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3310B1 - 전원공급완충부를 포함하는 배터리팩 - Google Patents

전원공급완충부를 포함하는 배터리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3310B1
KR101293310B1 KR1020120040380A KR20120040380A KR101293310B1 KR 101293310 B1 KR101293310 B1 KR 101293310B1 KR 1020120040380 A KR1020120040380 A KR 1020120040380A KR 20120040380 A KR20120040380 A KR 20120040380A KR 101293310 B1 KR101293310 B1 KR 101293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ack
power supply
pcb module
module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0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기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랜텍
Priority to KR1020120040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33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3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3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완충부를 포함하는 배터리팩은 복수개의 배터리셀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배터리팩모듈과, 상기 배터리팩모듈에 결합되는 셀피시비모듈과, 상기 셀피시비모듈에 결합되는 비엠에스 피시비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비엠에스 피시비모듈의 단자부와 부하 사이에는 전원공급완충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배터리팩에 의한 전원 공급 시 순간적으로 과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셀피시비모듈과 비엠에스피시비모듈간의 연결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작업의 불량율을 낮추고 내부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셀피시비모듈과 비엠에스피시비모듈간의 견고한 결합을 이루면서도 외부의 충격력 작용시 완충력을 발휘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원공급완충부를 포함하는 배터리팩{BATTERY PACK COMPRISING POWER SUPPLY DAMPING PORTION}
본 발명은 전기자전거 또는 전기스쿠터용 배터리팩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팩을 장치에 설치하여 전원을 공급할 경우 순간적으로 과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원공급완충부를 포함하는 배터리팩에 관한 발명이다.
전기자전거 또는 전기스쿠터는 배터리팩에 의한 전원 공급에 의해 모터가 구동됨으로써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팩에 포함되는 배터리로서는 최근 리튬 배터리가 주로 이용되는데, 상기 리튬 배터리는 액체 전해질을 이용하는 리튬 이온 배터리와 고체 폴리머를 이용하는 리튬 폴리머 배터리가 있다.
상기 전기자전거 또는 전기스쿠터용 배터리팩은 상기 리튬 배터리를 10개 내외로 직렬 연결하여 하나의 팩의 형태로써 장착하게 된다.
상기 배터리팩에는 다수개의 배터리 셀 전압 측정을 위한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피시비모듈이 장착되는데, 도 1 에서와 같이 다수 개 배터리셀(110)의 연결을 위한 셀피시비모듈(120) 과 비엠에스 피시비모듈(130)의 단자부는 케이블(140)을 통해 연결되고, 또한 상기 비엠에스피시비모듈(130)은 하네스 케이블 어셈블리(150)를 통해 셀피시비모듈(120)에 연결되었다.
상기와 같은 케이블(140) 및 하네스 케이블 어셈블리(150)를 통한 연결 상태에서는 연결을 위한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내부 저항 증가로 인한 전압 강하가 발생하며, 조립 작업 시 불량이 빈번히 발생되었다.
한편, 통상 전기자전거 또는 전기스쿠터용 배터리팩은 충전 또는 분실 방지를 위해 자전거 또는 스쿠터로부터 분리하여 보관하는데, 장치에 장착하여 스위치(170)를 온시켜 전원을 공급할 경우 순간적인 과부하가 인가되어 배터리팩 손상의 원인이 된다.
또한, 순간적인 과부하에 의해 스파크가 발생되어 배터리팩의 단자부 또는 케이블 등이 손실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팩에 의한 전원 공급 시 순간적으로 과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원공급완충부를 포함하는 배터리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셀피시비모듈과 비엠에스피시비모듈간의 연결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작업의 불량율을 낮추고 내부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원공급완충부를 포함하는 배터리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셀피시비모듈과 비엠에스피시비모듈간의 견고한 결합을 이루면서도 외부의 충격력 작용시 완충력을 발휘할 수 있는 전원공급완충부를 포함하는 배터리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완충부를 포함하는 배터리팩은 복수개의 배터리셀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배터리팩모듈과, 상기 배터리팩모듈에 결합되는 셀피시비모듈과, 상기 셀피시비모듈에 결합되는 비엠에스 피시비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비엠에스 피시비모듈의 단자부와 부하 사이에는 전원공급완충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원공급완충부는 저항과 컨덴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셀피시비모듈과 