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6056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정보 디코딩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정보 디코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6056B1
KR101296056B1 KR1020060112065A KR20060112065A KR101296056B1 KR 101296056 B1 KR101296056 B1 KR 101296056B1 KR 1020060112065 A KR1020060112065 A KR 1020060112065A KR 20060112065 A KR20060112065 A KR 20060112065A KR 101296056 B1 KR101296056 B1 KR 101296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ransmission
transmission mode
base station
mobil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2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3471A (ko
Inventor
정영호
류탁기
유철우
조성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2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6056B1/ko
Publication of KR20080043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3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6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6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82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for resource allocation, admission control or hando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국의 자원 정보 디코딩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과의 채널 상태를 측정하는 과정과, 측정된 채널 상태에 상응하는 전송 모드 자원 할당을 요청하는 과정과, 연결 식별자를 할당받는 과정과, 전체 연결 식별자들을 각 전송 모드 별로 구분한 연결 식별자 집합 정보 및 각 전송 모드 별로 자원이 할당된 시구간 정보를 나타내는 전송 모드 시구간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연결 식별자 집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할당받은 연결 식별자에 대응되는 전송 모드를 확인하고, 확인된 전송 모드에 상응하는 시구간에서만 자원 정보 디코딩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전송 모드, 연결 식별자, 프레임, 채널 상태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정보 디코딩 방법{METHOD FOR DECODING RESOURC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CID를 전송 모드 별로 구분하여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CID를 이용한 자원 정보 디코딩 동작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정보를 이용한 자원 정보 디코딩 동작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CID를 이용한 자원 정보 디코딩 동작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정보를 이용한 자원 정보 디코딩 동작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원 정보를 효율적으로 디코딩 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한정된 주파수, 시간, 공간 자원을 다수의 이동국들에게 효과적으로 분배하기 위해 다중화 방식을 고려하고 있다. 상기 다중화 방식으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OFDMA'라 칭함) 방식이 있다. 상기 OFDMA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전송 효율을 극대화 하기 위해 주파수 선택적 전송 모드(mode)와 다이버시티(diversity) 전송 모드를 사용한다.
상기 주파수 선택적 전송 모드는 이동국의 채널 상태에 상응하는 최적의 주파수 대역을 할당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매우 빠르게 이동하는 이동국이나 매우 열악한 채널 상태에 있는 이동국의 경우, 채널 상태 측정 오류 또는 측정된 채널 상태 정보를 피드백하는 경우에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높다. 즉, 상기 주파수 선택적 전송 모드를 채널 상태가 열악한 이동국에게 적용하면 시스템 성능 열화를 초래할 수 있다.
상기 다이버시티 전송 모드는 주파수 전 대역에 데이터를 나누어 전송하기 때문에 주파수 선택적 전송 모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채널 상태가 양호한 이동국은 최적의 주파수 대역 할당에 따른 이득을 기대하기 어렵게 된다.
상기 전송 모드들의 다중화 방법은 시간 분할 다중화 (Time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TDM'이라 칭함) 및 주파수 분할 다중화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FDM'이라 칭함) 모두 가능하다. 하지만, 자원 할당 복잡도 측면과 유연한 자원 운용 측면에서 상기 TDM 방법이 유리하다.
