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2661B1 - 셔틀콕 발사기 - Google Patents

셔틀콕 발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2661B1
KR101292661B1 KR1020120034387A KR20120034387A KR101292661B1 KR 101292661 B1 KR101292661 B1 KR 101292661B1 KR 1020120034387 A KR1020120034387 A KR 1020120034387A KR 20120034387 A KR20120034387 A KR 20120034387A KR 101292661 B1 KR101292661 B1 KR 101292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el
shuttlecock
launching
launcher
shuttle c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4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식
Original Assignee
김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식 filed Critical 김창식
Priority to KR1020120034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26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2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2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63B69/407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with spring-loaded propel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8Badminton or similar games with feathered missiles
    • A63B67/183Feathered missiles
    • A63B67/187Shuttlecoc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17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dmint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04Badmint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셔틀콕을 신속하게 연속으로 발사하는 것이 가능하고 소음이 감소하며 제조원가 절감이 가능하도록, 중심축이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원통형의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후방쪽 끝부분에 형성되는 투입구를 통하여 내부에 셔틀콕이 투입되며 중심축 주위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연결된 상태에서 중심축 주위를 선회운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발사통과, 발사통에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이동가능하게 각각 설치되고 후진이동시 발사통에 투입된 셔틀콕의 후방에 위치하고 전진이동함에 따라 셔틀콕을 추진하기 위한 복수의 추진체와, 추진체의 후진이동시 탄성에너지가 축적되고 탄성복원력을 이용하여 추진체를 추진하는 것에 의하여 셔틀콕이 발사통으로부터 발사되도록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탄성체와, 지지프레임에 지지되고 발사통의 선회운동시 추진체가 걸려 후방쪽으로 슬라이딩되면서 후진이동이 이루어지는 레일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셔틀콕 발사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셔틀콕 발사기 {Shuttlecock Shooter}
본 발명은 셔틀콕 발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셔틀콕을 연속으로 자동 발사시켜주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셔틀콕을 라켓으로 치면서 혼자서도 편리하게 타구연습 등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한 셔틀콕 발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드민턴은 깃털이 달린 공, 즉 셔틀콕을 네트 양편에서 라켓으로 쳐가며 득점을 겨루는 스포츠로서, 언제 어디서나 약간의 공간만 있으면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스포츠이므로 대중에게 가장 많이 보급된 라켓 종목이기도 하다.
상기 배드민턴은 경기가 아닌 연습시 개인이 혼자서 셔틀콕을 이용한 타구연습을 행하는 경우 코치 등과 같이 셔틀콕을 공급해주기 위한 공급자가 필요하므로 연습이 쉽지 않다.
따라서 혼자서 타격연습이 가능하거나 전문적인 코치가 필요없이도 타격연습이 가능하도록 하는 셔틀콕 발사기를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시도되고 있으며, 한국특허공개 제2009-0050205호 및 한국특허등록 제1118557호 등에 셔틀콕 발사기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 한국공개특허 제2009-0050205호 배드민턴 공 발사장치는 배드민턴 공을 발사보조관(4)에 넣고 방향조절손잡이(3)를 이용하여 방향을 정한 후 공기출력버튼(2)을 누르면 공기압축기(1)의 공기가 공기호스(6)를 통해 공기출력관(5)으로 배출되면서 배드민턴 공이 앞으로 발사되는 구조이다.
그런데 상기 배드민턴 공 발사장치는 배드민턴 공을 발사하기 위해 공기압축기가 사용됨에 따라 제조원가 상승하고 공기압축기의 작동 및 압축공기 배출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셔틀콕을 일일이 발사보조관에 투입시켜줘야 하므로 혼자서는 연습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있다.
그리고 상기 한국등록특허 제1118557호 배드민턴 연습장치는 셔틀콕(11)이 장착되는 셔틀콕투입부(21)로부터 셔틀콕발사부(31)의 발사포통부(33)로 셔틀콕(11)이 투입되면 발사노즐(35)에서 분사되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셔틀콕(11)을 전방으로 발사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배드민턴 연습장치는 셔틀콕투입부(21) 및 발사포통부(33)가 하나씩만 설치됨에 따라 하나의 셔틀콕이 셔틀콕투입부(21)에서 발사포통부(33)에 투입되어 발사가 이루어지기까지는 일정 시간이 소요되므로 빠른 시간내에 연속으로 셔틀콕을 발사하기 어려운 문제점 있다.
