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6721B1 - 금형의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금형의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6721B1
KR101296721B1 KR1020120091291A KR20120091291A KR101296721B1 KR 101296721 B1 KR101296721 B1 KR 101296721B1 KR 1020120091291 A KR1020120091291 A KR 1020120091291A KR 20120091291 A KR20120091291 A KR 20120091291A KR 101296721 B1 KR101296721 B1 KR 101296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water pipe
supply
discharge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1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3095A (ko
Inventor
김시영
Original Assignee
한일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정공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23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3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6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6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0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cooling means
    • B29C33/0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cooling means using liquids, gas or st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16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2Heating or cooling
    • B29C45/73Heating or cooling of the mould
    • B29C45/7312Construction of heating or cooling fluid flow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16Cooling
    • B29C2035/1616Cooling using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olds, Co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측으로 개구된 수직유로가 마련되며, 급수연결공 및 배수연결공이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고, 외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개의 링삽입홈이 형성된 상태로 내측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공급배관연결단이 마련된 냉각수배관, 수평배출로가 형성되며, 수평배출로와 연통되는 배출공이 상하측으로 개구되게 마련된 배출호스연결구, 수평유입로가 형성되며, 수평유입로와 연통되는 공급공이 상하측으로 개구되게 마련된 공급호스연결구, 공급공간부 및 체결단이 마련되며, 공급공간부로 유입되는 냉각수를 금형으로 공급되도록 가이드하는 관 형상의 공급이동라인, 금형 내부를 순환한 냉각수가 배출공간부로 유입된 후 외부로 배출되도록 가이드하는 관 형상의 배출이동라인, 링삽입홈에 설치되어, 배출호스연결구 및 공급호스연결구가 냉각수배관에 외삽 배치된 상태에서 냉각수가 유출되지 않게 하는 복수개의 씰링부재, 냉각수배관의 테두리 단부에 배치된 링삽입홈에 설치되어, 배출호스연결구 및 공급호스연결구가 냉각수배관에 외삽 배치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 고정시키는 멈춤링부재, 냉각수배관 하단의 수직유로에 결합되어, 냉각수배관 하단의 개방된 수직유로를 밀폐시키는 개폐마개를 포함하는 금형의 냉각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금형의 냉각장치{Cooling apparatus of a mold}
본 발명은 금형의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금형과 금형핀에 냉각수를 공급함과 더불어 가열된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금형의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이캐스팅과 사출 금형은 고온 상태의 재료를 금형에 투입한 후 가압하거나 일정시간 소요되게 하여 냉각함으로써 원하는 형상의 제품을 얻게 된다. 이때, 고온 상태인 재료의 열이 금형으로 전달되면 금형이 변형됨으로 인해 수명이 줄어들게 됨과 더불어 완성제품의 기포가 발생되는 바, 금형 내부에는 냉각수가 지나는 냉각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금형의 냉각로에 냉각수를 공급함과 더불어 냉각로를 순환한 가열 상태의 냉각수를 외부로 다시 배출하기 위한 냉각장치를 구비한다.
이러한, 금형의 냉각로에 냉각수를 공급 배출되게 하는 냉각장치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8-01612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42267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0056091호에 제시된다.