상기 TDM 방법에서 자원 할당 기본 단위를 ‘전송 시구간 (Transmission Time Interval, 이하 'TTI'라 칭함)’이라 정의한다. 상기 TTI에서 자원 할당 정보는 프레임 맨 앞부분에 전송된다. 이동국은 기본적으로 전송 모드와 관계없이 전체 TTI에서 자원을 할당 받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기지국이 전송한 매 TTI 전체 구간에서의 자원 할당 정보 블록을 디코딩(decoding)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이동국은 자원 할당 정보 블록을 디코딩한 후에 자신의 연결 식별자 (Connection ID(Identifier)), 이하 'CID'라 칭함)와 비교하여 자신에게 해당하는 자원 할당 정보인지 알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TDM에 의해 자원 할당 정보가 제공될 시, 이동국은 전체 TTI에 대해 자원 할당 정보 블록을 디코딩하여야 하므로, 과도한 연산 부하와 전력 소비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국의 과도한 전력 소비를 방지할 수 있는 자원 정보 디코딩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국의 자원 정보 디코딩 연산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시분할 다중화 기술을 기반으로 복수의 전송방식을 지원하고, 매 시구간에서 독립된 자원 정보 블록이 존재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국이 기지국으로부터 자원 정보를 제공받는 방법은, 상기 기지국과의 하향링크에 대해 채널 상태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한 채널 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전송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전송방식으로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전송방식 각각에 대응한 시구간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한 시구간 할당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할 전송방식에 대응한 시구간 할당 정보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한 시구간 할당 정보가 지시하는 시구간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자원 정보 블록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자원 정보 블록을 디코딩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시분할 다중화 기술을 기반으로 복수의 전송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매 시구간에서 독립된 자원 정보 블록을 전송하는 방법은, 이동국으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전송방식에 관한 정보를 상기 이동국으로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복수의 전송방식 각각에 대응한 자원 정보 블록이 전송될 시구간을 정의하는 시구간 할당 정보를 상기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시구간 할당 정보를 기반으로 매 시구간에서 상기 복수의 전송방식에 대응한 자원 정보 블록들 중 하나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을 설명하며 그 이외의 배경 기술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국은 자신의 전송 모드에 해당하는 시구간에서만 자원 정보를 디코딩함으로써, 전력 소비 및 연산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송 모드는 주파수 선택적 전송 모드, 다이버시티 전송 모드, 상기 두 가지의 모드를 결합한 하이브리드(hybrid) 전송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상기 주파수 선택적 전송 모드에 해당하는 주파수 자원들은 서로 인접하여 있으며, 상기 다이버시티 전송 모드에 해당하는 주파수 자원들은 전체 주파수 대역에 분포되어 있음을 가정한다.
이하, 본 발명을 제1 실시 예 내지 제4 실시 예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이동국이 채널 상태에 따라 전송모드를 결정하여 기지국에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되는 전송 모드 별로 구분된 CID에 해당하는 전송 모드의 자원 정보를 디코딩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이동국이 채널 상태에 따라 전송모드를 결정하여 기지국에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어 정보에 추가된 정보 필드를 이용하여 수신 가능한 자원 종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자원 종류 정보에 해당하는 전송 모드의 자원 정보만을 디코딩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서는 이동국이 채널 상태를 기지국에 전송하고, 상기 전송한 채널 상태를 기반으로 결정된 전송모드 별 CID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할당 받음으로써, 상기 할당 받은 CID에 대응되는 전송 모드의 자원 정보만을 디코딩 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서는 기지국이 이동국에 의해 전송되는 채널 상태를 기반으로 해당 이동국의 전송모드를 결정한다. 상기 기지국은 추가된 정보 필드가 포함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각 이동국이 수신 가능한 자원 종류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각 이동국이 수신 가능한 전송 모드의 자원 정보만을 디코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CID를 전송 모드 별로 구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 CID 512개는 세 개의 집합으로 구분된다. 예컨대 상기 세 개의 집합은 주파수 선택적 자원 할당 가능 집합, 다이버시티 자원 할당 가능 집합 및 하이브리드 자원 할당 가능 집합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이브리드 자원 할당 가능 집합은 주파수 선택적 자원 할당 가능 집합과 다이버시티 자원 할당 가능 집합의 교집합에 해당한다.
한편 상기 주파수 선택적 자원 할당 가능 집합은 512개의 CID 중 0번 내지 100번에 상응한 CID들을 포함하고, 상기 다이버시티 자원 할당 가능 집합은 512개의 CID 중 310번 내지 511번에 상응한 CID들을 포함하며, 상기 하이브리드 자원 할당 가능 집합은 10번 내지 300번에 상응한 CID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동국은 0번 내지 100번 중 어느 하나의 CID를 기지국으로부터 할당 받았다면, 주파수 선택적 전송 모드에 해당하는 자원만을 할당 받을 수 있으므로, 기지국에 의해 제공되는 해당 자원에 대한 자원 할당 정보만을 디코딩 한다.
그렇지 않고 301번 내지 511번 중 어느 하나의 CID를 기지국으로부터 할당 받았다면, 이동국은 다이버시티 전송 모드에 해당하는 자원만을 할당 받을 수 있으므로, 기지국에 의해 제공되는 해당 자원에 대한 자원 할당 정보만을 디코딩 한다.
