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3897B1 - 모듈형 연료전지 스택 조립체 - Google Patents

모듈형 연료전지 스택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3897B1
KR101293897B1 KR1020077005400A KR20077005400A KR101293897B1 KR 101293897 B1 KR101293897 B1 KR 101293897B1 KR 1020077005400 A KR1020077005400 A KR 1020077005400A KR 20077005400 A KR20077005400 A KR 20077005400A KR 101293897 B1 KR101293897 B1 KR 101293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stack
fuel
another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5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9200A (ko
Inventor
피나킨 파텔
윌리엄 우르코
Original Assignee
퓨얼 셀 에너지,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퓨얼 셀 에너지, 인크 filed Critical 퓨얼 셀 에너지, 인크
Publication of KR20070049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9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3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3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01M8/247Arrangements for tightening a stack, for accommodation of a stack in a tank or for assembling different tanks
    • H01M8/2475Enclosures, casings or containers of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01M8/2484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characterised by external manifo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9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comprising two or more groupings of fuel cells, e.g. modular assembl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4Fuel cells with fused electrolytes
    • H01M2008/147Fuel cells with molten carbon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14Heat exchange using gaseous fluids; Heat exchange by combustion of react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전지 스택이 억제 구조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가스 분배기가 상기 구조체에 제공되어 수용된 연료 및 옥시던트 가스를 스택에 분배하고 배기된 연료 및 옥시던트를 가스를 스택으로부터 수용하므로써, 스택을 통해 원하는 가스 흐름분배 및 가스 압력편차를 달성할 수 있는 모듈형 멀티스택 연료전지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가스 분배기는 스택에 대해 중앙에 대칭으로 배치되므로, 원하는 가스 흐름분배 및 압력편차의 실현을 자체적으로 촉진시킨다.
가스 분배기, 배관, 억제 구조체, 도관, 포위부, 커버, 압력용기, 그릴

Description

모듈형 연료전지 스택 조립체{MODULAR FUEL-CELL STACK ASSEMBLY}
본 발명은 연료전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멀티스택(multistack) 연료전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빌딩 연료전지 시스템에 있어서, 연료전지는 통상적으로 하나위에 다른 하나가 적층되어, 연료전지 스택을 형성한다. 전지의 갯수는 스택의 전력 등급을 결정하며, 시스템에 높은 전력 등급을 제공하기 위하여 다수의 연료전지 스택이 사용되며, 연료전지 스택의 출력이 조합되어 원하는 전력 출력을 제공한다.
한가지 형태의 멀티스택 연료전지 시스템에 있어서, 포위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다수의 연료전지 스택을 각각 포함하는 모듈형 멀티스택 연료전지 조립체를 형성하므로써 시스템을 모듈화할 것이 제안되고 있다. 고온 연료전지 스택, 특히 탄산염 연료전지 스택을 위해 개발된 이러한 디자인의 시스템에 있어서, 사각형 또는 박스형 억제 구조체가 포위부로 사용되며, 스택은 구조체의 길이를 따라 직선형태로 정렬된다. 구조체의 내부에 있는 각각의 스택은 스택을 작동시키는데 필요한 연료 및 옥시던트 가스를 수용하기 위한 입구 매니폴드와, 스택으로부터 배기 연료 및 옥시던트 가스를 출력하기 위한 출구 매니폴드를 포함한다.
상기 억제 구조체는 관통 배관이나 도관을 통해 스택의 각각의 연료 및 옥시 던트 가스 입구 매니폴드와 연결되는 연료 및 옥시던트 가스 입구포트를 포함한다. 상기 구조체는 배관을 통해 옥시던트 및 연료가스 출구 매니폴드와 연결되기 위해 연료 및 옥시던트 가스 출구포트를 포함한다. 연료 입구포트는 연료를 각각의 포트로 분배하는 헤더 및 구조체의 길이를 따라 일렬로 정렬된다. 옥시던트 가스 입구포트를 위해 유사한 형태의 정렬이 사용된다. 연료 및 옥시던트 가스 출구포트는 모듈형 조립체로부터 배기 가스를 이송하기 위해 각각의 헤더와도 연결된다.
적절하고 균일한 흐름 분배를 보장하기 위해 또한 스택을 통해 원하는 압력편차를 달성하기 위해, 연료 및 옥시던트 가스 입구포트를 각각의 스택 입구 매니폴드에 연결하는 배관 및 도관에는 흐름 배플이 제공된다. 포위부내의 각각의 스택 및 배관은 스택을 억제 구조체로부터 단열시키기 위해 절연된다.
용기 구조체의 차가운 박스형 디자인은 연료 및 옥시던트 밀봉부를 횡단하여 압력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억제 구조체의 외부 뿐만 아니라 내부에도 열팽창 조인트를 필요로 한다. 연료전지 스택으로부터 포위부내로의 미세한 누설을 퍼지하기 위해 질소가 제공된다.
상술한 형태의 모듈형 멀티스택 연료전지 조립체는 원하는 대로 실행되지만, 배관 및 배플에 관한 요구사항은 각각의 조립체를 복잡하고 값비싸게 한다. 단열에 관한 요구사항도 엄격하여, 각각의 조립체의 비용을 증가시킨다. 또한, 질소가스 퍼지를 위한 요구사항은 또 다른 가스 스트림을 부가시키므로써, 처리 제어에 관한 요구사항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요소들은 설계자로 하여금 복잡하지 않으면서도 비용면에서 저렴한 설계대안을 찾게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모듈형 멀티스택 연료전지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택-스택 흐름 분배 및 편차압력 요구사항이 훨씬 간단하면서도 비용면에서 효과적인 방식으로 시행될 수 있는, 모듈형 멀티스택 연료전지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입력포트와 출력포트 요구사항 및 배관 요구사항이 상당히 감소되는, 모듈형 멀티스택 연료전지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체의 절연방식이 개선된, 모듈형 멀티스택 연료전지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립체의 포위부와 이러한 포위부에 대한 연결이 간단한 모듈형 멀티스택 연료전지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질소 퍼지의 사용을 제거하고 단열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배관 및 관련의 팽창 조인트를 감소시킬 수 있는, 상술한 형태의 모듈형 멀티스택 연료전지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및 기타 다른 목적들은 스택을 통해 원하는 가스 흐름분배 및 가스 압력편차를 실현할 수 있도록, 연료전지 스택이 억제 구조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이러한 구조체에 가스 분배기가 제공되어 수용된 연료 및 옥시던트 가스를 스택에 분배하고, 배출된 연료 가스를 상기 스택으로부터 수용하는, 모듈형 멀티스택 연료전지 조립체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가스 분배기는 중앙에 배치되고 스택에 대해 대칭으로 정렬되므로, 원하는 균일한 가스 흐름분배 및 낮은 압력편차를 촉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억제 구조체는 스택을 위한 옥시던트 가스 입력 매니폴드로서 작용하며, 각각의 스택의 단부판은 연료 및 배기된 연료와 옥시던트 가스를 스택으로부터 결합시키는 작용을 실행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스택 및 흐름분배 배관을 절연할 필요성을 완화시키기 위해, 억제 구조체의 내측면의 일부상에 조립체를 단열하는 단계와; 스택을 둘러싸는 상부 포위부와, 이러한 상부 포위부와 결합되고 상기 스택을 지지하는 기저부재로 억제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각각의 입구 및 출구 연료와 옥시던트 가스 포트를 위해 단일의 포트를 사용하고 이러한 각각의 포트를 계단형 천이부를 갖는 외측벽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기에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부 포위부는 접시 형태의 헤드와, 상기 헤드로부터 연장되며 둥근 또는 타원형의 압력용기인 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기저부재는 4개의 연료전지 스택을 지지하는 기저 프레임이 수용되는 기저판을 포함하며; 기저판은 두세트의 대향 스택을 갖도록 배치된다. 이에 의해, 가스 분배기는 스택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으며, 스택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스택은 3면에 매니폴드를 가지며, 연료 가스를 위해 하나의 입구 매니폴드와, 배기 연료 가스 및 배기 옥시던트 가스를 위한 두개의 출구 매니폴드를 갖는다. 상부 포위부 자체는 각각의 스택의 제4표면을 위한 옥시던트 가스 입구 매니폴드로서 작용한다.
가스 분배기는 3개의 연속한 부분을 갖는다. 하나의 부분은 연료를 수용하여 이를 각각의 스택의 제1단부에 결합된 배관에 분배한다. 또 다른 부분들은 각각의 스택의 제2단부판 및 제1단부판에 결합된 배관을 통해, 배기 옥시던트 가스 및 배기 연료 가스를 수용한다.
억제 구조체의 절연부는 상부 포위부의 내측벽에 제공되며, 다수의 층을 포함한다. 각각의 절연층은 인접한 부분으로 나뉘어진다. 세그먼트가 인접한 위치는 층과 층이 중첩된다. 상기 층들을 포위부의 내측벽에 서로 고정하기 위해 클립 및 핀이 사용된다. 옥시던트 가스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절연부에는 얇은 시트 금속 라이너가 사용된다.
