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5895B1 - 리모트 컨트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원격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리모트 컨트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원격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5895B1
KR101295895B1 KR1020120099771A KR20120099771A KR101295895B1 KR 101295895 B1 KR101295895 B1 KR 101295895B1 KR 1020120099771 A KR1020120099771 A KR 1020120099771A KR 20120099771 A KR20120099771 A KR 20120099771A KR 101295895 B1 KR101295895 B1 KR 101295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pan
tilt
zoom
control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9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성
Original Assignee
(주)매트릭스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매트릭스미디어 filed Critical (주)매트릭스미디어
Priority to KR1020120099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58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89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5Motion detection by distinguishing pan or tilt from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리모트 컨트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원격 제어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는, 카메라 및 카메라를 좌우 상하로 움직이는 팬/틸트를 원격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 장치에 있어서, 팬/틸트의 좌우 상하 각도를 조절하는 팬/틸트 제어부, 카메라의 줌을 조절하는 줌 제어부, 카메라의 포커스를 조절하는 포커스 제어부, 및 트레이싱 설정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팬/틸트 제어부, 줌 제어부, 및 포커스 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팬/틸트의 각도 변화, 상기 카메라의 줌 변화, 포커스 변화, 및 이동 속도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카메라 동작 변화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트레이싱 설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리모트 컨트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원격 제어 시스템{REMOTE CONTROLL APPARATUS AND CAMERA REMOTE CONTROLL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카메라 제어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격지에서 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는 리모트 컨트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원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람이 직접 촬영하기 힘든 위치, CCTV와 같이 24시간 녹화 되는 곳, 악천후에 노출된 곳 등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이를 원격 조정할 수 있는 리모트 컨트롤 장치가 개발되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0832075
선행기술에는 운동장, 체육관, 야외극장, 스튜디오, 대강당, 예배실, 강의실 등에 카메라를 설치한 후, 방송실이나 중앙 통제실에서 카메라를 원격 조정할 수 있는 리모트 컨트롤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에 의하면, 리모트 컨트롤 장치의 프리셋 기능을 이용하여 각 카메라가 촬영할 여러 지점을 미리 설정한 후, 소정 버튼을 누르면 카메라가 움직여 해당 버튼을 통해 설정된 위치를 촬영하도록 할 수 있고, 원격에서 카메라의 팬/틸트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선행기술에 의하면, 여러 개의 지점을 연속적으로 촬영하여 하나의 연속 씬(Scene)을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즉, 선행기술에서 연속 씬을 구현하려면, 프리셋 기능을 이용하여 카메라가 촬영할 여러 지점을 미리 설정한 후, 사용자가 해당 버튼들을 순차적으로 눌러 카메라가 미리 설정된 위치를 순차적으로 촬영하도록 조작하여야 한다. 이 경우, 사용자가 해당 버튼들을 정확한 타이밍에 조작하기 어려워 제작자가 원하는 연속 씬을 구현하기 어렵고, 해당 버튼들이 조작된 이후에야 카메라가 해당 위치를 촬영하기 때문에, 해당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각 영상이 매끄럽게 연결되지 못하여 연속 씬이 부자연스럽게 연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은 카메라의 팬/틸트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나, 카메라의 팬/틸트 각도를 조절하다가 카메라가 파손될 위험이 있다. 