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5344B1 - 광케이블 선번 관리 시스템의 무선통신모듈 - Google Patents

광케이블 선번 관리 시스템의 무선통신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5344B1
KR101295344B1 KR1020110065902A KR20110065902A KR101295344B1 KR 101295344 B1 KR101295344 B1 KR 101295344B1 KR 1020110065902 A KR1020110065902 A KR 1020110065902A KR 20110065902 A KR20110065902 A KR 20110065902A KR 101295344 B1 KR101295344 B1 KR 101295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optical cable
external terminal
pow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5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4695A (ko
Inventor
이재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티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티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티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110065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5344B1/ko
Priority to PCT/KR2011/008728 priority patent/WO2013005896A1/ko
Publication of KR20130004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선번 관리 시스템의 무선통신모듈은, 광케이블 접속부를 수용하며 광케이블의 광섬유 선번 데이터 및 주변 환경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는 광케이블 접속함체와, 광케이블 접속함체와 무선통신하는 외부 단말기와, 광케이블 접속함체를 원격 제어하는 중앙관제서버를 포함하는 광케이블 선번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광케이블 접속함체는 외부 단말기로부터 무선 전력 전송된 무선 전력에 의해 무선통신이 개시되는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한다.

Description

광케이블 선번 관리 시스템의 무선통신모듈{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f Optical Cable Numbering System}
본 발명은 광케이블 선번 관리 시스템의 무선통신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광케이블의 접속함체 내부의 환경정보 및 광케이블 선번정보를 외부 단말기로 무선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 및 무선통신모듈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및 방송 가입자들은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VDSL(Very High Bit-Rate Digital Subscriber Line), Ethernet LAN(Local Area Network), 케이블 모뎀(cable modem) 등을 통해 초고속 인터넷 등의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으며, HFC(Hybrid Fiber Coaxial)를 기반으로 한 케이블 방송과 위성방송을 이용하여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었다.
근래에는, 가입자에게 고속, 대용량의 통신,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각 가입자 댁내까지 광케이블을 연결한 FTTH(Fiber To The Home) 시스템의 보급화가 빠른 속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광케이블은 광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로서, 전기신호를 전송하는 일반적인 동축 케이블과는 달리 많은 양의 정보를 손실 없이 신속하게 전송할 수 있어 최근 정보화 시대의 도래에 따라 상기 광케이블의 수요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으며, 광케이블의 관련 기술 개발도 꾸준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광케이블은 설치 길이에 따라 중간 중간을 연결해야 하는 데, 이때 상기 광케이블은 별도의 접속 단자를 이용하여 연결되며 광케이블로부터 필요한 부분만큼 분기(分枝)가 이루어질 경우에도 광케이블 접속 단자를 이용하여 광케이블을 분기시키게 된다.
이러한 광케이블을 이용한 통신에 있어서, 각 광섬유는 여러 개로 분기하여 각각 가입자를 수용할 수 있는데, 일 예로써 하나의 광섬유를 통과하는 신호는 광 수동소자(광 스플리터 또는 파장 분리기)를 이용하여 다수의 광신호로 분배될 수 있다.
따라서 광섬유를 다수 포함하는 광케이블을 댁내 가입자가 위치한 근처까지 연결하고 해당 광케이블의 광섬유와 댁내 가입자의 단말기와 연결하도록 하기 위한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이 제시된 바 있다.
즉,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은 광케이블이 지나가는 곳 중간에 설치되어 인입 광케이블로부터 추출된 광섬유와 댁내 가입자의 개통용 케이블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는 한편, 인출 광케이블의 각 광섬유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을 통해 이종 네트워크간의 상호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종 네트워크간을 상호접속함에 있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 인입 및 인출되는 광섬유의 선번의 관리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에서는 인입 및 인출되는 광섬유의 선번 관리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예를 들면 작업자가 지면에 인입 및 인출 선로의 선번 기입을 통해 관리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 관리자 입장에서는 사람에 따라 광섬유의 선번 식별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원격지에서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광섬유 선번 데이터 및 접속함체 내부의 환경 데이터를 모니터링하여 관리할 수 있는 광케이블 선번 관리 시스템이 제시되었다.