그러나, 종래의 금형(1)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장치(10)는 도 1과 같이 외부의 공급호스(2)와 연결되어 냉각수가 공급되는 공급관(20) 및 금형(1)의 냉각을 위해 금형의 냉각로(4)를 순환한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배출호스(3)와 연결되는 배출관(30)이 고정되어 외부의 공급호스(2)와 배출호스(3)의 위치에 따라 상호 체결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즉, 외부의 공급호스(2)나 배출호스(3)가 상기 공급관(20) 및 배출관(30)과 각각 상호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지 않은 상태로 결합될 경우 "a"부분과 같이 공급호스(2)나 배출호스(3)가 꺾임 상태가 되어 공급관(20) 및 배출관(30)과의 연결단부에서 응력집중에 따른 손상이 발생하면서 냉각수가 누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금형(1)에 냉각장치(10)를 복수개 설치할 경우에는 공급관(20)와 배출관(30)가 일방향으로 위치하게 됨에 따라 공급호스(2)와 배출호스(3)도 일방향으로의 이송라인 위치가 형성하게 됨으로 냉각로(4)가 협소할 경우 설치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80011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8-0101974호에 냉각장치를 선출원한 바 있다. 그러나, 선출원된 냉각장치는, 공급수배관과 배출수배관을 분리형성함으로 인해, 조립이 용이하지 못한 불편함이 있다. 즉, 공급수배관과 배출수배관을 상호 나사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공급수배관 및 상기 배출수배관에 각각 배출수이송관 및 공급수이송관을 나사결합시, 앞서 결합시킨 상기 공급수배관 및 상기 배출수배관의 체결상태가 해제되면서 재결합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외부에서 냉각수를 공급하는 공급호스 및, 금형 내부를 순환한 냉각수가 배출되는 배출호스의 위치를 변경하더라도 각각 공급관 및 배출관과 결합시 꺾임이 발생되지 않아 연결단부에서 꺾임에 의한 손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금형의 냉각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냉각수가 이동할 수 있게 상하측으로 개구된 수직유로가 마련되며, 상기 수직유로와 연통되는 급수연결공 및 배수연결공이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고, 외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개의 링삽입홈이 형성된 상태로 내측면에는 상기 급수연결공과 상기 배수연결공 사이에 나사부가 형성된 공급배관연결단이 마련된 냉각수배관과, 외부 호스와 연결되어 금형 내부를 순환한 상기 냉각수가 외부로 배출되게 가이드하는 수평배출로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연결공을 감싼 상태로 상기 냉각수배관에 외삽 배치되도록 상기 수평배출로와 연통되는 배출공이 상하측으로 개구되게 마련된 배출호스연결구와, 상기 냉각수를 공급하는 외부 호스와 연결되어 상기 냉각수가 유입되게 가이드하는 수평유입로가 형성되며, 상기 급수연결공을 감싼 상태로 상기 냉각수배관에 외삽 배치되도록 상기 수평유입로와 연통되는 공급공이 상하측으로 개구되게 마련된 공급호스연결구와, 길이방향 일단에는 상기 냉각수배관의 공급배관연결단에 나사결합된 상태로 상기 수직유로를 상기 급수연결공과 연결되는 공급공간부 및 상기 배수연결공과 연결되는 배출공간부로 구획 분할시키는 체결단이 마련되며, 타단은 상기 금형에 연결되어 상기 공급공간부로 유입되는 상기 냉각수를 상기 금형으로 공급되도록 가이드하는 관 형상의 공급이동라인과, 상기 공급이동라인에 외삽 배치되도록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냉각수배관의 수직유로에 연통되게 상기 냉각수배관의 상단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금형에 연결되어, 상기 금형 내부를 순환한 상기 냉각수가 상기 배출공간부로 유입된 후 외부로 배출되도록 가이드하는 관 형상의 배출이동라인과, 상기 링삽입홈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호스연결구 및 상기 공급호스연결구가 상기 냉각수배관에 외삽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냉각수가 유출되지 않게 하는 복수개의 씰링부재와, 상기 냉각수배관의 테두리 단부에 배치된 상기 링삽입홈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호스연결구 및 상기 공급호스연결구가 상기 냉각수배관에 외삽 배치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 고정시키는 멈춤링부재 및, 상기 냉각수배관 하단의 상기 수직유로에 결합되어, 상기 냉각수배관 하단의 개방된 상기 수직유로를 밀폐시키는 개폐마개를 포함하는 금형의 냉각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배출이동라인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냉각수배관에 일체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마개에는 상기 수직유로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냉각수가 누출되지 않도록 씰링부재가 외삽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금형의 냉각장치는, 각 외부 호스와 연결되는 공급호스연결구 및 배출호스연결구가 냉각수배관에 회전 가능하게 외삽된 상태에서 멈춤링부재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 고정되어, 외부 호스의 위치가 변경시 공급호스연결구 및 배출호스연결구의 위치 변경도 가능하게 되어 외부 호스의 꺾임을 방지할 수 있는 바, 호스의 손상에 따른 냉각수 누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금형 냉각장치를 나타낸 설치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의 냉각장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금형의 냉각장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의 냉각장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의 냉각장치는, 냉각수배관(100), 배출호스연결구(200), 공급호스연결구(300), 공급이동라인(400), 배출이동라인(500), 씰링부재(600), 멈춤링부재(700), 개폐마개(8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냉각수배관(100)은 이후 설명될 상기 배출호스연결구(200) 및 상기 공급호스연결구(300)에 내삽되어, 냉각수를 상기 배출이동라인(500)에서 상기 배출호스연결구(200)로 이동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상기 공급호스연결구(300)에서 상기 