 촉매 가열의 보조전원이나 HEV의 회생 전원, 완구용 모터구동전지 대체용 전원 등 용도가 다양하게 발전하였다. 다만 EDLC와 같은 슈퍼 커패시터의 효과적인 제어를 위해서 각각의 충방전 제어기를 구비해야 하며 에너지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한 에너지 설계 방법 회로를 가져야 하며 최적 운영을 제어하기 위하여 몇몇 보상 기술들을 사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와 같이, 에너지 저장 장치로서 BESS 및 EDLC 중 어느 하나만을 사용하는 경우에 각각의 에너지 저장 장치가 나름대로의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에너지 저장 장치로서 BESS 및 EDLC를 모두 포함하는 발전원 시스템이 연구되고 있는데, 이러한 발전원 시스템, 특히 단속적 발전원 시스템이 계통에 접속하는 경우, 가장 경제적이고 안정적으로 BESS 및 ELDC의 유효 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BESS 및 EDLC를 포함하는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단속적 발전원 시스템을 계통에 접속시키는 경우 상기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의 최적 유효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단속적 발전원 및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단속적 발전원 시스템의 계통 접속을 위하여 상기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의 최적 유효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의 최적 유효 전력 제어를 위한 목적 함수를 정의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출력 전력 및 SOC(State of Charge)에 대한 제약 조건 및 상기 계통 접속 시 요구하는 증감발율 제한 규정에 관한 제약 조건을 만족하도록 상기 목적함수의 해를 구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에 대한 최적 유효 전력을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는 BESS(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및 EDLC(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 함수는, 상기 BESS 및 상기 EDLC의 출력 전력에 대한 2차 함수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BESS 및 EDLC를 포함하는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단속적 발전원 시스템을 계통에 접속시키는 경우 가장 안정적이고 경제적으로 상기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의 최적의 유효 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BESS 및 ELDC를 포함하는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와 결합되어 계통에 접속되는 단속적 발전원 시스템(1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속적 발전원 시스템을 계통에 접속하는 경우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의 유효 전력 제어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의 유효 전력 제어 방법에 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예를 들어 BESS 및 ELDC를 포함하는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와 결합되어 계통에 접속되는 단속적 발전원 시스템(1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속적 발전원 시스템(10)은 단속적 발전원(11), 제 1 에너지 저장장치로서의 BESS(12) 및 제 2 에너지 저장장치로서의 EDLC(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고립 계통에 설치되는 경우는 수용가 부하(미도시)에 단독으로 연결되며, 전력 계통에 연계되어 설치되는 경우는 연계 변압기(14)를 통해서 전력 계통(15)에 연결된다.
상기 단속적 발전원(11)은, 풍력 발전, 태양열 발전 등과 같은 비연료 기반의 신재생 에너지 자원들이나 전기 자동차를 이용하는 V2G 자원을 포함한다. 이러한 자원들에 의해서는 항상 원하는 양만큼의 전력을 계통에 제공할 수 없으므로, 에너지 저장장치로서 BESS(12) 및 EDLC(13)에 여분의 전력을 저장하고 단속적 발전원(11)과 함께 전력 계통(15)에 전력을 출력한다. 따라서 단속적 발전원 시스템(10)에서 전력 계통(15)으로 출력되는 총 유효 전력(PT)은, 단속적 발전원(11), BESS(12) 및 EDLC(13)에서 출력되는 유효 전력들(이하에서는 각각 PIG, PES, PSC라 한다)의 합이 된다(PT=PIG+PES+PSC).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속적 발전원 시스템을 계통에 접속하는 경우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 각각에 대한 유효 전력 제어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로서 BESS 및 EDLC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복수의 저장장치로서 임의의 에너지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경우도 적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제 1 및 제 2 에너지 저장 장치로서의 BESS 및 EDLC를 포함하는 경우 BESS 및 EDLC 각각의 유효 전력 제어를 위한 목적함수를 정의한다(단계 S21).
