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3241B1 - 버블형 동작감지기 - Google Patents

버블형 동작감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3241B1
KR101293241B1 KR1020120056939A KR20120056939A KR101293241B1 KR 101293241 B1 KR101293241 B1 KR 101293241B1 KR 1020120056939 A KR1020120056939 A KR 1020120056939A KR 20120056939 A KR20120056939 A KR 20120056939A KR 101293241 B1 KR101293241 B1 KR 101293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elay time
bubble
pulse
motion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6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욱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56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32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3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3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74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76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wherein pulse-type signals are transmit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74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75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transponders powered from received waves, e.g. using passive transponders, or using passive reflectors
    • G01S13/751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transponders powered from received waves, e.g. using passive transponders, or using passive reflectors wherein the responder or reflector radiates a coded signal
    • G01S13/755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transponders powered from received waves, e.g. using passive transponders, or using passive reflectors wherein the responder or reflector radiates a coded signal using delay lines, e.g. acoustic delay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mechanical vibrations in air or other fluid
    • G08B13/160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mechanical vibrations in air or other fluid using active vibr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6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mechanical vibrations in air or other fluid using active vibr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ultrasonic detection means
    • G08B13/163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mechanical vibrations in air or other fluid using active vibr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ultrasonic detection means using pulse-type detection circui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1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respassing over a fixed physical boundary, e.g. the end of a gard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작감지기의 송신기와 떨어진 특정 위치에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계 버블막을 형성하는 버블형 동작감지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버블형 동작감지기는 펄스발진기를 구동하는 펄스발생기, 상기 펄스발진기의 발진 신호를 설정된 동작 감지 거리에 대응하는 지연 시간만큼 가변 군지연하여 수신기로 제공하는 지연선로 및 상기 지연선로와 연결되어, 수신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신호와 상기 지연 시간만큼 지연된 상기 펄스발진기의 발진 신호를 혼합하여 제공하는 혼합기를 포함하여, 상기 지연 시간에 따른 동작 감지 거리에서 경계 버블막을 형성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버블형 동작감지기{Bubble-type motion detector}
본 발명은 감시 보안 환경에 설치되는 동작감지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동작감지기의 송신기와 떨어진 특정 위치에서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계 버블막을 형성할 수 있는 버블형 동작감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감지기는 적외선 감지기, 열선 감지기, 초음파 감지기, 마이크로파 감지기가 많이 이용되며, 보안 시스템이 설치되는 영역에 따라 다양한 동작감지기를 적용하게 된다.
열선 감지기는 주변에서 방사되는 열을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는 방식으로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며, 초음파 감지기는 인간의 귀로 들을 수 없는 40kHz~250kHz 대역의 단일 주파수 펄스를 송신한 다음에 물체에서 반사된 동일 주파수 신호를 감지하여, 물체의 존재 및 거리를 계산한다.
또한, 마이크로파 감지기는 마이크로파를 송신한 후 해당 신호의 반사파를 감지하는 것으로 도플러 효과에 의하면 마이크로파의 반사체가 송신기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면 그 속도에 비례하여, 반사파의 주파수가 변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물체의 움직임 및 거리를 감지한다.
