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2903B1 - 방독면 - Google Patents

방독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2903B1
KR101292903B1 KR1020120149789A KR20120149789A KR101292903B1 KR 101292903 B1 KR101292903 B1 KR 101292903B1 KR 1020120149789 A KR1020120149789 A KR 1020120149789A KR 20120149789 A KR20120149789 A KR 20120149789A KR 101292903 B1 KR101292903 B1 KR 101292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hole
face mask
ring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9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산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산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산청
Priority to KR1020120149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29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2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2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61F9/06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4Gas helm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독면에 관한 것으로, 정화통이 연결되는 정화통 연결공과 렌즈가 장착되는 렌즈공과 내부의 공기를 배기시키는 배기유닛이 장착되는 배기공 및 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후크를 가지며, 안면에 착용되어 안면을 유독물질로부터 보호하는 고무재 안면마스크; 상기 안면마스크의 후크가 일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버클; 상기 버클의 타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끈을 가지며, 상기 결합끈이 상기 버클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버클을 통해 상기 안면마스크의 후방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후두부를 감싸는 후두부 커버; 상기 연결공과 렌즈공 및 배기공이 형성된 상기 안면마스크의 전면이 노출되는 노출공이 마련되고, 상기 노출공의 테두리가 상기 안면마스크의 전면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두부를 차폐하는 두건; 상기 두건의 하단부를 조이는 하단 조임끈; 상기 조임끈을 상기 두건에 유동가능하게 고정하는 조임끈 패스너; 및 상기 두건에 형성된 상기 노출공의 테두리를 부분적으로 상기 안면마스크에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두건에 형성된 노출공의 테두리가 커넥터에 의해 안면마스크에 연결되므로 두건이 견고하게 안면마스크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머리가 유독물질로부터 보호될 수 있으며, 특히 조임끈 패스너에 의해 두건의 하단부에 조임끈이 고정됨에 따라 두건의 하단부가 조임끈에 의해 조여지므로 유독물질이 두건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는다.

Description

방독면{GAS-MASK}
본 발명은 방독면에 관한 것으로, 화생방(CBR warfare:chemical, bio-logical and radiological warfare) 상황에서 안면에 착용되어 유독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방독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독면은 화학전이나 생물학전 또는 방사능전 등의 위급상황에서 발생되는 유독성 화학가스와 같은 유독물질이 인체에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안면에 착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독면은 착용자를 보호하여 착용자를 오염지역에서 안전지역으로 대피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독면은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대한민국 특허청에 등록된 등록실용신안 제20-373434호에 제안된 바와 같이(도 1 참조) 마스크형태로 제조되거나, 특허등록 제10-1070194호에 제안된 바와 같이 두건형태로 제조된다.
여기서, 종래의 방독면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형태로 구성된 경우, 머리 전체를 차폐하기 위한 두건이 별개로 마련되어 필요시에 머리에 씌워진다. 이때, 종래기술의 두건은 방독면의 테두리를 따라 밀착되는 탄성밴드가 마련되어 탄성밴드의 탄성력에 의해 방독면의 테두리에 결합된다.
그런데, 종래의 방독면은 탄성밴드의 탄성력에 의해서만 두건이 고정됨에 따라 활동중에 두건이 쉽게 벗겨지게 되어 오염지역에서 머리가 쉽게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방독면은 두건의 하단을 여밀 수 있는 수단이 결여되어 있어서, 오염물질이 두건의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점도 있다.
