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5256B1 - 냉장고용 바스켓의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바스켓의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5256B1
KR101295256B1 KR20060105288A KR20060105288A KR101295256B1 KR 101295256 B1 KR101295256 B1 KR 101295256B1 KR 20060105288 A KR20060105288 A KR 20060105288A KR 20060105288 A KR20060105288 A KR 20060105288A KR 101295256 B1 KR101295256 B1 KR 101295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pinion
hook
hole
flow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105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7957A (ko
Inventor
박진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60105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5256B1/ko
Priority to CN2007800391766A priority patent/CN101529179B/zh
Priority to PCT/KR2007/005218 priority patent/WO2008051004A1/en
Priority to US12/442,675 priority patent/US8157339B2/en
Publication of KR20080037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7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25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용 바스켓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저장공간(32)에 입출가능하게 설치되는 바스켓(50)의 양측에 구비되는 걸이와이어(54)와, 상기 걸이와이어(54)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양단에는 상기 저장공간(32)의 양측면에 구비된 랙(36)에 맞물리는 피니언(60)이 각각 구비되는 회전축(58)과, 상기 회전축(58)에 삽입되어 상기 피니언(60)과 회전축(58)이 회전축(58)의 길이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캡(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60)에는 직교되게 돌출되는 연결부(64)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64)의 외주면은, 상기 유동방지캡(70)에 형성되고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고정후크(72)의 내면에 밀착되면서 피니언(60)과 유동방지캡(70)을 결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냉장고에 서랍식으로 입출되는 바스켓의 유동이 방지되고, 연결부재에 걸어지는 고정부의 코팅된 부분이 벗겨지는 것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바스켓을 보다 부드럽게 입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냉장고, 바스켓, 유동방지, 캡

Description

냉장고용 바스켓의 장착구조{A mounting structure for refrigerator basket}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연결부재가 이동레일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용 바스켓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바스켓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바스켓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부분측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유동방지캡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피니언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본체 32 : 저장공간
34 : 지지부 36 : 랙
38 : 고정레일 40 : 가이드레일
42 : 이동레일 44 : 연결부재
50 : 바스켓 54 : 걸이와이어
56 : 지지와이어 58 : 회전축
60 : 피니언 64 : 연결부
66 : 결합홈 70 : 유동방지캡
71 : 관통공 72 : 고정후크
72' : 걸림돌기 74 : 고정리브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장고의 저장공간에 서랍식으로 설치되는 냉장고용 바스켓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의 도어는 일반적으로 냉장고 본체의 측면에 힌지어셈블리로 연결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본체의 전후방으로 회동하게 된다. 하지만, 서랍식 냉장고의 경우에는 도어가 본체의 전후방으로 입출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냉장고 본체(1)의 내부에는 소정의 저장공간(3)이 구비된다. 상기 저장공간(3)의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바스켓(23)이 서랍식으로 입출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공간(3)은 도어(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저장공간(3)의 양측면에는 지지리브(5)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리브(5)는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레일(9)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리브(5)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구되는 'ㄷ'자 형상의 횡단면을 가진다. 상기 지지리브(5)는 상기 저장공간(3)의 양측면에 서로 대응되는 높이에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지지리브(5)의 하부 상면에는 랙(7)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랙(7)은 상기 지지리브(5)의 하부에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되고, 아래에서 설명될 피니언(17)과 맞물리게 된다.