포위부 벽에서 계단형의 입구 및 출구 연료 및 옥시던트 가스 포트는 용이한 설치 및 간결함을 위해 포위부의 한쪽에 직선형태로 정렬된다.
본 발명의 기타 다른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1은 억제 구조체의 상부 포위부가 정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모듈형 멀티스택 연료전지 조립체 및 가스 흐름분배기를 도시한 도면.
도2는 상부 억제 구조체가 제거된, 도1의 모듈형 멀티스택 연료전지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
도3은 억제 용기의 상부 포위부가 제거된, 도1의 조립체의 평면도.
도4는 도1의 조립체의 억제 구조체의 단면도.
도5는 도1의 연료전지 조립체의 억제 구조체를 위한 하부 지지 기저부재의 평면도.
도6은 도1의 조립체의 억제 구조체의 단면도.
도7은 도1의 가스 흐름 분배기의 사시도.
도8 내지 도10은 도1의 연료전지 조립체 및 가스 흐름 분배기의 여러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11은 배기 옥시던트 가스 내측 배플이 도시된, 가스 흐름 분배기의 사시도.
도12는 단단한 단부판을 갖는 종래의 연료전지 스택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
도13, 도14, 도15A 내지 도15D는 스택의 단부판을 관통하는 중공부를 상세히 도시한, 도1의 연료전지 조립체의 스택을 도시한 도면.
도16 내지 도19는 도1의 연료전지 조립체의 억제 구조체에 사용된 단열부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1 내지 도11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모듈형 멀티스택 연료전지 조립체(1)의 다양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조립체(1)는 대향하는 스택(2, 3) 및 대향하는 스택(4, 5)으로 도시된 다수의 유사한 연료전지 스택을 포함한다. 조립체(1)의 다른 부품이 보이도록, 도2에서는 상기 스택(2, 5)이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3과 도8 내지 도10에서는 도시되어 있다.
스택(2 내지 5)은 수직방향으로 높이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며, 억제 구조 체(6)의 기저부(7)에 지지된다. 상기 억제 구조체는 연료전지 스택을 둘러싸서 포위하는 상부 포위부(8)(도1에 도시)를 포함한다. 연료전지 스택에 대해 연료 및 옥시던트를 분배하기 위한 유니트로서 작용하는 가스흐름 분배기(9)는 포위부(8)에서 스택에 대해 중앙에 배치된다.
특히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배기(9)는 옥시던트 배기 가스부분(11)과, 연료 입구부분(12)과, 연료 배기가스부분(13)을 포함하며; 이러한 모든 부품들은 수직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 또한, 분배기(9)는 각각의 연료 또는 옥시던트 성분을 분배기 부분에 결합하기 위해 배관 또는 도관을 포함한다. 특히 도2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관(14, 15, 16, 17)은 각각의 스택(2, 4, 3, 5)으로부터의 배기 옥시던트 가스를 옥시던트 배기가스부분(11)에 결합한다. 도관(18, 19, 21, 22)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 입구부분(12)으로부터의 연료를 스택(4, 5, 3, 2)에 결합하며, 도관(23, 24, 25, 26)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택(4, 5, 3, 2)으로부터의 배기 연료가스를 연료 배기부분(13)에 결합한다.
분배기는 도2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도관(27, 28, 29)을 포함한다. 도1에 있어서, 부분(11)으로부터 옥시던트 배기가스를 이송하는 도관(27)은 상부 포위부(8)에서 옥시던트 가스 배기포트(31)에 연결된다. 상부 포위부(8)에서 연료 입구포트(32)로부터 연료를 수용하는 도관(28)은 부분(12)에 연결된다. 부분(13)으로부터의 연료 배기가스를 이송하는 도관(29)은 상부 포위부에서 연료 가스 배기포트(33)에 연결된다.
도시된 경우에 있어서, 각각의 연료전지 스택(2 내지 5)은 예를 들어 용융된 탄산염 연료전지 스택 등과 같은 고온 연료전지 스택 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분(11 내지 13)과 도관(18, 19, 21 내지 29)을 포함하는 분배기(9)는 스택(2 내지 5)을 통해 원하는 균일한 가스흐름 및 원하는 균일한 압력편차를 촉진시키도록 사용된다. 도시된 경우에 있어서, 이것은 분배기(9)를 스택의 중앙에 대칭으로 배치하므로써 달성된다.
특히, 연료 입구 도관(28) 및 연료 분배부분(12)은 모든 스택에 공통으로 사용되며, 분배부분(12)으로부터의 연료를 각각의 스택으로 이송하기 위해서는 길이가 동일한 도관(18, 19, 21, 22)이 사용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길이가 동일한 도관(14 내지 17)은 스택으로부터의 배기 옥시던트 가스를 공통의 옥시던트 배기 분배부분(11)에 결합하며, 이에 의해 가스는 공통의 도관(27)을 통해 배출된다. 또한, 길이가 동일한 도관(23 내지 26)은 스택으로부터의 연료 배기가스를 공통의 연료 배기 분배부분(13)으로 이송하며, 이에 의해 상기 가스는 공통의 도관(29)을 통해 배출된다.
연료전지 스택(2 내지 5)으로의 균일한 옥시던트 가스흐름 및 압력강하를 보장하기 위해, 배기 분배기 부분(11)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관(27)의 연속한 부분(10)을 갖는 상태로 내부로 끼워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속한 부분은 부분적으로 원통형 형태를 취하며, 특히 절반의 원통형 형태를 취한다.
따라서, 분배기(9)의 이러한 형상으로 인해, 연료의 흐름분배 및 옥시던트의 흐름분배가 더욱 균일해진다. 또한, 스택을 통한 가스의 압력편차도 더욱 균일해진다. 이러한 균일성을 제공하기 위해 부가의 부품에 대한 필요성은 분배기(9)를 사용하므로써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흐름분배에 연관된 전체적인 에너지 손실이 최소화된다.
옥시던트 및 연료의 균일한 흐름분배에 기여하는 것은 연료전지 스택(2 내지 5)의 단부판 조립체이다. 이러한 단부판은 종래 연료전지 스택의 단단한 단부판 디자인과는 상이한, 중공의 흐름 관통 디자인을 채택하고 있다. 특히, 도12는 단단한 상부 및 하부 단부판(121, 122)을 갖는 종래의 연료전지 스택(120)을 도시하고 있다. 매니폴드(123)는 공급가스를 스택(120)의 연료전지(120A)에 결합하며, 매니폴드(124)는 연료전지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결합한다. 상부 및 하부 압축판(125A)을 갖는 압축 조립체(125)는 스택의 셀(cell)을 정위치에 지지시킨다. 압축판을 통해 연장되어 단부판에 연결되는 상부 및 하부 단자(126, 127)는 스택으로부터의 전기에너지의 결합을 허용한다.
도12의 종래의 스택(120)은 부분적으로는 단단한 단부판으로 인한 비대칭 매니폴드 연결부로 인해 균일한 흐름으로 제공할 수 없다. 스택(120)은 이러한 단부판으로 인해, 부가의 전기 히터를 필요로 한다.
이와는 달리, 본 발명의 각각의 연료전지 스택(2 내지 5)은 상부 및 하부 단부판 조립체(601, 701)를 포함한다. 도13 및 도14, 도15A 내지 도15D는 스택(2)을 위한 이러한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다. 스택(2)과 형태가 동일한 스택(3 내지 5)은 유사한 단부판 조립체를 갖는다. 하기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단부판 조립체(601, 701)는 길이가 동일한 도관(18, 19, 21, 22)에 의해 연료가 스택에 용이하게 결합되게 하며, 또한 배기된 옥시던트 가스 및 배기된 연료 가스가 동일한 길이의 도 관(14 내지 17) 및 동일한 길이의 도관(23 내지 26)을 통해 스택으로부터 용이하게 결합되게 한다.
도13 및 도14에 있어서, 스택(2)은 옥시던트 가스 흐름과 연관된 대향의 제1 및 제2표면(101, 102)과, 연료 가스흐름과 연관되 대향의 제3 및 제4표면(103, 104)을 포함한다. 또한, 스택(2)은 스택 표면(102, 103, 104)에 인접한 제1 내지 제3매니폴드(202, 203, 204)를 부가로 포함한다. 지지 조립체(도시않음)는 이러한 매니폴드를 스택 표면에 지지시키며, 압축판(402)을 갖는 압축 조립체(401)는 스택의 셀(2A)을 정위치에 지지하기 위하여 상부 및 하부 단부판(601, 701)을 압축한다. 압축판(402)을 통해 연장되는 상부 및 하부 단자(501, 502)는 스택으로부터 전기 출력을 얻게 한다.