KR 20-373434 Y1 KR 10-1070194 B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안면에 착용되는 안면마스크에 별개의 두건을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면서 두건의 일부분을 안면마스크의 테두리에 걸린상태로 연결함으로써 두건이 안면마스크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특히 안면마스크에 연결된 두건의 하단부를 조일 수 있는 방독면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그리고, 두건이 복수의 원단으로 이루어지면서 원단들의 결합부위가 실링될 수 있는 방독면을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방독면은, 정화통이 연결되는 정화통 연결공과 렌즈가 장착되는 렌즈공과 내부의 공기를 배기시키는 배기유닛이 장착되는 배기공 및 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후크를 가지며, 안면에 착용되어 안면을 유독물질로부터 보호하는 고무재 안면마스크; 상기 안면마스크의 후크가 일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버클; 상기 버클의 타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끈을 가지며, 상기 결합끈이 상기 버클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버클을 통해 상기 안면마스크의 후방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후두부를 감싸는 후두부 커버; 상기 연결공과 렌즈공 및 배기공이 형성된 상기 안면마스크의 전면이 노출되는 노출공이 마련되고, 상기 노출공의 테두리가 상기 안면마스크의 전면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두부를 차폐하는 두건; 상기 두건의 하단부를 조이는 하단 조임끈; 상기 조임끈을 상기 두건에 유동가능하게 고정하는 조임끈 패스너; 및 상기 두건에 형성된 상기 노출공의 테두리를 부분적으로 상기 안면마스크에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 조임끈 패스너는 예컨대, 상기 두건과 동일한 원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두건의 표면에 열융착되고, 일부분이 대칭상태로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부를 통해 상기 조임끈이 끼워져 걸리는 띠형태의 걸림고리를 형성하는 걸림막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임끈 패스너는, 상기 걸림막과 동일한 원단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두건과 상기 걸림막의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열융착됨에 따라 상기 걸림고리에 중첩상태로 고정되어 상기 걸림고리를 보강하는 보강띠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강띠는, 상기 걸림고리와 일측면이 중첩된 상태로 타측면의 양단부만이 상기 두건에 융착됨으로써, 상기 걸림막의 상기 절개부가 형성된 부분이 상기 두건에 융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커넥터는 예컨대, 상기 렌즈공이 형성된 상기 안면마스크의 전면 상부에 상기 두건의 노출공 상부를 연결하는 상부 커넥터; 상기 배기공이 형성된 상기 안면마스크의 전면 하부에 상기 두건의 노출공 하부를 연결하는 하부 커넥터; 및 상기 버클에 결합된 상기 후크를 갖는 상기 안면마스크의 전면 측방에 상기 두건의 노출공 측방을 연결하는 측방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커넥터는, 상기 안면마스크의 전면 상부에 동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렌즈공의 상부에 위치하고, 횡방향으로 관통공을 갖는 상부 블록; 상기 두건의 노출공 상부에 고정되어 고리를 형성하는 상부 고리; 및 상기 상부 블록의 관통공 및 상기 상부고리에 일측 및 타측이 걸려서 고정됨에 따라 상기 두건의 노출공 상부를 상기 안면마스크에 연결하는 걸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커넥터는, 상기 안면마스크의 전면 하부에 동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배기공의 하부에 위치하고, 횡방향으로 관통공을 갖는 하부 블록; 상기 두건의 노출공 하부에 고정되어 고리를 형성하는 하부 고리; 및 상기 하부 블록의 관통공 및 상기 하부 고리에 일측 및 타측이 걸려서 고정됨에 따라 상기 두건의 노출공 하부를 상기 안면마스크에 연결하는 걸고리;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고리 및 상기 하부 고리는, 상기 두건에 재봉을 통해 고정되며, 상기 두건의 재봉부위가 심테이프에 의해 실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방 커넥터는 예컨대, 상기 안면마스크의 전면 측방에 마련된 상기 후크가 결합되는 상기 버클에 마련되는 구멍형태의 홀더; 및 상기 두건의 노출공 측방에 일단부가 고정되어 고정단을 이루고, 자유단을 이루는 타단부가 상기 홀더를 관통하여 상기 버클에 감겨서 걸리는 밴드스트랩; 상기 밴드스트랩의 고정단 및 자유단에 제각기 재봉되어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벨크로테이프; 및 상기 두건과 동일한 원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벨크로테이프의 타측에서 상기 밴드스트랩의 고정단에 재봉되고, 상기 두건의 내측면에 열융착되면서 상기 밴드스트랩의 고정단을 상기 두건에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고정막;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두건은 예컨대, 상기 노출공을 중심으로 일측 절반을 구성하며, 고열에 의해 용융되면서 접착력을 제공하는 열가소성 수지가 배면에 일체적으로 마련된 일측원단; 상기 일측원단과 동일한 원단으로 형성되고, 상기 일측원단의 단부와 중첩상태로 열융착되면서 상기 노출공을 중심으로 타측 절반을 구성하는 타측원단; 및 상기 일측원단 및 상기 타측원단의 중첩부위를 실링하는 심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방독면은, 두건에 형성된 노출공의 테두리가 커넥터에 의해 안면마스크에 연결되므로 두건이 견고하게 안면마스크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머리가 유독물질로부터 보호될 수 있으며, 특히 조임끈 패스너에 의해 두건의 하단부에 조임끈이 고정됨에 따라 두건의 하단부가 조임끈에 의해 조여지므로 유독물질이 두건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조임끈 패스너를 구성하는 걸림막이 절개에 의해 띠형태의 걸림고리를 형성하므로 구성이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하며, 걸림막이 두건의 표면에 열융착됨에 따라 별개의 고정부재가 없이도 걸림막을 고정할 수 있다.