그리고 압축공기 공급을 위한 에어탱크가 사용됨에 따라 제조원가 상승하고 에어탱크 가동시 및 압축공기 배출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남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위한 것으로서, 여러개의 발사통을 선회운동시키면서 일정 선회 위치에서 탄성체의 탄성복원력을 이용하여 셔틀콕을 발사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셔틀콕을 신속하게 연속으로 발사하는 것이 가능하고 소음이 감소하며 제조원가 절감이 가능한 셔틀콕 발사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러 개의 셔틀콕을 장전통에 삽입함에 따라 셔틀콕이 발사통에 자동으로 투입되며 발사가 가능하므로 장시간에 걸쳐 무인으로 셔틀콕을 발사시키면서 편리하게 개인연습이 가능한 셔틀콕 발사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셔틀콕 발사기는 중심축이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원통형의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후방쪽 끝부분에 형성되는 투입구를 통하여 내부에 셔틀콕이 투입되며 상기 중심축 주위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연결된 상태에서 중심축 주위를 선회운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발사통과, 상기 발사통을 선회운동시키는 선회장치와, 상기 발사통에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이동가능하게 각각 설치되고 상기 발사통 내부의 셔틀콕을 추진하기 위한 복수의 추진체와, 상기 추진체의 후진이동시 탄성에너지가 축적되고 탄성복원력을 이용하여 추진체를 전진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셔틀콕이 발사통으로부터 발사되도록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탄성체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지지되고 상기 발사통의 선회운동시 상기 추진체가 걸려 후방쪽으로 슬라이딩되면서 후진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형성하여 설치되는 레일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중심축 및 발사통은 각각 전방에서 후방쪽으로 갈수록 서서히 낮게 위치하는 상태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선회장치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발사통을 선회운동시키는 전동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체는 고무줄 또는 코일스프링을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한쪽 끝부분이 상기 발사통에 지지되고 다른쪽 끝부분은 상기 추진체에 지지되게 설치된다.
상기 레일부재는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사통의 선회반경 주위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하여 설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원통형의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내부에는 복수의 상기 셔틀콕이 일렬로 삽입되며 상기 발사통의 선회운동반경 내측에 발사통과 각각 인접하며 연결 설치되는 복수의 장전통과, 상기 복수의 장전통 중 12시 방향에 위치하는 장전통의 후방 하부에서 장전통의 최후방에 위치한 셔틀콕부터 하나씩 인출하는 셔틀콕인출장치와, 상기 셔틀콕인출장치에 의해 인출되는 셔틀콕이 삽입되고 삽입되는 셔틀콕을 6시 방향에 위치하는 발사통의 투입구로 안내하는 투입안내관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장전통은 전방에서 후방쪽으로 갈수록 서서히 낮게 위치하는 상태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복수의 장전통 후방에는 12시 방향에 위치하는 장전통의 후방 끝면을 제외한 나머지 장전통의 후방 끝면을 일정 간격을 두고 가로막아 폐쇄하도록 설치되는 덮개판이 설치된다.
상기 셔틀콕인출장치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지지되는 모터와, 상기 장전통의 후방 끝부분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궤도운동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궤도운동시 상기 장전통의 최후방에 위치하는 셔틀콕의 날개부가 걸려서 셔틀콕을 장전통으로부터 인출하는 복수의 걸림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발사기에 의하면, 여러개의 발사통이 선회운동하면서 교대로 연이어 셔틀콕을 발사하는 것이 가능하고 탄성체의 탄성복원력을 이용하여 셔틀콕을 추진 발사하므로, 셔틀콕을 신속하게 연속으로 발사하는 것이 가능하고 소음이 감소하며 제조원가의 절감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발사기에 의하면, 각각의 발사통마다 셔틀콕이 장전되는 장전통을 구비하여 다수의 셔틀콕을 장전할 수 있고 장전되는 셔틀콕을 발사통에 자동으로 투입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장시간에 걸쳐 다수의 셔틀콕을 무인으로 발사시키면서 개인이 혼자서도 편리하게 타구연습 등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발사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발사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발사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발사기에 있어서 발사통과 탄성체 및 추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발사기에 있어서 발사통 및 추진체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발사기에 있어서 발사통 및 추진체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발사기에 있어서 추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발사기에 있어서 레일부재를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발사기에 있어서 레일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발사기에 있어서 장전통 및 덮개판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발사기에 있어서 셔틀콕인출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발사기에 있어서 셔틀콕인출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발사기에 