공급이동라인(400)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관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냉각수배관(100)의 상하측으로는 상기 냉각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개구된 수직유로(1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수배관(100)에는 상기 수직유로(110)와 연통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급수연결공(120) 및 배수연결공(13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급수연결공(120)은 이후 설명될 상기 공급호스연결구(300)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냉각수가 상기 수직유로(110)로 유입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배수연결공(130)은 금형(도면미도시)으로부터 배출된 후 상기 수직유로(110)로 유입된 상기 냉각수가 이후 설명될 상기 배출호스연결구(200)로 배출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냉각수배관(100)의 수직유로(110)는 이후 설명될 상기 공급이동라인(400)을 상기 냉각수배관(100)에 체결시, 상기 공급호스연결구(300)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냉각수가 상기 급수연결공(120)을 통해 상기 공급이동라인(400)으로 이동시키는 공급공간부(111)와, 상기 배출이동라인(500)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냉각수가 상기 배수연결공(120)을 통해 상기 배출호스연결구(200)로 이동시키는 배출공간부(112)로 구획 분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수배관(100)의 외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상태로 복수개의 링삽입홈(140)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링삽입홈(140)에는 이후 설명될 상기 씰링부재(600)를 설치하여, 상기 공급호스연결구(300)에서 공급되는 상기 냉각수는 상기 급수연결공(120)으로 이동하고, 상기 배수연결공(130)에서 배출되는 상기 냉각수는 상기 배출호스연결구(200)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링삽입홈(140)에 상기 씰링부재(600)를 설치함으로서, 상기 공급호스연결구(300)에서 공급되는 상기 냉각수가 상기 배수연결공(130)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배수연결공(130)에서 배출되는 상기 냉각수가 상기 공급호스연결구(300)로 배출되지 않게 한다. 여기서, 상기 냉각수배관(100)의 단부 테두리부분에 배치되는 상기 링삽입홈(140)에는 이후 설명될 상기 멈춤링부재(700)를 설치하여, 상기 배출호스연결구(200) 및 상기 공급호스연결구(300)를 상기 냉각수배관(100)에 외삽 배치한 상태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냉각수배관(100)의 내측면에는 상기 급수연결공(120)과 상기 배수연결공(130) 사이에 나사부(151)가 형성된 공급배관연결단(15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공급배관연결단(150)의 나사부(151)에 이후 설명될 상기 공급이동라인(400)의 단부가 나사 결합된다. 이같이, 상기 공급배관연결단(150)에 상기 공급이동라인(400)의 단부가 나사 결합될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냉각수배관(100)의 수직유로(110)는 공급공간부(111) 및 배출공간부(112)로 분할 구획된다.
상기 배출호스연결구(200)는 단부에 외부 호스(10)를 연결한 상태로 상기 금형 내부를 순환한 상기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되게 가이드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배출호스연결구(200)에는 상기 외부 호스(10)와 연결되어, 상기 냉각수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수평배출로(2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호스연결구(200)에는 상기 냉각수배관(100)의 배수연결공(130)을 감싼 상태로 상기 냉각수배관(100)에 외삽 배치될 수 있도록 배출공(220)이 상하측으로 개구되게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공(220)은 상기 수평배출로(210)에 수직한 상태로 상호 연통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배출호스연결구(200)는 상기 수평배출로(210)와 상기 배출공(220)이 상호 연통되도록 'T' 형상을 가진다.
상기 공급호스연결구(300)는 단부에 상기 냉각수를 공급하는 외부 호스(11)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금형 내부로 상기 냉각수가 공급되게 가이드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공급호스연결구(300)에는 상기 외부 호스(11)와 연결되어, 상기 냉각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수평유입로(3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호스연결구(300)에는 상기 냉각수배관(100)의 급수연결공(120)을 감싼 상태로 상기 냉각수배관(100)에 외삽 배치될 수 있도록 공급공(320)이 상하측으로 개구되게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공급공(320)은 상기 수평유입로(310)에 수직한 상태로 상호 연통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공급호스연결구(300)는 상기 수평유입로(310)와 상기 공급공(320)이 상호 연통되도록 'T'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배출호스연결구(200) 및 상기 공급호스연결구(300)는 상기 냉각수배관(100)에 외삽 배치된 상태로 이후 설명될 상기 씰링부재(600)에 의해 각각 상기 냉각수가 유통되지 않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배출호스연결구(200) 및 상기 공급호스연결구(300)는 상기 냉각수배관(100)에 회전 가능하게 외삽되는 바, 각각 상기 금형을 순환한 상기 냉각수를 배출하는 외부 호스(10) 및 상기 냉각수를 공급하는 외부 호스(11)의 위치가 달라지더라도 상기 배출호스연결구(200) 및 상기 공급호스연결구(300)을 회전시켜 위치변경이 가능하여 상기 외부 호스(10,11)와 연결시 꺾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공급이동라인(400)은 상기 공급호스연결구(300)를 통해 상기 수직유로(110)로 유입되는 상기 냉각수를 상기 금형으로 공급 이동되게 가이드하는 관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공급이동라인(400)의 길이방향 일단에는 상기 냉각수배관(100)의 공급배관연결단(150)에 형성된 나사부(151)에 나사 결합되도록 외측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체결단(410)이 마련된다. 