그 외에 101 번 내지 300번 중 어느 하나의 CID를 기지국으로부터 할당 받았다면, 이동국은 하이브리드 전송 모드에 해당하는 자원을 할당 받을 수 있으므로, 기지국에 의해 제공되는 전체 자원 할당 정보를 디코딩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CID를 이용한 자원 정보 디코딩 동작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국(200)은 기지국(250)과의 하향링크 채널 상태를 측정한다 (201단계). 예컨대 상기 채널 상태의 측정은 이동국의 속도 추정, 캐리어 대 간섭 잡음 비 (Carrier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이하 'CINR'이라 칭함) 추정을 의미한다. 상기 이동국(200)은 추정된 속도, CINR 중 어느 하나를 고려하거나 상기 두 가지 모두를 미리 설정된 각각의 임계 치(threshold)와 비교하여 자원 할당 가능 모드를 결정한다 (203 단계).
여기서 상기 임계 치는 채널 상태가 양호한지 열악한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예컨대, 채널 상태가 양호한 이동국은 주파수 선택적 전송 모드에서 동작하기를 희망하거나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특성에 따라 두 가지 모드에서 모두 동작하기를 희망한다. 하지만 채널 상태가 열악한 이동국은 다이버시티 전송 모드에서 동작하기를 희망한다. 한편 상기 임계 치를 대신하여 임계 범위를 이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이동국(200)은 상기 결정한 전송 모드에 해당하는 자원 할당을 상기 기지국(250)에게 요청한다 (205단계). 상기 이동국(200)은 자원 할당을 요청할 시, 각 전송 모드 별로 고유하게(unique) 사용되는 레인징 시퀀스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250)은 전체 CID를 세 개의 집합으로 분류한다 (207단계). 일 예로 상기 기지국(250)은 이전 프레임에서 할당된 이동국들의 전송 모드 비율을 고려하여 전체 CID를 세 개의 집합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컨대, 현재 시점에서 주파수 선택적 전송 모드를 요청한 이동국의 수가 이전 시점에서 주파수 선택적 전송 모드를 요청한 이동국의 수보다 많은 경우, 상기 기지국(250)은 주파수 선택적 전송 모드에 해당하는 CID 개수를 더 늘려야 한다.
상기 기지국(250)은 분류된 CID 집합 중 상기 이동국(200)이 요청한 전송 모드를 위해 분류된 CID 집합에 포함된 하나의 CID를 이동국(200)에게 할당한다 (209단계). 상기 기지국(250)은 프레임 시작 부분, 즉 프레임 헤더(header)에 전체 CID가 어떻게 분류되었는지 알려주는 CID 집합 구성 정보 및 전송 모드 별로 할당된 시구간 정보인 전송 모드 시구간 할당 정보를 이동국(200)에게 전송한다 (211단계).
상기 이동국(200)은 상기 기지국(250)으로부터 제공되는 프레임의 헤더를 디코딩한다 (213단계). 상기 이동국(200)은 프레임 헤더에 대한 디코딩을 통해 자신에게 할당된 CID가 어느 CID 집합에 포함되었는지 인지하게 된다. 상기 이동국(200)은 자신에게 할당된 CID가 포함된 CID 집합을 인지함으로써, 세 가지의 전송 모드들 중 어떠한 전송 모드를 이용할 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이동국(200)은 확인한 전송 모드에 해당하는 시구간에서만 자원 정보를 디코딩 한다 (215단계).
한편, 상기 이동국(200)은 디코딩이 불필요한 시구간에서는 슬립(sleep) 모드로 동작하여 전력 소모를 줄이거나 혹은 핸드오버(handover)를 위한 인접 셀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디코딩이 불필요한 시구간은 상기 확인한 전송 모드에 해당하는 시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시구간에 해당한다.
상기 이동국(200)은 지속적인 채널 상태에 대한 측정을 통해 전송 모드의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에 기지국(250)으로 CID 업데이트를 요청한다. 이후, 상기 이동국(200)은 기지국(250)으로부터 업데이트된 CID를 재 할당 받고, 다음 프레임 구간부터 재 할당 받은 CID를 사용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정보를 이용한 자원 정보 디코딩 동작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국(300)은 도 2의 201단계, 203단계 및 205단계와 동일한 동작인 301단계, 303단계 및 305단계를 수행한다.
