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3266B1 - 허리둘레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허리둘레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3266B1
KR101293266B1 KR1020130054606A KR20130054606A KR101293266B1 KR 101293266 B1 KR101293266 B1 KR 101293266B1 KR 1020130054606 A KR1020130054606 A KR 1020130054606A KR 20130054606 A KR20130054606 A KR 20130054606A KR 101293266 B1 KR101293266 B1 KR 101293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topper
strip
plat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4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섭
Original Assignee
최용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섭 filed Critical 최용섭
Priority to KR1020130054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32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3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3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41F9/02Expansible or adjustable belts or girdles ; Adjustable fasteners comprising a track and a slide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면서 내구성이 향상된 새로운 구조의 허리둘레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허리둘레 조절장치는 고정수단(B)이 상부본체(23)와 하부본체(24)가 결합되어 구성된 본체(20)와, 상기 본체(20)에 시이소운동가능하게 결합된 스토퍼(30)로 구성되어,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내구성이 매우 높은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허리둘레 조절장치{waist adjusting device}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면서 내구성이 향상된 새로운 구조의 허리둘레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지나 치마와 같은 하의의 허리단은 미리 정해진 다양한 치수에 맞춰 생산됨으로, 사용자가 자신의 허리둘레부의 치수에 맞는 하의를 구입하여 착용하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의 허리둘레는 사용자의 체중변화에 따라 변화하게 됨으로, 하의를 구입한 후 사용자가 살이 찌거나 마름에 따라 허리둘레부가 맞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하의의 허리단 치수는 미리 정해진 규격대로 생산됨으로, 하의의 허리단 치수가 사용자의 허리둘레부와 정확히 맞지 않아서,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등록실용신안 20-0466613호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의의 허리둘레부에 결합되어 하의의 허리단 치수를 사용자가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된 허리둘레 조절장치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허리둘레 조절장치는 하의의 허리단에 형성된 절개부 일측에 결합된 스트립과, 상기 절개부의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스트립이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트립에는 래칫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수단에는 상기 래칫에 결합되는 결합수단이 결합되어, 상기 스트립을 고정수단으로 밀면 상기 래칫이 결합수단과 맞물려 스트립이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여 하의의 허리단이 조여지도록 하고, 상기 결합수단과 래칫의 결합을 해제하면 스트립이 후퇴되면서 허리단이 늘어나게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허리둘레 조절장치는 사용자가 하의의 허리단 치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음으로,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허리둘레 조절장치는 상기 고정수단의 구조가 복잡하고, 많은 수의 부품으로 구성됨으로, 코스트가 상승될 뿐 아니라, 내구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면서 내구성이 향상된 새로운 구조의 허리둘레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의의 허리단에 형성된 절개부의 일측에 고정된 스트립(A)과, 상기 절개부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스트립(A)이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수단(B)을 포함하며, 상기 스트립(A)에는 다수개의 래칫돌기(10)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수단(B)은 상부본체(23)와 하부본체(24)를 상호 결합하여 구성되며 양측에 개구부(21)가 형성되고 일측에 결합공(22)이 형성된 본체(20)와, 중간부가 상기 결합공(22)에 시이소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본체(20)의 내부로 삽입된 삽입단(31)의 단부에는 상기 래칫돌기(10)와 맞물리는 걸림부(31a)가 형성된 스토퍼(3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20)의 내부에는 상기 하부본체(24)의 중간부를 절개하여 상기 스토퍼(30)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벤딩되어 스토퍼(30)의 삽입단(31)을 상측으로 탄성가압하는 탄성부(24e)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둘레 조절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부본체(23)는 상판(23a)과, 상기 상판(23a)의 전후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판(23b)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본체(24)는 하판(24a)과, 상기 하판(24a)의 전후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판(24b)으로 구성되며, 상기 탄성부(24e)는 상기 하판(24a)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본체(23)와 하부본체(24)의 측판(23b,24b)에는 상호 대응되는 고정공(24c)과 걸림턱(23c)이 형성되어, 상부본체(23)와 하부본체(24)를 상호 결합하면, 상기 걸림턱(23c)이 고정공(24c)에 끼워져 상부본체(23)와 하부본체(24)가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되고, 상기 상부본체(23)의 측판(23b) 하단과 하부본체(24)의 측판(24b) 상단에는 상호 겹쳐져 상기 결합공(22)을 형성하는 오목홈(23d,24d)이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상부본체(23)와 하부본체(24)를 상호 결합하면 상기 오목홈(23d,24d)이 상호 겹쳐져 상기 결합공(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둘레 조절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스토퍼(30)는 상기 