이같이, 상기 공급이동라인(400)의 상기 체결단(410)이 상기 냉각수배관(100)의 공급배관연결단(150)에 나사 결합되면서, 상기 냉각수배관(100)의 수직유로(1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급수연결공(120)과 연결되는 상기 공급공간부(111) 및 상기 배수연결공(130)과 연결되는 배출공간부(112)로 구획 분할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이동라인(400)의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금형에 연결되어, 상기 공급호스연결구(300)에서 상기 급수연결공(120)을 통해 상기 공급공간부(111)로 유입되는 상기 냉각수를 상기 금형으로 공급되게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배출이동라인(500)은 상기 금형 내부를 순환한 상기 냉각수가 상기 배출호스연결구(200)를 통해 배출 이동되게 가이드하는 관 부재이다. 즉, 상기 배출이동라인(500)은 상기 금형 내부를 순환한 상기 냉각수가 상기 냉각수배관(100)의 배출공간부(112)로 유입된 후, 상기 배출연결공(130) 및 상기 배출호스연결구(200)를 통해 외부 호스(10)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배출이동라인(50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냉각수배관(100)의 수직유로에 연통되게 상기 냉각수배관(100)의 상단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이동라인(50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냉각수배관(100)의 상단에 일체상태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이동라인(500)의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금형에 연결되어, 상기 금형 내부를 순환한 상기 냉각수를 상기 냉각수배관(100)의 배출공간부(112)로 배출되게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씰링부재(600)는 상기 냉각수를 외부 및 상기 배출호스연결구(200)와 상기 공급호스연결구(300)로 각각 누출되지 않게 하는 부재이다. 즉, 상기 씰링부재(600)는 상기 냉각수배관(100)의 링삽입홈(140)에 각각 삽입 설치된다. 이때, 상기 씰링부재(600)는 상기 배출호스연결구(200)와 상기 공급호스연결구(300)를 상기 냉각수배관(100)에 외삽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배출호스연결구(200)와 상기 냉각수배관(100) 사이 및, 상기 공급호스연결구(300)와 상기 냉각수배관(100) 사이가 밀폐되게 함으로서 상기 냉각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씰링부재(600)는 고무나 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멈춤링부재(700)는 상기 냉각수배관(100)에 외삽된 상기 배출호스연결구(200) 및 상기 공급호스연결구(300)가 상기 냉각수배관(100)의 단부를 통해 이탈 해체되지 않도록 걸림고정시키는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멈춤링부재(700)는 상기 냉각수배관(100)의 테두리 단부에 배치된 상기 링삽입홈(140)에 설치된다.
상기 개폐마개(800)는 상기 냉각수배관(100) 하단의 개방된 상기 수직유로(110)를 밀폐시키는 부재이다. 즉, 상기 개폐마개(800)는 상기 배출호스연결구(200)를 연결한 상기 냉각수배관(100) 단부의 반대단에 위치하는 상기 수직유로(110) 테두리, 즉 상기 냉각수배관(100) 하단의 상기 수직유로(110)에 삽입 체결된다. 이때, 상기 개폐마개(800)는 상기 냉각수배관(100) 하단의 상기 수직유로(110)에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가압상태로 억지끼움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마개(800)에는 상기 냉각수배관(100)과의 사이를 통해 상기 냉각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씰링부재(810)를 외삽 구비할 수 있다.
이같이, 상기 개폐마개(800)에 의해 상기 냉각수배관(100) 하단의 수직유로(110)를 개방할 수 있는 바, 앞서 설명한 상기 공급이동라인(400)이 상기 수직유로(110)를 통해 삽입된 상태로 상기 냉각수배관(100)의 공급배관연결단(150)에 상기 체결단(410)의 나사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금형의 냉각장치 동작을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부 호스(11)를 통해 외부에서 공급 이동되는 상기 냉각수는 상기 공급호스연결구(300)의 수평유입로(310)를 통해 상기 공급공(320)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상기 냉각수는 상기 공급호스연결구(300)와 상기 공급수배관(200) 사이의 내부공간에 들어차게 되며, 다시 상기 냉각수는 상기 냉각수배관(100)의 급수연결공(120)을 통해 상기 수직유로(110)의 공급공간부(111)로 이동되고, 상기 공급이동라인(400)을 통해 상기 금형 내부로 분사되어 상기 금형을 냉각시키게 된다.
이렇게 상기 금형 내부를 순환하면서 상기 금형을 냉각시킨 냉각수는, 다시 상기 배출이동라인(500)을 통해 상기 냉각수배관(100)의 배출공간부(112)로 이동되고, 상기 배수연결공(130)을 통해 상기 냉각수배관(100) 및 상기 배출호스연결구(200) 사이의 내부공간으로 이동하면서 들어차게 된다.
