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5318B1 - 플레어가 장착된 탄두용 이탈피 - Google Patents

플레어가 장착된 탄두용 이탈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5318B1
KR101295318B1 KR1020130002454A KR20130002454A KR101295318B1 KR 101295318 B1 KR101295318 B1 KR 101295318B1 KR 1020130002454 A KR1020130002454 A KR 1020130002454A KR 20130002454 A KR20130002454 A KR 20130002454A KR 101295318 B1 KR101295318 B1 KR 101295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rhead
shell
flare
escape
inn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2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용하
안성호
노진한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30002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53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5/00Cartridge ammunition, e.g. separately-loaded propellant charges
    • F42B5/26Cartridge cases
    • F42B5/30Cartridge cases of plastics, i.e. the cartridge-case tube is of plastics
    • F42B5/307Cartridge cases of plastics, i.e. the cartridge-case tube is of plastics formed by assembling several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0/00Means for influencing, e.g. improving, the aerodynamic properties of projectiles or missiles; Arrangements on projectiles or missiles for stabilising, steering, range-reducing, range-increasing or fall-retarding
    • F42B10/32Range-reducing or range-increasing arrangements; Fall-retard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플레어가 장착된 탄두용 이탈피에 관한 것으로, 외경부가 포열의 내경부와 밀착되는 밀착면(12)을 이루고, 후면은 약실에 위치되며, 전면은 탄두(20)의 후부를 위치시켜 지지하는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둘레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탄두(20)의 외경부를 감싸며, 탄 발사 시 외측으로 전개되어 몸체부(10)로부터 탄두(20)를 분리시키는 날개부(40)로 구성되어, 직경이 작은 탄두(20)를 포열 내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전방으로의 진행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하고, 포열 내부에서 탄두(20)가 진행 하는 동안 이탈피(100)에 의해 포열의 내경부에 접촉하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마찰 저항을 줄임으로써, 초기 발사속도와 사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는 플레어가 장착된 탄두용 이탈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레어가 장착된 탄두용 이탈피{SABOT FOR WARHEAD HAVING FLARE}
본 발명은 활강포 시험시에 적용되는 탄두용 이탈피에 관한 것으로, 포열 내부에 장전 시 후부 약실의 추진가스를 축적시키기 위한 밀폐기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포 발사시 포열 내에서 탄두를 안정되게 안내하여 포구로부터 벗어나게 하며, 포구를 벗어나 비행하게 한 후에는 원활한 탄두의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플레어가 장착된 탄두용 이탈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탄의 발사 방식에 따라 강선포와, 활강포로 나눌 수 있으며, 최근 들어 발사된 탄의 관통력이 뛰어나고, 사용할 수 있는 탄의 종류에 제한이 적으며, 포열의 내구력 유지가 우수한 활강포의 적용이 점차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활강포는 발사 속도 증가에 의한 사거리 연장을 위해 탄두의 직경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으며, 탄두의 직경의 감소에 따라 발생되는 추진 에너지의 감소를 방지하기 위해, 탄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여 추진 에너지를 최대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며, 발사된 후에는 탄두로부터 분리되어 비행 시 공기의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탄두용 이탈피를 필요로 하게 된다.
즉, 상기한 탄두용 이탈피는 약실에서 발생되는 추진 에너지를 탄두에 전달할 수 있도록 포열의 내경부와 밀폐를 이루도록 하고, 포열 내부에서 직경이 작은 탄두가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지지하며, 탄두 후방의 약실을 밀폐하여 장약 연소로부터 생성되는 고압의 가스가 새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이러한 탄두용 이탈피는 탄두를 발사하기 위하여 발생되는 추진에너지를 최대한 전달하여야 하므로 이탈피는 중량이 가벼울수록 전체 시스템의 성능에 매우 유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탈피는 주로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비중이 다소 높은 문제점이 있으며, 이와 같이 이탈피의 비중이 높음에 따라, 탄두의 중요한 성능인 발사속도 및 목표물에 대한 관통력 등에 악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상기한 사항들을 전체적으로 고려하여, 탄두 이탈피를 이용한 활강포의 성능 향상을 위한 연구가 필요로 되고 있으며, 현재는 축소형 탄두를 이용한 활강포 시험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탄두용 이탈피의 일예로써, 플레어가 없는 탄두에 적용되는 이탈피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어가 없는 탄두에 적용되는 탄두용 이탈피는 포열의 내경부와 동일한 직경의 탄두(2) 후부에 포열 내경에 밀착이 이루어지도록 직경을 크게 형성한 밀폐밴드(1)를 체결하는 방법으로 이탈피가 설계되고, 탄두(2)가 포구를 떠나 비행 중 탄두(2)와 별도로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플레어가 장착된 탄두가 적용될 경우, 플레어 직경이 탄두직경보다 크게 되므로 상기한 종래의 밀폐밴드 방식의 이탈피를 적용할 수가 없다.