상기 지지리브(5)의 내측에는 고정레일(9)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고정레일(9)은 아래에서 설명될 가이드레일(11)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고정레일(9)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구되는 'ㄷ'자 형상의 횡단면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레일(9)의 내측에는 가이드레일(11)이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각각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레일(11)은 아래에서 설명될 이동레일(13)의 이동을 안내하게 되고, 아래에서 설명될 바스켓(23)이 전방으로 인출되는 범위를 확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레일(9)의 내측에는 이동레일(13)이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이동레일(13)은 실질적으로 바스켓(23)을 상기 저장공간(11)의 내외부로 입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동레일(13)의 후단부에는 회전축(15)의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회전축(15)은 상기 이동레일(13)을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15)의 양단에 인접하는 외주면에는 한 쌍의 피니언(17)이 구비된다. 상기 피니언(17)은 상기 랙(7)과 맞물려 회전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이동레일(13)이 전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랙(7)을 따라서 전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이동레일(13)이 동시에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이동레일(13)의 내측에는 몰드물로 형성된 연결부재(19)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재(19)는 스크류(S)에 의해 상기 이동레일(13)에 장착된다. 상기 연결부재(19)의 상면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19)의 상면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바스켓(23)의 고정부(25)가 삽입되는 한 쌍의 걸이공(21)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19)에는 바스켓(23)이 장착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바스켓(23)은 연결부재(19)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재(19)와 함께 전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바스켓(23)은 와이어를 연결하여 구성되고, 양측에는 상기 걸이공(21)에 삽입되는 고정부(25)가 상기 바스켓(23)의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25)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ㄴ'자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25) 중에 상대적으로 전방에 위치한 고정부(25)의 선단은 전방을 향하도록 소정 각도로 벤딩되어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후방에 위치한 고정부(25)의 선단은 후방을 향하도록 소정 각도로 벤딩되어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바스켓(23)은 상기 연결부재(21)에 장착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연결부재(21)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연결부재(21)에 대하여 유동할 수 있 다. 이는, 상기 고정부(25)는 걸이공(21)에 삽입되어 단단하게 고정되는 것이 아니고, 단지 상기 바스켓(23)을 연결부재(21)에 걸어놓는 역할만 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바스켓(23)의 이동과정에서 유동이 발생하다 보면 상기 고정부(25)가 걸이공(21)과의 마찰로 인해 와이어의 피복부분이 벗겨지는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바스켓이 저장공간의 내외부로 입출되면서 발생하는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용 바스켓의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스켓의 유동에 의해 고정부의 피복부분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용 바스켓의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저장공간에 입출가능하게 설치되는 바스켓의 양측에 구비되는 걸이와이어와; 상기 걸이와이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양단에는 상기 저장공간의 양측면에 구비된 랙에 맞물리는 피니언이 각각 구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삽입되어 상기 피니언과 회전축이 상기 걸이와이어에 대하여 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캡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걸이와이어의 일부를 벤딩하여 형성된 피니언공을 관통한다.
상기 피니언에는 상기 피니언공에 대응되는 지름으로 직교되게 돌출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외주면 일부가 단차짐으로써 형성되는 결합홈이 구비되고; 상기 유동방지캡에는 그 중앙 일부가 개구되어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에 인접하는 유동방지캡의 일면에 형성되어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고정후크, 상기 고정후크의 선단에서 구심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 그리고 상기 관통공의 내부로 연장되는 고정리브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의 외주면이 상기 고정후크의 내면에 밀착되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고 상기 연결부의 선단이 상기 고정리브의 일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피니언과 유동방지캡이 결합된다.
상기 피니언에는 상기 피니언공에 대응되는 지름으로 직교되게 돌출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외주면 일부가 단차짐으로써 형성되는 결합홈이 구비되고; 상기 유동방지캡에는 그 중앙 일부가 개구되어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에 인접하는 유동방지캡의 일면에 형성되어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고정후크, 그리고 상기 고정후크의 선단에서 구심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의 외주면이 상기 고정후크의 내면에 밀착되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피니언과 유동방지캡이 결합된다.
상기 피니언에는 상기 피니언공에 대응되는 지름으로 직교되게 돌출되는 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유동방지캡에는 그 중앙 일부가 개구되어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에 인접하는 유동방지캡의 일면에 형성되어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고정후크, 그리고 상기 관통공의 내부로 연장되는 고정리브가 구비 되며; 상기 연결부의 외주면이 상기 고정후크의 내면에 밀착되고, 상기 연결부의 선단이 상기 고정리브의 일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피니언과 유동방지캡이 결합된다.
상기 고정후크와 고정리브는 상기 관통공을 중심으로 소정의 중심각을 가지는 부채꼴의 원호만큼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걸이와이어는 상기 바스켓의 양측에 각각 한 쌍씩 구비되고, 상기 걸이와이어 중에 상대적으로 전방에 위치한 걸이와이어는 그 선단이 바스켓의 전방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걸이와이어 중에 상대적으로 후방에 위치한 걸이와이어는 그 선단이 바스켓의 후방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냉장고에 서랍식으로 입출되는 바스켓의 유동이 방지되고, 연결부재에 걸어지는 고정부의 코팅된 부분이 벗겨지는 것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바스켓을 보다 부드럽게 입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바스켓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냉장고의 외관을 형성하는 냉장고 본체(30)에는 소정의 높이와 폭을 가진 저장공간(32)이 구비된다. 상기 저장공간(32)의 양측벽에는 한 쌍의 지지부(34)가 마주보게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34)는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레일(38)이 고정되는 부분으로서, 횡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레일(38)의 저면을 지지하는 상기 지지부(34)의 일면에는 고내의 내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랙(36)이 구비된다. 상기 랙(36)은 아래에서 설명될 피니언(60)과 맞물리는 부분이다.