있어서 추진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발사기에 있어서 레일부재를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발사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동일한 기능을 하는 기술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반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효과적으로 보여주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발사기는 도 1~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심축(16)이 설치되는 지지프레임(10)과, 선회장치(20)에 의해 상기 중심축(16) 주위를 선회운동하고 셔틀콕(2)이 각각 내부에서 발사되는 복수의 발사통(30)과, 상기 발사통(30)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추진체(40) 및 탄성체(50)와, 상기 발사통(30) 주위에 설치되는 레일부재(60)와, 상기 발사통(30)의 선회운동구간 내측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장전통(70)과, 상기 장전통(70) 후방에 설치되는 셔틀콕인출장치(80) 및 투입안내관(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프레임(10)에는 편리한 이동을 위해 복수의 바퀴(12)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10)에는 상기 셔틀콕(2)의 발사위치를 좌우로 변경시킬 수 있도록 좌우방향(수평방향)으로 요동가능한 요동부(14)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요동부(14)는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중심축(16)과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지지프레임(10)과 힌지축(15)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요동부(14)는 상기 힌지축(15)을 중심으로 좌우로 각각 대략 30~60°정도의 범위내에서 왕복 수평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요동부(14)를 왕복 수평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은 일반적으로 선풍기의 날개를 왕복 수평회전시키기 위한 구성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중심축(16)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지면과의 높이가 점점 높아지는 상태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발사통(30)은 대략 원통형의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심축(16) 주위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링형상을 이루며 일체형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중심축(16) 주위를 선회운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발사통(30)은 후방쪽 끝부분에 형성되는 투입구(32)를 통하여 내부에 상기 셔틀콕(2)이 투입되고 측면에는 상기 추진체(40)의 길이방향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34)이 형성되며 상기 중심축(16)과 마찬가지의 각도로 전방 끝부분이 후방 끝부분보다 높게 경사진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투입구(32)는 상기 발사통(30)이 12시 방향에 위치하는 경우 하부를 향하고 6시 방향에 위치하는 경우 상부를 향하도록 형성되며 6시 방향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장전통(70)으로부터 인출되는 셔틀콕(2)이 통과하여 투입이 이루어진다.
상기 선회장치(20)는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요동부(14)에 설치되는 모터(21)와, 상기 모터(21)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발사통(30)을 선회운동시키는 전동장치(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모터(21)는 감속기가 연결 설치되는 모터를 사용하는 가능하고, 서보모터 등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전동장치(22)는 예를 들면, 상기 모터(21)의 축에 설치되는 원동스프로킷휠(23)과, 상기 복수의 발사통(30) 후방 끝부분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종동스프로킷휠(24)과, 상기 복수의 구동스프로킷휠(23)과 종동스프로킷휠(24)을 감아서 연결하는 체인(2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동장치(22)는 상기한 체인전동장치 이외에도 벨트전동장치, 로프전동장치, 기어전동장치, 캠전동장치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추진체(40)는 도 6~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발사통(30)과 함께 선회운동하고 상기 발사통(30)에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이동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며 발사통(30)의 후방 끝부분에 위치하도록 후진이동하면 상기 탄성체(50)에 탄성에너지를 축적시키고 탄성체(50)의 탄성복원력에 의한 전진이동하면서 셔틀콕(2)을 추진하게 된다.
상기 추진체(40)는 상기 발사통(30)의 내부에 위치하고 대략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41)와, 상기 몸체부(41)의 전방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발사통의 투입구(32)를 통해 투입된 셔틀콕(2)의 후방에서 셔틀콕(2)의 헤드부(3)를 추진하며 대략 원기둥형상으로 형성하여 설치되는 돌출부(42)와, 상기 몸체부(41)의 측면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발사통(30)의 안내홈(34)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안내레버(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발사통(30)에 형성되는 안내홈(34)은 발사통(30)의 내면과 외면을 관통하며 발사통(30)의 원둘레를 따라 좌, 우측면과 상측면(또는 하측면) 3개소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안내레버(44)는 상기 안내홈(34)에 대응하도록 상기 추진체(40)의 둘레를 따라 3개가 설치된다.