따라서, 플레어가 장착된 탄두에 적용이 가능하면서, 활강포의 전체적인 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이탈피의 개발이 필요로 되고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본 발명은 플레어가 장착된 탄두에 적용되어, 탄두를 발사시키는 추진가스를 축적시키기 위한 밀폐 기능이 우수하고, 포열 내의 탄두의 진행을 안정되게 유지 및 안내하며, 탄두가 포구를 이탈한 후 별도의 분리장치 없이 전개되어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플레어가 장착된 탄두용 이탈피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탄두용 이탈피에 따르면, 외경부가 포열의 내경부와 밀착되는 밀착면을 이루고, 후부면은 약실에 위치되며, 전부면은 탄두의 후부를 위치시켜 지지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둘레부에서 원형을 이루면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탄두의 외경부를 감싸며, 탄 발사 시 공기저항에 의해 외측으로 전개되어 몸체부로부터 탄두가 분리되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어가 장착된 탄두용 이탈피가 제공된다.
상기 몸체부의 후방에는 후부면을 이루어 포열 후방의 약실을 밀폐시키도록 하는 후면 보호판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날개부는 다수 이격하여 등분된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날개부는 전방의 끝부에 위치되는 외경부가 상기 포열의 내경부와 밀착되는 밀착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날개부는 상기 밀착면과 상기 몸체부 사이의 중앙부가 상기 포열의 내경부와 이격되도록 상기 밀착면 보다 작은 직경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부의 밀착면에는 약실과 포열의 연결부에 형성되는 단부와 밀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테이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부의 전방에 위치되어 탄두의 후부를 지지하는 전면 보호판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면 보호판의 전방을 향하는 면에는 다수의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면 보호판은 금속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부와 상기 날개부는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부의 외경부와 포열의 내경부의 공차는 0.5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날개부의 밀착면의 외경부와 포열의 내경부의 공차는 0.2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부와 상기 날개부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소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날개부는 전방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탄두의 중앙축을 향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부와 날개부가 접하는 경계부는 직경이 감소하여 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날개부의 등분된 이격 각도는 60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날개부의 전후 길이는 탄두 전체길이의 1/2 보다 길고, 탄두 전체길이보다는 짧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날개부는 내측이 상기 탄두의 외경부를 밀착하면서 전방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날개부의 전방의 끝부는 내측의 탄두를 향하는 면을 가지도록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면 보호판은 금속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면 보호판은 상기 몸체부의 후부에 볼트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외경부의 지름을 포열의 내경부보다 크게 형성하여 상기 포열의 내경부에 밀착되는 밀착면을 이루고, 상기 밀착면에는 포신 내부의 포열과 약실 사이에 형성되는 단부와 밀착을 이루는 테이퍼가 형성되며, 전방으로 탄두의 후부를 위치시켜 지지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후부면을 이루어 포열 후방의 약실을 밀폐시키도록 하는 후면 보호판과, 상기 몸체부의 둘레부의 전방으로 다수 이격하여 원형으로 등분된 형태로 연장되어 탄두의 외경부를 감싸 지지하고, 전방의 끝부에 위치하는 둘레부의 외경부의 지름이 상기 포열의 내경부보다 작게 형성하여, 상기 포열의 내경부에 밀착되는 밀착면을 이루며, 탄 발사 시 외력에 의해 외측으로 전개되어 상기 몸체부로부터 탄두를 분리시키는 날개부 및 상기 몸체부의 전방에 위치되어 탄두의 후부를 지지하는 전면 보호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어가 장착된 탄두용 이탈피가 제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탄두용 이탈피에 따르면, 플레어가 장착된 탄두에 적용하여, 직경이 작은 탄두를 포열 내에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전방으로의 