상기 지지부(34)의 내측에는 고정레일(38)이 각각 고정된다. 상기 고정레일(38)은 그 외면이 상기 지지부(34)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고정레일(38)은 상기 본체(30)의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레일(38)의 내측에는 가이드레일(40)이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각각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레일(40)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구되는 'ㄷ'자 형상의 횡단면을 가지고, 상기 본체(30)의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레일(40)의 내측에는 이동레일(42)이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각각 설치된다. 상기 이동레일(42)은 상기 가이드레일(40)이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가이드레일(40)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레일(42)이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거리가 실질적으로 확장된다.
상기 이동레일(42)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각각 연결부재(44)가 설치된다. 상기 연결부재(44)는 아래에서 설명될 바스켓(50)이 걸어지는 부분으로서, 바스켓(50)이 걸어진 상태에서 상기 저장공간(32)의 내외부로 입출되는 것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재(44)는 일반적으로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44)의 상면에는 바스켓어셈블리(50)와의 결합을 위한 걸이공(46)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바스켓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와 부분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유동방지캡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피니언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냉장고의 저장공간의 내외부로 입출가능하게 설치되는 바스켓(50)은 다수개의 와이어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고 양단부를 벤딩한 것을 서로 직교하게 결합시킨 형상이다. 상기 바스켓(50)에는 다양한 음식물, 병제품 등이 수납된다.
그리고, 상기 바스켓(50)의 양측에는 바스켓(50)을 연결부재(44)에 걸기 위한 걸이와이어(54)가 구비된다. 상기 걸이와이어(54)는 바스켓(50)의 양측에 각각 한 쌍씩 구비되고, 상기 바스켓(50)의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와이어(54) 중에 상대적으로 전방에 위치한 걸이와이어(54)는 그 선단이 바스켓(50)의 전방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후방에 위치한 걸이와이어(54)는 그 선단이 후방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본 도면에서 상기 바스켓(50)의 양측의 높이는 다른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바스켓(50)의 양측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바스켓(50)의 양측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회전축(58)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와이어(56)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와이어(56) 또한 바스켓(50)과 마찬가지로 와이어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와이어(56)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ㄷ'자 형상 을 가지도록 와이어를 벤딩하여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와이어(56)를 벤딩하면 상기 바스켓(50)을 구성하는 와이어와 지지와이어(56) 사이에 피니언공(57)(도 6 참조)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와이어(56)에는 회전축(58)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58)은 상기 피니언공(57)을 관통하게 된다. 상기 회전축(58)은 정사각형의 종단면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58)에는 한 쌍의 피니언(60)이 구비된다. 상기 피니언(60)은 상기 회전축(58)의 양단에 인접하는 외주면에 구비된다.
상기 피니언(60)의 외주면에는 상기 랙(36)과 맞물리는 기어부(6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60)의 일면에는 상기 회전축(58)의 일단이 결합되는 연결부(64)가 직교되게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64)는 상기 회전축(58)의 일단이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피니언공(57)에 대응되는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64)는 실질적으로 상기 피니언공(57)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연결부(6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유동방지캡(70)의 고정후크(72)가 탄성 변형되어 삽입되는 결합홈(66)(도 8 참조)이 원주면을 둘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60)에는 상기 회전축(56)과 피니언(60)이 지지와이어(50)에 장착된 상태에서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캡(70)이 결합된다. 상기 유동방지캡(70)은, 상기 지지와이어(56)를 중심으로 상기 피니언(60)의 반대편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상기 연결부(64)에 결합되어 회전축(56)과 피니언(60)이 상기 회전축(56)의 길이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동방지캡(70)는 상기 피니언공(57)보다 상대적으로 큰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유동방지캡(70)의 중앙 일부가 개구되어 관통공(7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71)에 인접하는 유동방지캡(70)의 일면에는 소정의 탄성을 가진 다수개의 고정후크(72)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후크(72)는 상기 관통공(71)을 중심으로 소정의 중심각을 가지는 부채꼴의 원호만큼 서로 이격되도록 관통공(71)을 둘러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후크(72)의 선단에는 상기 결합홈(66)에 삽입되는 걸림돌기(72')가 구심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71)의 내주연에는 다수개의 고정리브(74)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리브(74)는 상기 관통공(71)을 중심으로 소정의 중심각을 가지는 부채꼴의 원호만큼 서로 이격되도록 관통공(71)의 내부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고정리브(74)는 상기 고정후크(72)와 교호되게 구비된다. 상기 고정리브(74)는 상기 연결부(64)의 선단이 밀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유동방지캡(70)이 연결부(64)에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바스켓의 장착구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회전축(58)을 바스켓(50)에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상기 피니언공(57)의 중심의 연장선 상에 상기 유동방지캡(70)의 회전중심이 놓이도록 한 쌍의 유동방지캡(70)을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유동방지캡(70)은 상기 고정후크(72)의 선단이 상기 바스켓(50)의 측면을 향하도록 위치하여야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58)을 피니언공(57), 유동방지캡(70), 유동방지캡(70) 및 피니언공(57)으로 차례로 관통시킨다.