한편, 광케이블 접속부를 수용하며 선번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광케이블 접속함체는 전신주에 설치되거나 지중에 단독으로 매설되기 때문에, 선번 데이터 등을 저장하거나 무선통신을 위해 요구되는 구동전원을 위해 소형 배터리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소형 배터리는 자체 방전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배터리 수명을 증가시키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케이블 접속함체 내부에 설치되는 무선통신모듈의 소비 전력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광케이블 선번 관리 시스템의 무선통신모듈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케이블 접속부를 수용하며 상기 광케이블의 광섬유 선번 데이터 및 주변 환경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는 광케이블 접속함체와, 상기 광케이블 접속함체와 무선통신하는 외부 단말기와, 상기 광케이블 접속함체를 원격 제어하는 중앙관제서버를 포함하는 광케이블 선번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광케이블 접속함체는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무선 전력 전송된 무선 전력에 의해 무선통신이 개시되는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는 광케이블 선번 관리 시스템의 무선통신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상기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전원부의 전원을 비소모하는 대기모드와 상기 외부 단말기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구동모드 사이에서 작동하며,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무선 전력에 의해 상기 대기모드에서 상기 구동모드로 모드가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상기 대기모드와 구동모드로 모드 전환되며 상기 외부 단말기와 무선통신하는 제1무선통신부;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선 전력을 수신받아 자기 유도 전류를 생성하는 전원수신부; 상기 전원수신부의 상기 자기 유도 전류를 직류 전류로 정류하는 정류부; 및 상기 정류부의 상기 직류 전류에 의해 작동하여 상기 제1무선통신부를 구동모드로 전환하여 작동시키는 스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수신부는, 자기유도 전류를 생성하는 제1자기안테나; 및 상기 제1자기안테나로부터 생성된 상기 자기유도 전류가 축전되는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정류부의 상기 직류 전류를 증폭시키기 위한 증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단말기는, 상기 전원수신부로 상기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전원송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송신부는 상기 전원수신부의 상기 제1자기안테나에 대응하여 전파를 송신하는 제2자기안테나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자기안테나로부터 송신되는 전파는 Hz 내지 Hz의 주파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케이블 선번 관리 시스템의 무선통신모듈의 제어방법은,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무선통신모듈을 대기모드로 설정하는 단계(S110);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선통신모듈로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제1전파를 발산하는 단계(S120); 상기 외부 단말기의 제1전파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의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구동전원을 생성하는 단계(S130); 상기 구동전원으로 스위치부를 작동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구동모드로 전환하는 단계(S140); 및 상기 무선통신모듈과 상기 외부 단말기 사이에 제2전파를 통한 무선 데이터 통신을 실행하는 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기모드 설정단계(S110)에서,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상기 대기모드에서 전원을 비소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통신모듈이 전력을 전혀 소비하지 않는 대기모드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구동모드로 구분되어 구동됨으로써, 광케이블 접속함체에 내장된 배터리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외부 단말기로부터 무선통신모듈의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전원이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을 통해 전달됨으로써, 무선통신모듈을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별도의 전원이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선번 관리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광케이블 접속함체에 내장된 선번 관리부 및 이와 무선통신하는 외부 단말기의 개략도;
도 3은 무선통신모듈 및 무선통신모듈에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외부 단말기의 개략도; 및
도 4는 무선통신모듈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선번 관리 시스템의 무선통신모듈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선번 관리 시스템(10)은 광케이블 접속함체(20), 외부 단말기(30) 및 중앙관제서버(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선번 관리 시스템(10)의 일례로, 도 1에 도시한 선번 관리 시스템(10)은 광케이블이 지상의 전신주에 설치된 경우를 도시한다. 이와 달리 광케이블은 지중에 매설될 수 있다.
광케이블 접속함체(20)는 광케이블 접속부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의 광케이블(50) 인입 말단과 타측 광케이블(60) 인출말단 사이를 접하는 접속부를 수용함과 동시에, 인입말단의 광섬유와 인출말단의 광섬유의 선번을 관리하기 위한 선번 관리부(21)가 내장된다.