즉, 카메라의 팬/틸트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다 보면, 카메라가 주변의 시설물 또는 주변 구조물에 부딪혀 파손될 염려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연속 씬을 용이하고 자연스럽게 구현할 수 있는 리모트 컨트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팬/틸트의 좌우 각도 범위 및 상하 각도 범위를 제한 설정할 수 있는 리모트 컨트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를 좌우 상하로 움직이는 팬/틸트를 원격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팬/틸트의 좌우 상하 각도를 조절하는 팬/틸트 제어부; 상기 카메라의 줌을 조절하는 줌 제어부; 상기 카메라의 포커스를 조절하는 포커스 제어부; 및 트레이싱 설정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팬/틸트 제어부, 줌 제어부, 및 포커스 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팬/틸트의 각도 변화, 상기 카메라의 줌 변화, 포커스 변화, 및 이동 속도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카메라 동작 변화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트레이싱 설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카메라의 팬/틸트의 각도 변화, 줌 변화, 포커스 변화, 및 이동 속도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카메라 동작 변화 정보를 저장한 후, 사용자가 트레이싱 기능을 선택하였을 때, 해당 카메라 동작 변화 정보에 따른 카메라 제어 신호 및 팬/틸트 제어 신호를 발생함으로써, 카메라가 일정 시간 동안 해당 카메라 동작 변화 정보에 따라 연속 동작하여 촬영하도록 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제작자가 원하는 연속 씬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고, 연속 씬이 자연스럽게 연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팬/틸트의 좌우 각도 범위 및 상하 각도 범위를 제한 설정함으로써, 카메라가 설치된 환경에서 카메라가 주변 시설물 또는 주변 구조물에 부딪혀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카메라가 설치된 환경에서 해당 카메라로 시야가 방해받지 않고 촬영할 수 있는 각도 범위 또는 해당 카메라를 통해 주로 촬영하는 각도 범위로 팬/틸트의 좌우 각도 범위 및 상하 각도 범위를 제한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범위 내에서 카메라를 신속하게 이동시켜 촬영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지 카메라 제어를 위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싱 기능을 통해 촬영한 연속 씬을 나타낸 사진.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리모트 컨트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원격 제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원격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카메라 원격 제어 시스템(100)은 카메라(102), 팬/틸트(104), 수신기(106), 및 리모트 컨트롤 장치(108)를 포함한다.
카메라(102)는 리모트 컨트롤 장치(108)의 제어에 따라 전방을 촬영한다. 카메라(102)는 촬영한 영상을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02)는 촬영한 영상을 수신기(106)로 전송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카메라(102)는 촬영한 영상을 그 이외의 다양한 전자 장치(예를 들어, TV, PVR, 모니터 등)에 전송할 수 있다. 카메라(102)는 예를 들어, 3CCD(3 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일 수 있다. 이 경우, 3개의 CCD가 빨강(R), 녹색(G), 파랑(B)을 각각 화상 처리하기 때문에 선명하고 고화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카메라(102)가 3CCD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종류의 카메라가 사용될 수 있다.
팬/틸트(104)는 카메라(102)를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는 팬(104-1) 및 카메라(102)를 상하로 회전시킬 수 있는 틸트(104-2)를 포함한다. 이때, 팬(104-1) 및 틸트(104-2)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팬/틸트(104)는 리모트 컨트롤 장치(108)의 제어에 따라 카메라(102)를 좌우 상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팬(104-1)은 좌우 360°의 각도 범위로 회전할 수 있고, 틸트(104-2)는 상하 90°의 각도 범위로 회전할 수 있으나, 리모트 컨트롤 장치(108)의 제어에 따라 팬/틸트(104)의 좌우 상하 각도 범위는 일정 각도 범위로 제한(Limit)될 수 있다.
팬/틸트(104)는 리모트 컨트롤 장치(108)의 프리셋 제어 신호에 따라, 카메라(102)를 기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팬/틸트(104)는 리모트 컨트롤 장치(108)의 트레이싱 제어 신호에 따라, 카메라(102)를 기 설정된 순서에 따른 위치들로 연속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수신기(106)는 리모트 컨트롤 장치(108)가 발생하는 각종 제어 신호를 카메라(102) 및 팬/틸트(104)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수신기(106)는 팬/틸트(104)에 전원(예를 들어, 직류 24V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 장치(108)는 수신기(106)로 각종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카메라(102) 및 팬/틸트(104)의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한다. 리모트 컨트롤 장치(108)에 대한 자세한 구성 및 동작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카메라 원격 제어 시스템(100)은 카메라(102)를 감싸며 설치되는 카메라 하우징(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하우징(미도시)은 카메라(102)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카메라 하우징(미도시)에는 카메라(102) 렌즈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와이퍼(미도시) 및 카메라(102) 렌즈에 워셔액을 분사하는 워셔액 분사부(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리모트 컨트롤 장치(108)는 팬/틸트 리미트 설정부(111), 트레이싱 설정부(113), 줌 속도 제어부(115), 팬/틸트 속도 제어부(117), 카메라 선택부(119), 아이리스 조절 모드 선택부(121), 셔터 조절부(123), 프리셋부(125), 화이트/블랙 밸런스 조절부(127), 게인 조절부(129), 모드 선택부(131), 카메라 전원부(133), 줌 제어부(135), 포커스 제어부(137), 및 팬/틸트 제어부(139)를 포함한다.