기지국(350)은 이동국(300)으로부터 전송 모드 요청이 접수될 시, 전송 모드를 지시하는 제어 정보 필드가 포함된 제어 블록을 생성한다 (307단계). 상기 기지국(350)은 상기 이동국(300)으로 생성한 제어 블록을 전송한다 (309단계). 그리고, 상기 기지국(350)은 상기 이동국(300)으로 전송 모드 시구간 할당 정보를 전송한다(311단계).
상기 이동국(300)은 데이터를 최초로 수신하는 경우, 다이버시티 전송 모드 혹은 하이브리드 전송 모드를 초기 전송 모드로 설정하여 해당하는 자원 정보를 디코딩 할 수 있다.
상기 이동국(300)은 상기 기지국(350)으로부터 수신한 제어 블록에 포함된 제어 정보 필드가 지시하는 전송 모드에 해당하는 자원 정보를 디코딩한다. 하기에 제어 정보 필드(2비트)의 구성 예를 나타내었다.
00: 주파수 선택적 전송 모드만 지원
01: 다이버시티 전송 모드만 지원
10: 하이브리드 전송 모드 지원
11: 예약됨(reserved)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어 정보 필드를 이용하기 때문에 CID 집합 정보를 전송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이동국(300)은 상기 기지국(350)으로부터 제공되는 프레임의 헤더를 디코딩하여 전송 모드 별 시구간을 인지한다 (313단계). 상기 이동국(300)은 앞서 인지한 전송 모드 별 시구간 할당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블록에 포함된 제어 정보 필드가 지시하는 전송 모드에 대응한 시구간에서만 디코딩을 수행한다.
상기 이동국(300)은 지속적인 채널 상태에 대한 측정을 통해 전송 모드의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에 기지국(350)으로 전송 모드 변경을 요청한다. 이후, 상기 이동국(300)은 기지국(350)으로부터 업데이트된 제어 정보 필드가 포함된 제어 블록을 수신하고, 다음 프레임 구간부터 업데이트된 제어 정보 필드가 지시하는 전송 모드에 대응한 시구간에서 디코딩을 수행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CID를 이용한 자원 정보 디코딩 동작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동국(400)은 기지국(450)과의 채널 상태를 측정한다 (401단계). 상기 이동국(400)은 상기 측정한 채널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기지국(450)으로 전송한다 (403단계).
상기 기지국(450)은 상기 이동국(400)으로부터 수신한 채널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전송 모드를 결정한다 (405단계). 상기 기지국(450)은 전체 CID를 세 개의 집합으로 분류한다 (407단계). 일 예로 상기 기지국(450)은 이전 프레임에서 할당된 이동국들의 전송 모드 비율을 고려하여 전체 CID를 세 개의 집합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컨대, 현재 시점에서 주파수 선택적 전송 모드를 요청한 이동국의 수가 이전 시점에서 주파수 선택적 전송 모드를 요청한 이동국의 수보다 많은 경우, 상기 기지국(450)은 주파수 선택적 전송 모드에 해당하는 CID 개수를 더 늘려야 한다.
상기 기지국(450)은 분류된 CID 집합 중 앞서 결정한 전송 모드를 위해 분류된 CID 집합에 포함된 하나의 CID를 상기 이동국(400)에게 할당한다 (409단계). 상기 기지국(450)은 프레임 시작 부분, 즉 프레임 헤더에 전체 CID가 어떻게 분류되었는지를 알려주는 CID 분류 정보, 즉 CID 집합 구성 정보 및 전송 모드 별로 할당된 전송 모드 시구간 할당 정보를 상기 이동국(400)으로 송신한다(411단계).
상기 이동국(400)은 상기 기지국(450)으로부터 제공되는 프레임의 헤더를 디코딩 한다 (413단계). 상기 이동국(400)은 프레임 헤더에 대한 디코딩을 통해 자신에게 할당된 CID가 어느 CID 집합에 포함되었는지 인지하게 된다. 상기 이동국(400)은 자신에게 할당된 CID가 포함된 CID 집합을 인지함으로써, 세 가지의 전송 모드들 중 어떠한 전송 모드를 이용할 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이동국(400)은 확인한 전송 모드에 해당하는 시구간에서 수신한 전송 모드 자원 정보만을 디코딩 한다(415단계).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정보를 이용한 자원 정보 디코딩 동작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국(500)은 501단계에서 기지국과의 채널 상태를 측정하고, 505단계에서 상기 측정한 채널 상태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550)으로 전송한다.
