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6139B1 - 반려동물의 목줄 - Google Patents

반려동물의 목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6139B1
KR101296139B1 KR1020120095368A KR20120095368A KR101296139B1 KR 101296139 B1 KR101296139 B1 KR 101296139B1 KR 1020120095368 A KR1020120095368 A KR 1020120095368A KR 20120095368 A KR20120095368 A KR 20120095368A KR 101296139 B1 KR101296139 B1 KR 101296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type
wire
pet
insertio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5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성중
Original Assignee
안성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성중 filed Critical 안성중
Priority to KR1020120095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61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6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6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1Colla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19/00Animal husbandry
    • Y10S119/905Breaking or training method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목줄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체적인 구성은 일부 구간이 절단된 C형튜브(10)의 중간에는 와이어(30)의 일측에 형성된 고리부(31)가 고정되도록 계지구(12)가 형성되고, C형튜브(10)의 일측 입구의 외주면에는 와이어(30)의 타측을 인출하기 위한 인입공(11)이 형성되며, 상기 C형튜브(10)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일부 구간이 절단된 C형삽입관(20)의 일측에는 C형삽입관(20)의 내부로 삽입되는 와이어(30)가 C형삽입관(20)과 일체로 고정되도록 C형삽입관(20)의 외주면을 압착하는 조임구(22)가 장착되고, 상기 C형삽입관(20)의 타측에는 코일스프링(40)이 견고하게 접속되며, 상기 C형삽입관(20)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절취된 절취통로(21)가 형성되어, C형삽입관(20)의 내부로 삽입된 와이어(30)의 일측이 상기 절취통로(21)를 통해 C형삽입관(20)의 외부로 인출되며, 상기 절취통로(21)에서 인출된 와이어(30)는 C형삽입관(20)이 C형튜브(10)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C형튜브(10)의 입구의 외주면에 형성된 인입공(11)을 통해 C형튜브(10)에서 외부로 인출됨으로써, 착용시 반려동물이 행동반경을 자가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반려동물의 목줄{The collar of animal companion}
본 발명은 강아지, 고양이 등 반려동물의 목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반려동물의 행동반경을 반려동물의 움직임에 따라 반려동물 스스로 학습하면서 제어될 수 있도록 한 반려동물의 목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반려동물의 목줄은 통상적으로 벨트형 목줄이 사용되고 있다. 벨트형 목줄은 허리띠처럼 고정홀의 간격이 일정하게 타공된 형태로서, 해당 반려동물의 목둘레에 맞추어 어느 정도 여유있게 체결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벨트형 목줄은 이미 타공된 고정홀을 기준으로 해당 반려동물의 목둘레에 따라 반려동물이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체결하는 것임을 고려할 때, 해당 반려동물의 목둘레와 허용되는 여유간격이 정확하게 투영된 고정홀을 선정하여 목줄을 체결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은 반려동물의 목주위에 털들이 항존하는 것을 고려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털들로 인한 목둘레의 증가 등을 생각하면 더욱 어려운 것이다.