상기 안내홈(34)은 원둘레를 따라 1~4개 정도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안내레버(44)는 상기 안내홈(34)에 대응하는 갯수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3개의 안내레버(44)는 "ㄷ"형상으로 형성되는 연결부(46)에 의해 끝부분이 일체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탄성체(50)는 상기 추진체(40)의 후진이동시 탄성에너지가 축적되고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추진체(40)를 전진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추진체(40)가 셔틀콕(2)을 추진하면서 셔틀콕(2)이 발사통(30)으로부터 발사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탄성체(50)는 고무줄 또는 코일스프링 등을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한쪽 끝부분은 상기 발사통(30)의 전방쪽에 연결되어 지지되고 다른쪽 끝부분은 상기 추진체(40)의 안내레버(44) 또는 연결부(46)에 연결되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레일부재(60)는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지지되고 상기 발사통(30)의 선회운동시 상기 추진체(40)의 안내레버(44) 또는 연결부(46)가 걸려 후방쪽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탄성체(50)에 탄성에너지가 축적되게 후진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레일부재(60)는 대략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사통(30)의 선회반경 주위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하여 설치된다.
상기 레일부재(60)는 한쪽 끝부분이 상기 발사통(30)의 전방쪽에 위치하고 다른쪽 끝부분은 발사통(30)의 후방쪽에 위치하며 발사통(30)이 선회운동하는 방향으로 나선형으로 감기도록 설치된다.
상기 레일부재(60)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추진체(40)가 대략 12시 방향의 발사통(30) 전방 끝부분에 위치한 상태에서 대략 6시 방향까지 회전함에 따라 추진체(40)가 상기 발사통(30)의 투입구(32) 후방쪽까지 후진이동하도록 형성하여 설치된다.
상기 레일부재(60)의 다른쪽 끝부분에는 상기 6시 방향의 발사통(30)에 셔틀콕(2)이 투입되면 일정 거리 전진이동하여 셔틀콕(2)이 투입구(32)를 지나쳐서 투입구(32)과 근접한 전방에 위치하도록 연장레일부재(64)가 더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연장레일부재(64)는 대략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레일부재(60)와 반대방향으로 나선 또는 사선형으로 일정길이로 형성하여 설치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추진체(40)가 전방쪽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전진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레일부재(60)의 다른쪽 끝부분 또는 연장레일부재(64)의 레일부재(60) 반대쪽 끝부분에는 상기 추진체(40)가 탄성체(5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전진이동하는 것을 금지하면서 발사통(30)과 함께 선회운동만 가능한 상태(발사대기상태)가 되도록 하는 대기레일부재(66)가 더 형성하여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대기레일부재(66)는 상기 레일부재(60) 또는 연장레일부재(64)와 마찬가지로 대략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끝부분이 대략 12시 방향의 발사통(30) 주위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추진체(40)는 선회운동하여 상기 레일부재(60)나 연장레일부재(64) 또는 대기레일부재(66)의 끝부분을 지나침에 따라 걸림이 해제되면서 상기 탄성체(5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전진이동하여 셔틀콕(2)을 추진 발사시키게 된다.
상기 장전통(70)은 대략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상기 셔틀콕(2)이 헤드부(3)가 후방을 향하는 상태로 일렬로 중첩되게 삽입되며 상기 발사통(30)의 선회운동반경 내측에 발사통(30)과 각각 인접하며 일체로 연결 설치된다.
상기 장전통(70)은 대략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사통(30)과 마찬가지의 각도로 전방에서 후방쪽으로 갈수록 서서히 낮게 위치하는 상태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장전통(70)은 대략 전방 끝부분이 상기 발사통(30)의 전방 끝부분과 대응하고 후방 끝부분이 발사통(30)의 투입구(32)에 대응하여 위치하도록 형성하여 설치된다.
상기 장전통(70)은 전방쪽에서 상기 셔틀콕(2)이 용이하게 삽입되고 후방쪽에서 셔틀콕(2)의 날개부(4)와 마찰을 일으켜 쉽게 배출되지 않도록 전방부에서 후방부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작아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장전통(70)의 전방 끝부분 내경은 상기 셔틀콕(2)의 날개부(4) 후방 끝부분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후방 끝부분 내경은 셔틀콕(2)의 날개부(4) 후방 끝부분 직경과 유사하거나 작게 형성된다.