상기 목적 함수는 에너지 저장 장치로서 사용되는 BESS와 EDLC의 제어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부분과 BESS와 EDLC의 에너지 저장 상태(State of Charge; 이하 “SOC”라 한다)를 가능한 50% 수준으로 유지하도록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목적 함수는 다음 수학식 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1098666618-pat00001
여기서,
Figure 112011098666618-pat00002
,
Figure 112011098666618-pat00003
,
Figure 112011098666618-pat00004
,
Figure 112011098666618-pat00005
,
Figure 112011098666618-pat00006
는 EDLC와 BESS의 수명과 제어계의 안정도를 고려하여 WES>>WSC, WSOCES>>WSOCSC, WSOCES>>WES, WES<WT<WSOCES 의 원칙으로 정할 수 있는 임의의 계수이고, PT, PES, PSC 및 PIG는 각각 단속적 발전원 시스템, BESS, EDLC 및 단속적 발전원의 유효 출력 전력을 가리키며, PES,Prev, PSC,Prev 및 PIG,Prev는 각각 BESS, EDLC 및 단속적 발전원의 제어 주기 T초 이전의 유효 출력 전력, 그리고 SOCES 및 SOCSC는 각각 BESS 및 EDLC에 저장되는 최대 저장 전력에 대한 백분율로서 저장된 전력의 크기[즉, 에너지 저장 상태(State of Charge)]를 가리킨다.
상기 수학식1에서의 계수인
Figure 112011098666618-pat00007
,
Figure 112011098666618-pat00008
,
Figure 112011098666618-pat00009
,
Figure 112011098666618-pat00010
,
Figure 112011098666618-pat00011
는 예를 들어 단위출력당 비용을 감안하여 임의로 정할 수 있는 계수이다. 즉, 예를 들어 BESS(12)로서 사용될 수 있는 리튬 이온 배터리의 경우 kg당 에너지가 200Wh/kg, kg당 출력이 3kW/kg, 단위에너지당 비용이 2$/Wh이라면, 단위 출력당 비용은 약 0.13$/W가 될 것이고, EDCL(13)로 대표되는 슈퍼 커패시터의 경우에는 kg당 에너지가 5Wh/kg, kg당 출력이 10kW/kg, 단위에너지당 비용이 20$/Wh이라면, 단위 출력당 비용은 0.01$/W가 될 것이므로, 각각의 단위 출력당 비용을 감안하여
Figure 112011098666618-pat00012
를 1로 정하는 경우
Figure 112011098666618-pat00013
는 13이상으로 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에너지 저장 장치의 열화(degradation)는 출력 변화에 따른 전류에 비례하고 SOC가 50%에서 멀어질수록 커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상기 수학식1에서의 1번째 및 2번째 항은 각각 BESS 및 EDLC의 출력 변화를 최소화시키기 위한 항이고, 3번째 및 4번째 항은 각각 BESS 및 EDLC의 SOC를 가급적 50%에 유지시키기 위한 항이다. 또한 상기 수학식 1에서의 5번째 항은, 단속적 발전원 시스템(10)의 총 출력(PT)에 대한 기준이 없는 경우 산출된 유효 출력 전력이 진동할 수 있기 때문에 단속적 발전원의 제어 주기 이전의 출력을 기준으로 그 변동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항이다.
도 2의 단계 S21에서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 각각의 최적 용량 산정을 위한 목적함수가 정의된 후에는, 상기 목적함수에 대한 해를 구하기 위해 여러 가지 제약 조건을 규정하여야 한다(단계 S22).
1번째 제약 조건은, 단속적 발전원 시스템(10)의 총 출력(PT)은 단속적 발전원의 출력, BESS의 출력 및 EDLC의 출력의 합이라는 조건이다.
[수학식 2]
Figure 112011098666618-pat00014
2번째 제약 조건은 제어 시간인 T초 시간 동안 BESS 및 EDLC의 출력 결과에 따른 SOC의 변화를 규정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아래의 수학식 3 및 4와 같이 규정할 수 있다.
[수학식3]
Figure 112011098666618-pat00015
[수학식 4]
Figure 112011098666618-pat00016
여기서
Figure 112011098666618-pat00017
Figure 112011098666618-pat00018
는 각각 BESS 및 EDLC의 현재의 SOC를 나타내며,