팬/틸트 리미트 설정부(111)는 입력되는 팬/틸트 리미트 설정 신호에 따라 팬/틸트(104)의 좌우 각도 범위 및 상하 각도 범위를 제한하도록 한다. 팬/틸트 리미트 설정부(111)의 1, 2, 3, 4 버튼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각각 팬/틸트(104)의 좌, 우, 상, 하의 제한 각도를 설정하기 위한 팬/틸트 리미트 설정 신호를 발생하는 버튼이다.
예를 들어, 팬/틸트 리미트 설정부(111)는 사용자가 팬/틸트 제어부(139)를 통해 팬/틸트(104)를 원하는 좌측 제한 지점으로 이동시킨 후, 팬/틸트 리미트 설정부(111)의 FUNC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1번 버튼(좌)을 눌러 팬/틸트 좌측 제한 설정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우, 팬/틸트(104)의 현재 위치한 지점(즉, 좌측 제한 지점)을 팬/틸트의 좌측 제한 각도로 설정한다.
그리고, 팬/틸트 리미트 설정부(111)는 사용자가 팬/틸트 제어부(139)를 통해 팬/틸트(104)를 원하는 우측 제한 지점으로 이동시킨 후, 팬/틸트 리미트 설정부(111)의 FUNC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2번 버튼(우)을 눌러 팬/틸트 우측 제한 설정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우, 팬/틸트(104)의 현재 위치한 지점(즉, 우측 제한 지점)을 팬/틸트의 우측 제한 각도로 설정한다. 팬/틸트 리미트 설정부(111)는 상기와 마찬가지의 방법을 통해 팬/틸트(104)의 하측 제한 각도 및 상측 제한 각도를 각각 설정할 수 있다.
팬/틸트 리미트 설정부(111)를 통해 팬/틸트(104)의 좌우 각도 범위 및 상하 각도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제한함으로써, 카메라(102)가 설치된 환경에서 카메라(102)가 주변 시설물 또는 주변 구조물에 부딪혀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팬/틸트 리미트 설정부(111)를 통해 카메라(102)의 동작 범위를 주변 시설물 또는 주면 구조물과 접촉되지 않는 범위로 제한함으로써, 고가(高價)의 카메라(102)가 주변 시설물 또는 주변 구조물에 부딪혀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팬/틸트 리미트 설정부(111)를 통해 카메라(102)의 동작 범위를 주변 시야가 방해받지 않고 촬영할 수 있는 각도 범위 또는 해당 카메라(102)를 통해 주로 촬영하는 각도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범위 내에서 카메라(102)를 신속하게 이동시켜 촬영할 수 있게 된다.