광케이블 접속함체(20)는 관리자에 의해 용이하게 개폐될 수 있도록 상하 분리가능한 박스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그 내부에는 인입 광케이블(50) 및 인출 광케이블(60)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현수장비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선번 관리부(21)는 광케이블 접속함체(20)의 내부에서 광케이블의 선번을 디지털화하여 저장함과 동시에 관리자가 휴대하는 외부 단말기(30)와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선번 데이터 또는 접속함체(20) 내부의 환경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더불어 선번 관리부(21)는 인접한 다른 광케이블 접속함체(20)와의 사이에 무선통신을 통해 선번 데이터, 환경 데이터 또는 접속함체(20)의 개폐여부를 무선 송수신하여 중앙관제서버(40)로 전송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선번 관리부(21)의 세부 구성은 아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외부 단말기(30)는 광케이블 접속함체(20)와의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광케이블의 선번 또는 접속함체(20) 내부의 환경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거나 광케이블 선번 데이터를 수정할 경우 광케이블 접속함체(20)와 무선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외부 단말기(30)는 광케이블 접속함체(2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자 하는 경우 및 선번 관리부(21)에 저장된 선번 데이터를 수정할 경우에 선번 관리부(21)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인증 절차를 거친 후, 데이터 수신 및 데이터 수정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외부 단말기(30)에 관한 세부 구성은 광케이블 접속함체(20)의 선번 관리부(21)와 함께 아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중앙관제서버(40)는 원격지에서 광케이블 접속함체(20)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것으로, 광케이블 접속함체(20)와 그 인접한 다른 접속함체(20) 사이의 무선통신 또는 외부 단말기(30)의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광케이블 접속함체(20)의 개폐 여부 및 장애 여부를 실시간 감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접속함체(20)에 내장된 선번 관리부(21)와 외부 단말기(30)는 무선통신 방식으로 서로 통신할 수 있으며, 이는 도 2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번 관리부(21)는 센서부(22), 무선통신모듈(100), 데이터 관리부(23), 제어부(24) 및 전원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22)는 광케이블 접속함체(20)의 내부 환경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의 센서부(22)는 광케이블 접속부의 최대 장애 요소인 수분 및 주변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센서부(22)는 접속함체(20) 내부의 물 침투 또는 수증기를 감지하여 환경 데이터를 제어부(24)로 전송할 수 있는 수분 감지센서 및 접속함체(20) 내부의 주변온도를 감지하여 전송할 수 있는 온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모듈(100)은 외부 단말기(30) 또는 인접한 다른 광케이블 접속함체(20)와의 사이에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의 무선통신모듈(100)은 제1무선통신부(110), 전원수신부(120), 정류부(130) 및 스위치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무선통신부(110)는 외부 단말기(30)의 제2무선통신부(32)와 또는 인접한 다른 광케이블 접속함체(20)와 무선통신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의 제1무선통신부(110)는 근거리 무선통신에 적합한 ZigBee 모듈일 수 있다.
전원수신부(120)는 외부 단말기(30)로부터 전송된 무선 전력을 수신하여 구동 전원을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전원수신부(120)의 세부 구성은 도 3을 참조로 아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정류부(130)는 전원수신부(120)로부터 생성된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정류하기 위한 것으로, 전원수신부(120)의 커패시터(122)로부터 생성된 교류 전류를 직류 전류로 정류하여 스위치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스위치부(140)는 정류부(130)로부터 전달된 직류 전원에 의해 작동하여 제1무선통신부(110)를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스위치부(140)는 직류 전원을 증폭시키기 위한 증폭부(150)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의 무선통신모듈(100)의 세부구성 및 작동은 도 3을 참조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데이터 관리부(23)는 광케이블 접속부의 광섬유 선번 데이터 및 접속함체(20)의 환경 데이터를 저장한다. 