목줄을 체결한 후 마당의 말뚝에 묶어 놓는 반려동물의 경우, 상기와 같은 벨트형 목줄의 고정홀 선정의 문제점으로 인해, 결과적으로 조금 느슨한 상태로 목줄을 체결하게 되면, 이리 저리 많은 운동량을 보이는 반려동물의 움직임과 더불어 가죽이나 합성섬유 재질의 벨트형 목줄의 특성상 목줄이 늘어나면서 반려동물의 머리가 벨트에서 빠지게 되는 상황이 연출된다. 한편, 머리가 벨트에서 빠지는 경험을 한 반려동물은 이후에도 머리를 빼기 위한 시도를 지속적으로 함으로써, 벨트형 목줄에서 탈출하여 이웃주민에게 위협을 가하거나, 전원마을의 경우 이웃한 반려동물과 싸우거나, 가축에 위협을 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목줄에서 탈출하는 문제점으로 인해 벨트형 목줄을 단단히 조이게 되면 반려동물의 목에 상처가 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KR 10-2012-0071561 A KR 10-2011-0121096 A KR 10-1155276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한 것으로서, 목줄에 메여 말뚝에 묶어 놓은 반려동물의 행동반경이 목줄을 메고 있는 해당 반려동물의 움직임에 따라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목줄에서 반려동물이 탈출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반려동물의 목줄을 제공하고자 한다. 즉, 말뚝에 묶여있는 상태에서 반려동물이 일정이상의 거리를 움직이게 되면 목줄이 반려동물의 기도를 점점 압박하여 조이게 됨에 따라, 반려동물은 본능적으로 위험을 감지하여 행동반경을 좁히게 됨으로써, 반려동물 스스로 행동반경을 학습하게 되어 결국에는 목줄에서 탈출하는 문제점이 해결되도록 한 반려동물의 목줄을 제공하고자 한다. 반려동물이 행동반경을 좁히게 되면 목줄의 사이즈는 다시 원상으로 복귀되어, 반려동물의 기도를 압박하는 상황이 해제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의 목줄의 구체적인 수단은, 일부 구간이 절단된 C형튜브(10)의 중간에는 와이어(30)의 일측에 형성된 고리부(31)가 고정되도록 계지구(12)가 형성되고, C형튜브(10)의 일측 입구의 외주면에는 와이어(30)의 타측을 인출하기 위한 인입공(11)이 형성되며, 상기 C형튜브(10)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일부 구간이 절단된 C형삽입관(20)의 일측에는 C형삽입관(20)의 내부로 삽입되는 와이어(30)가 C형삽입관(20)과 일체로 고정되도록 C형삽입관(20)의 외주면을 압착하는 조임구(22)가 장착되고, 상기 C형삽입관(20)의 타측에는 코일스프링(40)이 견고하게 접속되며, 상기 C형삽입관(20)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절취된 절취통로(21)가 형성되어, C형삽입관(20)의 내부로 삽입된 와이어(30)의 일측이 상기 절취통로(21)를 통해 C형삽입관(20)의 외부로 인출되며, 상기 절취통로(21)에서 인출된 와이어(30)는 C형삽입관(20)이 C형튜브(10)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C형튜브(10)의 입구의 외주면에 형성된 인입공(11)을 통해 C형튜브(10)에서 외부로 인출됨으로써, 착용시 반려동물이 행동반경을 자가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의 목줄을 사용하게 되면, 반려동물 스스로 목줄로 제어되는 행동반경을 학습함에 따라, 무리하게 목줄에서 탈출하려는 시도를 하지 않게 됨으로써, 반려동물을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의 목줄은 종래 허리띠처럼 고정홀이 일정 간격으로 이미 타공된 벨트형 목줄과 같이 목줄의 사이즈가 일정하게 규격화되지 않는 매우 유연한 상태의 목줄임을 고려할 때, 다양한 목둘레를 갖는 반려동물에게 적합한 착용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의 목줄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중 C형삽입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중 C형삽입관과 와이어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중 C형튜브와 C형삽입관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의 목줄의 조립 완료후 중요 작동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의 목줄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술구성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특징은 강아지, 고양이 등 반려동물의 목에 채우는 목줄을 이용하여 목줄에 메어있는 상태에서 반려동물 스스로 행동반경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반려동물이 목줄에서 탈출하여 마을에 크고 작은 피해를 끼치는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에는 벨트형 목줄을 반려동물의 목에 체결하였으나, 벨트형 목줄의 구성상 이미 타공된 고정홀을 기준으로 해당 반려동물의 목둘레에 맞추어 스토퍼를 벨트형 목줄의 고정홀에 걸어주는 방식이었다. 따라서, 이미 타공된 고정홀을 기준으로 벨트형 목줄을 채우다 보면, 반려동물이 갑갑해 할 것을 고려하여 벨트형 목줄을 느슨하게 채우는 경향이 많은데다, 벨트형 목줄의 재질이 가죽 또는 합성섬유 재질이며, 이리 저리 움직임이 많은 반려동물의 특성을 종합해 볼 때, 벨트형 목줄이 늘어나면서 반려동물의 머리가 벨트에서 빠지게 되어 반려동물이 탈출하는 상황이 연출되었다. 이처럼 목줄에서 탈출한 반려동물은 이웃주민에게 위협을 가하거나, 도시에서 떨어진 교외의 전원마을에서는 이웃한 반려동물과 싸우거나, 가축에 위협을 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의 목줄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중 C형삽입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중 C형삽입관과 와이어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1, 2,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의 목줄은 일부 구간이 절단된 C형튜브(10)가 구비되고, 상기 C형튜브(10)의 내부로 출입하는 일부 구간이 절단된 C형삽입관(20)이 C형튜브(10)와 조립되면서, 전체적으로 고리형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도 2에서 보듯이, C형삽입관(20)의 내부로는 와이어(30)가 삽입되되, 삽입된 와이어(30)의 일측은 도 2의 왼쪽 원내확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C형삽입관(20)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절취된 절취통로(21)를 통해 도 2의 오른쪽 원내확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C형삽입관(20)의 외부로 인출된다.