트레이싱 설정부(113)는 트레이싱 설정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줌 제어부(135), 포커스 제어부(137), 및 팬/틸트 제어부(139)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카메라(102)의 팬/틸트의 각도 변화, 줌 변화, 포커스 변화, 및 이동 속도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카메라 동작 변화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한다. 그 후, 트레이싱 동작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트레이싱 설정부(113)는 상기 저장된 카메라 동작 변화 정보에 따른 카메라 제어 신호 및 팬/틸트 제어 신호를 카메라(102) 및 팬/틸트(104)로 발생하여 카메라(102)가 상기 저장된 카메라 동작 변화 정보에 따라 촬영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트레이싱 설정부(113)는 사용자가 트레이싱 설정부(113)의 RESTORE 버튼, STATR 버튼, 및 STOP 버튼을 순차적으로 눌러 트레이싱 설정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우, 일정 시간 동안 줌 제어부(135), 포커스 제어부(137), 및 팬/틸트 제어부(139)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카메라(102)의 팬/틸트의 각도 변화, 줌 변화, 포커스 변화, 및 이동 속도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카메라 동작 변화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1 ~ 8 숫자 버튼 중 임의의 버튼을 눌러 카메라 동작 변화 정보가 저장될 채널 번호를 선택할 수 있으며, 트레이싱 설정부(113)는 카메라 동작 변화 정보를 사용자가 선택한 해당 채널에 저장한다. 이때, 각 채널 번호(1 ~ 8)에 서로 다른 카메라 동작 변화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STATR 버튼을 누른 후 STOP 버튼을 누르기 전까지의 일정 시간 동안 줌 제어부(135), 포커스 제어부(137), 및 팬/틸트 제어부(139)를 조작하여 카메라(102)의 팬/틸트의 각도, 줌, 포커스,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때, 줌 제어부(135), 포커스 제어부(137), 및 팬/틸트 제어부(139)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카메라 제어 신호 및 팬/틸트 제어 신호를 카메라(102) 및 팬/틸트(104)로 발생함과 동시에 카메라(102)의 팬/틸트의 각도 변화, 줌 변화, 포커스 변화, 및 이동 속도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카메라 동작 변화 정보를 트레이싱 설정부(113)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싱 설정부(113)는 사용자가 1 ~ 8 숫자 버튼 중 임의의 버튼을 눌러 카메라 동작 변화 정보가 저장된 채널 번호를 선택한 후, 트레이싱 설정부(113)의 START 버튼을 눌러 트레이싱 동작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우, 해당 채널 번호에 저장된 카메라 동작 변화 정보에 따라 카메라 제어 신호 및 팬/틸트 제어 신호를 카메라(102) 및 팬/틸트(104)로 발생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102) 및 팬/틸트(104)는 일정 시간 동안 카메라 동작 변화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동작하면서 촬영하기 때문에, 제작자가 원하는 연속 씬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고, 연속 씬이 자연스럽게 연출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트레이싱 설정부(113)가 카메라 동작 변화 정보에 따라 카메라 제어 신호 및 팬/틸트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트레이싱 설정부(113)가 해당 채널 번호에 저장된 카메라 동작 변화 정보를 줌 제어부(135), 포커스 제어부(137), 및 팬/틸트 제어부(139)에 전달하면, 줌 제어부(135) 및 포커스 제어부(137)가 카메라 동작 변화 정보에 따라 카메라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팬/틸트 제어부(139)가 카메라 동작 변화 정보에 따라 팬/틸트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줌 속도 제어부(115)는 줌 제어부(135)를 통해 카메라(102)의 줌을 조절할 때, 줌의 조절 속도를 단계 별로 빠르게 또는 느리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줌 속도 제어부(115)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줌 속도 제어 신호에 따라 줌이 조절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줌 속도 제어부(115)는 줌 속도 제어 신호에 따라 줌이 조절되는 속도를 1단계에서 5단계까지 구분하여 조절할 수 있다.
팬/틸트 속도 제어부(117)는 팬/틸트 제어부(139)를 통해 팬/틸트(104)의 좌, 우, 상, 하 각도를 조절할 때, 팬/틸트(104)의 조절 속도를 단계 별로 빠르게 또는 느리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팬/틸트 속도 제어부(119)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팬/틸트 속도 제어 신호에 따라 팬/틸트의 각도가 조절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틸트 속도 제어부(119)는 팬/틸트 속도 제어 신호에 따라 팬/틸트의 각도가 조절되는 속도를 1단계에서 5단계까지 구분하여 조절할 수 있다.