데이터 관리부(23)는 외부 단말기(30)로부터 선번 데이터 또는 환경 데이터 전송 요청이 있는 경우, 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로드하여 제1무선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단말기(3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4)는 선번 관리부(21)를 전체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센서부(22)를 통해 수집된 환경 데이터를 데이터 관리부(23)에 저장하고, 선번 관리부(21)와 외부 단말기(30) 사이의 무선 데이터 통신, 그리고 인접한 다른 광케이블 접속함체(20)의 선번 관리부(21)와의 사이의 무선 데이터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우선, 제어부(115)는 제1무선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단말기(30)의 무선 데이터 통신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외부 단말기(30)의 단말 제어부(33)로 인증 데이터 전송을 요청한 후, 수신된 인증 데이터를 분석하여 외부 단말기(30)의 인증을 실시할 수 있다. 제어부(24)는 인증된 외부 단말기(30)와의 사이에 무선 통신을 유지함과 동시에 데이터 관리부(23)로부터 선번 데이터 또는 환경 데이터를 로드하여 제1무선통신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는 외부 단말기(30)에 의한 선번 데이터의 수정 요청이 있을 경우, 외부 단말기(30)의 단말 제어부(33)로 인증 데이터 전송을 요청한 후, 수신된 인증 데이터를 분석하여 외부 단말기(30)의 인증을 실시할 수 있다. 제어부(24)는 인증된 외부 단말기(30)와의 사이에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유지함과 동시에 외부 단말기(30)에 데이터 관리부(23)의 선번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는 수정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는 무선통신모듈(100)의 작동 모드를 제어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의 무선통신모듈(100)은 전원부(25)의 전원을 전혀 소모하지 않는 대기모드와 전원부(25)의 전원을 소비하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구동모드를 가질 수 있으며, 제어부(24)는 무선통신모듈(100)의 스위치부(140)의 작동에 따라 무선통신모듈(100)의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전원부(25)는 선번 관리부(21)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의 전원부(25)는 3V의 구동전원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배터리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구체화하지 않았으나, 본 실시예의 전원부(25)는 태양광 패널로부터 전달되는 외부 전원으로 충전될 수 있는 충전식 배터리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외부 단말기(30)는 전원송신부(31), 제2무선통신부(32), 단말 제어부(33), 디스플레이부(34) 및 단말 전원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송신부(31)는 광케이블 접속함체(20)의 무선통신모듈(100)을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전원을 접속함체(20)로 무선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스위치부(14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광케이블 접속함체(20)로 전자기파를 전송할 수 있다.
제2무선통신부(32)는 선번 관리부(21)의 제1무선통신부(110)와 ZigBee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ZigBee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2무선통신부(32)는 선번 관리부(21)로부터 전송된 선번 데이터 또는 환경 데이터를 상용 무선통신을 통해 중앙관제서버(40)로 전송할 수 있도록, CDMA 또는 GSM 모듈을 별도 구비할 수도 있다.
단말 제어부(33)는 제2무선통신부(32)를 통해 선번 관리부(21)와의 무선 데이터 통신을 제어함과 동시에 선번 관리부(21)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34)에 표시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선번 관리부(21)와의 데이터 통신 이전에 선번 관리부(21)로부터 전송된 인증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 해단 외부 단말기(30)에 부여된 인증 데이터를 선번 관리부(21)로 전송하여 외부 단말기(30)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4)는 선번 관리부(21)로부터 전송된 선번 데이터 또는 환경 데이터를 작업자에게 표시하며, 단말 전원부(35)는 외부 단말기(3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단말기(30)는 선번 데이터를 수정하기 위한 키패드를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광케이블 선번 관리 시스템의 무선통신모듈(100)의 세부 구성 및 작동방식은 도 3을 참조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케이블 접속함체(20)의 내부에 무선통신모듈(100)이 구비되고, 외부 단말기(30)에는 무선통신모듈(100)을 작동시키기 위한 전원송신부(31)가 구비될 수 있다.
제1무선통신부(110)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ZigBee 모듈로서, 전원부(25)의 전력을 전혀 소비하지 않는 대기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외부 단말기(30)로부터 전송되는 구동전원에 의해 스위치부(140)가 작동될 경우, 제1무선통신부(110)는 제어부(24)에 의해 대기모드에서 구동모드로 전환되어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전원수신부(120)는 자기유도 전류를 생성할 수 있는 제1자기안테나(121) 및 제1자기안테나(121)로부터 생성된 교류전류가 축전되는 커패시터(12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자기안테나(121)는 외부 단말기(30)의 제2자기안테나(31a)로부터 전달된 전자기파에 의해 자기유도 전류를 생성하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생성된 교류전류를 커패시터(122)로 지속적으로 전달한다.