상기 기지국(550)은 503단계에서 상기 이동국(500)으로부터 수신한 채널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전송 모드를 결정하고, 507단계에서 상기 결정한 전송 모드를 지시하는 제어 정보 필드가 포함된 제어 블록을 생성한다. 그 후 상기 기지국(550)은 509단계에서 상기 생성한 제어 블록을 상기 이동국(500)으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550)은 511단계에서 상기 이동국(500)으로 전송 모드 시구간 할당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이동국(500)은 513단계에서 상기 기지국(550)으로부터 제공되는 프레임의 헤더를 디코딩하고, 515단계에서 자신이 인지한 전송 모드에 해당하는 시구간에서의 전송 모드 자원 정보를 디코딩 한다.
한편, 상기 제1 실시 예 내지 제4 실시 예에서 기지국은 이동국들의 전송 모드 비율을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시스템 성능이 최대가 될 수 있도록 비율을 적응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국에 할당하는 전송 모드 별 자원 정보만을 디코딩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자원 정보 디코딩 수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이동국의 연산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본 발명을 다중 시나리오를 지원하는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하는 경우, 후보 기지국 및 시나리오 탐색 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Claims (32)

  1. 시분할 다중화 기술을 기반으로 복수의 전송방식을 지원하고, 매 시구간에서 독립된 자원 정보 블록이 존재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국이 기지국으로부터 자원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과의 하향링크에 대해 채널 상태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한 채널 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전송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전송방식으로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전송방식 각각에 대응한 시구간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한 시구간 할당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할 전송방식에 대응한 시구간 할당 정보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매 시구간에서 전송되는 자원 정보 블록들 중 상기 검출한 시구간 할당 정보가 지시하는 시구간에서 전송되는 자원 정보 블록만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자원 정보 블록을 디코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이동국에서의 자원 정보 수신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구간 할당 정보를 검출하는 과정은,
    상기 사용할 전송방식에 관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할 전송방식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기지국에 의해 할당된 연결 식별자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체 연결 식별자들을 상기 복수의 전송방식 각각에 대응하여 분류한 연결 식별자 집합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한 연결 식별자 집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한 연결 식별자가 분류된 전송방식을 인지하고, 상기 수신한 시구간 할당 정보로부터 상기 인지한 전송방식에 대응한 시구간 할당 정보를 검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이동국에서의 자원 정보 수신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할 전송방식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기지국과의 하향링크에 대해 채널 상태를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측정한 채널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채널 상태에 관한 정보의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어 블록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한 제어 블록을 구성하는 정보 필드에 기록된 식별 정보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전송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전송방식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채널 상태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전송방식 중에서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전송방식을 지정하는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에서의 자원 정보 수신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송방식은 주파수 선택적 전송모드, 다이버시티 전송모드 및 상기 주파수 선택적 전송모드와 상기 다이버시티 전송모드를 함께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전송모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에서의 자원 정보 수신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할 전송방식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측정한 채널 상태가 미리 설정된 기준보다 양호할 시, 주파수 선택적 전송모드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측정한 채널 상태가 미리 설정된 기준보다 열악할 시, 다이버시티 전송모드를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이동국에서의 자원 정보 수신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한 채널 상태의 변화로 인해 사용할 전송방식의 변경이 요구될 시,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연결 식별자 집합 정보의 갱신을 요청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이동국에서의 자원 정보 수신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한 채널 상태의 변화로 인해 사용할 전송방식의 변경이 요구될 시,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사용할 전송방식의 변경을 요청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이동국에서의 자원 정보 수신방법.