진행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하고, 포열 내부에서 탄두가 진행 하는 동안 이탈피에 의해 포열의 내경부에 접촉하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마찰 저항을 줄임으로써, 초기 발사속도와 사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탈피의 분리시에 탄두의 추진력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하고, 이탈피의 경량화를 달성함으로써, 포 발사 시스템 전체 성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탄두가 발사되어 포구를 이탈하여 비행 시 별도의 장치 없이 쉽게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간단한 구조를 통한 제조상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플레어가 없는 탄두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이탈피 구조를 나타낸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탄두용 이탈피가 탄두에 결합된 형상을 나타낸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탄두용 이탈피가 결합된 탄두가 포열 내부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탄두용 이탈피의 측면과, 정면의 형상을 나타낸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탄두용 이탈피의 입체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탄두용 이탈피의 작동을 도식화한 작동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탄두용 이탈피의 작동을 촬영한 사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탄두용 이탈피가 탄두에 결합된 형상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탄두용 이탈피(100)는 포열의 내경부와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후부면을 이루는 후면 보호판(30)과, 상기 몸체부(10)의 둘레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지는 날개부(40)가 포함된다.
상기 몸체부(10)는 포열의 내경부와 밀착을 이루면서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원형의 둘레부에 밀착면(12)을 형성하고, 상기 밀착면(12)에 수직하는 길이방향의 전방으로 탄두(20)를 위치시켜, 상기 탄두(20)의 후부를 직접 접촉하여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10)의 재질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소재로 구성하여 고인성, 경량화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상기 후면 보호판(30)은 상기 몸체부(10)의 후부에 차단면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이탈피(100)를 포함한 발사체의 후방에 형성되는 약실과 밀폐구조를 이루도록 한다.
상기 후면 보호판(30)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 소재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10)의 후부에 볼트(32)를 삽입하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날개부(40)는 상기 몸체부(10)의 둘레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탄두(20)의 둘레면을 밀착하여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며, 이를 통해 상기 몸체부(10)와 함께 탄두(20)를 지지한다.
이때, 상기 날개부(40)는 상기 몸체부(10)의 둘레부에서 원형을 이루도록 다수 이격된 외팔보의 형상이 전방으로 각각 연장된 형태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6개의 외팔보 구조를 형성하여, 서로 인접하는 날개축이 6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날개부(40)의 크기는 내측에 삽입되는 탄두(20)의 전체 길이보다 짧게 형성하여 내측에 삽입된 탄두(20)의 앞 부분이 날개부(40)의 전단으로부터 돌출 되도록 하고, 탄두(20)의 전체 길이의 1/2 보다는 길게 형성하여, 탄두(20)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날개부(40)의 재질은 상기 몸체부(10)와 동일한 고밀도 폴리에틸렌 소재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10)와 일체로 구성하여, 함께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탄두용 이탈피(100)가 결합된 탄두(20)가 포열 내부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포열 내부에 본 발명의 탄피용 이탈피(100)를 장착하여 위치시키면, 상기한 후면 보호판(30)과, 몸체부(10)의 둘레부에 형성된 밀착면(12)이 함께 약실의 밀폐구조를 형성하여, 약실 내에서 발생하는 연소 가스의 압력이 탄두(20)의 추진에너지로 축적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몸체부(10)의 밀착면(12)에는 상기 날개부(40)와 인접하는 방향으로 외경이 감소되는 형태의 테이퍼(14)가 더 포함된다.
