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3150B1 -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촬영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3150B1
KR101293150B1 KR1020060108536A KR20060108536A KR101293150B1 KR 101293150 B1 KR101293150 B1 KR 101293150B1 KR 1020060108536 A KR1020060108536 A KR 1020060108536A KR 20060108536 A KR20060108536 A KR 20060108536A KR 101293150 B1 KR101293150 B1 KR 101293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ubject
image pickup
pickup device
sensi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8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0496A (ko
Inventor
이승봉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8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3150B1/ko
Priority to US11/821,046 priority patent/US7822328B2/en
Priority to CN200710126388XA priority patent/CN101102413B/zh
Publication of KR20080040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0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3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3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3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exposure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5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optical camera components

Abstract

본 발명은 촬영 중 디지털 촬영장치의 흔들림에도 불구하고 선명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으면서도 노출 정도의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를 채용한 디지털 촬영장치를 위하여, 제1감도로 시간 t1 동안 피사체의 제1정보를 얻는 단계와, 상기 제1감도와 상이한 제2감도로 시간 t2 동안 피사체의 제2정보를 얻는 단계와, 상기 제1정보와 상기 제2정보로부터 피사체의 이미지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정보를 얻는 단계와 상기 제2정보를 얻는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한 단계는 촬영장치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촬영장치에 구비된 촬상소자에서의 피사체의 결상 위치가 일정하도록 유지한 상태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정보를 얻는 단계와 상기 제2정보를 얻는 단계는 동일한 조리개값 하에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감도는 상기 제2감도보다 높고, 상기 시간 t1과 상기 시간 t2의 합인 셔터스피드와 상기 제1감도와 상기 제2감도와 상기 조리개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사용자에 의해 사전설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를 구비한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촬영장치{Method for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dopting the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시간과 감도 사이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시간과 감도 사이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촬영장치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촬영장치에 구비된 촬상소자에서의 피사체의 결상 위치가 일정하도록 유지하는 흔들림 보정 모듈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시간과 감도 사이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시간과 감도 사이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흔들림 보정 모듈 2: 베이스 플레이트
3: 슬라이더 4: 촬상소자 베이스
5: 스프링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를 채용한 디지털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촬영 중 디지털 촬영장치의 흔들림에도 불구하고 선명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으면서도 노출 정도의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를 채용한 디지털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 및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과 같은 디지털 촬영장치의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고품질의 사진 및 동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욕구가 증대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외부의 진동이나 사용자의 흔들림 등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흔들림에 의한 사진의 해상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이미지 정보를 보정하는 방법을 채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소프트웨어적인 이미지 정보 보정방법의 경우 기본이 되는 보정 전의 이미지 정보가 이미 디지털 촬영장치의 흔들림으로 인하여 선명하지 못한 이미지 정보이므로, 이러한 선명하지 못한 이미지 정보를 보정하여 선명한 이미지 정보를 얻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소프트웨어적인 이미지 정보 보정방법의 경우 흔들림에 대한 사진의 해상력 저하 방지를 위하여 조리개값, 감도 또는 셔터스피드를 사용자가 직접 제어할 