이러한 종래 동작감지기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보 제10-2000-0014633호(2000. 03. 15)에 기재된 방범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자동 감지장치 및 방법과 같이, 감지 영역 내에 어떠한 움직임도 허용되지 않음에 따라 실내에서 외부의 침입만을 감지하고 실내의 모든 활동은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적외선 감지기를 포함하는 동작 감지기는 외부의 침입자를 감지하기 위해 건물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외부 환경 조건에 영향을 많이 받아 감지 성능이 저하되며,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공보 10-0553814B1, 2006. 02. 14, 7쪽 27줄 내지 29줄.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버블형 동작감지기의 목적은 수신기로 입력되는 신호를 특정 거리에 해당하는 지연 시간을 적용하여, 송신기와 특정 거리에 떨어진 위치에 경계 버블막을 형성할 수 있는 동작감지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다른 목적은, 시간폭제어기를 더 포함하여, 경계 버블막의 두께 즉, 동작 감지 구간을 가변 제어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지연시간제어기를 더 포함하여, 경계 버블막의 형성 거리를 조절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감지대상경로추적기를 더 포함하여, 경계 버블막을 가로 지르는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추적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버블형 동작감지기는 펄스발진기를 구동하는 펄스발생기, 상기 펄스발진기의 발진 신호를 설정된 동작 감지 거리에 대응하는 지연 시간만큼 가변 군지연하여 수신기로 제공하는 지연선로 및 상기 지연선로와 연결되어, 수신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신호와 상기 지연 시간만큼 지연된 상기 펄스발진기의 발진 신호를 혼합하여 제공하는 혼합기를 포함하여, 상기 지연 시간에 따른 동작 감지 거리에서 경계 버블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본 발명에 따른 버블형 동작감지기는 송신기의 펄스발진기를 구동하는 펄스발생기, 상기 펄스발생기의 펄스 신호를 동작 감지 거리에 대응하는 지연 시간만큼 지연하는 지연선로 또는 지연회로 및 수신기로 들어오는 신호를 지연선로 또는 지연회로에 의해 지연된 펄스신호에 의해 단속하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상기 지연 시간에 따른 동작 감지 거리에서 경계 버블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블형 동작감지기에 있어서, 펄스발생기는 상기 펄스발진기의 발진 신호의 시간 폭을 설정하는 시간폭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블형 동작감지기에 있어서, 발진 신호의 시간 폭은 상기 경계 버블막의 두께를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블형 동작감지기는 지연선로와 연결되어, 상기 동작 감지 거리에 해당하는 상기 지연 시간을 제어하는 지연시간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블형 동작감지기는 혼합기와 연결되어, 동작 감지 신호를 검출하는 적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블형 동작감지기는 적분기와 연결되어, 동작 감지 신호의 움직임을 추적하는 감지대상경로추적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블형 동작감지기는 수신기로 입력되는 신호를 특정 거리에 해당하는 지연 시간을 적용하여, 송신기와 특정 거리에 떨어진 위치에 경계 버블막을 형성할 수 있는 동작감지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계 버블막을 기준으로 내부와 외부에 자유로운 움직임을 보장하여, 항시 경계 감시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송신기와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경계 버블막을 형성하고, 경계 버블막의 내부의 움직임을 허용할 수 있으므로 동작감지기를 건물 천장 및 벽면에 은닉하여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간폭제어기를 더 포함함으로써, 동작 감지기의 설치 목적 및 설치 공간을 고려하여, 경계 버블막의 두께 즉, 동작 감지 구간을 가변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연시간제어기를 더 포함함으로써, 경계 감시 상황에 따라 경계 버블막의 형성 거리를 가변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감지대상경로추적기를 더 포함함으로써, 경계 버블막을 가로 지르는 최초 감지 대상 확인 이후, 경계 버블막의 위치를 이동하거나, 경계 버블막의 두께를 조절하여,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추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로 구성이 간단하여 동작감지기를 소형화하기 용이하며,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블형 동작감지기의 첫 번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및 동작 감지부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블형 동작감지기에 있어서, 각 구성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블형 동작감지기에 있어서, 수신기로 입력되는 다양한 신호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블형 동작감지기에 있어서, 경계 버블막에서 감지하는 신호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버블형 동작감지기의 두 번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버블형 동작감지기를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블형 동작감지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첫 번째 실시예로, 시간폭제어기(5), 펄스생성기(10), 펄스발진기(20), 송신안테나(30), 지연선로(40), 지연시간제어기(45), 혼합기(60), 적분기(70) 및 감지대상경로추적기(80)을 포함한다.
상기 펄스발생기(10)에서 발생되는 펄스 신호에 의해 상기 펄스발진기(20)가 구동되며, 상기 펄스발진기(20)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상기 송신안테나(30)를 통해 외부로 전송되며, 이때 전송되는 제1신호(S1)는 [도 2]의 S1과 같다.