카메라 선택부(119)는 원격지에 복수 개의 카메라(102)가 설치된 경우, 복수 개의 카메라(102)들 중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카메라 선택부(119)의 버튼을 눌러 제어할 카메라(102)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는 카메라 선택부(119)의 버튼이 5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개수의 버튼을 설치할 수 있다.
아이리스 조절 모드 선택부(121)는 카메라(102)의 아이리스(Iris)를 수동으로 조절할지 자동으로 조절할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아이리스는 카메라(102)의 렌즈를 통해 들어오는 광량을 조절하는 장치를 말한다. 아이리스 조절 모드 선택부(121)에서 수동 버튼(MANU)을 누르면 카메라(102)의 아이리스를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고, 자동 버튼(AUTO)을 누르면 카메라(102)의 아이리스를 자동으로 조절하게 된다. 예를 들어, 카메라(102) 주변의 밝기가 일정한 경우에는 수동 버튼(MANU)을 눌러 아이리스를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고, 카메라(102) 주변의 밝기가 가변적인 경우에는 자동 버튼(AUTO)을 눌러 아이리스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셔터 조절부(123)는 카메라(102) 렌즈로 들어오는 빛의 시간을 길게 또는 짧게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셔터 조절부(123)의 SHUT 버튼을 누를때마다 셔터를 오프(Off), 셔터의 오픈 시간을 짧은 시간(S1), 셔터의 오픈 시간을 긴 시간(S2)으로 순차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프리셋부(125)는 카메라(102)로 촬영할 지점을 미리 설정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팬/틸트 제어부(139)를 통해 소정 카메라(102)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프리셋부(125)의 메모(MEMO) 버튼을 누르고, 1 ~ 8 숫자 버튼 중 하나를 선택하면 카메라(102)의 촬영 지점(즉, 카메라(102)의 현재 팬/틸트 각도)이 해당 숫자 버튼과 매핑되어 저장되게 된다. 이때, 카메라(102)의 줌 및 포커스도 저장될 수 있다. 프리셋부(125)에서 PAGE 1 버튼과 PAGE 2 버튼을 통해 총 16개의 촬영 지점을 저장할 수 있게 된다.
화이트/블랙 밸런스 조절부(127)는 카메라(102)의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 및 블랙 밸런스(Black Balance)를 조절하도록 한다.
게인 조절부(129)는 카메라(102)의 영상 게인값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게인 조절부(129)의 GAIN 버튼을 누를때마다 영상 게인값을 기본값(OdB), 낮은값(G1), 높은값(G2)으로 순차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모드 선택부(131)는 카메라 촬영 모드(CAM) 및 색상 또는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바(BAR)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촬영 준비 단계에서 바(BAR) 모드를 선택하여 영상을 표현할 색상이나 밝기를 조절한 후, 카메라 촬영 모드(CAM)를 선택하여 촬영을 시작할 수 있다.
카메라 전원부(133)는 카메라(102)의 전원을 온(On) 또는 오프(Off)시킬 수 있도록 한다. 카메라 전원부(133)에서 LOCK 버튼을 눌러 카메라(102)를 잠금 설정할 수도 있다.
줌 제어부(135)는 카메라(102)의 줌(Zoom)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줌 인(Zoom In)의 경우에는 줌 제어부(135)의 T 버튼을 눌러 조절하고, 줌 아웃(Zoom Out)의 경우에는 줌 제어부(135)의 W 버튼을 눌러 조절할 수 있다.
포커스 제어부(137)는 카메라(102)의 포커스(Focus)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멀리 있는 사물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 줌 제어부(135)의 T 버튼을 눌러 멀리 있는 사물을 가까이 당긴 후, 포커스 제어부(137)를 통해 초점을 맞춰 해당 사물을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다.