특히, 조임끈 패스너에 보강띠가 마련되어 걸림막의 걸림고리에 중첩상태로 타측면의 양단부만이 고정되므로 걸림막의 절개부가 두건에 융착되는 것이 방지되는 상태로 걸림막의 걸림고리를 보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조임끈의 반복적인 유동에 의해 걸림고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가 상부와 하부 및 측방 커넥터로 구성됨에 따라 두건의 4부분만이 안면마스크에 제각기 연결되므로 두건이 매우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상부 커넥터 및 하부 커넥터가 블록과 고리 및 걸고리로 구성되어 걸고리의 양측에 블록 및 고리가 걸린상태로 고정되므로 두건이 안면마스크에서 임의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며, 걸고리가 블록의 관통공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부고리와 하부고리가 재봉에 의해 두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재봉부위가 심테이프에 의해 실링되므로 유독가스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측방 커넥터를 구성하는 밴드스트랩이 버클에 마련된 홀더에 걸린상태로 벨크로테이프에 의해 고정되므로 밴드스트랩이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밴드스트랩의 고정단이 고정막에 의해 두건에 열융착되므로 밴드스트랩을 두건에 재봉하지 않고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두건이 복수의 원단으로 구성되어 열융착에 의해 형성되므로, 두건을 무재봉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열융착부위가 심테이프에 의해 심실링되므로 두건이 기밀상태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방독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독면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안면마스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안면마스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두건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두건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걸고리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독면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면마스크(10), 버클(20), 후두부커버(30) 및 두건(40)을 포함하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임끈(50), 조임끈 끈고리 패스너(70) 및 커넥터(100)를 포함한다.
안면마스크(10)는 안면을 통기 및 투시가능하게 차폐하여 유독물질로부터 안면을 보호하는 부재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재로 이루어져 마스크형태로 제작된다.
이러한 안면마스크(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화통 연결공(11), 렌즈공(12), 배기공(13) 및 후크(14)가 마련된다.
정화통 연결공(1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안면마스크(10)의 양쪽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미도시된 정화통이 어느 한 쪽에 연결되어 정화된 공기를 안면마스크(10)의 내부로 공급한다.
렌즈공(1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LS)가 장착되어 안면마스크(10)를 투시가능하게 차폐시킨다.
배기공(1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유닛(EX)이 장착되어 안면마스크(10)의 내부공기를 배기시킨다.
즉, 안면마스크(10)는 정화통 및 정화통 연결구(11)를 통해 공기가 공급되어 호흡되며, 호흡된 공기가 배기공(13)의 배기유닛(EX)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전술한 정화통이나 렌즈(LS) 및 배기유닛(EX)의 세부구성이나 결합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이 채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통상의 구성은 널리 알려진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후크(1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면마스크(10)의 테두리를 따라 다수로 마련되어 안면마스크(10)의 후방으로 돌출형성된다.
버클(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후두부커버(30)를 안면마스크(10)에 결합하기 위한 부재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면마스크(10)의 후크(14)에 제각기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버클(20)은 도 4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걸림턱(21)이 마련되어 안면마스크(10)의 후크(14)가 착탈가능하게 걸려서 결합되며, 커버걸림공(23)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후두부커버(30)가 착탈가능하게 연결된다.
전술한 후두부커버(30)는 착용자의 후두부를 감싸는 부재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쉬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버클(20)에 대응하는 결합끈(31)이 마련되어 결합끈(31)을 통해 버클(20)의 커버걸림공(23)에 결합됨에 따라 안면마스크(10)에 결합된다.
두건(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머리 및 어깨부위를 차폐하여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공(41)이 마련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공(41)을 통해 안면마스크(10)의 전면을 노출시킨 상태로 안면마스크(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부분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두건(40)은 예컨대, 섬유원단과 화학성 유독물질을 차단하는 내화학필름으로 이루어진 복합원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섬유원단은 직조된 직물재로 구성되어 박막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표면에 얼룩무늬가 인쇄될 수 있다.