수 없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다양한 효과의 이 미지를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촬영 중 디지털 촬영장치의 흔들림에도 불구하고 선명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으면서도 노출 정도의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를 채용한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감도로 시간 t1 동안 피사체의 제1정보를 얻는 단계와, 상기 제1감도와 상이한 제2감도로 시간 t2 동안 피사체의 제2정보를 얻는 단계와, 상기 제1정보와 상기 제2정보로부터 피사체의 이미지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정보를 얻는 단계와 상기 제2정보를 얻는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한 단계는 촬영장치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촬영장치에 구비된 촬상소자에서의 피사체의 결상 위치가 일정하도록 유지한 상태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정보를 얻는 단계와 상기 제2정보를 얻는 단계는 동일한 조리개값 하에서 이루어지며, 상기 시간 t1과 상기 시간 t2의 합인 셔터스피드와 상기 제1감도와 상기 제2감도와 상기 조리개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사용자에 의해 사전설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감도는 상기 제2감도보다 높은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정보를 얻는 단계는, 피사체의 가장자리 정보를 얻는 단계이고, 상기 제2정보를 얻는 단계는, 피사체의 색상 및 휘도 정보를 얻는 단계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감도는 사용자에 의해 사전설정 가능하며, 상기 제1감도는 피사체로부터의 광량을 고려하여 자동으로 설정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감도는 상기 제1감도보다 높은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정보를 얻는 단계는, 피사체의 색상 및 휘도 정보를 얻는 단계이고, 상기 제2정보를 얻는 단계는, 피사체의 가장자리 정보를 얻는 단계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감도는 사용자에 의해 사전설정 가능하며, 상기 제2감도는 피사체로부터의 광량을 고려하여 자동으로 설정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셔터스피드는 사용자에 의해 사전설정 가능하되, 상기 시간 t1은 피사체로부터의 광량을 고려하여 자동으로 설정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정보를 얻는 단계는, 촬영장치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촬영장치에 구비된 촬상소자에서의 피사체의 결상 위치가 일 정하도록 유지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정보를 얻는 단계는, 촬영장치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촬영장치에 구비된 촬상소자에서의 피사체의 결상 위치가 일정하도록 유지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정보를 얻는 단계와 상기 제2정보를 얻는 단계는, 촬영장치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촬영장치에 구비된 촬상소자에서의 피사체의 결상 위치가 일정하도록 유지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촬영장치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촬영장치에 구비된 촬상소자에서의 피사체의 결상 위치가 일정하도록 유지하는 것은, 촬영장치의 케이스에 대한 촬영장치에 구비된 촬상소자의 상대적인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촬영장치의 케이스에 대한 촬영장치에 구비된 촬상소자의 상대적인 위치 변화는, 촬영장치의 케이스의 움직임과 반대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촬영장치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촬영장치에 구비된 촬상소자에서의 피사체의 결상 위치가 일정하도록 유지하는 것은, 촬영장치의 케이스에 대한 촬영장치에 구비된 렌즈의 상대적인 위치를 변화시켜 피사체로부터 촬영장치에 구비된 촬상소자로의 광경로를 변화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제어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시간과 감도 사이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른 피사체의 촬영은 두 단계를 구비한다. 먼저 시간 t1 동안(t0 내지 ta의 시간 구간 동안) 제1감도로 피사체의 제1정보를 얻는다. 그 후, 시간 t2 동안(ta 내지 tb의 시간 구간 동안) 제2감도로 피사체의 제2정보를 얻는다. 이때 t0 내지 ta의 시간 구간과 ta 내지 tb의 시간 구간은 상호 상이한 제1감도(ISOa)와 제2감도(ISOb)로 각각 피사체의 정보를 얻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t0 내지 ta의 시간 구간 동안 ta 내지 tb의 시간 구간보다 더 높은 감도로 피사체의 정보를 얻는다. 즉 제1감도가 제2감도보다 높다. 물론 제1정보를 얻는 단계와 제2정보를 얻는 단계 사이에 디지털 촬영장치에 구비된 촬상소자의 구동을 필요에 따라 짧게 off시킬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셔터스피드가 느린 상황에서 디지털 촬영장치가 흔들릴 시 선명한 이미지를 얻지 못하게 된다. 셔터란 디지털 촬영장치로 이미지 정보를 얻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광량이 디지털 촬영장치에 구비된 촬상소자에 도달하도록 제어 하는 촬상소자 노출 제어요소로서, 셔터스피드가 느리면 촬상소자가 광에 노출되어 있는 시간이 길게 된다. 따라서 셔터스피드가 느리면 촬상소자가 광에 노출되어 있는 시간이 길어져 그 동안 디지털 촬영장치가 흔들릴 확률이 높아지며, 그에 따라 선명한 이미지를 얻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촬상소자의 감도를 높이면 동일한 광량에 노출되더라도 감도가 낮은 경우보다 이미지 정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셔터스피드가 빨라진다. 