도15A 및 도15B는 상부 단부판 조립체(601)를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판 조립체(601)는 조립체의 표면(602)에 입구 영역(603)을 갖는다. 조립체의 이러한 표면은 중첩되며, 각각의 스택의 각각의 옥시던트 배기가스 출구 매니폴드로부터 배출된 옥시던트 가스를 수용한다. 단부판 조립체(601)는 조립체를 통해 출구 영역(606)으로 연장되는 통로(604)를 형성하거나 이러한 통로를 포함한다. 상기 출구 영역(606)은 조립체의 또 다른 표면(605)에 배치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또 다른 표면은 조립체의 표면(602)과 대향한다. 출구 영역(606)은 각각의 스택으로부터 옥시던트 가스를 이송하는 분배기(9)의 도관(14)과 결합된다. 조립체(601)의 단부면(602)의 엣지는 매니폴드(202)의 밀봉부를 수용하는 밀봉영역을 형성한다. 필요할 경우, 이러한 밀봉영역은 장기간의 작동시 발생 되는 칫수 변화를 수용하기 위해, 오목한 형상부를 이용하여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607)는 단부판 조립체(601)의 내부에 배치되어, 조립체의 상부 및 하부 표면(608, 609) 사이로 연장된다. 상기 포스트(607)는 단부판 조립체에 기계적 강도를 제공하며, 표면(608, 609) 사이에 전기접촉을 제공한다. 따라서, 단부판 조립체는 조립체의 표면(608)에 고정된 스택 단자(501)와 조립체의 표면(609)과 전기접촉된 스택의 셀 사이에 전기접촉을 제공한다.
도13과 도15A 및 도15B에 도시된 단부판 조립체의 형태에 있어서, 조립체는 중공의 사각형 본체로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본체의 형태를 취한다. 표면(602, 605)은 본체의 대향의 측벽에 의해 형성되며, 통로(604)는 본체의 내부 공간에 의해 형성되고, 표면(608, 609)은 본체의 대향하는 상부 및 하부벽에 의해 형성된다.
단부판 조립체(601)의 전체적인 열중량(thermal mass)은 중공 형상으로 인해 감소된다. 조립체의 형태를 통한 흐름에 의해 처리 가스는 조립체를 위해 열을 제공하여 별도의 전기 히터 및 이와 연관된 기생 전력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한다. 최종적인 단부판 조립체는 열응답에 있어서 연료전지 스택의 나머지에 더욱 가깝다. 전체적인 중량 및 비용은 감소되며, 연료전지 스택으로부터 사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전기 출력은 증가된다.
도14 및 도15C 내지 도15D에는 하부판 조립체(701)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단부판 조립체는 제1표면(702)을 포함하며, 이러한 제1표면은 연료를 각각의 스택에 분배하는 분배기(9)의 도관에 결합되는 입구 영역(703)을 포함한다. 상기 표면은 배출된 연료 가스를 스택으로부터 이송하는 분배기(9)의 도관과 결합되는 출구영역(704)도 포함한다. 단부판 조립체(701)는 입구영역(703)과 결합되고 입구영역에 분배된 연료를 제2표면(706)에 이송하는 제1통로(705)를 형성한다. 단부판 조립체의 이러한 표면은 각각의 스택의 연료 입구 매니폴드에 의해 중첩된다. 입구 영역(708)을 갖는 판 조립체의 제3표면(707)은 스택의 연료 배출가스 출구 매니폴드에 의해 중첩된다. 단부판 조립체(701)는 입구영역(708)을 출구영역(704)에 결합하는 또 다른 통로(709)를 형성한다.
상기 단부판 조립체(70)는 그 내부에서 판 조립체의 대향면(712, 713) 사이에 연결되는 포스트(711)를 포함한다. 이러한 포스트는 단부판 조립체(601)의 포스트(607)와 마찬가지로 조립체에 기계적 강도를 제공하며, 표면(712, 713) 사이에 전기접촉을 제공한다. 이러한 접촉은 표면(713)에 고정된 스택 단자(502)에 전기접촉을 제공한다.
도15C 및 도15D에 도시된 경우에 있어서, 단부판 조립체(701)는 중공 본체의 형태, 특히 사각형 중공 본체의 형태를 취한다. 표면(702)은 중공 본체의 제1측벽에 의해 형성되며, 표면(706, 704)은 본체의 대향하는 제2 및 제3측벽에 의해 형성되고, 통로(705)는 본체의 내부를 통해 연장되는 튜브에 의해 형성되며, 통로(709)는 본체의 내부에 의해 형성되고, 표면(712, 713)은 본체의 대향하는 상부 및 하부벽에 의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또한 인식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술한 방식으로 형성되는 각각의 스택의 단부판 조립체(601, 701)에 의해, 옥시던트 및 연료는 단부판 조립체를 통해 스택에 배타적으로 결합된다. 흐름 연결부는 측면, 상부면, 또는 바 닥면으로 형성된다. 도13 및 도14를 참조하여 스택을 통한 연료 및 옥시던트의 흐름이 설명될 것이다. 다른 스택을 통한 흐름은 이와 동일하다.
특히, 옥시던트 가스 입구포트(34)를 통해 상부 포위부(8)에 유입되는 옥시던트 가스는 옥시던트 가스 입구 매니폴드로서 작용하는 상부 포위부에 의해 스택(2)의 표면(101)에 이송된다. 이러한 표면은 스택의 연료전지(2A)의 옥시던트 흐름 채널을 위한 입구를 포함한다. 그후, 옥시던트는 연료전지의 상기 채널을 통해 흐르며, 옥시던트 배기가스는 이러한 채널을 통해 스택(2)의 대향의 표면(102)에서 배출된다. 상기 스택과 인접한 매니폴드(202)는 옥시던트 배기가스를 단부판 조립체(601)의 입구영역(603)을 갖는 표면(602)에 이송한다. 그후, 옥시던트 배기가스는 통로(604)에 의해 조립체를 통해 출구영역(606)으로 이송된다. 이러한 영역은 분배기(9)의 도관(14)에 결합되는데, 상기 도관은 가스를 분배기의 옥시던트 배기가스 부분(11)에 이송한다. 상기 옥시던트 배기가스는 도관(27)을 통해 부분(11)을 떠나며, 출구포트(31)를 통해 상부 포위부로부터 배출된다.
한편, 연료는 연료 입구포트(32)를 통해 상부 포위부에 유입되며, 도관(28)을 통해 분배기 부분(12)에 결합된다(도9 참조). 분배기 부분(12)은 연료를 하부 단부판 조립체(701)의 입구영역(703)에 결합되는 도관(22)으로 이송시킨다(도14 참조). 연료는 연료를 연료 가스 입구 매니폴드(203)에 축적하는 통로(705)를 통해 입구영역을 통과한다. 그후, 연료는 스택(2)의 연료전지(2A)를 통과하며, 연료 배기가스는 연료 가스 출구 매니폴드(204)에 유입된다. 이러한 매니폴드는 연료 배기가스를 판 조립체(701)의 입구영역(708)을 갖는 표면(707)에 결합시킨다. 연료 배기가스는 출구영역(704)에 도달하는 판 조립체의 통로(709)를 통해 입구영역(708)을 통과한다.
가스는 출구영역(704)을 빠져나와 분배기(9)의 도관(26)내로 흐르며(도10 참조), 분배기의 연료 배기가스 부분(13)으로 이송된다. 배기가스는 도관(29)을 통해 상기 부분을 떠나며, 배기가스 출구포트(33)를 통해 포위부로부터 배출된다.
인식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단부판 조립체(601, 701)에 의해, 스택(2 내지 5)으로의 가스흐름 연결부는 단부판 조립체에만 형성되며, 매니폴드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이러한 배치는 스택으로부터 매니폴드를 분리시키므로써, 장기간 작동에 양호한 기계적 디자인을 유발시킨다. 또한, 더 강한 단부판으로의 기계적 연결은 종래 이루어졌던 얇은 벽형태의 스택 매니폴드 보다 더 강건하다.
도4 및 도6은 도1의 모듈형 멀티스택 연료전지 조립체의 억제 구조체(6)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억제 구조체(6)는 상부 포위부(8)를 지지하는 기저부(7)를 포함한다.