이후, 상기 배출호스연결구(200)의 수평배출로(210)를 통해 외부 호스(10)로 이동되면서, 상기 금형을 순환한 상기 냉각수는 외부로 배출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의 냉각장치는, 각 외부 호스(11,10)와 연결되는 상기 공급호스연결구(300) 및 상기 배출호스연결구(200)가 냉각수배관(100)에 회전 가능하게 외삽된 상태에서 멈춤링부재(700)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 고정되어, 상기 외부 호스(10,11)의 위치가 변경시 상기 공급호스연결구(300) 및 상기 배출호스연결구(200)의 위치 변경도 가능하게 되어 외부 호스(10,11)의 꺾임을 방지할 수 있는 바, 호스의 손상에 따른 냉각수 누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상기 공급호스연결구(300) 및 상기 배출호스연결구(200)의 위치변경이 용이하여 외부 호스(10,1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냉각장치를 복수개 구비할 경우에도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금형의 냉각장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다른실시예에 따른 금형의 냉각장치는, 냉각수배관(101), 호스연결구(201), 공급이동라인(401), 배출이동라인(501), 씰링부재(601), 푸쉬너트(701), 밀폐마개(80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냉각수배관(101)은 이후 설명될 호스연결구(201)에 내삽되어, 냉각수를 이후 설명될 배출이동라인(501)에서 호스연결구(201)를 통해 상기 공급이동라인(401)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관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냉각수배관(101)의 상하측으로는 상기 냉각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개구된 수직유로(10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수배관(101)에는 상기 수직유로(102)와 연통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급수연결공(105) 및 배수연결공(106)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급수연결공(105)은 이후 설명될 호스연결구(201)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냉각수가 상기 수직유로(102)로 유입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배수연결공(106)은 금형(도면미도시)으로부터 배출된 후 상기 수직유로(102)로 유입된 상기 냉각수가 다시 호스연결구(201)를 통해 배출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냉각수배관(101)의 수직유로(102)는 이후 설명될 공급이동라인(401)을 상기 냉각수배관(101)에 체결시, 상기 호스연결구(201)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냉각수가 상기 급수연결공(105)을 통해 상기 공급이동라인(401)으로 이동시키는 공급공간부(103)와, 상기 배출이동라인(501)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냉각수가 상기 배수연결공(106)을 통해 상기 호스연결구(201)로 이동되게 하는 배출공간부(104)로 구획 분할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냉각수배관(101)의 외측면에는 상기 급수연결공(105)과 상기 배수연결공(106) 사이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획단(107)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구획단(107)은 이후 설명될 호스연결구(201)를 상기 냉각수배관(101)에 삽입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호스연결구(201)의 내측면과 밀착되면서, 상기 급수연결공(105)과 상기 배수연결공(106)을 상호 연통되지 않도록 분할 구획되게 한다.
또한, 상기 냉각수배관(101)의 외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상태로 복수개의 링삽입홈(108)을 요입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링삽입홈(108)에는 이후 설명될 씰링부재(601)를 설치하여, 상기 호스연결구(201)에서 공급되는 상기 냉각수가 각각 상기 급수연결공(105)으로 이동하고, 상기 배수연결공(106)에서 배출되는 상기 냉각수가 상기 호스연결구(201)로 다시 이동시 외부로 누수되지 않도록 밀폐되게 한다.
또한, 상기 냉각수배관(101)의 내측면에는 상기 급수연결공(105)과 상기 배수연결공(106) 사이에 나사부가 형성된 공급배관연결단(109)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공급배관연결단(109)의 나사부에 이후 설명될 공급이동라인(401)의 단부가 나사 결합된다. 이같이, 상기 공급배관연결단(109)에 상기 공급이동라인(401)의 단부가 나사 결합될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냉각수배관(101) 내측의 수직유로(102)는 공급공간부(103) 및 배출공간부(104)로 분할 구획된다.
또한, 상기 냉각수배관(101)의 하단 내측면 및 외측면, 즉 이후 설명될 배출이동라인(501)이 결합되는 단부의 타단부 내측 및 외측에는 이후 설명될 푸쉬너트(701) 및 밀폐마개(801)를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부(110,111)가 형성된다.
상기 호스연결구(201)는 단부에 외부 호스(10)를 연결한 상태로 상기 금형 내부로 상기 냉각수가 공급되게 함과 동시에 상기 금형 내부를 순환한 상기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되게 가이드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호스연결구(201)에는 상기 외부 호스(10,11)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냉각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수평유입로(202) 및 상기 냉각수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수평배출로(20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호스연결구(201)에는 상기 냉각수배관(101)의 급수연결공(105) 및 배수연결공(106)을 감싼 상태로 상기 냉각수배관(101)에 외삽 배치될 수 있도록 연통공(204)이 상하측으로 개구되게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연통공(204)은 상기 수평유입로(202) 및 상기 수평배출로(203)에 수직한 상태로 상호 연통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호스연결구(201)는 상기 수평유입로(202) 및 상기 수평배출로(203)를 상기 연통공(204)과 상호 수직하게 연통되도록 'ㅠ' 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호스연결구(201)는 상기 냉각수배관(101)에 외삽 배치된 상태로 이후 설명될 상기 씰링부재(601)에 의해 각각 상기 냉각수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결합 설치된다. 