  8. 시분할 다중화 기술을 기반으로 복수의 전송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매 시구간에서 독립된 자원 정보 블록을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동국으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전송방식에 관한 정보를 상기 이동국으로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복수의 전송방식 각각에 대응한 자원 정보 블록이 시간 축 상에서 분산되어 전송될 수 있도록 시구간을 정의하는 시구간 할당 정보를 상기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시구간 할당 정보를 기반으로 매 시구간에서 상기 복수의 전송방식에 대응한 자원 정보 블록들 중 하나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기지국에서의 자원 정보 전송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방식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은,
    전체 연결 식별자들을 상기 복수의 전송방식 각각에 대응하여 분류한 연결 식별자 집합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하향링크에 대해 측정한 채널 측정 정보를 기반으로 선택된 전송방식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한 전송방식에 관한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이동국이 선택한 전송방식에 대해 분류된 연결 식별자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연결 식별자를 상기 전송방식에 관한 정보로 상기 이동국에게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한 연결 식별자 집합 정보를 상기 이동국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기지국에서의 자원 정보 전송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방식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은,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하향링크에 대해 측정한 채널 측정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한 채널 측정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전송방식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송방식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전송방식을 식별하는 상기 전송방식에 관한 정보가 정보 필드에 기록된 제어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제어 블록을 상기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기지국에서의 자원 정보 전송방법.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송방식은 주파수 선택적 전송모드, 다이버시티 전송모드 및 상기 주파수 선택적 전송모드와 상기 다이버시티 전송모드를 함께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전송모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에서의 자원 정보 전송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방식을 선택하는 과정은,
    상기 측정한 채널 상태가 미리 설정된 기준보다 양호할 시, 주파수 선택적 전송모드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측정한 채널 상태가 미리 설정된 기준보다 열악할 시, 다이버시티 전송모드를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기지국에서의 자원 정보 전송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한 채널 상태의 변화로 인해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상기 연결 식별자 집합 정보의 갱신이 요청될 시, 상기 변화된 채널 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전체 연결 식별자들을 상기 복수의 전송방식 각각에 대응하여 분류한 연결 식별자 집합 정보를 갱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기지국에서의 자원 정보 전송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한 채널 상태의 변화로 인해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사용할 전송방식의 변경이 요청될 시, 상기 변화된 채널 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전송방식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송방식을 다시 선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기지국에서의 자원 정보 전송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KR1020060112065A 2006-11-14 2006-11-1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정보 디코딩 방법 KR101296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2065A KR101296056B1 (ko) 2006-11-14 2006-11-1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정보 디코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2065A KR101296056B1 (ko) 2006-11-14 2006-11-1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정보 디코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3471A KR20080043471A (ko) 2008-05-19
KR101296056B1 true KR101296056B1 (ko) 2013-08-12

Family

ID=39661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2065A KR101296056B1 (ko) 2006-11-14 2006-11-1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정보 디코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60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9728A (ko) 2009-02-03 2010-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확인 응답 전송 및 수신 방법
US8310921B2 (en) 2008-09-04 2012-11-13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random access in a wireless system
KR101036482B1 (ko) 2009-02-03 2011-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임의 접속 방법
US8837352B2 (en) 2009-04-07 2014-09-1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s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KR101638899B1 (ko) 2009-04-08 2016-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확인 응답 전송 및 수신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9663A (ko) * 2003-07-18 2005-01-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무선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KR20050114165A (ko) * 2004-05-31 2005-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송신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9663A (ko) * 2003-07-18 2005-01-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무선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KR20050114165A (ko) * 2004-05-31 2005-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송신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RAFT(2006-1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3471A (ko) 2008-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280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hybrid automatic repeat and request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509696B2 (en) Radio apparatus,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radio wave
US8559364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JP4988761B2 (ja) 動的セル間チャネル共有
KR100978787B1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US9232524B2 (en) Multiple access scheme for multi-channels of a network with a limited link budget
US20070202913A1 (en)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8121549B2 (en) Method and system for allocating resource in a communication system
US8055188B2 (en) Relay system and data frame structure for the relay system
RU2734025C1 (ru) Мониторинг пространств поиска
US20210211957A1 (en) Transmitter, receiv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ntrol circuit, and storage medium
US20100009695A1 (en) Communication system to perform lending and/or borrowing of a radio resource
CN112889324A (zh) 基于接收器的侧行链路资源选择设备和方法
KR20150097939A (ko) 우선 순위를 갖는 송신 빔 인덱스 선택 및 할당 방법 및 장치
KR10129605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정보 디코딩 방법
JPWO2007110960A1 (ja) 通信装置および端末
JP2011514731A (ja) リソースを割り当てるための方法
US7831274B2 (en) Base station for exchanging frequency bands
KR101684925B1 (ko) 기지국 및 단말의 통신 방법
US8565776B2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cheduling method
JPWO2010044156A1 (ja) 送信装置、受信装置、送信方法および受信方法
KR2009002095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할당 방법
CN109075924B (zh) 无线电接入网络中移动性测量的方法、装置和存储介质
US20220030554A1 (en) Transceivers and methods for operating the same
KR101400508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