팬/틸트 제어부(139)는 팬/틸트(104)의 좌, 우, 상, 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팬/틸트 제어부(139)의 L(Left) 버튼을 통해 팬(104-1)을 좌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팬/틸트 제어부(139)의 R(Right) 버튼을 통해 팬(104-1)을 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팬/틸트 제어부(139)의 D(Down) 버튼을 통해 틸트(104-2)를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팬/틸트 제어부(139)의 U(Up) 버튼을 통해 틸트(104-2)를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팬/틸트 제어부(139)를 통해 카메라(102)의 좌, 우, 상, 하 촬영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카메라의 팬/틸트의 각도 변화, 줌 변화, 포커스 변화, 및 이동 속도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카메라 동작 변화 정보를 저장한 후, 사용자가 트레이싱 기능을 선택하였을 때, 해당 카메라 동작 변화 정보에 따른 카메라 제어 신호 및 팬/틸트 제어 신호를 발생함으로써, 카메라가 일정 시간 동안 해당 카메라 동작 변화 정보에 따라 연속으로 동작하여 촬영하도록 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제작자가 원하는 연속 씬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고, 연속 씬이 자연스럽게 연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팬/틸트의 좌우 각도 범위 및 상하 각도 범위를 제한 설정함으로써, 카메라가 설치된 환경에서 카메라가 주변 시설물 또는 주변 구조물에 부딪혀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카메라가 설치된 환경에서 해당 카메라로 시야가 방해받지 않고 촬영할 수 있는 각도 범위 또는 해당 카메라를 통해 주로 촬영하는 각도 범위로 팬/틸트의 좌우 각도 범위 및 상하 각도 범위를 제한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범위 내에서 카메라를 신속하게 이동시켜 촬영할 수 있게 된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싱 기능을 통해 촬영한 연속 씬을 나타낸 사진들이다. 여기서는 명세서라는 문서의 특성상 트레이싱 기능을 통해 촬영한 영상을 한 장면씩 캡쳐한 사진을 나타내었으나, 실제로는 각 장면이 연속적으로 촬영되는 것임을 밝혀둔다.
먼저, 사용자는 1 ~ 8 숫자 버튼 중 1 버튼을 눌러 이후에 발생할 카메라 동작 변화 정보가 저정된 채널 번호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트레이싱 설정부(113)의 RESTORE 버튼을 선택하여 앞으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카메라 동작 변화를 기억하라는 명령을 입력한 후, 트레이싱 설정부(113)의 STATR 버튼을 누를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일정 시간 동안 줌 제어부(135), 포커스 제어부(137), 및 팬/틸트 제어부(139) 중 적어도 하나를 조작하여 카메라(102)의 팬/틸트의 각도, 줌, 포커스,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때, 줌 제어부(135), 포커스 제어부(137), 및 팬/틸트 제어부(139)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카메라 제어 신호 및 팬/틸트 제어 신호를 카메라(102) 및 팬/틸트(104)로 발생함과 동시에 카메라(102)의 팬/틸트의 각도 변화, 줌 변화, 포커스 변화, 및 이동 속도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카메라 동작 변화 정보를 트레이싱 설정부(113)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02)의 줌이 14배이고, 팬(104-1) 및 틸트(104-2)의 각도가 0°인 상태(이하, 이를 초기 상태라고 한다)에서, 사용자는 팬/틸트 제어부(139) 및 줌 제어부(135)를 다음과 같은 순서로 조작할 수 있다.