이때, 상기 호스연결구(201)는 상기 냉각수배관(101)에 회전 가능하게 외삽되는 바, 각각 상기 외부 호스(10,11)의 위치가 달라지더라도 상기 호스연결구(201)를 회전시켜 위치변경이 가능하여 상기 외부 호스(10,11)와 연결시 꺾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외부 호스(10,11)가 손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공급이동라인(401)은 상기 호스연결구(201)를 통해 상기 수직유로(102)로 유입되는 상기 냉각수를 상기 금형으로 공급 이동되게 가이드하는 관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공급이동라인(401)의 길이방향 일단 외측면에는 상기 냉각수배관(101)의 공급배관연결단(109)에 형성된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도록 외측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체결단(402)이 마련된다. 이같이, 상기 공급이동라인(401)의 체결단(402)이 상기 냉각수배관(101)의 공급배관연결단(150)에 나사 결합되면서, 상기 냉각수배관(101)의 수직유로(10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급수연결공(105)과 연결되는 상기 공급공간부(103) 및, 상기 배수연결공(106)과 연결되는 배출공간부(104)로 구획 분할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이동라인(401)의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금형에 연결되어, 상기 호스연결구(201)에서 상기 급수연결공(105)을 통해 상기 공급공간부(103)로 유입되는 상기 냉각수를 상기 금형으로 공급되게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배출이동라인(501)은 상기 금형 내부를 순환한 상기 냉각수가 상기 호스연결구(201)를 통해 배출 이동되게 가이드하는 관 부재이다. 즉, 상기 배출이동라인(501)은 상기 금형 내부를 순환한 상기 냉각수가 상기 냉각수배관(101)의 배출공간부(104)로 유입된 후, 상기 배출연결공(106) 및 상기 호스연결구(201)의 수평배출로(203)를 통해 외부 호스(10)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배출이동라인(501)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냉각수배관(101)의 수직유로(102)에 연통되게 상기 냉각수배관(101)의 상단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이동라인(501)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냉각수배관(101)의 상단에 일체상태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이동라인(501)의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금형에 연결되어, 상기 금형 내부를 순환한 상기 냉각수가 상기 냉각수배관(101)의 배출공간부(104)로 배출되게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씰링부재(601)는 상기 호스연결구(201)를 상기 냉각수배관(101)에 삽입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호스연결구(201) 내측면과 상기 냉각수배관(101) 외측면 사이를 통해 상기 냉각수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밀폐시키는 부재이다. 즉, 상기 씰링부재(601)는 상기 냉각수배관(101)의 링삽입홈(108)에 각각 삽입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씰링부재(601)는 고무나 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푸쉬너트(701)는 상기 냉각수배관(101)에 외삽된 상기 호스연결구(201)가 상기 냉각수배관(101)의 단부를 통해 이탈 해체되지 않도록 가압 고정시키는 부재이다. 즉, 상기 푸시너트(701)는 상기 냉각수배관(101)의 하단을 통해 상기 호스연결구(201)를 외삽 배치한 상태에서 일측면이 상기 호스연결구(201)의 하측 테두리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호스연결구(201)가 다시 상기 냉각수배관(101)을 통해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상태로 유지시킨다. 이러한, 상기 푸쉬너트(701)는 상기 냉각수배관(101) 하단 외측면의 나사부(110)에 나사 결합된다. 여기서, 도면부호 702는 상기 푸쉬너트(701)와 상기 호스연결구(201) 사이를 통해 상기 냉각수가 유출되지 않도록 밀폐시키는 씰링부재이다.
상기 밀폐마개(801)는 상기 냉각수배관(101) 하단의 개방된 상기 수직유로(102)단부를 밀폐시키는 부재이다. 즉, 상기 밀폐마개(801)는 상기 호스연결구(201)를 연결한 상기 냉각수배관(101) 단부의 타측에 위치하는 상기 수직유로(102) 테두리, 즉 상기 냉각수배관(101) 하단의 상기 수직유로(102)에 삽입 체결된다. 이때, 상기 밀폐마개(801)는 상기 냉각수배관(101) 하단 내측의 상기 수직유로(102) 상에 형성된 나사부(111)에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가압상태로 억지끼움되게 결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상기 밀폐마개(801)의 일측에는 상기 냉각수배관(101) 내측면의 수직유로(102)와 상기 밀폐마개(801)의 외측면 사이를 통해 상기 냉각수가 누출되지 않도록 밀폐시키는 씰링부재(도면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같이, 상기 밀폐마개(801)에 의해 상기 냉각수배관(101) 하단의 수직유로(102) 단부를 개폐할 수 있는 바, 앞서 설명한 상기 공급이동라인(401)을 상기 수직유로(102)으로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냉각수배관(101)의 공급배관연결단(109)에 상기 체결단(402)의 나사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다른실시예에 따른 상기 금형의 냉각장치 조립작업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냉각수배관(101)이 상단에 상기 배출이동라인(501)의 길이방향 일단을 결합 설치한 후, 상기 공급이동라인(401)을 상기 냉각수배관(101) 하단의 수직유로(102)로 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공급이동라인(401) 하단의 체결단(402)을 상기 냉각수배관(101)의 공급배관연결단(109)에 나사 결합시킨 상태로 상기 공급이동라인(401)의 상단 부분이 상기 배출이동라인(501) 내측에 삽입 배치되게 한다.
이후, 상기 냉각수배관(101)의 링삽입홈(108)에 상기 씰링부재(601)를 삽입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냉각수배관(101) 외측에 상기 호스연결구(201)를 삽입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냉각수배관(101) 하단 외측면 및 내측면에 각각 상기 푸쉬너트(701) 및 상기 밀폐마개(801)를 나사 결합시킨다.