상기 테이퍼(14)는 포열 내부에 이탈피(100)를 장착시 상기 포열 내부에서 상기 이탈피(100)의 후부에 형성되는 약실과, 전방에 형성되는 포열의 연결부에 형성되는 단부(62)와 면끼리 서로 접촉하여, 상기 약실의 밀폐를 돕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의 외경부 지름은 포열의 내경부 보다 더 크게 (+) 공차를 가지도록 구성하여, 상기 몸체부(10)의 밀착면(12)과 포열의 내경부와의 밀폐력을 높임으로써, 약실의 추진 압력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포열의 내경부 보다 0.5 mm 만큼 큰 공차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날개부(40)는 전방의 끝부에 위치되는 둘레측에 상기 포열의 내경부와 밀착되는 밀착면(42)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면(42)의 후단에서 상기 몸체부(10)의 전단에 이르는 중앙부는 상기 포열의 내경부와 이격되도록 상기 밀착면(42)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날개부(40)의 밀착면(42)이 형성된 전방의 끝부는 외측과 내측이 상기 포열의 내경부와 탄두에 각각 밀착되어, 포열의 내부에 탄두(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위치시키는 동시에, 상기 날개부(40) 중앙부가 포열의 내경부와 이격됨으로써, 탄두(20)를 장착한 이탈피(100)가 포열의 내경부와 접촉하는 면적을 줄여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날개부(40)의 밀착면(42)이 이루는 외경부의 직경은 포열의 내경부의 직경보다 근소하게 작게 형성하여, 포열 내부에서 탄두(20)가 진행될시 마찰 저항을 줄이고, 포열 내에 이탈피(100)를 초기 장착시 끼임이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포열의 내경부 보다 0.2mm 만큼 작은 공차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날개부(40)가 내측의 탄두(20) 외경부를 밀착하면서 연장된 전방의 끝부는 각각 내측의 탄두(20)를 향하는 면을 가지도록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44)을 형성하여, 탄이 발사되어 비행후 날개부(40)가 공기저항에 의해 외측으로 잘 휘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두용 이탈피의 측면과, 정면의 형상을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이탈피의 입체 형상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탄두용 이탈피(100)에 따르면, 상기한 몸체부(10)의 전면에 상기 날개부(40)의 내측에 위치되어 탄두(20)의 후부를 직접 지지하여 받치는 전면 보호판(50)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전면 보호판(5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몸체부(10)의 후부에 형성된 후면 보호판(30)과 함께 약실에서 축적된 고압충격파에 의해 연성 재질의 이탈피(100)가 손상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전면 보호판(50)의 전면에는 전방에 위치되는 탄두(20)로부터 받는 공기역학적 반력을 축적시키는 다수의 홈(5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날개부(40)는 전방으로 연장됨에 따라 중앙의 축을 향하는 내측으로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는 형태로 제조하여, 상기 날개부(40)의 내측으로 탄두(20)를 끼워 삽입할 시 탄두(20)에 가하는 밀착력을 증가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탄두용 이탈피의 작동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탄두용 이탈피의 작동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으로, 앞선 설명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부재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포열 내부에 탄두(20)가 장착된 이탈피(100)가 장전되면 이탈피(100)의 후방에는 몸체부(10) 후면을 이루는 후면 보호판(30)과, 상기 몸체부(10)의 둘레부에 형성된 밀착면(12) 및 상기 밀착면(12)에 형성된 테이퍼(14)와, 포열 내경부에 형성된 단부(62)의 밀착에 의해 약실의 밀폐가 이루어진다.
상기 약실에서 장약이 연소되어 추진압력이 발생되면 ① ~ ② 에서와 같이 이탈피(100)의 몸체부(10)의 밀착면(12)과 날개부(40)의 밀착면(42)이 포열의 내경부에 밀착된 상태로 탄두(20)가 포구를 향해 이동하며, 이때, 이탈피(100)의 날개부(40)의 중앙이 상기 포열의 내경부와 이격됨으로써, 포열의 내경부와의 접촉에 의한 마찰 저항을 줄여 발사속도를 높여주는 작용을 하며, 포열 내경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는 탄두(20)는 상기 날개부(40)의 전방의 밀착면(42)과 그 내측에 의해 포열 내부의 중앙에 지지되어 포구까지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안내된다.