본체(20)의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단(31)과, 상기 본체(20)의 외부에 위치되는 돌출단(32)과, 상기 삽입단(31)과 돌출단(32)의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결합공(22)에 삽입되는 협경부(33)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단(31)은 평판형태로 구성되고 일측에 상기 걸림부(31a)가 상향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돌출단(32)의 외측단은 상측으로 벤딩되어 사용자가 돌출단(32)의 상단을 손으로 눌러 스토퍼(30)의 삽입단(31)을 하측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둘레 조절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허리둘레 조절장치는 고정수단(B)이 상부본체(23)와 하부본체(24)가 결합되어 구성된 본체(20)와, 상기 본체(20)에 시이소운동가능하게 결합된 스토퍼(30)로 구성되어,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내구성이 매우 높은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허리둘레 조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허리둘레 조절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허리둘레 조절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허리둘레 조절장치를 도시한 측단면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허리둘레 조절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허리둘레 조절장치의 스토퍼를 도시한 평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허리둘레 조절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허리띠를 도시한 것으로, 하의의 허리단에 형성된 절개부의 일측에 고정된 스트립(A)과, 상기 절개부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스트립(A)이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수단(B)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트립(A)은 강도가 높으면서 휘어질 수 있는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일측에는 다수개의 래칫돌기(10)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수단(B)은 양측에 개구부(21)가 형성되어 상기 스트립(A)이 내부를 관통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일측에 결합공(22)이 형성된 본체(20)와, 중간부가 상기 결합공(22)에 시이소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본체(20)의 내부로 삽입된 삽입단(31)의 단부에는 상기 스트립(A)의 래칫돌기(10)와 맞물리는 걸림부(31a)가 형성된 스토퍼(3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20)는 상부본체(23)와 하부본체(24)를 상호 결합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본체(23)는 상판(23a)과, 상기 상판(23a)의 전후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판(23b)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본체(24)는 하판(24a)과, 상기 하판(24a)의 전후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판(24b)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본체(24)의 하판(24a)에는, 하판(24a)의 중간부를 절개하여 상기 스토퍼(30)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벤딩되어 스토퍼(30)의 삽입단(31)을 상측으로 탄성가압하는 탄성부(24e)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본체(23)와 하부본체(24)의 측판(23b.24b)에는 상호 대응되는 고정공(24c)과 걸림턱(23c)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본체(23)의 전후방향 폭은 상기 하부본체(24)의 전후방향 폭에 비해 좁게 구성되어, 상기 상부본체(23)와 하부본체(24)를 상호 결합하면, 상부본체(23)의 측판(23b)의 외측면이 상기 하부본체(24)의 측판(24b)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공(24c)은 상기 하부본체(24)의 측판(24b)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23c)은 상기 상부본체(23)의 측판(23b)을 절단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벤딩하여 구성되다.
따라서, 상기 상부본체(23)와 하부본체(24)를 상호 결합하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턱(23c)이 고정공(24c)에 끼워져 상부본체(23)와 하부본체(24)가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본체(23)의 측판(23b) 하단과 하부본체(24)의 측판(24b) 상단에는 상호 겹쳐져 상기 결합공(22)을 형성하는 오목홈(23d,24d)이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본체(23)와 하부본체(24)를 상호 결합하면 상기 오목홈(23d,24d)이 상호 겹쳐져 상기 결합공(22)이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3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0)의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단(31)과, 상기 본체(20)의 외부에 위치되는 돌출단(32)과, 상기 삽입단(31)과 돌출단(32)의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결합공(22)에 삽입되는 협경부(3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단(31)은 평판형태로 구성되고 일측에 상기 걸림부(31a)가 상향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돌출단(32)의 외측단은 상측으로 벤딩되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돌출단(32)의 상단을 손으로 눌러 스토퍼(30)의 삽입단(31)을 하측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본체(23)와 하부본체(24)를 결합하기 전에, 상기 오목홈(23d,24d)에 스토퍼(30)의 협경부(33)를 끼운 후 상부본체(23)와 하부본체(24)를 결합하면, 상기 스토퍼(30)의 협경부(33)가 상기 오목홈(23d,24d)이 합쳐져 형성되는 결합공(22)에 기워져 스토퍼(30)가 상기 협경부(33)를 중심으로 시이소운동되도록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삽입단(31)의 하측면이 상기 탄성부(24e)에 의해 상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0)의 개구부(21)에 스트립(A)을 결합하면, 상기 스토퍼(30) 삽입단(31)의 걸림부(31a)와 스트립(A)의 래칫돌기(10)와 맞물려 스트립(A)이 빠지지 않도록 고정되며, 도 7 및 도 8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돌출단(32)의 상단을 누르면 상기 스토퍼(30)의 삽입단(31)이 하강되면서 상기 걸림부(31a)와 래칫돌기(10)의 고정이 해제되어, 스트립(A)을 빼낼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본체(23)와 하부본체(24) 및 스토퍼(30)는 탄성이 있는 금속판을 프레스가공하여 제작된다.