비엠에스 피시비모듈은 핀커넥터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볼트와 너트에 의해 기계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트와 너트 사이에는 완충부재가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완충부재는 스프링 또는 스프링 와셔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배터리팩은 전기자전거 또는 전기 스쿠터용 배터리팩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트와 너트는 상기 셀피시비모듈과 상기 비엠에스 피시비모듈의 단자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의해, 배터리팩에 의한 전원 공급 시 순간적으로 과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셀피시비모듈과 비엠에스피시비모듈간의 연결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작업의 불량율을 낮추고 내부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셀피시비모듈과 비엠에스피시비모듈간의 견고한 결합을 이루면서도 외부의 충격력 작용시 완충력을 발휘할 수 있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종래 전기자전거용 배터리팩의 사시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전거용 배터리팩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전거용 배터리팩의 사시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완충부를 포함하는 배터리팩은 복수개의 배터리셀(2)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배터리팩모듈(10)과, 상기 배터리팩모듈(10)에 결합되는 셀피시비모듈(20)과, 상기 셀피시비모듈(20)에 결합되는 비엠에스 피시비모듈(30)을 포함하며, 상기 비엠에스 피시비모듈(30)의 단자부(60)와 부하 사이에는 전원공급완충부(40)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터리셀(2)은 바람직하게는 리튬 이온전지로 구성되며, 전기자전거용 또는 전기스쿠터용 배터리팩(10)은 통상 13개 내외의 배터리셀(2)을 적층하여 배터리팩을 구성한다.
상기 배터리셀(2)은 상기 셀피시비모듈(2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셀피시비모듈(20)은 상기 배터리셀(2)들의 단자부에 결합되어 직렬 또는 병렬의 연결상태로 상기 배터리셀(2)들을 연결함으로써, 전체 배터리팩(10)에 의해 동력을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비엠에스(BMS:Battery Management System) 피시비모듈(30)은 상기 셀피시비모듈(20)로부터 개별 배터리셀(2)들의 전압값을 센싱하여 개별 배터리셀(2)의 과충전으로 인한 과열 또는 폭발 등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비엠에스 피시비모듈(30)은 상기 셀피시비모듈(20)과 핀커넥터(5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셀의 전압값을 센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비엠에스 피시비모듈(30)과 셀피시비모듈(20)이 핀커넥터(50)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상기 두 구성이 하네스 케이블 어셈블리를 통해 연결되는 종래 배터리팩에 비해 연결 작업이 단순해지면서도 전체 내부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셀피시비모듈(20)과 비엠에스 피시비모듈(30)의 단자 부분은 볼트(60)와 너트(65)를 통해 기계적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볼트(60)와 너트(65) 사이에는 스프링 또는 스프링와셔와 같은 완충부재(67)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셀피시비모듈(20)과 비엠에스 피시비모듈(30)이 결합된다.
그리하여, 상기 셀피시비모듈(20)과 비엠에스 피시비모듈(30)간의 기계적 연결작업을 단순화하면서도, 상기 비엠에스 피시비모듈(30)에 외부로부터의 충격력이 작용될 경우에도 상기 완충부재(57)에 의해 충격력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셀피시비모듈(20)과 비엠에스 피시비모듈(30)의 단자 부분이 볼트(60)와 너트(65)를 통해 기계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두 구성이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종래 배터리팩에 비해 기계적 연결 작업이 매우 단순해져 작업시간이 감축되고, 전체 내부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 배터리팩에 비해 전체 구성이 컴팩트해지면서도 외부의 충격력에 대한 완충력을 발휘함으로써, 전기자전거 또는 전기스쿠터에 대한 착탈 결합이 반복되는 상황에서의 사용 수명을 보다 연장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배터리팩(10)의 단자부(60)와 부하 사이에는 전원공급완충부(40)가 배치됨으로써, 상기 배터리팩(10)을 전기자전거 또는 전기스쿠터에 장착하여 스위치(70)를 온시켰을 경우에 순간적으로 과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원공급완충부(40)는 저항(42)과 컨덴서(44)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스위치(70)를 온시켜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더라도, 상기 저항(42)과 컨덴서(44)의 작용에 의해 짧은 시간이나마 전원공급시간이 지연되어 부하측으로 전원이 공급된다.
따라서, 배터리팩과 부하 사이에 마련된 스위치의 온에 의해 전원이 갑작스럽게 공급되는 종래 배터리팩에 비해, 순간적인 과부하에 의해 스파크가 발생되어 배터리팩의 단자부 또는 케이블 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배터리팩 20: 셀피시비모듈
30: 비엠에스 피시비모듈 40: 전원공급완충부
50: 핀커넥터 60: 단자부