도 7은 상기한 탄두용 이탈피의 작동에 의해 탄두가 발사되는 모습을 실제 촬영한 것으로, 탄두(20)가 포구를 벗어난 후에는 도 6의 ③ 과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탈피(100)의 날개부(40)에 공기저항에 의한 공력이 침투하여 외팔보 형상의 각 날개부(40)가 탄두(20)의 외측 방향으로 전개되는 동시에, 탄두(20)가 이탈피(100)의 전면 또는 전면 보호판(50)으로부터 이격되기 시작하고, 그 후 도 6의 ④ 와 ⑤에 이르면서 날개부(40)의 전개 각이 90도를 넘어 완전히 전개되고, 탄두(20)와 이탈피(100)의 이격거리가 더욱 멀어져 완전히 분리된 상태로 표적에 탄착하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분리장치가 없이 원활하게 이탈피(100)의 분리가 가능하며, 특히, 이탈피(100)가 경량의 고밀도 폴리에틸렌 소재로 형성되어 탄두의 추진력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여, 탄두의 사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0: 몸체부
12: 밀착면
14: 테이퍼
20: 탄두
30: 후면 보호판
40: 날개부
42: 밀착면
50: 전면 보호판
52: 홈

Claims (22)

  1. 외경부의 지름을 포열의 내경부보다 크게 형성하여 상기 포열의 내경부에 억지끼움으로 밀착되는 밀착면을 이루고, 상기 밀착면에는 포신 내부의 포열과 약실 사이에 형성되는 단부와 밀착을 이루는 테이퍼가 형성되며, 전방으로 탄두의 후부를 위치시켜 지지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후부면을 이루어 포열 후방의 약실을 밀폐시키도록 하는 후면 보호판과;
    상기 몸체부의 둘레부의 전방으로 다수 이격하여 원형으로 등분된 형태로 연장되어 탄두의 외경부를 감싸 지지하고, 전방의 끝부에 위치하는 둘레부의 외경부가 상기 포열의 내경부에 밀착되는 밀착면을 이루어, 탄 발사 시 외력에 의해 외측으로 전개되어 상기 몸체부로부터 탄두를 분리시키는 날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어가 장착된 탄두용 이탈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밀착면과 상기 몸체부 사이의 중앙부가 상기 포열의 내경부와 이격되도록 상기 밀착면 보다 작은 직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어가 장착된 탄두용 이탈피.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전방에 위치되어 탄두의 후부를 지지하는 전면 보호판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어가 장착된 탄두용 이탈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보호판의 전방을 향하는 면에는 다수의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어가 장착된 탄두용 이탈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보호판은 금속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어가 장착된 탄두용 이탈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상기 날개부는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어가 장착된 탄두용 이탈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외경부와 포열의 내경부의 공차는 0.5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어가 장착된 탄두용 이탈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의 밀착면의 외경부와 포열의 내경부의 공차는 0.2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어가 장착된 탄두용 이탈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상기 날개부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소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어가 장착된 탄두용 이탈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전방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탄두의 중앙축을 향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어가 장착된 탄두용 이탈피.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날개부가 접하는 경계부는 직경이 감소하여 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어가 장착된 탄두용 이탈피.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의 등분된 이격 각도는 60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어가 장착된 탄두용 이탈피.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의 전후 길이는 탄두 전체길이의 1/2 보다 길고, 탄두 전체길이보다는 짧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어가 장착된 탄두용 이탈피.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내측이 상기 탄두의 외경부를 밀착하면서 전방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어가 장착된 탄두용 이탈피.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의 전방의 끝부는 내측의 탄두를 향하는 면을 가지도록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어가 장착된 탄두용 이탈피.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보호판은 금속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어가 장착된 탄두용 이탈피.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보호판은 상기 몸체부의 후부에 볼트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어가 장착된 탄두용 이탈피.