따라서, 상기 스트립(A)을 고정수다(B)쪽으로 밀어 하의의 허리단을 조이거나, 상기 스토퍼(30)의 돌출단(32) 상단을 눌러 스트립(A)을 빼내어서 하의의 허리단을 늘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허리둘레 조절장치는 상기 고정수단(B)이 상부본체(23)와 하부본체(24)가 결합되어 구성된 본체(20)와, 상기 본체(20)에 시이소운동가능하게 결합된 스토퍼(30)로 구성되어,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내구성이 매우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상부본체(23)는 상판(23a)과, 상기 상판(23a)의 전후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판(23b)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본체(24)는 하판(24a)과, 상기 하판(24a)의 전후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판(24b)으로 구성되며, 상기 탄성부(24e)는 상기 하판(24a)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본체(23)와 하부본체(24)의 측판(23b,24b)에는 상호 대응되는 고정공(24c)과 걸림턱(23c)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본체(23)의 측판(23b) 하단과 하부본체(24)의 측판(24b) 상단에는 상기 결합공(22)을 형성하는 오목홈(23d,24d)이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본체(23)와 하부본체(24)를 금속판을 프레스가공하여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부본체(23)와 하부본체(24)의 조립이 매우 간단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30)는 상기 본체(20)의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단(31)과, 상기 본체(20)의 외부에 위치되는 돌출단(32)과, 상기 삽입단(31)과 돌출단(32)의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결합공(22)에 삽입되는 협경부(33)로 구성되며, 상기 삽입단(31)은 평판형태로 구성되고 일측에 상기 걸림부(31a)가 상향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돌출단(32)의 외측단은 상측으로 벤딩되어 사용자가 돌출단(32)의 상단을 손으로 눌러 스토퍼(30)의 삽입단(31)을 하측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스토퍼(30)를 금속판을 프레스가공하여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 스트립 B. 고정수단
10. 래칫돌기 20. 본체
30. 스토퍼

Claims (3)

  1. 하의의 허리단에 형성된 절개부의 일측에 고정된 스트립(A)과,
    상기 절개부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스트립(A)이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수단(B)을 포함하며,
    상기 스트립(A)에는 다수개의 래칫돌기(10)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수단(B)은
    상부본체(23)와 하부본체(24)를 상호 결합하여 구성되며 양측에 개구부(21)가 형성되고 일측에 결합공(22)이 형성된 본체(20)와,
    중간부가 상기 결합공(22)에 시이소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본체(20)의 내부로 삽입된 삽입단(31)의 단부에는 상기 래칫돌기(10)와 맞물리는 걸림부(31a)가 형성된 스토퍼(3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20)의 내부에는 상기 하부본체(24)의 중간부를 절개하여 상기 스토퍼(30)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벤딩되어 스토퍼(30)의 삽입단(31)을 상측으로 탄성가압하는 탄성부(24e)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둘레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본체(23)는
    상판(23a)과,
    상기 상판(23a)의 전후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판(23b)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본체(24)는
    하판(24a)과,
    상기 하판(24a)의 전후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판(24b)으로 구성되며,
    상기 탄성부(24e)는 상기 하판(24a)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본체(23)와 하부본체(24)의 측판(23b,24b)에는 상호 대응되는 고정공(24c)과 걸림턱(23c)이 형성되어,
    상부본체(23)와 하부본체(24)를 상호 결합하면, 상기 걸림턱(23c)이 고정공(24c)에 끼워져 상부본체(23)와 하부본체(24)가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되고,
    상기 상부본체(23)의 측판(23b) 하단과 하부본체(24)의 측판(24b) 상단에는 상호 겹쳐져 상기 결합공(22)을 형성하는 오목홈(23d,24d)이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상부본체(23)와 하부본체(24)를 상호 결합하면 상기 오목홈(23d,24d)이 상호 겹쳐져 상기 결합공(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둘레 조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30)는
    상기 본체(20)의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단(31)과,
    상기 본체(20)의 외부에 위치되는 돌출단(32)과,
    상기 삽입단(31)과 돌출단(32)의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결합공(22)에 삽입되는 협경부(33)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단(31)은 평판형태로 구성되고 일측에 상기 걸림부(31a)가 상향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돌출단(32)의 외측단은 상측으로 벤딩되어 사용자가 돌출단(32)의 상단을 손으로 눌러 스토퍼(30)의 삽입단(31)을 하측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둘레 조절장치.