그리고, 내화학 필름은 예컨대, PE층 및 PET층을 포함하는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어 각층이 다양한 화학물질을 차단할 수 있으며, PTFE층이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 PTFE층은 화학성 유독물질을 여과하는 활성탄 분말이나 알갱이 또는 과립이 부착된 상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내화학 필름은 전술한 PE층이나 PET층으로 구성되면서 단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두건(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원단(45) 및 타측원단(46)으로 구성되어 노출공(41)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면서 서로 결합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일측원단(45) 및 타측원단(46)은 고열에 의해 용융되는 예컨대 핫멜트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가 배면에 일체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칭상태를 이루면서 단부가 중첩상태로 열융착되면서 일체적으로 결합된다.
이와 달리, 일측원단(45) 및 타측원단(46)은 폴리에틸렌(PE)이나 에틸렌비닐알코올(EVOH) 또는 폴리염화비닐리덴(PVDC) 등의 내화학성 수지가 일체적으로 배면에 마련되어 서로 열융착될 수도 있으며, 미도시된 필름형태의 핫멜트가 각 단부의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열융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두건(40)은 도 5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원단(45) 및 타측원단(46)의 열융착부위에 심테이프(47)가 부착됨에 따라 중첩부위가 실링상태를 이룬다.
커넥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건(40)에 형성된 노출공(41)의 테두리를 부분적으로 안면마스크(10)의 가장자리에 연결하는 구성요소로써, 예컨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커넥터(110), 하부커넥터(130) 및 측방커넥터(15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부커넥터(110)는 안면마스크(10)의 전면 상부에 두건(40)에 형성된 노출공(41)의 상부를 연결하는 구성요소로써,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블록(111), 상부고리(113) 및 걸고리(115)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부블록(11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면마스크(10)의 전면 상부에 동일체를 이루면서 돌출형성되어 렌즈공(12)의 상부에 위치하고, 횡방향으로 관통공(111a)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걸고리(115)가 결합된다.
상부고리(11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건(40)에 형성된 노출공(41)의 상부에 고정되어 고리를 형성한다.
걸고리(11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블록(111)의 관통공(111a)에 일측이 삽입되어 걸리고, 타측이 두건(40)의 상부고리(113)에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두건(40)의 노출공(41) 상부를 안면마스크(10)의 상부에 연결한다.
이러한 걸고리(11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형태로 절곡되어 'ㄹ'형태를 이루는 절곡핀;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측(115a)이 상부블록(111)의 관통공(111a)을 수평상태로 관통하고, 타측(115b)이 상부고리(113)를 수평상태로 관통하여 걸린다. 그리고, 걸리고(11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단부(115c)가 후크형태로 절곡형성됨에 따라 양측이 상부블록(111) 및 상부고리(113)에 걸림상태로 고정된다.
여기서, 걸고리(11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 안면마스크(10)에 걸려서 고정된 상태로 휴대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두건(40)에 고정되어 휴대될 수도 있다.
하부커넥터(130)는 안면마스크(10)의 전면 하부에 두건(40)에 형성된 노출공(41)의 하부를 연결하는 구성요소로써,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블록(131), 하부고리(133) 및 걸고리(115)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하부블록(13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상부블록(111)과 동일한 형태를 이루면서 안면마스크(10)의 하부에 형성된다.
하부고리(13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공(41)의 하부에 고리형태로 마련된다.
걸고리(115)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블록(131)의 관통공(131a) 및 하부고리(133)에 양측이 삽입되어 걸리면서 두건(40)의 하부를 안면마스크(10)에 연결한다.
한편, 전술한 상부고리(113) 및 하부고리(133)는 도 5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두건(40)에 재봉되면서 고정될 수 있으며, 재봉부위(113a)가 전술한 심테이프(47)에 의해 기밀상태로 실링될 수 있다.
측방커넥터(150)는 전술한 버클(20)에 두건(40)의 노출공(41) 측방을 연결하여 두건(40)의 측방을 안면마스크(10)에 연결하는 구성요소로써, 예컨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51), 밴드스트랩(153), 벨크로테이프(155) 및 고정막(157)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홀더(15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면마스크(10)의 후크(14)가 결합되는 버클(20)의 일측에 구멍형태로 형성된다.