상기 장전통(70)의 후방에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력 등에 의해 상기 장전통(70)의 후방쪽 끝면으로 상기 셔틀콕(2)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덮개판(72)이 더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덮개판(72)은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요동부(14)에 지지되고 복수의 상기 장전통(70) 중에서 12시 방향에 위치하는 장전통(70)의 후방 끝면을 제외한 나머지 장전통(70)의 후방 끝면 일부 또는 전부를 가로막아 폐쇄하도록 형성하여 설치된다.
상기 복수의 장전통(70) 중 12시 방향에 위치하는 장전통(70)의 후방에는 장전통(70)의 최후방에 위치하는 셔틀콕(2)부터 하나씩 인출하여 상기 투입안내관(90)으로 삽입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셔틀콕인출장치(80)가 설치된다.
상기 셔틀콕인출장치(80)는 예를 들면, 상기 12시 방향에 위치하는 장전통(70)의 최후방에 위치하는 셔틀콕(2)을 인출하여 상기 투입안내관(90)의 입구를 통하여 투입안내관(80) 내부로 이송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셔틀콕인출장치(80)는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지지되는 모터(82)와, 상기 장전통(70)의 후방 끝부분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모터(8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궤도운동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궤도운동시 상기 장전통(70)의 최후방에 위치하는 셔틀콕(2)의 날개부(4)가 걸려서 셔틀콕(2)을 장전통(70)으로부터 인출하는 복수의 걸림돌기(8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돌기(84)는 대략 삼각형상이나 사각형상, 사다리꼴형상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돌기(84)는 상기 장전통(70)의 후방 끝부분 하부에서 상기 투입안내관(90)의 입구 부분 또는 중간 부분 하부까지의 구간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걸림돌기(84)는 체인전동장치를 이용하여 궤도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스프로킷휠(86)을 설치하고, 상기 스프로킷휠(86)에는 체인(85)을 감아 걸고, 상기 체인(85)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걸림돌기(84)를 설치한다.
상기 스프로킷휠(86)은 상기 모터(82)를 이용하여 회전시킨다.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걸림돌기(84)를 궤도운동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체인전동장치 대신에 벨트전동장치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걸림돌기(84)는 벨트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걸림돌기(84)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터(82)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바퀴체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것에 의하여 원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바퀴체에 걸림돌기(84)가 설치됨에 따라 톱니바퀴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투입안내관(90)은 대략 원통형의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셔틀콕인출장치(80)에 의해 인출되는 셔틀콕(2)이 삽입되며 삽입되는 셔틀콕(2)을 6시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발사통(30)의 투입구(32)로 안내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투입안내관(90)은 대략 "U"형상의 원통파이프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상기 장전통(70) 중 12시 방향에 위치하는 장전통(70)의 후방 끝면에 대응하여 입구가 형성되며 6시 방향에 위치하는 발사통(30)의 투입구(32)에 대응하여 출구가 형성되게 설치된다.
상기 투입안내관(90)은 "ㄱ"형상이나 "V"형상 등 상기 장전통(70)과 투입구(32)의 위치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투입안내관(90)의 내부로 이송되는 상기 셔틀콕(2)은 상기 투입안내관(9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6시 방향에 위치한 발사통(30)의 투입구(32)에 투입되면서 헤드부(3)가 전방을 향하게 된다.
상기 6시 방향의 발사통(30)에 투입된 셔틀콕(2)은 발사통(30)이 회전운동하여 대략 12시 방향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탄성체(5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추진체(40)의 전진이동에 의해 발사통(30)으로부터 발사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발사장치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추진체(140)가 상기 발사통(30) 내부에 위치하는 몸체부(14)와, 상기 몸체부(141)의 전방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셔틀콕(2)의 후방에서 셔틀콕(20)의 헤드부(3)를 추진하기 위한 돌출부(142)와, 상기 몸체부(141)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발사통(30)의 안내홈(34)에 조립되는 안내레버(144)와, 한쪽 끝부분이 상기 몸체부(141)에 연결 설치되고 다른쪽 끝부분이 상기 발사통(30)의 후방 끝면을 통과하여 발사통(30)의 측면에 위치하는 연결케이블(146)과, 상기 연결케이블(146)의 다른쪽 끝부분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발사통(30)의 선회운동시 상기 레일부재(60)에 걸려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몸체부(141)가 후진이동되도록 하는 이동부재(148)와, 상기 발사통(30) 바깥쪽 측면에서 발사통(30)과 평행하도록 길게 형성하여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재(148)가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 지지되는 가드레일(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연결케이블(146)은 강철로프 등을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외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자연스럽게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파이프(147)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파이프(147)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발사통(30)이나 장전통(70) 등에 고정 지지된다.