한편, 도 3의 원내확대도에서 보듯이 C형삽입관(20)의 내부로 삽입된 와이어(30)는 C형삽입관(20)의 일측(도면상 왼쪽)의 외주면을 압착하는 조임구(22)를 통해 C형삽입관(20)의 일측단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조임구(22)는 나사를 비롯한 압착수단으로써, 와이어(30)와 C형삽입관(20)을 견고하게 압착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수단이며, 조임구(22)를 통해 와이어(30)와 C형삽입관(20)이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도 3에서 보듯이 C형삽입관(20)의 타측단(도면상 오른쪽)에는 복원력이 우수한 코일스프링(40)의 일측이 C형삽입관(20)의 내부에 견고하게 끼워지면서 와이어(30), C형삽입관(20) 및 코일스프링(40) 등 3개의 구성요소가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중 C형튜브와 C형삽입관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의 목줄의 조립 완료후 중요 작동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에서와 같이 와이어(30), C형삽입관(20) 및 코일스프링(40)이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30)의 일측과 코일스프링(40)의 일측을 화살표의 표시방향처럼 C형튜브(10)의 양쪽 입구에 삽입한다.
이때, 도 4의 하부에 도시한 원내확대도에서와 같이 와이어(30)의 말단은 고리모양으로 구부려 고리부(31)로 형성한다. 상기 고리부(31)는 와이어(30)가 C형튜브(10)에 삽입된 후 C형튜브(10)의 중간에 형성된 계지구(12)에 붙들어 매기 위한 수단이며, 도 4의 상부에 도시한 원내확대도에서 보듯이 C형튜브(10)의 외주면을 관통하는 계지구(12)에 도 5의 상부에 도시한 원내확대도와 같이 C형튜브(10)의 내부로 삽입된 와이어(30)의 고리부(31)를 걸어줌으로써, 결국 와이어(30)의 일측이 C형튜브(10)의 내부에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C형삽입관(20) 및 코일스프링(40)이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도 4, 5에서와 같이 C형튜브(10)의 내부로 코일스프링(40)을 삽입하면, 코일스프링(40)의 선단은 도 5의 상부에 도시한 원내확대도에서 보듯이 계지구(12)의 장벽에 막혀 더이상 C형튜브(10)의 내부로 삽입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계지구(12)는 와이어(30)를 견고하게 걸어주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뿐 아니라, 코일스프링(40)의 전진을 저지하는 스토퍼의 수단으로도 사용된다.
또한, 도 4, 5에서와 같이 C형튜브(10)에 삽입된 C형삽입관(20)에는 C형삽입관(20)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절취통로(21)가 형성되었는바, 상기 절취통로(21)에서 인출된 와이어(30)는 C형삽입관(20)이 C형튜브(10)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도 5의 하부 오른쪽 원내확대도에서와 같이 C형튜브(10)의 입구의 외주면에 형성된 인입공(11)을 통해 C형튜브(10)에서 외부로 인출되도록 조립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의 목줄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앞서 설명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이 반려동물의 행동반경을 어떻게 제어하는지를 도 6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고리형상으로 조립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으로 C형튜브(10)와 C형삽입관(20)을 잡고 좌우로 벌려서 해당 반려동물의 목에 채운다. 이처럼 본 발명이 반려동물의 목에 채워진 상태에서 와이어(30)를 말뚝에 묶어 놓은 상태가 도 6의 (a)에 도시한 상태이다.
이때, 반려동물의 행동반경은 말뚝을 중심으로 와이어(30)의 길이를 반경으로 하여 작도할 수 있는 원의 크기라 하겠다. 그렇다면, 묶여있는 반려동물의 특성상 초기에는 말뚝으로부터 멀어지려고 움직이게 되는바, 반려동물은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①번 화살표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말뚝으로부터 멀어지려고 한다.