Claims (7)

  1. 복수개의 배터리셀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배터리팩모듈과;
    상기 배터리팩모듈에 결합되는 셀피시비모듈과;
    상기 셀피시비모듈에 결합되는 비엠에스 피시비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비엠에스 피시비모듈의 단자부와 부하 사이에는 전원공급완충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완충부를 포함하는 배터리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완충부는 저항과 컨덴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완충부를 포함하는 배터리팩.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셀피시비모듈과 비엠에스 피시비모듈은 핀커넥터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볼트와 너트에 의해 기계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완충부를 포함하는 배터리팩.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와 너트 사이에는 완충부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완충부를 포함하는 배터리팩.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스프링 또는 스프링 와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완충부를 포함하는 배터리팩.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팩은 전기자전거 또는 전기 스쿠터용 배터리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완충부를 포함하는 배터리팩.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와 너트는 상기 셀피시비모듈과 상기 비엠에스 피시비모듈의 단자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완충부를 포함하는 배터리팩.
KR1020120040380A 2012-04-18 2012-04-18 전원공급완충부를 포함하는 배터리팩 KR101293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380A KR101293310B1 (ko) 2012-04-18 2012-04-18 전원공급완충부를 포함하는 배터리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380A KR101293310B1 (ko) 2012-04-18 2012-04-18 전원공급완충부를 포함하는 배터리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3310B1 true KR101293310B1 (ko) 2013-08-05

Family

ID=49219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0380A KR101293310B1 (ko) 2012-04-18 2012-04-18 전원공급완충부를 포함하는 배터리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33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3515A (ko) * 2017-08-29 2019-03-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절연 디바이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3377A (ko) * 2006-09-11 2008-03-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 향상을 위한 전지 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090082717A (ko) * 2008-01-28 2009-07-31 넥스콘 테크놀러지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bms 보드 일체형 고전압배터리팩
KR20110084754A (ko) * 2010-01-18 2011-07-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센싱보드가 내장된 배터리팩과 그것을 채용한 전력저장시스템
KR20120055018A (ko) * 2010-11-22 2012-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3377A (ko) * 2006-09-11 2008-03-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 향상을 위한 전지 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090082717A (ko) * 2008-01-28 2009-07-31 넥스콘 테크놀러지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bms 보드 일체형 고전압배터리팩
KR20110084754A (ko) * 2010-01-18 2011-07-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센싱보드가 내장된 배터리팩과 그것을 채용한 전력저장시스템
KR20120055018A (ko) * 2010-11-22 2012-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3515A (ko) * 2017-08-29 2019-03-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절연 디바이스
KR102366377B1 (ko) * 2017-08-29 2022-02-2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절연 디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4712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팩
KR102032504B1 (ko) 내충격성이 향상된 배터리 모듈
US9331325B2 (en) Battery pack
US7782016B2 (en) Hybrid-typed battery pack operated in high efficiency
US9705113B2 (en) Plug-in system for combining lithium-polymer batteries and for connecting same to form a battery system
US20130022848A1 (en) Cell Assembly hav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Individual Cells which are Electrically Connected Parallel and/or in Series with One Another
CA2589892A1 (en) Secondary battery module
US10116156B2 (en) Hybrid battery
CN110364675B (zh) 单体电池、动力电池包和车辆
WO2009066880A3 (en) Battery module of improved safety and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pack containing the same
CN105489799A (zh) 免焊接易维护可并联锂电池组
US20160172653A1 (en) Battery containment
CN103022582B (zh) 汽车动力电池单体电压采样结构
CN105811495A (zh) 车用锂电池的安全保护装置
KR20150049959A (ko)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배터리 팩 조립체
KR101338240B1 (ko) 비엠에스 피시비모듈 연결구조가 개선된 배터리팩
JP6193016B2 (ja) 車載用の電源装置及び電源装置を備える車両
KR101293310B1 (ko) 전원공급완충부를 포함하는 배터리팩
KR101374240B1 (ko) 비엠에스모듈에 대한 전원공급완충부를 포함하는 배터리팩
CN202189852U (zh) 一种动力锂离子电池组
KR20120136542A (ko)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단자 연결 구조
CN203596379U (zh) 一种用于电动自行车的动力电池组
KR101480284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배터리팩 모듈
CN202977643U (zh) 汽车动力电池单体电压采样结构
TWI655120B (zh) 使用再生能源電力之主動式放電平衡增程裝置及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