커패시터(122)는 제1자기안테나(121)로부터 지속적으로 생성되는 전류에 의해 충전되어 스위치부(140)를 작동하는 전원을 생성한다.
전원수신부(120)로부터 생성된 교류 구동전원은 정류부(130)에 의해 직류 전류로 정류되어 스위치부(140)로 전달된다.
스위치부(140)는 정류부(130)로부터 전달된 직류 전류에 의해 구동되어 제1무선통신부(110)의 모드를 전환하며, 여기서 스위치부(140)에 전달되는 직류 전류를 증폭시키기 위한 증폭부(150)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원수신부(120)는 외부 단말기(30)로부터 전달되는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자기유도 전류를 생성하도록 자기안테나를 구비한 구성을 가지나, 스위치부(140)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면 자기 공명 방식 등의 다양한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선번 관리 시스템(10)의 무선통신모듈(100)의 제어방법은 도 4를 참조로 다음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무선통신모듈의 제어방법은,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무선통신모듈을 대기모드로 설정하는 단계(S110); 외부 단말기로부터 무선통신모듈로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제1전파를 발산하는 단계(S120); 외부 단말기의 제1전파를 수신하여 무선통신모듈의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구동전원을 생성하는 단계(S130); 구동전원으로 스위치부를 작동하여 무선통신모듈을 구동모드로 전환하는 단계(S140); 그리고 무선통신모듈과 외부 단말기 사이에 제2전파를 통한 무선 데이터 통신을 실행하는 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모듈의 대기모드 설정단계(S110)에서 무선통신모듈(100)은 전원부(25)의 전원을 비소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원부(25)의 사용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구동전원을 생성하는 단계(S130)에서 무선통신모듈은 제1전파에 의해 자기유도 전류를 생성하여 충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본 발명의 광케이블 선번 관리 시스템의 무선통신모듈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변경 및 다양한 변형실시예가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10 : 광케이블 선번 관리 시스템 20 : 광케이블 접속함체
21 : 선번 관리부 22 : 센서부
23 : 데이터 관리부 24 : 제어부
25 : 전원부 30 : 외부 단말기
31 : 전원송신부 31a : 제2자기안테나
32 : 제2무선통신부 33 : 단말 제어부
34 : 디스플레이부 35 : 단말 전원부
40 : 중앙관제서버 100 : 무선통신모듈
110 : 제1무선통신부 120 : 전원수신부
121 : 제1자기안테나 122 : 커패시터
130 : 정류부 140 : 스위치부
150 : 증폭부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광케이블 접속부를 수용하며 상기 광케이블의 광섬유 선번 데이터 및 주변 환경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는 광케이블 접속함체와, 상기 광케이블 접속함체와 무선통신하는 외부 단말기와, 상기 광케이블 접속함체를 원격 제어하는 중앙관제서버를 포함되고, 상기 광케이블 접속함체는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무선 전력 전송된 무선 전력에 의해 무선통신이 개시되는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상기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전원부의 전원을 비소모하는 대기모드와 상기 외부 단말기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구동모드 사이에서 작동하며,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무선 전력에 의해 상기 대기모드에서 상기 구동모드로 모드가 전환되는 광케이블 선번 관리 시스템의 무선통신모듈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상기 대기모드와 구동모드로 모드 전환되며 상기 외부 단말기와 무선통신하는 제1무선통신부;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선 전력을 수신받아 자기 유도 전류를 생성하는 전원수신부; 상기 전원수신부의 상기 자기 유도 전류를 직류 전류로 정류하는 정류부; 및 상기 정류부의 상기 직류 전류에 의해 작동하여 상기 제1무선통신부를 구동모드로 전환하여 작동시키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선번 관리 시스템의 무선통신모듈.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원수신부는,
    자기유도 전류를 생성하는 제1자기안테나; 및 상기 제1자기안테나로부터 생성된 상기 자기유도 전류가 축전되는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선번 관리 시스템의 무선통신모듈.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정류부의 상기 직류 전류를 증폭시키기 위한 증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선번 관리 시스템의 무선통신모듈.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말기는,
    전원수신부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전원송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송신부는 전원수신부의 제1자기안테나에 대응하여 전파를 송신하는 제2자기안테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선번 관리 시스템의 무선통신모듈.