이때 상기 제1신호(S1)는 △τ 의 시간 폭을 형성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시간폭제어기(5)는 상기 펄스발생기(10)와 연결되어, 시간 폭(△τ)을 가변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시간폭제어기(5)의 시간 폭 가변 제어는 후술에서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송신안테나(30)를 통해 외부로 송신된 제1신호(S1)는 반사체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수신안테나(50)를 통해 제2신호(S2)로 수신되며, 이때 상기 제2신호(S2)는 지연 시간(τ1, τ2)의 정도에 따라 각각 수신되어, 상기 혼합기(60)에 입력된다.
또한, 상기 펄스발진기(20)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상기 지연선로(40)에서 지연시간으로 변환된 제3신호(S3)로 상기 혼합기(60)에 입력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연선로(40)는 가변 군지연 특성을 가지며, 동작 감지 거리(R)에 대응하는 지연 시간(τ)만큼 제3신호(S3)를 가변하여,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연시간제어부(45)를 이용하여, 상기 지연선로(40)에 포함된 다이오드의 전압을 조절하여, 상기 지연 시간(τ)을 제어하였다.
상기 지연 시간(τ)을 가변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버블형 동작감지기의 경계 버블막(100)이 형성되는 위치를 가변할 수 있다.
상기 혼합기(60)는 상기 제2신호(S2)와 상기 제3신호(S3)를 혼합한 신호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혼합기(60)를 통해 출력되는 제4신호는 군지연 특성에 의해 특정 거리 즉, 송신기로부터 상기 지연 시간(τ)에 해당하는 동작 감지 거리(R)에서 경계 버블막(100)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자세하게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a) 신호는 상기 지연선로(40)에 의해 지연 시간(τ)만큼 지연되어 입력되는 신호를 나타내며, 이때 상기 지연 시간(τ)은 [도 1]의 경계 버블막(100)이 형성되는 위치 즉, 동작 감지 거리(R)를 가변하는 변수가 되며, 이러한 지연 시간(τ)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상기 지연시간제어기(45)를 통해 가변 제어된다.
즉, 상기 지연시간제어기(45)를 통해 지연 시간(τ)을 가변함으로써, 상기 경계 버블막(10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감시 영역을 고려하여, 송신기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경계 버블막(10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경계 버블막(100)의 위치 즉, 동작 감지 거리(R)는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된다.
Figure 112012042947564-pat00001
여기서, R은 감지거리, c는 진공에서의 빛 속도, τ는 지연 시간.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시간 폭(△τ)은 상기 경계 버블막(100)의 감지 영역의 감지 폭(△R)을 가변하는 변수가 되며, 상기 시간 폭(△τ)은 상기 펄스발생기(10)와 연결된 시간폭제어기(5)를 통해 가변 제어된다.
이처럼 상기 시간폭제어기(5)를 통해 시간 폭(△τ)을 가변함으로써, 상기 경계 버블막(100)의 감지 폭(△R)의 가변 제어가 용이하며, 경계 상황 및 경계 목적에 따라 상기 경계 버블막(100)의 감지 폭(△R)을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의 (b)와 같이, 동작감지기의 수신기에 τ1의 지연 시간과 대응되는 거리에 있는 물체를 감지한 신호가 입력되거나, (d)와 같이 τ2의 지연 시간과 대응되는 거리에 있는 물체를 감지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이러한 지연 시간은 감지 영역(R)에 대응하는 거리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감지 신호를 무시하게 된다.
하지만, (c)는 τ2와 τ1 사이에 해당하는 거리에 있는 물체에 의해 반사되어 들어오는 신호로 △τ의 지연 시간 만큼의 거리를 차이를 나타내며, 이는 (a)의 신호와 일치하므로 상기 혼합기(60)를 통해 저주파 신호를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상기 적분기(70)를 통해 검출된 동작 감지 신호는 상기 감지대상경로추적기(80)에 전달된다.