따라서 촬상소자의 감도를 높이면 디지털 촬영장치의 흔들림에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아 흔들림 없는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다만 촬상소자의 감도를 높이면 그 부작용으로서 노이즈 역시 많아져 이미지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에서는, 먼저 t0 내지 ta의 시간 구간 동안 ta 내지 tb의 시간 구간 동안보다 더 높은 감도로 피사체의 제1정보를 얻고, 그 후 ta 내지 tb의 시간 구간 동안 낮은 감도로 피사체의 제2정보를 얻는다. 이를 통하여 t0 내지 ta의 시간 구간 동안 흔들림 없는 피사체의 제1정보를 얻고, ta 내지 tb의 시간 구간 동안 그 이외의 피사체의 제2정보를 얻는다. 예컨대 피사체의 제1정보는 피사체의 가장자리에 관한 정보이고, 피사체의 제2정보는 피사체의 색상 및 휘도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피사체의 가장자리에 관한 피사체의 제1정보는 고감도로 이루어지므로 셔터스피드가 빨라 흔들림 없는 이미지에 관한 정보가 된다. 피사체의 색상 및 휘도에 관한 피사체의 제2정보는 저감도로 이루 어지므로 노이즈가 적은 고품질의 이미지에 관한 정보가 된다. 따라서 피사체의 가장자리에 관한 피사체의 제1정보와 피사체의 색상 및 휘도에 관한 피사체의 제2정보로부터 최종적인 피사체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이때, 피사체의 색상 및 휘도에 관한 피사체의 제2정보를 피사체의 가장자리에 관한 피사체의 제1정보와 결합함에 있어서, 피사체의 제2정보를 얻는 단계는 저감도의 장시간 노출에 의한 것이므로, 피사체의 가장자리 부근에 있어서는 피사체의 색상 및 휘도에 관한 피사체의 제2정보가 부정확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저감도로 피사체의 제2정보를 얻는 단계를 거칠 시, 피사체의 가장자리 부근에서의 피사체의 색상 및 휘도에 관한 피사체의 제2정보의 정확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에서는 피사체의 제2정보를 얻는 단계가, 촬영장치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촬영장치에 구비된 촬상소자에서의 피사체의 결상 위치가 일정하도록 유지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촬영장치가 움직이더라도 촬상소자에서의 피사체의 결상 위치가 일정하도록 유지된다면, 결과적으로는 흔들림이 적은 피사체의 이미지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이와 같이 피사체의 제2정보를 얻는 단계가 촬영장치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촬영장치에 구비된 촬상소자에서의 피사체의 결상 위치가 일정하도록 유지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도록 하게 되면, 제2정보를 얻는 시간을 더 늘릴 수도 있다. 촬상소자에서의 피사체의 결상 위치가 일정하도록 유지되기 때문에 장시간 동안 피사체로부터의 광이 촬상소자에 입력되더라도 흔들림 없는 이미지에 관한 정보 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에서는 제2정보를 얻는 시간인 t2가 ta 내지 tb의 시간 구간이었으나 도 2에서는 이보다 긴 ta 내지 tc의 시간 구간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에 의하면 더욱 장시간 동안 제2정보를 얻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정보가 피사체의 색상 및 휘도에 관한 정보일 경우, 제2정보를 더욱 장시간 동안 얻게 되면 결과적으로 제1정보와 제2정보로부터 얻어진 피사체의 이미지는 더욱 밝게 된다. 즉, 종래의 제어방법에 의해 이미지를 얻는 경우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에 의해 이미지를 얻을 경우 더욱 밝으면서도 선명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한편,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이미지를 촬영할 시 조리개값을 조절함으로써 심도 변화와 같은 다양한 효과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흔들림에 의한 이미지의 선명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종래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흔들림에 의한 이미지 선명도 저하를 방지한다는 1차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조리개값 등을 사용자가 제어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조리개값을 높이면 촬상소자에 들어오는 광량이 줄어들게 되어 셔터스피드가 느려지게 되고, 따라서 피사체로부터의 광이 촬상소자에 입사하는 동안 디지털 촬영장치가 흔들릴 확률이 높아져 선명한 이미지를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피사체의 제2정보를 얻는 단계가, 촬영장치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촬영장치에 구비된 촬상소자에서의 피사체의 결상 위치가 일정하도록 유지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제2정보를 얻는 시간인 t2가 길어지더라도 흔들림이 없는 피사체의 이미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자유롭게 조리개값을 제어하여 다양한 효과의 이미지를 얻으면서도 흔들림이 없는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물론 제1정보를 얻는 단계와 제2정보를 얻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사전설정된 동일한 조리개값 하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피사체의 제2정보를 얻는 단계가,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촬영장치에 구비된 촬상소자에서의 피사체의 결상 위치가 일정하도록 유지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흔들림 보정 모듈을 이용할 수 있다.
도 3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촬영장치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촬영장치에 구비된 촬상소자에서의 피사체의 결상 위치가 일정하도록 유지하는 흔들림 보정 모듈(1)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보정 모듈(1)은 촬상소자 쉬프트 방식으로서, 베이스 플레이트(2), 슬라이더(3) 및 촬상소자 베이스(4)를 구비한다. 촬상소자 베이스(4)의 내부에는 촬상소자(미도시)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촬상소자로는 예컨대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ized semiconductor) 등을 들 수 있다.