반려동물이 도 6의 (a)에서와 같이 ①번 화살표 방향으로 움직이면, C형삽입관(20)은 C형튜브(10)의 안쪽인 ②번 화살표 방향으로 삽입되고, C형삽입관(20)의 삽입과 동시에 C형삽입관(20)의 일측단에 접속된 코일스프링(40)이 ③번 화살표 방향으로 수축되면서 스프링의 탄성력이 응축되어 준비되는 것이다. 상기 C형삽입관(20)이 C형튜브(1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와이어(30)는 C형삽입관(20)의 외주면에 C형삽입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절취통로(21)에 위치하게 되는바, C형삽입관(20)의 삽입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되어 원활한 C형삽입관(20)의 움직임이 발생된다.
한편, 도 6의 (a)에서와 같이 반려동물이 ①번 화살표 방향으로 계속 움직이게 되면, 결과적으로 고리형상을 갖는 본 발명의 목줄이 반려동물의 기도를 점차적으로 압박하게 됨에 따라, 반려동물은 본능적으로 위험을 감지하여 행동반경을 좁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목줄을 차고 있는 반려동물은 스스로 행동반경을 학습하게 되어 결국에는 목줄에서 탈출하는 문제점이 해결되는 것이다.
도 6의 (b)는 행동반경을 넓히던 반려동물이 기도를 압박하는 본 발명의 목줄로 인해 행동반경을 좁히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험을 감지한 반려동물은 ①번 화살표 방향 즉, 말뚝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C형튜브(10)에 삽입된 C형삽입관(20)은 일측단에 접속되어 수축상태에 있는 코일스프링(40)의 ②번 화살표 방향으로 원상복귀하려는 탄성력으로 인해 시계방향인 ③번 화살표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고리형상의 본 발명의 목줄은 반려동물의 목에서 느슨한 상태로 이완됨으로써, 반려동물 스스로 행동반경을 학습하게 되어 반려동물이 목줄에서 탈출되는 문제점이 해결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의 목줄을 사용하게 되면, 반려동물 스스로 목줄로 제어되는 행동반경을 학습함에 따라, 무리하게 목줄에서 탈출하려는 시도를 하지 않게 됨으로써, 반려동물을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의 목줄은 종래 허리띠처럼 고정홀이 일정 간격으로 이미 타공된 벨트형 목줄과 같이 목줄의 사이즈가 일정하게 규격화되지 않는 매우 유연한 상태의 목줄임을 고려할 때, 다양한 목둘레를 갖는 반려동물에게 적합한 착용이 가능하게 된다.
10 : C형튜브
11 : 인입공
12 : 계지구
20 : C형삽입관
21 : 절취통로
22 : 조임구
30 : 와이어
31 : 고리부
40 : 코일스프링

Claims (1)

  1. 일부 구간이 절단된 C형튜브(10)의 중간에는 와이어(30)의 일측에 형성된 고리부(31)가 고정되도록 계지구(12)가 형성되고, C형튜브(10)의 일측 입구의 외주면에는 와이어(30)의 타측을 인출하기 위한 인입공(11)이 형성되며, 상기 C형튜브(10)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일부 구간이 절단된 C형삽입관(20)의 일측에는 C형삽입관(20)의 내부로 삽입되는 와이어(30)가 C형삽입관(20)과 일체로 고정되도록 C형삽입관(20)의 외주면을 압착하는 조임구(22)가 장착되고, 상기 C형삽입관(20)의 타측에는 코일스프링(40)이 견고하게 접속되며, 상기 C형삽입관(20)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절취된 절취통로(21)가 형성되어, C형삽입관(20)의 내부로 삽입된 와이어(30)의 일측이 상기 절취통로(21)를 통해 C형삽입관(20)의 외부로 인출되며, 상기 절취통로(21)에서 인출된 와이어(30)는 C형삽입관(20)이 C형튜브(10)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C형튜브(10)의 입구의 외주면에 형성된 인입공(11)을 통해 C형튜브(10)에서 외부로 인출됨으로써, 착용시 반려동물이 행동반경을 자가 학습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의 목줄.