상기 감지대상경로추적기(80)는 동작 감지 신호의 움직임을 추적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경계 버블막(100)을 가로 지르는 최초 감지 대상 확인 이후, 경계 버블막의 위치를 이동하거나, 경계 버블막(100)의 두께를 조절하여,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추적하는 역할을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블형 동작감지기에서 감지하는 신호의 개념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상기 경계 버블막(100)의 내부에서 수신된 물체 움직임 신호(a)와 상기 경계 버블막(100)의 외부에서 수신된 물체 움직임 신호(c)는 감지 대상에서 제외되며, 상기 경계 버블막(100)을 통과하는 물체 움직임 신호(b)만을 침입 대상 신호로 감지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버블형 동작감지기는 송신기를 기준으로 특정 동작 감지 거리(R)에 경계 버블막(100)을 형성하고, 상기 경계 버블막(100)의 내부 및 외부의 움직임을 허용함으로써, 상시 침입자 감시가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전체 활동 공간에서 감지 영역이 차지하는 비중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버블형 동작감지기의 두 번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로, 펄스발생기(10)에 지연선로(40) 또는 지연회로가 연결되어, 상기 펄스발생기(10)에서 발생되는 펄스 신호를 동작 감지 거리에 대응하는 지연 시간만큼 직접적으로 지연하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수신기는 첫 번째 실시예의 상기 혼합기(60) 대신 상기 지연선로(40)와 연결된 스위치(90)를 포함하여, 지연 펄스에 의해 수신신호를 단속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90)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적분기(70)를 통해 동작 감지 신호가 검출되고, 검출된 동작 감지 신호는 상기 감지대상경로추적기(80)에 전달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버블형 동작감지기는 다수의 안테나를 사용하지 않고, 아날로그 전압 또는 디지털 신호를 상기 지연선로(40)에 인가하여, 군지연 시간을 가변함으로써, 상기 경계 버블막(100)을 쉽게 이동 시킬 수 있으며 상기 펄스발진기(20)의 펄스 폭을 가변 제어함으로써, 경계 버블막(100)의 두께를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블형 동작감지기를 적용할 경우, 경계 버블막 내에 움직임을 허용함으로써, 실내에 사람이 있는 경우에도 보안 시스템을 정상적으로 구동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의 침입만을 감지하는데 효과적이며, 실내 천장 속 또는 시설물 내에 은닉이 가능하여, 미관을 해칠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간소화된 회로의 구현이 가능함에 따라 종래 동작감지기에 비해 소형화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동작감지기 생산에 따른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버블형 동작감지기는 자동 출입문 통제, 건물 출입 자 유무에 따른 조명 통제, 철길 또는 건널목의 보행자 감지, 군경계지역에서의 침입자 감지 등 보안 시스템에 폭넓게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버블형 동작감지기로 구현할 수 있다.
5 : 시간폭제어기
10 : 펄스생성기
20 : 펄스발진기
30 : 송신안테나
40 : 지연선로
45 : 지연시간제어기
60 : 혼합기
70 : 적분기
80 : 감지대상경로추적기
90: 스위치
100 : 경계 버블막
R : 감지거리

Claims (9)

  1. 펄스발진기를 구동하는 펄스발생기;
    상기 펄스발진기의 발진 신호를 설정된 동작 감지 거리에 대응하는 지연 시간만큼 가변 군지연하여 수신기로 제공하는 지연선로 및
    상기 지연선로와 연결되어, 수신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신호와 상기 지연 시간만큼 지연된 상기 펄스발진기의 발진 신호를 혼합하여 제공하는 혼합기를 포함하여, 상기 지연 시간에 따른 동작 감지 거리에서 경계 버블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형 동작감지기.
  2. 송신기의 펄스발진기를 구동하는 펄스발생기;
    상기 펄스발생기의 펄스 신호를 동작 감지 거리에 대응하는 지연 시간만큼 지연하는 지연선로 및
    상기 펄스발진기에서 송신되어 반사된 수신신호를 단속하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상기 지연 시간에 따른 동작 감지 거리에서 경계 버블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형 동작감지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발생기는 상기 펄스발진기의 발진 신호의 시간 폭을 설정하는 시간폭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형 동작감지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 신호의 시간 폭은,
    상기 경계 버블막의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형 동작감지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선로와 연결되어, 상기 동작 감지 거리에 해당하는 상기 지연 시간을 제어하는 지연시간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형 동작감지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감지 거리는 [수학식 1]로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형 동작감지기.