촬상소자 베이스(4)는 슬라이더(3)에 설치되며, 슬라이더(3)에 대하여 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더(3)는 베이스 플레이트(2)에 설치되며, 베이스 플레이트(2)에 대하여 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촬상소자는 베이스 플레이트(2)에 대하여 X축 및 Y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슬라이더(3) 및 촬상소자 베이스(4)는 압전(piezo electric) 액츄에이터 등과 같은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하여 X축 및 Y축 방향으로 각각 구동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슬라이더의 돌기부(3a)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돌기부(2a)에는 스프링(5)이 설치되어, 슬라이더(3) 및 촬상소자 베이스(4)가 Z축 방향으로 베이스 플레이트(2)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스프링(5) 외에도 자석 등을 이용하여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도 3에 도시된 흔들림 보정 모듈(1)의 베이스 플레이트(2)는 디지털 촬영장치에 장착되어, 디지털 촬영장치와 함께 움직인다. 만일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디지털 촬영장치가 흔들릴 경우, 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디지털 촬영장치 흔들림의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더(3) 또는 촬상소자 베이스(4)가 움직인다. 이를 통하여 피사체의 제2정보를 얻는 단계가,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촬영장치에 구비된 촬상소자에서의 피사체의 결상 위치가 일정하도록 유지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디지털 촬영장치의 흔들림을 검지하기 위하여, 예컨대 자이로 센서(gyro sensor) 등과 같은 움직임 감지부(motion sensing unit)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움직임 감지부로 감지된 디지털 촬영장치의 흔들림 정도에 따른 촬상소자의 위치이동량을 계산하기 위한 위치 센서부(position sensing unit)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 제어방법에서는, 피사체의 색 상 및 휘도에 관한 피사체의 제2정보를 저감도로 얻는 단계가, 촬영장치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촬영장치에 구비된 촬상소자에서의 피사체의 결상 위치가 일정하도록 유지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통하여 피사체의 가장자리 부근에서도 정확한 피사체의 색상 및 휘도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피사체의 가장자리에 관한 피사체의 제1정보와 결합함으로써 선명한 피사체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물론, 상기 피사체의 제2정보를 얻는 단계가 촬영장치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촬영장치에 구비된 촬상소자에서의 피사체의 결상 위치가 일정하도록 유지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디지털 촬영장치에 구비된 촬상소자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흔들림 보정모듈을 이용하는 상기와 같은 방법과 상이한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촬상소자의 위치는 디지털 촬영장치에 대해 고정되도록 하고, 그 대신 피사체로부터의 광이 디지털 촬영장치에 구비된 촬상소자에 이르는 광경로를 디지털 촬영장치의 흔들림에 대응하여 변화시킴으로써, 디지털 촬영장치에 구비된 촬상소자에서의 피사체의 결상 위치가 일정하도록 유지할 수도 있다. 즉, 민감도가 높은 렌즈 군을 디지털 촬영장치의 흔들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움직여 피사체로부터의 광의 경로를 굴절시킴으로써, 디지털 촬영장치에 구비된 촬상소자에서의 피사체의 결상 위치가 일정하도록 유지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는 것은 위와 같은 조리개값에 국한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조리개값 외에도, 제1정보를 얻는 시간인 t1과 제2정보를 얻는 시간인 t2의 합인 셔터스피드, 제1감도 또는 제2감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정보를 얻는 시간인 t2의 조절을 통해 이미지의 휘도 등을 사용자의 의도대로 조절할 수도 있다. 즉, 셔터스피드가 사용자에 의해 사전설정 가능하도록 하고, 시간 t1은 피사체로부터의 광량을 고려하여 자동으로 설정되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제2정보를 얻는 시간인 t2를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인 자동 디지털 촬영장치는 피사체로부터의 광량을 고려하여 노출 시간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시간 t1이 피사체로부터의 광량을 고려하여 자동으로 설정되도록 하는 방법은 이러한 통상적인 디지털 촬영장치에서 이용하고 있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물론 조리개값 또는 셔터스피드 외에도 감도를 사용자가 제어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1에서는 제2정보를 얻는 동안의 촬상소자의 감도가 ISOb였으나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ISOc로 더 낮출 수도 있다. 물론 감도가 낮아짐에 따라 도 1 및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정보를 얻는데 필요한 시간 t2(tc - ta)가 더 길어질 수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정보를 얻는 동안 촬영장치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촬영장치에 구비된 촬상소자에서의 피사체의 결상 위치가 일정하도록 유지되기에, 제2정보를 얻는 시간이 더 길어지더라도 디지털 촬영장치의 흔들림에도 불구하고 흔들림 없는 이미지에 관한 제2정보를 얻을 수 있다. 물론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경우 더 낮은 제2감도(ISOc)로 제2정보를 얻기 때문에, 노이즈가 적은 고품질의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제2감도를 높임으로써 노이즈가 포함되어 거친 느낌을 갖는 이미지를 의도적으로 얻을 수도 있다. 