KR1020130054606A 2013-05-14 2013-05-14 허리둘레 조절장치 KR101293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606A KR101293266B1 (ko) 2013-05-14 2013-05-14 허리둘레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606A KR101293266B1 (ko) 2013-05-14 2013-05-14 허리둘레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3266B1 true KR101293266B1 (ko) 2013-08-16

Family

ID=49219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4606A KR101293266B1 (ko) 2013-05-14 2013-05-14 허리둘레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326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931B1 (ko) * 2014-10-14 2016-02-02 손순용 의류 허리단 둘레 조절장치 및 그를 포함한 허리단 둘레 조절이 가능한 의류
CN105768382A (zh) * 2015-01-08 2016-07-20 柳良锡 控制器、带和包括该控制器及带的带调整装置
KR101721335B1 (ko) * 2015-11-09 2017-03-30 류양석 제어 장치, 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2081A (ko) * 2005-03-11 2005-04-06 (주)아반토 허리 사이즈 조절장치
KR100885850B1 (ko) 2008-08-01 2009-02-26 이종태 하의의 허리단 둘레조절장치
KR200444929Y1 (ko) 2007-07-24 2009-06-17 박순모 허리 사이즈 조절 액세서리 및 그를 구비한 하의
KR20120008008U (ko) * 2011-05-16 2012-11-26 박순모 허리 사이즈 조절 액세서리 및 그를 구비한 하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2081A (ko) * 2005-03-11 2005-04-06 (주)아반토 허리 사이즈 조절장치
KR200444929Y1 (ko) 2007-07-24 2009-06-17 박순모 허리 사이즈 조절 액세서리 및 그를 구비한 하의
KR100885850B1 (ko) 2008-08-01 2009-02-26 이종태 하의의 허리단 둘레조절장치
KR20120008008U (ko) * 2011-05-16 2012-11-26 박순모 허리 사이즈 조절 액세서리 및 그를 구비한 하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931B1 (ko) * 2014-10-14 2016-02-02 손순용 의류 허리단 둘레 조절장치 및 그를 포함한 허리단 둘레 조절이 가능한 의류
CN105768382A (zh) * 2015-01-08 2016-07-20 柳良锡 控制器、带和包括该控制器及带的带调整装置
US10130131B2 (en) 2015-01-08 2018-11-20 Yang-Seog Ryou Controller, band, and band adjusting device including the controller and the band
CN105768382B (zh) * 2015-01-08 2018-11-23 柳良锡 控制器、带和包括该控制器及带的带调整装置
KR101721335B1 (ko) * 2015-11-09 2017-03-30 류양석 제어 장치, 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68724S1 (en) Baby monitor (receiving terminal)
CA190919S (en) Wrist-worn electronic device
USD783207S1 (en) Belt strap
CA179930S (en) Battery jump starting device
USD868020S1 (en) Baby monitor receiving device
USD783741S1 (en) Shoulder press bench with foot pedals
USD807109S1 (en) Hand mixer
KR101293266B1 (ko) 허리둘레 조절장치
CA114212S (en) Appliance knob
USD821578S1 (en) Rhinoplasty measurer
USD746569S1 (en) Shoe insole
CA164403S (en) Knob
USD840481S1 (en) Exercise mat
US20150296929A1 (en) Front-release belt buckle
SG11201906462QA (en) Sacrum pressing tool and sacrum pressing unit
TW201605375A (zh) 行李件
JP3211986U (ja) 着脱可能ペット用食器
USD851185S1 (en) Knee slide
USD841747S1 (en) Exercise device
USD826653S1 (en) Food press
USD777848S1 (en) Tipping exercise board
USD915008S1 (en) Base plate of a footwear sanitizing device having footprints
USD725350S1 (en) Cover for footwear
USD785740S1 (en) Leg for a trampoline
CN202919197U (zh) 一种简易鞋带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