Figure 112011098666618-pat00019
Figure 112011098666618-pat00020
는 각각 BESS 및 EDLC의 제어 주기 T초 이전의 SOC를 타나내며,
Figure 112011098666618-pat00021
Figure 112011098666618-pat00022
는 각각 BESS 및 EDLC의 출력 전력,
Figure 112011098666618-pat00023
Figure 112011098666618-pat00024
는 각각 BESS 및 EDLC의 출력 에너지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3번째 제약 조건을 설명한다. 단속적 발전원 시스템(10)을 계통에 접속시키는 경우,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전력 수요를 맞추기 위해 전력 계통에 편입된 단속적 발전원 시스템의 출력을 가장 경제적이며 안정적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계통 접속 규정에는 증감발율(ramp rate) 제한, 전력 차단(power curtailment), 주파수 추종 특성(power droop with frequency) 등이 있다. 특히 전력 수요와 발전기 출력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이 주파수인데 현재 주파수와 정규 주파수(60㎐)의 편차를 줄이기 위해 개별 발전기의 특성인 분당 증감 발율(Ramping Up and Down)을 사용하여 개별 발전기에 제어량을 배분하여야 한다.
여기서 증감발율이란 계통의 주파수 조정 여력을 감안하여 제한 수치로서 각 국가의 전력 계통에 따라 다르게 규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국에서 풍력 발전의 경우 풍력 발전의 설치 용량이 30MW 미만의 경우에는 10분 증감발율이 20MW/10min, 1분 증감발율이 6MW/min, 설치 용량이 150MW를 초과한 경우에는 10분 증감발율이 100MW/10min, 1분 증감발율이 30MW/min로 규정되어 있다. 때로는 작은 계통의 경우에는 1MW/min으로 제한하는 경우도 있다. 상기 증감발율 제한 규정은 각 국가마다 그 국가의 전력 상황이나 정책 등에 따라 다르게 규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이 전력 계통에 편입된 단속적 발전원 시스템의 출력에 대한증감발율 제한 규정을 3번째 제약 조건으로서 다음 수학식 5로 규정할 수 있다.
[수학식 5]
Figure 112011098666618-pat00025
여기서, PT는 단속적 발전원 시스템의 현재의 총 유효 출력 전력이고, PT,Prev는 단속적 발전원 시스템의 제어 주기 T초 이전의 총 유효 출력 전력이고, PT,RR은 단속적 발전원 시스템 설치 지역의 출력 전력의 증감발율 전력 제한을 나타낸다.
도 2의 단계 S22에서는 수학식 2 내지 5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제약 조건들을 고려하여 수학식 1에 대한 목적 함수의 해를 구하면 최적 유효 전력을 산정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1의 목적 함수는 BESS 및 EDLC의 유효 출력 전력에 대한 2차 함수이고 수학식 2 내지 5에 기재된 제약 조건들은 선형식이기 때문에, 상기 목적함수에 대한 해는, 예를 들어 이차 계획법(Quadratic Programming)으로 구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최적 유효 전력 제어 방법에 의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시뮬레이션을 위한 조건으로서 단속적 발전원이 200MW의 풍력발전기이고, 증감발율 제한을 30MW/min이며, BESS 및 EDLC의 정격 출력 전력이 각각 29.9MW, 에너지 저장 용량이 22.01 및 0.21MWh이고, 풍력 발전기의 24시간 동안의 출력이 도 3과 같다고 가정한다.
또한, 수학식 1에서의 각 계수, 즉,
Figure 112011098666618-pat00026
,
Figure 112011098666618-pat00027
,
Figure 112011098666618-pat00028
,
Figure 112011098666618-pat00029
,
Figure 112011098666618-pat00030
을 각각 100, 1, 10000, 100, 1000이라고 하면, 상기 수학식1 내지 5에 따른 BESS 및 ELDC의 출력 전력은 도 4 및 도 5와 같게 된다.
따라서, 도 4 및 도 5와 같은 BESS 및 ELDC의 출력 지시를 따라 운영했을 때의 BESS 및 ELDC의 SOC의 변화는 각각 도 6 및 도 7와 같게 되는데, 도 6 및 도 7에 따르면 24시간 운영 후에도 SOC가 거의 50% 주변에서 운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풍력 발전기의 출력과 단속적 발전원 시스템의 전체 출력 전력은 도 8에 도시되는데, 이 도면을 참조하면 약 66,592초에서 66,628초까지의 기간 동안에는 70MW/min의 속도로 풍력 발전기의 출력 전력이 줄어들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단속적 발전원 시스템의 전체 출력 전력은 약 30MW/min로서 단속적 발전원 시스템의 설치 위치의 증감발율 제한을 충족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단속적 발전원 시스템
11 단속적 발전원
12 제 1 에너지 저장 장치(BESS)
13 제 2 에너지 저장 장치(EDLC)