도시된 경우에 있어서, 상부 포위부(8)는 원통형 쉘 또는 용기 본체(8A)와, 접시형 커버 또는 상부(8B)를 포함한다. 이것은 커버(8B)를 위해 얇은 구조체를 사용할 수 있게 하며, 상부 포위부의 가압환경을 허용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커버(8B)는 스택의 높은 높이를 수용하기 위해 또한 보다 소형인 형상을 실현할 수 있게 하는 평탄한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옥시던트 가스 입구포트(34)와, 옥시던트 배기가스 출구포트(31)와, 연료 입구포트(32), 및 연료 배기가스 출구포트(33)는 용기 본체(8A)에서 공통의 수직선을 따라 배치된다. 도4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31 내지 34)는 계단형 천이부를 갖는 노즐 형태를 취하고 있다. 따라서, 포트(34)는 계단형 천이부(34A)를 가지며, 포트(31)는 계단형 천이부(31A)를 가지며, 포트(32, 33)는 계단형 천이부(32A, 33A)를 갖는다. 이러한 천이부에 의해, 각각의 노즐은 용기 본체(8A)의 팽창을 수용할 수 있으며, 또한 노즐에 연결된 배관으로 효과적인 연결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연결부를 유지하기 위해 벨로우즈나 기타 다른 형태의 팽창 조인트를 사용할 필요성을 제거하므로써, 공간과 비용을 절감시킨다. 상기 계단형 천이부는 하기에 서술되는 바와 같이 노즐을 단열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특히, 계단형 천이부에 의해 형성된 영역의 체적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단열층으로 충진될 수 있다. 도19에는 이러한 내용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으며, 도19에는 계단형 천이부(34A)를 갖는 확대된 노즐(34)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절연층(901, 902, 903)은 계단형 천이부(34A)에 의해 형성된 영역의 체적을 충진한다. 따라서, 노즐을 통해 결합된 배관은 용기 본체(8A)의 표면과 단열될 수 있으므로, 용기 본체의 외측면을 상부 포위부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 보다 더 낮은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억제 구조체(6)의 바닥부분(7)은 용기 지지링(41)과, 구조적 기저부(42)를 포함한다. 상기 링(41)은 구조적 강으로 제조되며, 이에는 용기 본체(8A) 및 구조적 기저부(42)가 부착된다. 상기 구조적 기저부(42)는 스택 지지비임(43, 44)을 포함한다. 상기 비임은 그릴 형태로 정렬되며, 4개의 비임(44)의 집단은 각각의 스택(2 내지 5)을 위하여 사각형 지지 프레임(45)을 형성 한다. 상기 비임(43)은 서로 교차하도록 정렬되며, 그 교차영역에서 가스 분배기(9)를 지지하도록 정렬된다. 비임(43)은 사각형 지지 프레임의 내측 모서리와 교차된다. 비임(43)은 조립체(1)가 사용되는 설비의 플로어에 장착되어, 조립체를 위한 중요한 구조적 지지를 제공한다.
도16에 있어서, 용기 본체(8A)의 하부에서 링(41)의 내부의 영역(41A)을 스택(2 내지 5)에 의해 용기 본체(8)의 내부에 생성된 열로부터 단열시키기 위하여, 바닥부분(7)은 개구를 덮으며 링(41)에 의해 지지되는 단열 플로어(46)(도16 참조)를 부가로 포함한다. 상기 플로어는 스택(2 내지 5)의 하단부가 통과하기 위한 개구를 가지므로, 각각의 스택의 압축판은 대응의 지지 프레임(45)의 비임(44)에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단열부(46)의 하부에 있는 공간은 스택의 압축 조립체의 부품들을 수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스택에 사용되는 모든 전기부품들은 예를 들어 전기 관통부처럼 조립체(1)로의 기타 다른 모든 관통부뿐만 아니라, 상기 단열영역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플로어(46)는 내부 응측물로부터 수집된 물을 통과시키기 위한 드레인을 갖는다.
상부 포위부(8)의 내부열로부터 바닥부분(7)의 영역(41A)을 단열함과 함께, 용기 본체(8A) 및 상부 커버(8B)는 각각 단열되므로, 상부 포위부의 외측면도 포위부내의 열로부터 단열된다. 특히, 상부 커버 및 용기 본체의 내측벽은 도4, 도17, 도17A, 도18, 및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사한 단열 조립체(47, 48)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체(47, 48)는 미세한 메시 스텐레스 스틸로 형성된 응축물 축적층(49)을 포함한다. 이러한 층은 포위부의 내측벽과 인접하여 벽에서의 그 어떤 습기도 축적할 수 있으므로, 습기를 응축시켜 낙하시키고 포위부의 내측으로부터 퍼지되게 한다. 미세다공성 실리카 등과 같은 소수성 물질의 그 다음층은 층(49)을 따른다. 그후, 단열층(51)은 층(50)을 따르고, 스텐레스 스틸 라이닝(52)은 절연층(51)을 따른다.
도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층(51)은 서로 인접하여 층을 형성하는 단열 세그먼트(51A)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세그먼트의 일련의 층은 서로에 대해 더욱 엇갈리거나 중첩된다. 도18 및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53)은 용접에 의해 포위부의 내측면에 부착된다. 세그먼트(47, 48)를 핀(53)에 고정하기 위해 클립(54)이 사용된다. 각각의 세그먼츠 층을 핀에 고정하기 위해 또한 핀 클립 형상에 의해 이송된 열손실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클립(54)이 사용되지만, 클립된 외층의 세그먼트를 중첩시켜 층에서의 세그먼트가 고정되게 하므로써 핀의 갯수가 감소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형태의 조립체(47, 48)에 의해, 상부 포위부(8)에 발생된 열은 포위부의 외측면에 도달하는 것이 방지된다. 스택(2 내지 5)이 용융된 탄산염 연료 스택인, 포위부 내부에서의 전형적인 약 1200℉의 온도는 포위부의 외측벽에서 약 100℉로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낮은 온도로 상부 포위부의 외측면을 유지하는 것은 도19를 참조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포위부에서 노즐의 단열된 계단형 천이부에 의해 촉진될 수 있다. 이러한 절연은 고온 가스에 영향을 받는 포위부에 대해 고온의 옥시던트 및 연료를 이송하는 배관을 절연시키므로써, 포위부의 외측면 온도늘 낮은 온도로 유지시킨다.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예를 참조로 서술되었기에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의 일탈없이 본 발명에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Claims (77)

  1. 모듈형 멀티스택 연료전지 조립체에 있어서,
    다수의 연료전지 스택과,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중앙에 배치되는 가스 분배기를 포함하며,
    상기 가스 분배기는 수용된 연료를 각각의 연료전지 스택에 분배하고, 각각의 연료전지 스택으로부터 배기된 연료가스 및 배기된 옥시던트 가스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멀티스택 연료전지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분배기는 연료전지 스택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고/되거나;
    상기 가스 분배기는 제1부분과, 제2부분과, 제3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부분은 수용된 연료를 각각의 연료전지 스택에 분배하고, 상기 제2부분은 배기된 연료가스를 각각의 연료전지 스택으로부터 수용하며, 상기 제3부분은 배기된 옥시던트 가스를 각각의 연료전지 스택으로부터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멀티스택 연료전지 조립체.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분배기는 제1부분과, 제2부분과, 제3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부분은 수용된 연료를 각각의 연료전지 스택에 분배하고, 상기 제2부분은 배기된 연료가스를 각각의 연료전지 스택으로부터 수용하고, 상기 제3부분은 배기된 옥시던트 가스를 각각의 연료전지 스택으로부터 수용하며;
    (a) 상기 가스 분배기는 가스 분배기의 제1부분으로부터 각각의 멀티스택 연료전지 조립체까지 설정의 제1길이를 갖는 제1배관과, 가스 분배기의 제2부분으로부터 각각의 멀티스택 연료전지 조립체까지 설정의 제2길이를 갖는 제2배관과, 가스 분배기의 제3부분으로부터 각각의 멀티스택 연료전지 조립체까지 설정의 제3길이를 갖는 제3배관을 부가로 포함하고;
    (b) 상기 모듈형 멀티스택 연료전지 조립체는 억제 구조체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가스 분배기는 제1부분으로부터 상기 억제 구조체의 옥시던트 가스 출구포트까지의 제1도관과, 제2부분으로부터 상기 억제 구조체의 연료가스 출구포트까지의 제2도관과, 제3부분으로부터 상기 억제 구조체의 연료가스 입구포트까지의 제3도관을 포함하고;
    (c) 상기 모듈형 멀티스택 연료전지 조립체는 억제 구조체를 부가로 포함하고; 상기 가스 분배기는 제1부분으로부터 상기 억제 구조체의 옥시던트 가스 출구포트까지의 제1도관과, 제2부분으로부터 상기 억제 구조체의 연료가스 출구포트까지의 제2도관과, 제3부분으로부터 상기 억제 구조체의 연료가스 입구포트까지의 제3도관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 분배기의 제1 내지 제3부분은 수직으로 정렬되고, 상기 옥시던트 가스 출구포트와 연료가스 출구포트 및 연료가스 입구포트는 수직으로 정렬되며, 상기 제1도관 내지 제3도관은 수직으로 정렬되며;
    (d) 상기 모듈형 멀티스택 연료전지 조립체는 억제 구조체를 부가로 포함하고; 상기 가스 분배기는 제1부분으로부터 상기 억제 구조체의 옥시던트 가스 출구포트까지의 제1도관과, 제2부분으로부터 상기 억제 구조체의 연료가스 출구포트까지의 제2도관과, 제3부분으로부터 상기 억제 구조체의 연료가스 입구포트까지의 제3도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1도관은 제1부분내로 연장되는 부분을 갖고/갖거나;