밴드스트랩(15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건(40)에 형성된 노출공(41)의 양측방에 일단부가 고정되어 고정단을 이루고, 자유단을 이루는 타단부가 홀더(151)를 관통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단 및 자유단에 벨크로테이프(155)가 제각기 마련됨에 따라 고리형태로 고정되면서 버클(20)에 감겨진 상태로 걸려서 고정된다.
즉, 밴드스트랩(153)은 안면마스크(10)의 후크(14)에 결합된 버클(20)에 홀더(151)를 통해 고정됨에 따라 두건(40)의 양측을 안면마스크(10)의 측방에 연결한다.
고정막(157)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스트랩(153)을 두건(40)에 일체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부재로써, 두건(40)과 동일한 원단으로 이루어져서 배면에 전술한 열가소성수지가 일체적으로 마련되고, 밴드스트랩(153)의 고정단에 재봉된 상태로 두건(40)의 내측면에 열융착되면서 밴드스트랩(153)을 두건(40)에 고정한다. 즉, 밴드스트랩(153)은 고정막(157)을 통해 두건(40)에 열융착됨에 따라 무재봉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두건(40)은 상부커넥터(110)와 하부커넥터(130) 및 측방커넥터(150)에 의해 노출공(41)의 테두리가 안면마스크(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부분적으로 연결된다.
조임끈(5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건(40)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두건(40)의 하단부를 조여서 두건(40)의 하단부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며, 유독물질이 두건(40)의 하단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조임끈 패스너(70)는 끈고리(60)를 두건(40)에 고정하는 구성요소로써,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막(71)으로 구성할 수 있다.
걸림막(71)은 끈고리(40)가 끼워져 걸리는 부재로써, 두건(40)과 동일하게 배면에 열가소성수지가 일체적으로 마련된 원단으로 구성되어 두건(40)의 표면에 열융착된다.
이러한 걸림막(71)은 도 5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분이 절개됨에 따라 절개부(61)를 통해 조임끈(50)이 끼워져 걸리는 띠형태의 걸림고리(60)를 형성한다.
한편, 조임끈 패스너(7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띠(6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보강띠(65)는 전술한 걸림고리(60)를 보강하기 위한 부재로써, 걸림막(71)과 동일한 원단으로 이루어져 두건(40)과 걸림막(71)의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열융착됨에 따라 걸림고리(60)와 중첩상태로 고정되어 걸림고리(60)를 보강한다.
이러한 보강띠(65)는 두건(40)에 열융착될 경우, 도 5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고리(60)와 일측면이 중첩된 상태로 타측면의 양단부(65a)만이 두건(40)에 융착되어야 하므로, 미도시된 이형지(예:테프론 등)가 타측면에 개재된 상태로 융착되어 가운데 부분, 즉 절개부(61)가 형성된 부분이 두건(40)에 융착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걸림고리(60)는 보강띠(65)에 의해 강성이 보강되므로 조임끈(50)이 반복적으로 유동하는 경우에도 찢어짐이 방지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어깨걸이(8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어깨걸이(8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건(40)의 하단 양측에 고리형태로 마련되어 양팔이 제각기 끼워져 걸리면서 두건(40)의 하단을 양어깨에 고정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어깨걸이(80)는 예컨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깨밴드(81) 및 벨크로테이프(83)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어깨밴드(81)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건(40)의 하단 후방에 일단부가 재봉에 의해 고정되어 고정단을 이루고, 자유단을 이루는 타단부가 후술되는 벨크로테이프(83)에 의해 두건(40)의 전방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면서 고리형태를 이룬다.
벨크로테이프(8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암수형태로 형성되며, 두건(40)의 전방 및 어깨밴드(81)의 자유단에 제각기 고정되어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어깨밴드(8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건(40)과 동일한 원단을 이루는 부착막(85)이 자유단에 일체적으로 마련됨에 따라, 부착막(85)을 통해 벨크로테이프(83)와 일체적으로 재봉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독면의 작용을 설명한다.
안면마스크(10)는 화생방오염지역에서 안면에 착용된다. 이때, 안면마스크(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클(20)을 통해 후크(14)에 결합된 후두부 커버(30)의 결합끈(31)이 조여짐에 따라 안면에 밀착상태로 착용된다.
착용자는 머리를 유독물질로부터 차폐하여야 할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면마스크(10)를 착용한 상태로 두건(40)을 머리에 쓰면서 두건(40)의 노출공(41)을 통해 안면마스크(10)의 전면을 노출시킨후, 커넥터(100)를 통해 노출공(41)의 테두리를 안면마스크(10)의 가장자리에 연결한다.