또한 이 경우 제1감도가 피사체로부터의 광량을 고려하여 자동으로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 역시 일반적인 자동 디지털 촬영장치의 자동 감도 설정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정보를 얻는 시간(t1) 동안의 제1감도 역시 사용자가 제어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 제어방법에서는, 피사체의 색상 및 휘도에 관한 피사체의 제2정보를 저감도로 얻는 단계가, 촬영장치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촬영장치에 구비된 촬상소자에서의 피사체의 결상 위치가 일정하도록 유지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통하여 피사체의 가장자리 부근에서도 정확한 피사체의 색상 및 휘도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피사체의 가장자리에 관한 피사체의 제1정보와 결합함으로써 선명한 피사체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하여 셔터스피드, 제1감도, 제2감도 및 조리개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사전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효과를 갖는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한편, 피사체들의 또는 피사체와 배경의 색상이 유사하거나 흑백과 같은 촬영모드 등과 같이, 경우에 따라 피사체의 색상이나 휘도에 관한 정보보다 피사체의 가장자리에 관한 정보가 더욱 중요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피사체의 가장자리에 관한 정보인 피사체의 제1정보를 얻는 단계가, 촬영장치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촬영장치에 구비된 촬상소자에서의 피사체의 결상 위치가 일정하도록 유지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피사체의 가장자리에 관한 피사체의 제1정보를 얻는 단계와 피사체의 색상 및 휘도에 관한 피사체의 제2정보를 얻는 단계 중 어떠한 단계가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촬영장치에 구비된 촬상소자에서의 피사체의 결상 위치가 일정하도록 유지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도록 할 것인가는, 피사체의 색상 및 광량 등에 관한 정보를 자동으로 분석하여 디지털 촬영장치에 의하여 선택되도록 할 수도 있고, 또한 촬영자가 선택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피사체의 가장자리에 관한 피사체의 제1정보를 얻는 단계와 피사체의 색상 및 휘도에 관한 피사체의 제2정보를 얻는 단계 모두가,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촬영장치에 구비된 촬상소자에서의 피사체의 결상 위치가 일정하도록 유지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셔터스피드, 제1감도, 제2감도 및 조리개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사전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효과를 갖는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촬영 시 높은 감도인 제1감도로 제1정보를 얻은 후 제1감도보다 낮은 제2감도로 제2정보를 얻는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낮은 감도인 제1감도로 제1정보를 얻은 후 제1감도보다 높은 제2감도로 제2정보를 얻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낮은 감도인 제1감도로 얻는 제1정보는 피사체의 색상 및 휘도에 관한 정보일 수 있고, 높은 감도인 제2감도로 얻는 제2정보는 피사체의 가장자리 정보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즉,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방법에서는 높은 감도로 피사체의 가장자리 정보를 먼저 획득한 후 낮은 감도로 피사체의 색상 및 휘도 정보를 획득하였으나, 이와 달리 낮은 감도로 피사체의 색상 및 휘도 정보를 획득한 후 높은 감도로 피사체의 가장자리 정보를 먼저 획득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제1감도는 사용자에 의해 사전설정될 수 있도록 하여 노이즈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색상 및 휘도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감도는 피사체로부터의 광량을 고려하여 자동으로 설정되도록 함으로써, 흔들림 없는 피사체의 가장자리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를 채용한 디지털 촬영장치에 따르면, 촬영 중 디지털 촬영장치의 흔들림에도 불구하고 선명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으면서도 노출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제1감도로 시간 t1 동안 피사체의 제1정보를 얻는 단계;
    상기 제1감도와 상이한 제2감도로 시간 t2 동안 피사체의 제2정보를 얻는 단계; 및
    상기 제1정보와 상기 제2정보로부터 피사체의 이미지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정보를 얻는 단계와 상기 제2정보를 얻는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한 단계는, 촬영장치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촬영장치에 구비된 촬상소자에서의 피사체의 결상 위치가 일정하도록 유지한 상태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정보를 얻는 단계와 상기 제2정보를 얻는 단계는 동일한 조리개값 하에서 이루어지며, 상기 시간 t1과 상기 시간 t2의 합인 셔터스피드, 상기 제1감도, 상기 제2감도 및 상기 조리개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사용자에 의해 사전설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도는 상기 제2감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보를 얻는 단계는, 피사체의 가장자리 정보를 얻는 단계이고, 상기 제2정보를 얻는 단계는, 피사체의 색상 및 휘도 정보를 얻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감도는 사용자에 의해 사전설정 가능하며, 상기 제1감도는 피사체로부터의 광량을 고려하여 자동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감도는 상기 제1감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보를 얻는 단계는, 피사체의 색상 및 휘도 정보를 얻는 단계이고, 상기 제2정보를 얻는 단계는, 피사체의 가장자리 정보를 얻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도는 사용자에 의해 사전설정 가능하며, 상기 제2감도는 피사체로부터의 광량을 고려하여 자동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스피드는 사용자에 의해 사전설정 가능하되, 상기 시간 t1은 피사체로부터의 광량을 고려하여 