1) 카메라(102)의 줌을 12배로 변화시키고, 초기 상태를 기준으로 팬(104-1)의 각도를 우측으로 5°로 변화시킴(제1 변화 상태 → 줌 : 12배, 팬 : 우측 5°, 틸트 : 0°)
2) 카메라(102)의 줌을 10배로 변화시키고, 제1 변화 상태를 기준으로 팬(104-1)의 각도를 우측으로 5°, 틸트(104-2)의 각도를 상측으로 5°로 변화시킴(제2 변화 상태 → 줌 : 10배, 팬 : 우측 10°, 틸트 : 상측 5°)
3) 카메라(102)의 줌을 8배로 변화시키고, 제2 변화 상태를 기준으로 틸트(104-2)의 각도를 상측으로 2°로 변화시킴(제3 변화 상태 → 줌 : 8배, 팬 : 우측 10°, 틸트 : 상측 7°)
4) 카메라(102)의 줌을 5배로 변화시키고, 제3 변화 상태를 기준으로 팬(104-1)의 각도를 우측으로 5°로 변화시킴(제4 변화 상태 → 줌 : 5배, 팬 : 우측 15°, 틸트 : 상측 7°)
5) 카메라(102)의 줌을 2배로 변화시키고, 제4 변화 상태를 기준으로 팬(104-1)의 각도를 우측으로 2°변화시키고, 틸트(104-2)의 각도를 상측으로 3°로 변화시킴(제5 변화 상태 → 줌 : 2배, 팬 : 우측 17°, 틸트 : 상측 10°)
다음으로, 사용자가 트레이싱 설정부(113)의 STOP 버튼을 눌러 트레이싱 설정 신호를 발생시키면, 트레이싱 설정부(113)는 줌 제어부(135), 포커스 제어부(137), 및 팬/틸트 제어부(139)로부터 전달받은 카메라(102)의 팬/틸트의 각도 변화, 줌 변화, 포커스 변화, 및 이동 속도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카메라 동작 변화 정보를 1번 채널에 저장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1번 채널(즉, 카메라 동작 변화 정보가 저장된 채널)을 선택(숫자 버튼 1을 누름)한 후, 트레이싱 설정부(113)의 START 버튼을 눌러 트레이싱 동작 신호를 발생하면, 트레이싱 설정부(113)는 1번 채널에서 카메라 동작 변화 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한 카메라 동작 변화 정보에 따라 카메라 제어 신호 및 팬/틸트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카메라(102)가 해당 카메라 동작 변화 정보에 따라 연속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카메라(102)가 초기 상태(도 3) → 제1 변화 상태(도 4) → 제2 변화 상태(도 5) → 제3 변화 상태(도 6) → 제4 변화 상태(도 7) → 제5 변화 상태(도 8)대로 순차적으로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카메라 원격 제어 시스템 102 : 카메라
104 : 팬/틸트 106 : 수신기
108 : 리모트 컨트롤 장치 111 : 팬/틸트 리미트 설정부
113 : 트레이싱 설정부 115 : 줌 속도 제어부
117 : 팬/틸트 속도 제어부 119 : 카메라 선택부
121 : 아이리스 조절 모드 선택부 123 : 셔터 조절부
125 : 프리셋부 127 : 화이트/블랙 밸런스 조절부
129 : 게인 조절부 131 : 모드 선택부
133 : 카메라 전원부 135 : 줌 제어부
137 : 포커스 제어부 139 : 팬/틸트 제어부

Claims (6)

  1.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를 좌우 상하로 움직이는 팬/틸트를 원격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팬/틸트의 좌우 상하 각도를 조절하는 팬/틸트 제어부;
    팬/틸트 리미트 설정 신호에 따라 상기 팬/틸트의 좌우 각도 범위 및 상하 각도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제한하는 팬/틸트 리미트 설정부;
    팬/틸트 속도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팬/틸트의 각도를 조절하는 속도를 단계별로 제어하는 팬/틸트 속도 제어부;
    상기 카메라의 줌을 조절하는 줌 제어부;
    줌 속도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줌을 조절하는 속도를 단계별로 제어하는 줌 속도 제어부;
    상기 카메라의 포커스를 조절하는 포커스 제어부; 및
    사용자로부터 촬영 지점이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씬을 일정 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촬영하기 위한 트레이싱 설정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팬/틸트 제어부, 상기 줌 제어부, 및 상기 포커스 제어부로부터 발생하는 카메라 동작 변화 정보(상기 카메라 동작 변화 정보는 첫 번째 촬영 지점에서 마지막 촬영 지점까지 하나의 촬영 지점에서 다른 촬영 지점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동안의 상기 팬/틸트의 각도 변화, 상기 카메라의 줌 변화, 포커스 변화, 및 이동 속도 변화를 포함함)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트레이싱 설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싱 설정부는, 트레이싱 동작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 동작 변화 정보에 따라 카메라 제어 신호 및 팬/틸트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촬영 지점이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씬을 일정 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촬영하도록 상기 카메라 및 상기 팬/틸트를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원격지에 설치되고 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를 좌우 상하로 움직이는 팬/틸트; 및
    상기 카메라 및 상기 팬/틸트를 제어하며, 상기 제1항에 기재된 리모트 컨트롤 장치를 포함하는, 카메라 원격 제어 시스템.