    (e) 상기 모듈형 멀티스택 연료전지 조립체는 억제 구조체를 부가로 포함하고, 상기 가스 분배기는 제1부분으로부터 상기 억제 구조체의 옥시던트 가스 출구포트까지의 제1도관과, 제2부분으로부터 상기 억제 구조체의 연료가스 출구포트까지의 제2도관과, 제3부분으로부터 상기 억제 구조체의 연료가스 입구포트까지의 제3도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도관은 제1부분내로 연장되는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1도관의 부분은 부분적으로 원통형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멀티스택 연료전지 조립체.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연료전지 스택을 포위하는 억제 구조체를 부가로 포함하고, 상기 억제 구조체는 연료전지 스택을 설정 위치에 지지하는 기저부와, 기저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연료전지 스택을 포위하는 포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멀티스택 연료전지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a) 상기 포위부는 접시 형태의 상부 커버와, 압력용기인 본체를 포함하고;
    (b) 상기 기저부는 포위부를 지지하는 상부와 하부를 갖는 지지링과, 상기 지지링의 바닥부분에 부착되어 연료전지 스택을 지지하는 구조적 기저부를 포함하고;
    (c) 상기 기저부는 포위부를 지지하는 상부와 하부를 갖는 지지링과, 상기 지지링의 바닥부분에 부착되어 연료전지 스택을 지지하는 구조적 기저부와, 상기 링의 상부 위로 연장되어 상기 포위부의 내부로부터 상부의 하부에서 링내의 공간을 단열시키는 플로어를 포함하고;
    (d) 상기 기저부는 포위부를 지지하는 상부와 하부를 갖는 지지링과, 상기 지지링의 바닥부분에 부착되어 연료전지 스택을 지지하는 구조적 기저부와, 상기 링의 상부 위로 연장되어 상기 포위부의 내부로부터 상부의 하부에서 링내의 공간을 단열시키는 플로어를 포함하고, 상부와 하부 사이의 링 부분은 포위부내로 관통하기 위한 영역을 포함하고;
    (e) 상기 기저부는 포위부를 지지하는 상부와 하부를 갖는 지지링과, 상기 지지링의 바닥부분에 부착되어 연료전지 스택을 지지하는 구조적 기저부와, 상기 링의 상부 위로 연장되어 상기 포위부의 내부로부터 상부의 하부에서 링내의 공간을 단열시키는 플로어를 포함하고, 상부와 하부 사이의 링 부분은 상기 포위부내로의 침투사용과 전기 및 프로세스 제어를 위한 모든 영역을 포함하고;
    (f) 상기 기저부는 포위부를 지지하는 상부와 하부를 갖는 지지링과, 상기 지지링의 바닥부분에 부착되어 연료전지 스택을 지지하는 구조적 기저부와, 상기 링의 상부 위로 연장되어 상기 포위부의 내부로부터 상부의 하부에서 링내의 공간을 단열시키는 플로어를 포함하고, 상기 플로어는 구조적 기저부에 의해 지지된 연료전지 스택의 관통을 위한 개구를 갖고;
    (g) 상기 기저부는 포위부를 지지하는 상부와 하부를 갖는 지지링과, 상기 지지링의 바닥부분에 부착되어 연료전지 스택을 지지하는 구조적 기저부와, 상기 링의 상부 위로 연장되어 상기 포위부의 내부로부터 상부의 하부에서 링내의 공간을 단열시키는 플로어를 포함하고, 상기 플로어는 구조적 기저부에 의해 지지된 연료전지 스택의 관통을 위한 개구를 갖고, 상기 구조적 기저부는 그릴 패턴을 형성하는 다수의 비임을 포함하며, 이러한 그릴 패턴은 각각의 연료전지 스택을 위한 지지 프레임을 형성하고;
    (h) 상기 기저부는 포위부를 지지하는 상부와 하부를 갖는 지지링과, 상기 지지링의 바닥부분에 부착되어 연료전지 스택을 지지하는 구조적 기저부와, 상기 링의 상부 위로 연장되어 상기 포위부의 내부로부터 상부의 하부에서 링내의 공간을 단열시키는 플로어를 포함하고, 상기 플로어는 구조적 기저부에 의해 지지된 연료전지 스택의 관통을 위한 개구 및 가스 분배기의 통과를 위한 개구를 가지며, 상기 구조적 기저부는 그릴 패턴을 형성하는 다수의 비임을 포함하며, 이러한 그릴 패턴은 각각의 연료전지 스택을 위한 지지 프레임을 형성하고/하거나;
    (i) 상기 기저부는 포위부를 지지하는 상부와 하부를 갖는 지지링과, 상기 지지링의 바닥부분에 부착되어 연료전지 스택을 지지하는 구조적 기저부와, 상기 링의 상부 위로 연장되어 상기 포위부의 내부로부터 상부의 하부에서 링내의 공간을 단열시키는 플로어를 포함하고, 상기 플로어는 구조적 기저부에 의해 지지된 연료전지 스택의 관통을 위한 개구 및 가스 분배기의 통과를 위한 개구를 가지며, 상기 구조적 기저부는 그릴 패턴을 형성하는 다수의 비임을 포함하며, 이러한 그릴 패턴은 각각의 연료전지 스택을 위한 지지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그릴 패턴에 의해 형성된 지지 프레임은 그릴 패턴에 의해 형성된 중앙 영역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멀티스택 연료전지 조립체.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제9항에 있어서, (a) 각각의 스택은 연료 가스를 수용하고 배기된 연료 가스를 배출하기 위해 대향하는 제1 및 제2표면과, 옥시던트 가스를 수용하고 배기된 옥시던트 가스를 배출하기 위해 대향하는 제3 및 제4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억제 구조체는 옥시던트 가스를 수용하는 각각의 연료전지 스택을 위한 매니폴드로서 작용하고/하거나;
    (b) 각각의 연료전지 스택은 제1 및 제2단부판을 포함하며; 상기 가스 분배기는 연료를 분배하고, 배기된 연료 및 옥시던트 가스를 연료전지의 단부판을 통해 각각의 연료전지 스택으로부터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멀티스택 연료전지 조립체.
  20. 삭제
  21. 제9항에 있어서, (a) 상기 조립체는 상기 포위부의 내측벽에 배치된 단열부를 부가로 포함하고;
    (b) 상기 조립체는 상기 포위부의 내측벽에 배치된 단열부를 부가로 포함하고, 상기 단열부는 다수의 단열층을 포함하고, 상기 단열층의 각각은 인접한 세그먼트를 포함하며, 각각의 단열측 세그먼트가 인접한 위치는 층과 층이 중첩되고;
    (c) 상기 조립체는 상기 포위부의 내측벽에 배치된 단열부를 부가로 포함하고, 상기 단열부는 다수의 단열층을 포함하고, 상기 단열층의 각각은 인접한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각각의 단열측 세그먼트가 인접한 위치는 층과 층이 중첩되며, 상기 조립체는 상기 단열층을 포위부의 내측벽에 서로 연결하기 위해 핀과 클립을 부가로 포함하고;
    (d) 상기 조립체는 상기 포위부의 내측벽에 배치된 단열부를 부가로 포함하고, 상기 단열부는 다수의 단열층을 포함하고, 상기 단열층의 각각은 인접한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각각의 단열측 세그먼트가 인접한 위치는 층과 층이 중첩되며, 상기 조립체는 상기 단열부와 포위부의 내측벽 사이에 배치된 소수성 층에 의해 이어지는 응축물 축적층을 부가로 포함하고/하거나;
    (e) 상기 조립체는 상기 포위부의 내측벽에 배치된 단열부를 부가로 포함하고, 상기 단열부는 다수의 단열층을 포함하며, 상기 단열층의 각각은 인접한 세그먼트를 포함하며, 각각의 단열측 세그먼트가 인접한 위치는 층과 층이 중첩되고, 상기 조립체는 상기 포위부의 내측벽으로부터 가장 먼 절연부의 표면상에 배치되는 스텐레스 스틸 라이닝을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멀티스택 연료전지 조립체.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제9항에 있어서, (a) 상기 포위부는 배관을 수용하는 다수의 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포트는 계단형태를 취하고;
    (b) 상기 포위부는 배관을 수용하는 다수의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포트는 계단형태를 취하며, 상기 포트의 내측 영역의 일부 내부에 배치된 단열부를 부가로 포함하고;
    (c) 상기 포위부는 배관을 수용하는 다수의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포트는 계단형태를 취하며, 상기 다수의 포트는 연료 및 옥시던트 가스를 수용하기 위한 제1 및 제2포트와, 배기된 연료 및 옥시던트 가스를 방출하기 위한 제3 및 제4포트를 포함하고;
    (d) 상기 포위부는 배관을 수용하는 다수의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포트는 계단형태를 취하며, 상기 포트는 제1방향을 따라 정렬되고;
    (e) 상기 포위부는 배관을 수용하는 다수의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포트는 계단형태를 취하고, 상기 포트는 제1방향을 따라 정렬되고, 상기 가스 분배기는 제1부분과, 제2부분과, 제3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부분은 수용된 연료를 각각의 연료전지 스택에 분배하고, 상기 제2부분은 배기된 연료가스를 각각의 연료전지 스택으로부터 수용하고, 상기 제3부분은 배기된 옥시던트 가스를 각각의 연료전지 스택으로부터 수용하며, 상기 가스 분배기의 제1부분 내지 제3부분은 제2방향을 따라 정렬되고;
    (f) 상기 포위부는 배관을 수용하는 다수의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포트는 계단형태를 취하고, 상기 포트는 제1방향을 따라 정렬되고, 상기 가스 분배기는 제1부분과, 제2부분과, 제3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부분은 수용된 연료를 각각의 연료전지 스택에 분배하고, 상기 제2부분은 배기된 연료가스를 각각의 연료전지 스택으로부터 수용하고, 상기 제3부분은 배기된 옥시던트 가스를 각각의 연료전지 스택으로부터 수용하고, 상기 가스 분배기의 제1부분 내지 제3부분은 제2방향을 따라 정렬되며, 상기 제2방향은 제1방향에 평행하고/하거나;
    (g) 상기 포위부는 배관을 수용하는 다수의 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포트는 계단형태를 취하고, 상기 포트는 제1방향을 따라 정렬되고, 상기 가스 분배기는 제1부분과, 제2부분과, 제3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부분은 수용된 연료를 각각의 연료전지 스택에 분배하고, 상기 제2부분은 배기된 연료가스를 각각의 연료전지 스택으로부터 수용하며, 상기 제3부분은 배기된 옥시던트 가스를 각각의 연료전지 스택으로부터 수용하며; 상기 가스 분배기의 제1부분 내지 제3부분은 제2방향을 따라 정렬되고, 상기 제2방향은 제1방향에 평행하고, 상기 제1방향 및 제2방향은 수직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멀티스택 연료전지 조립체.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연료전지 스택을 위한 억제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억제 구조체는 연료전지 스택을 설정 위치에 지지하기 위한 기저부와, 상기 연료전지 스택을 포위하기 위해 기저부와 결합되는 포위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저부는 포위부를 지지하는 상부와 하부를 갖는 지지링과, 상기 지지링의 하부에 부착되어 연료전지 스택을 지지하는 구조적 기저부와, 상기 링의 상부 위로 연장되어 포위부의 내부로부터 상기 상부의 아래에서 링의 내부 공간을 단열하는 플로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억제 구조체.