Claims (6)

  1. 단속적 발전원 및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단속적 발전원 시스템의 계통 접속을 위하여 상기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의 최적 유효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의 최적 유효 전력 제어를 위한 목적 함수를 정의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출력 전력 및 SOC(State of Charge)에 대한 제약 조건 및 상기 계통 접속 시 요구하는 증감발율 제한 규정에 관한 제약 조건을 만족하도록 상기 목적함수의 해를 구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에 대한 최적 유효 전력을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의 유효 전력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는 BESS(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및 EDLC(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의 유효 전력 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 함수는, 상기 BESS 및 상기 EDLC의 출력 전력에 대한 2차 함수를 최소화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의 유효 전력 제어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 함수는 다음 수학식 1로 정의되고,
    [수학식1]
    Figure 112011098666618-pat00031

    여기서,
    Figure 112011098666618-pat00032
    ,
    Figure 112011098666618-pat00033
    ,
    Figure 112011098666618-pat00034
    ,
    Figure 112011098666618-pat00035
    ,
    Figure 112011098666618-pat00036
    는 각각 임의의 계수이고,
    Figure 112011098666618-pat00037
    ,
    Figure 112011098666618-pat00038
    ,
    Figure 112011098666618-pat00039
    Figure 112011098666618-pat00040
    는 각각 단속적 발전원 시스템, BESS, EDLC 및 단속적 발전원의 유효 출력 전력을 가리키며,
    Figure 112011098666618-pat00041
    ,
    Figure 112011098666618-pat00042
    Figure 112011098666618-pat00043
    는 각각 BESS, EDLC 및 단속적 발전원의 제어 주기 T초 이전의 유효 출력 전력, 그리고
    Figure 112011098666618-pat00044
    Figure 112011098666618-pat00045
    는 각각 BESS 및 EDLC의 SOC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의 유효 전력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약 조건은 다음 수학식 2) 내지 5)로 규정되고,
    [수학식 2]
    Figure 112011098666618-pat00046

    [수학식 3]
    Figure 112011098666618-pat00047

    [수학식 4]
    Figure 112011098666618-pat00048

    [수학식 5]
    Figure 112011098666618-pat00049

    여기서,
    Figure 112011098666618-pat00050
    Figure 112011098666618-pat00051
    는 각각 BESS 및 EDLC의 제어 주기 T초 이전의 SOC,
    Figure 112011098666618-pat00052
    Figure 112011098666618-pat00053
    는 각각 BESS 및 EDLC의 출력 에너지,
    Figure 112011098666618-pat00054
    는 단속적 발전원 시스템의 제어 주기 T초 이전의 총 유효 출력 전력, 그리고
    Figure 112011098666618-pat00055
    은 단속적 발전원 시스템 설치 지역에서의 출력 전력의 증감발율 제한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의 유효 전력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 함수의 해는 이차 계획법에 의해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의 유효 전력 제어 방법.
KR1020110133219A 2011-12-12 2011-12-12 단속적 발전원의 계통 접속을 위한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의 유효 전력 제어 방법 KR101296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3219A KR101296806B1 (ko) 2011-12-12 2011-12-12 단속적 발전원의 계통 접속을 위한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의 유효 전력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3219A KR101296806B1 (ko) 2011-12-12 2011-12-12 단속적 발전원의 계통 접속을 위한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의 유효 전력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6413A KR20130066413A (ko) 2013-06-20
KR101296806B1 true KR101296806B1 (ko) 2013-08-14