  22. 외경부의 지름을 포열의 내경부보다 크게 형성하여 상기 포열의 내경부에 억지끼움으로 밀착되는 밀착면을 이루고, 상기 밀착면에는 포신 내부의 포열과 약실 사이에 형성되는 단부와 밀착을 이루는 테이퍼가 형성되며, 전방으로 탄두의 후부를 위치시켜 지지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후부면을 이루어 포열 후방의 약실을 밀폐시키도록 하는 후면 보호판;
    상기 몸체부의 둘레부의 전방으로 다수 이격하여 원형으로 등분된 형태로 연장되어 탄두의 외경부를 감싸 지지하고, 전방의 끝부에 위치하는 둘레부의 외경부의 지름이 상기 포열의 내경부보다 작게 형성하여, 상기 포열의 내경부에 밀착되는 밀착면을 이루며, 상기 밀착면과 상기 몸체부 사이의 중앙부가 상기 포열의 내경부와 이격되도록 상기 밀착면 보다 작은 직경을 이루어 탄 발사 시 외력에 의해 외측으로 전개되어 상기 몸체부로부터 탄두를 분리시키는 날개부 및
    상기 몸체부의 전방에 위치되어 탄두의 후부를 지지하는 전면 보호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어가 장착된 탄두용 이탈피.
KR1020130002454A 2013-01-09 2013-01-09 플레어가 장착된 탄두용 이탈피 KR101295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454A KR101295318B1 (ko) 2013-01-09 2013-01-09 플레어가 장착된 탄두용 이탈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454A KR101295318B1 (ko) 2013-01-09 2013-01-09 플레어가 장착된 탄두용 이탈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5318B1 true KR101295318B1 (ko) 2013-08-09

Family

ID=49220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2454A KR101295318B1 (ko) 2013-01-09 2013-01-09 플레어가 장착된 탄두용 이탈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531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3001300A1 (en) * 1981-10-06 1983-04-14 Michael John Robins A pellet for an air, gas or spring gun
US20110146525A1 (en) * 2009-12-21 2011-06-23 Nexter Munitions Launching devices enabling sub-caliber artillery projectil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3001300A1 (en) * 1981-10-06 1983-04-14 Michael John Robins A pellet for an air, gas or spring gun
US20110146525A1 (en) * 2009-12-21 2011-06-23 Nexter Munitions Launching devices enabling sub-caliber artillery projectil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99649B2 (ja) 発射体本体を伴う小火器用又は軽火器用弾丸
US7568433B1 (en) Aerodynamically stable finless projectile
US4408538A (en) Launching mechanism for subcalibre projectile
KR100843573B1 (ko) 탄약
KR102548318B1 (ko) 단일 밀봉형 발사체
US20190368836A1 (en) Weapon system consisting of multi-segment barrel and fluid-driven spinning projectile, and method
CN112361893B (zh) 一种尾翼稳定式复合型防暴动能弹
CN111765816B (zh) 配用滑膛武器的复合型防暴动能弹
SK280419B6 (sk) Munícia do zbraní malého, stredného a veľkého kali
CN213932207U (zh) 一种微声狙击枪结构
CN213208792U (zh) 一种滑膛炮发射战斗部的试验装置
KR101295318B1 (ko) 플레어가 장착된 탄두용 이탈피
JPH0215797B2 (ko)
CN113865439B (zh) 一种气体爆轰驱动超高速发射装置用抗高过载弹丸
KR101371390B1 (ko) 밀폐기구를 포함하는 날개안정철갑탄의 탄두조립체
RU2583108C1 (ru) Способ стрельбы подкалиберным активно-реактивным снарядом и подкалиберный активно-реактивный снаряд
US20070234925A1 (en) Sabot allowing .17-caliber projectile use in a .22-caliber weapon
CN212721126U (zh) 一种长筒尾翼无座力炮弹
KR101339793B1 (ko) 분산도가 향상된 날개안정철갑탄의 탄두조립체
CN114087917A (zh) 一种柱形破片模拟弹用靶托及其使用方法
CN219531835U (zh) 一种采用环柱形弹托的高精度球形独头弹
RU2611781C2 (ru) Пуля для стрельбы в воздушной среде
RU2458317C1 (ru) Пуля "бабочка подкалиберная" и патрон для гладкоствольного оружия
KR20190136686A (ko) 탄환
RU210264U1 (ru) Подкалиберная пул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