  51. 제50항에 있어서, (a) 상기 포위부는 접시 형태인 상부 커버와, 가압된 용기인 본체를 포함하고;
    (b) 상기 포위부는 접시 형태인 상부 커버와, 가압된 용기인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와 하부 사이의 링 부분은 포위부내로 관통되는 영역을 포함하고/하거나;
    (c) 상기 포위부는 접시 형태인 상부 커버와, 가압된 용기인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와 하부 사이의 링 부분은 포위부내로 전기 제어부의 관통(penetration)을 위한 모든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억제 구조체.
  52. 삭제
  53. 삭제
  54. 제50항에 있어서, (a) 상기 플로어는 구조적 기저부에 의해 지지되는 연료전지 스택의 통과를 위한 개구를 포함하고;
    (b) 상기 플로어는 구조적 기저부에 의해 지지되는 연료전지 스택의 통과를 위한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플로어는 내부에 형성된 응축물로부터 수집된 물을 통과시키기 위한 드레인을 포함하고;
    (c) 상기 구조적 기저부는 그릴 패턴을 형성하는 다수의 비임을 포함하며, 상기 그릴 패턴은 각각의 연료전지 스택을 위한 지지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플로어는 가스 분배기의 통과를 위한 개구를 가지며, 상기 그릴 패턴은 가스 분배기를 위한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중앙 영역을 형성하고/하거나;
    (d) 상기 구조적 기저부는 그릴 패턴을 형성하는 다수의 비임을 포함하며, 상기 그릴 패턴은 각각의 연료전지 스택을 위한 지지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플로어는 가스 분배기의 통과를 위한 개구를 가지며, 상기 그릴 패턴은 가스 분배기를 위한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중앙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그릴 패턴에 의해 형성된 지지 프레임은 상기 그릴 패턴에 의해 형성된 중앙 영역에 의해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억제 구조체.
  55. 삭제
  56. 삭제
  57. 삭제
  58. 삭제
  59. 연료전지 스택을 포위하기 위한 억제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억제 구조체는 연료전지 스택을 설정 위치에 지지하기 위한 기저부와, 연료전지 스택을 포위하기 위해 기저부재와 결합되는 포위부와, 상기 포위부의 내측벽에 배치된 단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억제 구조체.
  60. 제59항에 있어서, (a) 상기 단열부는 다수의 단열층을 포함하며, 각각의 단열층은 인접한 세그먼트를 포함하며, 각각의 단열층의 세그먼트가 인접한 위치는 층과 층이 중첩되고;
    (b) 상기 단열부는 다수의 단열층을 포함하며, 각각의 단열층은 인접한 세그먼트를 포함하며, 각각의 단열층의 세그먼트가 인접한 위치는 층과 층이 중첩되고, 상기 억제 구조체는 상기 단열층을 포위부의 내측벽에 서로 연결하기 위해 핀과 클립을 부가로 포함하고;
    (c) 상기 단열부는 다수의 단열층을 포함하며, 각각의 단열층은 인접한 세그먼트를 포함하며, 각각의 단열층의 세그먼트가 인접한 위치는 층과 층이 중첩되고, 상기 억제 구조체는 상기 단열부와 포위부의 내측벽 사이에 배치된 소수성 층에 의해 이어지는 응축물 축적층을 부가로 포함하고/하거나;
    (d) 상기 단열부는 다수의 단열층을 포함하며, 각각의 단열층은 인접한 세그먼트를 포함하며, 각각의 단열층의 세그먼트가 인접한 위치는 층과 층이 중첩되고, 상기 억제 구조체는 상기 단열부와 포위부의 내측벽 사이에 배치된 소수성 층에 의해 이어지는 응축물 축적층 및 상기 포위부의 내측벽으로부터 가장 먼 단열부의 표면상에 배치되는 스텐레스 스틸 라이닝을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억제 구조체.
  61. 삭제
  62. 삭제
  63. 삭제
  64. 연료 가스를 수용하고 배기된 연료 가스를 배출하기 위해 대향하는 제1 및 제2표면과, 옥시던트 가스를 수용하고 배기된 옥시던트 가스를 배출하기 위해 대향하는 제3 및 제4표면을 포함하는 스택에 배치되는 다수의 연료전지와,
    상기 제2표면과 제4표면과 인접하는 제1매니폴드와 제2매니폴드;
    상기 스택의 한쪽 단부에서 연료전지와 인접한 단부판 조립체; 및
    상기 단부와 대향하는 스택의 또 다른 단부에서 연료전지와 인접한 또 다른 단부판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단부판 조립체는 스택으로부터 배기가스를 수용하는 입구 영역과, 출구 영역과, 입구 영역에 수용된 배기가스를 입구 영역으로부터 출구 영역으로 이송하기 위해 상기 입구 영역과 출구 영역을 연결하는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또 다른 단부판 조립체는 스택으로부터 또 다른 배기가스를 수용하는 또 다른 입구 영역과, 또 다른 출구 영역과, 상기 또 다른 입구 영역에 수용된 또 다른 배기가스를 상기 또 다른 입구 영역으로부터 상기 또 다른 출구 영역으로 이송하기 위해 상기 또 다른 입구 영역과 또 다른 출구 영역을 연결하는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배기가스는 연료 배기가스이고, 상기 또 다른 배기가스는 옥시던트 배기가스이며,
    상기 제2매니폴드는 상기 단부판 조립체의 입구 영역과 연결되고, 상기 제1매니폴드는 상기 또 다른 단부판 조립체의 또 다른 입구 영역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조립체
  65. 삭제
  66. 제64항에 있어서,
    (a) 상기 또 다른 단부판 조립체는 연료를 수용하는 또 다른 입구 영역과, 또 다른 출구영역과, 상기 또 다른 입구영역에 수용된 연료를 상기 또 다른 입구영역으로부터 상기 또 다른 출구영역으로 이송하기 위해 상기 또 다른 입구영역과 또 다른 출구영역을 연결하는 통로를 포함하거나;
    (b) 상기 또 다른 단부판 조립체는 연료를 수용하는 또 다른 입구 영역과, 또 다른 출구영역과, 상기 또 다른 입구영역에 수용된 연료를 상기 또 다른 입구영역으로부터 상기 또 다른 출구영역으로 이송하기 위해 상기 또 다른 입구영역과 또 다른 출구영역을 연결하는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연료전지 스택 조립체는 제1표면과 인접하는 제3매니폴드를 포함하며, 제3매니폴드는 상기 또 다른 단부판 조립체의 또 다른 출구 영역과 연결되거나;
    (c) 상기 제2매니폴드는 상기 단부판 조립체의 입구 영역과 중첩되고, 상기 제1매니폴드는 상기 또 다른 단부판 조립체의 또 다른 입구 영역과 중첩되거나;
    (d) 상기 단부판 조립체와 상기 또 다른 단부판 조립체 각각은 상부 또는 하부벽 및 상부 및 하부 벽을 연결하는 다수의 측별을 구비하는 중공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조립체.