Family

ID=48862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3219A KR101296806B1 (ko) 2011-12-12 2011-12-12 단속적 발전원의 계통 접속을 위한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의 유효 전력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68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4886B1 (ko) 2013-08-30 2015-11-20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신재생 발전기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9103902A (zh) * 2018-08-03 2018-12-28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 一种储能平滑新能源出力波动的控制方法及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362B1 (ko) * 2020-12-24 2023-02-28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신재생에너지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설비 용량 최적 설계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3580A (ja) 2004-01-23 2007-08-16 スチュアート エナジー システムズ コーポレーション エネルギーネットワーク
KR20100117432A (ko) * 2009-04-24 2010-11-03 전자부품연구원 에너지 획득장치
KR20110071157A (ko) * 2009-12-21 2011-06-29 한국전기연구원 풍력 복합발전 시스템을 위한 통합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045326B1 (ko) 2009-09-29 2011-06-30 한국전력공사 마이크로그리드 운영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3580A (ja) 2004-01-23 2007-08-16 スチュアート エナジー システムズ コーポレーション エネルギーネットワーク
KR20100117432A (ko) * 2009-04-24 2010-11-03 전자부품연구원 에너지 획득장치
KR101045326B1 (ko) 2009-09-29 2011-06-30 한국전력공사 마이크로그리드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71157A (ko) * 2009-12-21 2011-06-29 한국전기연구원 풍력 복합발전 시스템을 위한 통합 제어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4886B1 (ko) 2013-08-30 2015-11-20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신재생 발전기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9103902A (zh) * 2018-08-03 2018-12-28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 一种储能平滑新能源出力波动的控制方法及装置
CN109103902B (zh) * 2018-08-03 2020-12-08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 一种储能平滑新能源出力波动的控制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6413A (ko) 201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ernández et al. Primary frequency control and dynamic grid support for vehicle-to-grid in transmission systems
Li et al. Power management strategy based on adaptive droop control for a fuel cell-battery-supercapacitor hybrid tramway
Bhatti et al. Electric vehicle charging using photovoltaic based microgrid for remote islands
Zhang et al. Research on battery supercapacitor hybrid storage and its application in microgrid
US9263899B2 (en) Power conditioning system
De Breucker et al. Grid power quality improvements using grid-coupled hybrid electric vehicles pemd 2006
Song et al. A decentralized energy management strategy for a fuel cell–battery hybrid electric vehicle based on composite control
KR101296806B1 (ko) 단속적 발전원의 계통 접속을 위한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의 유효 전력 제어 방법
Bhatti et al. Charging of electric vehicle with constant price using photovoltaic based grid-connected system
Becherif et al. Efficient start–up energy management via nonlinear control for eco–traction systems
Yadav et al. Solar powered grid integrated charging station with hybrid energy storage system
KR101367686B1 (ko) 단속적 발전원의 계통 접속을 위한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의 용량 산정 방법
Gucın et al. Design and power management of a grid-connected Dc charging station for electric vehicles using solar and wind power
Bampoulas et al. Provision of frequency regulation by a residential microgrid integrating PVs, energy storage and electric vehicle
Florescu et al. Energy management system within electric vehicles using ultracapacitors: An LQG-optimal-control-based solution
Silva et al. Charging electric vehicles from photovoltaic generation with intermediate energy storage
Anilkumar et al. Design and testing of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PEMFC) power pack for platform vehicle
Tusher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a PEMFC, Battery, Super-capacitor based energy source owing to hybrid vehicle
Tang et al. An energy management framework with two-stage power allocation strategies for electric-hydrogen energy storage systems
Lee et al. Optimized control strategy for hybrid energy system
Trinh et al. An Improved Energy Management Strategy for Fuel Cell Hybrid Power System Based on Compensator Design of DC-DC Converters
Babar et al. Hybrid Energy Control for an Electric Vehicle Using Super Capacitor and Battery
Pires et al. Management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Supported by RES and Storage Systems
Azeem et al. Performances of Hybrid Renewable Energy Based Electrical Charging Station
Gajbhiye et al. Monitoring and Control Approach to Improve Smart Grid System Performance by Using Vehicle-to-Grid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