    [수학식 1]
    R=(c×τ/2) 여기서, R은 감지거리, c는 진공에서의 빛 속도, τ는 지연 시간을 나타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기와 연결되어, 동작 감지 신호를 검출하는 적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형 동작감지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와 연결되어, 동작 감지 신호를 검출하는 적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형 동작감지기.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분기와 연결되어, 동작 감지 신호의 움직임을 추적하는 감지대상경로추적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형 동작감지기.



KR1020120056939A 2012-05-29 2012-05-29 버블형 동작감지기 KR101293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939A KR101293241B1 (ko) 2012-05-29 2012-05-29 버블형 동작감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939A KR101293241B1 (ko) 2012-05-29 2012-05-29 버블형 동작감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3241B1 true KR101293241B1 (ko) 2013-08-09

Family

ID=49219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6939A KR101293241B1 (ko) 2012-05-29 2012-05-29 버블형 동작감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32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3749B1 (ko) * 2015-02-02 2015-08-1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다중 영역 버블형 동작감지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8402A (ja) 2002-10-15 2004-05-13 Mitsubishi Electric Corp 侵入検知装置
JP2010122968A (ja) 2008-11-20 2010-06-03 Hitachi Kokusai Denki Engineering:Kk 監視装置
JP2011033345A (ja) 2009-07-29 2011-02-17 Hitachi Kokusai Denki Engineering:Kk 侵入者検知装置
KR20110082810A (ko) * 2010-01-12 2011-07-20 김명호 평면열 인체감지센서를 이용한 보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8402A (ja) 2002-10-15 2004-05-13 Mitsubishi Electric Corp 侵入検知装置
JP2010122968A (ja) 2008-11-20 2010-06-03 Hitachi Kokusai Denki Engineering:Kk 監視装置
JP2011033345A (ja) 2009-07-29 2011-02-17 Hitachi Kokusai Denki Engineering:Kk 侵入者検知装置
KR20110082810A (ko) * 2010-01-12 2011-07-20 김명호 평면열 인체감지센서를 이용한 보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3749B1 (ko) * 2015-02-02 2015-08-1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다중 영역 버블형 동작감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1793B2 (en) Motion and area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8120524B2 (en) Motion detection systems using CW radar in combination with additional sensors
EP1968025B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infrared detector performance in dual detector system
EP1793356B1 (en) Microwave smart motion sensor for security applications
EP2045621B1 (en) Direction of travel motion detector with automatic gain control
US20030164790A1 (en) Detecting system
US20060267764A1 (en) Object detection sensor
JP2003315450A (ja) ミリ波レーダ用監視システム
KR101271385B1 (ko) 지능형 보안 장치
US20140292507A1 (en) Motion sensor with ultrasonic modulation
US7026601B2 (en) Sensor system, and sensor apparatus and reception apparatus used in the sensor system
KR101293241B1 (ko) 버블형 동작감지기
JP2001194450A (ja) 可動体検知装置、トイレ装置、及びトイレ室
JP2011112600A (ja) 検出装置
KR101348928B1 (ko) 주파수 의존형 경계막 가변 동작감지기 및 그 제어방법
WO2023149093A1 (ja) 戸開閉制御装置
WO2019080004A1 (zh) 复合移动检测系统及其使用方法
US11789136B2 (en) Radar presence sensor device
KR101543749B1 (ko) 다중 영역 버블형 동작감지기
RU151293U1 (ru) Приемник извещателя охранного sts-106
EP378358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fining a detection zone
WO2023149091A1 (ja) 検出器、自動ドアシステムおよび開閉システム
KR101547979B1 (ko) 초광대역 벽투과 레이더를 이용한 은닉형 보안 감시 시스템 및 방법
US20240038040A1 (en) Security apparatus
Tuteja et al. Detailed Survey on Motion Sen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