  67. 스택에 배치되는 다수의 연료전지와,
    상기 스택의 한쪽 단부에서 연료전지와 인접한 단부판 조립체; 및
    상기 단부와 대향하는 스택의 또 다른 단부에서 연료전지와 인접한 또 다른 단부판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단부판 조립체는 스택으로부터 배기가스를 수용하는 입구 영역과, 출구 영역과, 입구 영역에 수용된 배기가스를 입구 영역으로부터 출구 영역으로 이송하기 위해 상기 입구 영역과 출구 영역을 연결하는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또 다른 단부판 조립체는 스택으로부터 또 다른 배기가스를 수용하는 또 다른 입구 영역과, 또 다른 출구 영역과, 상기 또 다른 입구 영역에 수용된 또 다른 배기가스를 상기 또 다른 입구 영역으로부터 상기 또 다른 출구 영역으로 이송하기 위해 상기 또 다른 입구 영역과 또 다른 출구 영역을 연결하는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단부판 조립체와 상기 또 다른 단부판 조립체 각각은 상부 또는 하부벽 및 상부 및 하부 벽을 연결하는 다수의 측벽을 구비하는 중공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입구 영역은 상기 단부판 조립체의 중공 몸체의 제1 측벽안에 있으며 상기 출구 영역은 상기 단부판 조립체의 중공 몸체의 제2 측벽안에 있으며 상기 단부판 조립체의 상기 통로는 상기 단부판 조립체의 몸체의 내부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또 다른 입구 영역은 상기 또 다른 단부판 조립체의 중공 몸체의 제1 측벽에 있으며 상기 또 다른 출구 영역은 상기 또 다른 단부판 조립체의 중공 몸체의 제2 측벽에 있으며 상기 또 다른 단부판 조립체의 상기 통로는 상기 또 다른 단부판 조립체의 몸체의 내부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조립체.
  68.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스택의 전기적 출력 단자로서 기능하는 상기 단부판 조립체의 중공 몸체의 상부벽에 고정되는 단자;와
    상기 스택의 전기적 출력 단자로서 기능하는 상기 또 다른 단부판 조립체의 중공 몸체의 하부벽에 고정되는 추가의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조립체.
  69.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판 조립체의 중공 몸체의 상기 제1 및 제2 측벽은 서로에 대해서 대향적으로 위치하고,
    상기 또 다른 단부판 조립체의 중공 몸체의 제1 및 제2 측벽은 서로 이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조립체.
  70.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스택은 연료 가스를 수용하고 배기되는 연료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대향하는 각각의 제1 및 제2표면과, 옥시던트 가스를 수용하고 배기되는 옥시던트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대향하는 각각의 제3 및 제4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연료 전지 조립체는 추가적으로 제2표면 및 제4표면과 인접하는 제1매니폴드와 제2매니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매니폴드는 상기 단부판 조립체의 입구 영역과 중첩되고, 상기 제2매니폴드는 상기 또 다른 단부판 조립체의 또 다른 입구 영역과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조립체.
  71.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스택의 전기적 출력 단자로서 기능하는 상기 단부판 조립체의 중공 몸체 상부벽에 고정되는 단자;와
    상기 스택의 전기적 출력 단자로서 기능하는 상기 또 다른 단부판 조립체의 중공 몸체의 상기 하부벽에 고정되는 추가의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조립체..
  72.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또 다른 단부판 조립체는 연료를 수용하는 또 다른 입구 영역과, 또 다른 출구영역과, 상기 또 다른 입구영역에 수용된 연료를 상기 또 다른 입구영역으로부터 상기 또 다른 출구영역으로 이송하기 위해 상기 또 다른 입구영역과 또 다른 출구영역을 연결하는 통로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조립체.
  73.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또 다른 입구 영역은 상기 또 다른 단부판 조립체의 중공 몸체의 제2 측벽에 있으며 상기 또 다른 출구 영역은 상기 또 다른 단부판 조립체의 중공 몸체의 상기 제1측벽에 대향하는 제3 측벽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조립체.
  74. 청구항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스택은 각각 연료 가스를 수용하고 배기되는 연료 가스를 배출하기 위해 대향하는 각각의 제1 및 제2표면과, 옥시던트 가스를 수용하고 배기되는 옥시던트 가스를 배출하기 위해 대향하는 각가의 제3 및 제4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연료 전지 조립체는 추가적으로 제1, 제2 및 제4 표면과 인접하는 제1, 제2 및 제3의 매니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3매니폴드는 상기 단부판 조립체의 입구 영역과 중첩되고, 상기 제1매니폴드는 상기 또 다른 단부판 조립체의 또 다른 출구 영역과 중첩되고, 상기 제2 매니폴드는 상기 또 다른 단부판 조립체의 또 다른 입구 영역과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조립체.
  75. 청구항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판 조립체의 중공 몸체의 상기 제1 및 제2 측벽은 서로에 대해서 대향적으로 위치하고,
    상기 또 다른 단부판 조립체의 중공 몸체의 제1 및 제2 측벽은 서로 이어져 있으며,
    상기 또 다른 단부판 조립체의 중공 몸체의 제2 및 제3 측벽은 서로 이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조립체.
  76. 청구항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스택은 각각 연료 가스를 수용하고 배기되는 연료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대향하는 각각의 제1 및 제2표면과, 옥시던트 가스를 수용하고 배기되는 옥시던트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대향하는 각각의 제3 및 제4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연료 전지 조립체는 추가적으로 제1, 제2 및 제4 표면과 인접하는 제1, 제2 및 제3의 매니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3매니폴드는 상기 단부판 조립체의 입구 영역과 중첩되고, 상기 제1매니폴드는 상기 또 다른 단부판 조립체의 상기 또 다른 출구 영역과 중첩되고, 상기 제2 매니폴드는 상기 또 다른 단부판 조립체의 또 다른 입구 영역과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조립체.
  77. 청구항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스택의 전기적 출력 단자로서 기능하는 상기 단부판 조립체의 중공 몸체 상부벽에 고정되는 단자;와
    상기 스택의 전기적 출력 단자로서 기능하는 상기 또 다른 단부판 조립체의 중공 몸체의 상기 하부벽에 고정되는 추가의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조립체.
KR1020077005400A 2004-08-11 2005-08-09 모듈형 연료전지 스택 조립체 KR1012938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916,235 2004-08-11
US10/916,235 US7323270B2 (en) 2004-08-11 2004-08-11 Modular fuel-cell stack assembly
PCT/US2005/028133 WO2006020572A2 (en) 2004-08-11 2005-08-09 Modular fuel-cell stack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9200A KR20070049200A (ko) 2007-05-10
KR101293897B1 true KR101293897B1 (ko) 2013-08-06

Family

ID=35800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5400A KR101293897B1 (ko) 2004-08-11 2005-08-09 모듈형 연료전지 스택 조립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323270B2 (ko)
EP (1) EP1787351A4 (ko)
JP (1) JP2008510277A (ko)
KR (1) KR101293897B1 (ko)
CN (1) CN101120472A (ko)
WO (1) WO200602057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70762A (ko) 2022-11-14 2024-05-22 주식회사 태영산전 연료전지용 스텍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19964A1 (fr) * 2007-08-06 2009-02-13 Air Liquide Procede de fabrication d'embase pour systeme a pile a combustible, embase et systeme obtenus par un tel procede
US8241810B2 (en) 2007-10-22 2012-08-14 Hydrogenics Corporation Racked power supply ventilation
KR101678696B1 (ko) * 2008-06-06 2016-11-22 퓨얼 셀 에너지, 인크 연료전지 스택 모듈에 사용하기 위한 아노드 가스 산화기 및 집적된 외부 매니폴드를 포함하는 모듈형 연료전지 스택 조립체
DE102009013587A1 (de) * 2008-09-19 2010-03-25 Mtu Onsite Energy Gmbh Brennstoffzellenanordnung mit verbessertem Gasmischer
DE102009013599A1 (de) * 2008-09-19 2010-03-25 Mtu Onsite Energy Gmbh Brennstoffzellenanordnung mit verbesserter Gasrückführung
US8765322B2 (en) * 2008-11-05 2014-07-01 Ballard Power Systems Inc. Fuel cell support structure and method of assembly/disassembly thereof
CN102117922A (zh) * 2009-12-07 2011-07-06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平板式燃料电池模块及其流场板
DE102010028961A1 (de) * 2010-05-12 2011-11-17 Trumpf Werkzeugmaschinen Gmbh + Co. Kg Modulares Brennstoffzellensystem
US9356307B2 (en) 2010-05-27 2016-05-31 Delphi Technologies, Inc. Multiple stack fuel cell system
US9564650B2 (en) * 2011-08-02 2017-02-07 The Charles Stark Draper Laboratory, Inc. Methods for continuous direct carbon fuel cell operation with a circulating electrolyte slurry
JP6016520B2 (ja) * 2012-08-22 2016-10-26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燃料電池モジュール
KR101939687B1 (ko) 2014-01-31 2019-01-18 퓨얼 셀 에너지, 인크 수소 생성을 위한 개질기-전해조-정제기(rep) 어셈블리, 이를 통합한 시스템들 및 수소를 생성하는 방법
CA2979119A1 (en) * 2015-04-23 2016-10-27 Lg Fuel Cell Systems Inc. Modular fuel cell system
EP3377214B1 (en) 2015-11-16 2020-09-09 Fuelcell Energy, Inc. Energy storage using an rep with an engine
CN108604697B (zh) 2015-11-16 2021-06-04 燃料电池能有限公司 从燃料电池捕集co2的系统
KR101992794B1 (ko) 2015-11-17 2019-06-25 퓨얼 셀 에너지, 인크 부분 산화와 함께 rep를 사용한 수소 및 일산화탄소 생성
CN108604696B (zh) 2015-11-17 2021-10-19 燃料电池能有限公司 具有增强的co2捕集的燃料电池系统
WO2017184703A1 (en) 2016-04-21 2017-10-26 Fuelcell Energy, Inc. Fluidized catalytic cracking unit system with integrated reformer-electrolyzer-purifier