KR1020120099771A 2012-09-10 2012-09-10 리모트 컨트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원격 제어 시스템 Active KR101295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771A KR101295895B1 (ko) 2012-09-10 2012-09-10 리모트 컨트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원격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771A KR101295895B1 (ko) 2012-09-10 2012-09-10 리모트 컨트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원격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5895B1 true KR101295895B1 (ko) 2013-08-19

Family

ID=49220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9771A Active KR101295895B1 (ko) 2012-09-10 2012-09-10 리모트 컨트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원격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58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0105A (ko) * 2020-08-11 2022-02-18 모피어스 주식회사 가상 원격 촬영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2413A (ko) * 1997-10-17 1999-05-15 정선종 시나리오 기반 실시간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88883A (ko) * 2000-10-05 2001-09-29 이종법 팬틸트 드라이버의 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6148260A (ja) 2004-11-16 2006-06-08 Canon Inc 自動追尾装置、画像異常検出装置、自動追尾方法、画像異常検出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2413A (ko) * 1997-10-17 1999-05-15 정선종 시나리오 기반 실시간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88883A (ko) * 2000-10-05 2001-09-29 이종법 팬틸트 드라이버의 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6148260A (ja) 2004-11-16 2006-06-08 Canon Inc 自動追尾装置、画像異常検出装置、自動追尾方法、画像異常検出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0105A (ko) * 2020-08-11 2022-02-18 모피어스 주식회사 가상 원격 촬영 시스템 및 방법
KR102501749B1 (ko) * 2020-08-11 2023-03-02 모피어스 주식회사 가상 원격 촬영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5679B2 (en) Image-taking apparatus
US8155432B2 (en) Photographing apparatus
US9270893B2 (en) Monitoring method and camera
JP6017225B2 (ja) 撮像装置
JP2009284452A (ja) ハイブリッドビデオカメラ撮像装置及びシステム
KR20120131365A (ko) 영상 촬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0124120A (ja) オートフォーカスシステム
US20080024624A1 (en) Photographing apparatus and exposure control method
CN108124156B (zh) 用于控制摄像机的红外截止滤光片的方法
CN116260956B (zh) 一种虚拟现实拍摄方法及系统
KR101295895B1 (ko) 리모트 컨트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원격 제어 시스템
JP5081133B2 (ja) オートフォーカスシステム
KR200418656Y1 (ko) 3씨씨디 카메라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 장치 및시스템
JP2008017198A (ja) 光源色算出装置、光源色算出方法及び撮影装置
US20070081807A1 (en) Method of remote controller via computer to indirectly control image-generating apparatus
KR100832075B1 (ko) 3씨씨디 카메라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 장치 및시스템
JPH08205021A (ja) 画像入力装置
KR101012075B1 (ko) 와이드 화면과 텔레 화면 및 분할 화면을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감시카메라 및 그 제어방법
KR101153388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의 노출 제어 방법
JP4148251B2 (ja) 撮像装置及び表示装置
JP4293280B2 (ja) 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監視システム
JP2024151868A (ja) 撮像装置、通信システム、撮像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0164637A (ja) Af枠自動追尾システム
KR20090062577A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저광량 시의 손떨림 방지 장치 및방법
JP3969476B2 (ja) 監視カメ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3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8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8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52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