  7. 삭제
  8. 삭제
KR1020110065902A 2011-07-04 2011-07-04 광케이블 선번 관리 시스템의 무선통신모듈 KR101295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5902A KR101295344B1 (ko) 2011-07-04 2011-07-04 광케이블 선번 관리 시스템의 무선통신모듈
PCT/KR2011/008728 WO2013005896A1 (ko) 2011-07-04 2011-11-15 광케이블 선번 관리 시스템의 무선통신모듈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5902A KR101295344B1 (ko) 2011-07-04 2011-07-04 광케이블 선번 관리 시스템의 무선통신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695A KR20130004695A (ko) 2013-01-14
KR101295344B1 true KR101295344B1 (ko) 2013-08-23

Family

ID=47437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5902A KR101295344B1 (ko) 2011-07-04 2011-07-04 광케이블 선번 관리 시스템의 무선통신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95344B1 (ko)
WO (1) WO20130058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660B1 (ko) * 2013-04-18 2013-08-29 주식회사 바이옵틱 원격전원제어가 가능한 무선전력 광링크
KR20220069603A (ko) 2020-11-20 2022-05-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 흡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858B1 (ko) * 2007-07-20 2007-12-13 주식회사 부림 광케이블용 접속함체 관리방법
JP2010504580A (ja) * 2006-09-22 2010-02-1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Rfid装置の拡張機能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5017A (ko) * 2002-07-08 2004-01-16 이길락 광케이블 접속함의 원격 점검시스템
JP4310306B2 (ja) * 2005-12-16 2009-08-05 中国電力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853189B1 (ko) * 2006-12-08 2008-08-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태그 수명 연장을 위한 저전력 무선 인식 태그 및 그 방법
KR101094474B1 (ko) * 2009-07-14 2011-12-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태그형 무선 근거리 단말기의 웨이크-업/슬립 자동 제어 방법과 이를 위한 무선 근거리 통신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04580A (ja) * 2006-09-22 2010-02-1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Rfid装置の拡張機能
KR100785858B1 (ko) * 2007-07-20 2007-12-13 주식회사 부림 광케이블용 접속함체 관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05896A1 (ko) 2013-01-10
KR20130004695A (ko) 2013-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12525B (zh) 一种多元信息采集与传输的电力通信一体化系统
KR101249519B1 (ko) 광케이블 선번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2771031B (zh) 便携无线终端、无线终端装置以及无线通信系统
CN102904484B (zh) 智能光缆交接箱及智能光缆远程管理方法
WO2017007163A1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동작 방법
CN101965599A (zh) 对设备与电源之间的开关进行致动的方法
CN104363179A (zh) 智能路由器、智能控制装置以及智能家居控制系统
CN105182774A (zh) 基于G.hn的智能家庭网关控制系统及方法
CN102611496B (zh) 一种可实现控制管理的光缆交接箱
KR101295344B1 (ko) 광케이블 선번 관리 시스템의 무선통신모듈
CN107481372B (zh) 双冗余智能储物装置、双冗余物联网储物系统及其实现方法
CN207706271U (zh) 提供电力的系统和摄像机系统
CN203788397U (zh) 一种led灯智能监控系统
JP2010288327A (ja)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の無線端末給電システムおよび無線端末給電方法
CN202615009U (zh) 智能光缆交接箱
EP3163794B1 (en) Power supply method, apparatus, and system
CN105933961A (zh) 节能控制方法及装置
EP1753217A2 (en) RF Extender co-located with a remote DSL system
CN211429438U (zh) 一种网关、应用设备和智能系统
CN108550252A (zh) 基于光纤通讯的输电线路覆冰监测系统
CN209248749U (zh) 采集器及采集系统
TW202243429A (zh) 無線光纖網路終端
KR101343644B1 (ko) 광케이블 접속함체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CN106842174B (zh) 一种枪支定位装置和智能电源系统
CN201234273Y (zh) 基于移动通信网络的智能无线监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