그 다음에, 상기 회전축(58)의 일단에 상기 피니언(60)을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유동방지캡(70)을 상기 바스켓(50)의 외측으로 이동시켜 피니언(60)의 연결부(64)에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유동방지캡(70)이 피니언(60)의 연결부(64)에 결합되는 과정은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고정후크(72)의 선단이 상기 연결부(64)의 선단과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유동방지캡(70)을 연결부(64)에 삽입하면, 상기 고정후크(72)는 상기 유동방지캡(70)의 원심방향으로 탄성 변형을 하게 된다. 상기 고정후크(72)가 탄성 변형된 상태에서 상기 유동방지캡(70)을 계속하여 삽입하면, 상기 고정후크(72)의 걸림돌기(72')가 상기 결합홈(66)에 삽입된다. 그러면, 상기 고정후크(72)가 구심방향으로 복원되면서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게 되고, 상기 유동방지캡(70)이 연결부(64)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축(58)의 일단부를 고정시킨 후에, 상기 회전축(58) 타단부에도 상술한 과정을 동일한 단계로 상기 피니언(60) 및 유동방지캡(70)을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바스켓(50)을 상기 연결부재(44)에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작업자는 상기 걸이와이어(54)를 상기 걸이공(46)에 걸어준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상기 피니언(60)이 상기 랙(36)에 맞물릴 수 있도록 바스켓(50)을 후방으로 밀어주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바스켓(50)은 상기 회전축(58) 및 피니언(60)과 일체로 움직이게 되므로 바스켓(50)의 이동시에 발생할 수 있는 유동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바스켓(50)의 유동이 방지되므로 상기 걸이와이어(54)와 걸이공(46)의 마찰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와이어로 구성된 걸이와이어(54)의 피복부분이 벗겨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방지캡(70)을 피니언(60)에 결합하도록 하여 상기 바스켓(50)의 입출시에 회전축(58)이 그 길이방향 즉, 도 6에서 도면의 좌우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회전축(58)이 바스켓(50)의 입출시에 한 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어느 하나의 기어부(62)에 형성된 기어면이 상기 랙(36)에 완전하게 맞물리지 못하는 문제가 있으나, 상기 유동방지캡(70)이 삽입됨으로써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바스켓의 장착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와이어로 구성된 바스켓에 바스켓의 입출을 안내하는 회전축 및 피니언을 설치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피니언은 랙을 따라 안내되도록 설치된다. 이로 인해, 종래의 바스켓이 걸이와이어에 의해서만 연결부재에 고정된 것과는 달리 바스켓이 걸이와이어 및 피니언에 의해 두 군데에서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바스켓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저장공간의 내외부로 입출되므로 바스켓의 입출시에 발생하는 유동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바스켓의 유동이 방지되므로, 와이어로 구성된 걸이와이어가 걸이공과 마찰하면서 발생하는 피복부분의 벗겨짐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회전축에 유동방지캡을 삽입하여 회전축이 일정한 구간 내에서만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바스켓이 입출되면서 회전축이 좌우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사용자는 보다 부드럽게 바스켓을 입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냉장고의 저장공간에 입출가능하게 설치되는 바스켓의 양측에 구비되는 걸이와이어와;
    상기 걸이와이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양단에는 상기 저장공간의 양측면에 구비된 랙에 맞물리는 피니언이 각각 구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삽입되어 상기 피니언과 회전축이 상기 걸이와이어에 대하여 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캡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바스켓의 장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걸이와이어의 일부를 벤딩하여 형성된 피니언공을 관통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바스켓의 장착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에는 상기 피니언공에 대응되는 지름으로 직교되게 돌출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외주면 일부가 단차짐으로써 형성되는 결합홈이 구비되고;
    상기 유동방지캡에는 그 중앙 일부가 개구되어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에 인접하는 유동방지캡의 일면에 형성되어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고정후크, 상기 고정후크의 선단에서 구심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 그리고 상기 관통공의 내부로 연장되는 고정리브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의 외주면이 상기 고정후크의 내면에 밀착되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고 상기 연결부의 선단이 상기 고정리브의 일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피니언과 유동방지캡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바스켓의 장착구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에는 상기 피니언공에 대응되는 지름으로 직교되게 돌출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외주면 일부가 단차짐으로써 형성되는 결합홈이 구비되고;