상기와 같이 추진체(140)를 구성하게 되면, 상기 이동부재(148)가 전진이동하는 경우 상기 몸체부(141)가 후진이동되므로 상기 레일부재(60)는 상기한 제1실시예의 역방향으로 설치된다.
즉 상기 레일부재(60)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발사통(30)의 전방에 볼 때 상기 장전통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감기긴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상기한 제2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2 : 셔틀콕 3 : 헤드부
4 : 날개부 10 : 지지프레임
12 : 바퀴 14 : 요동부
15 : 힌지축 16 : 중심축
20 : 선회장치 21, 82 : 모터
22 : 전동장치 25, 85 : 체인
30 : 발사통 32 : 투입구
34 : 안내홈 40, 140 : 추진체
41, 141 : 몸체부 42, 142 : 돌출부
44, 144 : 안내레버 46 : 연결부
50 : 탄성체 60 : 레일부재
64 : 연장레일부재 70 : 장전통
72 : 덮개판 80 : 셔틀콕인출장치
84 : 걸림돌기 86 : 스프로킷휠
90 : 투입안내관

Claims (10)

  1. 중심축이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원통형의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후방쪽 끝부분에 형성되는 투입구를 통하여 내부에 셔틀콕이 투입되며 상기 중심축 주위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연결된 상태에서 중심축 주위를 선회운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발사통과,
    상기 발사통을 선회운동시키는 선회장치와,
    상기 발사통에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이동가능하게 각각 설치되고 상기 발사통 내부의 셔틀콕을 추진하기 위한 복수의 추진체와,
    상기 추진체의 후진이동시 탄성에너지가 축적되고 탄성복원력을 이용하여 추진체를 전진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셔틀콕이 발사통으로부터 발사되도록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탄성체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지지되고 상기 발사통의 선회운동시 상기 추진체가 걸려 후방쪽으로 슬라이딩되면서 후진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형성하여 설치되는 레일부재를 포함하는 셔틀콕 발사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사통의 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발사통의 내면과 외면을 관통하는 안내홈을 더 형성하고,
    상기 추진체는 상기 발사통의 내부에 위치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전방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셔틀콕의 후방에서 셔틀콕의 헤드부를 추진하기 위한 돌출부와, 상기 몸체부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안내홈에 조립되는 안내레버를 포함하는 셔틀콕 발사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사통의 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발사통의 내면과 외면을 관통하는 안내홈을 더 형성하고,
    상기 추진체는 상기 발사통 내부에 위치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전방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셔틀콕의 후방에서 셔틀콕의 헤드부를 추진하기 위한 돌출부와, 상기 몸체부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안내홈에 조립되는 안내레버와, 한쪽 끝부분이 상기 몸체부에 연결 설치되고 다른쪽 끝부분이 상기 발사통의 바깥쪽 측면에 위치하는 연결케이블과, 상기 연결케이블의 다른쪽 끝부분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발사통의 선회운동시 상기 레일부재에 걸려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몸체부가 후진이동되도록 하는 이동부재와, 상기 발사통 바깥쪽 측면에서 발사통과 평행하도록 길게 형성하여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재가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 지지되는 가드레일을 포함하는 셔틀콕 발사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고무줄 또는 코일스프링을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한쪽 끝부분이 상기 발사통에 지지되고 다른쪽 끝부분은 상기 추진체에 지지되게 설치하는 셔틀콕 발사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재는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사통의 선회반경 주위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하여 설치하는 셔틀콕 발사기.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추진체와 미끄럼접촉하면서 전방쪽으로 전진이동하도록 형성하여 설치되는 연장레일부재를 더 포함하는 셔틀콕 발사기.
  7. 청구항 1에서 있어서,
    상기 선회장치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발사통을 선회운동시키는 전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셔틀콕의 발사위치를 좌우로 변경시킬 수 있도록 좌우로 요동가능한 요동부를 더 구비하는 셔틀콕 발사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원통형의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내부에는 복수의 상기 셔틀콕이 일렬로 삽입되며 상기 발사통의 선회운동반경 내측에 발사통과 각각 인접하며 연결 설치되는 복수의 장전통과,
    상기 복수의 장전통 중 12시 방향에 위치하는 장전통의 후방 하부에서 장전통의 최후방에 위치한 셔틀콕부터 하나씩 인출하는 셔틀콕인출장치와,
    상기 셔틀콕인출장치에 의해 인출되는 셔틀콕이 삽입되고 삽입되는 셔틀콕을 6시 방향에 위치하는 발사통의 투입구로 안내하는 투입안내관을 더 포함하는 셔틀콕 발사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셔틀콕인출장치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지지되는 모터와, 상기 장전통의 후방 끝부분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궤도운동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궤도운동시 상기 장전통의 최후방에 위치하는 셔틀콕의 날개부가 걸려서 셔틀콕을 장전통으로부터 인출하는 복수의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셔틀콕 발사기.