AT518957B1 (de) * 2016-08-02 2020-03-15 Avl List Gmbh Generatoreinheit mit einer brennstoffzellenvorrichtung, fahrzeug mit einer solchen generatoreinheit und endrohrvorrichtung für eine generatoreinheit
US20190356002A1 (en) * 2016-12-30 2019-11-21 Fuelcell Energy, Inc. External mixer-eductor-oxidizer and module connections thereof
US10897055B2 (en) 2017-11-16 2021-01-19 Fuelcell Energy, Inc. Load following power generation and power storage using REP and PEM technology
KR102130212B1 (ko) * 2018-08-31 2020-07-03 (주)두산 모빌리티 이노베이션 연료전지 파워팩
CN109509895A (zh) * 2018-12-20 2019-03-22 中国地质大学(武汉) 一种固体氧化物燃料电池
US11495806B2 (en) 2019-02-04 2022-11-08 Fuelcell Energy, Inc. Ultra high efficiency fuel cell power generation system
CN110534776B (zh) * 2019-09-17 2021-03-26 武汉雄韬氢雄燃料电池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fluent仿真的燃料电池多堆分配内腔结构优化的方法
CN113809377B (zh) * 2021-08-11 2023-02-28 上海空间电源研究所 一种模块化串并联燃料电池堆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10612A (en) * 1999-04-19 2000-08-29 Plug Power Inc. Structure for common access and support of fuel cell stacks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67781A (en) * 1933-04-17 1934-07-24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Heat exchange apparatus
US3101930A (en) * 1958-09-10 1963-08-27 Huet Andre Tubular heat exchanger
NL129942C (ko) * 1961-05-08 1900-01-01
JPS54147438A (en) * 1978-05-10 1979-11-17 Fuji Electric Co Ltd Laminated fuel battery
JPS60105177A (ja) 1983-11-11 1985-06-10 Sanyo Electric Co Ltd 空冷式燃料電池
US4548875A (en) * 1984-03-27 1985-10-22 Westinghouse Electric Corp. Heated transportable fuel cell cartridges
CN1010723B (zh) * 1985-06-07 1990-12-05 三洋电机株式会社 燃料电池集电设备
US4853301A (en) * 1985-12-04 1989-08-0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Fuel cell plates with skewed process channels for uniform distribution of stack compression load
JPS6448381A (en) 1987-08-19 1989-02-22 Sanyo Electric Co Current collector for fuel cell
JPH0652668B2 (ja) 1987-09-30 1994-07-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燃料電池
US5009968A (en) * 1989-09-08 1991-04-23 International Fuel Cells Corporation Fuel cell end plate structure
JPH0831322B2 (ja) * 1989-09-20 1996-03-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内部改質型燃料電池およびそれを用いた発電プラント
JPH0758619B2 (ja) 1990-09-13 1995-06-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複合大容量型ガスヘッダー構造
US5324565A (en) * 1992-12-17 1994-06-28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Conductive elastomeric compression pad for use in electrolysis cells
US5914200A (en) * 1993-06-14 1999-06-22 Siemens Aktiengesellschaft High-temperature fuel cell stack arrangement with centrally located exit air space
JP2518594B2 (ja) 1993-06-21 1996-07-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燃料電池スタック
DE4425186C1 (de) * 1994-07-16 1996-03-07 Mtu Friedrichshafen Gmbh Brennstoffzellenanordn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rennstoffzellenanordnung
JP3595027B2 (ja) 1994-10-21 2004-12-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0757398A1 (de) * 1995-07-25 1997-02-05 DORNIER GmbH Anordnung von mehreren Brennstoffzellen-Stacks zu einem Modul
JPH09293528A (ja) 1996-04-26 1997-11-11 Toshiba Corp 燃料電池
US6106964A (en) * 1997-06-30 2000-08-22 Ballard Power Systems Inc. Solid polymer fuel cell system and method for humidifying and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a reactant stream
WO2000034638A1 (en) * 1998-12-11 2000-06-15 Alliedsignal Inc. Power generation system, and heat exchanger and operating method for a power generation system
DE19910129C1 (de) * 1999-02-28 2000-06-29 Heliocentris Energiesysteme Brennstoffzellensystem zur elektrochemischen Energieerzeugung
US6887611B2 (en) * 2000-08-11 2005-05-03 Michael Cramer Flexible fuel cell gas manifold system
US6531238B1 (en) * 2000-09-26 2003-03-11 Reliant Energy Power Systems, Inc. Mass transport for ternary reaction optimization in a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assembly and stack assembly
AU2002210302A1 (en) * 2000-11-08 2002-05-21 Fuelcell Energy, Ltd. Fuel cell interconnect
US6692859B2 (en) * 2001-05-09 2004-02-17 Delphi Technologies, Inc. Fuel and air supply base manifold for modular solid oxide fuel cells
US6752937B2 (en) * 2001-12-17 2004-06-22 Quantum Composites, Inc. Highly conductive molding compounds having an increased distribution of large size graphite particles
US6875535B2 (en) * 2002-04-15 2005-04-05 Hydrogenics Corporation Manifold for a fuel cell system
EP1525636B1 (en) * 2002-06-21 2013-04-17 Versa Power Systems, Ltd. Fuel cell insulating heat exchanger
US6974646B2 (en) 2002-06-24 2005-12-13 Delphi Technologies, Inc. Solid-oxide fuel cell assembly having an electronic control unit within a structural enclosure
US6844100B2 (en) * 2002-08-27 2005-01-18 General Electric Company Fuel cell stack and fuel cell module
US7070874B2 (en) * 2002-12-24 2006-07-04 Fuelcell Energy, Inc. Fuel cell end unit with integrated heat exchanger
JP4362359B2 (ja) * 2003-12-26 2009-11-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及び燃料電池スタック
JP4505204B2 (ja) * 2003-10-03 2010-07-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10612A (en) * 1999-04-19 2000-08-29 Plug Power Inc. Structure for common access and support of fuel cell stack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70762A (ko) 2022-11-14 2024-05-22 주식회사 태영산전 연료전지용 스텍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20472A (zh) 2008-02-06
WO2006020572A3 (en) 2007-09-27
JP2008510277A (ja) 2008-04-03
KR20070049200A (ko) 2007-05-10
EP1787351A4 (en) 2012-03-07
US20080171257A1 (en) 2008-07-17
US7754393B2 (en) 2010-07-13
EP1787351A2 (en) 2007-05-23
US20060035135A1 (en) 2006-02-16
WO2006020572A2 (en) 2006-02-23
US7323270B2 (en) 2008-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3897B1 (ko) 모듈형 연료전지 스택 조립체
US8962210B2 (en) Modular fuel cell stack assembly including anode gas oxidizer and integrated external manifolds for use in fuel cell stack modules
US6656623B2 (en) Low-cost atmospheric SOFC power generation system
US8026013B2 (en) Annular or ring shaped fuel cell unit
EP1425814B1 (en) Horizontal solid oxide fuel cell tube systems and methods
EP0914687B1 (en) Solid oxide fuel cell generator with removable modular fuel cell stack configurations
US6200696B1 (en) Internal reforming fuel cell assembly with simplified fuel feed
US20070196704A1 (en) Intergrated solid oxide fuel cell and fuel processor
JPH0131270B2 (ko)
US8021794B2 (en) Fuel cell with cross-shaped reformer
JPH0654688B2 (ja) 高温電池装置
US7524572B2 (en) Fuel cell system with thermally integrated combustor and corrugated foil reformer
WO2008021718A2 (en) Integrated solid oxide fuel cell and fuel processor
US20090130533A1 (en) Fuel cell
JP7389563B2 (ja) 熱交換器及びマニホールドを有する熱交換器コア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EP3486988A1 (en) Fuel cell module and fluid supply device used therefor
Patel Modular fuel-cell stack assembly
JPH02309564A (ja) 燃料電池用下部ホルダー
AU2002303948A1 (en) Horizontal solid oxide fuel cell tube systems and methods
JP2013077525A (ja) 燃料電池装置
KR20080105473A (ko) 판형 개질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