    상기 유동방지캡에는 그 중앙 일부가 개구되어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에 인접하는 유동방지캡의 일면에 형성되어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고정후크, 그리고 상기 고정후크의 선단에서 구심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의 외주면이 상기 고정후크의 내면에 밀착되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피니언과 유동방지캡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바스켓의 장착구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에는 상기 피니언공에 대응되는 지름으로 직교되게 돌출되는 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유동방지캡에는 그 중앙 일부가 개구되어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에 인접하는 유동방지캡의 일면에 형성되어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고정후크, 그리고 상기 관통공의 내부로 연장되는 고정리브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의 외주면이 상기 고정후크의 내면에 밀착되고, 상기 연결부의 선단이 상기 고정리브의 일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피니언과 유동방지캡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바스켓의 장착구조.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후크와 고정리브는 상기 관통공을 중심으로 소정의 중심각을 가지는 부채꼴의 원호만큼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바스켓의 장착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와이어는 상기 바스켓의 양측에 각각 한 쌍씩 구비되고, 상기 걸이와이어 중에 상대적으로 전방에 위치한 걸이와이어는 그 선단이 바스켓의 전방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걸이와이어 중에 상대적으로 후방에 위치한 걸이와이어는 그 선단이 바스켓의 후방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바스켓의 장착구조.
KR20060105288A 2006-10-25 2006-10-27 냉장고용 바스켓의 장착구조 KR101295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105288A KR101295256B1 (ko) 2006-10-27 2006-10-27 냉장고용 바스켓의 장착구조
CN2007800391766A CN101529179B (zh) 2006-10-25 2007-10-23 用于冰箱的篮筐组件及篮筐承载装置
PCT/KR2007/005218 WO2008051004A1 (en) 2006-10-25 2007-10-23 Basket assembly and basket carrier for refrigerator
US12/442,675 US8157339B2 (en) 2006-10-25 2007-10-23 Basket assembly and basket carrier for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105288A KR101295256B1 (ko) 2006-10-27 2006-10-27 냉장고용 바스켓의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7957A KR20080037957A (ko) 2008-05-02
KR101295256B1 true KR101295256B1 (ko) 2013-08-09

Family

ID=39646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105288A KR101295256B1 (ko) 2006-10-25 2006-10-27 냉장고용 바스켓의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52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13595B (zh) * 2019-05-28 2023-04-11 武汉海尔电冰柜有限公司 冷柜及用于制冷设备的储存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9044A (ko) * 2002-12-27 2004-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도어바스켓 설치구조
KR20060040292A (ko) * 2004-11-05 2006-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틸팅바스켓
KR20060086587A (ko) * 2005-01-27 2006-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도어바스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9044A (ko) * 2002-12-27 2004-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도어바스켓 설치구조
KR20060040292A (ko) * 2004-11-05 2006-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틸팅바스켓
KR20060086587A (ko) * 2005-01-27 2006-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도어바스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7957A (ko) 2008-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2316B1 (ko) 냉장고용 바스켓의 장착구조
US7973242B2 (en) Vertical cable manager
KR100953977B1 (ko) 냉장고용 도어바스켓
EP1935321A1 (en) Vessel holder and dish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101093900B1 (ko) 서랍형 냉장고의 레일조립체
US10711502B2 (en) Wire type window regulator
US8157339B2 (en) Basket assembly and basket carrier for refrigerator
EP3345505B1 (en) Home appliance including a drawer rail
KR101295256B1 (ko) 냉장고용 바스켓의 장착구조
EP3345504A1 (en) Home appliance including bracket for support drawer rail
KR20150081744A (ko) 식기세척기
KR20130000582A (ko) 레일 고정 장치
EP3090676B1 (en) Dish washer
KR101343094B1 (ko) 냉장고용 바스켓어셈블리
WO2020238259A1 (zh) 具有滑轨走线机构的冰箱
US4535524A (en) Method of assembling a rack-supporting channel and stop
US10660501B2 (en) Domestic dishwasher
KR100830696B1 (ko) 커넥터클립
EP3599967B1 (en) Bracket, rack, and dishwasher
EP2495516A2 (en) Hinge for a door of a cooling appliance
JP7473458B2 (ja) 引手部材
KR19990019300A (ko) 냉장고의 선반지지구조
KR102156567B1 (ko) 인출 시스템
US20240035731A1 (en) Trim attachment system for appliance
CN108366709B (zh) 支架、洗碗机以及将结构附接到洗碗机的壁上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