이때, 착용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블록(111) 및 하부블록(131)에 걸린상태로 고정된 걸고리(115)에 두건(40)의 상부고리(113) 및 하부고리(133)를 제각기 삽입하여 고정하고, 두건(40)의 양측에 마련된 밴드스트랩(153)을 버클(20)에 마련된 홀더(151)에 관통시켜서 벨크로테이프(155)를 통해 고정한다.
그리고, 착용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건(40) 하부의 걸림막(71)에 형성된 걸림고리(60)에 걸린상태로 마련된 조임끈(50)을 결속하여 두건(40)의 하단부를 조인다.
또한, 착용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건(40)의 하단에 마련된 어깨밴드(81)를 겨드랑이에 끼운 후, 어깨밴드(81)의 자유단을 벨크로테이프(83)를 통해 두건(40)의 하단 전방에 고정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방독면에 의하면, 두건(40)에 형성된 노출공(41)의 테두리가 커넥터(100)에 의해 안면마스크(10)에 연결되므로 두건(40)이 견고하고 신속하게 안면마스크(10)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머리가 유독물질로부터 보호될 수 있며, 특히 조임끈 패스너(70)에 의해 두건(40)의 하단부에 조임끈(50)이 고정됨에 따라 두건(40)의 하단부가 조임끈(50)에 의해 조여지므로 유독물질이 두건(4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조임끈 패스너(70)를 구성하는 걸림막(71)이 절개에 의해 띠형태의 걸림고리(60)를 형성하므로 구성이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하며, 걸림막(71)이 두건(40)의 표면에 열융착됨에 따라 별개의 고정부재가 없이도 걸림막(71)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100)가 상부와 하부 및 측방 커넥터(110)(130)(150)로 구성됨에 따라 두건(40)의 4부분만을 안면마스크에 연결하므로 두건(40)이 더욱 견고하고 신속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상부 커넥터(110) 및 하부 커넥터(130)가 블록(111)(131)과 고리(113)(133) 및 걸고리(115)로 구성되어 걸고리(115)의 양측에 블록(111)(131) 및 고리(113)(133)가 걸린상태로 고정되므로 두건(40)이 안면마스크(10)에서 임의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며, 걸고리가(115) 블록(111)(131)의 관통공(111a)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부고리(113)와 하부고리(133)가 재봉에 의해 두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재봉부위가 심테이프(47)에 의해 실링되므로 유독가스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측방 커넥터(150)를 구성하는 밴드스트랩(153)이 버클(20)에 마련된 홀더(151)에 걸린상태로 벨크로테이프(155)에 의해 고정되므로 밴드스트랩(153)이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밴드스트랩(153)의 고정단이 고정막(157)에 의해 두건에 열융착되므로 밴드스트랩(153)을 두건(40)에 재봉하지 않고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두건(40)이 복수의 원단(45)(46)으로 구성되어 열융착에 의해 형성되므로, 두건(40)을 무재봉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열융착부위가 심테이프(47)에 의해 심실링되므로 두건(40)이 기밀상태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안면마스크 11 : 정화통 연결공
12 : 렌즈공 13 : 배기공
14 : 후크 20 : 버클
21 : 후크걸림턱 23 : 커버걸림공
30 : 후두부 커버 31 : 결합끈
40 : 두건 41 : 노출공
45, 46 : 원단 47 : 심테이프
100 : 커넥터 110 : 상부커넥터
111 : 상부블록 113 : 상부고리
115 : 걸고리 130 : 하부커넥터
131 : 하부블록 133 : 하부고리
150 : 측방커넥터 151 : 홀더
153 : 밴드스트랩 155 : 벨크로테이프
157 : 고정막 50 : 조임끈
60 : 걸림고리 61 : 절개부
65 : 보강띠 70 : 조임끈 패스너
71 : 걸림막 80 : 어깨걸이
81 : 어깨밴드 83 : 벨크로테이프
85 : 부착막

Claims (6)

  1. 정화통이 연결되는 정화통 연결공과 렌즈가 장착되는 렌즈공과 내부의 공기를 배기시키는 배기유닛이 장착되는 배기공 및 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후크를 가지며, 안면에 착용되어 안면을 유독물질로부터 보호하는 고무재 안면마스크;
    상기 안면마스크의 후크가 일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버클;
    상기 버클의 타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끈을 가지며, 상기 결합끈이 상기 버클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버클을 통해 상기 안면마스크의 후방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후두부를 감싸는 후두부 커버;
    상기 연결공과 렌즈공 및 배기공이 형성된 상기 안면마스크의 전면이 노출되는 노출공이 마련되고, 상기 노출공의 테두리가 상기 안면마스크의 전면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두부를 차폐하는 두건;
    상기 두건의 하단부를 조이는 하단 조임끈;
    상기 조임끈을 상기 두건에 유동가능하게 고정하는 조임끈 패스너; 및