KR1020120095368A 2012-08-30 2012-08-30 반려동물의 목줄 KR101296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368A KR101296139B1 (ko) 2012-08-30 2012-08-30 반려동물의 목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368A KR101296139B1 (ko) 2012-08-30 2012-08-30 반려동물의 목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6139B1 true KR101296139B1 (ko) 2013-08-19

Family

ID=49220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5368A KR101296139B1 (ko) 2012-08-30 2012-08-30 반려동물의 목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613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574B1 (ko) 2017-11-14 2018-04-24 김세혁 안전풀림 기능을 구비한 반려동물용 목줄장치
CN109197673A (zh) * 2018-08-24 2019-01-15 贵州剑河明生畜牧开发有限公司 一种山林放养鸡的定位寻回装置
WO2019098583A1 (ko) * 2017-11-14 2019-05-23 주식회사 스윗솔루션 반려견 행동분석 방법 및 시스템
KR20200141695A (ko) * 2019-06-11 2020-12-21 제일레스텍 주식회사 동물 포획 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0110A (ja) 2000-06-21 2002-01-08 Human Resource Management:Kk 犬の首輪
JP2003299421A (ja) 2002-04-09 2003-10-21 Kesami Hasegawa スプリングや金属や樹脂などの構造材を装備する犬や猫用の首輪
US20060278179A1 (en) 2003-07-17 2006-12-14 Vasquez Miguel A Animal restraint
US20070204809A1 (en) 2005-11-09 2007-09-06 Linda Markfield Pet chill colla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0110A (ja) 2000-06-21 2002-01-08 Human Resource Management:Kk 犬の首輪
JP2003299421A (ja) 2002-04-09 2003-10-21 Kesami Hasegawa スプリングや金属や樹脂などの構造材を装備する犬や猫用の首輪
US20060278179A1 (en) 2003-07-17 2006-12-14 Vasquez Miguel A Animal restraint
US20070204809A1 (en) 2005-11-09 2007-09-06 Linda Markfield Pet chill colla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574B1 (ko) 2017-11-14 2018-04-24 김세혁 안전풀림 기능을 구비한 반려동물용 목줄장치
WO2019098583A1 (ko) * 2017-11-14 2019-05-23 주식회사 스윗솔루션 반려견 행동분석 방법 및 시스템
WO2019098482A1 (ko) * 2017-11-14 2019-05-23 김세혁 안전풀림 기능을 구비한 반려동물용 목줄장치
CN109197673A (zh) * 2018-08-24 2019-01-15 贵州剑河明生畜牧开发有限公司 一种山林放养鸡的定位寻回装置
KR20200141695A (ko) * 2019-06-11 2020-12-21 제일레스텍 주식회사 동물 포획 기구
KR102261788B1 (ko) 2019-06-11 2021-06-07 제일레스텍 주식회사 동물 포획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6139B1 (ko) 반려동물의 목줄
US9877465B2 (en) Convertible leash and harness system and method
US7188585B1 (en) Shock absorber leash
US4777784A (en) Horse tethering device
US2737154A (en) Expansible dog leash
KR101155276B1 (ko) 애완동물용 목줄
US20080134989A1 (en) Leash assembly for animals
US11109570B2 (en) Pet leash
US6712026B1 (en) Restraint-assisting handle, a restraint assembly, and a method for restraining an animal
US20120304942A1 (en) Apparatus for Coupling a Pet Leash and a Pet Collar
US10398132B2 (en) Apparatus for coupling a pet leash and pet collar
US20150237831A1 (en) Pet Leash
US5803017A (en) Animal leash
EP2397033A1 (en) Leash for pets
US9615544B2 (en) Animal restraint
US6125793A (en) Resilient safety dog collar
KR200488558Y1 (ko) 반려 동물 안전 리드 줄
US20170251640A1 (en) Animal collars including adjustable clamps and quick release features
US20090145372A1 (en) Adjustable pet leash
US20070044733A1 (en) Leash ring
KR102309133B1 (ko) 조명 장착 장치
KR102036738B1 (ko) 보강대가 구비된 애완동물용 목줄
KR200473374Y1 (ko) 애완동물용 견인줄 일체형 장갑
KR102128666B1 (ko) 애견 입마개 장치
US9066499B2 (en) Adjustable coll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