이렇게, 조립된 상기 공급이동라인(401) 및 상기 배출이동라인(501)의 길이방향 타단을 각각 상기 금형 상의 유로에 연통 결합되게 한 후, 상기 호스연결구(201)의 각 수평배출로(203) 및 수평유입로(202) 단부에 외부 호스(10,11)를 연결 설치하여, 상기 호스연결구(201)를 통해 상기 냉각수가 유입된 후 외부로 다시 배출되는 순환동작이 이루어지게 한다. 여기서, 상기 냉각수의 순환동작은 앞서 설명한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의 냉각장치와 동일한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다른실시예에 따른 금형의 냉각장치는, 각 외부 호스(11,10)와 연결되는 상기 호스연결구(201)가 냉각수배관(101)에 회전 가능하게 외삽된 상태에서 상기 푸쉬너트(701)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가압 고정되어, 상기 외부 호스(10,11)의 위치가 변경시 상기 호스연결구(200)의 위치 변경도 가능하게 되어 외부 호스(10,11)의 꺾임을 방지할 수 있는 바, 호스의 손상에 따른 냉각수 누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냉각수배관 110: 수직유로
120: 급수연결공 130: 배수연결공
140: 링삽입홈 150: 공급배관연결단
200: 배출호스연결구 210: 수평배출로
220: 배출공 300: 공급호스연결구
310: 수평유입로 320: 공급공
400: 공급이동라인 410: 체결단
500: 배출이동라인 600: 씰링부재
700: 멈춤링부재 800: 개폐마개

Claims (6)

  1. 냉각수가 이동할 수 있게 상하측으로 개구된 수직유로가 마련되며, 상기 수직유로와 연통되는 급수연결공 및 배수연결공이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고, 외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개의 링삽입홈이 형성된 상태로 내측면에는 상기 급수연결공과 상기 배수연결공 사이에 나사부가 형성된 공급배관연결단이 마련된 냉각수배관과;
    외부 호스와 연결되어 금형 내부를 순환한 상기 냉각수가 외부로 배출되게 가이드하는 수평배출로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연결공을 감싼 상태로 상기 냉각수배관에 외삽 배치되도록 상기 수평배출로와 연통되는 배출공이 상하측으로 개구되게 마련된 배출호스연결구와;
    상기 냉각수를 공급하는 외부 호스와 연결되어 상기 냉각수가 유입되게 가이드하는 수평유입로가 형성되며, 상기 급수연결공을 감싼 상태로 상기 냉각수배관에 외삽 배치되도록 상기 수평유입로와 연통되는 공급공이 상하측으로 개구되게 마련된 공급호스연결구와;
    길이방향 일단에는 상기 냉각수배관의 공급배관연결단에 나사결합된 상태로 상기 수직유로를 상기 급수연결공과 연결되는 공급공간부 및 상기 배수연결공과 연결되는 배출공간부로 구획 분할시키는 체결단이 마련되며, 타단은 상기 금형에 연결되어 상기 공급공간부로 유입되는 상기 냉각수를 상기 금형으로 공급되도록 가이드하는 관 형상의 공급이동라인과;
    상기 공급이동라인에 외삽 배치되도록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냉각수배관의 수직유로에 연통되게 상기 냉각수배관의 상단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금형에 연결되어, 상기 금형 내부를 순환한 상기 냉각수가 상기 배출공간부로 유입된 후 외부로 배출되도록 가이드하는 관 형상의 배출이동라인과;
    상기 냉각수배관의 테두리 단부에 배치된 링삽입홈을 제외한 상기 링삽입홈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호스연결구 및 상기 공급호스연결구가 상기 냉각수배관에 외삽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냉각수가 유출되지 않게 하는 복수개의 씰링부재와;
    상기 냉각수배관의 테두리 단부에 배치된 상기 링삽입홈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호스연결구 및 상기 공급호스연결구가 상기 냉각수배관에 외삽 배치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 고정시키는 멈춤링부재; 및,
    상기 냉각수배관 하단의 상기 수직유로에 결합되어, 상기 냉각수배관 하단의 개방된 상기 수직유로를 밀폐시키는 개폐마개를 포함하는 금형의 냉각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이동라인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냉각수배관에 일체상태로 결합된 금형의 냉각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마개에는 상기 수직유로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냉각수가 누출되지 않도록 씰링부재가 외삽 구비된 금형의 냉각장치.