    상기 두건에 형성된 상기 노출공의 테두리를 부분적으로 상기 안면마스크에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조임끈 패스너는,
    상기 두건과 동일한 원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두건의 표면에 열융착되고, 일부분이 대칭상태로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부를 통해 상기 조임끈이 끼워져 걸리는 띠형태의 걸림고리를 형성하는 걸림막으로 구성되며,
    상기 조임끈 패스너(70)는,
    상기 걸림막(71)과 동일한 원단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두건(40)과 상기 걸림막(71)의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열융착됨에 따라 상기 걸림고리(60)에 중첩상태로 고정되어 상기 걸림고리(60)를 보강하는 보강띠(65)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띠(65)는,
    상기 걸림고리(60)와 일측면이 중첩된 상태로 타측면의 양단부(65a)만이 상기 두건(40)에 융착됨으로써, 상기 걸림막(71)의 상기 절개부(61)가 형성된 부분이 상기 두건(40)에 융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
  2. 삭제
  3. 정화통이 연결되는 정화통 연결공과 렌즈가 장착되는 렌즈공과 내부의 공기를 배기시키는 배기유닛이 장착되는 배기공 및 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후크를 가지며, 안면에 착용되어 안면을 유독물질로부터 보호하는 고무재 안면마스크;
    상기 안면마스크의 후크가 일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버클;
    상기 버클의 타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끈을 가지며, 상기 결합끈이 상기 버클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버클을 통해 상기 안면마스크의 후방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후두부를 감싸는 후두부 커버;
    상기 연결공과 렌즈공 및 배기공이 형성된 상기 안면마스크의 전면이 노출되는 노출공이 마련되고, 상기 노출공의 테두리가 상기 안면마스크의 전면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두부를 차폐하는 두건;
    상기 두건의 하단부를 조이는 하단 조임끈;
    상기 조임끈을 상기 두건에 유동가능하게 고정하는 조임끈 패스너; 및
    상기 두건에 형성된 상기 노출공의 테두리를 부분적으로 상기 안면마스크에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렌즈공이 형성된 상기 안면마스크의 전면 상부에 상기 두건의 노출공 상부를 연결하는 상부 커넥터;
    상기 배기공이 형성된 상기 안면마스크의 전면 하부에 상기 두건의 노출공 하부를 연결하는 하부 커넥터; 및
    상기 버클에 결합된 상기 후크를 갖는 상기 안면마스크의 전면 측방에 상기 두건의 노출공 측방을 연결하는 측방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커넥터는,
    상기 안면마스크의 전면 상부에 동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렌즈공의 상부에 위치하고, 횡방향으로 관통공을 갖는 상부 블록;
    상기 두건의 노출공 상부에 고정되어 고리를 형성하는 상부 고리; 및
    상기 상부 블록의 관통공 및 상기 상부고리에 일측 및 타측이 걸려서 고정됨에 따라 상기 두건의 노출공 상부를 상기 안면마스크에 연결하는 걸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커넥터는,
    상기 안면마스크의 전면 하부에 동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배기공의 하부에 위치하고, 횡방향으로 관통공을 갖는 하부 블록;
    상기 두건의 노출공 하부에 고정되어 고리를 형성하는 하부 고리; 및
    상기 하부 블록의 관통공 및 상기 하부 고리에 일측 및 타측이 걸려서 고정됨에 따라 상기 두건의 노출공 하부를 상기 안면마스크에 연결하는 걸고리;를 포함하는 방독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리 및 상기 하부 고리는,
    상기 두건에 재봉을 통해 고정되며, 상기 두건의 재봉부위가 심테이프에 의해 실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커넥터는,
    상기 안면마스크의 전면 측방에 마련된 상기 후크가 결합되는 상기 버클에 마련되는 구멍형태의 홀더; 및
    상기 두건의 노출공 측방에 일단부가 고정되어 고정단을 이루고, 자유단을 이루는 타단부가 상기 홀더를 관통하여 상기 버클에 감겨서 걸리는 밴드스트랩;
    상기 밴드스트랩의 고정단 및 자유단에 제각기 재봉되어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벨크로테이프; 및
    상기 두건과 동일한 원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벨크로테이프의 타측에서 상기 밴드스트랩의 고정단에 재봉되고, 상기 두건의 내측면에 열융착되면서 상기 밴드스트랩의 고정단을 상기 두건에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고정막;을 포함하는 방독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건은,
    상기 노출공을 중심으로 일측 절반을 구성하며, 고열에 의해 용융되면서 접착력을 제공하는 열가소성 수지가 배면에 일체적으로 마련된 일측원단;
    상기 일측원단과 동일한 원단으로 형성되고, 상기 일측원단의 단부와 중첩상태로 열융착되면서 상기 노출공을 중심으로 타측 절반을 구성하는 타측원단; 및
    상기 일측원단 및 상기 타측원단의 중첩부위를 실링하는 심테이프;를 포함하는 방독면.