자동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보를 얻는 단계는, 촬영장치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촬영장치에 구비된 촬상소자에서의 피사체의 결상 위치가 일정하도록 유지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정보를 얻는 단계는, 촬영장치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촬영장치에 구비된 촬상소자에서의 피사체의 결상 위치가 일정하도록 유지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보를 얻는 단계와 상기 제2정보를 얻는 단계는, 촬영장치의 움직 임에도 불구하고 촬영장치에 구비된 촬상소자에서의 피사체의 결상 위치가 일정하도록 유지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촬영장치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촬영장치에 구비된 촬상소자에서의 피사체의 결상 위치가 일정하도록 유지하는 것은, 촬영장치의 케이스에 대한 촬영장치에 구비된 촬상소자의 상대적인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촬영장치의 케이스에 대한 촬영장치에 구비된 촬상소자의 상대적인 위치 변화는, 촬영장치의 케이스의 움직임과 반대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촬영장치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촬영장치에 구비된 촬상소자에서의 피사체의 결상 위치가 일정하도록 유지하는 것은, 촬영장치의 케이스에 대한 촬영장치에 구비된 렌즈의 상대적인 위치를 변화시켜 피사체로부터 촬영장치에 구비된 촬상소자로의 광경로를 변화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의 제어방법.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어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촬영장치.
KR1020060108536A 2006-07-03 2006-11-03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촬영장치 KR101293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8536A KR101293150B1 (ko) 2006-11-03 2006-11-03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촬영장치
US11/821,046 US7822328B2 (en) 2006-07-03 2007-06-21 Method for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dopting the method
CN200710126388XA CN101102413B (zh) 2006-07-03 2007-07-03 控制数字摄影设备的方法和采用该方法的数字摄影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8536A KR101293150B1 (ko) 2006-11-03 2006-11-03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촬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0496A KR20080040496A (ko) 2008-05-08
KR101293150B1 true KR101293150B1 (ko) 2013-08-12

Family

ID=39665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8536A KR101293150B1 (ko) 2006-07-03 2006-11-03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315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39775A1 (en) 2003-05-30 2004-12-02 Canon Kabushiki Kaisha Photographing device and method for obtaining photographic image having image vibration corre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39775A1 (en) 2003-05-30 2004-12-02 Canon Kabushiki Kaisha Photographing device and method for obtaining photographic image having image vibration corr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0496A (ko) 2008-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7004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USRE46239E1 (en) Method and system for image construction using multiple exposures
KR101295648B1 (ko) 촬상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4974704B2 (ja) 撮像装置
CN105391918B (zh) 图像处理装置及控制图像处理装置的方法
US20060182430A1 (en) Camera exposure program coupled to image stabilization capability
JP2005321806A (ja) 画像露出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80059462A (ko) 카메라 및 장면 동작을 고려한 카메라 노출 최적화 기술
JP6537288B2 (ja) 焦点調節装置および焦点調節方法
JP4508991B2 (ja) 撮像装置
JP7086591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645413B2 (ja) 撮像装置
JP2009177503A (ja) 撮像装置
US20170289476A1 (en) Image pickup apparatus
US9019389B2 (en) Image pickup apparatus that performs exposure calculation for close-up shooting,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JP2007133301A (ja) オートフォーカスカメラ
CN112135037B (zh) 稳定控制设备、摄像设备和稳定控制方法
JP5618765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244914B1 (ko)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촬영장치
JP4948248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6253887A (ja) 撮像装置
KR101293150B1 (ko)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촬영장치
US11330179B2 (en) Imag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255211B1 (ko)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촬영장치
JP2007295312A (ja) デジタル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