  10.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과 발사통 및 장전통은 각각 전방에서 후방쪽으로 갈수록 서서히 낮게 위치하는 상태로 경사지게 설치하고,
    상기 장전통은 전방부에서 후방부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작아지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프레임에 지지되고 12시 방향에 위치하는 장전통의 후방 끝면을 제외한 나머지 장전통의 후방 끝면을 일정 간격을 두고 가로막아 폐쇄하도록 설치되는 덮개판을 더 포함하는 셔틀콕 발사기.
KR1020120034387A 2012-04-03 2012-04-03 셔틀콕 발사기 KR101292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387A KR101292661B1 (ko) 2012-04-03 2012-04-03 셔틀콕 발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387A KR101292661B1 (ko) 2012-04-03 2012-04-03 셔틀콕 발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2661B1 true KR101292661B1 (ko) 2013-08-02

Family

ID=49219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4387A KR101292661B1 (ko) 2012-04-03 2012-04-03 셔틀콕 발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26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5181B1 (ko) * 2014-11-26 2016-01-21 김창식 단발셔틀콕 발사장치
KR101760132B1 (ko) * 2017-02-27 2017-07-31 김도훈 배드민턴 셔틀콕 다방향 자동발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406B1 (ko) 2006-10-25 2007-04-18 유종 배드민턴 연습장치
JP2008212440A (ja) 2007-03-06 2008-09-18 Masashi Urano シャトル発射装置
KR100943462B1 (ko) 2009-11-06 2010-02-22 유효선 배드민턴 연습장치
KR20110082267A (ko) * 2010-01-11 2011-07-19 김경수 배드민턴 연습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406B1 (ko) 2006-10-25 2007-04-18 유종 배드민턴 연습장치
JP2008212440A (ja) 2007-03-06 2008-09-18 Masashi Urano シャトル発射装置
KR100943462B1 (ko) 2009-11-06 2010-02-22 유효선 배드민턴 연습장치
KR20110082267A (ko) * 2010-01-11 2011-07-19 김경수 배드민턴 연습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5181B1 (ko) * 2014-11-26 2016-01-21 김창식 단발셔틀콕 발사장치
KR101760132B1 (ko) * 2017-02-27 2017-07-31 김도훈 배드민턴 셔틀콕 다방향 자동발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3075B2 (en) Toy launch apparatus with open top dart drum
US8596255B2 (en) Super absorbent polymer projectile launching device
US8353277B2 (en) Toy launcher for launching projectiles and methods thereof
US5522374A (en) Multi-shot air operated, projectile launcher
US9097477B1 (en) Projectile launcher with rotatable clip connector
US6523535B2 (en) Toy projectile launcher
US8371280B2 (en) Breechloading toy/sporting ring airfoil launcher and projectile therefor
US5186156A (en) Air operated toy gun
US8146579B2 (en) Toy employing central shaft cocking mechanism for rapid fire projectile launching and method thereof
US5241944A (en) Toy weapon for shooting out wet pellets
US9500432B2 (en) Hinged arm safety mechanism for foam dart launcher
US7640922B2 (en) Foam dart gun
CN109661258B (zh) 供弹机构及发射装置
US11519689B2 (en) High performance launcher of short projectiles with storage drum
US20060191523A1 (en) Apparatus for propelling projectiles
KR101292661B1 (ko) 셔틀콕 발사기
US1068836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pelling golf balls and other objects
US11828565B2 (en) Repeating toy crossbow
WO2019205123A1 (zh) 射击装置的拨弹机构、射击装置和无人机
US3271033A (en) Toy device for launching and intercepting rotary wing flying targets
CN1316284A (zh) 炮球
WO2016007409A2 (en) Toy launch apparatus with open top dart drum
US20080190407A1 (en) Apparatus For Shoo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7