KR1020120149789A 2012-12-20 2012-12-20 방독면 KR101292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789A KR101292903B1 (ko) 2012-12-20 2012-12-20 방독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789A KR101292903B1 (ko) 2012-12-20 2012-12-20 방독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2903B1 true KR101292903B1 (ko) 2013-08-02

Family

ID=49219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9789A KR101292903B1 (ko) 2012-12-20 2012-12-20 방독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29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5973A (ko) * 2015-01-08 2016-07-19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원터치 방독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920Y1 (ko) * 2001-04-17 2002-02-21 삼공물산 주식회사 방독면용 보호두건의 가스유입방지구조
US20020046752A1 (en) * 1997-03-20 2002-04-25 Tischer Michael Scott Firefighting hood and face mask assembly
KR200373434Y1 (ko) 2004-10-29 2005-01-15 주식회사 산청 결속구 및 그 결속구를 갖는 공기정화용 마스크
JP2009532106A (ja) 2006-03-31 2009-09-10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呼吸用保護具のための装着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46752A1 (en) * 1997-03-20 2002-04-25 Tischer Michael Scott Firefighting hood and face mask assembly
KR200264920Y1 (ko) * 2001-04-17 2002-02-21 삼공물산 주식회사 방독면용 보호두건의 가스유입방지구조
KR200373434Y1 (ko) 2004-10-29 2005-01-15 주식회사 산청 결속구 및 그 결속구를 갖는 공기정화용 마스크
JP2009532106A (ja) 2006-03-31 2009-09-10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呼吸用保護具のための装着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5973A (ko) * 2015-01-08 2016-07-19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원터치 방독면
KR101686662B1 (ko) * 2015-01-08 2016-12-15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원터치 방독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8386B1 (ko) 방독면
US20220168596A1 (en) Respirator with phase change material
US6578572B2 (en) Firefighting hood and face mask assembly
JP4728333B2 (ja) 防護衣服集合体
US6134716A (en) Disposable smoke mask with replaceable filter
US20140190476A1 (en) Seal for full face mask
US11426613B2 (en) Personal protection suit
KR101407515B1 (ko) 방독면용 두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78436B1 (ko) 방독면
KR101210662B1 (ko) 접착식 두건형 방독면 및 이를 위한 방독면용 두건의 제조방법
KR101072529B1 (ko) 접착식 두건형 방독면 및 이를 위한 방독면용 두건의 제조방법
US6694972B2 (en) Gas canister protection system
KR101292903B1 (ko) 방독면
KR101070198B1 (ko) 화생방용 두건형 방독면
KR101070194B1 (ko) 접착식 두건형 방독면
KR101070193B1 (ko) 다기능 두건형 방독면
US20110225712A1 (en) Barrier suit
KR101408839B1 (ko) 방독면
RU109665U1 (ru) Респиратор с полумаской с щелевым клапаном выдоха
KR20130104315A (ko) 접착식 두건형 방독면 및 이를 위한 방독면용 두건의 제조방법
WO1982002665A1 (en) Heat and smoke protective hood
JPH0810344A (ja) 農薬散布防護具
KR102050325B1 (ko) 방독면 수용의 가방형 배낭
JP2022085666A (ja) マスクカバー、呼気誘導マスク及び呼気誘導マスク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