  4. 냉각수가 이동할 수 있게 상하측으로 개구된 수직유로가 마련되며, 상기 수직유로와 연통되는 급수연결공 및 배수연결공이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고, 외측면에 복수개의 링삽입홈 및 상기 급수연결공과 상기 배수연결공 사이에 구획단이 형성되며, 상기 급수연결공과 상기 배수연결공 사이의 내측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공급배관연결단이 마련되고, 하단 내측면 및 외측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냉각수배관과;
    외부 호스와 연결되어 금형 내부를 순환할 상기 냉각수를 공급 및 배출되게 가이드하는 수평유입로 및 수평배출로가 형성되며, 상기 급수연결공 및 상기 배수연결공을 감싼 상태로 상기 냉각수배관에 외삽 배치되도록 상기 수평배출로와 연통되는 연통공이 상하측으로 개구되게 마련된 호스연결구와;
    길이방향 일단에는 상기 공급배관연결단에 나사결합된 상태로 상기 수직유로를 상기 급수연결공과 연결되는 공급공간부 및 상기 배수연결공과 연결되는 배출공간부로 구획 분할시키는 체결단이 마련되며, 타단은 상기 금형에 연결되어 상기 공급공간부로 유입되는 상기 냉각수를 상기 금형으로 공급되도록 가이드하는 관 형상의 공급이동라인과;
    상기 공급이동라인에 외삽 배치되도록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냉각수배관의 수직유로에 연통되게 상기 냉각수배관의 상단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금형에 연결되어, 상기 금형 내부를 순환한 상기 냉각수가 상기 배출공간부로 유입된 후 외부로 배출되도록 가이드하는 관 형상의 배출이동라인과;
    상기 링삽입홈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호스연결구가 상기 냉각수배관에 외삽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냉각수가 상기 호스연결구 및 상기 냉각수배관 사이를 통해 유출되지 않게 밀폐시키는 복수개의 씰링부재와;
    상기 냉각수배관 하단 외측면의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호스연결구가 상기 냉각수배관에 외삽 배치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가압 고정시키는 푸쉬너트; 및,
    상기 냉각수배관 하단 내측면의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냉각수배관 하단의 개방된 상기 수직유로를 밀폐시키는 밀폐마개를 포함하는 금형의 냉각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배출이동라인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냉각수배관에 일체상태로 결합된 금형의 냉각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밀폐마개의 일측에는 상기 수직유로와 상기 밀폐마개의 외측면 사이를 통해 상기 냉각수가 누출되지 않도록 밀폐시키는 씰링부재를 구비하는 금형의 냉각장치.
KR1020120091291A 2011-08-23 2012-08-21 금형의 냉각장치 KR1012967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84048 2011-08-23
KR1020110084048 2011-08-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3095A KR20130023095A (ko) 2013-03-07
KR101296721B1 true KR101296721B1 (ko) 2013-08-20

Family

ID=48175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1291A KR101296721B1 (ko) 2011-08-23 2012-08-21 금형의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67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0686B1 (ko) * 2016-11-29 2023-11-10 한일정공 주식회사 금형 냉각장치
KR102054892B1 (ko) * 2019-05-21 2019-12-11 김동걸 사출금형의 회전코어 냉각수 공급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6127A (ko) * 1996-08-27 1998-05-25 정몽규 냉각장치
KR100501535B1 (ko) * 2003-05-29 2005-07-1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소실모형 주조법에서의 주물의 조직미세화용 냉각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6127A (ko) * 1996-08-27 1998-05-25 정몽규 냉각장치
KR100501535B1 (ko) * 2003-05-29 2005-07-1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소실모형 주조법에서의 주물의 조직미세화용 냉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3095A (ko) 201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80973A1 (en) Method for Making an Outlet Channel
KR101296721B1 (ko) 금형의 냉각장치
KR20180060601A (ko) 금형 냉각장치
US20110064842A1 (en) Cooling device for molding apparatus
KR20110032266A (ko) 사출 금형
US20120205562A1 (en) Automatic gas intake and exhaust valve device
KR20140003478A (ko) 용융물분배 매니폴드
TWI448371B (zh) 用於注塑成型模具的灌嘴及該注塑成型模具
KR100716469B1 (ko) 온수 역류방지 기능을 가지는 냉온수기
KR20080101974A (ko) 금형의 냉각장치
KR100800118B1 (ko) 금형의 냉각장치
KR101860908B1 (ko) 플렉시블 타입의 핫런너 시스템
KR20160011850A (ko) 나선형상의 가이드단이 마련되는 플러그인 방식의 냉각수 유도체
KR20150054640A (ko) 복합 수지 공급장치
KR20110053063A (ko) 사출 성형의 냉각수 공급장치
KR20080081532A (ko) 사출금형의 냉각 칸막이
KR101349382B1 (ko) 냉각수단이 구비된 가이드 핀
KR100860139B1 (ko) 사출성형기용 핫런너 밸브장치
KR101451315B1 (ko) 다이캐스팅 금형용 냉각라인 어셈블리
CN103753737B (zh) 排气冷却杆
KR20110055956A (ko) 막음부재 및 이를 구비한 금형 냉각장치
KR100761529B1 (ko) 사출성형장치
KR101143560B1 (ko) 냉각수로가 형성된 상부코어를 가지는 사출금형
KR101080121B1 (ko) 수전금구용 냉수 및 온수이동관의 체결구조
KR20090066027A (ko) 금형조립체의 냉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